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343B1 - 휴대용 발전키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발전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343B1
KR102465343B1 KR1020210192674A KR20210192674A KR102465343B1 KR 102465343 B1 KR102465343 B1 KR 102465343B1 KR 1020210192674 A KR1020210192674 A KR 1020210192674A KR 20210192674 A KR20210192674 A KR 20210192674A KR 102465343 B1 KR102465343 B1 KR 10246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fluid
portable power
coupled
generation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102021019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2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6Rotors for essentially axial flow, e.g. for propell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발전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는 내부 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유로에 수용되어 유체 흐름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회전축이 관통 결합되는 발전수단과,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에 결합되는 결속부가 형성된 한 쌍의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에 호스가 연결되어 낙차를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효율의 발전이 가능하며,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휴대용 발전키트{ Portable power generation kit}
본 발명은 휴대용 발전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등의 유체의 흐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휴대용 발전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발전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1940호(2021.06.28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의 휴대용 발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력 발전 장치(1)를 사용 시 회전 스크류(40)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발전 효율을 높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 스크류(40)의 길이를 줄여 소수력 발전 장치(1)의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성을 개선하고 있으나, 회전 스크류(4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다방향의 유속에 노출됨에 따라, 전력의 생산 효율이 낮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휴대용 발전장치는 전체적으로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됨에 따라 발전장치의 부식속도가 가속화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서는 바닥면에 고정을 위한 토목 공사가 수반되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3290호(2015.12.23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는 댐에서 송수관을 통해 하류로 흘려보내는 물을 이용하여 수력발전을 수행하는 소수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61)과, 상기 도관(61)의 유입구(61a) 또는 유출구(61b)에 설치된 수문(67)과, 상기 도관(61)을 통한 유체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62) 및 스크류(62)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G)를 구비하여 댐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발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2의 수력 발전장치는 댐이나 강의 보에서 발생하는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함에 따라 규모가 크고, 댐이나 보와 같은 토목 구조물과 일체화되도록 설치되어 설치 및 철거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수력 발전장치는 보관 및 휴대에 대한 고려가 결여된 기술로서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설치가 쉽고, 인공적으로 낙차를 형성하여 발전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휴대용 발전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271940호 (2021년 06월28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43290호 (2015년 12월23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계곡, 하천, 관개수 등 물이 흐르는 곳에서 야외 활동(일예로 갬핑 또는 레저활동 등)시 전기를 요구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전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휴대용 발전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낙차를 이용해 유속을 가속시켜 전력의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휴대용 발전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종래의 수력 발전 장치에 비해 소형화되여 휴대성이 우수한 발전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 키트는, 제1몸체부(110)에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120)에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는 결합되어 유입구(111) 및 배출구(121)와 연통되는 내부 유로(S)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 또는 제2몸체부(120)의 일측에 회전축(210)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130)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100); 상기 유로(S)에 수용되어 유체 흐름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220)에 회전축(210)이 관통 결합되는 발전수단(200); 상기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에 각각 결합되는 결속부(301)가 마련된 한 쌍의 호스(300);를 포함하여 한 쌍의 호스(300)를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연장시킴으로써 유효낙차를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흐름에 의한 양압과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흐름에 의한 음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호스(300)는 결속부(301)의 타측에 직경이 확관되는 형상의 유체 유도부재(4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 유도부재(400)의 단부에는 플랜지부(4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유도부재부(400)를 토사면에 고정하여 유체 유도부재(400)의 위치와 각도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5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플랜지부(410)가 지지되는 헤드링(510)의 하부에 토사면에 고정되는 고정핀(520)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30)에는 베어링(133)을 중심으로 외륜부(131)와 내륜부(132)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륜부(132)에는 회전축(210)이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공(13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발전수단과 호스가 각각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휴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에 호스가 연결되어 낙차를 형성하면서도 하우징은 수면 밖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일방향 흐름을 유도하여 높은 효율의 발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유체 유도부재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플랜지부 또는 고정부재를 바탕으로 호스의 유입구가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인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발전함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도 특히, 엔진을 이용한 발전 방법에 비해 열과 소음,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별도의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수력 발전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수력 발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하우징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하우징과 발전수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커버부재와 회전축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커버부재와 회전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A-A'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발전수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호스에 연결된 유체 유도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고정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호스의 결속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전키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발전키트는 강이나 하천, 계곡, 농수로, 개천 및 해변 등 에서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11)와 배출시키는 배출구(121)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11) 및 배출구(121)와 연통되는 내부 유로(S)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내부 유로(S)에 수용되어 유체 흐름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220)에 회전축(210)이 관통 결합되는 발전수단(200)과, 상기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에 결합되는 결속부(301)가 형성된 한 쌍의 호스(3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전력공급이 어려운 곳이나 전력 생산이 제한적인 지역에서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본 발명의 발전키트를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일 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1)가 구비된 제1몸체부(110)와, 상기 배출구(121)가 구비되며 제1몸체부(110)와 결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2몸체부(120) 및 상기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20) 길이방향 일단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210)이 관통되는 한 쌍의 커버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130)는 제1몸체부(110)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재(130a)와, 상기 제2 몸체부(120)에 결합되는 제2커버부재(130b)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발전키트는 하우징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세척이나 건조와 같은 유지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미 사용시 내부에 잔류하는 유체로 인한 장치의 부식을 방지하고,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111)에는 그물망 구조의 여과망(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여과망을 통해 이물질을 걸러내 내부 유로(S)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발전수단(200)의 오작동 및 발전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130)에는 회전축(210)과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부재(130)에는 베어링(133)을 중심으로 외륜부(131)와 내륜부(132)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륜부(132)에는 회전축(210)이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공(13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면과 내륜부(132)의 결합공(132a)에는 상대 회전이 제한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어링(133)은 볼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륜부(131)에는 제1,2몸체부(110)(120)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체결 슬리브(131a)(131b)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 억지 끼움방식 등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립수단(110a)(120a)이 형성되어 상호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상기 조립수단(110a)(120a)은 나사홈과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거나, 또는 억지 끼움결합되도록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식 맞물림 구조로 결속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는 나사결합시 유입구(111)와 배출구(121)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로, 설치 환경에 따라 유입구(111)와 배출구(121)의 방향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는 한 쌍의 조립수단(110a)(120a)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에 차폐부재(EB)가 더 구비되어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가 완전결속되지 않더라도 내부 유로(S)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20)는 스크류 형상의 날개부(221)가 실린더형 체결바디(222)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블레이드의 체결바디(222)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수단(200)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0)과 블레이드(220)가 상대 회전이 제한되는 슬라이드 끼움 결합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홈인 제1체결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220)의 체결바디(222) 내주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212)에 대응되는 돌기 형상의 제2체결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전수단(200)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0)와 블레이드(220)가 암수 나사 결합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면에는 암 나사 형상의 제1체결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220)의 체결바디(222) 내주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212)에 대응되는 수나사 형상의 제2체결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전수단(200)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20)에 이물질이 걸릴 경우 하우징(100)을 분리하고 상기 블레이드와 회전축을 분리시켜 간편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보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호스(300)는 결속부(301)의 타측에 직경이 확관되는 형상의 유체 유도부재(40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유도부재(400)는 도 10의 (a)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되어 호스(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유도부재(40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호스(300)와 결합될 수 있으나, 체결수단(302)을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상호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체 유도부재(400)는 도 10의 (b)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00)에 일체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유도부재(400)의 단부에는 플랜지부(410)가 돌출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부(410)는 수중의 바닥에서 호스(300)가 일정 높이(h1) 이격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유로(S)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플랜지부(410)의 단부는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유입구(111)에 연결된 호스(300)의 엉킴을 방지하고,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300)가 부유하지 않도록 상기 유체 유도부재(400) 또는 호스(300)에는 수중 무게추(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호스가 수중에 가라앉도록 할 수 있으며, 호스(300)가 유속에 의해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게추는 호스 단부의 둘레부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전 키트는 유체 유도부재(400)를 토사면에 고정하여 유체 유도부재(400)의 위치와 각도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5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a)와 (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플랜지부(410)가 지지되는 헤드링(510)의 하부에 토사면에 고정되는 고정핀(52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링(510)은 유체 유도부재(400)를 에워싸도록 구비된 상태로 플랜지부(41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한 유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도부재(400)가 호스(300)와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플랜지부(410)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2와 13을 참조하면, 상기 호스(300)의 결속부(3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유입구(111) 또는 배출구(121)와 강제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으로 나사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300)의 내경은, 3mm 내지 10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호스의 내경이 5mm일때 낙차에 따른 유량은 아래의 표1에 도시된 바와같이 낙차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유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높이 (m) 1.157 L를 채우는데
걸린 시간 (s)
유량 (L/s)
0.811 176.68 0.006549
1.342 110.21 0.010498
1.873 83.1 0.013923
2.404 73.3 0.015784
2.935 65.22 0.01774
3.466 61.26 0.018887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발전 키트는 유입구(111)와 연결된 호스(300) 단부와 배출구(121)와 연결된 호스(300)의 단부 사이의 높이(H)는 8M 내지 12M 가량 (바람직하게는 10M)의 유효낙차를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강의 상류에 유입구(111)와 연결된 호스(300)를 구비시키고, 강의 하류에 배출구(121)와 연결된 호스(300)를 구비시킴으로써 하천이나 강의 경사를 이용하여 낙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와 연결된 호스(300)를 강의 상류를 향해 연장함으로써 유효낙차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속이 가속되어 인가된 양압을 이용해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1)와 연결된 호스(300)를 강의 하류를 향해 연장함으로써 유효낙차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100) 내부에서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되는 유속이 가속되어 인가된 음압을 이용해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1)와 연결된 호스(300) 및 배출구(121)와 연결된 호스(300) 모두 강의 상류와 하류를 향해 각각 연장시킴으로써 유효낙차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속이 가속되어 인가된 양압뿐만 아니라, 하우징(100) 내부에서 배출되는 유속이 가속되어 인가된 음압을 이용해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유속뿐만 아니라, 낙차에 의한 물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유속에 의해 발전하는 기존의 휴대용 수력발전장치에 비해 고용량의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전력 생산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하천이나 강의 지형 특성이 경사가 완만하거나, 수자원이 풍부하지 않아도 호스를 이용해 임의적인 낙차를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유량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안정된 발전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호스(300)가 수중에 설치되고 하우징이 수면위(일 예로 지상)에 위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발전 키트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제1몸체부
111 : 유입구 120 : 제2몸체부
121 : 배출구 130 : 커버부재
200 : 발전수단 210 : 회전축
220 : 블레이드 300 : 호스
301 : 결속부 400 : 유체유도부재
500 : 고정부재

Claims (7)

  1. 제1몸체부(110)에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와 결합되는 제2몸체부(120)에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는 결합되어 유입구(111) 및 배출구(121)와 연통되는 내부 유로(S)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 또는 제2몸체부(120)의 일측에 회전축(210)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부재(130)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100);
    상기 유로(S)에 수용되어 유체 흐름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220)에 회전축(210)이 관통 결합되는 발전수단(200);
    상기 유입구(111) 및 배출구(120)에 각각 결합되는 결속부(301)가 마련된 한 쌍의 호스(300);를 포함하여 한 쌍의 호스(300)를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연장시킴으로써 유효낙차를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흐름에 의한 양압과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흐름에 의한 음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전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300)는 결속부(301)의 타측에 직경이 확관되는 형상의 유체 유도부재(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전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도부재(400)의 단부에는 플랜지부(4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전키트.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도부재부(400)를 토사면에 고정하여 유체 유도부재(400)의 위치와 각도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5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전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플랜지부(410)가 지지되는 헤드링(510)의 하부에 토사면에 고정되는 고정핀(5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전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30)에는 베어링(133)을 중심으로 외륜부(131)와 내륜부(132)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륜부(132)에는 회전축(210)이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공(13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전키트.
KR1020210192674A 2021-12-30 2021-12-30 휴대용 발전키트 KR10246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74A KR102465343B1 (ko) 2021-12-30 2021-12-30 휴대용 발전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74A KR102465343B1 (ko) 2021-12-30 2021-12-30 휴대용 발전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343B1 true KR102465343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674A KR102465343B1 (ko) 2021-12-30 2021-12-30 휴대용 발전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3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290A (ko) 2015-04-10 2015-12-23 정민시 송수관 스크류 발전 장치
US20160169028A1 (en) * 2014-12-11 2016-06-16 Makis A. Havadijias Low flow power generation
JP2018100609A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Wge 流体機械、発電装置及び増圧装置
KR102271940B1 (ko) 2020-07-27 2021-07-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회전 스크류를 갖는 초소수력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69028A1 (en) * 2014-12-11 2016-06-16 Makis A. Havadijias Low flow power generation
KR20150143290A (ko) 2015-04-10 2015-12-23 정민시 송수관 스크류 발전 장치
JP2018100609A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Wge 流体機械、発電装置及び増圧装置
KR102271940B1 (ko) 2020-07-27 2021-07-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회전 스크류를 갖는 초소수력 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0643C (en) Flow enhancement for underwater turbine generator
US9512815B2 (en) Multipurpose rotary device and generating system including same
US102029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electric systems
US6206630B1 (en) High torque impulse turbine
JP5084890B2 (ja) 流速流量調節型超低落差水車の構造
KR101258892B1 (ko) 복수의 터빈과 유로를 이용한 수력 발전 장치
US11952976B2 (en) Hydraulic turbine
EP2378113A2 (en) Tidal current power generator having an impeller-type rotating blade
KR102465343B1 (ko) 휴대용 발전키트
KR101597538B1 (ko) 발전기용 터빈 장치
JP5696296B1 (ja) 中空羽根車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電装置
KR101256823B1 (ko) 소수력 발전장치
KR101042650B1 (ko) 유수에 설치되는 소수력 발전기
US11434866B2 (en) Water current catcher system for hydroelectricity generation
KR102117583B1 (ko) 자석을 이용한 베인이 구비된 소수력 발전용 수차
KR101320636B1 (ko) 유수관용 수력발전장치
JP3174549U (ja) 水車装置
KR101657105B1 (ko) 육상 양어장의 배출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2164029B1 (ko) 무한궤도형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수력 발전 장치
TWI468586B (zh) 水力發電裝置
CN220395884U (zh) 灌区量测水发电装置
KR200455277Y1 (ko) 수관용 발전기
JP2021085338A (ja) 円環型ケーシングを用いた3射式ターゴ水車
JP2004360536A (ja) 水力発電装置
KR20160123267A (ko) 날개와 원통이 일체화된 발전 터빈 및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