KR102466559B1 -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559B1
KR102466559B1 KR1020210008591A KR20210008591A KR102466559B1 KR 102466559 B1 KR102466559 B1 KR 102466559B1 KR 1020210008591 A KR1020210008591 A KR 1020210008591A KR 20210008591 A KR20210008591 A KR 20210008591A KR 102466559 B1 KR102466559 B1 KR 10246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raping
text
analysis
unlabe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92A (ko
Inventor
장경희
아자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5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5Syntactic pre-processing, e.g. stopword elimination, ste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7Probabilistic or stochastic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8Non-supervised learning, e.g. competitiv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은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raw)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로부터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시 데이터와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범주화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 및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 및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에서의 모델 평가 후 데이터를 예측하고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 및 정보 출력을 통해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의사 결정 분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AI-based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utilizing Dynamic Text Sources}
본 발명은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장 최근 10년 동안 인터넷은 온라인 데이터 제작자 및 클라이언트와 같은 개인에 의해 점진적으로 활용되어 왔다[1]. 2008년[2]의 UGC(User-Generated Content) 조사에 따르면 미국 인터넷 클라이언트의 35%가 웹에서 최소한 한번 UGC에 기여했으며, 유럽, 일본 및 한국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있었다. 텍스트 마이닝에서 Imran 등[3]은 위기 관련 통신의 자동 텍스트 분류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인 AIDR(Artificial Intelligence of Disaster Relief)을 제안했다. AIDR은 재난 중에 사람들이 게시하는 메시지를 일련의 사용자 정의 정보 범주로 분류한다. 무엇보다도, 전체 프로세스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 및 생산해야 하며, 지연 시간이 짧아야 한다 [4].
Daud [5]는 텍스트 코퍼스에서 섬세한 결합 능력을 가진 주제 모델의 검토에 집중하여 경계 추정(즉, Gibbs 샘플링)과 성능 평가 척도로 서로 다른 분류를 시퀀싱한 기존 모델과 필수 아이디어를 탐구했다. 마찬가지로, Daud는 텍스트 코퍼스를 표시하기 위해 주제 모델의 몇 가지 용도를 소개하고 몇 가지 미해결 문제와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Dang 등[6]은 감정의 극성과 같은 감정 분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 러닝(Deep Learning; DL)을 채택한 최신 연구를 검토했다. 이 모델에서는 일련의 데이터셋에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와 단어 임베딩 절차를 사용했다. 감정 분석은 추상적인 감정을 인식하기 위한 언어 준비, 텍스트 검사 및 컴퓨터 음성학으로 구성된다[7]. 대부분의 경우, 새로운 데이터 입력 샘플의 범주는 비슷하다[7].
Skrlj 등[8]은 주어진 문서 집합에서 식별된 의미 데이터를 학습에 사용되는 많은 새로운 강조점으로 변경하는 실용적인 의미론적 콘텐츠-추정 접근방식을 제시했다. 여기서 제안된 SRNA(Semantics-aware Recurrent Neural Architecture) 모델은 시스템이 의미 벡터와 원시 텍스트 문서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것은 짧은 보고서에서 얻은 가장 높은 정확성(최대 10%)으로 의미 정보가 없는 방법론을 제안된 접근법이 능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마이닝 비구조적 데이터를 레이블링된(labeled) 데이터로 분류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정보 및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표는 위험 데이터셋(hazardous dataset)을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비정형 소스로부터 강력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은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raw)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로부터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시 데이터와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범주화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 및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 및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에서의 모델 평가 후 데이터를 예측하고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 및 정보 출력을 통해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의사 결정 분류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는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감정 분석 및 의사결정을 위해 이모티콘, 이모지 사인, 및 정규 표현과 제외어를 처리하기 위한 FCT(Filter Cleaning Text)를 정리하며, 감정 분석은 텍스트의 주관성 및 극성을 평가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후, FCT를 통해 구조화된 열을 제공한다.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는 복수의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데이터 랭글링 분류를 통해 레이블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 추출을 시작할 때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에 대한 주제 모델링을 위해 문서를 항목 별로 클러스터링하고 비지도 생성 확률론적 방법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이용하여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ML 및 DL 모델을 생성하고 텍스트를 분석한다.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는 LDA를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정의하는 주제를 역추적하기 위한 매트릭스 인수분해를 통해 문서-용어 매트릭스를 하위 차원의 문서-주제 매트릭스와 주제-용어 매트릭스로 변경하고, 현재 포인트에 지정된 문서 내 각 단어의 비율 및 각 단어가 있는 모든 문서에 대한 주제별 할당 비율을 계산하며, 주제 모델링을 위한 WGP(Word Generative Function)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빈도를 갖는 단어를 획득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방법은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raw)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데이터 범주화부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로부터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시 데이터와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를 통해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 및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에서의 모델 평가 후 의사 결정 분류부를 통해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 및 정보 출력을 통해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마이닝 비구조적 데이터를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정보 및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비정형 소스로부터 강력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고, 머신 러닝과 딥 러닝 알고리즘 모두를 사용하여 데이터셋에 대한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키워드를 기반으로 특정 열로 추출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을 위해 주관성과 극성으로 정보를 측정하는 순수 데이터 세트 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단어를 시각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정 분석 데이터의 산포 그래프 및 막대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의 문장 분포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문장 당 LDA 단어 빈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클래스와 레이블 간의 유사성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애플리케이션을위한 Seq2Seq 모델이있는 신경망 기능 기반 컨텍스트 인코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지도 학습에는 이전에 명명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모델을 초기에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 있으며, 이는 불균형과 유사성을 밝혀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비지도 학습은 미리 지정된 데이터셋 없이 학습 및 예측과 연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지도 학습 데이터를 처리하고 주제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RADSS(Real-time AI-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RADSS 모델에는 두 가지 종류의 정보 입력 전략이 있다. 하나는 레이블링된 데이터(labeled data)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data mining process)이다. 사용자는 이 두 가지 유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 분류는 사용자가 주어진 정보를 특성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며, 비지도 또는 지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순서를 선택한다.
데이터에 레이블링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텍스트 분류기와 전처리기에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을 실행한다. 모델 평가를 마친 후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및 예측을 위해 데이터를 가져온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정보가 웹에서 다양한 소스를 스크래핑하여 나온다면,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과 같은 수많은 것들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분류기의 목표는 사용자로부터 순수 정보(clean information)를 기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을 반환하는 것이어야 한다. 순수 정보 세그먼트를 발견함에 있어, 정보 실행과 시각화를 측정하기 위해 감정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과 원시 데이터 변환을 통한 주제 모델링은 이러한 비지도 학습을 정보 어셈블리 후, 레이블링된 데이터셋으로 전환하여 구조적 성능과 결과를 제공한다.
의사 결정 시스템의 경우 RADSS 모델은 주제 분석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예를 들어, 현재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정서 분석을 위한 트위터 데이터 사용(즉, 트윗); 비지도 및 지도 학습 주제 레이블링(다중 클래스 텍스트 분류); 강력한 애플리케이션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한 하이퍼 튜닝 데이터; 다양한 그래프의 데이터 시각화, 텍스트 분류 방법 비교를 시각화한다. 마지막으로, 챗봇은 지도 및 비지도 프로세스 간에 정보 결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마이닝 비구조적 데이터를 레이블링된(labeled) 데이터로 분류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정보 및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표는 위험 데이터셋(hazardous dataset)을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비정형 소스로부터 강력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는 디지털 메시지의 불일치 및 비표준 노이즈로 인해 강력한 분류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텍스트 준비 단계를 만들기 위해 텍스트 분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머신 러닝과 딥 러닝 알고리즘 모두를 사용하여 데이터셋에 대한 상당한 분류 정확도 향상을 관찰한다.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88%)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방법을 사용하여 딥 러닝을 가진 짧은 코퍼스(corpus)에서 달성되었다. 또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인 RF(Random Forest)는 합리적인 84%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RADSS 모델에서 데이터는 다양한 소스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사전 처리는 DMS(Decision Making Support) 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사용자 의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 모델링은 중요한 코퍼스를 범주로 라벨링하는 다중 클래스 텍스트 분류를 사용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것들을 긍정, 부정 또는 중립적인 감정으로 분류하는 자동화된 과정을 가지고 있다. 의미론적 텍스트 마이닝 접근방식은 텍스트 분류에 중요하다. 또한, 비정형 데이터가 유용한 콘텐츠를 만드는 애플리케이션 모델로부터 유용한 의미 콘텐츠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안하는 RADSS(Real-time AI-based Decision Support System)의 분류 모델은 도 1과 같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120)은 웹에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나 주제를 제공하거나 데이터셋에 대한 특정 레이블을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 결과를 얻는다. 웹 스크래핑 후 분류 모델에 대해 데이터를 범주화해야 한다. 원시(raw) 데이터 분류기(111)의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 분류기(112)의 레이블링되지 않은 웹 스크래핑 데이터인 정보를 식별하고, 레이블링되지 않은 웹 스크래핑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130)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한다.
데이터 범주화부(140) 는 원시 데이터 또는 웹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한다.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150)는 추가 분석, 데이터 준비 및 모델 평가를 위해 이러한 데이터를 포맷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성능 예측 및 결과를 평가한다.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150)의 목적은 주어진 데이터 샘플이 원하는 출력을 얻는, 지도 또는 비지도 학습을 위한 정보를 보내는 것이며, 입력 및 출력의 시각적 정보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원시 데이터가 포함된 정보를 스크래핑한 후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150)는 지정된 데이터셋 또는 마이닝된 데이터로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RADSS 모델은 평가를 수행하고 예측 또는 출력을 제공한다. 비지도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클러스터링, 묘사 학습 및 밀도 추정이다. 그러나 데이터셋은 다중 클래스 텍스트 분류로 주제 모델링에 의해 준비되며, 여기서 데이터 랭글링 분류(151)는 먼저 레이블링 데이터(152)를 만든 다음 모델 평가에 들어간다. 사용자 입력이 레이블 코퍼스를 포함하는 경우 텍스트 분류기는 이를 지도 처리를 위해 전송한다. 모델에는 출력 결과에서 샘플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초기 정보가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생각할 수 있는 텍스트를 학습하는 것이며, 이진 또는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153) 분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분류의 목표는 데이터 포인트[9]를 나타내는 자연 구조 또는 계층 구조를 추론하는 것이다.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153)에 대한 주제 모델링(155)을 수행한 후, 레이블 데이터(152)와 함께 특징을 추출(Feature Engineering)한다(154). 이후, 차원 축소(Dimensionality Reduction)(156)를 거쳐 모델 평가(157)를 수행한다. 모델 평가 후 사용자는 의사 결정 분류부(160)를 통해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몇 가지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162) 및 정보 출력(161)을 통해 원하는 예측 및 결과(170)를 얻는다. 이하,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은 텍스트 분류에서 정보 및 DMS 시스템을 위한 RADSS 모델을 제안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 그룹화를 스크랩하기 위한 FCT(Filter Cleaning Text) 방법론 제안; 최고 단어 빈도 레이블 선택(highest word frequency label selection)을 위한 WGP(Word Generative Probabilistic) 방법 제안; 및 스크래핑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컨텍스트 기반 챗봇 애플리케이션 구현.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요청하거나 제공하는 데이터에 따라 정보의 패턴과 연결을 구분한다. 이 프로세스는 기업에서 원시 데이터를 유용한 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는 5단계로 나뉜다. 첫째, 조직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저장부로 불러온다. 그런 다음 내부 서버나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비즈니스 분석가, 관리 팀 및 정보 기술 전문가가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구성 방법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원하는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한다. 마지막으로, 최종 사용자는 그래프나 표와 같이 공유하기 쉬운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한다[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130)도 같은 일을 하지만 프로세스는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130)가 사용자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원시 데이터를 추출한다. 따라서 의사결정 분류는 정보를 긍정, 부정 또는 중립 분석에 대한 주관성과 극성으로 측정하는 순수 데이터셋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FCT(Filter Cleaning Text)는 정보가 정리된 순수 데이터를 설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키워드를 기반으로 특정 열로 추출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RADSS 모델 평가에서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는 사용자에 의한 트위터 데이터 추출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위터의 API는 특정 키워드 또는 사용자가 언급한 키워드에 대한 모든 트윗을 지난 20분, 몇 달 또는 몇 년 내에 끌어오거나 특정 사용자의 리트윗되지 않은 트윗을 끌어오거나 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쿼리를 허용한다[11]. 본 발명의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는 트윗을 분석하여 일반 대중으로부터 정보를 받는 방식을 결정한다.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는 특정 주제를 언급한 마지막 2,000개의 트윗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데이터셋에서는 데이터 필드가 ID, 생성된 시간, 소스, 원본 텍스트, 즐겨찾기_카운트, 리트윗_카운트, 원본_저자, 해시태그 및 사용자 멘션에 대한 열을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 COVID-19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이들을 대상으로 감정 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했다. 또한 공간 데이터로 알려진 특정 위치에 거주하는 사용자를 목표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주제가 가장 많이 언급된 전 세계의 영역을 매핑하는 것일 수 있다. 트위터 데이터는 (트위터 API의 개방성과 관대한 비율 제한과 결합되어) 강력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수신하는가에 대한 일반 대중으로의 게이트웨이(gateway)가 될 수 있다[1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을 위해 주관성과 극성으로 정보를 측정하는 순수 데이터 세트 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에서 텍스트, 즉 노이즈가 많은 데이터를 추출했다. 따라서 분석에 가장 필요한 특정 열은 순수 데이터여야 한다. 제안하는 RADSS 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CT(Filter Cleaning Text)는 이모티콘과 이모지(emoji) 사인, 그리고 많은 정규 표현(regular expressions)과 제외어(stop words)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정리하는 기능을 한다. 감정 분석은 텍스트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식별하고 추출하는 자동화된 프로세스이다[7]. 그것은 특정 주제나 주제에 대한 의견, 판단 또는 감정일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감정 분석 유형을 극성 감지라고 하는데, 이 유형에는 문장을 긍정, 부정 또는 중립으로 분류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 프로그램에는 두 가지 기능이 있다. 하나는 주관성(텍스트가 얼마나 주관적이거나 의견이 많은지; 0점은 사실을 나타내며 +1점은 매우 주관적인 의견)이라는 트윗을 찾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극성이라고 불리는 트윗을 평가한다(텍스트가 얼마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지; -1 점은 가장 부정적이고 +1 점은 가장 긍정적이고 0은 중립 문장이다). 데이터를 분석한 후 FCT는 구조화된 열을 제공하여 모델 평가 및 결과에 추가로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단어를 시각화한 도면이다.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표시되 있는 단어 클라우드로부터 공통적인 단어를 이해하는 것이다. 단어 클라우드(다시 말해, 텍스트 클라우드 또는 태그 클라우드라고도 함)는 시각화의 한 유형이다. 특정 단어가 텍스트에 더 많이 표시될수록 단어 클라우드에는 더 크고 선명하게 나타난다[13]. RADSS 모델은 이러한 유형의 시각화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코퍼스에서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단어가 중국, 사례, 사람, 확인됨, 코로나 바이러스 등이며, 이는 정보가 완벽하게 추출된 모델을 나타낸다. 표 1은 스크래핑 데이터 분석기를 통해 식별된 중립(Neutral), 긍정적(Positive), 부정적(Negative)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1
표 1에서, 얼마나 많은 긍정적인, 부정적인, 그리고 중립적인 뉴스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로부터의 가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정 분석 데이터의 산포 그래프 및 막대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5(a)는 극성과 주관성의 산포 그래프이고, 도 5(b)는 감정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대부분의 데이터가 중간 값인 0.00 값으로 중간에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데이터가 중립적인 것처럼 보인다. 감정 분석의 전체 분포는 분석을 기반으로 한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150)에서는 인공지능(AI) 학습 모델 중 ML(Machine Learning) 및 DL(Deep learning) 접근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통계 패턴 인식을 위한 데이터를 머신(machines)에 제공한다. 학습 모델 알고리즘이 없으면 머신은 성능 및 평가 프로세스를 분석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텍스트 분류는 ML과 DL 접근방식을 모두 사용하며, 그 결과의 평가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한다. 제안하는 접근 방식에서,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 추출은 레이블링되지 않은 코퍼스 데이터를 사전 기록된 정보 없이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만든다. 원시 데이터를 분류하여 데이터셋의 의도를 결정한다. 데이터 추출을 시작할 때 알고리즘은 레이블링된 데이터로부터 학습한다[14]. 의도를 이해한 후 알고리즘은 새 데이터를 패턴과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다. 이러한 이유로 원시 데이터셋에 대한 순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몇 가지 전문 용어들이 있다.
데이터 랭글링(wrangling) 프로세스에서,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는 워드 및 문장 토큰화, 제외어 및 대문자화 제거, 노이즈 제거, 맞춤법 수정, 어간 추출, 표제어 추출 등과 같은 처리를 위한 몇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의 문장 분포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는 주제 모델링을 위해 문서를 항목으로 클러스터링하여 대량의 텍스트를 효율적으로 분석한다. 코퍼스가 레이블링되지 않은 의미를 갖는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로, 이러한 데이터셋에 대한 ML 또는 DL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이전의 레이블링 접근 방식을 적용할 수 없을 것이다.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가 있다면 레이블을 발견해야 한다.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문서 클러스터는 항목별로 그룹화된다. 코퍼스를 모델링하기 위한 비지도 생성 확률론적 방법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제 모델링 방법이다[15]. 그것은 각 문서가 잠재 주제에 대한 확률적 분포로 표현될 수 있다고 가정하고, 모든 문서의 주제 분포가 공통의 Dirichlet을 사전 공유한다고 가정한다. LDA 모델의 각 잠재 주제는 단어의 확률적 분포로 나타내며, 주제의 단어 분포는 이를 이전에 공유한다. L 문서로 구성된 코퍼스 D가 Nd 단어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2
를 가진 경우, LDA 모델은 다음과 같은 생성 프로세스에 따라 D를 모델링한다:
(1)파라미터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3
가 있는 Dirichlet 분포에서 주제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4
에 대한 다항 분포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5
,
(2)파라미터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6
가 있는 Dirichlet 분포에서 문서화된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7
에 대한 다항 분포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8
, 및
(3)문서
Figure 112021008120985-pat00009
에서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0
단어에 대한 생성 프로세스에 따를 D를모델링한다.
위의 생성 과정에서 문서의 단어는 관측된 변수일 뿐이고, 다른 것들은 잠재 변수(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1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2
)와 하이퍼 파라미터(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3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4
)이다. 잠재 변수와 하이퍼 파라미터를 유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관측 데이터 D의 확률을 계산하고 최대화한다.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5
(1)
본 발명에서는 구조화되지 않은 원시 데이터의 문서 유사성에 기초하여 Covid-19 데이터셋을 7개의 주제 클래스로 나누었다.
도 6에서, 주제 5는 문서의 문장 분포 그래프에서 전체 코퍼스로부터 가장 많은 문장을 가지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주제 6은 클래스 중에서 가장 적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 모델링을 위한 WGP(Word Generative Probabilistic) 방법에서, LDA는 문서가 다양한 주제로부터 전달될 것으로 예상한다[16]. 그 시점에서 그러한 주제들은 가장 가능성 있는 보급에 의존하는 단어들을 만들어낸다. 문서 데이터셋이 주어지면, LDA는 어떤 경우에도 해당 문서를 정의하는 주제를 역추적하고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이것은 매트릭스 인수분해 기법이다. 벡터 공간에서, 코퍼스는 문서-용어 매트릭스로 제시될 수 있다. 다음 매트릭스는 말뭉치 O가 D1, D2, D3, ...,Dn 문서와 F단어의 어휘 크기 W1, W2, ...,Wn을 보고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i,j 셀의 추정치는 문서 Di에서 Wj의 빈도 수를 제공한다. LDA는 이 문서-용어 매트릭스를 두 개의 저차원 매트릭스 F1과 F2로 변경한다. F1은 문서-주제 매트릭스이고, F2는 측정(O, G) 및 (G, F)가 개별적으로 있는 주제-용어 매트릭스이며, 여기서 O는 문서 수, G는 주제 수, F는 표 2와 같이 어휘 크기이다.
<표 2>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6
LDA는 각 단어 w, 각 기록 d에 대해 반복하며, 현재 주제-단어 작업을 새 작업으로 대체하려고 시도한다. 다른 주제인 G는 두 가지 확률의 결과인 p1과 p2의 결과인 우도 P의 단어 w에 지정된다. 모든 주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확률 p1과 p2가 계산된다[17]:
p1 - p (t/d) = 현재 포인트 t에 지정된 문서 내 단어의 비율.
p2 - p (w/t) = w가 있는 모든 문서에 대한 주제별 할당 비율.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문장 당 LDA 단어 빈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LDA가 텍스트를 7개의 주제로 분류한 것으로, 비지도 데이터셋의 레이블 이름을 선택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단어 빈도이다. 이제 WGP(Word Generative Function) 방식을 통해 더 높은 빈도의 단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표 3은 분류된 이름으로 단어의 빈도를 가장 높게 표시함으로서 원시 데이터를 예측으로 선택하기에 더 편리하다.
<표 3>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7
스크래핑된 데이터셋에는 1735개의 문장이 있다. 이 데이터셋에는 항목 이름(예를 들어, 장소, 사례, 미디어, 중국, 스프레드, 테스트, 라이브)과 항목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클래스와 레이블 간의 유사성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FCT 열은 각 레이블에 속하는 문장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 평가에서 텍스트와 문서는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셋이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과정은 분류의 일부로 수학적 모델링을 사용할 때 구조화된 특성 공간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첫째, 데이터는 불필요한 문자와 단어를 제외해야 한다. 처리 후에는 공식 특성 전략이 적용된다. 특성 추출에 자주 사용되는 기법은 TF-IDF와 Word2Vec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원 축소를 위해, 제외어를 제거하고 TF-IDF 벡터라이저에 임계값을 적용하지만, 여전히 많은 고유한 단어가 필요하며, 그 중 대부분은 필요하지 않고 일부는 중복되어 있다. 차원 감소 기술인 LSA(Latent Semantic Analysis)도 실행한다[18]. LSA는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를 사용하며, 특히 Truncated SVD를 사용하여 차원 수를 줄이고 최적의 차원을 선택한다.
ML에서 모델 결정을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기본 파라미터와 대조하였다[19]. 여기서 가장 큰 경고는 알고리즘이 즉시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올바른 하이퍼 파라미터로 수행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어떤 종류의 알고리즘(예를 들어, Random Forest, AdaBoost, 확률적 경사 강하, KNN, Gaussian Naive Bayes, 의사결정 트리)이 자연적으로 더 잘 작동할 것인지에 대한 적절한 주요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20]. 단지 게이지로서 임의적인 가능성인 Sklearn(Python 라이브러리) 더미 알고리즘과 함께 시험해 보기 위해 6개의 별도 계산을 선택했다. 다양한 알고리즘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에 대해서는 Accuracy, Precision, Recall 및 F1 점수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 접근법에서 데이터셋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관한 다양한 방법을 탐구해야 한다. 데이터 소스는 더 작은 데이터셋이다. 이것이 LSTM 엔지니어링을 활용하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으로 가는 이유이다[21]. 방대한 데이터셋의 경우, TextCNN과 양방향 RNN(LSTM/GRU)과 같은 많은 접근법이 있다. LSTM은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도록 허용함으로써 기본 RNN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설계를 배울 수 있는 특별한 종류의 RNN이다. LSTM을 사용하는 방법은 셀 익스프레스이며, 아웃라인의 헤드를 통과하는 수평 라인이다[22]. 셀 상태가 두 번 새로 고쳐졌고 이후 경사를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는 계산도 거의 없었다. 그것은 또한 단기 메모리와 같은 설명과 함께 숨겨진 익스프레스를 가지고 있다.
도 9의 RADSS 챗봇 기능 모델은 ACE(Averaging Context Encoder)를 평균화하여 입력 Xs를 인코딩하고 출력 Yt를 집계하는 컨텍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RNN 및 ACE의 훈련 입력 Hs 계층은 주의(attention) Ht 계층으로 공급되기 직전에 요소 별 곱셈을 수행하며, 마지막으로 출력 Yt 레이어로 디코딩된다. 유한 상태 머신은 특정 생성 모델인 텍스트 생성을 위하여 의도 모델 입력을 사용한다. 각 모델은 의도에 따라 생성되며 대화가 중지될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으로부터의 의사 결정 정보화에서, 챗봇은 정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실행 가능한 배치이다. 컨텍스트 기반 챗봇은 이벤트에 대한 설정, 설명 또는 생각, (완전히 이해될 수 있는 한) 기본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모든 데이터의 메모리를 구성하는 하이퍼 튜닝 데이터셋 조건을 기반으로 한다. 사용자에 대한 이전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메모리는 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컨텍스트를 얻기 위해), 상태 및 전환은 여기서 중요한 작업으로 간주된다. 의도를 고려하여, 행동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챗봇을 활용하는데, 챗봇은 의도 분류에 의해 이러한 활동을 인식한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챗봇을 특정 상태로 둔다. 전환은 챗봇 모드의 의도를 변경한다. 한 상태에서 시작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교환 모드가 있는데, 이것은 토론을 특징짓고 챗봇을 디자인한다. 전환 시점에서는 챗봇에 동일한 상태에 속하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모델을 교육하기가 더 어렵다. 신경망은 주입된 상태로부터 컨텍스트를 학습하는 이 단계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챗봇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상황 기반 챗봇(지도 학습), 도 10(b)는 컨텍스트 기반 챗봇(비지도 학습)의 정보 결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Covid-19 스크래핑 데이터와 Covid-19 레이블링 데이터를 실험한다. 두 데이터 모두 정보 결정을 내리고 있다. 레이블링 데이터는 데이터 길이와 주어진 정보로 인해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것보다 더 의미 있는 정보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안하는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방법은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raw)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1110), 데이터 범주화부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로부터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시 데이터와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1120),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를 통해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 및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1130) 및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에서의 모델 평가 후 의사 결정 분류부를 통해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 및 정보 출력을 통해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1140)를 포함한다.
단계(1110)에서,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감정 분석 및 의사결정을 위해 이모티콘, 이모지 사인, 및 정규 표현과 제외어를 처리하기 위한 FCT(Filter Cleaning Text)를 정리하며, 감정 분석은 텍스트의 주관성 및 극성을 평가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후, FCT를 통해 구조화된 열을 제공한다.
단계(1120)에서, 데이터 범주화부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로부터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시 데이터와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한다.
단계(1130)에서,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를 통해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 및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한다. 단계(1130)에서, 인공지 학습 모델 중 ML(Machine Learning) 및 DL(Deep learning) 접근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데이터 랭글링 분류를 통해 레이블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 추출을 시작할 때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에 대한 주제 모델링을 위해 문서를 항목 별로 클러스터링하고 비지도 생성 확률론적 방법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이용하여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ML 및 DL 모델을 생성하고 텍스트를 분석한다. 이때, LDA를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정의하는 주제를 역추적하기 위한 매트릭스 인수분해를 통해 문서-용어 매트릭스를 문서-주제 매트릭스, 주제-용어 매트릭스로 변경하고, 현재 포인트에 지정된 문서 내 각 단어의 비율 및 각 단어가 있는 모든 문서에 대한 주제별 할당 비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주제 모델링을 위한 WGP(Word Generative Function)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빈도를 갖는 단어를 획득한다.
단계(1140)에서,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에서의 모델 평가 후 의사 결정 분류부를 통해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 및 정보 출력을 통해 예측 결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참고 문헌>
[1] Umar, S.; Maryam, M.; Azhar, F.; Malik, S.; Samdani, G. Sentiment Analysis Approaches and Applications: A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IJCA: 2018, volume: 181, pp. 1-9, doi: 10.5120/ijca2018916630.
[2] Ochoa, X.; Duval, E.; Quantitative Analysis of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Web.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on Understanding Web Evolution (WebEvolve2008), China 2008.
[3] Imran, M.; Castillo, C.; Lucas, J.; Meier, P.; Vieweg, S.; AIDR: artificial intelligence for disaster response. In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WWW '14 Companion),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NY, USA, 2014, pp. 159-162.
[4] Imran, M.; Lykourentzou, I.; Castillo,C. Engineering crowdsourced stream processing systems. arXiv 2013, arXiv:1310.5463.
[5] Daud, A. Knowledge discovery through directed probabilistic topic models: a survey. Frontiers of computer science in China, 2010, pp. 280-301.
[6] Dang, C.; Moreno, G.; Maria, N.; Fernando, D. L. P. Sentiment Analysis Based on Deep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2020, Electronics. 9. 483. 10.3390/electronics9030483.
[7] Twitter Sentiment Analysis with Machine Learning. Available online: https://monkeylearn.com/blog/ sentiment-analysis-of-twitter/ (accessed on 07052020).
[8] Skrlj, B.; Kralj, J.; Lavrac, N.; Pollak, S.; Towards Robust Text Classification with Semantics-Aware Recurrent Neural Architecture. Machine Learning and Knowledge Extraction 2019, pp. 575-589. doi:10.3390/make1020034.
[9] Krendzelak, M.; Jakab, F. Text categorization with machine learning and hierarchical structures. 2015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eLearning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ICETA), Stary Smokovec, 2015, pp. 1-5, doi: 10.1109/ICETA.2015.7558486.
[10] Sahu, H.; Shrma, S.; Gondhalakar, S. A Brief Overview on Data Mining Survey. 2011.
[11] Cuesta, A.; Barrero, D. F.; Mar
Figure 112021008120985-pat00018
a, D. R-M. A framework for massive twitter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Malaysian Journal of Computer Science, 27, pp. 50-67.
[12] Twitter Data mining: A guide to Big Data Analytics using python. Available online: https://www.toptal.com/python/twitter-data-mining-using-python (accessed on 06072020).
[13] Heimerl, F.; Lohmann, S.; Lange, S.; Ertl, T. Word Cloud Explorer: Text Analytics Based on Word Clouds. 2014 47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IEEE: Waikoloa, HI, 2014, pp. 1833-1842, doi: 10.1109/HICSS.2014.231.
[14] Shang, W.; Dong, H.Z.; Wang, Y. A novel feature weight algorithm for text categorization.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Knowledge Engineering, IEEE: Beijing, 2008, pp. 1-7, doi: 10.1109/NLPKE.2008.4906817.
[15] Blei, D.M.; Ng, A.Y.; Jordan, M.I.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2003.
[16] Arun, R.; Suresh, V.; Veni, M. C.E.; Narasimha Murthy, M.N. On Finding the Natural Number of Topics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Some Observations. In Advances i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Zaki M.J., Yu J.X., Ravindran B.; Publish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 volume 6118, https://doi.org/10.1007/978-3-642-13657-3_43.
[17] Beginners guide to topic modeling in python. Available online: https://www.analyticsvidhya.com/ blog/2016/08/beginners-guide-to-topic-modeling-in-python/ ( accessed on 21072020).
[18] Christopher, D. M.; Prabhakar, R.; Hinrich S. Matrix decompositions & latent semantic indexing.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apter 18: pp. 403-417, 2008.
[19] Kumari, S.; Saquib, Z.; Pawar, S.;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Text Classification in Cybercrime. 2018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Communication Control and Automation (ICCUBEA), Pune, India, 2018, pp. 1-6, doi: 10.1109/ICCUBEA.2018.8697442.
[20] Bhumika; Sukhjit, S. S.; Nayyar, A. A review Paper on algorithms used for text classifications. 2013.
[21] Staudemeyer, R.C.; Morris, E.R. Understanding LSTM - a tutorial into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s, 2019, arXiv, abs/1909.09586.
[22] Sequence Classification with LSTM Recurrent Neural Networks in Python with Keras. https://machinelearningmastery.com/sequence-classification-lstm-recurrent-neural-networks-python-keras/ ( accessed on 05042020).
[23] Decision Support System. Available online: https://www.journals.elsevier.com/decision-support-systems (accessed on 06102020).

Claims (8)

  1.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raw)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로부터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시 데이터와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범주화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을 수행한 후,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 분류를 적용하여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한 후,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와 함께 특징을 추출한 후, 차원 축소를 거쳐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 및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에서의 모델 평가 후 데이터를 예측하고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 및 정보 출력을 통해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의사 결정 분류부
    를 포함하고,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는,
    복수의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데이터 랭글링 분류를 통해 레이블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 추출을 시작할 때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에 대한 주제 모델링을 위해 문서를 항목 별로 클러스터링하고 비지도 생성 확률론적 방법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이용하여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텍스트를 분석하고,
    LDA을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정의하는 주제를 역추적하기 위한 매트릭스 인수분해를 통해 문서-용어 매트릭스를 문서-주제 매트릭스, 주제-용어 매트릭스로 변경하고, 상기 해당 문서 내 각 단어의 비율 및 각 단어가 있는 모든 문서에 대한 주제별 할당 비율을 계산하며, 주제 모델링을 위한 WGP(Word Generative Function)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빈도를 갖는 단어를 획득하는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는,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감정 분석 및 의사결정을 위해 이모티콘, 이모지 사인, 및 정규 표현과 제외어를 처리하기 위한 FCT(Filter Cleaning Text)를 정리하며, 감정 분석은 텍스트의 주관성 및 극성을 평가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후, FCT를 통해 구조화된 열을 제공하는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raw)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scraping)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데이터 범주화부를 통해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로부터 레이블링된 원시 데이터와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시 데이터와 스크래핑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를 통해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을 수행한 후,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 분류를 적용하여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한 후,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와 함께 특징을 추출한 후, 차원 축소를 거쳐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에서의 모델 평가 후 의사 결정 분류부를 통해 챗봇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복수의 의사 결정 그래프 시각화 및 정보 출력을 통해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텍스트 분류 및 분석부를 통해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레이블링된 데이터로 전환하고, 레이블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랭글링 추출(data-wrangling extraction) 및 모델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데이터 랭글링 분류를 통해 레이블링 데이터를 생성하며,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의 소스로부터 데이터 추출을 시작할 때 다중 클래스 레이블링 데이터에 대한 주제 모델링을 위해 문서를 항목 별로 클러스터링하고 비지도 생성 확률론적 방법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을 이용하여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텍스트를 분석하고,
    LDA을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정의하는 주제를 역추적하기 위한 매트릭스 인수분해를 통해 문서-용어 매트릭스를 문서-주제 매트릭스 주제-용어 매트릭스로 변경하고, 상기 해당 문서 내 각 단어의 비율 및 각 단어가 있는 모든 문서에 대한 주제별 할당 비율을 계산하며, 주제 모델링을 위한 WGP(Word Generative Function) 방식을 통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빈도를 갖는 단어를 획득하는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원시 데이터 또는 스크래핑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지도 학습을 위한 레이블링되지 않은 스크래핑 데이터인 경우,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스크래핑 데이터 분류기를 통해 사용자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감정 분석 및 의사결정을 위해 이모티콘, 이모지 사인, 및 정규 표현과 제외어를 처리하기 위한 FCT(Filter Cleaning Text)를 정리하며, 감정 분석은 텍스트의 주관성 및 극성을 평가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후, FCT를 통해 구조화된 열을 제공하는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10008591A 2021-01-21 2021-01-21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KR10246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91A KR102466559B1 (ko) 2021-01-21 2021-01-21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91A KR102466559B1 (ko) 2021-01-21 2021-01-21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92A KR20220105792A (ko) 2022-07-28
KR102466559B1 true KR102466559B1 (ko) 2022-11-16

Family

ID=8260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591A KR102466559B1 (ko) 2021-01-21 2021-01-21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0644A (zh) * 2022-11-09 2023-01-20 哈尔滨工业大学 基于lda主题模型的直播用户弹幕的话题挖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845B1 (ko) * 2017-11-30 2019-10-21 굿모니터링 주식회사 비정형 데이터의 카테고리 자동분류 방법
KR20200010624A (ko) * 2018-06-22 2020-01-31 주식회사 링크트리 머신러닝을 이용한 빅데이터 통합진단 예측 시스템
KR102217307B1 (ko) * 2019-07-03 2021-02-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계 학습 및 의미론적 지식 기반 빅데이터 분석으로 웨어러블 센서와 소셜 네트워킹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의료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92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m et al. A ConvBiLSTM deep learning model-based approach for Twitter sentiment classification
Adwan et al. Twitter sentiment analysis approaches: A survey
Wazery et al. Twitter sentiment analysis using deep neural network
Mehta et al. Sentiment analysis of tweets using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Kaladevi et al. RETRACTED ARTICLE: Integrated CNN-and LSTM-DNN-based sentiment analysis over big social data for opinion mining
Ghumade et al. A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NLP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KR102466559B1 (ko) 동적 텍스트 소스를 활용한 ai 기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Palkar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for sentiment analysis of movie reviews
Alsanad An improved Arabic sentiment analysis approach using optimized multinomial Naïve Bayes classifier
Fergus et 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BURLĂCIOIU et al. TEXT MINING IN BUSINESS. A STUDY OF ROMANIAN CLIENT’S PERCEPTION WITH RESPECT TO USING TELECOMMUNICATION AND ENERGY APPS.
Tamrakar An analytical study of feature extraction techniques for student sentiment analysis
Mathur et al. Analyzing sentiment of twitter data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Sharma et al. Emotion qua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the neutrosophic approach to deep learning
Moalla et al. Towards Opinions analysis method from social media for multidimensional analysis
Kadu et al. Text-based sentiment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Divya et al. An Empirical Study on Fake News Detection System using Deep and Machine Learning Ensemble Techniques
Hernandi et al. Sentiment Analysis Implementation For Detecting Negative Sentiment Towards Indihome In Twitter Using Bidirectional Long Short Term Memory
Dirash et al. LSTM Based Sentiment Analysis
Kurniawan et al. Comparing LSTM and CNN methods in case study on public discussion about Covid-19 in Twitter
Chen et al. Hybrid Method for Short Text Topic Modeling
Habib Tweet sentiment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
Nazma Sentiment analysis on twitter data using different algorithms
Chandurkar et al. Sentiment analysis: A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on colleges
Vemulapall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witfeel and transformer-based techniques for the analysis of text data for sentiment class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