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739B1 - 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739B1
KR102462739B1 KR1020200109440A KR20200109440A KR102462739B1 KR 102462739 B1 KR102462739 B1 KR 102462739B1 KR 1020200109440 A KR1020200109440 A KR 1020200109440A KR 20200109440 A KR20200109440 A KR 20200109440A KR 102462739 B1 KR102462739 B1 KR 10246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rol unit
assigned
traction battery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4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0200A (en
Inventor
크리스토프 쿤
지어크 피빅
크리노 보르네만
크리스티안 빅크
사샤 베아우리
로빈 제어라크
마리우스 지르제스코비아크
크리스티네 쉬츠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1003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구동 자동차(2)용 트랙션 배터리(4)에 관한 것이다. 트랙션 배터리는 연이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10)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배터리 소자(10)는 2개의 단자(16)가 배치된 접속면(14)을 가지며, 각각의 제 1 배터리 소자(10)에 제어 유닛(20)이 할당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할당된 제 1 배터리 소자(10)의 접속면(14)의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트랙션 배터리(4)는 이웃한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10)를 위한 형성된 각각의 연결 장치(22)를 포함하고, 각각의 연결 장치는 이웃한 제 1 배터리 소자들(10)의 단자들(16) 중 하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24)와 이웃한 제 1 배터리 소자들(10)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20)을 데이터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데이터 컨덕터(2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트랙션 배터리(4)를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2)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battery (4) for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2). The traction battery comprises at least two first battery elements 10 arranged in series, each first battery element 10 having a connecting surface 14 on which two terminals 16 are arranged, each A control unit 20 is assigned to one battery element 10 , said control unit being arranged in the region of the connection surface 14 of the assigned first battery element 10 . Furthermore, the traction battery 4 comprises a respective connecting device 22 formed for two adjacent first battery elements 10 , each connecting device having a terminal of the adjacent first battery elements 10 . A bus bar 24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16 to each other and a data conductor 26 connecting the control units 20 assigned to the adjacent first battery elements 10 to each other in data technology. include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2) with such a traction battery (4).

Figure R1020200109440
Figure R1020200109440

Description

트랙션 배터리 및 전기 구동 자동차{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소자를 포함하며 전기 구동 자동차를 위해 제공되는 트랙션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배터리 소자는 2개의 단자가 배치된 접속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트랙션 배터리를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battery comprising at least two battery elements and provided for an electric driven vehicle, each battery element having a connection surface on which two terminals are arranged.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with such a traction battery.

전기 구동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트랙션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트랙션 배터리는 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 경우 전기 구동 자동차란 특히,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트랙션 배터리에만 저장하는 전기 차량(BEV, battery electric vehicle), 레인지 익스텐더가 장착된 전기 차량(REEV, range extende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및/또는 연료 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트랙션 배터리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연료 전지 차량(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이다.BACKGROUND ART An electric powered vehicle generally has a traction battery, which supplies electrical energy to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electric driving vehicle is, in particular, a battery electric vehicle (BEV) that stores energy required for driving only in a traction battery, a range extended electric vehicle (REEV) equipped with a range extender, and a hybrid vehicle (HEV)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and/or a 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that temporarily stores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a fuel cell in a traction battery.

적절하게는 이러한 트랙션 배터리는 모듈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트랙션 배터리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들은 또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관련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들 및 배터리 모듈들은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트랙션 배터리는 자동차의 작동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은 상기 모듈의 (모듈) 단자에서 고전압 커넥터라고도 하는 버스 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Suitably such a traction battery is constructed in a modular manner. A traction battery thus comprises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said battery modules also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battery cells and battery modules of the associated battery module are connected in series and/or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raction battery can provide a voltage and current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us bars, also called high voltage connectors, at the (module) terminals of the modules.

또한, 예를 들어 각각의 배터리 모듈마다 셀 관리 컨트롤러라고도 하는 제어 유닛이 제공된다. 이것은 특히 관련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데 이용되고 모듈 내부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이용된다.Also, for example, a control unit, also called a cell management controller, is provided for each battery module. It is used in particular to control the battery cells of the relevant battery module and to collect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s inside the module.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적합한 트랙션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조립 복잡성이 감소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트랙션 배터리를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가 제공되어야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cularly suitable traction battery. In particular, the assembly complexity should be reduced. In addition,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with such a traction battery should be provided.

트랙션 배터리와 관련하여,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전기 구동 자동차와 관련하여,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트랙션 배터리와 관련된 설명은 전기 구동 자동차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With regard to a traction battery, the above problem is sol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the features of claim 1 . In the context of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the above problem is sol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the features of claim 10 . Preferred embodiments and improvements are the subject of the dependent claims. The discussion regarding traction batteries applies similarly to electric powered vehicles and vice versa.

트랙션 배터리는 전기 구동 자동차를 위해 제공되고 설정된다. 트랙션 배터리는 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는 제 1(모듈-)열을 형성하면서 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배터리 소자는 바람직하게 배터리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A traction battery is provided and set up for an electric powered vehicle. The traction battery comprises at least two first battery elements arranged one after the other in a column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at least two first battery elements are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forming a first (module-) column. The first battery element is preferably housed within the battery housing.

열 방향은 이 경우 예를 들어 세로로, 즉 수직으로 또는 배터리 소자 높이를 따라 배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터리 소자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열 방향은 예를 들어 가로로, 즉 수평으로 또는 배터리 소자 길이를 따라 배향된다. 후속하는 설명은 특히, 열 방향이 배터리 길이 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것과 관련된다.The column direction can in this case be oriented, for example, longitudinally, ie vertically or along the height of the battery element. In other words, the battery elements are substantially stacked on each other. Preferably the column direction is oriented for example transversely, ie horizontally or along the length of the battery element.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relates in particular to that the column direction is oriented along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각각의 제 1 배터리 소자는 2개의 단자가 배치된 접속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접속면은 배터리 하우징의 배터리 하우징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다. 단자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적절한 방식으로 제 1 배터리 소자의 접속면의 법선은 배터리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배터리 가로 방향은 또한 배터리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접속면들은 서로에 대해 정렬되며, 다시 말해서 접속면들은 공통 평면에 걸쳐 있다. 이때 단자들은 배터리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정렬된다.Each first battery element has a connection surface on which two terminals are arranged. Preferably the contact surface is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of the battery housing of the battery housing. Terminals are used to provide voltage or current. In a suitable manner the normal of the connection face of the first battery element extends along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which also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the contact surfaces are alig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e they span a common plane. The terminals are then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또한, 특히 배터리 셀을 위한 또는 제 1 배터리 소자의 모듈 내부 센서를 위한 제어 유닛(CMC, 셀 관리 컨트롤러)이 각각의 제 1 배터리 소자에 할당되고, 이 경우 제어 유닛은 할당된 제 1 배터리 소자의 접속면의 영역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은 배터리 길이 방향과 관련해서 관련 제 1 배터리 소자의 단자들 사이에 배치된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CMC, cell management controller), in particular for a battery cell or for a sensor inside a module of the first battery element, is assigned to each first battery element, in which cas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t is arranged in the area of the connection surfac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arranged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associated first battery element in rela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트랙션 배터리는 또한 배터리 길이 방향과 관련해서 이웃한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연결 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결 장치는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data conductor)를 포함한다. 이웃한 제 1 배터리 소자들의 단자들 중 하나는 버스 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버스 바는 제 1 배터리 소자들 중 하나의 배터리 소자의 단자를 이웃한 배터리 소자의 단자들 중 하나에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길이 방향과 관련해서 이웃한 단자들은 버스 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관련 데이터 컨덕터는 이웃한 제 1 배터리 소자들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을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한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은 신호의 전송도 포함한다. 특히, 연결 장치에 의해 이웃한 배터리 모듈들은 전기적으로 및 이들의 할당된 제어 유닛들은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직렬로 연결된다.The traction battery also comprises integrally formed respective connecting devices for two first battery elements which are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Each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bus bar and a data conductor. One of the terminals of the adjacent first battery element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us bar. In other words, the bus bar connects the terminal of one of the first battery elements to one of the terminals of the neighboring battery element. Preferably, terminal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us bar. The associated data conductor connects the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 neighboring first battery elements to each other in a data transfer technique. In this case, data transmission also includes the transmission of signals. In particular, by means of a connecting device, neighboring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ir assigned control unit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적절한 방식으로 이웃한 2개의 배터리 소자를 위한 연결 장치는 할당된 제어 유닛들 사이에 배치된다.A connecting device for two adjacent battery elements in a suitable manner is arranged between the assigned control units.

예를 들어, 연결 장치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는 일체형 연결 장치의 형성 하에 플라스틱으로 압출 코팅되고, 즉 (플라스틱) 피복을 갖는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device is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bus bar and data conductors are extrusion coated with plastic under the formation of an integral connection device, ie have a (plastic) sheath.

버스 바 및 데이터 컨덕터가 있는 연결 장치의 일체형 형성으로 인해 전기적 및 데이터 전송 기술적 연결부의 비교적 간단하고 시간을 절약하는 조립 및 제조가 가능해진다. 즉, 서로 별도의 부분들로서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의 조립과 달리 일체형 연결 장치만이 조립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공통의 피복으로 인해 그리고 이와 동시에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 사이의 규정된 상대 위치로 인해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 사이에 비교적 확실한 전기 절연이 추가로 실현된다.The integral 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with the bus bar and the data conductor enables a relatively simple and time-saving assembly and manufacture of the electrical and data transmission technical connections. That is, unlike the assembly of the bus bar and the data conductor as separate parts, only the integral connection device is assembled. In particular, a relatively reliable electrical insulation is additionally realized between the bus bar and the data conductor due to the common sheathing preferably formed of plastic an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defined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bus bar and the data conductor.

배터리 소자란 여기서 및 이하 특히 배터리 모듈을 의미하며, 계속해서 그렇게 지칭된다. 본 발명은 그러나 보편성을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개별 배터리 셀(단일 셀, Single Cell)의 연결 또는 조립을 위한 것과 다른 배터리 형태에도 전용될 수 있다.By battery element is meant here and hereinafter in particular a battery module and continues to be referred to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s not limited in its generality and may be dedicated to battery types other than, for example, the connection or assembly of individual battery cells (Single Cell).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각각의 연결 장치는 그것의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 사이에 탄성 영역을 갖는다. 적절한 방식으로 탄성 영역은 플라스틱, 특히 엘라스토머 또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In a preferred refinement each connecting device has an elastic region between its bus bar and the data conductor. In a suitable manner, the elastic region is formed by plastics, in particular elastomers or thermoplastics.

예를 들어, 버스 바를 둘러싸는(플라스틱) 피복 영역, 데이터 컨덕터를 둘러싸거나 지지하는 영역 및 탄성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다성분 사출 성형 공정은 이와 같은 연결 장치를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플라스틱 피복 전체는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된다.For example, different plastics are used for the covering area surrounding the bus bar (plastic), the area surrounding or supporting the data conductor and the elastic area. A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process is preferably used to manufacture such a connecting device. As an alternative to this, the entire plastic covering is formed by an elastomer.

탄성 영역으로 인해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 사이에 기계적 디커플링이 실현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버스 바에 작용하는 힘 또는 상기 버스 바로부터, 예를 들어 그것의 열팽창의 결과로서 야기되는 힘은 데이터 컨덕터로 전달되지 않거나 감소한 양으로만 전달된다. 탄성 영역에 의해 또한, 예를 들어 운행으로 인한 차량 비틀림의 경우, 배터리, 조립 공간 등의 기계적 응력에 의한 영향이 감소한다.A mechanical decoupling between the bus bar and the data conductor is realized due to the elastic region. Accordingly, preferably the force acting on the bus bar or the force resulting from the bus bar, for example as a result of its thermal expans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data conductor or is transmitted only in a reduced amount. The resilient region also reduces the influence of mechanical stresses in the battery, assembly space, etc. in the case of tors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due to driving.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버스 바 - 및 적어도 버스 바의 영역의 연결 장치 - 는 단자들을 위한 그것의 접속부들 사이에 아치형 섹션을 갖는다. 이 섹션은 특히 배처럼 튀어나온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가로 방향 및 배터리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배터리 수직 방향(상향)으로 만곡된다. 바람직하게 단자들을 위한 접속부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us bar - and at least the connecting device in the region of the bus bar - has an arcuate section between its connections for the terminals. This section is particularly pear-shaped and is preferably curved in the battery vertical direction (upward) perpendicular to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the connections for the terminals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이러한 이유로 버스 바는 접속부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접속부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적어도 약간 압축 가능하거나 신축 가능하므로, 해당 힘이 흡수될 수 있고 및/또는 공차, 특히 버스 바 또는 연결 장치의 길이가 보상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bus bar is elastically at least slightly compressible or stretch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one of the connections to the other, so that the corresponding forces can be absorbed and/or the tolerances, in particular the length of the bus bar or the connection device, are reduced. can be compensated.

트랙션 배터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랙션 배터리는 또한 배터리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열은 서로 평행하고, 배터리 모듈은 바람직하게 배터리 가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정렬된다. 각각의 제 2 배터리 모듈은 2개의 단자가 배치된 접속면을 가지며, 제 2 배터리 모듈의 접속면은 제 1 배터리 모듈의 접속면에 마주 놓인다. 요약하면, 제 1 배터리 모듈과 제 2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가로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평면과 관련해서 거울 대칭으로 배치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action battery, the traction battery also comprises at least two second battery modules arranged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The first and second rows are thus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battery modules are preferably alig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Each second battery module has a connection surface on which two terminals are disposed, and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faces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first battery module. In summary, the first battery module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are arranged mirror-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plane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또한, 각각의 제 2 배터리 모듈에는 그 접속면의 영역에 배치된 제어 유닛이 할당된다. 특히, 제 1 배터리 모듈과 이에 마주 놓인 제 2 배터리 모듈 사이에 배터리 가로 방향으로 이들에 할당된 2개의 제어 유닛이 배치된다.Further, each second battery module is assigned a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area of its connection surface. In particular, between the first battery module and the opposite second battery module are arranged two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m in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배터리 길이 방향과 관련해서 이웃한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은 이들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에 마주 놓인 제 1 배터리 모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은 이 연결 장치에 의해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연결 장치는 상응하게 추가 버스 바 또는 추가 데이터 컨덕터를 갖는다.Two second battery modules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device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battery modules facing each other to these two second battery module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se two second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by this connecting device. For this purpose, the connection device has correspondingly additional bus bars or additional data conductors.

요약하면 관련 연결 장치는 2개의 버스 바와 2개의 데이터 컨덕터를 갖는다. 이웃한 2개의 제 1 배터리 모듈의 단자들은 이들 2개의 버스 바 중 하나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제 1 배터리 모듈에 마주 놓인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의 단자들은 연결 장치의 2개의 버스 바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또한, 2개의 데이터 컨덕터 중 하나에 의해, 이웃한 제 1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 2개의 제어 유닛이 데이터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관련 연결 장치의 2개의 데이터 컨덕터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제 2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 2개의 제어 유닛이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특히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고, 이에 할당된 2개의 제어 유닛은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직렬로 연결된다.In summary, the associated connection device has two bus bars and two data conductors. The terminals of two adjacent first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of these two bus bars, and the terminals of two second battery modules facing these first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to the two bus bars of the connect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other. Further, by means of one of the two data conductors, the two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 neighboring first battery module are data-tech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y the other of the two data conductors of the associated connecting device to the second battery module. The two assigned control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echnically for data transmission. In particular, the two second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the two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m are connected in series in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2개의 버스 바와 2개의 데이터 컨덕터가 있는 이러한 일체형 연결 장치로 인해 조립 복잡성이 더욱 감소한다.Assembly complexity is further reduced due to this integral connection device with two bus bars and two data conductors.

예를 들어, 배터리 하우징 내에 스트럿 또는 골격형 보강 구조물이 제공되며, 이들은 자동차의 충돌 시 트랙션 배터리에 작용하는 힘을 유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결 장치는 데이터 컨덕터들 사이에 홀과 같은 리세스를 갖는다. 리세스는 특히 각각의 보강 돔을 위해 제공되며, 상기 보강 돔에 예를 들어 배터리 하우징의 배터리 하우징 커버가 고정된다.For example, struts or skeletal reinforcement structures are provided within the battery housing, which induce forces acting on the traction battery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connection device has a recess such as a hole between the data conductors. A recess is provided in particular for each reinforcing dome, to which a battery housing cover, for example of a battery housing, is fixed.

따라서 리세스는 제 1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컨덕터와 제 2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컨덕터 사이에 배치된다.Accordingly, the recess is disposed between the data conduct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 first battery module and the data conduct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 second battery module.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결 장치는 자동 그립핑 로봇을 위한 그립핑 윤곽(그리퍼 리셉터클)을 갖는다. 이러한 그립핑 로봇을 이용한 연결 장치의 자동 조립에 의해, 바람직하게 조립 시간이 수동 조립에 비해 감소한다. 그립핑 윤곽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추가하여, 각각의 연결 장치는 연결 장치를 정렬하기 위한 위치 설정 윤곽을 갖는다.According to a preferred refinement, each connection device has a gripping contour (gripper receptacle) for an automatic gripping robot. By means of the automatic assembly of the connecting device using such a gripping robot, the assembly time is advantageously reduced compared to manual assembly. As an alternative or preferably in addition to the gripping contour, each connecting device has a positioning contour for aligning the connecting device.

그립핑 윤곽 및/또는 위치 설정 윤곽은 바람직하게 버스 바의 영역에 배치된다. 적절한 방식으로 이러한 윤곽은 버스 바의 플라스틱 피복의 제조 시 사출 성형 공정 중에 형성된다.The gripping contour and/or the positioning contour are preferably arranged in the region of the bus bar. In a suitable manner, these contours are forme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in the manufacture of the plastic covering of the bus bar.

예를 들어, 제어 유닛들은 (데이터-)케이블에 의해 서로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적절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제어 유닛은 광학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데이터 컨덕터는 광도파관으로서 형성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s are tech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data transmission by (data-) cables. However, according to a suitable embodiment, each control unit is configured for optical data transmission. For this purpose, each data conductor is formed as an optical waveguide.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어 유닛은 배터리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단부면에 광학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의 하우징에, 바람직하게는 관련 단부면에 연장부가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배터리 길이 방향과 관련해서 인터페이스를 넘어 돌출하고 단부면을 향해 위로 튀어나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refinement, each control unit comprises a respective interface for optical data transmission on an end face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In this case, an extension is arranged in the housing of the control unit, preferably at an associated end face, said extension projecting beyond the interface in rela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and protruding upward towards the end face.

예를 들어, 연장부는 벽 섹션을 갖고, 상기 벽 섹션들은 단부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로 튀어나와 있고 하우징 바닥의 하우징 바닥 법선에 대해, 즉 배터리 수직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특히 2개의 벽 섹션은 V자형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장부는 조립 중에 가이드로서 또는 위치 설정 보조 장치로써 이용된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클립- 또는 래치 연결과 같은 위치 설정 보조 장치를 위한 다른 형상도 고려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nsion has wall sections which project upward perpendicular to the end face and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floor normal of the housing floor, ie with respect to the battery vertic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two wall sections form a V-shape. The extension thus serves as a guide during assembly or as a positioning aid. As an alternative, other shapes for positioning aids, such as, for example, clip- or latch connections, are also conceivable.

바람직하게 연장부는 배터리 가로 방향으로 광도파관으로서 형성된 데이터 컨덕터의 자유 단부를 덮는다. 특히 트랙션 배터리의 조립 상태에서 데이터 컨덕터의 자유 단부측은 벽 섹션 사이로 돌출한다. 데이터 컨덕터의 자유 단부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의 LED에 대해 또는 (광-)센서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 장치에 힘이 작용하거나 배터리 전류로 인한 버스 바의 열 팽창 시 및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버스 바의 경우에 따라 동반되는 조절 시, 데이터 컨덕터의 자유 단부는 연장부에 의해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유지되고/또는 연장부로 인해 및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약간의 유연성으로 인해 인터페이스로 정렬되어 유지된다.The extension preferably covers the free end of the data conductor formed as a light pipe in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In particular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traction battery, the free end side of the data conductor protrudes between the wall sections. The free end of the data conductor is arranged,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LED of the interface or with respect to the (photo-)sensor spaced apart. In the event of a thermal expansion of the bus bar due to a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device or due to a battery current and, in the case of an optionally accompanying adjustment of the bus bar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 the free end of the data conductor is held in the interface area by means of an extension and/or extended Due to the part and at least some flexibility of the extension keeps it aligned with the interface.

또한, 연장부에 의해 인터페이스 상에 오염물, 특히 먼지 입자의 침착이 저지되거나 그 위험이 적어도 감소한다. 요약하면 연장부는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Furthermore, the deposition of contaminants, in particular dust particles, on the interface is prevented or at least reduced by the extension. In summary, the extension performs several functions.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어 유닛은 관련 배터리 모듈의 대응하는 플러그 리셉터클을 위한 상기 제어 유닛의 하우징에 견고하게 배치된 플러그를 갖는다. 플러그 리셉터클은 할당된 제 1 또는 제 2 배터리 모듈의 접속면에, 적합하게는 2개의 단자 사이에 배치된다. 플러그와 플러그 리셉터클은 조립 상태에서 플러그 연결을 형성하며, 이 경우 배터리 모듈과 제어 유닛 사이에 추가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다. 이로 인해, 조립 복잡성이 바람직하게 더욱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은 공간 절약 방식으로 접속면에 접촉하고, 예를 들어 스크루-, 래치 또는 클립 연결에 의해 배터리 모듈에 고정된다. 이로써 할당된 배터리 모듈에 대해서 제어 장치의 위치 설정 신뢰성이 바람직하게 증가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refinement, each control unit has a plug rigidly arranged in the housing of said control unit for a corresponding plug receptacle of an associated battery module. The plug receptacle is arranged on the connecting face of the assigned first or second battery module, suitably between the two terminals. The plug and plug receptacle form a plug connection in the assembled state, in which case no additional cables are required between the battery module and the control unit. Due to this, the assembly complexity is advantageously further reduced. 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acts the connection surface in a space-saving manner and is fixed to the battery module by means of a screw-, latch or clip connection, for example. This advantageously increases the positioning reliability of the control device for the assigned battery modul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기 구동 자동차는 위에 제시된 변형예들 중 하나의 트랙션 배터리를 구비한다. 특히, 일체로 형성된 연결 장치에 의해 이웃한 배터리 모듈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은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ectric powered vehicle has a traction battery of one of the variants presented above. In particular, not only the neighboring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tegrally formed connection device, but also the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se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ata transmission techniqu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각각의 배터리 모듈에 제어 유닛이 할당되고, 연결 장치를 이용해서 각각 이웃한 배터리 모듈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것의 할당된 제어 유닛들은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다수의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트랙션 배터리를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각각의 제 1 배터리 모듈이 2개의 단자 및 할당된 제어 유닛의 플러그를 위한, 단자들 사이에 배치된 플러그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접속면을 갖는, 제 1 배터리 모듈의 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연결 장치에 의해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2개의 버스 바와 2개의 데이터 컨덕터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연결 장치를 도시한 사시 평면도.
도 4b는 버스 바와 데이터 컨덕터 사이에 각각 탄성 영역을 갖는 연결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광학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웃한 제어 유닛의 제어 유닛과의 인터페이스의 제 1 변형예에 의해 제어 유닛들 중 하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제어 유닛의 하우징이 인터페이스를 넘어 돌출하고 단부면을 향해 위로 튀어나와 있는 연장부를 갖는, 인터페이스의 제 2 변형예에 의해 제어 유닛들 중 하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shows that a control unit is assigned to each battery module, each neighboring battery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connection device and their assigned control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a plurality of first and Schematic illustration of an electric powered vehicle with a traction battery comprising a second battery modu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w of first battery modules, each first battery module having a connecting surface comprising two terminals and a plug receptacle arranged between the terminals, for a plug of an assigned control unit;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units assigned to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modules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by means of a connecting device;
Fig. 4a is a perspective plan view showing a connecting device integrally formed with two bus bars and two data conductors;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connecting device, each having an elastic region between the bus bar and the data conductor;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in part of one of the control units by way of a first variant of the interface with the control unit of a neighboring control unit for optical data transmission;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in part of one of the control units by way of a second variant of the interface, in which the housing of the control unit projects beyond the interface and has an extension projecting upward towards the end face;

서로 상응하는 부분들 및 크기는 모든 도면에서 항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Parts and siz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lway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ll drawings.

도 1에 트랙션 배터리(4)를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2)가 도시된다. 트랙션 배터리(4)는 배터리 접속부(6)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와 같은 컨슈머(7)를 위한 전압 또는 전류를 제공한다.1 shows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2 with a traction battery 4 . The traction battery 4 provides at the battery connection 6 a voltage or current for the consumer 7 ,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for driving the motor vehicle 2 .

트랙션 배터리(4)는 배터리 하우징(8)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열- 또는 배터리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제 1 배터리 소자 또는 배터리 모듈(10)의 제 1 열과 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제 2 배터리 소자 또는 배터리 모듈(12)의 제 2 열이 수용된다. 제 2 열은 배터리 가로 방향(Q)으로 제 1 열에 대해 오프셋 되어 배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랙션 배터리(4)는 각각 6개의 제 1 배터리 모듈(10) 및 6개의 제 2 배터리 모듈(12)을 포함하고, 트랙션 배터리의 추가로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트랙션 배터리는 또한 6개보다 많거나 적은 제 1 배터리 모듈(10) 또는 제 2 배터리 모듈(12)을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제 1 배터리 모듈(10) 및 적어도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12)을 포함한다.The traction battery 4 comprises a battery housing 8 , in which the first row of battery elements or battery modules 10 extending in the row- or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oriented parallel thereto A second row of second battery elements or battery modules 12 is accommodated. The second row is arranged offset from the first row in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Q).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traction battery 4 comprises six first battery modules 10 and six second battery modules 12, respectively, in a further unillustrated variant of the traction battery, The traction battery also includes more or less than six first battery modules (10) or second battery modules (12), at least two first battery modules (10) and at least two second battery modules (12) includes

제 1 배터리 모듈(10)과 제 2 배터리 모듈(12)은 또한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배터리 접속부(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battery module 10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are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onnection 6 in a manner not shown.

제 1 배터리 모듈(10)과 제 2 배터리 모듈(12)은 각각 접속면(14)을 갖는다. 각각의 접속면(14)에, 2개의 단자(16) 및 배터리 길이 방향(L)과 관련하여 2개의 단자(16) 사이에 있는 하나의 플러그 리셉터클(18)이 배치된다. 이 경우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접속면들(14)은 각각 배터리 가로 방향(Q)으로 마주 놓인 제 2 배터리 모듈(12)의 접속면들(14)을 향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서,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접속면들(14)은 배터리 가로 방향(Q)과 관련하여 제 2 배터리 모듈(12)의 접속면들에 마주 놓인다. 따라서 접속면들(14)은 배터리 가로 방향(Q)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고 배터리 중심을 향한다.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접속면들(14)은 공통 평면에 걸쳐 있고, 제 2 배터리 모듈(12)의 접속면들(14)은 이 평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걸쳐 있다.The first battery module 10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each have a connection surface 14 . On each connection surface 14 , two terminals 16 and one plug receptacle 18 are arranged between the two terminals 16 in rela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battery. In this case, the connection surfaces 14 of the first battery module 10 each face the connection surfaces 14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facing each other in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Q, and vice versa.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surfaces 14 of the first battery module 10 face the connection surfaces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with respect to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Q. The contact surfaces 14 are thus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Q and towards the center of the battery. The connecting surfaces 14 of the first battery module 10 span a common plane, and the connecting surfaces 14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span a plane parallel to this plane.

제 1 배터리 모듈(10) 및 제 2 배터리 모듈(12)에는 각각 제어 유닛(20)이 할당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각각의 할당된 배터리 모듈(10 또는 12)의 접속면(14) 영역에 배치된다. 이로써 이러한 할당된 2개의 제어 유닛(20)은 배터리 가로 방향(Q)으로 제 1 배터리 모듈(10) 중 하나와 이에 마주 놓인 제 2 배터리 모듈(12) 사이에 배치된다. A control unit 20 is assigned to each of the first battery module 10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 and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in the area of the connection surface 14 of each assigned battery module 10 or 12 . do. Thereby, these assigned two control units 20 are arranged between one of the first battery modules 10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facing it in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Q.

배터리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이웃한 2개의 제 1 배터리 모듈(10) 각각을 위해, 그리고 배터리 가로 방향(Q)으로 이에 마주 놓인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12)을 위해 공통의 연결 장치(22)가 제공된다. 관련 연결 장치(22)는 2개의 버스 바(24) 및 2개의 데이터 컨덕터(26)를 가지며, 상기 연결 장치(22)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버스 바(24) 및 데이터 컨덕터(26)에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피복이 제공된다.A common connecting device ( 22) is provided. The associated connection device 22 has two bus bars 24 and two data conductors 26 , said connection device 22 being integrally formed. To this end, the bus bar 24 and the data conductor 26 are provided with a plastic sheath produced by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대응하는 이웃한 제 1 배터리 모듈들(10)의 단자들(16)은 관련 연결 장치(22)의 2개의 버스 바(24) 중 하나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 연결 장치(22)의 2개의 버스 바(24)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이러한 제 1 배터리 모듈(10)에 마주 놓인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12)의 단자들(16)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2개의 제 1 배터리 모듈(10)은 서로 직렬 연결된다. 또한,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12)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The terminals 16 of the corresponding neighboring first battery modules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of the two bus bars 24 of the associated connecting device 22 . The terminals 16 of two second battery modules 12 opposite this first battery module 10 by the other of the two bus bars 24 of this connection device 2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do. The two first battery modules 10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lso, the two second battery modules 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버스 바(24)는 스크루 부재(28)에 의해 대응하는 단자(16)에 각각 고정된다.The bus bars 24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6 by means of screw members 28 .

또한, 이러한 연결 장치(22)의 2개의 데이터 컨덕터(26) 중 하나에 의해, 대응하는 제 1 배터리 모듈(10)에 할당된 2개의 제어 유닛(20)이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장치(22)의 2개의 데이터 컨덕터(26) 중 다른 하나에 의해,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12)에 할당된 2개의 제어 유닛(20)이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된다.In addition, by means of one of the two data conductors 26 of this connection device 22 , the two control units 20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battery module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ata transfer technology, such By way of the other of the two data conductors 26 of the connection device 22 , the two control units 20 assigned to the two second battery module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ata transfer technique.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 1에서 배터리 길이 방향(L)으로 전방에 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 유닛들(20)은 투시적으로 도시되고, 이 방향으로 전방에 있는 연결 장치(22)는 도시되지 않는다.In order to improve visibility, the control units 20 (not shown) forward in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L in FIG. 1 are shown in perspective, and the connection device 22 forward in this direction. is not shown.

도 2에서, 배터리 모듈(10, 12) 및 그 제어 유닛들(20)의 이러한 연결의 확대된 부분이 사시도에 도시된다. 제 2 배터리 모듈(12)은 명료함을 개선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In FIG. 2 , an enlarged part of this connection of the battery module 10 , 12 and its control units 20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is not shown to improve clarity.

또한,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들(20)은 관련 배터리 모듈(10 또는 12)의 플러그 리셉터클(18)을 위한, 하우징(30)에 견고하게 배치된 플러그(32)를 갖는다. 플러그(32)와 플러그 리셉터클(18)은 조립된 상태에서 플러그 연결을 형성한다. 제어 유닛들(20)은 해당 배터리 모듈(10 또는 12)의 관련 접속면(14)에 접촉하고 스크루 연결에 의해 고정된다.Also, as can be seen in particular in FIG. 2 , the control units 20 have a plug 32 , rigidly arranged in the housing 30 , for the plug receptacle 18 of the associated battery module 10 or 12 . have Plug 32 and plug receptacle 18 form a plug connection in the assembled state. The control units 20 are in contact with the associated connection surface 14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module 10 or 12 and are fixed by means of a screw connection.

연결 장치들(22) 사이에 제어 유닛(20)의 배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 길이 방향(L)으로 최후방 제어 유닛들(20)은 연결 장치(22')에 의해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데이터 컨덕터(26)는 U자형을 갖고, 연결 장치(22')는 단일 버스 바만을 포함한다.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unit 20 between the connecting devices 22 is shown in FIG. 3 . The rearmost control units 20 in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by means of a connecting device 22', the data conductor 26 having a U-shape, and the connecting device 22' being It contains only a single bus bar.

트랙션 배터리(4)의 추가로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연결 장치(22)에 의해 이웃한 2개의 제 1 배터리 모듈(10)만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것의 할당된 제어 유닛들(20)은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웃한 2개의 제 2 배터리 모듈(12)만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것의 할당된 제어 유닛들(20)은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된다.According to a further unillustrated variant of the traction battery 4 , only two adjacent first battery modules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a connecting device 22 , and their assigned control units 20 ) is tech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data transmission, or as an alternative to this, only two adjacent second battery modules 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ir assigned control units 20 are tech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data transmission do.

연결 장치들(22) 중 하나는 도 4a에 비교적 상세하게 도시된다. 연결 장치(22)는 단자(16)를 위한 버스 바(24)의 접속부들(33) 사이의 영역에 아치형 섹션을 갖는다. 상기 섹션은 배터리 가로 방향(Q)과 배터리 세로 방향(L)에 대해 수직인 배터리 수직 방향(Z)(위쪽)으로 만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장치(22)는 배터리 길이 방향(L)으로 적어도 약간 압축되거나 신장될 수 있다.One of the connecting devices 22 is shown in relatively detail in FIG. 4A . The connecting device 22 has an arcuate section in the region between the connections 33 of the bus bar 24 for the terminals 16 . The section is curved in the battery vertical direction Z (up) perpendicular to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Q and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L. In this way the connecting device 22 can be compressed or stretched at least slightly in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L.

또한, 연결 장치(22)는 그들의 데이터 컨덕터들(26) 사이에 홀과 같은 리세스(34)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를 통해 보강 돔(36)이 안내된다. 보강 돔에 의해 배터리 하우징 바닥(38)은 추가로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하우징 커버에 연결 가능하다(도 1 참조). 요약하면, 제 1 배터리 모듈(10)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20)을 연결하는 데이터 컨덕터(26)와 제 2 배터리 모듈(12)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20)을 연결하는 데이터 컨덕터(26) 사이에 리세스(34)가 배치된다.The connecting device 22 also has a recess 34 such as a hole between their data conductors 26 through which a reinforcing dome 36 is guided. By means of a reinforcing dome the battery housing bottom 38 is further connectable to a battery housing cover, not shown (see FIG. 1 ). In summary, the data conductor 26 connecting the control units 20 assigned to the first battery module 10 and the data conductor 26 connecting the control units 20 assigned to the second battery module 12 ( 26) a recess 34 is arranged.

연결 장치들(22)은 그것들의 버스 바(24)의 영역에, 자동 그립핑 로봇을 위한, 버스 바(24)의 플라스틱 피복을 향해 위로 튀어나와 있는 원형 그립핑 윤곽(40)을 갖는다. 그립핑 윤곽(40)에 추가하여, 각각의 버스 바(24)의 영역에 그립핑 로봇(미도시)을 이용하여 연결 장치(22)를 정렬하기 위한 러그 모양의 위치 설정 윤곽(42)을 갖는다. The connecting devices 22 have, in the area of their bus bar 24 , a circular gripping contour 40 , for an automatic gripping robot, protruding upward towards the plastic sheath of the bus bar 24 . In addition to the gripping contours 40 , each bus bar 24 has a lug-shaped positioning contour 42 for aligning the connecting devices 22 using a gripping robot (not shown) in the region of the bus bar 24 . .

도 4b는 연결 장치(22)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버스 바(24)와 데이터 컨덕터(26) 사이의 영역(44)은 빗금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은 탄성적이다. 상기 영역(44)은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되고, 버스 바(24) 및 데이터 컨덕터(26)를 위한 플라스틱 피복의 영역은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 바(24) 및 데이터 컨덕터(26)를 위한 플라스틱 피복의 영역들은 기계적으로 분리된다.4b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device 22 . In this case, the region 44 between the bus bar 24 and the data conductor 26 is shown in hatching, said region being elastic. The area 44 is formed by an elastomer, and the area of the plastic sheath for the bus bar 24 and the data conductor 26 is formed of a thermosetting- or thermoplastic resin. In this way, the areas of the plastic sheath for the bus bar 24 and the data conductor 26 are mechanically separated.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들(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광학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데이터 컨덕터(26)는 광도파관으로서 형성된다. 제어 유닛들(20)은 배터리 길이 방향(L)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그들의 단부면(46)에 LED(발광 다이오드)로서 구현된 광원(50), 광 센서(52) 및 기판(54)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48)를 갖는다.As can be seen in FIGS. 5A and 5B ,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units 20 is optical. For this purpose, the data conductor 26 is formed as an optical waveguide. The control units 20 have a light source 50 embodied as an LED (light emitting diode), a light sensor 52 and a substrate 54 on their end faces 46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L. It has an interface 48 that includes

도 5a에 인터페이스(48)의 제 1 변형예가 확대된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48), 즉 광원(50), 광 센서(52) 및 기판(54)은 하우징(30)을 향해 위로 돌출한 연장부(56)에 의해 둘레를 따라 둘러싸여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A first variant of the interface 48 is shown in an enlarged part in FIG. 5A . In this case, the interface 48 , ie the light source 50 , the optical sensor 52 and the substrate 54 , is surrounded and protected from damage by an extension 56 , which protrudes upwardly towards the housing 30 .

도 5b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56)는 배터리 길이 방향(L)과 관련하여 인터페이스(48)를 넘어 돌출하고 단부면(46)을 향해 위로 튀어나와 있다. 연장부(56)는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배터리 수직 방향(Z)에 대해 기울어진 2개의 벽 섹션을 갖는다. 2개의 벽 섹션은 V자형을 형성한다. 또한, 연장부(56)의 벽 섹션은 배터리 가로 방향(Q)으로 광도파관으로서 형성된 데이터 컨덕터(26)의 자유 단부의 양쪽을 둘러싼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컨덕터(26)는 자유 단부측은 연장부(56)의 벽 섹션 사이로 돌출한다. 이 경우 데이터 컨덕터(26)의 자유 단부는 인터페이스(48)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embodiment of FIG. 5B , the extension 56 projects beyond the interface 48 with respect to the battery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projects upward towards the end face 46 . The extension 56 is formed in two parts and has two wall section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ttery vertical direction Z. The two wall sections form a V-shape. Further, the wall sections of the extension 56 surround both sides of the free end of the data conductor 26 formed as a light pipe in the battery transverse direction Q. In other words, the data conductor 26 protrudes between the wall sections of the extension 56 on the free end side. In this case, the free end of the data conductor 26 is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48 .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대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것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도 유도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개별적인 특징들은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ather, other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may be derived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all individual featur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can also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other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 자동차 4 : 트랙션 배터리
6 : 배터리 접속부 7 : 컨슈머
8 : 배터리 하우징 10 : 제 1 배터리 소자/배터리 모듈
12 : 제 2 배터리 소자/배터리 모듈 14 : 접속면
16 : 단자 18 : 플러그 리셉터클
20 : 제어 유닛 22, 22' : 연결 장치
24 : 버스 바 26 : 데이터 컨덕터
28 : 스크루 부재 30 : 하우징
32 : 플러그 33 : 접속부
34 : 리세스 36 : 보강 돔
38 : 배터리 하우징 바닥 40 : 그립핑 윤곽
42 : 위치 설정 윤곽 44 : 탄성 영역
46 : 단부면 48 : 인터페이스
50 : 광원 52 : 광 센서
54 : 기판 56 : 연장부
L : 열-/배터리 길이 방향 Q : 배터리 가로 방향
Z : 배터리 수직 방향
2: car 4: traction battery
6: battery connection part 7: consumer
8: battery housing 10: first battery element / battery module
12: second battery element/battery module 14: connection surface
16: terminal 18: plug receptacle
20: control unit 22, 22': connection device
24: bus bar 26: data conductor
28: screw member 30: housing
32: plug 33: connection part
34: recess 36: reinforcement dome
38: battery housing bottom 40: gripping contour
42: positioning contour 44: elastic area
46: end face 48: interface
50: light source 52: light sensor
54: substrate 56: extension
L: Heat-/Long-Battery Q: Horizontal-Battery
Z: battery vertical direction

Claims (10)

전기 구동 자동차(2)용 트랙션 배터리(4)에 있어서,
- 열 방향(L)으로 연이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10)로서, 각각의 상기 제 1 배터리 소자(10)는 2개의 단자(16)가 배치된 접속면(14)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제 1 배터리 소자(10)에 제어 유닛(20)이 할당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할당된 제 1 배터리 소자(10)의 상기 접속면(14)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10); 및,
- 이웃한 2개의 제 1 배터리 소자(10)를 위한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연결 장치(22)로서, 상기 각각의 연결 장치(22)는 버스 바(24)와 데이터 컨덕터(data conductor)(26)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는 이웃한 제 1 배터리 소자들(10)의 단자들(16) 중 하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데이터 컨덕터는 이웃한 제 1 배터리 소자들(10)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20)을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인, 연결 장치(22)
를 포함하는 트랙션 배터리.
A traction battery (4) for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2), comprising:
- at least two first battery elements (10) arranged one after another in the column direction (L), each said first battery element (10) having a connection surface (14) on which two terminals (16) are arranged, at least two, wherein each said first battery element (10) is assigned a control unit (20), said control unit being arranged in the region of said connection surface (14) of the assigned first battery element (10) a first battery element 10; and,
- each connecting device (22) integrally formed for two adjacent first battery elements (10), each connecting device (22) comprising a bus bar (24) and a data conductor (26) wherein the bus bar electrically connects one of the terminals 16 of the adjacent first battery elements 10 to each other, and the data conductor is assigned to the adjacent first battery elements 10 . a connection device 22 , which connects the control units 20 to each other in a data transfer technology
A traction battery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장치(22)는 그 버스 바(24)와 그 데이터 컨덕터(26) 사이에 탄성 영역(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2. Traction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necting device (22) has an elastic region (44) between its bus bar (24) and its data conductor (2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24)는 상기 단자들(16)을 위한 그 접속부들(33) 사이에 아치형 섹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3. Traction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bus bar (24) has an arcuate section between its connections (33) for the terminals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 배터리는 열 방향(L)으로 연이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2 배터리 소자(12)를 포함하며,
- 각각의 제 2 배터리 소자(12)는 2개의 단자(16)가 배치된 접속면(14)을 가지며,
- 상기 제 2 배터리 소자(12)의 상기 접속면(14)은 상기 제 1 배터리 소자(10)의 접속면에 마주 놓이며,
- 각각의 제 2 배터리 소자(12)에는 그 접속면(14)의 영역에 배치된 제어 유닛(20)이 할당되고,
- 2개의 이웃한 제 2 배터리 소자들(12)이 상기 이웃한 제 2 배터리 소자들(12)에 마주 놓인 제 1 배터리 소자들(10)에 할당된 연결 장치(22)의 추가 버스 바(24)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이웃한 제 2 배터리 소자들(12)에 할당된 제어 유닛들(20)이 상기 연결 장치(22)의 추가 데이터 컨덕터(26)에 의해 데이터 전송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
3. The traction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or 2, comprising at least two secondary battery elements (12) arranged one after the other in the column direction (L),
- each second battery element 12 has a connecting surface 14 on which two terminals 16 are arranged,
- the connection surface 14 of the second battery element 12 faces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first battery element 10;
- each second battery element 12 is assigned a control unit 20 arranged in the region of its connecting surface 14;
- an additional bus bar 24 of the connecting device 22 assigned to the first battery elements 10 opposite to the two neighboring second battery elements 12 . ), the control units 20 ,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an additional data conductor 26 of the connecting device 22 , and assigned to the neighboring second battery elements 12 , transfer data to each other technically Traction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장치(22)는 그 데이터 컨덕터들(26) 사이에 홀형 리세스(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5. Traction battery according to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nection device (22) has a hole-shaped recess (34) between its data conductors (2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장치(22)는 그립핑 윤곽(40), 또는 위치 설정 윤곽(42), 또는 그립핑 윤곽 및 위치 설정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Traction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necting device (22) has a gripping profile (40), or a positioning profile (42), or a gripping profile and a positioning profile.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 유닛(20)은 광학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되고, 각각의 데이터 컨덕터(26)는 광도파관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5. Traction battery according to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trol unit (20) is configured for optical data transmission, and each data conductor (26) is formed as an optical waveguide.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 유닛(20)은 열 방향(L)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단부면(46)에 광학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48)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20)의 하우징(30)에 관련 인터페이스(48)를 넘어 돌출하고 단부면(46)을 향해 위로 튀어나와 있는 연장부(5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8.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each control unit (20) comprises a respective interface (48) for optical data transmission on an end face (46)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column direction (L), said control unit ( Traction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housing (30) of 20) an extension (56) is arranged which projects beyond the associated interface (48) and which projects upward towards the end face (46).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 유닛(20)은 상기 접속면(14)에 배치된, 관련 배터리 모듈(10, 12)의 플러그 리셉터클(18)과의 플러그 연결을 위한, 상기 하우징(30)에 견고하게 배치된 플러그(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션 배터리.9. The housing (30)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each control unit (20) is for plug connection with a plug receptacle (18) of an associated battery module (10, 12), arranged on the connection surface (14). A traction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g (32) rigidly disposed on th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트랙션 배터리(4)를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2).An electric powered vehicle (2) with a traction battery (4) according to claim 1 or 2).
KR1020200109440A 2019-09-09 2020-08-28 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KR1024627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13674.5 2019-09-09
DE102019213674.5A DE102019213674B3 (en) 2019-09-09 2019-09-09 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200A KR20210030200A (en) 2021-03-17
KR102462739B1 true KR102462739B1 (en) 2022-11-02

Family

ID=7374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440A KR102462739B1 (en) 2019-09-09 2020-08-28 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62739B1 (en)
CN (1) CN112467311B (en)
DE (1) DE102019213674B3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6056A1 (en) 2021-06-22 2022-12-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ctrical energy store with a distribution network and mot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142B1 (en) 2015-12-18 2019-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rac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4635B1 (en) * 1998-10-15 2000-12-29 Framatome Connectors Int WIR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CN101663776A (en) * 2007-03-01 2010-03-03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Battery system
CN102916152B (en) * 2011-08-01 2015-05-27 矢崎总业株式会社 Battery pack connection control body
CN102751776B (en) * 2012-07-17 2015-01-21 浙江永宏电器有限公司 High-capacity reversible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JP6177352B2 (en) * 2013-12-25 2017-08-09 矢崎総業株式会社 Battery wiring module
DE102014010067B4 (en) * 2014-07-08 2021-08-05 Audi Ag Motor vehicle battery that can be produced with voltage protection, plug-in module for a motor vehicle battery, motor vehicle with at least one motor vehicl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tor vehicle battery
DE102015002061B4 (en) * 2015-02-18 2023-11-16 Audi Ag Electrical busbar with sensor unit
DE102015214662A1 (en) * 2015-07-31 2017-02-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raction battery with battery cell modules
DE102016005959A1 (en) * 2016-05-13 2017-11-16 Man Truck & Bus Ag Tractio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for
US10381618B2 (en) * 2016-10-14 2019-08-13 Inevit Llc Battery module mounting area of an energy storage system
US10062977B2 (en) * 2016-10-14 2018-08-28 Inevit Llc Module-to-module power connector between battery modules of an energy storage system and arrangement thereof
EP3316389B1 (en) * 2016-10-26 2024-01-03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communication circuit for a battery system and vehicle
JP6946837B2 (en) * 2017-08-10 2021-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pack
DE102017214303A1 (en) * 2017-08-16 2019-02-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for the electrical contacting of cell modules of a battery, battery with such an arrangement and vehicle
KR20200056562A (en)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142B1 (en) 2015-12-18 2019-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ra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13674B3 (en) 2020-12-31
CN112467311A (en) 2021-03-09
CN112467311B (en) 2023-03-24
KR20210030200A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1815B2 (en) Busbar module
US10879515B2 (en) Bus bar module
CN102782900B (en) Battery connection assembly
EP2617082B1 (en) Battery connector
US9397327B2 (en) Battery connecting assembly
US10008709B2 (en) Bus bar module, battery monitoring module, and battery module
US20160126601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temperature detector
US11329343B2 (en) Battery device for vehicle
CN109075279B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US20070108939A1 (en) Battery pack
US20190255928A1 (en) Traction battery
KR102307980B1 (en) Cell connection unit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WO2014192858A1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US8692418B2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10080058A1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62739B1 (en) Traction battery and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CN112002866B (en) Battery wiring module
CN112272896A (en) Wiring module
US20190386282A1 (en) Connection module
US11482760B2 (en) Busbar module
JP2020205186A (en) Wire holding structure and bus bar module
CN112886147B (en) Bus bar module
CN113131423B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20230178840A1 (en) Battery wiring module
JP7159984B2 (en)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