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46B1 -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 Google Patents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846B1
KR102462846B1 KR1020217005162A KR20217005162A KR102462846B1 KR 102462846 B1 KR102462846 B1 KR 102462846B1 KR 1020217005162 A KR1020217005162 A KR 1020217005162A KR 20217005162 A KR20217005162 A KR 20217005162A KR 102462846 B1 KR102462846 B1 KR 10246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static license
resource
static
de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035A (ko
Inventor
샤오항 첸
레이 지앙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였고, 해당 방법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Description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7월 23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No. 201810813931.1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제5 세대(5G) 이동 통신 시스템 뉴 라디오(New Radio, NR) 에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은 운영자가 서비스에 대해 확장을 진행하도록 도모하기 위해 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licensed band)의 보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은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WiFi, 레이다, LTE-LAA 등에 의해 공유된다. 그러므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을 사용할 때에는 LBT(listen before talk, LBT) 규칙의 준수를 필요로 하며, 즉,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채널 도청을 수행하고, 도청 결과가 채널이 아이들 상태라고 했을 때에만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어, 모든 기기가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자원을 공평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보장한다.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 과정에서, 채널 도청 결과가 채널이 바쁜 경우, 단말 기기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Configured Grant Resource)의 전송 시각에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없고, 단말 기기는 채널 도청을 계속할 필요가 있으며,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전송 시각이 되면, 채널 도청 결과가 채널이 아이들 상태일 경우에만, 업링크 전송이 구현될 수 있으며,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의 시간 지연이 길어지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의 긴 지연 문제를 해결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구성 정보,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측면에 따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측면에 따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2 측면에 따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의 채널이 전부가 바쁜(busy) 것이 경우, 단말 기기는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사용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의 시간 지연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도면은 본 개시에 대한 진일보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일부분으로 구성됨으로써,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한 부당한 제한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아키택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단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를 위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아키택처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과 기지국(12)을 포함하고, 여기서 사용자 단말(11)은 단말 기기(User Equipment,UE)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모바일 통신망 기기(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와 같은 단말측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1)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기지국(12)는 5G 및 후속 버전의 기지국 (예를 들어, gNB, 5G NR NB),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중의 기지국, 또는 노드 B로 지칭될 수 있고,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중 5G기지국만을 예로 하지만, 기지국(12)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11)과 기지국(12)의 구체적인 기능은, 이하의 여러개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 210,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여기서, 상이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상이하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해당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며,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의 채널이 전부가 바쁜 것이 아닐 경우, 단말 기기는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사용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방식은 적어도 하기 세 가지를 포함한다.
첫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 및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주기, 시간 주파수 자원 등 파라미터들이 포함된다.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의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구성된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할 수 있다.
즉,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 및 활성화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다른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RRC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는 해당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대해 3 개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활성화한다.
그중,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구성한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및 서브 밴드 3 이임을 확정할 수 있고;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제2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며, 제2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구성한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2 및 서브 밴드4 임을 확정할 수 있으며;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제3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제3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구성한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서브 밴드2 및 서브 밴드4 임을 확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것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지시하고,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우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제1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주기 등 부분 파라미터들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단말 기기는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며; 제2 구성 정보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전송 관련 파라미터,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 변조 코딩 구성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 파라미터 등이 포함되며, 해당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RRC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제1 구성 정보,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제1 구성 정보,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제1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는 해당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대해 3 개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가 포함되며, 제2 구성 정보에는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해당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고; 해당 제2 구성 정보중의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구성한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서브 밴드3 및 서브 밴드 4 임을 확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가 수신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복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할 경우, 단말 기기는 각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중에 포함된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며; 및 각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중에 포함된 제2 구성 정보중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한다.
여전히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세 개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과 제2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1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와 제2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한다.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제2 구성 정보에는,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서브 밴드3 및 서브 밴드 4 임을 확정할 수 있다.
제2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와 제2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한다.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제2 구성 정보에는, 제3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제3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2 및 서브 밴드 3 임을 확정할 수 있다.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기기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더욱 영활하게 활성화를 진행하고, 활성화가 필요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관련 파라미터를 보다 영활하게 구성 및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크워크측 기기는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부분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중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과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이다. 여기서,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서브 밴드1 과 서브 밴드3이고;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서브 밴드2 와 서브 밴드4 이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와 제2 구성 정보가 포함되며, 제2 구성 정보에는,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현재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는 상이하다.
이때, 단말 기기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를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하고, 더 나아가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재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서브 밴드2 및 서브 밴드 4 임을 확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하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하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일보로 하나 또는 복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화 상태에 있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부분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고, 더 나아가 업데이트후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재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한다.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단말 기기가 복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단말 기기는 최근 수신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 따라,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부분 파라미터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는 외에, 실제 전송 수요에 따라 기타 파라미터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세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하기 위한 것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 각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우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는 해당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대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해당 반 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의 각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우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RRC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및 서브 밴드 3 임을 확정할 수 있고;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제2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제2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2 및 서브 밴드 4 임을 확정할 수 있으며;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제3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제3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서브 밴드2 및 서브 밴드 4 임을 확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서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고;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서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하고, 더 나아가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하여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여,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더욱 영활하게 활성화를 진행하고, 또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이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할 때 시그널링 부하가 비교적 큰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해 채널 도청을 진행하는 단계;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확정하는 단계 -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의 채널 도청 결과가 아이들 상태임 -;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가 베어링되여 있고; UCI 에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 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과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이다. 여기서,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서브 밴드1과 서브 밴드3 이고;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서브 밴드2와 서브 밴드4 이다.
단말 기기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의 서브 밴드1, 서브 밴드2, 서브 밴드3 및 서브 밴드4 에 대해 채널 도청을 진행하고, 서브 밴드1과 서브 밴드3 의 채널 도청 결과가 바쁜 것이고, 서브 밴드2 와 서브 밴드4 의 채널 도청 결과가 아이들 상태이면,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이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임을 확정한다.
단말 기기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네크워트측 기기에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고, 여기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UCI 가 베어링되여 있으며, 해당 UCI 에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할 수 있는 외에,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상이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의 업링크 데이터 채널(혹은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 파워는 동일하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활성화한 후, 실제 데이터 전송 수요에 따라,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방식에는 하기 적어도 두가지가 포함된다.
첫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단말 기기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한다.
두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비활성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고, 단말 기기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의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중의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이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와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활성화 상태에 있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고; 단말 기기는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에 따라, 활성화 상태에 있는 제3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가 수신한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기재한 기술방안은,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의 채널이 전부가 바쁜 것이 아닐 경우, 단말 기기는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사용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 시간 지연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하기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단계 310,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여기서, 상이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상이하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해당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며,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의 채널이 전부 바쁜 것이 아닐 경우, 단말 기기는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사용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방식은 적어도 하기 세 가지를 포함한다.
첫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 및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주기, 시간 주파수 자원 등 파라미터들이 포함된다.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의 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 및 활성화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에 기타 그 어떤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할 필요가 없다.
두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것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지시하고,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우선,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제1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제1 구성 정보에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주기 등 부분 파라미터들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 및 제2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는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제2 구성 정보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전송 관련 파라미터,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 MCS 파라미터 등이 포함되며, 해당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 기기에 복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할 경우, 단말 기기는 각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중에 포함된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며; 각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중에 포함된 제2 구성 정보중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한다.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측 기기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더욱 영활하게 활성화를 진행하고, 활성화가 필요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관련 파라미터를 보다 영활하게 구성 및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크워크측 기기는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부분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과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이다. 여기서,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서브 밴드1 과 서브 밴드3이고; 제2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서브 밴드2 와 서브 밴드4 이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와 제2 구성 정보가 포함되며, 제2 구성 정보에는,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되며, 여기서,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현재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는 상이하다.
이때, 단말 기기는 수신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 따라,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를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하고, 더 나아가 제1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제1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재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가 서브 밴드1, 서브 밴드2 및 서브 밴드 4 임을 확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하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하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일보로 하나 또는 복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화 상태에 있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부분 파라미터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여, 단말 기기가 업데이트후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재구성한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 기기에 복수의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했다면, 단말 기기는 최근 수신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 따라,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부분 파라미터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는 외에, 실제 전송 수요에 따라 기타 파라미터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세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과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하기 위한 것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 각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우선,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에는,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시간 주파수 자원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해당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구성한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확정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 기기는 해당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대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해당 반 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에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 각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하며, 더 나아가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통하여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여,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더욱 영활하게 활성화를 진행하고, 또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이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할 때 시그널링 부하가 비교적 큰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는, 상기 방법은: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UCI 가 베어링되여 있고; UCI 에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 기기는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의 서브 밴드를 통해 채널 도청을 진행하고, 채널 도청 결과가 아이들 상태인 서브 밴드에 대응하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확정하며, 더 나아가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여, 네트워크측 기기가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수 있도록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측 기기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외에,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대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활성화한 후, 실제 데이터 전송 수요에 따라,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방식에는 하기 적어도 두가지가 포함된다.
첫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따라, 단말 기기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한다.
두 번째: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의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해당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중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가 포함되여, 단말 기기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된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기재한 기술방안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고,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의 채널이 전부 바쁜 것이 아닐 경우, 단말 기기는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사용하여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에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 시간 지연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가 제공한 단말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4 에서 도시한 단말 기기(400)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401);을 포함하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400)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 및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의 각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400)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해 채널 도청을 진행하기 위한 도청 모듈;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의 채널 도청 결과가 아이들 임 -; 및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UCI 가 베어링되여 있고;
UCI 에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400)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비활성화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비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비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의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400)는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된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501); 을 포함하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는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 및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과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의 각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UCI 가 베이링되여 있으며;
UCI 에는 타겟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비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비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비활성화 모듈은 진일보로: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의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도 3 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구현된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6 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또 다른 구조도이다. 도6 에 도시 된 단말 기기(6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603)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600)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605)을 통해 함께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605)은 이러한 컴포넌트들간의 연결 및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버스 시스템(605)은 데이터 버스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도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6에서는 각종 버스를 버스 시스템(605)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603)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또는 클릭 장치(예,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개의 실시예중의 메모리(6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Read-Only Memory,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메모리 (Programmable ROM,PROM), 소거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Erasable PROM,EPROM), 전기 소거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lectrically E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RAM)로서, 외부 고속 캐시일 수 있다. 예시적인 것이지만,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수의 형태의 RAM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SRAM,Static 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DRAM,Dynamic RAM), 동기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Synchronous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Double Data Rate SDRAM,DDRSDRAM), 강화형 동기화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Enhanced SDRAM,ESDRAM), 동기화 접속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Synch link DRAM,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접속망 메모리 (Direct Rambus RAM,DRRAM) 와 같은 형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메모리(602)는 이러한 메모리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메모리(602)는 하기의 요소를 저장하여,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그들의 서브 집합, 또는 그들의 확장 집합을 실현할 수 있으며, 메모리의 요소에는 작업 시스템(6021)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22)이 포함된다.
여기서 작업 시스템(6021)은, 각종 베이스 서비스와 하드웨어 기반 태스크를 실현하기 위한 프레임층, 코어 라이브러리 층, 구동 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22)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600)는: 메모리(60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601)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하기 단계를 구현한다.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구현하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상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방법은 프로세서(601)에 적용되거나 또는 프로세서(6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언급된 방법의 단계들은 프로세서(601)내의 하드웨어에 의한 통합 로직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인스트럭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6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DSP), 전용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기기,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컴포넌트 구성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여러 방법, 단계 및 로직 블록도를 구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직접 실시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완성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소거 및 기록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분야에서 성숙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602)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01)는 메모리(602)의 정보를 판독하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2에서 나타낸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소자,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 (DSP Device,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Programmable Logic Device,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상기 기능의 모듈(예하면, 과정 또는 함수 등)로 본 개시의 상술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실행하는데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기기(600)는, 전술한 도2의 방법 실시예중 단말 기기가 구현한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도2 방법의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네트워크측 기기(700)는, 도 3의 방법 실시예의 세부 사항을 구현하고,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700)는: 프로세서(701), 송수신기(702), 메모리(703), 사용자 인터페이스(7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700)는: 메모리(703)에 저장되어 프로세서(701)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기기를 위해 구성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구현하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한다.
도7 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7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04)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7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703)는 프로세서(7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700)는, 전술한 도 3의 방법 실시예중 네트워크측 기기가 구현한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도 3의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 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 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더러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0)

  1.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며,
    상기 방법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 중의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상기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 및 활성화하기 위한 것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것임 -; 및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지시하고,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5. 단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비활성화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활성화 모듈은 또한: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 중의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듈은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상기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 및 활성화하기 위한 것인,
    단말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듈은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및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지시하고,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말 기기.
  9.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 기기를 위해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에 대응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복수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비활성화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활성화 모듈은 또한: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다운링크 비활성화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중 각 비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해 비활성화를 진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중의 하나 또는 복수에 대해 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듈은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 및 상기 각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구성 및 활성화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듈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복수의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다운링크 활성화 시그널링은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언라이선스드 주파수 대역(unlicensed band) 서브 밴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는 상기 활성화 자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반정태적 라이선스 자원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13.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217005162A 2018-07-23 2019-07-19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102462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13931.1 2018-07-23
CN201810813931.1A CN110752899A (zh) 2018-07-23 2018-07-23 用于半静态授权上行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PCT/CN2019/096687 WO2020020057A1 (zh) 2018-07-23 2019-07-19 用于半静态授权上行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035A KR20210033035A (ko) 2021-03-25
KR102462846B1 true KR102462846B1 (ko) 2022-11-03

Family

ID=6918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162A KR102462846B1 (ko) 2018-07-23 2019-07-19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44741A1 (ko)
EP (1) EP3829094A4 (ko)
JP (1) JP7345539B2 (ko)
KR (1) KR102462846B1 (ko)
CN (1) CN110752899A (ko)
SG (1) SG11202100794TA (ko)
WO (1) WO2020020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43582A (zh) * 2020-08-26 2023-04-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和终端设备
US11889548B2 (en) * 2020-10-20 2024-01-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nnel access mechanisms in millimeter wave unlicensed ban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321A2 (en) * 2009-09-16 2011-03-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8876B (zh) * 2012-05-16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信道资源调度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06507486B (zh) * 2015-09-08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上行数据传输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WO2017195495A1 (ja) * 2016-05-12 2017-11-1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8048237A1 (en) * 2016-09-08 2018-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ple-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023705B (zh) * 2016-11-04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半静态参考信号配置、收发方法、基站及终端
KR20190089062A (ko) * 2016-12-27 2019-07-29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대역폭 부분(bwp) 지시자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비
PT3917252T (pt) * 2017-03-24 2023-07-11 Ericsson Telefon Ab L M Controlo de transmissões rádio de ligação ascendente sobre recursos atribuídos de forma semi-persistente
CN109151833B (zh) * 2017-06-16 2020-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542403B1 (ko) * 2017-09-29 2023-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설정과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118173A (ko) * 2018-02-08 2020-10-1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자원 구성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CN111869307B (zh) * 2018-02-13 2024-04-09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非授权资源选择的方法
WO2019157761A1 (en) * 2018-02-15 2019-08-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ctivating semi-persistent configuration for channel state indicator resource sets
CN116321512A (zh) * 2018-03-22 2023-06-2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0719139B (zh) * 2018-07-13 2020-08-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搜索空间参数确定方法和终端设备
KR102091586B1 (ko) * 2019-05-08 2020-03-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구리계 금속막의 식각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321A2 (en) * 2009-09-16 2011-03-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6968*
3GPP R2-18104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9094A1 (en) 2021-06-02
JP2021532656A (ja) 2021-11-25
US20210144741A1 (en) 2021-05-13
CN110752899A (zh) 2020-02-04
KR20210033035A (ko) 2021-03-25
WO2020020057A1 (zh) 2020-01-30
EP3829094A4 (en) 2021-10-06
JP7345539B2 (ja) 2023-09-15
SG11202100794TA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9922B1 (en)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 method and resource schedul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US2021013680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ross carrier scheduling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US2021013677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search space parameter, and terminal device
US1198567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2020523940A (ja) 測定設定方法、端末および基地局
US20220256386A1 (en)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1088873A1 (zh) 共享cot的信息传输方法、通信设备
KR102552623B1 (ko) 빔 페일 회복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102643268B1 (ko) 사이드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582803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970726A (zh) 数据传输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38095A (ko) 풀 전력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비
KR102462846B1 (ko) 반정태적 라이선스 업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측 기기
JP2021514567A (ja) セルハンドオーバ方法、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端末装置
CN114071802A (zh) 一种信息上报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1973710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WO2021088796A1 (zh) 共享信道占用时间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0022922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detection method and devices
CN110445588B (zh) 同步信号块传输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设备
US11968728B2 (en) Method of configuring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entity and device
WO2024099190A1 (zh) 能力指示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30145199A (ko) Pdu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 관련 장치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JP2023539670A (ja) 参照信号送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22511251A (ja) スロットフォーマットの決定方法、機器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