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809B1 - Curtain wall - Google Patents

Curtain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809B1
KR102465809B1 KR1020220061312A KR20220061312A KR102465809B1 KR 102465809 B1 KR102465809 B1 KR 102465809B1 KR 1020220061312 A KR1020220061312 A KR 1020220061312A KR 20220061312 A KR20220061312 A KR 20220061312A KR 102465809 B1 KR102465809 B1 KR 10246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partition bar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유
Original Assignee
김경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유 filed Critical 김경유
Priority to KR102022006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8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8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rtain wall which comprises: a window frame divided into a horizontal frame apart from an outer side of a building in a heightwise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a vertical frame apart from the outer sid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including: a window frame body unit, and a first segmentation bar support channel formed to protrude from the window frame body unit towards an outer side; a segmentation bar having a first hanging groove unit formed on an inner side end coupled to the first segmentation bar support channel, and having a second hanging groove unit formed on an outer side end, and segmenting an opening unit formed by the window frame into sub opening units; an elevation frame coupled to an outer side end of the segmentation bar and having a second segmentation bar support channel coupled to the second hanging groove unit; and a finish frame coupled to the elevation frame and finishing the parts between the windows installed on the sub opening units.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improve insulation and work efficiency.

Description

커튼월{CURTAIN WALL}Curtain Wall{CURTAIN WALL}

본 발명은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된 커튼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tain wall having improved thermal insulation and work efficiency.

일반적으로, 커튼월 공법이란 철근 콘크리트조, 철골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서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기둥, 보 및 슬래브 등으로 이루어진 골조만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외부 벽체는 하중을 부담하지 않는 비내력벽으로 형성시키는 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커튼월 공법은 외벽을 경량화할 수 있고, 규격화에 의한 공장에서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골조공사와 함께 병행하여 공사를 실시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여 고층건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커튼월은 외관형태에 따라 멀리온 타입(mullion type), 스팬드럴 타입(spandrel type), 그리드 타입(grid type) 등으로 나누어 지는데, 특히 그리드 타입은 수직, 수평의 격자형 외관을 나타낼 수 있어 유리 커튼월에 많이 사용된다.In general, the curtain wall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load acting on the building in a structur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or steel frame is supported only by the frame made of columns, beams, and slabs, and the external wall is formed as a non-bearing wall that does not bear the load say This curtain wall construction method can lighten the exterior wall, can mass-produce it in a factory by standardization, and can be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frame construction, so it is not only economical, but also has a beautiful appearance, so it is widely used in high-rise buildings. have. Curtain walls are divided into mullion type, spandrel type, grid type, etc. depending on the exterior shape. In particular, the grid type can show vertical and horizontal grid-type exteriors. It is often used for curtain walls.

통상적으로 커튼월은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이웃하는 두 개의 복층유리에 프레임이 장착됨으로써, 다수 개의 복층유리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종래의 커튼월에 적용되는 프레임은 복층유리와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알루미늄은 강성이 약하므로, 프레임의 두께 및 크기를 증대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프레임의 두께 및 크기를 증대시키면, 프레임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지는바, 커튼월 시공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물론,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강재로 제작하면, 프레임의 강성이 커지지만, 강재는 변형률이 적고 충격 흡수율이 매우 낮으므로, 복층유리와의 밀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복층유리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ypically, the curtain wall is configured to connect a plurality of double-glazed glasses by mounting a frame on two adjacent double-glazed glasses that are vertically erec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ram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curtain wall is generally made of aluminum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multi-layer glass, but since aluminum has weak rigidity,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frame must be increased. If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frame made of aluminum are increased in this way, the frame manufacturing cost is very high,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urtain wall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Of course, if the frame as a whole is made of steel, the rigidity of the frame increases, but the steel material has a small strain rate and a very low impact absorption rate, so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adhesion with the laminated glass is deteriorat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minated glass may be damaged.

한편, 커튼월의 주목적은 비와 바람으로부터의 건물 내부 공간을 보호하는 것이므로, 내풍압과, 접합 수밀성, 기밀성 및 단열성이 중요한 기능요소가 된다. 즉, 커튼월은 건물의 내부를 바람이나 빗물로부터 보호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커튼월은 커튼월 프레임에 의해 건물의 골격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고층 건축공사에 있어서 커튼월 프레임은 조임철물(fastner)에 의해 건물의 골격에 결합될 수 있다. 유리는 이러한 커튼월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임철물로서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프레임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체결나사를 체결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체결나사를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히트싱크로 기능할 수 있어서, 단열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curtain wall is to protect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from rain and wind, wind pressure, joint watertightness, airtightness, and heat insulation are important functional factors. That is, the curtain wall should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protecting the inside of the building from wind or rainwater. Such a curtain wall may be fixed to the skeleton of a building by a curtain wall frame. For example, in high-rise construction, the curtain wall frame may be coupled to the skeleton of the building by means of fasteners. Glass can be bonded to this curtain wall frame. Although the method of fastening the fastening screw was used as a faste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fastening the fastening screw while holding a frame with such a heavy weight. In addition, since heat transfer is made through a plurality of fastening screws, it can function as a heat sink,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inhibiting thermal insul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열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된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rtain wall with improved thermal insulation and work efficienc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커튼월에 있어서, 건물의 외측에서 상기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외측에서 건물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분되며, 창틀바디부와, 상기 창틀바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구획바지지찬넬을 포함하는 창틀프레임;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에 끼움결합되는 내측단에 걸림결합을 위한 제1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외측단에 제2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틀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서브 개구부들로 구획하는 구획바; 상기 구획바의 외측단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2 걸림홈부와 걸림결합되는 제2 구획바지지찬넬이 형성된 숨김프레임; 및 상기 숨김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서브 개구부들에 설치되는 유리창들의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urtain wall, a horizont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a horizont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ilding It is divided into a vertical frame to be coupled, the window frame body portion and the window frame frame comprising a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window frame body portion; A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for locking coupling is formed at an inner end fitted to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end, and the opening formed by the window frame is divided into sub-openings. a partition bar for partitioning; a hidden frame to which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bar is fitted and formed with a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that is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and a closing frame to which the hidden frame is coupled, and a closing frame for closing between the glass windows installed in the sub-open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은 상기 창틀바디부에서 외측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이 돌출되는 구획홈부와, 상기 구획홈부의 입구에서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을 향해 돌출되는 입구걸림돌부와,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바의 상기 제1 걸림홈부와 후크결합되는 제1 걸림후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숨김프레임은 상기 구획바의 외측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이 돌출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의 내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바의 상기 제2 걸림홈부와 후크결합되는 제2 걸림후크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감프레임에 삽입되며 상기 마감프레임에 걸림결합되는 외측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frame frame is recessed on the outside from the window frame body part, and a partition groove part from which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protrudes,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t the entrance of the partition groove part. It further comprises an entrance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nd a first locking hook portion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nd hook-coupl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of the partition bar, wherein the hidden frame is the partition bar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out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nd protruding from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nd a second locking hook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nd hook-coupl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of the partition bar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hook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and inserted into the finishing frame and engaged with the finishing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획바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각각,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1 걸림홈부와, 수평부의 외측단에 형성된 제2 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수평부와 상기 하판의 수평부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각 상기 제1 걸림홈부가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의 상기 제1 걸림후크부와 후크결합되며,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각 상기 제2 걸림홈부가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의 상기 제2 걸림후크부와 후크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bar includes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and a first engag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first locking groove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respectively. It includes two locking grooves,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facing each other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the first of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It may be hook-coupled with the engaging hook portion, and each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hook-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hook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감프레임은, 상기 창틀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마감판부; 상기 마감판부에서 상기 창틀프레임을 향해 돌출된 찬넬프레임; 및 찬넬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숨김프레임의 외측후크부와 걸림결합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찬넬프레임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숨김프레임의 외측후크부의 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후크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ishing frame includes: a finishing plate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window frame; a channel frame protruding from the closing plate portion toward the window frame;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channel frame and engaged with the outer hook part of the hidden frame; And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frame, respectively, the hook stop portio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end of the outer hook portion of the hidden frame;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획바의 옆에서 상기 창틀프레임과 상기 숨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창틀프레임과 숨김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는, 상기 창틀바디부와 상기 숨김프레임 사이를 차폐하는 가림프레임; 상기 가림프레임의 내측단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창틀바디부에 밀착되는 제1 밀착프레임; 상기 가림프레임의 외측단에 구비된 절곡프레임; 및 상기 절곡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숨김프레임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밀착되는 제2 밀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bar interposed between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hidden frame next to the partition bar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hidden frame; further comprising, the fixing bar, a shielding frame for shielding between the window frame body part and the hidden frame; a first close contact frame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inner end of the shielding fram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body; a bending frame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shielding frame; and a second contact frame extending from the bending fram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of the hidden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구획바가 삽입된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2 밀착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구획바가 삽입된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first close contact frame supports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nd the end of the second close contact frame is the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is inserted may be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은 상기 서브 개부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개폐창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창유닛은, 상기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개폐프레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개구부에 구비되는 개폐창; 및 적어도 상기 고정바와 마주하는 상기 개폐창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한 상태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상기 개폐프레임과 결합되는 개폐창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tain wall further includes an opening/closing window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one of the sub-opening parts, the opening/closing window unit comprising: an opening/closing frame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n opening/closing window provided in the at least one sub-opening; and an opening/closing window frame coupled to the opening/closing frame in an opening/closing manner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the edge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facing the fixing bar is wrapped and suppor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획바를 기준으로 상기 개폐창유닛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고정창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창유닛은, 상기 서브 개구부들 중 다른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개구부에 구비되는 고정창; 및 상기 고정창의 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창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창프레임은, 상기 고정창의 테두리를 감싸는 고정창지지부와, 상기 고정창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의 창틀바디부에 걸림 결합되는 프레임고정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창지지부는 하중지탱부와, 상기 하중지탱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하중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fixed window uni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unit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bar, wherein the fixed window unit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ther sub-opening of the sub-openings. fixed window; and a fixed window frame coupled to the window sill frame in a state surrounding the rim of the fixed window, wherein the fixed window frame includes a fixed window support part surrounding the rim of the fixed window,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xed window support part. and a frame fixing angle engaged and coupled to the window frame body of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지지부는, 상기 하중지탱부의 외측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하중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window support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ad distribu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load support part and supported by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 상기 구획바,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은 별도의 나사결합 없이 상기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the partition bar,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may be coupled by the fitting without a separate screw coupl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열성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된 커튼월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rtain wall with improved thermal insulation and work efficienc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튼월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면에서 부재들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재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창틀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획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숨김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마감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는 고정창유닛의 고정창프레임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고정창프레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서 "C-C" 선을 따란 절단한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창틀프레임, 구획바, 숨김프레임 및 마감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urtai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of the curtain wall shown in FIG. 1 taken along line "AA".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of the curtain wall shown in FIG. 1 taken along line "BB".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coupling between members in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3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mbers shown in FIG. 4 are disassembled.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window frame shown in Figures 2 to 5.
7 is a view showing the partition bars shown in FIGS. 2 to 5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dden frame shown in FIGS. 2 to 5 .
9 is a view showing the finishing frame shown in FIGS. 2 to 5 .
10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bar shown in FIGS. 2 and 3 .
11 is a view showing examples of the fixed window frame of the fixed window unit.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ed window frame.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CC” in FIG. 1 .
14 is a view showing a window frame frame, a partition bar, a hidden frame and a finishing frame shown in FIG. 13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튼월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면에서 부재들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재들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창틀프레임(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urtai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of the curtain wall shown in FIG. 1 taken along line "A-A".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of the curtain wall shown in FIG. 1 taken along line "B-B".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coupling between members in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3 .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mbers shown in FIG. 4 are disassembled. 6 is a view showing the window frame 10 shown in FIGS. 2 to 5 .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은 창틀프레임(10)과, 구획바(30)를 포함한다.1 to 6 , the curtai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frame 10 and a partition bar 30 .

창틀프레임(10)은 실외측에서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1)과, 실외측에서 건물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평프레임(11)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2)으로 구분된다.The window frame 10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frame 11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a vertical frame 12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1. do.

창틀프레임(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창틀바디부(101)와, 창틀바디부(101)에서 실외측에 함몰 형성되는 구획홈부(102)와, 구획바(30)가 삽입 끼움 결합되도록 구획홈부(10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획바(30)의 양측 모서리 측면을 가압하며 걸리는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과, 구획홈부(102)의 입구에서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을 향해 돌출되는 입구걸림돌부(105) 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window frame 10 includes a hollow window frame body 101, a partition groove 102 recessed from the window frame body 101 on the outdoor side, and a partition bar 30 are inserted. A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partition groove 102 so as to be fitted and presses the side edges of both sides of the partition bar 30 , and a first partition bar support at the entrance of the partition groove 102 . It may include an entrance locking protrusion 105 protruding toward the channel 103 .

창틀바디부(101)에는 보강블럭이 내장되어 창틀바디부(10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 reinforcing block is built in the window frame body unit 101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window frame body unit 101 .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의 입구측 선단(즉, 외측 단부)에는 끼움 결합되는 구획바(30)의 고정 및 이탈방지를 위한 제1 걸림후크부(103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은 내측 폭보다 입구측 폭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은 입구의 제1 걸림후크부(1032)들 사이로 진입된 구획바(30)의 내측단을 지지하고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부(10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A first locking hook portion 1032 is provided at the inlet end (ie, the out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for fixing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partition bar 30 to be fitted. Accordingly,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er inlet width than an inner width.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ortion 1034 for supporting the inner end of the partition bar 30 enter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hook portions 1032 of the inlet and preventing movement. .

도 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획바(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partition bar 30 shown in FIGS. 2 to 5 .

구획바(30)는 창틀프레임(10)에 결합된다. 구획바(30)는 창틀프레임(10)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복수의 서브 개구부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바(3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1)과 하판(32)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31)은 수평부와 수평부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1 걸림홈부(34)와, 수평부의 외측단에 형성된 제2 걸림홈부(36)를 가질 수 있다. 하판(32)은 마찬가지로 수평부와 수평부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1 걸림홈부(34)와, 수평부의 외측단에 형성된 제2 걸림홈부(36)를 가질 수 있다. 상판(31)과 하판(32)의 각 수평부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 걸림홈부(34) 및 제2 걸림홈부(36)는 절곡 형성되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판(31)과 하판(32)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판(31)과 하판(32)에는 이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판(31)과 하판(32)을 지지하는 지지리브(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바(30)는 단면상으로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되, 걸림홈부로 인해 모서리에 걸림후크부가 걸리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획바(30)는 창틀프레임(10) 및 후술되는 숨김프레임(13) 사이에 개재되며 이들과 삽입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서, 나사결합의 생략하거나 그 필요한 개수를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해준다.The partition bar 30 is coupled to the window frame 10 . The partition bar 30 may partition the opening formed by the window frame 10 into a plurality of sub-openings. The partition bar 3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as shown in FIGS. 4 to 7 . The upper plate 31 may have a horizontal portion and a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34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36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lower plate 32 may have a horizontal portion and a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34 formed on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36 formed on the out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 horizontal portions of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34 and 36 are bent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a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may be provided with support ribs 33 protruding into this space to support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2 . The partition bar 3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cross-section, and may have a concave shape so that the engaging hook portion is caught at the corner due to the engaging groove. The partition bar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window frame 10 and the hidden frame 13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coupled with them in an insert-fitting manner, thereby enabling the omission of screwing or the required number of screw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즉,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간에 삽입 및 끼움 결합만으로도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간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나사체결이 없이 또는 극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나사결합으로 인한 열손실 통로가 제거되거나 현저히 감소되어 단열성이 향상된다. 또한, 현장에서 무거운 프레임을 잡거나 지지한 상태로 나사체결하는 비효율적인 공정이 제거될 수 있어서, 작업공정의 효율성도 향상된다. 특히, 구획바(30)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에 삽입 끼움 결합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정바(90)에 의해 일측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의 끼움접촉면의 반대면이 가압되고, 고정창프레임(70)에 의해 타측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의 끼움접촉면의 반대면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간의 결합력이 더욱 강화되고 안정성이 더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더 후술된다.That is, it can be strongly coupled only by inserting and fitting between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 Therefore, there is no horizontal or vertical screw fastening between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or it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heat loss passages due to a plurality of screws are eliminated or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In addition, the inefficient process of holding the heavy frame in the field or fastening the screw in a supported state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process is also improved. In particular, the partition bar 30 is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tting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on one side by the fixing bar 9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is pressed, the opposite side of the fitting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on the other side by the fixed window frame 70 can be pressed. Accordingl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is further strengthened and stability can be further secured.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later.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숨김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dden frame shown in FIGS. 2 to 5 .

또한, 창틀프레임(10)은 구획바(30)와 결합되는 숨김프레임(13)과, 숨김프레임(13)을 감싸 마감하는 마감프레임(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ow frame 10 may further include a hidden frame 13 coupled to the partition bar 30 , and a closing frame 14 that wraps and finishes the hidden frame 13 .

숨김프레임(13)은 도 4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바(30)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1)과, 지지프레임(131)의 일단에 구비된 숨김절곡부(133)와, 지지프레임(13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과, 지지프레임(131)의 타단 및 숨김절곡부(133)의 일단으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감프레임(14)에 삽입되며 마감프레임(14)에 걸림결합을 위한 외측후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숨김절곡부(133)는 내측을 향해 대략 "C" 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숨김프레임(13)과 마감프레임(1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후크결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e hidden frame 13 is a support frame 131 for supporting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bar 30 as shown in FIGS. 4 and 6 , and a hidden bent part 133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131 .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protruding inward from the support frame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131 and one end of the hidden bent portion 133 extending outwardly to the finish frame 14 It is inserted into and may include an outer hook portion 134 for engaging the finish frame (14). Concealed bent portion 133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toward the inside,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hidden frame 13 and the closing frame 14, it is possible to make the hook coupling more robust.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은 지지프레임(131)의 타단측으로 편중되게 구비되되, 마감프레임(14)을 기준으로는 대략 중앙에 위치되며, 창틀프레임(10)의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과 구획바(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할 수 있다.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의 입구에는 제2 구획바(30)의 외측단에 형성된 제2 걸림홈부(36)에 후크결합되는 제2 걸림후크부(1322)가 구비된다.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is provided to be biased toward the other end side of the support frame 131 , is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finish frame 14 ,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of the window frame 10 . (103) and the partition bar 30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entrance of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 a second locking hook part 1322 hook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part 36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ar 30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구획바(30) 자체가 창틀프레임(10)의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에 삽입되어 후크결합되고, 숨김프레임(13)의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에 삽입되어 후크결합된다. 즉, 구획바(30)의 내측 및 외측 모서리 4개가 모두 압박을 받는 형태로 후크결합 내지 걸림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숨김프레임(13), 구획바(30), 창틀프레임(10)에 삽입되는 체결나사와 같은 별도의 피스가 요구되지 않거나 극소화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rtition bar 30 itself is inserted into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of the window frame 10 and hook-couple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of the hidden frame 13 and hook-connected. That is, the four inner and outer corners of the partition bar 30 may be hooked or hooked in a form that receives pressure to be firmly coupled. Accordingly, a separate piece such as a fastening screw inserted into the hidden frame 13,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window frame 10 may not be required or may be minimized.

도 9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마감프레임(1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finishing frame 14 shown in FIGS. 2 to 5 .

마감프레임(14)은 도 4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1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마감판부(141)와, 마감판부(141)에서 상기 창틀프레임(10)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찬넬프레임(142)과, 찬넬프레임(142)에서 연장되고 절곡되는 마감절곡프레임(143)과, 찬넬프레임(142)의 단부에 형성되어 숨김프레임(13)의 외측후크부(134)와 걸림결합되는 걸림돌부(1422)와, 찬넬프레임(142)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숨김프레임(13)의 외측후크부(134)의 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후크저지부 (144)를 포함할 수 있다. 찬넬프레임(142)은 마감판부(141)의 일측단과 마감판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감절곡프레임(143)은 마감판부(141)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된 후 절곡되고, 단부가 찬넬프레임(142)측으로 꺽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nishing frame 14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window frame 10 from the finishing plate part 141 disposed to face the window frame 10 and the closing plate part 141 as shown in FIGS. 4 and 9 . The channel frame 142, the finished bending frame 143 extending and bending from the channel frame 14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hannel frame 142 and engages with the outer hook portion 134 of the hidden frame 13 A hooking protrusion 1422 to be and a hook stopping part 144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frame 142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end of the outer hook part 134 of the hidden frame 13 can be included. have. The channel frame 14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one end of the closing plate 14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The closing bending frame 14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closing plate unit 141 and then be bent, and the end may be bent toward the channel frame 142 .

도 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bar shown in FIGS. 2 and 3 .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은 고정바(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rtain wal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ar 90 .

고정바(90)는 창틀프레임(10)과 숨김프레임(13) 사이에 개재되어 창틀프레임(10)과 숨김프레임(1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구획바(30)가 채우지 못하는 창틀프레임(10)과 숨김프레임(13) 사이 공간에 지지체로서 삽입될 수 있다. 고정바(90)는 또는 구획바(30)가 삽입된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및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바(90)는 나사체결 없이 끼움 결합으로 결합된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및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 간의 결속력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9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개구부를 후술되는 개폐창유닛이 개폐할 때, 개폐창(W2)을 향해 개구된 창틀프레임(10)의 창틀바디부(101)와 숨김프레임(13) 사이를 가리거나 폐쇄한다. 일예로, 고정바(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바디부(101)와 숨김프레임(13) 사이를 차폐하는 가림프레임(91)과, 가림프레임(91)의 내측단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창틀바디부(101)에 밀착되는 제1 밀착프레임(92)과, 가림프레임(91)의 외측단에 구비된 가림절곡프레임(93)과, 가림절곡프레임(93)으로부터 연장되어 숨김프레임(13)의 지지프레임(131)에 밀착되는 제2 밀착프레임(94)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프레임(91)은 후술되는 개폐창유닛의 개폐창프레임(40)에 구비된 마감연결부(4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감연결부(43)로부터 돌출되는 방풍부재(60)가 가림프레임(91)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제2 밀착프레임(94)에는 숨김프레임(13)의 "C" 형 절곡부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돌출되는 고정바지지돌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착프레임(92)에도 창틀프레임(10)의 구획홈부의 입구걸림돌부에 걸림결합될 수 있는 고정바지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bar 90 is interposed between the window frame 10 and the hidden frame 13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window frame 10 and the hidden frame 13, and the partition bar 30 cannot fill the window frame ( 10) and the hidden frame 13 can be inserted as a support in the space between. The fixed bar 90 may support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30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Therefore, the fixing bar 90 can further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coupled by fitting without screwing. . In addition, the fixing bar 90 includes the window frame body portion 101 and the hidden frame 13 of the window frame frame 10 opened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W2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unit to be described later opens and closes at least one sub-opening. ) to cover or close them. As an example, the fixing bar 90 is extended by bending from the inner end of the shielding frame 91 and the shielding frame 91 for shielding between the window frame body part 101 and the hidden frame 13, as shown in FIG. A first close contact frame 9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body 101, a shielding frame 93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shielding frame 91, and a hidden frame extending from the shielding bending frame 93 ( 13)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frame 94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131 . The shielding frame 9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provided in the opening/closing window frame 40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e windbreak member 60 protruding from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may be engaged with the shielding frame 91 . The second close contact frame 94 may include a fixed trouser support protrusion 942 that protrudes to be supported by being caught on the "C"-shaped bent portion of the hidden frame 13 . A fixing bar support protrusion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entrance locking protrusion of the partition groove portion of the window frame 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close contact frame 92 .

제1 밀착프레임(92)의 단부가 구획바(30)가 삽입된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밀착프레임(94)의 단부가 구획바(30)가 삽입된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 간의 끼움 결합의 견고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및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이 변형되어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end of the first close contact frame 92 may support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30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In addition, the end of the second close contact frame 94 can support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30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ccordingly, the rigidity of the fitting between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can be further secured. Also,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are deformed to prevent loosening of the coupling.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은 개폐창유닛과, 고정창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 the curtain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ning/closing window unit and a fixed window unit.

개폐창유닛은 창틀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 중 구획바(30)에 의해 구획된 서브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한다. 개폐창유닛은 개폐프레임(20) 및 개폐창프레임(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window unit opens and closes at least one of the sub-opening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bar 30 among the openings formed by the window frame 10 . The opening/closing window unit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frame 20 and an opening/closing window frame 40 .

개폐프레임(20)은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한 나사 결합으로 창틀프레임(10)의 창틀바디부(101)와 결합되는 중공의 개폐바디부와, 개폐바디부(21)에서 연장되어 개폐창프레임(40)과 중첩되는 개폐연장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바디부에는 보강블럭이 내장되어 개폐바디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바디부와 창틀바디부가 만나는 입구 경계는 실링부(S1)를 통해 밀폐시킬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frame 20 includes a hollow opening/closing body unit coupled to the window frame body unit 101 of the window frame frame 10 by screwing throug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and extending from the opening/closing body unit 21 to open/close the window. 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extension body portion overlapping the frame 40 . The opening/closing body part has a built-in reinforcement block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opening/closing body part. The entrance boundary where the opening/closing body part and the window frame body part meet may be sealed through the sealing part (S1).

개폐창(W2)은 단일의 유리로 이루어진 단일창이거나, 둘 이상의 유리가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층창일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window W2 may be a single window made of a single glass or a multi-layered window in which two or more glasses are stacked apart from each other.

개폐창프레임(40)은 개폐창(W2)의 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중공의 개폐창바디부와, 개폐창(W2)의 측면을 따라 개폐창바디부에서 연장되는 개폐창날개부와, 개폐창(W2)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개폐창날개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마감연결부(43)를 포함한다. 개폐창바디부에는 보강블럭이 내장되어 개폐창바디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window frame 40 includes a hollow opening/closing window body part disposed on the side edge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W2, an opening/closing window wing part extending from the opening/closing window body part along the side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W2, and the opening/closing window It includes a closing connection portion 43 formed by bending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wing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W2). A reinforcing block is built in the opening/closing window body par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body part.

방풍부재(60)는 개폐창유닛이 개구부를 폐쇄할 때, 마감연결부(43)에서 돌출 형성되어 구획바(30) 또는 고정바(90)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The windbreak member 6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when the opening/closing window unit closes the opening so as to be closely supported by the partition bar 30 or the fixing bar 90 .

마감연결부(43)는 개폐창(W2)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이격되고, 개폐창(W2)과 마감연결부(43) 사이에는 오링(O)을 삽입하여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고, 개폐창(W2)과 마감연결부(43)가 만나는 입구 경계는 실링부(S)를 통해 밀폐시킬 수 있다.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is spaced apart adjacent to the edge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W2, and an O-ring (O) is inserted between the opening/closing window W2 and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to maintain the spaced state, and the opening/closing window W2 The inlet boundary where and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meet can be sealed through the sealing part (S).

개폐창유닛은 개폐창프레임(40)의 마감연결부(43)에 결합되어 개폐창(W2)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벤트바(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window unit may further include a vent bar 50 coupled to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frame 40 to close the edge of the opening/closing window W2.

벤트바(50)는 마감연결부(43)에 적층되는 벤트바바디부와, 마감연결부(43)의 단부를 감싸도록 벤트바바디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벤트바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nt bar 50 may include a bent bar body part stacked on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 and a bent bar bending part bent and extended from the bent bar body part so as to surround the end of the closing connection part 43 .

도 11은 고정창유닛의 고정창프레임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examples of the fixed window frame of the fixed window unit.

도 2,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창유닛은 구획바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개구부를 폐쇄한다. 고정창유닛은 서브 개구부에 구비되는 고정창(W1)과, 고정창(W1)의 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창틀프레임(10)에 결합되는 고정창프레임(70)을 포함한다.2, 3 and 11 , the fixed window unit closes at least one sub-opening partitioned by a partition bar. The fixed window unit includes a fixed window (W1) provided in the sub-opening, and a fixed window frame (70) coupled to the window frame (10) in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the fixed window (W1) is wrapped.

고정창(W1)은 단일의 유리로 이루어진 단일창이거나, 둘 이상의 유리가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층창일 수 있다.The fixed window W1 may be a single window made of a single glass, or a multi-layer window in which two or more glasses are stack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고정창프레임(70)은 고정창(W1)의 테두리를 감싸는 고정창지지부(71)와, 고정창지지부(71)에서 돌출 형성되어 창틀프레임(10)의 창틀바디부(101)에 걸림 결합되는 프레임고정앵글(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window frame 7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xed window support 71 and the fixed window support 71 surrounding the rim of the fixed window W1, and is engaged with the window frame body 101 of the window frame 10. It may include a frame fixing angle (72).

고정창지지부(71)는 고정창을 지지하는 하중지탱부(711)와, 하중지탱부(711)에서 구획바(30) 또는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에 지지되도록 돌출되는 하중분산리브(713)를 포함한다.The fixed window support part 71 includes a load support part 711 for supporting the fixed window, and a load distribution rib that protrudes from the load support part 711 to be supported by the partition bar 30 or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 (713).

하중지탱부(711)는 고정창(W1)의 종류에 대응하여 고정창(W1)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중분산리브(712)가 구획바(30)가 삽입된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 내지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간의 끼움 결합의 결속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고,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이 변형되어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load supporting part 711 may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window W1 in response to the type of the fixed window W1. It is possible to press or support the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ccordingly, the binding force of the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is deformed and the coupling is loosened. .

다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고정앵글(72)은 하중지탱부(7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획홈부(102)에 삽입되고, 입구걸림돌부(105)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고정창프레임(70)은 창틀바디부(101)에서 고정창(W1)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창(W1)과 창틀프레임(10) 사이에 탄성을 부여하여 고정창(W1)을 보호할 수 있다.Again,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fixing angle 72 is extended upwardly from the load-bearing portion 711 and inserted into the partition groove portion 102 , and may be engaged with the entrance locking protrusion 105 . The fixed window frame 70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fixed window W1 in the window frame body 101 and provides elasticity between the fixed window W1 and the window frame 10 to protect the fixed window W1. can

고정창(W1)과 고정창지지부(71) 사이에는 고정창(W1)의 하중을 흡수하기 위한 창지지패드(80)가 삽입된다.A window support pad 80 for absorbing the load of the fixed window W1 is inserted between the fixed window W1 and the fixed window support part 71 .

이에 따라, 고정창유닛에서 고정창(W1)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숨김프레임(13)이 이격된 상태로 중첩된다. 그러면, 고정창(W1)과 숨김프레임(13) 사이에는 오링(O)을 삽입하여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고, 고정창(W1)과 숨김프레임(13)이 만나는 입구 경계는 실링부(S)를 통해 밀폐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hidden frame 13 is superimposed on the outer edge of the fixed window (W1) in the fixed window unit in a spaced apart state. Then, an O-ring (O) is inserted between the fixed window (W1) and the hidden frame (13) to maintain a spaced state, and the entrance boundary where the fixed window (W1) and the hidden frame (13) meet is the sealing part (S). can be sealed through

도 12는 고정창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xed window frame.

도 12에 제시된 고정창프레임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분산리브가 하중지탱부(711)의 외측단에 더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하중분산리브(712)가 구획바(30)가 삽입된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2 하중분산리브(713)가 구획바(30)가 삽입된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 간의 끼움 결합의 견고성이 더 확보될 수 있다. 그 결과, 구획바(30)와 제1 구획바지지찬넬(103), 제2 구획바지지찬넬(132) 간의 나사체결이나 체결용 피스를 삽입하는 등의 추가의 부재나 공정없이도 견고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어서, 단열성과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In the fixed window frame shown in FIG. 12 , as shown in FIG. 11 ( b ), a load distribution rib is further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load supporting part 711 . That is, the first load distribution rib 712 supports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30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nd the second load distribution rib 713 is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30 is inserted may be sup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Accordingly, the rigidity of the fitting between the partition bar 30 an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can be further secured. As a result, the partition bar 30,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03,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132 achieve a solid coupling without additional members or processes, such as screwing or inserting a fastening piece. By doing so, the insulation properties and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work are improved.

도 13은 도 1에서 "C-C" 선을 따란 절단한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창틀프레임(10), 구획바(30), 숨김프레임(13) 및 마감프레임(1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C-C” in FIG. 1 . 14 is a view showing the window frame 10, the partition bar 30, the hidden frame 13 and the finishing frame 14 shown in FIG.

전술된 도 2 및 도 3에는 개폐창과 이에 인접한 고정창에 대한 구조가 설명되었다. 한편, 고정창이 서로 이웃할 때, 이들을 고정 및 설치되게 하는 프레임 구조는 도 13 및 도 14에 제시된 프레임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에 제시된 프레임구조가 에서는 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프레임, 개폐창프레임과 이와 관련된 부재들은 적용되지 않는다.2 and 3,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and the fixed window adjacent thereto has been described. Meanwhile, when the fixed window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rame structure shown in FIGS. 13 and 14 may be applied to the frame structure for fixing and installing them. That is, in the frame structure shown in FIGS. 13 and 14 , the opening/closing fra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the opening/closing window frame and related members are not applied.

구획바(30)는 도 3에 제시된 예와 큰 차이가 없으나, 고정바가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숨김프레임(13)도 고정바와의 결합내지 밀착과 무관하므로 짧게 형성되며, 마감프레임(14)에 형성되는 찬넬도 이에 대응하게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artition bar 30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xample shown in FIG. 3 , but the fixing bar is omitted. Therefore, the hidden frame 13 is also formed short because it is not related to coupling or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bar, and the channel formed in the finishing frame 14 is also formed with a small width corresponding to thi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1: 고정창 W2: 개폐창 O: 오링 S: 실링부 C: 쿠션부재 10: 창틀프레임
101: 창틀바디부 102: 구획홈부 103: 제1 구획바지지찬넬
1032: 구획바 스토퍼 105: 입구걸림돌부 11: 수평프레임 12: 수직프레임
13: 숨김프레임 131: 지지프레임 132: 제2 구획바지지찬넬 133: 숨김절곡부
14: 마감프레임 141: 마감판부 142: 찬넬프레임 30: 구획바 31: 상판
32: 하판 33: 지지리브 34: 제1 걸림홈부 36: 제2 걸림홈부
40: 개폐창프레임 50: 벤트바 60: 방풍부재 70: 고정창프레임
71: 고정창지지부 711: 하중지탱부 712, 713: 하중분산리브
72: 프레임고정앵글 80: 창지지패드 90: 고정바 91: 가림프레임
92: 제1 밀착프레임 94: 제2 밀착프레임
W1: Fixed window W2: Opening/closing window O: O-ring S: Sealing part C: Cushioning member 10: Window frame
101: window frame body part 102: compartment groove 103: first compartment pants support channel
1032: partition bar stopper 105: entrance protrusion 11: horizontal frame 12: vertical frame
13: hidden frame 131: support frame 132: second compartment pants support channel 133: hidden bent part
14: finish frame 141: finish plate part 142: channel frame 30: partition bar 31: top plate
32: lower plate 33: support rib 34: first engaging groove 36: second engaging groove
40: opening and closing window frame 50: vent bar 60: windproof member 70: fixed window frame
71: fixed window support 711: load support 712, 713: load distribution rib
72: frame fixing angle 80: window support pad 90: fixing bar 91: shielding frame
92: first contact frame 94: second contact frame

Claims (10)

커튼월에 있어서,
건물의 외측에서 상기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외측에서 건물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분되며, 창틀바디부와, 상기 창틀바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구획바지지찬넬을 포함하는 창틀프레임;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에 끼움결합되는 내측단에 걸림결합을 위한 제1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외측단에 제2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틀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서브 개구부들로 구획하는 구획바;
상기 구획바의 외측단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2 걸림홈부와 걸림결합되는 제2 구획바지지찬넬이 형성된 숨김프레임; 및
상기 숨김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서브 개구부들에 설치되는 유리창들의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창틀프레임은 상기 창틀바디부에서 외측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이 돌출되는 구획홈부와, 상기 구획홈부의 입구에서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을 향해 돌출되는 입구걸림돌부와,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바의 상기 제1 걸림홈부와 후크결합되는 제1 걸림후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숨김프레임은 상기 구획바의 외측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이 돌출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의 내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획바의 상기 제2 걸림홈부와 후크결합되는 제2 걸림후크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감프레임에 삽입되며 상기 마감프레임에 걸림결합되는 외측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바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각각,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단에 형성된 제1 걸림홈부와, 수평부의 외측단에 형성된 제2 걸림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수평부와 상기 하판의 수평부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각 상기 제1 걸림홈부가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의 상기 제1 걸림후크부와 후크결합되며,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각 상기 제2 걸림홈부가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의 상기 제2 걸림후크부와 후크결합되며,
상기 구획바의 옆에서 상기 창틀프레임과 상기 숨김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창틀프레임과 숨김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는,
상기 창틀바디부와 상기 숨김프레임 사이를 차폐하는 가림프레임;
상기 가림프레임의 내측단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창틀바디부에 밀착되는 제1 밀착프레임;
상기 가림프레임의 외측단에 구비된 절곡프레임; 및
상기 절곡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숨김프레임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밀착되는 제2 밀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튼월은 상기 서브 개부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개폐창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창유닛은,
상기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개폐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개구부에 구비되는 개폐창; 및
적어도 상기 고정바와 마주하는 상기 개폐창의 테두리를 감싸 지지한 상태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상기 개폐프레임과 결합되는 개폐창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바를 기준으로 상기 개폐창유닛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고정창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창유닛은,
상기 서브 개구부들 중 다른 적어도 하나의 서브 개구부에 구비되는 고정창; 및
상기 고정창의 테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창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창프레임은, 상기 고정창의 테두리를 감싸는 고정창지지부와, 상기 고정창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의 창틀바디부에 걸림 결합되는 프레임고정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창지지부는 하중지탱부와, 상기 하중지탱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하중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커튼월.
In the curtain wall,
It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fram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a vertical fram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the window frame body part and the window frame body part to the outside Window frame frame including a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formed to protrude;
A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for locking coupling is formed at an inner end fitted to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end, and the opening formed by the window frame is divided into sub-openings. a partition bar for partitioning;
a hidden frame to which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bar is fitted and formed with a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that is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and
A closing frame to which the hidden frame is coupled, and closing between the glass windows installed in the sub-openings; includes,
The window frame frame is recessed on the outside from the window frame body part, and a partition groove from which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protrudes, and an entrance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trance of the partition groove part toward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engaging hook portion formed on the out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nd hook-coupl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portion of the partition bar,
The hidden frame supports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bar and the support frame from which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protrudes,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portion of the partition bar;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engaging hook part hook-coupled, and an outer hook part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to be inserted into the finishing frame and hooked to the finishing frame,
The partition bar includes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each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a first engag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groove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are mutually exclusive. plac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hook-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hook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Each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hook-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hook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 fixing bar interposed between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hidden frame next to the partition bar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window frame frame and the hidden frame; further comprising,
The fixed bar is
a shielding frame for shielding between the window frame body part and the hidden frame;
a first close contact frame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inner end of the shielding fram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frame body;
a bending frame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shielding frame; and
A second contact frame extending from the bending fram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of the hidden frame; includes,
The curtain wall further includes an opening/closing window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one of the sub-openings,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unit,
an opening and closing frame coupled to the window frame;
an opening/closing window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sub-openings; and
Including; and an opening and closing window frame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in an opening and closing manner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the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facing the fixing bar is wrapped and supported,
Further comprising a fixed window uni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unit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bar,
The fixed window unit,
a fixed window provided in at least one other sub-opening of the sub-openings; and
and a fixed window frame coupled to the window frame frame in a state surrounding the rim of the fixed window,
The fixed window frame includes a fixed window support part surrounding the edge of the fixed window, and a frame fixing angle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xed window support part and is engaged with the window frame body part of the window frame frame,
The fixed window support portion is a load-bearing portion and a curtain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load-distributing portion that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load-bearing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프레임은,
상기 창틀프레임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마감판부;
상기 마감판부에서 상기 창틀프레임을 향해 돌출된 찬넬프레임; 및 찬넬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숨김프레임의 외측후크부와 걸림결합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찬넬프레임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숨김프레임의 외측후크부의 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후크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nishing frame is
a finishing plate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window frame;
a channel frame protruding from the closing plate portion toward the window frame;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channel frame and engaged with the outer hook part of the hidden frame; and
Curtain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stopper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frame, respectivel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end of the outer hook portion of the hidden fram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밀착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구획바가 삽입된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을 내외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2 밀착프레임의 단부는 상기 구획바가 삽입된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을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of the first close contact frame supports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into which the partition bar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The end of the second close contac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in which the partition bar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urtain w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지지부는, 상기 하중지탱부의 외측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하중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window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end of the load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oad distribution portion supported by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the curtain wall.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바지지찬넬, 상기 구획바, 상기 제2 구획바지지찬넬은 별도의 나사결합 없이 상기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을 하는, 커튼월.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the partition bar, and the second partition bar support channel ar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y the fitting without a separate screw coupling, curtain wall.
KR1020220061312A 2022-05-19 2022-05-19 Curtain wall KR1024658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12A KR102465809B1 (en) 2022-05-19 2022-05-19 Curtain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12A KR102465809B1 (en) 2022-05-19 2022-05-19 Curtain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809B1 true KR102465809B1 (en) 2022-11-09

Family

ID=8404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12A KR102465809B1 (en) 2022-05-19 2022-05-19 Curtain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80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95B1 (en) * 2018-12-28 2019-10-10 주식회사 경일알미늄 Curtain wall
KR102157069B1 (en) * 2019-09-17 2020-09-17 (주)에이.티.아이 Composite curtain wall system
KR102344083B1 (en) * 2021-02-10 2021-12-28 허정범 Curtain wall having multiple insula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95B1 (en) * 2018-12-28 2019-10-10 주식회사 경일알미늄 Curtain wall
KR102157069B1 (en) * 2019-09-17 2020-09-17 (주)에이.티.아이 Composite curtain wall system
KR102344083B1 (en) * 2021-02-10 2021-12-28 허정범 Curtain wall having multiple insula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898B1 (en) curtain wall
KR101848850B1 (en) window system having sound proof and insulation structure
KR101862134B1 (en) Curtain wall having improved insulation and airtight
KR102030795B1 (en) Curtain wall
KR101892667B1 (en) window system having insulation structure
KR102123690B1 (en) Bracket for windows and doors
KR101036303B1 (en) Curtain wall
KR102345489B1 (en) Insulation curtain wall
KR101848856B1 (en) window system having sealing tight and insulation structure
KR101172391B1 (en) Eco-Friendly Insulation Curtain Wall
CN109403818B (en) Internal flat-open or external flat-open fireproof safety window device
KR101230032B1 (en) Curtain wall type window
KR101121149B1 (en) Combination structure for steel curtain wall
KR20210081503A (en) Multi-type curtain wall
KR102465809B1 (en) Curtain wall
KR101750695B1 (en) Curtain wall assembly
KR102394343B1 (en) Adiabatic Curtain Wall System Having Fitting Structure with Enhanced Stability
KR101750692B1 (en) Curtain wall assembly
KR102266276B1 (en) Insulation Curtain-Wall System
KR102240604B1 (en) Bonding System For Curtain-Wall Frame and Method Thereof
KR20100114353A (en) Width frame structure of a window
KR20190103685A (en) Expandable split doorframe
KR102622191B1 (en) Curtain wall system With SideGasket
EP3748116B1 (en) Window or door
KR20130003855U (en) System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