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768B1 -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768B1
KR102464768B1 KR1020200165833A KR20200165833A KR102464768B1 KR 102464768 B1 KR102464768 B1 KR 102464768B1 KR 1020200165833 A KR1020200165833 A KR 1020200165833A KR 20200165833 A KR20200165833 A KR 20200165833A KR 102464768 B1 KR102464768 B1 KR 102464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ants
state
control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6891A (en
Inventor
유보나
김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링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링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링비트
Priority to KR102020016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768B1/en
Publication of KR2022007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감지 그룹과, 상기 감지 그룹 내 복수의 기기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어용 기기로 구성된 제어 그룹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한 상황 또는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 그룹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용 기기를 동작하는 중앙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한 정보를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인자와 정보별 예측 판단용 기준값을 포함하는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정보와 상기 예측용 판단용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ection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around products for infants or infants to detect information that can predict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data collection for collecting information sensed by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detection group Device,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product for infants or toddlers and operated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wire or wirelessly, and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a central control processor that predicts the state or situation of the infant, and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predicted situation or state to operate at least one control device in a control group, wherein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includes a preset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over time, data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a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for each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ion group is received in real time Accordingly, there is provided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predicts the state of the infant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data for prediction.

Description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본 발명은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영아 및 유아를 키우는 보호자들은 항상 영유아를 주위에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인지 능력 및 표현 능력이 부족한 무방비 상태의 영유아에게 갑작스런 위급 상황이 발생할 때 즉각적인 도움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In general, caregivers rais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need to always monitor the infants and toddlers around them. This is because defenseless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o lack cognitive and expressive abilities need immediate help and support when a sudden emergency occurs.

최근 들어, 영유아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CCTV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Recently, there are cases in which CCTV cameras are installed for monitor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그러나, CCTV 만으로는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사각지대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영유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are blind spots that cannot be monitored with CCTV alon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tinuous monitor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difficult due to this.

최근 들어, IT 기술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영유아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영유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점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data analysis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ollect various types of data that can recognize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echnology for identifying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s being gradually developed.

또한,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맞춰서 영유아의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영유아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research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to accurately monitor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o provide various care service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대한등록특허 제10-1806835호(2017.12.04.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6835 (Registered on Dec. 4, 2017)

본 발명은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에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한 후 예측한 상태를 기반으로 영유아가 존재하는 영역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ata to detect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predicts the state of infants by applying an analysis model to the collected data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re services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영유아의 상태 감지 및 예측을 통해 기기를 제어한 후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태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이후 기기 제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evice through detection and prediction of the statu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n measures the status chang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o detect the status of infants and toddlers, thereby providing an intelligent infant care that can suggest a direction for controlling the device afterwards. A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며,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데이터를 토대로 영유아가 존재하는 영역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ata for predi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ransmits it to the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redict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capable of controlling devices in an area where infants and young children exist based on control data are provided.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감지 그룹과, 상기 감지 그룹 내 복수의 기기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어용 기기로 구성된 제어 그룹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한 상황 또는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 그룹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용 기기를 동작하는 중앙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한 정보를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인자와 정보별 예측 판단용 기준값을 포함하는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정보와 상기 예측용 판단용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be solved,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product for infants or infant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s that detect information that can predict the stat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configured detection group, a data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information detected by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detection group, and a control signal installed around the product for infants or infants and operated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wire or wirelessly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predicting the state or situation of the infant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predicted situation or condition within the control group A central control processor for operating at least one or more control devices, wherein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determines at least one or mo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or a preset time and a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judgment for each information data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is generated, and as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ion group is received in real time, the state of the infant may be predicted by compa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with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집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인자와 정보별 예측 판단용 기준값을 포함하는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실시간으로 상기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정보와 상기 예측용 판단용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영유아용 제품에 설치 또는 상기 영유아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제어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product for infants or infants and a plurality of detecting information that can predict the state or situ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t least one or mo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the steps of stor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group consisting of devices in a database and the collecting for a preset time period; Generating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including a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for each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with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as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ion group is received in real time, Predicting the state,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product for infants o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infant based on the predicted state of the infant or toddler.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에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한 후 예측한 상태를 기반으로 영유아가 존재하는 영역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양질의 영유아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is collected to detect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state of infants is predicted by applying an analysis model to the collected data. By providing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devices,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devic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thereby providing high quality infant care services.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유아의 상태 감지 및 예측을 통해 기기를 제어한 후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태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이후 기기 제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영유아의 예측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state chang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o detect the state of the infant after controlling the device through the detection and prediction of the state of the infant, the direction for the subsequent device control By presenting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모니터링을 통한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여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monitoring of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infant care ser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e service by predicting the state of an infa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영유아의 모니터링을 통한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through monitor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모니터링을 통한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through monitoring of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모니터링을 통한 지능옇 영유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크게 감지 그룹(100), 데이터 수집부(120), 중앙 제어 프로세서(140) 및 제어 그룹(1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through infant monit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detection group 100 , a data collection unit 120 , a central control processor 140 and control It may be composed of groups 16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각 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group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devices.

먼저, 감지 그룹(100)은 영유아의 상태를 감지하고, 영유아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01) 및 영유아의 촬영을 통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02)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detection group 100 detects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101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nd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102 capable of generating an image through photograph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can be configure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그룹(100)은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용 제품의 주변에 설치되어 영유아와 관련된 상태, 환경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nsing grou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round an infant product or a product for infants and toddlers to sense a state related to an infant or an environmental state.

이때, 영유아용 제품은 영유아가 착용하고 있는 의류 형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감지 그룹(100)의 각 센서(101)는 웨어러블 형태의 영유아용 의류에 장착(또는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duct for infants and toddlers may be in the form of clothing worn by infants and toddlers. In this case, each sensor 101 of the sensing group 100 is mounted (or installed) on a wearable type of clothing for infants and toddlers. information can be sensed,

또한, 영유아용 제품은 영유아가 안착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로서, 그 예로서 유모차, 하이체어(식탁의자), 보행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그룹(100)의 각 센서(101)는 영유아용 제품에 소정 부분, 예컨대 안착부 등에 장착(또는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In addition, products for infants and toddlers are various devices on which infants and toddlers can si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stroller, a high chair (table chair), and a walker. In this case, each sensor 101 of the sensing group 100 may be mounted (or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art, for example, a seating part, etc. in a product for infants and toddlers to sens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101)를 통해 센싱되는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의 예로는 영유아의 움직임, 체온, 울음 소리 등을 센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infant sensed through the sensor 101, the movement of the infant, the body temperature, the crying sound, etc. may be sensed.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그룹(100) 내 각 센서(101)는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주변 환경 정보는 주변 온도, 습도, 공기질 정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Additionally, each sensor 101 in the sensing grou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He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quality information.

한편, 감지 그룹(100)의 카메라(102)는 영유아용 제품의 소정 부분에 장착되어 영유아의 신체 특정 부분, 예컨대 얼굴 부분, 바디 부분 등을 촬영하여 영유아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102 of the detection group 100 is mounted on a predetermined part of the product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can det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infant by photographing a specific part of the infant's body, for example, a face part, a body part,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 그룹(100) 내 각 기기에 해당되는 센서(101) 및 카메라(102)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됨)를 구비하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감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101 and the camera 102 corresponding to each device in the detection group 100 have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not shown), and broadcas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can be cas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외선, 블루투스, 블루투스 Le(Low energ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frared, Bluetooth, Bluetooth Le (Low energy),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TVWS(Television White Space) 대역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TVWS 채널을 통해 데이터 수집부(120)와 연결되어 감지한 정보를 데이터 수집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in a TVWS (Television White Space) band, and is connected to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through a TVWS channel to collec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 ) can be sent to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센서(101)는 영유아의 체온, 체중 및 모션에 대한 상기 영유아의 신체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영유아용 기기의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IoT 기반의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수집부(120)는 복수의 감지 그룹(1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영유아의 신체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ensor 101 measures the infant's body state information about the infant's body temperature, weight, and motion, measu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nfant device, and then broadcasts the IoT It may be a device based In this case,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may receive and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physical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roadcast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groups 100 .

데이터 수집부(120)는 감지 그룹(1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감지 그룹(100)로부터 영유아의 영상, 신체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detection group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collect images of infants and toddlers, body stat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group 100 , and store the collected images in the database 122 .

한편,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제어 그룹(140)의 제어를 통해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는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제어 그룹(140) 내 기기의 제어를 수행한 후 데이터 수집부(12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base 122 may stor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group 140 . Here,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may b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fter controlling the devices in the control group 140 according to the predicted state of the infants.

이에 따라,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에는 제어된 기기에 대한 정보가 맵핑될 수 있다.Accordingly, information on the controlled device may be mapped to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는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may be generated by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

제어 그룹(140)은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에 따라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기기로서, 진동자(142), 음향 송출기(144) 및 영유아가 거주하는 홈 내 각종 전자기기(1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group 140 is a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an external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r situation of the infant, and includes a vibrator 142, a sound transmitter 144,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146 in the home where infants and toddlers reside. may include

홈 내 각종 전자기기(146)의 예로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기기로서, 그 예로서 공기 청정기, 가습기, 자동 제어형 커튼, 에어컨, 음향 기기, 텔레비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Examples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146 in the home are various devices connected through a home network,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 automatically controlled curtain, an air conditioner, a sound device, a television, and the like.

한편, 진동자(142) 또는 음향 송출기(144)의 경우 영유아용 제품인 유모차, 하이체어, 보행기, 바운서, 유아용 침대, 요람 등에 설치되어 소정의 진동,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ibrator 142 or the sound transmitter 144, it is installed in a baby stroller, a high chair, a walker, a bouncer, a baby bed, a cradle, etc., which are products for infants, and can transmit a predetermined vibration and sound.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수집된 정보, 즉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인자를 추출하며, 추출한 주요 인자에 대한 변화를 토대로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The infant status prediction unit 150 extracts major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status of infants and toddlers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a preset time, that i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22, and changes in the extracted major factors Based on this,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can be predicted.

여기에서, 주요 인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된 정보의 변화량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 분산 분석, 주성분 분석 등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요 인자는 수집된 정보 중 통계학적으로 기 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변화된 정보에 의해 추출되거나 수집한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정보에 의해 추출되거나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정의된 수학적 관계식을 기반으로 예측하는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Here, the main factors may be extrac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varia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tc. on the amount of change of information collected for a preset time. Specifically, the main factor is defined based on information extracted or collected by information that is statistically increased or decreas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lected information or that is statistically changed within a preset critical range among the collected information. It can be extracted by a predicting method based on a mathematical relational expression.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주요 인자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주요 인자를 이용하여 주요 인자의 변화를 기반으로 영유아가 현재 상태 및 상황이 어떤지를 예측할 수 있다.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may predict the state of the infant based on the main factors extract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infant status prediction unit 150 may predict the current state and situation of the infant based on the change of the main factor using the main facto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영유아와 관련되어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 및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수집된 데이터에서 영유아의 상태와 관련된 인자, 예컨대 울음소리, 얼굴 이미지, 행동 패턴 등의 인자들을 입력층으로 하고, 최종 영유아의 상태 데이터, 예컨대 보호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층으로 하여 각 인자들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은닉층을 구성하며, 입력층 및 은닉층을 기반으로 영유아 상태 예측을 위한 예측 모델을 영유아의 개인 정보, 예컨대 나이, 성별, 거주지역 등별로 생성하며, 생성한 예측 모델의 입력층에 감지된 데이터의 적용을 통해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dict the state and situation of the infant based on data collected in relation to the infant. Specifically,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uses factors related to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in the collected data, for example, factors such as cry sounds, face images, and behavioral patterns, as an input layer, and final state data of infants and toddlers, for example, by a guardian. Using the input data as the output layer, the weight of each factor is calculated to form the hidden layer, and based on the input layer and the hidden layer, a predictive model for predi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is created by personal information of infants, such as age, gender, residential area, etc. In addition, the state or situ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can be predicted by applying the sensed data to the input layer of the generated prediction model.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에 의거하여 제어 그룹(160) 내 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영유아용 제품에 설치된 기기(진동자, 음향 송출기 등)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may control each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60 based on the predicted state or situation of the infant or toddler. Specifically,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may operate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a device (vibrator, sound transmitter, etc.) installed in a product for infants or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n infan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제어 그룹(160) 내 각 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연결 인터페이스(162)를 구비하여 연결 인터페이스(162)를 통해 연결된 각 기기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각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by being connected to each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60 by wire or wireless. Specifically,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may include a connection interface 162 to apply a control signal to each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162 to operate each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162)는 USB 포트, 시리얼 포트 등과 같은 유선, 블루투스, 블루투스 Le, 적외선 등의 무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interface 162 may include a wired connection such as a USB port and a serial port, and a wireless type such as Bluetooth, Bluetooth Le, and infrared ray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에서 예측한 영유아의 상황 또는 상태에 의거하여 제어 신호의 발생을 통해 제어 그룹(140) 내 각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 후 데이터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변화 검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provides control for each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40 through generation of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tuation or state of the infant predicted by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ate change detection unit 180 that detects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fter performing the control.

이 경우,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상태 변화 검출부(180)로부터 상태 변화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이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에 의거하여 주요 인자 변화에 따른 기기 제어 정책을 결정하며, 결정한 기기 제어 정책에 의거하여 제어 그룹(140) 내 각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tate change detection unit 180 ,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stores it in the database 122 , and changes major factors based on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stored in the database 122 . A device control polic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 and control of each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4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ed device control polic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정책은 음향 송출 부분에서 음향 세기 제어, 음향 온/오프 제어, 음향 종류 제어, 진동 온/오프 제어, 진동 세기 제어,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olicy may include sound intensity control, sound on/off control, sound type control, vibration on/off control, vibration intensity control,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etc. in the sound transmission part, It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부(120)는 감지 그룹(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영유아의 개인 식별 정보 및 수집 시간 정보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may match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group 100 with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llection time inform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and store them in the database 122 .

여기에서, 영유아의 개인 식별 정보는 영유아의 나이, 성별, 병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집 시간 정보는 수집된 시점의 시간 데이터일 수 있다.Here, the infant'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infant's age, gender, medical history, and the like, and the collection time information may be time data at the time of colle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유아 상태 예 측부(150)는 주변 환경 정보, 영유아의 병력, 수집된 상태와 관련된 정보 등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상황을 판단하여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일 인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may predict the state or situation of an infant using various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infant status prediction unit 150 may determine the overall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infant's medical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llected state, and the like, and recognize the infant's state or situation.

이를 위하여,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데이터 수집부(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행동, 감정, 감성 등의 상태를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영유아의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멀티모달 데이터를 HCC(Human-Centered Computing) 기반의 학습을 통해 영유아의 의도를 예측하고, 예측한 의도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는 울음 등의 통증에 대한 진단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영유아가 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may determine the infant's behavior, emotion, emotion, etc.,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 and then predict the infant's intention based thereon. Specifically,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may predict the infant's intention through HCC (Human-Centered Computing) based learning of multi-modal data, and predict the infant's state or situation based on the predicted intention. For example,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may diagnose pain, such as crying, and determine the infant's intention in various environments.

한편,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에서 예측한 영유아의 상황 또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측 단말기(50)에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is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r state of the infant predicted by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to the guardian terminal 50 by using the preset guardian information. can provide

또한,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예측한 영유아의 상황 또는 상태에 따라 뇌 신호기반 교감 서비스 및 언어, 기억, 수리력, 논리력, 창의력을 반영하는 뇌 신호 인지 능력 향상 효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예측한 영유아의 상황 또는 상태에 따라 제어 그룹(140)의 진동자(142), 음향 송출기(144) 및 전자기기(14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를 통해 뇌 신호기반의 교감 서비스 및 뇌 신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적절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recommends appropriate content by analyzing the brain signal-based sympathetic service and the brain signal recognition ability improvement effect that reflects language, memory, numeracy, logic,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predicted situation or condition of infants A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Specifically,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vibrator 142, the sound transmitter 144, and the electronic device 146 of the control group 140 according to the predicted situation or condition of the infant or toddler through control of the brain sig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ppropriate contents for improving brain signal recognition ability based on sympathetic service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부(120),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 및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 중 적어도 둘 이상은 하나의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 and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are in the form of a single chip can be implemented a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모니터링을 통한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구성 요소에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through infant monito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in the components of FIG. 1 . .

이때, 데이터 수집부(120)는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 가능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nnectable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데이터 수집부(120)와의 연동을 통해 감지 그룹(10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상황 또는 상태를 예측한 후 이를 기반으로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에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receives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ion group 100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data collection unit 12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122,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fter predicting the situation or state of the infant,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based on the prediction.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122)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122 interworking with the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infant condition prediction unit 150 . have.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 그룹(140) 내 각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 프로세서(160)는 홈 내에 설치된 인공 지능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일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may control each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40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60 may be a device that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 service installed in a home.

즉, 인공 지능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는 다양한 홈 내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홈 내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전자기기(146)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유아용 제품에 설치된 기기, 예컨대 진동자(142), 음향 송출기(144)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provid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 service is connected to various in-home networks and can control various electronic devices 146 connected to the in-home network, as well as devices installed in products for infants, such as vibrator 142, sou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144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도 1의 영유아 상태 예측부(150) 및 상태 변화 검출부(180)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the infant state prediction unit 150 and the state change detection unit 180 of FIG. 1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유아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process in which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edicts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provides necessary services to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여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e service by predicting the state of an infa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 케어 서비스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 각 구성간의 연동을 통해 수집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in the infant care service process, the collection step S300 may be performed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components in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집 단계(S300)는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감지 그룹(100)에서 감지된 정보 및 제어 그룹(140)의 제어 이후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on step (S300) is to collect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may include collect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group 100 and information on the status change of infants and toddlers after control of the control group 140. .

또한, 수집 단계(S300)는 기 설정된 기간, 예컨대 주단위, 월단위로 수집하는 것과 현재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step ( S300 ) may include collecting in a preset period, for example, weekly or monthly, and collecting sensed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current state in real time.

수집 단계(S300)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on step S300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122 .

그런 다음,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 각 구성을 통해 예측 판단용 데이터 생성 단계(S310)를 수행할 수 있다.Then, in the infant care service provision process, the data generation step S310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each configuration in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측 판단용 데이터 생성 단계(S31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정보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용 데이터 생성 단계(S31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각 정보에 대한 변화량 및 제어 그룹(140) 내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 후 영유아의 상태 변화 등을 기초하여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data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 S310 ) may be performed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a preset period. Specifically, the prediction data generation step (S310) is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for each information during the preset period and the state change of infants and toddlers after controlling the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40. Data for prediction judgment is generated. can create

다시말해서, 예측 판단용 데이터 생성 단계(S31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된 정보에서 영유아의 상태에 미치는 주요 인자를 추출하며, 영유아의 수집된 정보별 측정 값을 토대로 상태 예측 판단 기준값(예컨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감지된 정보별 평균값)을 계산하여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dictive determination data generation step (S310) extracts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from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information collected of infants and toddlers, a state prediction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eg, a preset Data for prediction judgment may be generated by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for each sensed information over time).

이후,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을 통해 기기 제어 정책 수립 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infant care service provision process, the device control policy establishment step S320 may be performed through each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기기 제어 정책 수립 단계(S32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수집한 각 정보에 대한 변화량, 변화량에 따른 제어 그룹(140) 내 기기의 제어 정보 및 제어 그룹(140) 내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 후 영유아의 상태 변화 등을 기초하여 기기 제어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In the device control policy establishment step (S320), after performing control of the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40 and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40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and the amount of change for each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preset period A device control policy can be established based on changes in the stat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구체적으로, 기기 제어 정책 수립 단계(S320)는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에 의거하여 주요 인자의 변화량에 따른 기기 제어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control policy establishment step ( S320 ) may establish a device control polic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ain factor based on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stored in the database 122 .

그런 다음, 유아의 상태 예측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를 예측하는 영유아 상태 예측 단계(S330)를 수행할 수 있다.Then, in the infant status prediction process, the infant status prediction step (S330) of predicting the infant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through each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can

영유아 상태 예측 단계(S330)는 예측 판단용 데이터 내 주요 인자와 상태 예측 판단용 기준값과 실시간으로 감지 그룹(100)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In the infant state prediction step S330, the state of the infant may be predicted by comparing the main factors in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the reference value for the state prediction determination, and the information sensed in real time by the sensing group 100 in real time.

즉, 영유아 상태 예측 단계(S300)는 감지 그룹(100)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 정보 중 주요 인자에 해당되는 정보의 변화량을 체크하여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실시간으로 감지된 정보와 예측 판단용 기준값간의 비교를 통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That is, the infant status prediction step (S300) checks the amount of change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major factor among the information sensed in real time by the detection group 100 to determine whether it is out of a threshold range, and predicts the information and predictions sensed in real time.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can be predict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reference values for judgment.

이후,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을 통해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에 따른 제어 그룹(140) 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계(S340)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process is a control step (S340) for controlling devices in the control group 140 according to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predicted through each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340) can be performed.

제어 단계(S340)는 주요 인자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요 인자에 매칭된 제어 그룹(140) 내 기기 제어 정책에 따라 제어 그룹(140)의 각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the control step S340 , when the change amount of the main factor is out of a preset threshold range, each device in the control group 14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device control policy in the control group 140 matched to the main factor.

그리고 나서,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을 통해 제어 그룹(140) 내 기기에 대한 제어 이후 영유아의 상태 변화를 체크하여 데이터베이스(122)를 업데이트시키는 업데이트 단계(S345)를 수행할 수 있다.Then, in the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process, the state change of infants and toddlers is checked after controlling the devices in the control group 140 through each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date step ( S345 ) of updating may be performed.

이후,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을 통해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를 외부로 알리는 알림 단계(S350)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infant care service provision process may perform a notification step S350 of notify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predicted through each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utside.

알림 단계(S350)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정보와 예측 판단용 기준값간의 비교를 통해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가 위급 상황이거나 외부의 케어가 필요한 상황인 경우 동작하는 것으로서,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 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측 단말기(50)에 전송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step (S350) operates when the condition of the infant predict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information sensed in real time and the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judgment is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external care is required, and the predicted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infant is previously register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s terminal 50 using the acquired information.

또한, 알림 단계(S350)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정보와 예측 판단용 기준값간의 비교를 통해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가 위급 상황이거나 외부의 케어가 필요한 상황일 경우 기 등록된 응급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119, 병원 등에 영유아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step (S350) provides a pre-registered emergency care service when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predict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real-time sensed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judgment is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external care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to hospitals and the lik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50 : 보호자측 단말기
100 : 감지 그룹
101 : 센서
102 : 카메라
103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120 : 데이터 수집부
122 : 데이터베이스
160 : 중앙 제어 프로세서
162 : 연결 인터페이스
180 : 상태 변화 검출부
200 : 원격 모니터링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50: guardian side terminal
100: detection group
101: sensor
102: camera
103: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120: data collection unit
122: database
160: central control processor
162: connection interface
180: state change detection unit
200: remote monitoring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Claims (8)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감지 그룹과,
상기 감지 그룹 내 복수의 기기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어용 기기로 구성된 제어 그룹과,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한 상황 또는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 그룹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용 기기를 동작하는 중앙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한 정보를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인자와 정보별 예측 판단용 기준값을 포함하는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정보와 상기 예측 판단용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며, 상기 예측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그룹 내 복수의 제어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를 통해 뇌 신호 기반의 교감 서비스 및 뇌 신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며, 상기 영유아의 상태 예측을 통해 제어 그룹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용 기기를 제어한 후 상기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에 영향을 주는 제어 그룹 내 제어용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와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에 영향을 주는 제어 그룹 내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와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정보 변화별 기기 제어 정책을 생성하며, 상기 영유아의 상태 예측에 이용되는 상기 예측 판단용 데이터 내 주요 인자 또는 정보에 해당되는 기기 제어 정책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제어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detection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around products for infants or young children to detect information that can predict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a data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information sensed by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detection group;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product for infants or infants and operated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wire or wirelessly;
A central control that predicts the state or situation of the infant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device, and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predicted situation or state to operate at least one control device in the control group including a processor;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or a preset time, data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nd a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for each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group in real time As it is received, the state of the infant is predict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data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and a community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edicted state to the guardian's terminal using the preset guardian'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dicted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through control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in the control group, a brain signal-based sympathetic service and a content for improving brain signal recognition ability are provided, and the infant's state is predicted After controlling at least one control device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infant are match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in the control group that affects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infant stored in the database for a preset time and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infant Generates a device control policy for each information change based on, and select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based on a device control policy corresponding to a main factor or information in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used for predicting the state of the infant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that contr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한 정보별 변화량 및 상기 정보별 변화량에 기초하여 정보간의 상호 연관 관계도에 의거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인자를 추출하고, 상기 정보별 변화량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여 정보별 예측 판단용 기준값을 생성하여 상기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by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preset time and the amount of change by information, at least one or mo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extracted based on the correlation diagram between inform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amount of change for each information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generating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by calculating a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for each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영유아용 제품 또는 영유아의 주변에 설치되어 영유아의 상태 또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된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집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인자와 정보별 예측 판단용 기준값을 포함하는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실시간으로 상기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정보와 상기 예측 판단용 데이터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영유아의 상태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영유아용 제품에 설치 또는 상기 영유아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제어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한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보호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측 단말기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한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제어 그룹 내 복수의 제어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를 통해 뇌 신호 기반의 교감 서비스 및 뇌 신호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단계와,
상기 영유아의 상태 예측을 통해 제어 그룹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용 기기를 제어한 후 상기 감지 그룹에서 감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에 영향을 주는 제어 그룹 내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와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에 영향을 주는 제어 그룹 내 제어용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와 상기 영유아의 상태 변화 정보를 기반으로 각 정보 변화별 기기 제어 정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영유아의 상태 예측에 이용되는 상기 예측 판단용 데이터 내 주요 인자 또는 정보에 해당되는 기기 제어 정책을 토대로 상기 복수의 제어용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Stor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detected by a detection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around products for infants or infants and detecting information that can predict the state or situ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in a database;
Generating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the collecting for a preset time and a reference value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for each information;
Predicting the state of the infant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data for prediction determination as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ion group is received in real time;
Controlling at leas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product for infants or arranged around the infants based on the predicted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providing a community ser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edicted state to a guardian's terminal using preset guardian's information;
Providing a brain signal-based sympathetic service and content for improving brain signal recognition ability through control of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in a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redicted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A control group that controls at least one control device in a control group through predi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toddlers, generates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ion group, and affects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Matching the control information for my device with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infant and toddler and storing it in a database;
Creating a device control policy for each information change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on a control device in a control group that affects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infants and toddlers stored in the database for a preset time and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infants and
The controlling step is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based on a device control policy corresponding to a main factor or information in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data used for predicting the state of the infa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별 변화량 및 상기 정보별 변화량에 기초하여 정보간의 상호 연관 관계도에 의거하여 영유아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인자를 추출하고, 상기 정보별 변화량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여 정보별 예측 판단용 기준값을 생성하여 상기 예측 판단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능형 영유아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generating the data for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comprises: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for each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amount of change for each information, at least one major factor affecting the stat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extracted based on the correlation diagram between information, and the average value for the amount of change for each information is calculated. An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generating the data for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by generating a reference value for the prediction determination for each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65833A 2020-12-01 2020-12-01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KR102464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33A KR102464768B1 (en) 2020-12-01 2020-12-01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33A KR102464768B1 (en) 2020-12-01 2020-12-01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91A KR20220076891A (en) 2022-06-08
KR102464768B1 true KR102464768B1 (en) 2022-11-09

Family

ID=8198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33A KR102464768B1 (en) 2020-12-01 2020-12-01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76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82B1 (en) * 2016-08-25 2018-08-24 정창용 Smart mobil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835B1 (en) 2015-08-17 2017-12-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nitoring service for kids
KR20170022819A (en)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82B1 (en) * 2016-08-25 2018-08-24 정창용 Smart mobil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91A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9328B2 (en) Sensing peripheral heuristic evidence, reinforcement, and engagement system
US10682097B2 (en) People monitoring and personal assistance system, in particular for elderly and people with special and cognitive needs
KR100838099B1 (en)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independent person requiring occasional assistance
CN111886633B (en) Infant monitoring with intelligent audio cues based on analyzed video streams
CN110197732B (en)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equipment based on multiple sensors
KR102212200B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lighting device based on IoT
EP3807890B1 (en) Monitoring a subject
KR20170085732A (en) Emotion Interactive Typed Smart Cradle System and its method of providing
CN112235740A (en) Individual work and res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haudhary et al. A multi-protocol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smart gateway
KR10246476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an intelligent care of infant
de Morais et al. A" smart bedroom" as an active database system
Boumpa et al. Home supporting smart systems for elderly people
EP40126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infant care service
KR20120051122A (en) Providing system of sleeping environment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0993494B1 (en) Smart sensor system for activity awareness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US20190362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emotely located individuals
KR102645192B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bedsor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70188939A1 (en) Sleep monitoring system
US20200380842A1 (en) Dependent monitoring and caregiving system
Drăgulinescu et al. SmartGreeting: A new smart home system which enables context-aware services
EP3711657A1 (en) Walking aid recommendations
WO2020075674A1 (en) Care system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De Groot et al. Multimodal sensing system to enhance the safety of infants in the home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