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233B1 - 소품용 걸고리 - Google Patents
소품용 걸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233B1 KR102462233B1 KR1020210136509A KR20210136509A KR102462233B1 KR 102462233 B1 KR102462233 B1 KR 102462233B1 KR 1020210136509 A KR1020210136509 A KR 1020210136509A KR 20210136509 A KR20210136509 A KR 20210136509A KR 102462233 B1 KR102462233 B1 KR 102462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hooks
- head
- straight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에 가방, 공구 및 주방용품 등을 거치하기 위한 소품용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 봉에 걸기 위한 상부 후크와 소품을 걸기 위한 하부 후크로 이루어지되 상, 하부 후크는 일정각도로 비틀어진 구조로서, 소품들이 다수 거치될 때 봉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게 함으로서 소품의 정렬상태를 양호케하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케하는 소품용 걸고리에 관한 것이다.
봉(P)에 거치하기 위한 상부 후크와, 각종 소품들을 거치하기 위한 하부 후크로 구성되는 소품용 걸고리에 있어서,
상, 하부 후크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상,하부 바디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 후크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로 위치하며,
하부 바디의 하부엔 하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상부 바디에는 상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치합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단턱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상기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를 상,하부 바디 내 끼운 후 끼워진쪽 선단에 머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들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하는데,
상,하부 바디 내 각각 끼워진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 중 한개 이상에서는 스프링을 끼운 후 머리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부 후크의 머리부들이 압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봉(P)에 거치하기 위한 상부 후크와, 각종 소품들을 거치하기 위한 하부 후크로 구성되는 소품용 걸고리에 있어서,
상, 하부 후크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상,하부 바디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 후크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로 위치하며,
하부 바디의 하부엔 하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상부 바디에는 상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치합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단턱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상기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를 상,하부 바디 내 끼운 후 끼워진쪽 선단에 머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들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하는데,
상,하부 바디 내 각각 끼워진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 중 한개 이상에서는 스프링을 끼운 후 머리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부 후크의 머리부들이 압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봉에 가방, 공구 및 주방용품 등을 거치하기 위한 소품용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 봉에 걸기 위한 상부 후크와 소품을 걸기 위한 하부 후크로 이루어지되 상, 하부 후크는 일정각도로 비틀어진 구조로서, 소품들이 다수 거치될 때 봉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게 함으로서 소품의 정렬상태를 양호케하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케하는 소품용 걸고리에 관한 것이다.
옷, 가방 등 일상용품이나, 공구, 주방용품 등의 소품들을 정리 및 진열하기 위한 용도로, 거치용 봉과 걸고리가 사용 중이다.
거치용 봉은 스탠드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고, 걸고리는 상기 봉에 매달린 상태로 각종 소품들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는데,
대개 걸고리는 상기 봉에 거치되기 위한 상부 후크와 소품들을 거치하기 위한 하부 후크로 구성된다.
종래에도 상부 후크와 하부 후크가 "S"자 형태를 이루는 S자형 걸고리가 존재하였으나, 이는 스텐레스강 등 변형 불가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편평한 2차원의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걸고리를 사용할 경우, 봉에 걸고리들만을 진열한 상태에서는 별 문제가 없으나, 가방, 공구, 주방용품 등 소품을 거치할 경우에는 소품들이 봉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을 바라보게되므로,
소품들이 많이 거치될 수 없어 공간 활용도 면에서 매우 불리하고, 진열상태에서 다소 지저분하게 보이고 미관을 해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걸고리는 스텐레스강 등 변형 불가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편평한 2차원의 구조로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소품의 진열상태에 변화를 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후크와 하부 후크가 "S"자 형태를 이루는 S자형 걸고리를 사용하되, 상,하부 후크가 2차원의 구조가 아니라, 서로 간에 90°또는 그 외 각도로 꺽여진 3차원의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걸고리에 다수 소품들이 거치될 때 봉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게 하고, 이에 따라 소품의 정렬상태를 양호케하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케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전보다 훨씬 많은 소품들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 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깔끔하게 진열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양호토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품용 걸고리에서는;
봉(P)에 거치하기 위한 상부 후크와, 각종 소품들을 거치하기 위한 하부 후크로 구성되는 소품용 걸고리에 있어서,
상, 하부 후크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상,하부 바디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 후크는 90°또는 그 외 각도로 비틀려진 3차원 공간에 위치하며,
상부 바디의 상부엔 상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하부 바디에는 상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치합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그 하단에는 단턱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상기 상, 하부 후크는 상,하부 바디 내 끼워진 후 분리되지 않도록 그 선단에 각각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하부 바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 하부 후크의 결합각도가 유지되도록, 상,하부 후크의 선단 머리부들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하부 바디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 대신에 돌부를 방사 대칭구조로 형성하고, 상부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부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ㄱ"자 구조의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의 직경이 상기 통공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의 내경은, 상,하부 후크의 직선부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머리부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후크의 머리부 또는 하부 후크의 머리부에는 와셔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후크와 하부 후크가 "S"자 형태를 이루는 S자형 걸고리를 사용하되, 상,하부 후크가 2차원의 구조가 아니라, 서로 간에 90°또는 그 외 각도로 꺽여진 3차원의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걸고리에 다수 소품들이 거치될 때 봉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게 하고, 이에 따라 소품의 정렬상태를 양호케하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전보다 훨씬 많은 소품들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 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깔끔하게 진열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양호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같은 참조부호는 같은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봉에 가방, 공구 및 주방용품 등을 거치하기 위한 소품용 걸고리에 관한 것으로, 상부 후크(1)와 하부 후크(2)로 구성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후크(1)는 거치용 봉(P)에 거치되고, 하부 후크(2)에는 가방, 액자, 공구, 주방용품 등 각종 소품들이 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드리자면,
기본적으로는 라운드부와 직선부로 이루어진 상부 후크(1)와 하부 후크(2)로 구성되고, 상, 하부 후크(1)(2)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3)(6)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진다.
다만, 상, 하부 후크(1)(2)는 2차원 평면 공간에 위치하지않고, 90°또는 그 외 각도로 비틀려진 3차원 공간에 위치한다.
즉, 상, 하부 후크(1)(2)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3)(6)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상,하부 바디(3)(6)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 후크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로 위치하게된다.
즉, 상, 하부 후크(1)(2)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3)(6)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상,하부 바디(3)(6)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 후크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로 위치하게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도 2, 3을 보면, 상, 하부 후크(1)(2)가 90°로 비틀려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 6에서는 상, 하부 후크(1)(2)가 상,하부 바디(3)(6) 내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상부 바디(3)에는 상부 후크(1)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31)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3)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단턱(32)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하부 바디(6)의 하부엔 하부 후크(2)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61)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부(33)와 치합되는 암나사부(62)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다.
상기 상, 하부 후크(1)(2)는 상,하부 바디(3)(6) 내 끼워진 후 분리되지 않도록 그 선단에 각각 머리부(11)(21)가 형성되는데,
예시된 도면에서는 머리부(11)(21)를 반구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집게로 선단을 찝어주거나 눌러주는 등 그 직경이 상기 통공(31)(61)의 외경보다 커지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응용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상, 하부 후크(1)(2)의 직선부를 상,하부 바디(3)(6) 내 끼운 후 끼워진쪽 선단에 머리부(11)(21)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들(31)(61)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하는데,
상,하부 바디(3)(6) 내 각각 끼워진 상, 하부 후크(1)(2)의 직선부 중 한개 이상에서는 스프링(4)을 끼운 후 머리부(11)(21)를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부 후크(1)(2)의 머리부들(11)(21)이 압착되도록 한다.
상,하부 후크(1)(2)의 머리부들(11)(21)이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된 상태가되면 상, 하부 후크(1)(2)는 회전 불가하게되므로, 상기 상, 하부 후크(1)(2)는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하부 바디(3)(6) 내 각각 끼워진 상, 하부 후크(1)(2)의 직선부 중 한개 이상에서는 스프링(4)을 끼운 후 머리부(11)(21)를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부 후크(1)(2)의 머리부들(11)(21)이 압착되도록 한다.
상,하부 후크(1)(2)의 머리부들(11)(21)이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된 상태가되면 상, 하부 후크(1)(2)는 회전 불가하게되므로, 상기 상, 하부 후크(1)(2)는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도 5에서는 스프링(4)이 하부 후크(2)의 선단 머리부(21)와 하부 바디(6) 사이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는데, 스프링(4)이 상부 후크(1)의 선단 머리부(11)와 상부 바디(3)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4)은 상,하부 후크(1)(2)의 직선부에 끼워지고 머리부(11)(21)에서는 빠지지말아야하므로, 그 내경이 상,하부 후크(1)(2)의 직선부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머리부(11)(21)의 외경보다는 작아야한다.
한편, 상부 후크(1)의 머리부(11) 또는 하부 후크(2)의 머리부(21)에는 와셔(5)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스프링(4)이 결합되지않은 상부 후크(1)의 머리부(11)에서만 와셔(5)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머리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4)이 결합된 하부 후크(2)의 머리부(21)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조립되는데,
먼저 상,하부 후크(1)(2)의 직선부를 각각 상,하부 바디(3)(6)의 통공(31)(61)에 각각 끼워주고,
상부 후크(1)의 직선부에는 와셔(5)을 끼우고, 하부 후크(2)의 직선부에는 스프링(4)을 끼운 후, 와셔(5)와 스프링(4)이 분리되지 않도록 머리부(11)(21)를 각각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하부 바디(3)(6)의 수나사부(33)와 암나사부(62)를 치합하여, 하부 바디(6)의 선단이 상부 바디(3)의 단턱(32)에 닿을때까지 회전결합하면,
상기 스프링(4)은 하부 후크(2)의 머리부(21)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부 후크(1)의 머리부(11)와 하부 후크(2)의 머리부(21)가 압접된 상태가 되므로,
상,하부 후크(1)(2)가 90°또는 그 외 각도로 비틀려진 상태에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2 실시예서는 상부 바디(7)의 외벽 구조와, 하부 바디(8)의 내벽 구조를 달리 구성할 수 있는데,
상부 바디(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 대신에 돌부(73)를 방사 대칭구조로 형성하고, 하부 바디(8)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부(73)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ㄱ"자 구조의 끼움홈(82)이 암나사부 대신에 형성된다.
즉, 상부 바디(7)에는 상부 후크(1)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71)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돌부(73)를 방사 대칭구조로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단턱(72)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하부 바디(8)의 하부엔 하부 후크(2)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81)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돌부(73)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ㄱ"자 구조의 끼움홈(82)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다.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즉, 상부 바디(7)에는 상부 후크(1)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71)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돌부(73)를 방사 대칭구조로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단턱(72)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하부 바디(8)의 하부엔 하부 후크(2)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81)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돌부(73)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ㄱ"자 구조의 끼움홈(82)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다.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삭제
삭제
먼저 상,하부 후크(1)(2)의 직선부를 각각 상,하부 바디(7)(8)의 통공(71)(81)에 각각 끼워주고,
하부 후크(2)의 직선부에는 스프링(4)을 끼우고, 상부 후크(1)의 직선부에는 와셔(5)을 끼운 후, 스프링(4)과 와셔(5)가 분리되지 않도록 머리부(11)(21)를 각각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부 바디(7)의 돌부(73)를 하부 바디(8)의 끼움홈(82)에 맞춰 길이방향으로 끼운 후 원주방향으로 돌려주면, 상부 바디(7)의 단턱(72)은 하부 바디(8)의 선단에 닿게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은 하부 후크(2)의 머리부(21)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부 후크(1)의 머리부(11)와 하부 후크(2)의 머리부(21)가 압접된 상태가 되므로,
상,하부 후크(1)(2)가 90°또는 그 외 각도로 비틀려진 상태에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걸고리가 봉에 다수 거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상부 후크(1)의 직선부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합한 것들을 한 세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후크(1)의 직선부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합한 소품용 걸고리들을 함께 사용할 경우,
소품용 걸고리들이 봉(P)에 거치된 상태에서, 하부 후크(2)의 라운드부의 높이가 상이하여 간섭현상이 방지되므로, 간격을 좁힐 수 있어 공간 활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가방, 공구, 주방용품 등의 상이한 소품들을 거치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후크가 서로 간에 90°또는 그 외 각도로 꺽여진 3차원의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걸고리에 다수 소품들이 거치될 때 봉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게 하고, 이에 따라 소품의 정렬상태를 양호케하고 공간 활용도를 개선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전보다 훨씬 많은 소품들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 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깔끔하게 진열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양호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상부 후크 2 : 하부 후크
3, 7 : 상부 바디 4 : 스프링
5 : 와셔 6, 8 : 하부 바디
11, 21 : 머리부 31 : 통공
32 : 단턱 33 : 수나사부
61 : 통공 62 : 암나사부
71, 81 : 통공 72 : 단턱
73 : 돌부 82 : 끼움홈
P : 봉
3, 7 : 상부 바디 4 : 스프링
5 : 와셔 6, 8 : 하부 바디
11, 21 : 머리부 31 : 통공
32 : 단턱 33 : 수나사부
61 : 통공 62 : 암나사부
71, 81 : 통공 72 : 단턱
73 : 돌부 82 : 끼움홈
P : 봉
Claims (5)
- 봉(P)에 거치하기 위한 상부 후크와, 각종 소품들을 거치하기 위한 하부 후크로 구성되는 소품용 걸고리에 있어서,
상, 하부 후크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상,하부 바디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 후크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로 위치하며,
하부 바디의 하부엔 하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상부 바디에는 상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와 치합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단턱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상기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를 상,하부 바디 내 끼운 후 끼워진쪽 선단에 머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들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하는데,
상,하부 바디 내 각각 끼워진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 중 한개 이상에서는 스프링을 끼운 후 머리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부 후크의 머리부들이 압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용 걸고리.
- 봉(P)에 거치하기 위한 상부 후크와, 각종 소품들을 거치하기 위한 하부 후크로 구성되는 소품용 걸고리에 있어서,
상, 하부 후크는 그 선단에 각각 결합된 상,하부 바디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되, 상,하부 바디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 하부 후크는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각도로 비틀려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부 바디에는 상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는 돌부를 방사 대칭구조로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단턱이 방사방향으로 돌설되며,
하부 바디의 하부엔 하부 후크의 직선부가 통과하기 위한 통공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기 돌부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ㄱ"자 구조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를 상,하부 바디 내 끼운 후 끼워진쪽 선단에 머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들로부터 분리되지않도록 하는데,
상,하부 바디 내 각각 끼워진 상, 하부 후크의 직선부 중 한개 이상에서는 스프링을 끼운 후 머리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부 후크의 머리부들이 압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용 걸고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직경은 상기 통공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내경은 상,하부 후크의 직선부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머리부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용 걸고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용 걸고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부 후크의 머리부 또는 하부 후크의 머리부에는 와셔가 함께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용 걸고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2개 이상의 소품용 걸고리들이 상부 후크(1)의 직선부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조합한 것들을 한 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품용 걸고리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6509A KR102462233B1 (ko) | 2021-10-14 | 2021-10-14 | 소품용 걸고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6509A KR102462233B1 (ko) | 2021-10-14 | 2021-10-14 | 소품용 걸고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2233B1 true KR102462233B1 (ko) | 2022-11-01 |
Family
ID=8404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6509A KR102462233B1 (ko) | 2021-10-14 | 2021-10-14 | 소품용 걸고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233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6218Y1 (ko) * | 2000-06-13 | 2000-12-01 | 김창림 | 걸이구 구조 |
JP2003235714A (ja) * | 2002-02-13 | 2003-08-26 | Minoru Kaizuka | キーホルダー |
KR20070006636A (ko) * | 2006-12-08 | 2007-01-11 | 케이에치피앤더블유(주) | 옷걸이의 고리쇠 체결구조 |
KR20110006774A (ko) | 2009-07-15 | 2011-01-21 | 권미희 | 제사방 |
KR20160012714A (ko) | 2014-07-25 | 2016-02-03 | 강성희 | 옷걸이 봉과 일정한 각도를 조절 및 유지하는 옷걸이 고리. |
KR102199838B1 (ko) * | 2020-05-22 | 2021-01-07 | 백승진 | 양방향 걸이 |
JP2021045298A (ja) * | 2019-09-18 | 2021-03-25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衣服用ハンガー |
-
2021
- 2021-10-14 KR KR1020210136509A patent/KR1024622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6218Y1 (ko) * | 2000-06-13 | 2000-12-01 | 김창림 | 걸이구 구조 |
JP2003235714A (ja) * | 2002-02-13 | 2003-08-26 | Minoru Kaizuka | キーホルダー |
KR20070006636A (ko) * | 2006-12-08 | 2007-01-11 | 케이에치피앤더블유(주) | 옷걸이의 고리쇠 체결구조 |
KR20110006774A (ko) | 2009-07-15 | 2011-01-21 | 권미희 | 제사방 |
KR20160012714A (ko) | 2014-07-25 | 2016-02-03 | 강성희 | 옷걸이 봉과 일정한 각도를 조절 및 유지하는 옷걸이 고리. |
JP2021045298A (ja) * | 2019-09-18 | 2021-03-25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衣服用ハンガー |
KR102199838B1 (ko) * | 2020-05-22 | 2021-01-07 | 백승진 | 양방향 걸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35064B2 (en) | Collapsible basket | |
US20170055748A1 (en) | Foldable hanger | |
US10687639B2 (en) | Wall fastener | |
KR102462233B1 (ko) | 소품용 걸고리 | |
CN206571805U (zh) | 弹性吊钩及配有该弹性吊钩的收纳柜 | |
KR200475185Y1 (ko) | 파티션용 수납 걸이대 | |
USD1005380S1 (en) | Eyeglass clip | |
CN213429562U (zh) | 灵活便捷的多用途趣味性挂钩 | |
CN203430959U (zh) | 一种真空吸盘挂钩 | |
CN208328506U (zh) | 一种多功能叠衣板 | |
CN207136802U (zh) | 一种新型纸巾盒 | |
CN108814022A (zh) | 一种便于使用的床头柜 | |
CN204548768U (zh) | 一种折叠水桶 | |
CN216220466U (zh) | 一种吊坠及项链 | |
CN210582058U (zh) | 一种便于收纳的衣架 | |
CN219803591U (zh) | 便携式筷子组件 | |
CN204717300U (zh) | 吸附式多用途可调夹持装置 | |
CN207084375U (zh) | 挂书袋 | |
CN210420673U (zh) | 一种翻带器 | |
CN211795739U (zh) | 一种折叠调羹 | |
KR102273946B1 (ko) | 정면으로 옷감에 부착되는 태극문양을 갖는 배지의 구조 | |
CN208048201U (zh) | 一种伞柄及雨伞 | |
KR102011332B1 (ko) | 욕실용 수건걸이 | |
CN210000820U (zh) | 具有隐藏式悬挂装置的乳液瓶 | |
CN205306381U (zh) | 一种防变形书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