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40B1 -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 Google Patents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840B1
KR102462840B1 KR1020200041973A KR20200041973A KR102462840B1 KR 102462840 B1 KR102462840 B1 KR 102462840B1 KR 1020200041973 A KR1020200041973 A KR 1020200041973A KR 20200041973 A KR20200041973 A KR 20200041973A KR 102462840 B1 KR102462840 B1 KR 10246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ar
loaded
inventory
reinforcing ba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4662A (en
Inventor
최현석
최현준
최현민
Original Assignee
최현석
최현준
최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석, 최현준, 최현민 filed Critical 최현석
Priority to KR102020004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40B1/en
Publication of KR2021012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공 전 섹터와, 상기 가공 전 섹터에서 가공된 철근이 적재되는 가공 후 섹터로 구획되는 철근 가공공장에 있어서,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입고된 철근이 적재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정보를 파악하는 재고파악장치;를 포함하는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a rebar processing factory divided into at least one sector before machining and a sector after machining in which rebars processed in the sector before machining are loaded, a first in which rebars placed in the sector before machining are loaded load department; And it is disposed in the sector before the processing, inventory grasping device for grasping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provides a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Description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본 발명은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철근은 주로 탄소강으로써 제조되는 건설재료로서 토목, 건축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역학 구조체이다.Rebar is a construction material mainly manufactured from carbon steel and is a very important mechanical structure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elds.

도 1은 일반적인 철근 가공공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공 전 철근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rebar processing factory,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bar before processing shown in FIG. 1 is loaded.

도 1을 참조하면, 철근 가공공장(F)의 내부는 크게 가공 전 섹터(F1)와 가공 후 섹터(F2)로 구획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nterior of the rebar processing plant F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sector F1 before processing and a sector F2 after processing.

상기 가공 전 섹터(F1)는 철근 가공공장(F)에 적어도 한 구역 이상 구획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가공 전 철근이 적재되는 제1 적재부(10)와, 상기 제1 적재부(10)에 적재된 철근을 구매자의 니즈에 따라 절곡 또는 절단하기 위한 가공장치(20)와, 철근을 상기 제1 적재부(10), 가공장치(20) 또는 기타 운반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tor F1 before machining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one zone in the rebar processing factory F, and the first loading part 10 on which the rebar before processing is loaded, and the first loading part 10 being loaded into the first loading part 10 A processing device 20 for bending or cutting the reba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urchaser, and a hoist 30 for moving the rebar to the first loading unit 10, the processing device 20 or other transportation means. can do.

상기 가공 후 섹터(F2)는 상기 가공 전 섹터(F1) 이외의 공간으로서, 가공이 완료된 철근이 공장 밖으로 불출되기 전 적재되는 제2 적재부(40)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post-processing sector F2 is a space other than the pre-processing sector F1,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loading unit 40 in which the processed reinforcing bars are loaded before being discharged out of the factory.

한편, 철근은 입고될 때 다수 개의 철근이 한 묶음으로 입고되며, 한 묶음당 철근의 원산지(한국, 중국,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등), 강종(SD400 내지 SD700 등), 규격(D10 내지 D57 등), 내진(일반 철근, 내진 철근, 용접 철근), 길이(6m 내지 12m) 또는 메이커(현대제철, 동국제철, 사강, 조난, 파워스틸 등)의 종류가 기재된 태그가 부착되어 입고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bar is received, multiple rebars are received as a bundle, and per bundle, the country of origin (Korea, China, Taiwan, Japan, Malaysia, etc.), steel type (SD400 to SD700, etc.), standard (D10 to D57, etc.) ), earthquake resistance (general rebar, seismic rebar, welded rebar), length (6m to 12m), or manufacturer (Hyundai Steel, Dongkuk Steel, Sagang, Distress, Power Steel, etc.)

예를 들어, 한 묶음은 2톤 분량의 철근 다발이 한 묶음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철근의 종류에 따라 한 묶음의 철근 갯수는 몇십개에서 몇백개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a bundle may be defined as a bundle of rebar bundles weighing 2 tons, and therefore, the number of rebars in a bundle may be several dozen to several hundred depending on the type of reinforcing ba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9761호(발명의 명칭: 선반 물품의 재고관리 방법)은 선반에 진열된 물품을 RFID 태그를 통해 재고 파악하는 기술적 사상을 게재하고 있으나, 철근의 재고 파악은 현실적으로 하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 재고 파악 기술을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49761 (Title of the Invention: Inventory Management Method of Shelf Items) discloses the technical idea of inventorying items displayed on shelves through RFID tags.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inventory identification technology.

무거운 철근의 특성상, 상기 호이스트(30)를 통해 철근 또는 철근 묶음을 이동시킬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철근은 도 2와 같이 상측이 개방되고 다수 개의 구획을 갖는 선반에 적재될 수 밖에 없다.Due to the nature of the heavy reinforcing bar, the reinforcing bar or the reinforcing bar bundle has to be moved through the hoist 30, and thus, the reinforcing bar has no choice but to be loaded on a shelf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s shown in FIG. 2 .

한편, 철근은 상술한 것과 같이 원산지, 강종, 규격, 내진, 길이 또는 메이커별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수십개~수백종류로 분류되는 철근을 한정된 구획을 갖는 상기 선반에 모두 분류하여 적재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are many types of reinforcing bars by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standard, earthquake resistance, length or manufacturer, it is impossible to classify and load all rebars classified into tens to hundreds of rebars on the shelf having a limited division. There is a real problem.

물론, 상술한 것과 같이 철근 입고시 한 묶음당 철근의 정보가 기재된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나, 한 묶음의 철근이 전량 판매되는 것이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적재부(10)에 적재된 철근은 시간이 지날수록 입고시 부착된 묶음별 태그가 제거되고 섞여서 종류별 재고 파악이 힘들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inforcing bar is warehousing, a tag is attached with information on the reinforcing bar per bundle, but since the rebar in a bundle may not be sold in full, the re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 is As time goes by, tags for each bundle attached at the time of stocking are removed and mixed,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inventory by type.

또한, 철근 가공시 발생되는 로스율은 규격별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입고량에서 불출량을 뺀 산출량으로만 재고파악을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ss rate generated during rebar processing may be different for each standard, it is somewhat unreasonable to grasp the inventory only with the output amount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elivered amount from the stocked amou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재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stock of rebars loaded in a first loading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공 전 섹터와, 상기 가공 전 섹터에서 가공된 철근이 적재되는 가공 후 섹터로 구획되는 철근 가공공장에 있어서,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입고된 철근이 적재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정보를 파악하는 재고파악장치;를 포함하는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bar processing factory divided into at least one sector before machining, and a sector after machining in which rebars machined in the sector before machining are loaded, are disposed in the sector before machining and are stored A first loading unit on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loaded; And it is disposed in the sector before the processing, inventory grasping device for grasping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provides a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또한, 상기 철근의 정보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갯수와, 각각의 철근에 대한 원산지, 강종, 규격, 내진, 메이커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 may include the number of re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standard, earthquake resistance, maker and length information for each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재고파악장치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의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a camera for capturing the image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f reinforcing bars as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일단부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철근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의 갯수 또는 철근 개개의 규격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aptur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or individual standards of reinforcing bars as image data of the reinforcing bars captured by the camera.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길이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철근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 개개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aptures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length of each reinforcing bar as image data of the reinforcing bar captured by the camera.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일단부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철근 일단부에 도포된 색상 데이터로써 철근의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aptur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can calculate the origin, steel type or maker of the reinforcing bar as color data applied to one end of the rebar captured by the camera. .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일단부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철근 일단부에 도포된 기호, 문자 또는 숫자 데이터로써 철근의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aptur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determines the origin, steel type or maker of the reinforcing bar as symbol, character or numeric data applied 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captured by the camera. can be calculated.

또한, 상기 제1 적재부는 상측이 개구되어 다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은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 별로 상기 선반의 구획에 적재되며,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선반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구획별로 적재된 철근의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ading unit includes a shelf with an upper side opened and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the reinforcing bars loa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are loaded into the compartment of the shelf by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or maker, and the calculation unit is the With the image data of the shelf captured by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or maker of rebars loaded for each compartment.

또한, 상기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철근을 이동시키는 호이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고파악장치는 상기 호이스트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the rebar further comprises a hoist disposed in the sector before the processing to move the reinforcing bar, the inventory control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hoist.

또한, 상기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기 재고파악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철근의 재고 정보를 저장, 변경 또는 삭제하는 서버; 및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입고된 철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더 포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the reinforcing bar, a server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to store, change or delete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rebar; and a processing device disposed in the sector prior to processing and processing the stocked reinforcing bar;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가공 전 섹터에 재고파악장치를 배치하여 철근의 종류별 재고 파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족한 재고의 신속한 발주 또는 요청된 가공 업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inventory by type of reinforcing bar by arranging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in the sector before machining, and thus can promptly place an order for insufficient stock or perform the requested machining task quickly.

도 1은 일반적인 철근 가공공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공 전 철근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재고파악시스템이 적용된 철근 가공공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재고파악시스템의 재고파악장치와 제어부의 모듈도.
도 5는 제1 적재부에 구획 별로 적재된 철근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에 각각의 철근에 대한 메이커를 산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값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에 각각의 철근에 대한 강종을 산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값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rebar processing plan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before processing shown in Figure 1 is loade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processing factory to which the rebar inventory gras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module diagram of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rebar inventory grasp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bar loaded for each division in the first loading unit.
6 is a view showing a preset value for calculating a maker for each reinforcing bar in the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reset value for calculating the steel type for each reinforcing bar in the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herei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a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conflicts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 definition used herein shall gover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재고파악시스템이 적용된 철근 가공공장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재고파악시스템의 재고파악장치와 제어부의 모듈도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bar processing factory to which the rebar inventory gras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module diagram of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rebar stock grasp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5는 제1 적재부에 구획 별로 적재된 철근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bars loaded for each division in the first loading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에 각각의 철근에 대한 메이커를 산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값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출부에 각각의 철근에 대한 강종을 산출하기 위해 기설정된 값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preset values for calculating the maker for each reinforcing bar in the calc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a preset value for calculating the steel grad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철근 가공공장(F)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공 전 섹터(F1)와, 상기 가공 전 섹터(F1)에서 가공된 철근이 적재되는 가공 후 섹터(F2)로 구획될 수 있다.3 and 4, the reinforcing bar processing plant F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sector F1 before machining and a sector F2 after machining in which rebars machined in the sector F1 before machining are loaded.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재고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철근 가공공장(F) 또는 철근 저장창고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적재부(100) 및 재고파악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적재부(300), 호이스트(400), 가공장치(500), 서버(600) 또는 단말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such a rebar processing factory (F) or a rebar storage warehouse, and may include a first loading unit 100 and an inventory grasping device 200, and the second It may further include a loading unit 300 , a hoist 400 , a processing device 500 , a server 600 or a terminal 700 .

상기 제1 적재부(100)는 가공 전 섹터(F1)에 배치되어 입고된 철근이 적재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received by being disposed in the sector F1 before processing can be loaded.

상술한 것과 같이, 무거운 철근의 특성상 철근을 이동시키기 위해, 호이스트(400)는 상기 가공 전 섹터(F1)에 배치되어 철근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호이스트(400)는 가공된 철근을 이동시키기 위해 가공 후 섹터(F2)에도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ve the reinforcing b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reinforcing bar, the hoist 400 is disposed in the sector F1 before processing to move the reinforcing bar, and the hoist 400 moves the machined rebar It may also be disposed in the sector F2 after machining to do so.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제1 적재부(100)는 상기 호이스트(400)로써 철근의 적재와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상측이 개구되어 다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선반(110)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 the first loading part 100 may include a shelf 110 having an upper side opened to facilitate loading and movement of reinforcing bars as the hoist 400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상기 가공장치(500)는 상기 가공 전 섹터(F1)에 배치되어 입고된 철근을 가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가공은 철근의 절곡, 절단 또는 용접 등 입고된 철근을 구매자의 요청에 맞게 변형시키는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processing device 500 is disposed in the sector F1 before processing and can process the received rebar, where the processing includes bending, cutting, or welding of rebar, etc. to transform the reinforcing bar received to suit the buyer's request. can mean

상기 제2 적재부(300)는 가공 후 섹터(F2)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공 전 섹터(F1)에서 가공된 철근이 구매자에게 불출되기 전에 임시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The second loading unit 300 may be disposed in the sector F2 after processing, and may be temporarily loaded before the reinforcing bars processed in the sector F1 before processing are delivered to the purchaser.

상술한 것과 같이, 입고된 수많은 종류의 철근에서 가공 후 불출되는 철근을 단순히 뺀 수량으로 실제의 철근 재고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가공 전 섹터(F1)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정보를 파악하는 재고파악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ctual rebar stock by simply subtracting the reinforcing bars discharged after processing from the numerous types of rebars received,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sector F1 before machining and the first loading It may include an inventory grasping device 200 for grasping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unit 100 .

여기서, 상기 철근의 정보는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갯수와, 각각의 철근에 대한 원산지, 강종, 규격, 내진, 메이커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 may include the number of re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and the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standard, earthquake resistance, maker and length information for each reinforcing bar.

구체적으로, 상기 재고파악장치(200)는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카메라(210)와,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의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200 includes a camera 210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and the information of reinforcing bars as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10 It may include a calculator 220 that calculates.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하여 적재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다양한 각도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amera 210 may acquire images loaded by photographing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at various angles, thereby generating image data of various angles.

다양한 각도의 촬영을 위해, 상기 재고파악장치(200)는 상기 호이스트(400)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동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For shooting at various angles,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200 may be disposed on the hoist 400 or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driving device.

일례로,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일단부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220)는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캡처된 철근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의 갯수 또는 철근 개개의 규격을 산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amera 210 captur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 and the calculator 220 is the image data of the reinforcing bar captured by the camera 210 of the reinforcing ba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number or the size of each reinforcing bar.

여기서, 철근의 일단부는 철근의 양단부 중 상기 카메라(210)와 대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may refer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mera 210 among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

예를 들어, 철근의 규격은 철근의 지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부(22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선반(110)의 두께(t)를 기준으로 하여 정확하게 개개의 철근에 대한 지름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andard of the reinforcing bar may mea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calculator 220 accurately calculates the diameter of each reinforcing bar based on the thickness t of the shelf 110 in the image data. can do.

다른 예로,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길이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220)는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캡처된 철근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 개개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amera 210 captures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 and the calculation unit 220 uses the image data of the reinforcing bars captured by the camera 210 to individually reinforcing bars. can calculate the length of

예를 들어, 상기 산출부(22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선반(110)의 길이(l)를 기준으로 하여 정확하게 개개의 철근에 대한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lculator 220 may accurately calculate the length of each reinforcing bar based on the length l of the shelf 110 in the image data.

또 다른 예로,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일단부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220)는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캡처된 철근 일단부에 도포된 색상 데이터로써 철근의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를 산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amera 210 captur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 and the calculation unit 220 is applied 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captured by the camera 210 . The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or maker of rebar can be calculated as color data.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산출부(220)에는 색상 별로 메이커를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개개의 철근 일단부에 도포된 색상을 가지고 각 철근에 대한 메이커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a maker may be preset for each color in the calculation unit 220 , and the maker of each reinforcing bar may be identified with a color applied to one end of each reinforcing bar. .

그러나, 색상별로 기설정된 산출값은 메이커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강종, 원산지 또는 내진이 산출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calculated value preset for each color is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er, and for example, a steel type, country of origin, or earthquake resistance may be set as the calculated value.

또 다른 예로,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일단부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220)는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캡처된 철근 일단부에 도포된 기호, 문자 또는 숫자 데이터로써 철근의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를 산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amera 210 captur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 and the calculation unit 220 is applied 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captured by the camera 210 . The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or maker of rebar can be calculated with symbol, character or numeric data.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산출부(220)에는 도포된 기호, 문자 또는 숫자 별로 강종이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개개의 철근 일단부에 도포된 기호, 문자 또는 숫자를 가지고 각 철근에 대한 강종을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a steel type may be preset for each applied symbol, letter or number in the calculation unit 220 , and the symbol, letter or number applied to one end of each reinforcing bar may be You can figure out the steel type for each reinforcing bar.

그러나, 도포된 기호, 문자 또는 숫자별로 기설정된 산출값은 강종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메이커, 원산지 또는 내진이 산출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calculated value preset for each applied symbol, letter, or number is not limited to the steel type, and, for example, the manufacturer, country of origin, or earthquake resistance may be set as the calculated value.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은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 별로 상기 선반(110)의 구획에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부(220)는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캡처된 선반(110)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구획별로 적재된 철근의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를 산출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may be loaded in the compartment of the shelf 110 by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or maker, and the calculation unit 220 is operated by the camera 210 . As the image data of the captured shelf 110, the origin, steel type, or maker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for each compartment may be calculat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의 재고파악 시스템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재고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That is, the inventory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re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

이러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의 재고 정보는 서보로 취합될 수 있다.Inventory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on the at least one or more first loading units 100 may be collected by servo.

상기 서버(600)는 상기 재고파악장치(200) 및/또는 단말기(7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철근의 재고 정보를 저장,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The server 60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200 and/or the terminal 700 to store, change or delete inventory information of reinforcing bars.

여기서, 통신이라 함은 5G(5th generation), 블루투스,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NFC, Zigbee, Z-wave, IrDA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communication means 5th generation (5G), Bluetooth,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fidelity (Wi-Fi), NFC, Zigbee, Z-wave, IrDA It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ut is not limited to.

상기 서버(600)는 크게 제어부(610)와 데이터베이스부(6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610)와 데이터베이스부(620)는 상호 연동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600 may largely include a control unit 610 and a database unit 620, and the control unit 610 and the database unit 620 may perform functions by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상기 데이터베이스부(620) 각각의 가공 전 섹터(F1)에 배치된 상기 재고파악장치(200)의 산출부(220)에 상술한 산출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610)는 상기 산출값을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620 may provide the above-described calculated value to the calculation unit 220 of the inventory control device 200 disposed in each pre-processing sector F1, the control unit 610 is the calculated value can be changed or deleted.

또한, 데이터베이스부(620)에는 공급자와 구매자의 이름, 주소 및 계좌번호 또는 사업자등록증을 포함하는 회원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재고가 부족한 철근의 구매요청 등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70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unit 620 may store memb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s, addresses, and account numbers of suppliers and purchasers or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s, and promptly transmit information for purchase requests of rebars that are out of stock to the user's terminal ( 700)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서버(600)는 철근 가공공장(F)의 사무실 등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600 may be disposed in the office of the rebar processing factory (F).

상기 단말기(700)는 상기 서버(600)와 통신 가능하게 연동되며 파악된 철근의 재고 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제어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terminal 700 is communicatively interlocked with the server 600 , and may check inventory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reinforcing bars or control the control unit 610 .

여기서, 단말기(700)라함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terminal 700 refers to a personal computer (PC),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wap phone ( It may be a 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a smart phone, or a tabl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철근 가공공장(F) 내에 총 재고 파악을 검색하거나, 또는 한국 현대제철에서 제조된 SD400, D13의 길이 6.5m를 갖는 철근의 재고파악을 상기 단말기(700)로 검색하면, 상기 서버(600)는 각각의 가공전 섹터에 배치된 제1 적재부(100)에 적재된 철근을 상기 재고파악장치(200)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상기 단말기(70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total inventory in the rebar processing plant (F), or searches for inventory grasp of rebars with a length of 6.5 m of SD400 and D13 manufactured by Hyundai Steel in Korea with the terminal 700, The server 600 may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00 disposed in each pre-processing sector with the inventory tracking device 200 and provide them to the terminal 700 .

요컨대, 본 발명은 가공 전 섹터(F1)에 재고파악장치(200)를 배치하여 철근의 종류별 재고 파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족한 재고의 신속한 발주 또는 요청된 가공 업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inventory by type of rebar by arranging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200 in the sector F1 before processing, and thus promptly placing an order for insufficient inventory or processing the requested processing task quickly. can do.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know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claims I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and its equivalent scope.

F: 철근 가공공장 F1: 가공 전 섹터
F2: 가공 후 섹터 100: 제1 적재부
110: 선반 200: 재고파악장치
210: 카메라 220: 산출부
300: 제2 적재부 400: 호이스트
500: 가공장치 600: 서버
610: 제어부 620: 데이터베이스부
700: 단말기
F: Rebar processing plant F1: Sector before machining
F2: Post-machining sector 100: 1st stack
110: shelf 200: inventory control device
210: camera 220: output unit
300: second loading unit 400: hoist
500: processing unit 600: server
610: control unit 620: database unit
700: terminal

Claims (10)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공 전 섹터와, 상기 가공 전 섹터에서 가공된 철근이 적재되는 가공 후 섹터로 구획되는 철근 가공공장에 있어서,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입고된 철근이 적재되도록 상측이 개구되어 다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선반을 포함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갯수와, 각각의 철근에 대한 원산지, 강종, 규격, 내진, 메이커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철근의 정보를 파악하는 재고파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재고파악장치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의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일단부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철근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의 갯수 또는 철근 개개의 규격을 산출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철근 일단부에 도포된 색상, 기호, 문자 또는 숫자 데이터로써 철근의 원산지, 강종 또는 메이커를 산출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적재부에 적재된 철근의 길이를 캡쳐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철근의 이미지 데이터로써 철근 개개의 길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선반의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정확하게 개개의 철근에 대한 지름을 산출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선반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개개의 철근에 대한 길이를 산출하는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
In a rebar processing factory divided into at least one sector before machining and a sector after machining in which rebars machined in the sector before machining are loaded,
A first loading unit including a shelf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by opening the upper side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placed in the sector before processing are loaded; and
Inventory grasping device for reinforc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rebars placed in the sector before processing and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standard, earthquake resistance, maker and length information for each rebar; includes,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reinforcing bars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s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The camera captures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or individual standards of reinforcing bars as image data of reinforcing bars captured by the camera, and captured by the camera. Calculate the country of origin, steel type, or maker of the rebar with the color, symbol, character or numeric data applied to one end of the rebar,
The camera captures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loaded in the first loading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length of each reinforcing bar as image data of the reinforcing bar captured by the camera,
The calculation unit accurately calculates the diameter of each reinforcing bar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shelf in the image data, and a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hat calculates the length of each rebar based on the length of the shelf in the image data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철근을 이동시키는 호이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고파악장치는 상기 호이스트에 배치되는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the rebar further comprises a hoist disposed in the sector before the processing to move the rebar,
The inventory control system is a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hat is disposed on the ho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은,
상기 재고파악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철근의 재고 정보를 저장, 변경 또는 삭제하는 서버; 및
상기 가공 전 섹터에 배치되어 입고된 철근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더 포함하는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 server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inventory grasping device to store, change or delete inventory information of reinforcing bars; and
Rebar inventor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the received rebar disposed in the sector before the machining.
KR1020200041973A 2020-04-07 2020-04-07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KR102462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73A KR102462840B1 (en) 2020-04-07 2020-04-07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73A KR102462840B1 (en) 2020-04-07 2020-04-07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662A KR20210124662A (en) 2021-10-15
KR102462840B1 true KR102462840B1 (en) 2022-11-04

Family

ID=7815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973A KR102462840B1 (en) 2020-04-07 2020-04-07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8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50B1 (en) * 2011-03-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stock of scrap and method thereof
KR101679381B1 (en) * 2015-04-09 2016-11-25 김연호 Method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KR101969262B1 (en) * 2018-05-15 2019-04-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arehous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850B1 (en) * 2011-03-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stock of scrap and method thereof
KR101679381B1 (en) * 2015-04-09 2016-11-25 김연호 Method for providing inventory management service
KR101969262B1 (en) * 2018-05-15 2019-04-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arehous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662A (en)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64275B (en) Robot-based intelligent warehous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430198B (en) M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stock
CN104574011B (en) Produce the method and apparatus and warehouse management system of order
Popović et al.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s for sequencing of AS/RS with a triple-shuttle module in class-based storage
US11042835B2 (en) Point of purchase packaging
KR20160067807A (en)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real-time stock reporting
US119546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space utilization of containers at retail storage facilities
CN101236621A (en) Account checking system and method
KR102462840B1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rebar
CN113435821A (en) Material warehous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Burinskiene The travelling of forklifts in warehouses
JP5811624B2 (en) Product storag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operation support device
KR1011600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ick steel plate using rfid
CN110910058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materials
JP6244929B2 (en) Semi-finished product management system
JPH1035830A (en) Warehouse control system
Silapunt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mart object for the IoT-enabled smart warehouse
JP4163976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inventory management method
Garcia et al. Towards automatic part identification in sheet metal workshops
JP6659927B2 (en) Information grasp management device, terminal of information grasp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of information grasp management device
CN111079870A (en) Turnover box bin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electronic tag
KR102425106B1 (en) System and method to pick goods for fulfillment distribution center
CN219916366U (en) Management system of stock position logistics
Alumbugu et al. Autom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s handling: the case study in North Central Nigeria
JP2012071974A (en) Yard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yard operation support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t y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