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305B1 -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305B1
KR102463305B1 KR1020220117922A KR20220117922A KR102463305B1 KR 102463305 B1 KR102463305 B1 KR 102463305B1 KR 1020220117922 A KR1020220117922 A KR 1020220117922A KR 20220117922 A KR20220117922 A KR 20220117922A KR 102463305 B1 KR102463305 B1 KR 10246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user
playback
tim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1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3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3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Abstrac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 first mobile device to play video content for viewing during cooking or dishwashing time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initia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transmitting, by the first mobile device, a play request for first image content being played back to a second mobile devic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receiving play information about first image content from a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play request; receiving the first video content from a content server based on play information and playing the received first video content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related to a first stop point;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video content is being played to a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first video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receiving, from a second mobile device, a playback stop request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lated to playback stop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video content based on a request for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topping point to the second mobile device.

Description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내 시청을 위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모바일 장치{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A method and a mobile device to play video content for viewing during cooking or washing-up time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에 소화면에서 감상하던 영상 컨텐츠를 대화면으로 원활하게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producing video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moothly reproducing video content enjoyed on a small screen during cooking time or washing dishes on a large screen.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으로 하루에 꽤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도중 스마트폰으로 영상 컨텐츠를 감상하려는 경우, 소화면으로 감상해야 함으로 인하여 영상 시청에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Cooking time or washing dishes can take quite a few hours a day. When a user wants to enjoy video content with a smart phone during cooking time or washing dish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uncomfortable to view video due to having to watch it on a small screen.

등록특허공보 제10-2180587호(2020.11.1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80587 (2020.11.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조리를 하거나 설거지를 할 때 스마트폰과 같은 소화면의 모바일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던 영상 컨텐츠를 대화면의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에 원활하게(seamlessly) 재생하는 방법 및 모바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image content displayed on a small-screen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hen a user cooks or washes dishes on the screen of a large-screen mobil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eamlessly playing and a mobile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모바일 장치가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내 시청을 위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이 결정되면, 제 2 모바일 장치에 재생되는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관한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수신 및 상기 수신한 제 1 영상 컨텐츠를 제 1 중지 시점과 관련된 특정 시점부터 재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가 재생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중지하고,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producing video content for viewing by a first mobile device during cooking time or washing dishes. The metho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initia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transmitting a playback request for the first video content to be played on the second mobile devic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receiving playback information on the first video content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playback request; receiving the first video content from a content server based on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and playing the received first video content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related to a first stopping point;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image content is being reproduced to the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garding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image content based on the request for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top tim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상기 재생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1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prod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address of the first video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first stop time.

상기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제 2 중지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stopping time may include an address of the first image content and information indicating a second stopping time of the first image content.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input regarding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mobile device may be obtained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the message.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설거지 개시 정보, 온도/습도 센서 정보,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근접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의 근접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may include cook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from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on a wrist or the receiving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dishes; and whether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based on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or the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formation,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상기 온도/습도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온도/습도 센서를 기반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와 연결된 온도/습도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formation may be acquired based on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or may be acquired from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device.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garding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may includ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when detec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displaying a message on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and receiving a playback stop request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message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상기 제 1 중지 시점이 Tp이고, 상기 제 1 중지 시점과 관련된 특정 시점이 Ts이고, 상기 제 1 중지 시점의 재생 속도를 S_Tp이고, 상기 특정 시점의 재생속도를 S_Ts이고, 재생 시점을 Tx(Ts보다 크거나 같고, Tp보다 작거나 같음)이면, 상기 재생 시점 Tx에서 재생 속도 S_Tx는 수학식:

Figure 112022098203842-pat00001
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opping time is Tp, the specific time related to the first stopping time is Ts, the playback speed of the first stopping time is S_Tp, the playback speed of the specific time is S_Ts, and the playback time is Tx(Ts) greater than or equal to and less than or equal to Tp), the playback speed S_Tx at the playback time Tx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2098203842-pat0000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를 하거나 설거지를 할 때 스마트폰과 같은 소화면의 모바일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던 영상 컨텐츠를 대화면의 모바일 장치의 스크린에 원활하게(seamlessly) 재생하여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cooks or washes dishes, image content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of a small screen such as a smartphone is smoothly played on the screen of a mobile device of a larg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Video content can be viewed more efficiently.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mobile device, a server, and a neighboring mobile devic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ublish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a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 1은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 간의 통신 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1 show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mobile device, a server, and a neighboring mobile device.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장치"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 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mobile device" refers to a smartphone, a cell phone, a smart TV, a smart watch, an electronic wrist watch, a set-top box, a tablet PC,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 notebook computer, a desktop, and an e-book terminal. ,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MP3 player, wearable device, air conditioner, microwave oven, audio, DVD player, etc. can be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과 통신하는 서버(server)의 일종으로서, 외부 장치들 또는 외부 서버들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erver” is a kind of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external devices or external servers through a network, and may refer to a server for operating external devices or external servers. In one example, the server may be implemented using a web server program that is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on general server hardware.

일 예시에서, 서버는,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동안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및/또는 영상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video content and/or information about a mobile application that provides video content during cooking time or washing dishes.

본 명세서에서 "주변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의 주변 장치를 나타낸다. 일 예시에서, 상기 주변 모바일 장치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전자 손목 시계,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 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peripheral mobile device” refers to an external peripheral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device. In one example, the peripheral mobile device is a smartphone, a mobile phone, a smart TV, a smart watch, an electronic wrist watch, a set-top box, a tablet PC,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 laptop computer, a desktop , e-book reader,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MP3 player, wearable device, air conditioner, microwave oven, audio, DVD player, etc. It can be implemented in devices.

일 예시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태블릿이고, 상기 주변 모바일 장치는 전자 손목 시계 및 스마트폰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obile device may be a tablet, and the peripheral mobile device may be an electronic wrist watch and a smartphone.

제 1 주변 모바일 장치(예. 전자 손목 시계)를 손목에 착용한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면 상기 제 1 주변 모바일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제 1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한 것을 기반으로, 제 2 주변 모바일 장치(예. 스마트폰)에서 시청되는 영상 컨텐츠를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동안 재생할 수 있다.When a user wearing a first peripheral mobile device (eg, an electronic wrist watch) on his or her wrist starts cooking or washing dishes, the first peripheral mobile device receives cooking start information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or the washing-up start information from the first neighboring mobile device, displays the video content viewed on the second neighboring mobile device (eg, a smart phone) during the cooking time or the washing-up time. can play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LTE (Long Term Evolution) 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RAT, WiFi 등에 기반한 통신망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obile device, a server, and a peripheral mobile devic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Long Term Evolution (LTE) Radio Access Technology (RAT), New Radio (NR) RAT, WiFi, or the like.

일 예시에서,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상호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gNB 및/또는 eNB)과 UU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또는 상기 UU 통신을 수행하 기 위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시스템에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요구될 수 있다.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심볼 간 간 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및 반송파 간 간섭(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D2D 통신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는 동기 신 호(synchronization signal)를 사용할 수 있고,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사용할 수 있다.In one example, a mobile device, a server, and a peripheral mobile device may perform mutua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and may perform UU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eg, gNB and/or eNB). .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frequency division multiples access (FDMA) system for performing the D2D communication or the UU communication, accurate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may be required. If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is not accurate, system performance may be degraded due to Inter Symbol Interference (ISI) and Inter Carrier Interference (ICI). In D2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for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a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used in a physical layer, and a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may be used in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D2D 통신 과정에서,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 되거나, 또는 GNSS에 직접적으로 동기화된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밖의) 단말을 통해 비간접적으로 GNSS에 동기화 될 수 있다. GNSS가 동기화 소스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 상 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 및 상기 장치는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및 (미리) 설정된 DFN(Direct Frame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DFN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계산할 수 있다. In the D2D communication process, mobile devices, servers, and surrounding mobile devices are either directly synchronized to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or indirectly GNSS through terminals (in or out of network coverage) synchronized directly to GNSS. can be synchronized to When GNSS is set as the synchronization source, the server, the at least one external server, and the device calculate a DFN and a subframe number using 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 and a (pre)set Direct Frame Number (DFN) offset. can

또는,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되거나, 기지국에 시간/주파수 동기화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eNB 또는 gN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기 지국이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에 직접 동기화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동기화 정보를 인접한 다른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타이밍이 동기화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동기화 및 하향링크 측정을 위해 해당 주파수에 연관된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 프라이머리 셀 또는 서빙 셀(상기 주파수에서 셀 커버리지 바깥에 있는 경우)을 따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s may be directly synchronized with the base station or may be synchronized with other terminals synchronized with the base station in time/frequency.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be an eNB or a gNB. For example, when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peripheral mobile device are within network coverage,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peripheral mobile device may receive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and directly synchronize to the base station. Then,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 may provide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other adjacent terminals. When the base station timing is set as the synchronization reference,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 perform synchronization and downlink measurements on a cell (if within cell coverage at the frequency), a primary cell, or a serving cell (the frequency). out of cell coverage) can be followed.

기지국(예를 들어, 서빙 셀)은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 대한 동기화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만 약,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가 상기 D2D 또는 SL 통신에 사용되는 반송파에서 어떤 셀도 검출하지 못했고, 서빙 셀로부터 동기화 설정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기화 설정을 따를 수 있다. A base station (eg, a serving cell) may provide synchronization settings for a carrier used for D2D or SL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s may follow the synchronization setting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f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peripheral mobile device do not detect any cell in the carrier wave used for the D2D or SL communication and do not receive a synchronization setting from the serving cell,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peripheral mobile device You can follow the set sync settings.

또는, 모바일 장치, 서버 및 주변 모바일 장치는 기지국이나 GNSS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동기화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다른 단말에게 동기화될 수도 있다.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단말에게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소스 및 선호도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obile device, the server, and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s may be synchronized with other terminals that have not directly or indirectly obtaine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or GNSS. The synchronization source and preference may be preset in the terminal. Alternatively, the synchronization source and preference may be set through a control messag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110)와 서버(120)는 네트워크(130)(또는 통신망)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장치(110)가 네트워크(13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130)는 상기 서버(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110 and the server 1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network 130 (or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mobile device 110 transmits data to the network 130 , the network 130 may transmit (transmit) the data to the server 120 .

한편, 상기 모바일 장치(110), 주변 모바일 장치(140) 및 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네트워크(130)를 거치지 않고 상호 통신할 수 있음은, 상기 D2D 통신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 있다.Meanwhile, the fact that at least one of the mobile device 110 , the peripheral mobile device 140 , and the device 12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out going through the network 130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D2D communication. .

이하 도 2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기 모바일 장치(110)와 상기 서버(120) 및 상기 주변 모바일 장치(140) 중 적어도 하나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장치(110)가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내 시청을 위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FIGS. 2 to 3 ,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110 and at least one of the server 120 and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 140 , the mobile device 110 determines the cooking time or A method of reproducing video content for viewing within the washing-up time will be specifically reviewe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에 개시된 모바일 장치(110) 또는 도 3에 개시된 모바일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도 2의 흐름도에 개시된 동작들은, 도 1 및 3에 개시된 동작들 중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The operations disclosed in the flowchart of FIG. 2 may be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xample, the operations disclosed in the flowchart of FIG. 2 may be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110 illustrated in FIG. 1 or the mobile device 300 illustrated in FIG. 3 . In one example, the operations disclosed in the flowchart of FIG. 2 may correspond to some of the operations illustrated in FIGS. 1 and 3 .

단계 S2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S210,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 2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may include detec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second mobile device.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가까워짐을 감지하면,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may include detecting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first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If so,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설거지 개시 정보, 온도/습도 센서 정보,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근접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의 근접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습도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온도/습도 센서를 기반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와 연결된 온도/습도 센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시간에서의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량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다고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는 경우,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지거나 습도가 급격하게 높아질 수 있고,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는 경우, (뜨거운 물 이용시) 온도가 급격하게 높아지거나, 습도가 급격하게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간에서의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량을 기초로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은 구간은 3초, 5초, 7초, 10초, 15초, 30초, 1분 중 하나일 수 있고, 온도의 변화량은 0.1도, 0.3도, 0.5도, 1도 중 하나일 수 있고, 습도의 변화량은 0.1%, 0.3%, 0.5% 및 1% 중 하나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may include, from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on a wrist,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receiving cooking start information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dishes; and whether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based on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or the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formation,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devi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or may be obtained from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device. In an embodiment,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or humidity at a specific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That is, when the user starts cooking, the temperature may increase rapidly or the humidity may increase rapidly. Similarly, when the user starts washing dishes, the temperature increases rapidly (when using hot water), or the humidity increases rapidly. can rise According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starts cooking or washing dishes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or humidity at a specific time. The specific time interval may be one of 3 seconds, 5 seconds, 7 seconds, 10 seconds, 15 seconds, 30 seconds, and 1 minut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emperature is one of 0.1 degree, 0.3 degree, 0.5 degree, and 1 degre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humidity may be one of 0.1%, 0.3%, 0.5%, and 1%.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In an embodiment, receiving cook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the dishes includes: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 이상으로 iii) 사전에 설정된 횟수 이상 한쪽 팔을 왕복 운동 또는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소정의 횟수 이상 iii) 한쪽 팔을 원 운동시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웨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설거지 개시 정보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설거지 동작 중 문지르기 동작 또는 헹구기 동작이 인식될 수 있다.By means of the wearable device, the user can i) reciprocate one arm for a preset time period ii) over a preset altitude difference iii) reciprocate one arm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or i) during a preset time period ii)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from the wearable device to the first mobile device, the washing-up start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circular motion of one arm is sensed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iii). That is, a rubbing operation or a rinsing operation may be recognized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by the wearable device.

일 예시에서,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는 10cm일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은 3초, 5초, 7초, 10초, 15초, 30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소정의 횟수는 3회, 5회, 7회, 10회, 15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소정의 크기는 반지름 5cm, 10cm, 15cm, 20c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reset height difference may be 10 cm. The preset time interval may be at least one of 3 seconds, 5 seconds, 7 seconds, 10 seconds, 15 seconds, and 30 second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be at least one of 3 times, 5 times, 7 times, 10 times, and 15 times.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at least one of a radius of 5 cm, 10 cm, 15 cm, and 20 c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In an embodiment, receiving cook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the dishes includes: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 이상으로 iii) 사전에 설정된 횟수 이상 한쪽 팔을 왕복 운동 또는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소정의 횟수 이상 iii) 한쪽 팔을 소정의 크기 이상의 원 운동시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 개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조리 동작 중 털기 또는 젓기 동작이 인식될 수 있다. By means of the wearable device, the user can i) reciprocate one arm for a preset time period ii) over a preset altitude difference iii) reciprocate one arm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or i) during a preset time period ii)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when it is detected that one arm is moved in a circl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at is, a whisking operation or a stirring operation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may be recognized by the wearable device.

일 예시에서,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는 10cm일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은 3초, 5초, 7초, 10초, 15초, 30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소정의 횟수는 3회, 5회, 7회, 10회, 15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소정의 크기는 반지름 5cm, 10cm, 15cm, 20c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reset height difference may be 10 cm. The preset time interval may be at least one of 3 seconds, 5 seconds, 7 seconds, 10 seconds, 15 seconds, and 30 second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be at least one of 3 times, 5 times, 7 times, 10 times, and 15 times.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at least one of a radius of 5 cm, 10 cm, 15 cm, and 20 cm.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In an embodiment, receiving cook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the dishes includes: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손목을 기울이는 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 개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조리 동작 중 붓기 동작이 인식될 수 있다.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when it is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to tilt the wrist for a preset time period. That is, the pouring operation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may be recognized by the wearab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In an embodiment, receiving cook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the dishes includes: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 이상으로 iii) 소정의 횟수 이상의 소정의 강도 이상 충격과 함께 소정의 횟수 이상 한쪽 팔을 왕복 운동시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 개시 정보를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조리 동작 중 썰기 동작이 인식될 수 있다.When it is detected that one arm is reciproc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ith an impact exceed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ii)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is transmitting to the first mobile device. That is, the slicing operation may be recognized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by the wearable device.

단계 S2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이 결정되면, 제 2 모바일 장치에 재생되는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2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transmit a playback request for the first image content played on the second mobile devic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have.

단계 S2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제 1 영상 컨텐츠에 관한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재생 정보는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제 1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peration S230,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playback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playback request.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ddress of the first image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top time.

단계 S2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재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 1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모바일 장치는 수신한 제 1 영상 컨텐츠를 제 1 중지 시점과 관련된 특정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 특정 시점은 제 1 중지 시점보다 소정의 시간만큼 앞선 시점일 수 있다.In operation S240,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based on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The first mobile device may reproduce the received first image content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related to the first stopping point. The specific time point may be a time point ahead of the first stop time point by a predetermined time.

제 1 모바일 장치는 제 1 중지 시점 Tp보다 소정의 시간만큼 앞당긴 재생 시점 Ts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설거지/조리 준비 과정에서 영상 놓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 1 모바일 장치는 중지 시점부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보다는 그보다 이전부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다만, 제 1 중지 시점까지는 빠른 속도로 재생하되 점차 1배속에 가까워지도록 재생될 수 있다. 제 1 중지 시점 이후에는 1배속으로 재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재생 시점 Tx의 재생 속도 S_Tx가 결정될 수 있다. 재생 시점 Tx는 Ts보다 크거나 같고, Tp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The first mobile device may reproduce the image content from the playback time Ts, which is earlier than the first stop time Tp by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since there may be a missing part of the image in the process of washing dishes/cooking preparation, the first mobile device may play the image content before that time, rather than playing the image content from the point of stopping. However, it may be reproduced at a high speed until the first stop point, but gradually close to 1x speed. After the first stop point, playback may be performed at 1x speed. Specifically, the reproduction speed S_Tx of the reproduction time Tx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1 below. The playback time Tx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s and less than or equal to Tp.

Figure 112022098203842-pat00002
Figure 112022098203842-pat00002

이때, 제 1 중지 시점이 Tp이고, 상기 제 1 중지 시점과 관련된 특정 시점이 Ts이고, 제 1 중지 시점의 재생 속도는 S_Tp, 특정 시점의 재생속도는 S_Ts일 수 있다. 수학식 1은 시간-재생 속도 간 1차 함수(선형 함수)를 근거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n차 함수(n은 2보다 크거나 같음)의 수학식을 근거로 재생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topping time may be Tp, the specific time related to the first stopping time may be Ts, the playback speed of the first stopping time may be S_Tp, and the playback speed of the specific time may be S_Ts. Equation 1 is based on a first-order function (linear function) between time-playback spe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ayback spe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rmula of an n-order function (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2) .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2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제 1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모바일 장치로 제 1 영상 컨텐츠가 재생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in step S250 ,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dicates that the first video content is being reproduced to the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first video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message can be sent.

단계 S2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In operation S260 ,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lated to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A user input regarding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may be obtained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the mess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In an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lated to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includes: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when detec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displaying a message on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and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mess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In an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lated to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includes: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에 가까워짐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device step; and when detecting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second mobile device, the first mobile device is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and receiving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device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단계 S27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중지하고,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 2 모바일 장치는 제 2 중지 시점보다 이전의 특정 시점부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점의 재생 속도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제 2 중지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In step S270,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tops the playback of the first image content based on the playback stop request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second stop tim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can be sent to the device. Similar to the above, the second mobile device may play the video content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before the second stopping point, and the playback speed at the playback point of the video content may be determined similarly to the above. In an embodiment, the transmitting of the information on the stopping tim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may include when detec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ping tim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ping time may indicate the address of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second stopping time of the first image content.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장치는 상기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장치는 상기 수신한 제 1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2 중지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The second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 time. The second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produce the received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second stopping point.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대체할 것을 지시하는 대체 지시 입력을 획득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대체할 제 2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상기 수신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장치는,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중지하고,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의 제 2 중지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rovide a second image content to replace the first image content to a content server based on a replacement instruction input instructing to replace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user can be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produce the received second image content. The first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top playing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 tim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stopping time of the second image content may include an address of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cond stopping time of the second image conten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300)는 데이터베이스(310), 송수신부(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모바일 장치(30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고, 모바일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database 310 , a transceiver 320 , and a processor 330 . However, in some cases, not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may b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mobile device 300 , and the mobile device 300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3 . can be implemented.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300)에서 데이터베이스(310), 송수신부(320) 및 프로세서(330)는 각각 별도의 칩 (chip)으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DB, 310)는 송수신부(320) 또는 프로세서(33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3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부(3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송수신부(32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주변 모바일 장치 또는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base 310 , the transceiver 320 , and the processor 330 are each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or at least two or more components are implemented through a single chip. it might be The database DB 310 may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320 or the processor 330 . In an embodiment, the database 310 may store at least one program. The transceiver 3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In one example, the transceiver 320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nearby mobile device or a server).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310) 및 송수신부(3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의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전술된 모바일 장치(300)의 동작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generally control the database 310 and the transceiver 320 , etc.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310 of the mobile device 300 .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mobile device 300 described above in FIGS. 1 and 2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310 of the mobile device 300 .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300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주변 모바일 장치(미도시)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감지하면,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사용자가 상기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장치(300)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330 detects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nearby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nearby mobile device (not show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nearby mobile device from the nearby mobile device can receive The processor 3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300 starts cooking or washing dishes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에 가까워짐을 감지하면, 모바일 장치(300)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330 detects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device 300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300 ,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300 starts cooking or washing dishes.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설거지 개시 정보, 온도/습도 센서 정보 및 모바일 장치(300)의 근접 센서 정보 및 주변 모바일 장치의 근접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receives, from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on the wrist, cook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dishes. and whether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based on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formation,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and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nearby mobile devices can decid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 이상으로 iii) 사전에 설정된 횟수 이상 한쪽 팔을 왕복 운동 또는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소정의 횟수 이상 iii) 한쪽 팔을 원 운동시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설거지 개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is configured by the wearable device to allow the user to i) reciprocate one arm for a preset time period ii) over a preset altitude difference iii) a preset number of times or more or i) a preset During the time period set in ii)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ii) when it is sensed that one arm is moved in a circle, the washing-up star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 이상으로 iii) 사전에 설정된 횟수 이상 한쪽 팔을 왕복 운동 또는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소정의 횟수 이상 iii) 한쪽 팔을 소정의 크기 이상의 원 운동시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 개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is configured by the wearable device to allow the user to i) reciprocate one arm for a preset time period ii) over a preset altitude difference iii) a preset number of times or more or i) a preset ii)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the time period set in iii) When it is detected that one arm is moved in a circl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손목을 기울이는 운동을 시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 개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wearable device causes the wrist to tilt for a preset time period,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i) 사전에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ii) 사전에 설정된 고도 차이 이상으로 iii) 소정의 횟수 이상의 소정의 강도 이상 충격과 함께 소정의 횟수 이상 한쪽 팔을 왕복 운동시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조리 개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reciprocates one arm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ith an impac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altitude difference ii)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it is detected,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이 결정되면, 프로세서(330)는 주변 모바일 장치에 재생되는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상기 주변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a reproduction request for the first image content reproduced on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 to the neighboring mobi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관한 재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생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제 1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playback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a neighboring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playback request. In this case,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f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first stop tim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재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상기 수신한 제 1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중지 시점과 관련된 특정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 재생 시점의 재생 속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based on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330 may reproduce the received first image content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related to the first stopping point. The playback speed at the playback time may b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주변 모바일 장치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가 재생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image content is being reproduced to a neighboring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모바일 장치(300)의 재생 중지 요청을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a request for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from a neighboring mobile device, which is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garding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 A user input for stopping playback may be obtained from a nearby mobile device based on the messag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주변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주변 모바일 장치에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모바일 장치(300)의 재생 중지 요청을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330 detects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mobile device 300 based on the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300 , the processor 33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a nearby mobile device. can A message may be displayed on a nearby mobile device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mobile device 300 . The processor 330 may receiv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mobile device 300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for the message from a neighboring mobi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주변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주변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주변 모바일 장치에 가까워짐을 감지하면, 프로세서(330)는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모바일 장치(300)의 재생 중지 요청을 주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330 detects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mobile device 300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300 , the processor 330 indicates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mobile device 300 .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nearby mobile devices. When detecting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nearby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nearby mobile device, the processor 330 generates the mobile device 300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mobile device 300 . ) may receive a playback stop request from a nearby mobi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의 재생 중지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중지하고,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주변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image content based on the request for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mobile device 300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 time from the mobile device 300 to the surrounding mobile devices. can be sent to the devic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모바일 장치(300)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300)로부터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주변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제 2 중지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330 detects that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mobile device 300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300 , the processor 33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ping point to the surrounding mobile device. can be sent to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ping time may indicate the address of the first image content and the second stopping time of the first image content.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대체할 것을 지시하는 대체 지시 입력을 획득한 것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대체할 제 2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수신한 제 2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중지하고,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주변 모바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2 영상 컨텐츠의 제 2 중지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receives, from the content server, the second image content to replace the first image content, based on obtaining a replacement instruction input instructing to replace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user. can receive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reproduce the received second image content.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top time to a neighboring mobile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stopping time of the second image content may include an address of the second image content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cond stopping time of the second image content.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제 1 모바일 장치가 조리 시간 또는 설거지 시간 내 시청을 위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이 결정되면, 제 2 모바일 장치에 재생되는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관한 재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수신 및 상기 수신한 제 1 영상 컨텐츠를 제 1 중지 시점과 관련된 특정 시점부터 재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가 재생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중지하고,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1 중지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중지 시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주소 및 상기 제 1 영상 컨텐츠의 제 2 중지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에 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조리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설거지를 개시하였음을 나타내는 설거지 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개시 정보 또는 상기 설거지 개시 정보, 온도/습도 센서 정보,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근접 센서 정보 및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의 근접 센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리 또는 설거지를 개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습도 센서 정보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온도/습도 센서를 기반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와 연결된 온도/습도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멀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로부터 멀어짐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 1 모바일 장치의 재생 중지 요청을 상기 제 2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제 1 중지 시점보다 앞선 시점이되, 상기 특정 시점에서부터 상기 제 1 중지 시점까지의 재생 시점에서 재생 속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22111315808-pat00007

(여기서, 상기 Tx는 상기 재생 시점(Tx는 Ts보다 크거나 같고, Tp보다 작거나 같음)을, 상기 Tp는 상기 제 1 중지 시점을, 상기 Ts는 상기 특정 시점을 나타내며, 상기 S_Tx는 상기 재생 시점(Tx)에서의 재생 속도를, 상기 S_Tp는 상기 제 1 중지 시점(Tp)의 재생 속도를, 상기 S_Ts는 상기 특정 시점(Ts)의 재생속도를 나타낸다.)
A method for a first mobile device to reproduce video content for viewing during cooking time or washing dishes,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initia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transmitting a playback request for the first video content to be played on the second mobile devic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receiving playback information on the first video content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playback request;
receiving the first video content from a content server based on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and playing the received first video content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related to a first stopping point;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image content is being reproduced to the second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first image content from the content server;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regarding stopping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image content based on the request for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top tim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address of the first video content and the first stop point,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stopping time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n address of the first image content and a second stopping time of the first image content,
The user input regarding stopping the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btained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the messag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device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receiving, from the wearable device worn on the user's wrist, cook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dishwashing sta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started washing dishe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started cooking or washing dishes based on the cooking start information or the dish washing start information,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formation,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the first mobile device, and proximity sensor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or is obtained from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device,
Receiving the playback stop request of the first mobile device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to the second mobile device when detec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based on a proximity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mobile device;
displaying a message on the second mobile device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bile device; and
and receiving, from the second mobile device, a request to stop playback of the first mobile devic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message,
The specific time point is a time before the first stop time point, and the reproduction speed at the reproduction time point from the specific time point to the first stop time poi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Equation 1]
Figure 112022111315808-pat00007

(Here, Tx is the playback time (T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s, less than or equal to Tp), Tp is the first stop time, Ts is the specific time, and S_Tx is the playback The playback speed at the time point Tx, S_Tp represents the playback speed at the first stop time Tp, and S_Ts represents the playback speed at the specific time point 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17922A 2022-09-19 2022-09-19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 KR102463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922A KR102463305B1 (en) 2022-09-19 2022-09-19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922A KR102463305B1 (en) 2022-09-19 2022-09-19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305B1 true KR102463305B1 (en) 2022-11-07

Family

ID=8404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922A KR102463305B1 (en) 2022-09-19 2022-09-19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30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507A (en) * 2014-09-19 2016-03-30 (주)휴맥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through using a mibile device
KR102180587B1 (en) 2020-08-31 2020-11-18 고수화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during brushing teeth time
KR20220121730A (en) * 2021-02-25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er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507A (en) * 2014-09-19 2016-03-30 (주)휴맥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through using a mibile device
KR102180587B1 (en) 2020-08-31 2020-11-18 고수화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during brushing teeth time
KR20220121730A (en) * 2021-02-25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er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62611B (en) Data transmission preemption
EP3026943B1 (en) Avoiding master role selection in a proximity network
EP3026979B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8171194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342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using channel information
KR20150027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using electronic devices
KR2015002789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WI575982B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prevention of transmitting a scheduling request
CN11303981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in a home area data network
KR102463305B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in cooking time or washing dish time
US202401474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beam
KR102180587B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s for watching during brushing teeth time
JP2024506579A (en) Gap sett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equipment
CN115696539A (e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TWI802046B (en) Active touch system with automatic mode adjustment and active stylus
WO2024027590A1 (en) Wake-up signal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WO2023011544A1 (en)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s, and medium
WO2024022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ynchronization reference cell,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WO2023208213A1 (en) Synchronization signal determination method, resource selection and reservation method, apparatuse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3193708A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WO2023198125A1 (en) Sidelink discovery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JP2013005029A (en) Reproduction controller, synchronous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WO2023109759A1 (en) Prach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WO2023186070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3207843A1 (e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bundling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