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696B1 -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e sign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e sign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696B1 KR102462696B1 KR1020220101949A KR20220101949A KR102462696B1 KR 102462696 B1 KR102462696 B1 KR 102462696B1 KR 1020220101949 A KR1020220101949 A KR 1020220101949A KR 20220101949 A KR20220101949 A KR 20220101949A KR 102462696 B1 KR102462696 B1 KR 1024626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signal
- wired line
- analysis module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FWZNCVPCJQOP-UHFFFAOYSA-N chloralodol Chemical compound CC(O)(C)CC(C)OC(O)C(Cl)(Cl)Cl QVFWZNCVPCJQ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5—Signal analysis techniques for reducing or preventing false alarms or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 G08B29/186—Fuzzy logic; neural networks
-
- G06N3/0454—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감지기와 유선 선로로 연결되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원격지의 제어반으로 화재감지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모듈이 유선 선로의 길이, 유선 선로의 노후화, 화재감지기의 특성 및 노후화에 의한 출력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감지신호의 오류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올바른 화재감지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한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signal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a transmission module connected to a fire detector through a wired line to receive a fire detection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 a fire detection signal to a remote control panel,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and the aging of the wired line , It relates to a fire signal radio transceiver that analyzes errors in fire detection signals caused by output changes due to characteristics and aging of fire detectors by artificial intelligence so that correct fire detection signals can be transmitted.
건축물에는 설치되는 소방설비 중 하나인 화재감지 시스템은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등을 조기에 감지하여 화재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신속한 대피는 물론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re detection system, which is one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buildings, detects heat, smoke, flame, etc.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and generates a fire alarm to enable rapid evacuation as well as fire suppression, thereby minimizing human and material damage. make it possible
이러한 화재감지 시스템의 일예로서, 등록특허 제10-1875042호(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에서는, 건물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재감지기와 연결되며, 각 화재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한 화재 발생신호로 출력하는 화재수신기;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비상문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비상문 개폐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화재 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제한범위의 진폭으로 제한된 무극성 맥류 파형의 화재 발생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송신하는 화재신호 무선 송신모듈; 및 상기 화재신호 무선 송신모듈로부터 무선 송신된 화재 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무극성 맥류 파형의 화재 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fire detection system,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5042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fire detecto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receives a fire detection signal generated from each fire detector to generate a fire. a fire receiver outpu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to inform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fire occurrence signal output from the fire receiv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door opening/closing driving unit to open or close the emergency door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 fire signal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that receives the fire signal output from the fire receiver, converts it into a fire signal of a non-polar pulsating waveform limited to an amplitude of a preset limited range based on this, and wirelessly transmits it; and receiving the fire occurrence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fire signal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genera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of a non-polar pulsating waveform based on this,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따라서, 평상 시 정상적으로 비상문이 잠김 상태로 유지되다가 화재수신기와 연동하여 긴급상황 즉,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비상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사람들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emergency door is normally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and by interlocking with the fire receiver to automatically open the emergency door in an emergency, that is, when a fire occurs, people can be evacuated quickly in case of an emergency.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화재감지기와 화재수신기가 유선 선로로 연결되고, 화재수신기와 원격지의 제어부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화재감지기와 화재수신기 사이의 유선 선로의 길이, 유선 선로의 노후화, 화재감지기의 특성 및 노후화에 의한 출력 변화 등에 의해 화재감지신호의 잦은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is prior art, the fire detector and the fire receiver are connected by a wired line, and the fire receiver and the remote control unit are wirelessly connected. Frequent errors in the fire detection signal occur due to changes in outp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or and aging.
비록 오류에 의해 화재감지경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주체에서는 신속히 이에 대한 조치를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잦은 오류에 의한 불편함 때문에 화재경보장치를 꺼버리는 등의 조치를 함으로써 정작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없게 되어 인적 및 물적 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Even when a fire detection alarm occurs due to an error, the building management body must take action prompt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prompt action cannot be take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human and material damage occurs greatly.
즉, 건물 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와 화재수신기 사이의 유선 선로에는 24V의 전압이 형성되어 있게 되고,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 전압변동이 발생함으로써 화재수신기에서는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통상적으로는 화재감지기마다 오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24V±20%의 범위내에서 전압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at is, a voltage of 24V is formed in the wired line between the fire detector and the fire receiver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a voltage fluctuation occurs, and the fire receiver outputs a fire signal. In general, since an error occurs for each fire detector, a fire signal is output when the voltage fluctuation occurs within the range of 24V±20%.
그렇지만,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재감지기와 화재수신기 사이의 유선 선로의 길이, 노후화, 화재감지기 등의 노후화에 의해 유선 선로상에 형성된 전압이 24V±20%의 범위를 벗어나 형성됨으로써 화재수신기에서는 이에 따라 화재발생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제어부에서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화재발생신호에 의해 경보는 물론, 비상문, 방화문,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안전기기들을 제어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no fire has occurred, the voltage formed on the wired line is out of the range of 24V±20% due to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between the fire detector and the fire receiver, aging, and aging of the fire detector. Accordingly, a fire occurrenc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error in controlling fire safety devices such as an emergency door, fire door, and sprinkler as well as an alarm by the fire occurrence signal received wirelessly.
이러한 경우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소방안전기기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때문에 건물 관리주체는 화재경보장치를 꺼버리는 등의 매우 위험한 조치를 하게 되어 정작 화재발생시에 인적 및 물적 피해가 크개 발생하는 것이다.In this case, even though a fire did not occur, the fire safety equipment operates, causing a lot of inconvenience. Therefore, the building manager takes very dangerous measures such as turning off the fire alarm system. The damage will be huge.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5042호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75042
(비상문 자동 개폐 장치)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감지기와 화재수신기 사이에 연결된 유선 선로의 길이와 노후정도, 그리고 화재감지기의 특성 및 노후화에 따른 출력 변화를 인공지능에 의해 딥러닝하여 분석모듈을 화재수신기에 구축하고, 구축된 분석모듈을 통해 화재감지기로부터 발생된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올바르게 분석된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으로 원격의 제어반으로 전송함으로써 경보 오류에 따른 불필요한 화재조치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deep-learns the length and age of the wired line connected between the fire detector and the fire receiver, and the change in outpu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aging of the fire detector by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velop an analysis module. It is built in the fire receiver and analyzed the fire det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e detector through the built-in analysis module to wirelessly transmit the correctly analyzed fire occurrence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panel to solve unnecessary fire measures caused by alarm erro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signal wireless transceiv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는,The fire signal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건물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와 유선선로로 연결되며,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발생되는 화재감지신호를 유선선로를 통해 수신하여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한 화재발생신호로 출력하는 화재 수신기;a fire receiver connected to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a building by a wired line,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e detector through a wired line, and outputting a fire signa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게이트웨이;a gateway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output from the fire receiver;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송된 화재발생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소방기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고,and a control panel that receives the fire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gateway and drives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device based on it;
상기 화재수신기는 The fire receiver
상기 유선선로가 접속되는 입력단자; an input terminal to which the wired line is connected;
유선선로의 길이별, 유선선로가 포설된 기간에 따른 노후화 정도, 각 화재감지기의 특성에 대한 값에 의해 딥러닝되어 학습되고, 학습된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변수값을 반영하여 분석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분석모듈; Variables in the fir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fire detector by the 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by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in which the wired line was installed, and the valu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re detector. an analysis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by reflecting and analyzing the value;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게이트웨이로 출력하는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output from the analysis module to a gateway through an output terminal;
상기 분석모듈에 상기 유선선로의 길이, 포설일자, 화재감지기의 특성에 대한 상기 변수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variable values for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the installation d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detector to the analysis module;
상기 분석모듈에 상기 변수값이 입력되면, 포설된 기간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분석모듈에 제공하는 카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variable value is input to the analysis module, a counter that calculates the time for the installed period and provides it to the analysis module; and a counter.
또한, 상기 제어반은 상기 변수값을 입력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부를 통해 입력된 변수값을 상기 화재수신기의 분석모듈로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setting unit for input setting the variable valu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variable value input through the setting unit to the analysis module of the fire receiver.
또한,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화재감지기의 노후화 및 출력전압의 오차범위, 출력값 변동 특성 등에 따른 전압변동값, 상기 유선선로의 길이에 따른 전압변동값, 그리고 유선선로의 노후화 정도에 따른 전압변동값에 의해 화재발생신호의 발생을 위한 전압 입력 범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화재발생신호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module determines the aging of the fire detector, the error range of the output voltage, the voltage fluct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output value fluctuation characteristic, etc., the voltage fluct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and the voltage fluctuation valu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wired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input range for generating the fire signal is set by the method, and the fire signal is output according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감지기와 화재수신기 사이에 연결된 유선 선로의 길이와 노후정도, 그리고 화재감지기의 특성 및 노후화에 따른 출력 변화를 반영하여 화재발생경보를 원격지의 제어반으로 송신함으로써 정확한 화재경보에 의해 화재발생경보에 따른 불필요한 조치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reflecting the length and age of the wired line connected between the fire detector and the fire receiver, and the change in outpu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aging of the fire detector, the fire alarm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panel to ensure accurate fi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unnecessary measures can be lowered according to the fire alarm by the alarm.
또한, 정확한 화재경보에 의해 인적 및 물적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human and material damage can be minimized by accurate fire alarm.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화재수신기의 회로 블럭도.
도3은 제어반의 회로 블럭도.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e signal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fire receiver;
Fig.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control panel;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화재수신기의 회로 블럭도이며, 도3은 제어반의 회로 블럭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e signal radio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fire receiver, and FIG.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control panel.
본 발명의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재감지기(100), 화재수신기(200), 게이트웨이(300), 제어반(4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 the fire signal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발생된 불꽃의 파장을 감지하는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파장센서는 예컨대, 약 100nm 내지 1200nm의 불꽃(또는 화염)이 방사하는 파장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wavelength sensor is preferably made of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wavelength band emitted by a flame (or flame) of, for example, about 100 nm to 1200 nm.
이러한 상기 파장센서는 불꽃이 유발하는 파장대를 감지함으로써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wavelength sensor may be us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by detecting a wavelength band caused by a flame.
즉, 상기 파장센서는 화재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방식의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에 방출되는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특성이 다른 파장을 가지는데,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 파장의 영역이 다른 세 가지로 대별되며, 각 화재 감지기(100)는 이러한 광학적 반응특성을 이용하여 해상도 높은 적어도 하나의 파장센서로 광원을 인식하여 화재를 식별해 낼 수 있다.That is, the wavelength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a fire flame, and specifically, it is preferably a semiconductor type sensor. In general, the light emitted during a fire has a different wavelength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flame, and is rough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wavelength regions such as ultraviolet, visible, and infrared, and each fire detector 100 A fire can be identified by recognizing a light source with at least one high-resolution wavelength sensor using optical response characteristics.
상기 화재감지기(100)는 파장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유무를 검출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화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 등을 감지하기 위해서,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그에 대응하는 센싱신호로써 출력하는 센서들 예컨대, 온도 감지센서, 자외선 감지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열화상 감지센서, CO 감지센서, CO2 감지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상기 화재수신기(200)는 건물 내에 설치된 상기 화재 감지기(100)와 각각 유선선로(L)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화재 감지기(100)로부터 발생되는 화재 감지신호를 상기 유선선로(L)를 통해 수신하여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한 화재 발생신호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이러한 화재수신기(200)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As shown in FIG. 2, such a
상기 유선선로가 접속되는 입력단자(210); an
유선선로의 길이별, 유선선로가 포설된 기간에 따른 노후화 정도, 각 화재감지기의 특성에 대한 값에 의해 딥러닝되어 학습되고, 학습된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입력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변수값을 반영하여 분석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분석모듈(220); Deep learning and learning by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in which the wired line is installed, and the valu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re detector, fire detection input from the
상기 분석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를 출력단자(240)를 통해 게이트웨이(300)로 출력하는 통신부(230);a
상기 분석모듈(220)에 상기 유선선로(L)의 길이, 포설일자, 화재감지기의 특성에 대한 변수값을 입력하는 입력부(250); an
상기 분석모듈(200)에 상기 변수값이 입력되면, 포설된 기간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분석모듈(220)에 제공하는 카운터(260);로 구성되어 있다.When the variable value is input to the
상기 분석모듈(220)은 인공지능에 의해 딥러닝되어 구축되는데, 이때 딥러닝을 위하여 인공지능에 입력되는 입력값은 다양한 유선선로의 길이에 대한 전압변동특성,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선선로의 노후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변동특성, 다양한 화재감지기들의 특성값 즉, 화재감지기의 종류, 화재감지기의 제조회사 및 모델별 출력값과 그 오차범위, 노후화 정도에 따른 출력값의 변동 등 다양한 화재감지기들의 정보가 될 수 있다.The
따라서, 인공지능은 이러한 입력값을 기반으로 하고, 출력값은 화재발생신호의 출력유무가 될 수 있도록 딥러닝함으로써 분석모듈(200)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s based on these input values, and the output value is to build the
상기 입력부(250)는 작업자가 화재감지기(100)의 제조회사 및 모델, 유선선로(L)의 길이, 유선선로(L) 포설일자 등의 변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50)로서, 이러한 입력부(250)는 화재수신기(200)에 구비된 입력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작업자가 구비한 모바일기기가 접속될 수 있도록 한 접속단자가 될 수 있다.The
즉, 입력부(250)는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기기와 데이터 케이블에 의해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고, 또는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입력부(250)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입력부(250)가 물리적 커넥터 또는 근거리 무선 송수신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상기 카운터(260)는 입력부(250)를 통해 분석모듈(220)에 화재감지기(200)와 유선선로(L)의 각종 변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시간을 계산하여 그 계산값을 분석모듈(220)에 제공하게 된다.The
이에 따라,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입력단자(210)를 통해 화재감지신호와 ID가 분석모듈(220)에 입력되면, 이러한 딥러닝된 결과에 의해 화재감지신호를 분석하게 되는데, 상기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24V±20%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고, 반면에 24V±20%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력부(250)에 의해 설정된 변수 즉 상기 화재감지기(100)의 특성, 유선선로(L)의 길이, 카운터(260)로부터 계산된 포설날짜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른 노후화 정도 등의 변수를 반영하여 그 분석된 결과에 따라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e detection signal and ID are input from the
예를 들면, 화재감지기(100)의 노후화 및 출력전압의 오차범위, 출력값 변동 특성 등에 따른 전압변동값, 유선선로(L)의 길이에 따른 전압변동값, 그리고 유선선로(L)의 노후화 정도에 따른 전압변동값에 의해 분석모듈(220)은 24V±30%, 24V±40%, 24V±50% 등의 화재발생신호의 발생을 위한 전압 입력 범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화재발생신호의 출력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ging of the
상기 게이트웨이(300)는 상기 화재수신기(200)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를 무선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반(400)으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RF(Radio Frequency) 신호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제어반(400)으로 전송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반(400)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예컨대, WLAN(Wireless LAN), UWB(Ultra Wideband),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UWB (Ultra Wideband), Beacon, ZigBee, Bluetooth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preferably made in any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망은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LoRa(Long Range) 등을 포함하는 무선망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Wi-Fi, WiGig,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for providing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Wimax), LoRa (Long Range), etc. may be a wireless network.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상기 화재 수신기(200)가 제어반(4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The Internet includes the TCP/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its upper layers, namely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It means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Network File Service (NF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etc., and the
한편, 상기 인터넷은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Internet may be a wireless Internet, or may be a core network integrated with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ortable Internet, or the like.
만약, 상기 무선 통신망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I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sed.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화재수신기(200)와 제어반(400)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for exampl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may be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r a 5G network, or other IP-based IP network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rves to mutually transmit signals and data of the
상기 제어반(230)은 상기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전송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받아 소방기기(5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도3에서와 같이 제어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무선으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받게 되고, 이러한 화재발생신호에 의해 각 소방기기(5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
따라서, 소방기기(500)는 이러한 제어반(400)으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소방동작을 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방기기(500)는 방화문, 창문형/배연창 개폐장치, 시청각 경보기, 화재수신기, 비상문 개폐장치, 자동문 개폐장치, 스프링클러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한편, 제어반(400)에는 상기 화재수신기(200)의 분석모듈(220)에 화재감지기(100)의 제조회사 및 모델, 유선선로(L)의 길이, 유선선로(L) 포설일자 등을 변수값을 입력하여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44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즉, 분석모듈(220)에서 입력부(250)를 통하여 화재감지기(100)의 제조회사 및 모델, 유선선로(L)의 길이, 유선선로(L) 포설일자 등의 변수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현장에 출동하여 입력하거나 업데이트하여야 하지만, 원격지(400)의 제어반(400)에서 이를 무선으로 원격 입력 또는 업데이트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inputting variable values such as the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따라서, 제어부(420)는 설정부(440)를 통해 특정 화재수신기(200)를 지정하는 ID 화재감지기(100)의 제조회사 및 모델, 유선선로(L)의 길이, 유선선로(L) 포설일자, 기타 변수값 정보 등을 입력하게 되면, 이를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화재수신기로 전송함으로써 분석모듈(220)이 이를 설정하거나 업데이트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As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something to do.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화재감지기
200 : 화재수신기
210 : 입력단자
220 : 분석모듈
230 : 통신부
240 : 출력단자
250 : 입력부
300 : 게이트웨이
400 : 제어반
410 : 통신부
420 : 제어부
430 : 구동부
440 : 설정부
500 : 소방기기100: fire detector
200: fire receiver
210: input terminal
220: analysis module
230: communication department
240: output terminal
250: input unit
300 : gateway
400: control panel
410: communication department
420: control unit
430: driving unit
440: setting unit
500: firefighting equipment
Claims (3)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송된 화재발생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소방기기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수신기는
상기 유선선로가 접속되는 입력단자;
유선선로의 길이별, 유선선로가 포설된 기간에 따른 노후화 정도, 각 화재감지기의 특성에 대한 값에 의해 딥러닝되어 학습되고, 학습된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화재감지신호에 변수값을 반영하여 분석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분석모듈;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게이트웨이로 출력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모듈에 상기 유선선로의 길이, 포설일자, 화재감지기의 특성에 대한 상기 변수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분석모듈에 상기 변수값이 입력되면, 포설된 기간에 대한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분석모듈에 제공하는 카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신호 무선 송수신 장치.
a fire receiver connected to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a building by a wired line,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e detector through a wired line, and outputting a fire signa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a gateway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output from the fire receiver;
and a control panel that receives the fire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gateway and drives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device based on it;
The fire receiver
an input terminal to which the wired line is connected;
Variables in the fir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fire detector by the 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by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in which the wired line was installed, and the valu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re detector. an analysis module for outpu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by reflecting and analyzing the value;
a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a fire occurrence signal output from the analysis module to a gateway through an output terminal;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variable values for the length of the wired line, the installation d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detector to the analysis module;
When the variable value is input to the analysis module, a counter that calculates the time for the installed period and provides it to the analysis module;
The fire signal radio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setting unit for input setting the variable valu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variable value input through the setting unit to the analysis module of the fire receiver.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1949A KR102462696B1 (en) | 2022-08-16 | 2022-08-16 |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e signa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1949A KR102462696B1 (en) | 2022-08-16 | 2022-08-16 |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e signa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2696B1 true KR102462696B1 (en) | 2022-11-04 |
Family
ID=8410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1949A Active KR102462696B1 (en) | 2022-08-16 | 2022-08-16 |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e signa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69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3351A (en) * | 2009-05-15 | 2010-11-24 | 대덕대학산학협력단 | The real-time fire perception receiver, the fire perception system which uses this and the method |
KR20130027846A (en) * | 2011-09-08 | 2013-03-18 |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P type fire alarm control panel system with signal line error resilience |
KR20210051376A (en) * | 2019-10-30 | 2021-05-10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
KR102275989B1 (en) * | 2021-01-18 | 2021-07-13 | (주)전원테크 | Fire prediction system that can predict the fire and the expected direction of fire |
-
2022
- 2022-08-16 KR KR1020220101949A patent/KR1024626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3351A (en) * | 2009-05-15 | 2010-11-24 | 대덕대학산학협력단 | The real-time fire perception receiver, the fire perception system which uses this and the method |
KR20130027846A (en) * | 2011-09-08 | 2013-03-18 |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P type fire alarm control panel system with signal line error resilience |
KR20210051376A (en) * | 2019-10-30 | 2021-05-10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
KR102275989B1 (en) * | 2021-01-18 | 2021-07-13 | (주)전원테크 | Fire prediction system that can predict the fire and the expected direction of fi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sadullah et al. | An overview of home automation systems | |
US84109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barrier movement controllers and employing a camera and a wireless transmitter | |
US20070165523A1 (en) | Infrar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US1071312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alternate communication path between a central monitoring station and a connected security/control system | |
US11261648B2 (en) | Movable barrier disengagement detection | |
ES2727401T3 (en) | Mo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nd secondary measurements | |
KR101946616B1 (en) | Intelligent fire recogni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KR102462696B1 (en) |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re signals | |
KR20160053695A (en) | Automatic window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smartphone | |
KR20190053577A (en) | Openning and closing controlling apparatus for window | |
KR101875042B1 (en) |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close device | |
Annuar et al. | Development of wireless and intelligent home automation system | |
KR102428219B1 (en) | System for AIoT fire receiver | |
KR101441507B1 (en) | Frequency of two kinds of smart phones that work with crime prevention system that utilizes wireless | |
EP3496060B1 (en) | Multi-state device having communication links with a remote control with identifying capabilities | |
KR20100048823A (en) | Terminal type of wire and wireless multi function sensor | |
KR102643518B1 (en) | Intellig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
KR20050103891A (en) | Home network system with plc | |
KR100625773B1 (en) |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ing indoor temperature controller | |
US11454937B2 (en) | Automatic electrical shut-off device | |
KR101866124B1 (en) | Service apparatus of checking room occupation with unwanted alarm verification | |
KR102083739B1 (en) | Self-installing type security system using 900MHz wireless communication | |
KR200360324Y1 (en) | An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using room controller | |
KR101744476B1 (en) | Button based network policy setting up system | |
KR100600736B1 (en) | Home Network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