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244B1 -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44B1
KR102464244B1 KR1020180086385A KR20180086385A KR102464244B1 KR 102464244 B1 KR102464244 B1 KR 102464244B1 KR 1020180086385 A KR1020180086385 A KR 1020180086385A KR 20180086385 A KR20180086385 A KR 20180086385A KR 102464244 B1 KR102464244 B1 KR 10246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cold air
opening
closing memb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663A (ko
Inventor
임억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8008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2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저장실의 냉기유로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 탈취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개폐부재; 및 상기 탈취제 안착부에 안착되는 탈취제;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상기 탈취제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조에 따르면,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탈취제 안착부 내의 탈취제를 분리하거나, 탈취제를 탈취제 안착부 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탈취제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고, 고내의 탈취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개폐부재가 닫힘 상태에서 냉기유출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냉기유로를 통한 냉기를 전면 상부에서 하부로 토출하여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Attaching structure of deodorant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탈취제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므로 탈취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유출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하여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면 도어 개폐식 스탠드형 김치냉장고의 저장실의 상부에는 탑트레이가 마련된다.
종래 '냉장고용 트레이'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907호(2013. 4. 3)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른 냉장고용 트레이는, 탑 트레이와, 탑 트레이에 장착되는 램프커버와, 램프커버가 탑 트레이의 상면에 결합 되고, 램프커버에 탄성후크 및 수평돌기를 구비하여 탑 트레이와 결합한 냉장고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탑 트레이 내에는 저장고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냉기유로의 냉기가 탑 트레이의 전방으로만 토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고내 냉기순환 효과가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내의 탈취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탈취제를 냉기유로 내에 부착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탈취제의 탈부탁이 매우 용이함으로써, 고내의 탈취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개폐부재가 닫힘 상태에서 냉기유출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냉기유로를 통한 냉기를 전면 상부에서 하부로 토출하여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실의 냉기유로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 탈취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개폐부재; 및 상기 탈취제 안착부에 안착되는 탈취제;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상기 탈취제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때 자력에 의해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때 하방으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에는 냉기유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냉기유로의 전방 전면에 배치 가능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기유로의 전방 하면에 배치 가능한 하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탈취제 안착부는 상기 하면부의 상면에 상기 탈취제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의 내면에는, 상기 탈취제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취제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 안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힌지 연결을 위한 힌지축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탈취제 안착부 내측으로 냉기유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때 상기 냉기유출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탈취제 안착부 내의 탈취제를 분리하거나, 탈취제를 탈취제 안착부 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탈취제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고, 고내의 탈취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가 닫힘 상태에서, 냉기유출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냉기유로를 통한 냉기를 전면 상부에서 하부로 토출하여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개폐부재의 전면부가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였을 때 동일한 각도로 개방하더라도 경사지게 배치된 전면부에 의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보다 더 큰 면적으로 개방될 수 있어, 탈취제의 탈부착이 더욱 용이하다.
한편, 지지리브는 냉기유출홀 내에 배치되되, 냉기유출홀의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어, 지지리브는 탈취제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냉기유로 내의 냉기를 냉기유출홀 측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가 적용된 탑 트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가 적용된 탑 트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과 같이 개폐부재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의 개폐부재 및 탈취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는 김치냉장고, 일반냉장고 등의 고내에 마련되는 도 1과 같은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에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냉기유로가 형성된 부품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전방에, 트레이 커버(200)의 상단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내부에는 트레이 커버(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110)이 도 3과 같이 냉기유로(1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어, 필요시 트레이 커버(200)의 하단을 손으로 잡고 위쪽으로 들어올려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에 형성된 공간(110) 내에 트레이 커버(200)를 집어 넣을 수 있다.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냉기유로(1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기유로(120)는, 후방 하부에서 냉기가 유입되어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전방 상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냉기유로(120)가 형성된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와 탈취제(600)를 포함한다.
개폐부재(500)는 저장실의 냉기유로(120)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내부에 탈취제 안착부(54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재(50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개폐부재(5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510)와 하면부(5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부(510)는 냉기유로(120)의 전방 전면에 배치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전방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부(510)는, 도 3과 같이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은 상태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부(530)는, 도 4와 같이 전면부(5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냉기유로(120)의 전방 하면에 배치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하면부(530)는, 도 3과 같이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전방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전면부(510)와 하면부(530)에 의해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면은 완전히 덮일 수 있다. 따라서, 전면부(510)와 하면부(530)는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면을 전부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면부(53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제(600)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탈취제 안착부(54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탈취제 안착부(540)는 탈취제(600)가 직육면체로 형성됨에 따라, 직육면체 형상의 외곽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고, 탈취제(600)가 두 개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두 개의 탈취제 안착부(540)가 하면부(530) 상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탈취제 안착부(540)는 제1지지부(541)와, 제2지지부(542)와, 제3지지부(5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3지지부(541, 542, 543)는 하면부(530)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기립되어 있다. 제1지지부(541)는 전면부(510)와 간격을 두고 전면부(5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탈취제(60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2지지부(542)는 제1지지부(541)의 양측 중 바깥쪽으로 배치된 일측과 전면부(510)를 잇도록 마련되어, 탈취제(6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3지지부(543)는 제1지지부(541)의 양측 중 안쪽으로 배치된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마련되어, 탈취제(600)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3지지부(543)와 전면부(510)는 이격되어 있으며, 제3지지부(543)와 전면부(510) 사이에 형성된 공간(543a)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면, 제1,2,3지지부(541, 542, 54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탈취제(600)를 분리하기 용이하다.
탈취제 안착부(540)의 양측에는 개폐부재(500)의 힌지 연결을 위한 힌지축(55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제2지지부(542)에 힌지축(550)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이 힌지축(550)이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전방측에 장착됨으로써, 개폐부재(5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재(500)의 하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가 폐쇄될 때 하방으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냉기유출홀(56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면부(530)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제 안착부(540)의 내측으로 냉기유출홀(56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두 개로 마련된 탈취제 안착부(540)의 내측에 각각 냉기유출홀(56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탈취제 안착부(540) 내측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냉기유출홀(560)이 형성되어 있다. 냉기유출홀(560)의 개수 및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부(510)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됨에 따라, 탈취제 안착부(540)에 안착되는 탈취제(600)의 전면은 전면부(510)와 맞닿지 않고, 탈취제(600) 전면과 전면부(510)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전면부(510)의 내면에는 탈취제 안착부(540)에 안착되는 탈취제(6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57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리브(5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제(600)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2/3지점까지만 지지하고, 이 2/3지점과 전면부(510)의 상단을 잇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지지리브(570)가 탈치제(600) 전면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지지하지 않고, 탈취제(600)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2/3지점까지만 지지함으로써, 개폐부재(500)를 전방으로 개방하였을때 탈취제(600)는 하방으로 더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리브(570)는 냉기유출홀(560) 내에 배치되되, 냉기유출홀(560)의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리브(570)는 탈취제(6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냉기유로(120) 내의 냉기를 냉기유출홀(560) 측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부재(500)는 개폐부재(500)가 폐쇄될 때 자력에 의해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개폐부재(500)에는 자석에 붙는 재질이 마련될 수 있고,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전방에는 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재(500)의 전면부(510) 내에 도 4와 같이 자석에 붙는 철판(580)과 같은 재질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전방에는 도 2와 같이 개방된 전면의 상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30)가 마련되어 있고, 돌출부(130) 내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돌출부(130)는 두 개의 탈취제 안착부(5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탈취제(600)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어, 개폐부재(500)가 폐쇄될 때 전면부(510) 내에 마련된 철판(580)이 돌출부(130) 내에 마련된 자석에 붙음으로써, 개폐부재(50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탈취제(600)는 탈취제 안착부(540)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탈취제(600)는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고, 두 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탈취제 안착부(540)에 안착된다.
이렇게 탈취제 안착부(540)에 안착되는 탈취제(6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취제(600)의 하면이 하면부(530)의 상면과 맞닿고, 탈취제(600)의 전면은 지지리브(570)에 의해 지지되며, 탈취제(600)의 양측면과 후면은 제1,2,3지지부(541, 542, 543)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장고 고내 탈취제(600) 부착 구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페부재는 탑 트레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면은 완전히 덮은 상태이다. 이렇게 개폐부재(500)가 폐쇄될 때, 도 3과 같이 냉기유출홀(560)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냉기유로(120)를 통한 냉기를 전면 상부에서 하부로 토출하여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탈취제(600)의 교환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탈취제 안착부(540) 내의 탈취제(600)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탈취제(600)를 탈취제 안착부(540) 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탈취제(600)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의 냉장고 고내 탈취제(600) 부착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개폐부재(500)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탈취제 안착부(540) 내의 탈취제(600)를 분리하거나, 탈취제(600)를 탈취제 안착부(540) 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탈취제(600)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고, 고내의 탈취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500)가 닫힘 상태에서, 냉기유출홀(560)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를 토출함으로써, 냉기유로(120)를 통한 냉기를 전면 상부에서 하부로 토출하여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개폐부재(500)의 전면부(510)가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개폐부재(500)를 전방으로 개방하였을 때 동일한 각도로 개방하더라도 경사지게 배치된 전면부(510)에 의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보다 더 큰 면적으로 개방될 수 있어, 탈취제(600)의 탈부착이 더욱 용이하다.
한편, 지지리브(570)는 냉기유출홀(560) 내에 배치되되, 냉기유출홀(560)의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어, 지지리브(570)는 탈취제(600)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냉기유로(120) 내의 냉기를 냉기유출홀(560) 측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탑 트레이 어셈블리 120 : 냉기유로
500 : 개폐부재 510 : 전면부
530 : 하면부 540 : 탈취제 안착부
541 : 제1지지부 542 : 제2지지부
543 : 제3지지부 550 : 힌지축
560 : 냉기유출홀 570 : 지지리브
600 : 탈취제

Claims (7)

  1. 저장실의 냉기유로 전방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냉기유로의 전방 전면에 배치 가능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기유로의 전방 하면에 배치 가능한 하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면부의 상면에 탈취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탈취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개폐부재; 및
    상기 탈취제 안착부에 안착되는 탈취제;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전방으로 개방하여 상기 탈취제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때 자력에 의해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때 하방으로 냉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에는 냉기유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의 내면에는,
    상기 탈취제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탈취제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제 안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힌지 연결을 위한 힌지축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에는,
    상기 탈취제 안착부 내측으로 냉기유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때 상기 냉기유출홀을 통하여 하방으로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KR1020180086385A 2018-07-25 2018-07-25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KR102464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385A KR102464244B1 (ko) 2018-07-25 2018-07-25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385A KR102464244B1 (ko) 2018-07-25 2018-07-25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63A KR20200011663A (ko) 2020-02-04
KR102464244B1 true KR102464244B1 (ko) 2022-11-09

Family

ID=6957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385A KR102464244B1 (ko) 2018-07-25 2018-07-25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2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114A (ja) * 2003-05-19 2004-12-02 Seiwa Kogyo Kk 生鮮物等の収納庫
KR100768167B1 (ko) 2006-08-24 2007-10-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탈취제실 개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441B2 (ja) * 1993-07-20 2000-03-21 富士電機株式会社 冷凍機内蔵型ショーケースのフィルタ取付け構造
KR19990021531U (ko) * 1997-11-29 1999-06-25 전주범 냉장고의 탈취장치
KR19990027053U (ko) * 1997-12-22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용 탈취장치
KR20050021076A (ko) * 2003-08-26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탈취장치
KR20060078453A (ko) * 2004-12-31 2006-07-0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제습구조
KR20140124659A (ko) * 2013-04-17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 장치를 갖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114A (ja) * 2003-05-19 2004-12-02 Seiwa Kogyo Kk 生鮮物等の収納庫
KR100768167B1 (ko) 2006-08-24 2007-10-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탈취제실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63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4476B2 (en) Refrigerator
CN105371560A (zh) 冰箱
KR200493967Y1 (ko) 방향제 케이스
KR20090027111A (ko) 서랍식 냉장고
US11168936B2 (en)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JP6411417B2 (ja) 発酵食品保管容器
KR102464244B1 (ko) 냉장고 고내 탈취제 부착 구조
RU2007125466A (ru) Узел канала дверцы холодильника
USD514138S1 (en) Air circulation vent cover
KR102436195B1 (ko) 전기 가열 조리기
KR101177992B1 (ko) 냉장고용 덕트
KR101177985B1 (ko) 냉장고용 덕트 구조
CN218910891U (zh) 衣物护理设备的箱体组件和具有其的衣物护理设备
KR20200011664A (ko) 냉장고의 탈취제 부착 구조
KR101177991B1 (ko) 냉장고의 탑 트레이
KR100541726B1 (ko) 김치냉장고
KR101180627B1 (ko) 스탠드형 냉장고의 상부 저장실 구조
KR102001451B1 (ko) 힌지커버구조
KR101177984B1 (ko) 냉장고용 덕트 구조
JPS6370067A (ja) 冷蔵庫
JP5760187B2 (ja) 脱臭装置
KR101224656B1 (ko) 냉장고의 공기순환덕트
KR200165380Y1 (ko) 냉장고
JPS5922415Y2 (ja) 組込式コンロ
CN111377149A (zh) 一种多功能鞋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