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950B1 -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 Google Patents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950B1
KR102461950B1 KR1020210007491A KR20210007491A KR102461950B1 KR 102461950 B1 KR102461950 B1 KR 102461950B1 KR 1020210007491 A KR1020210007491 A KR 1020210007491A KR 20210007491 A KR20210007491 A KR 20210007491A KR 102461950 B1 KR102461950 B1 KR 10246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right
fixing
unit
module uni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5236A (en
Inventor
최규웅
강석구
배기철
Original Assignee
우드빌더스 주식회사
최규웅
강석구
배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드빌더스 주식회사, 최규웅, 강석구, 배기철 filed Critical 우드빌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950B1/en
Publication of KR2022010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2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9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2Handles to carry construction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유닛의 유닛바닥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업라이트부재를 상기 유닛바닥부에 견고한 상태로 손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임은 물론 모듈유닛간 적층작업 및 양중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유닛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체(110)와, 상기 바닥면체(110)의 하측면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초지지체(120)로 이루어져 모듈유닛을 지면에 안착시, 지면과 바닥면체(110) 사이에 이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유닛바닥부(10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목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업라이트부재(200); 상기 업라이트부재(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바닥부(100)를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된 중공형 베이스픽싱구(310)와,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21)이 형성된 레벨플레이트(320)와, 상기 레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인서트홈부(210)로 삽입되는 관체의 긴장재수용구(330)와, 상기 긴장재수용구(330)의 외측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인서트홈부(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를 관통하는 관통결속구(342)에 의해 고정되는 판체의 픽싱플레이트(340)로 이루어지는 직립픽싱부재(300);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되 모듈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인접 모듈유닛의 직립픽싱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는 포지션피팅편(410)이 형성된 어포조인트부재(400);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측과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길이방향 양측을 인장고정하여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인장유닛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by enabling an upright member installed upright on the unit floor of the module unit to be easily fixed and installed on the unit floor in a solid state, as well as improving constructability. It relates to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that can easily achieve stacking work and lifting work between module units.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body 110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module unit, and a base support body 120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body 110 toward the ground. When the module unit is mounted on the ground, the ground and the unit bottom 100 so as to form a spaced-apart space 130 between the bottom surface 110; A plurality of upright members 200 made of wood to be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in a state in whic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hollow base fixing sphere 310 install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nit bottom 100 at a position where the upright member 200 is installed, and the base fixing sphere 310 formed to have a certain area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vel plate 3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part 100 an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2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ase fixing hole 310 , and the upper side of the level plate 320 . The upright in a stat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side of the tubular tension member accommodating port 330, which is formed upright in the tubular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formed in the upright member 200, and the tension material receiving port 330. An upright fixing member 300 comprising a fixing plate 340 of a plate body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210 formed in the member 200 and fixed by a through binding hole 342 penetrating the upright member 200 . ); an apojoint member 4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having a position fitting piece 410 inserted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of an adjacent module unit seated on the top of the module unit;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by tensioning both sides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base fixing member 310 and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nsion unit member (500).

Description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유닛의 유닛바닥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업라이트부재를 상기 유닛바닥부에 견고한 상태로 손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높임은 물론 모듈유닛간 적층작업 및 양중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by enabling an upright member installed upright on the unit floor of the module unit to be easily fixed and installed on the unit floor in a solid state, as well as improving constructability. It relates to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that can easily achieve stacking work and lifting work between module units.

모듈러 시스템은 공장에서 모듈을 제작하고 현장에서 단위 모듈을 조립하는 혁신적인 공법이다. 건식공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전천후 시공이 가능하고 자원의 재사용 및 단위 모듈을 이용한 증개축이 용이하다. The modular system is an innovative method of manufacturing modules in a factory and assembling unit modules on site. Because it is manufactured by the dry construction method, it can be constructed in all weather conditions, and it is easy to reuse resources and extend or build using unit modules.

기존의 모듈러 시스템은 주로 강재나 콘크리트로 제작되었으나 탄소저감, 다양한 공학 목재의 개발과 보급으로 인해 목재를 활용한 건축물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간벌기가 거의 끝나가고 벌령기가 다가오고 있다. 탄소덩어리인 목재의 고부가가치 용재로의 이용 및 장기간 탄소저장을 위해 건축용재로 적극활용해야하고, 수요를 촉진시켜야 한다. Existing modular systems were mainly made of steel or concrete, but interest in buildings using wood is increasing due to carbon reduction an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engineered woods. At present, the thinning season is almost over in Korea, and the bealyeong period is approaching. The use of wood, which is a lump of carbon, as a high value-added solvent and long-term carbon storage, should be actively used as a building material, and demand should be stimulated.

또한, 모듈러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공사기간과 경제성이다. 공사기간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고 공사비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에서 탁월하다는 것이다. 또한, 현장 작업을 줄여 폐기물 발생이 최대한 억제되고 현장의 소음과 먼지등 민원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modular system i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reduced to one-thir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also dramatically reduced, as well as being reusable. In addition, by reducing on-site work, the generation of waste can be minimized and civil complaints such as noise and dust can be minimized.

그러나, 다수개의 목재를 이용하여 모듈화한 모듈유닛을 이동하는 과정이나 상,하차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충격이 모듈유닛에 인가되어 현장에서 시공시, 모듈유닛의 변형으로 인해 시공품질의 저하는 물론 모듈건축물의 내구성 저하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 huge impact is applied to the module unit in the process of moving or loading and unloading the modular unit using a plurality of wood, and during construction at the site, the deterioration of the construction quality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module unit as well as the deterioration of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modular building This is causing a decrease in durability.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5697호의 모듈러 건축물의 보와 기둥 접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A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and column joint structure of the modular building of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05697 is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유닛의 유닛바닥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업라이트부재를 직립픽싱부재를 매개로 상기 유닛바닥부에 견고한 상태로 손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수개의 모듈유닛간 적층작업시 상기 직립픽싱부재로 삽입되는 포지션피팅편을 통해 적층작업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높이고, 상기 포지션피팅편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양중조인트부재를 통해 모듈유닛의 양중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fix and install the upright member installed upright on the unit bottom of the module unit in a solid state on the unit bottom through the upright fixing member. During the lamination operation between a plurality of module units,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lamination operation is increased through the position fitting piece inserted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and the module unit is lifted through the lifting joint member detachably mounted on the position fitting pie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that can be easily accomplish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듈유닛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체(110)와, 상기 바닥면체(110)의 하측면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초지지체(120)로 이루어져 모듈유닛을 지면에 안착시, 지면과 바닥면체(110) 사이에 이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유닛바닥부(10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목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업라이트부재(200); 상기 업라이트부재(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바닥부(100)를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된 중공형 베이스픽싱구(310)와,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21)이 형성된 레벨플레이트(320)와, 상기 레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인서트홈부(210)로 삽입되는 관체의 긴장재수용구(330)와, 상기 긴장재수용구(330)의 외측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인서트홈부(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를 관통하는 관통결속구(342)에 의해 고정되는 판체의 픽싱플레이트(340)로 이루어지는 직립픽싱부재(300);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되 모듈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인접 모듈유닛의 직립픽싱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는 포지션피팅편(410)이 형성된 어포조인트부재(400);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측과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길이방향 양측을 인장고정하여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인장유닛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인서트홈부(210)는,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하측에 상기 픽싱플레이트(3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대응홈(211)과, 상기 플레이트대응홈(2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되는 긴장재설치홈(2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립픽싱부재(3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기초지지체(120) 하측면에는,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과 연통되는 연통포지션홀(351)이 형성된 판체의 안착플레이트(350)가 설치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350)는 상기 이격공간(130)으로 연장되는 넓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격공간(130)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고정볼트(352)의 관통을 위한 제1볼트끼움공(353)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는 모듈유닛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넓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볼트끼움공(353)과 대응되는 제2볼트끼움공(420)이 형성되어 상하 모듈유닛의 적층시 상기 제1,2볼트끼움공(353,420)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에는 모듈유닛의 양중을 위한 양중조인트부재(44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은 상기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기초지지체(120)와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긴장재수용구(330)를 관통하는 관통고정철물(411)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장유닛부재(500)는,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일측을 고정하는 로워고정부(510)와,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타측을 고정하는 상측고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dule unit consisting of a bottom surface body 110 forming the bottom of the module unit, and a base support body 120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body 110 to the ground direction. When seated on the ground, the unit bottom portion 100 is formed such that a spaced-apart space 130 is form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floor surface (110); A plurality of upright members 200 made of wood to be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in a state in whic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hollow base fixing sphere 310 install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nit bottom 100 at a position where the upright member 200 is installed, and the base fixing sphere 310 formed to have a certain area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vel plate 3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part 100 an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2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ase fixing hole 310 , and the upper side of the level plate 320 . The upright in a stat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side of the tubular tension member accommodating port 330, which is formed upright in the tubular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formed in the upright member 200, and the tension material receiving port 330. An upright fixing member 300 comprising a fixing plate 340 of a plate body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210 formed in the member 200 and fixed by a through binding hole 342 penetrating the upright member 200 . ); an apojoint member 4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having a position fitting piece 410 inserted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of an adjacent module unit seated on the top of the module unit;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by tensioning both sides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base fixing member 310 and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 and a tension unit member 500; and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of the upright member 2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ixing plate 340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The plate-corresponding groove 211 is formed, and the tension member installation groove 2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plate-corresponding groove 211 and in whic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In add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support 120 of the unit bottom 100 at the position where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installed, a communication position hole 35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provided. A seating plate 350 of the formed plate body is installed, the seating plate 350 is made to have an area extend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130, and a fixing bolt 352 passes through a portion extend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130. A first bolt-fitting hole 353 is formed for The fitting hole 42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lt fitting holes 353,4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and lower module units are stacked.
In addition, a lifting joint member 440 for lifting the module un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and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inserted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the The base support 120 of the unit bottom 100 and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are fixedly installed by the through fixing hardware 411 penetrating the tension member receiving hole 330 .
In addition, the tension unit member 50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ase fixing member 310 to fix one side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 a lower fixing part 510 , and the upper joint member 400 . )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upright member 200 in a state connected to and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fixing part 520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닛바닥부의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업라이트부재의 직립설치를 직립픽싱부재에 의해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다수개의 모듈유닛간 상부적층시 정확한 위치로의 안착을 통한 전체건축물의 내구성 증진과 신속한 적층작업을 통한 현장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unit bottom can be firmly and easily installed by the upright fixing member, so that improvement in constructability can be expected, and when stacking the upper part between a plurality of module units, the upright member can be installed in an accurate position.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building through seating and to increase field workability through rapid lamination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픽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픽싱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에 형성된 인서트홈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픽싱플레이트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픽싱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픽싱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어퍼조인트부재에 포지션피팅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피팅편이 관통고정철물에 의해 고전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플레이트와 어포조인트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유닛의 적층시 관통고정철물과 고정볼트가 동시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피팅편에 양중조인트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ide state of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right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insert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ition fitting piece is formed on the upper joint member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fitting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ardened by a through-fixing hardware;
1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late and the apojoint member are fixed by fixing bo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fixing hardware and the fixing bolt are used at the same time when the module unit is stack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joint member is installed on the position fitting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thickness of the lines shown in the drawing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의 측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픽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픽싱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부재에 형성된 인서트홈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픽싱플레이트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픽싱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픽싱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어퍼조인트부재에 포지션피팅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피팅편이 관통고정철물에 의해 고전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플레이트와 어포조인트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유닛의 적층시 관통고정철물과 고정볼트가 동시에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션피팅편에 양중조인트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ide state of a movab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tate diagram of an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right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6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according to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insert groove formed in the uprigh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upper joint member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ition fitting piece is formed, and FIG. 1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fitting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ardened by a through-fixing hardware, and FIG. 13 is a seating plate and an apojoin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fixed by a fixing bolt, and FIG. 1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rough fixing hardware and the fixing bolt are used at the same time when the modu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and FIG. 15 is a position fitting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ifting joint member is installed.

상기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은 내부에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된 상태로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목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업라이트부재(200)와,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하측을 고정하는 직립픽싱부재(300)와,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어퍼조인트부재(400)와,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인장유닛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15, the movable module unit of the modula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wood tha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floor 100 wit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nstalled therein. Upright member 200, an upright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lower side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an upper joint member 4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the uprigh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nsion unit member 500 for imparting tension to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nstalled inside the member 200 .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은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를 상기 직립픽싱부재(300)를 통해 용이하게 직립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고긴장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모듈유닛의 구조적 안전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at is, the movable module unit of the modula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mly fixed by the high tension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while allowing the upright member 200 to be easily installed upright through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t is mad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module unit.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된 상태로 유닛바닥부(100)의 상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는 목재로 이루어진 각재이거나 다수개의 판재가 결합된 구조용 집성판을 재차 가공하여 일정한 직경의 각재로 제작된 부재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는 모듈유닛의 기둥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The upright member 200 is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in a state in whic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nd the upright member 200 as an embodiment is It may be a square material made of wood or a member made of a square material of a certain diameter by re-processing a structural aggregation board in which a plurality of boards are combined. As such, the upright member 200 clarifies that it may be used as a pillar of the module unit.

여기서, 상기 유닛바닥부(100)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유닛바닥부(100)는 모듈유닛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체(110)와, 상기 바닥면체(110)의 하측면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초지지체(12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unit bottom 1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by pouring concrete, and the unit bottom 100 as an embodiment includes a bottom surface 110 forming the bottom of the module unit, It may be made of a base support 120 tha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10).

이러한,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구조를 갖는 모듈유닛을 지면에 안착 설치시, 지면과 상기 바닥면체(110) 사이에는 이격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초지지체(120)는 상기 바닥면체(110)의 하측면 가장자리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module unit having the structure of the unit bottom 100 is mounted on the ground and installed, a space 130 may be form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base support 120 is It may have a structur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110 .

여기서, 상기 유닛바닥부(100)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정면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각목이나 각파이프를 연결하여 격자형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거나 격자형의 메인틀 상부에 다수개의 장선을 일정간격으로 용접결합하거나 볼팅결합하는 구조, H빔을 이용하여 테두리를 형성하고 내부에 H빔이나 철재빔을 설치하여 기초바닥부를 이루도록 하는 등 여러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the unit bottom 10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certain area by pouring concre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made to have a grid-type structur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quare woods or square pipes, or a grid-type main fram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joists are welded or bol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an H-beam is used to form an edge, and an H-beam or a steel beam is installed inside to form a foundation floor. It is revealed

또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설치를 위한 인서트홈부(2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 모서리에 직립되게 설치되거나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업라이트부재(200) 사이에는 모듈유닛의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upright member 200 has an insert groove 210 for installation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upright at the upper edge of the unit bottom 100 or the unit. It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art 100 , and the wall members 220 forming the wall of the module uni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right members 200 .

이때, 상기 벽체부재(220)는 일정직경의 각재를 이용하여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된 목구조의 부재로써 상기 업라이트부재(200) 사이의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모듈유닛의 벽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벽체부재(220)의 전면 및 후면에 판상보드를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wall member 220 is a member of a wooden structur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using a square material of a certain diameter, and is install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between the upright members 200. form a wall At this time, the plate-like board may be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all member 220 .

여기서, 상기 벽체부재(220)가 틀 형상의 목구조로 이루어진 부재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철골구조 및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체로 이루어진 부재일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although the wall member 220 is described as a member made of a frame-shaped wooden structur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to be noted that it may be a member made of a steel frame structure and a plate body having a certain area.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는 다수개의 판재가 결합되어 일정한 면적을 형성하는 구조용 집성판일 수 있는데, 이 경우 기둥으로 사용되는 업라이트부재 사이에 구조용 집성판 구조의 업라이트부재를 설치하여 모듈유닛의 벽체를 이루도록 하거나 구조용 집성판 구조의 업라이트부재를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 가장자리에 직립설치하여 모듈유닛의 기둥과 벽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upright memb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structural aggregatio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 materials are combined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In this case, an upright member having a structural aggregation plate structure is installed between upright members used as columns To form the wall of the module unit, or to install the upright member of the structural aggregation plate structure upright on the upper edge of the unit bottom 100 to satisfy the column and wall of the module unit at the same time. Can be installed .

또한, 상기 직립픽싱부재(300)는 중공형 부재로써, 일측이 상기 유닛바닥부(100)에 고정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되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길이방향 하측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a hollow member, one side is fixed to the unit bottom part 100,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upright member 200,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t is installed so that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ccommodated therein.

즉, 상기 직립픽싱부재(300)는 상기 유닛바닥부(100)가 콘크리트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직립픽싱부재(300)를 상기 업라이트부재(2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놓여지게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타설에 의해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일측이 상기 유닛바닥부(1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타측이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슬라이딩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upright member 200 is installed. One sid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unit bottom 100 by pouring concrete, and in this state, the other sid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the unit bottom 100. It is form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right member 200, so that the sliding coupling of the upright member 200 can be easily achieved.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직립픽싱부재(300)는 상기 업라이트부재(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바닥부(10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된 중공된 베이스픽싱구(310)와,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21)이 형성된 레벨플레이트(320)와, 상기 레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인서트홈부(210)로 삽입되는 관체의 긴장재수용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as an embodiment includes a hollow base fixing sphere 310 install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nit bottom 100 at a position where the upright member 200 is installed, and the base The fixing hole 3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part 100 , and a through hole 32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ase fixing hole 310 is formed. The level plate 320 and the tension member 330 of the tube body which is form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l plate 32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formed in the upright member 20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re will be.

즉, 콘크리트타설에 의해 상기 유닛바닥부(100)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픽싱구(310)는 상기 유닛바닥부(100)에 견고히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픽싱구(310)가 상기 유닛바닥부(10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하측방향에서 내부가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벨플레이트(320)는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레벨플레이트(320)의 상측면은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at is, when the unit bottom 100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the base fixing port 310 is firmly fixedly installed to the unit bottom 100, and the base fixing member 310 is the As the unit bottom part 100 is installed to penetrate vertically, the inside is expos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unit bottom part 100 .
In addition, the level plate 320 is to be fixedly installed by pouring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the upper side of the level plate 320 is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be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긴장재수용구(330)는 일정길이의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레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인서트홈부(2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In addition, the tension material receiving port 330 is form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as i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l plate 320 made of a tubular body of a certain length, the upright member ( 20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210 of the inner side.

또한, 상기 긴장재수용구(330)의 외측에는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를 관통하는 관통결속구(342)에 의해 고정되는 픽싱플레이트(34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픽싱플레이트(340)는 상기 긴장재수용구(330)의 외측면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인서트홈부(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판체로, 상기 관통결속구(342)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과홀(34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 fixing plate 340 fixed by a through binding hole 342 penetrating through the upright member 20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ension material receiving hole 330 . That is, the fixing plate 34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nsion member accommodating port 330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of the upright member 200, the through bin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41 through which the sphere 342 can pass are formed.

이때, 상기 픽싱플레이트(340)는 한 쌍이 상기 긴장재수용구(330)의 외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거나 상호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긴장재수용구(33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a pair of the fixing plate 34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nsion member 330 or may b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ension member 330 . It may be made so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이는,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설치위치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픽싱플레이트(34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This is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respon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shape of the upright member 200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part 100 .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ength of the fixing plate 340 may be variously formed as needed.

여기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인서트홈부(210)는,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하측에 상기 픽싱플레이트(3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대응홈(211)과, 상기 플레이트대응홈(2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되는 긴장재설치홈(212)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of the upright member 200 includes a plate corresponding groove 211 formed to accommodate the fixing plate 340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the plate. 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groove 211 and may be formed of a tension member installation groove 212 in whic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직립픽싱부재(300)를 이용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유닛바닥부(100)에 상기 베이스픽싱구(310)가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인서트홈부(210)에 상기 픽싱플레이트(340)와 긴장재수용구(330)가 끼워지도록 설치하게 되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직립설치를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Looking 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upright member 200 using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upright memb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fixing hole 3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nit bottom 100. When the fixing plate 340 and the tension member receiving tool 330 are installed in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of the , upright installa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can be easily achieve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미리 형성된 결속구인입공(230)을 통해 상기 관통결속구(342)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하측에 대한 견고한 고정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through binding hole 342 is coupled through the binding hole inlet 230 formed in advance in the upright member 200, a firm fixing installation for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can be achieved. will become

또한, 상기 직립픽싱부재(3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하측면에는,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과 연통되는 연통포지션홀(351)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35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안착플레이트(35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체로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기초지지체(120) 하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at the position where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installed, a communication position hole 35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formed on a seating plate 350 . ) can be installed. That is, the seating plate 350 as an embodiment i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pport 120 of the unit bottom 100 to the upper joint member 400 to be described later. made to be settled.

또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되 모듈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인접 모듈유닛의 직립픽싱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는 포지션피팅편(41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Also, as an embodiment The upper joint member 400 is made of a plate body having a certain area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is inserted into an upright fixing member of an adjacent module unit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unit. 410) is formed.

즉, 모듈유닛을 적층하여 시공시, 하측의 모듈유닛에 마련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이 상측의 모듈유닛에 마련된 직립픽싱부재의 베이스픽싱구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모듈유닛의 적층시공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은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 모서리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at is, when the module unit is laminated and constructed,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provided in the lower module uni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base fixing hol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provided in the upper module unit, so that the module unit stacking construction is facilitated. be able to achie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is formed on the upright member 200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edge of the unit bottom part 100 .

이때,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은,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기초지지체(120)와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긴장재수용구(330)를 관통하는 관통고정철물(411)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inserted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the base support 120 of the unit bottom 100 and the tension member 330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 ) may be fixedly installed by a through-fixing hardware 411 penetrating it.

즉, 하측 모듈유닛에 마련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을 상측 모듈유닛의 직립픽싱부재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한 후, 상기 관통고정철물(411)이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기초지지체(120)와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긴장재수용구(330)를 관통하도록 하도록 하여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을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모듈유닛간 견고한 적층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after sliding and inserting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provided in the lower module unit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of the upper module unit, the through fixing hardware 411 is the base support 120 of the unit bottom 100. and a rigid stacking state between the stacked module units by fixing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inserted inside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to pass through the tension material receiving port 330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to make it possible to achieve

여기서, 상기 관통고정철물(411)은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드래프트 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등 여러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through fixing hardware 411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uch as being formed in the form of a bolt or in the form of a draft pin.

또한, 다수개의 모듈유닛을 적층하여 일정 층의 모듈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안착플레이트(350)는 상기 이격공간(130)으로 연장되는 넓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격공간(130)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고정볼트(352)의 관통을 위한 제1볼트끼움공(353)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modular building of a certain floor by stacking a plurality of module units, the seating plate 350 as another embodiment is made to have an area extend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130 , and the separation space 130 . ), the first bolt fitting hole 353 for the penetration of the fixing bolt 352 may be formed in the portion extending to.

이때,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는 다른 실시예로써의 상기 안착플레이트(350)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모듈유닛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넓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에는 상기 제1볼트끼움공(353)과 대응되는 제2볼트끼움공(420)이 형성되어 상하 모듈유닛의 적층시 상기 제1,2볼트끼움공(353,420)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upper joint member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right member 200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plate 3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has a width extending inward of the module unit. In the upper joint member 400, a second bolt fitting hole 4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lt fitting hole 353 is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bolt fitting holes 353,420 are formed when the upper and lower module units are stacked.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it communicate.

다시 말해, 하측 모듈유닛 상부에 상측 모듈유닛을 적층시, 하측 모듈유닛에 마련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을 상측 모듈유닛에 마련된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부 모듈유닛이 제위치를 찾으면서 적층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제1,2볼트끼움공(353, 420)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하부의 모듈유닛 내부에서 상기 이격공간(130)을 통한 상기 고정볼트(352)의 결속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여 적층 모듈유닛간 연결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upper module unit is stacked on the lower module unit, when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provided in the lower module unit is inserted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provided in the upper module unit, the upper module unit is It is stacked while finding its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bolt fitting holes 353 and 420 are made to communicate, so that the fixing bolt 352 is bound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130 inside the lower module unit. By safely performing the work,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stacked module units.

여기서, 하측 모듈유닛 상부에 상측 모듈유닛의 적층시 상기 관통고정철물(411) 및 상기 고정볼트(352)가 동시에 사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when the upper module unit is stacked on the lower module unit, a structure in which the through fixing hardware 411 and the fixing bolt 352 are simultaneously used may be applied.

또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에는 모듈유닛의 양중을 위한 양중조인트부재(44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모듈유닛의 양중시 상기 양중조인트부재(440)를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에 장착하여 양중을 위한 양중와이어(443)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듈유닛의 양중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In addition, a lifting joint member 440 for lifting the module unit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 That is, when the module unit is lifted, the lifting joint member 440 is mounted on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to connect the lifting wire 443 for lifting,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dule unit can be easily achieved. it is for

이때,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양중조인트부재(440)는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에 밀착된게 형성되는 밀착결속판(441)과, 상기 밀착결속판(44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양중와이어(443)가 체결되는 와이어체결구(442)와, 상기 밀착결속판(441)과 포지션피팅편(410)을 관통도록 마련되는 조인트결속구(4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lifting joint member 440 as an embodiment is a close contact binding plate 441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and the lifting wir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lose contact binding plate 44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fastener 442 to which 443 is fastened, and a joint binding sphere 444 provided to penetrate the close contact bonding plate 441 and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

이와 같이 모듈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양중조인트부재(440)로 인해 모듈유닛간 측면 밀착설치시 모듈유닛의 시공작업성이 향상된다. As such, due to the lifting joint member 440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unit, the construction workability of the module unit is improved when the module uni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또한, 상기 인장유닛부재(500)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인장유닛부재(500)는 상기 유닛바닥부(100)에 고정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일측을 고정하는 로원고정부(510)와,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타측을 인장고정하는 상측고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tension unit member 50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to impart tension to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and the tension unit member 500 is the unit bottom part A lower circle fixing part 510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upright member 200 fixed to 100 and fixing one side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and the upper joint member 40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upright member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fixing part 520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n tension.

즉, 상기 로원고정부(510)는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레벨플레이트(320)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헤더구(511)와, 상기 헤더구(511)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수용구(330)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픽싱구(310)로 연장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를 인장고정하는 분할쐐기구(51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the lower circle fixing part 5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fixing part 310 so that the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l plate 320 , the header part 511 and the header part 511 . It may be made of a split wedge mechanism 512 for tensioning and fixing the pre-stressed tension member 10 extending to the base fixing member 310 through the tension member receiving port 330 in a state located inside.

또한, 상기 상측고정부(520)는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포지션피팅편(410) 사이의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에 형성된 마운팅홈(43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인서트홈부(210) 내측으로 삽입되는 홀딩구(521)와, 상기 홀딩구(521)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을 인장고정하는 분할고정구(52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홀딩구(521)는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에 고정되게 설치되거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In addition, the upper fixing part 52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joint member 400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ounting groove 430 formed in the upper joint member 400 between the position fitting pieces 410. A holding hole 521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a split fixture 522 for tensioning and fixing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holding hole 521 can be done with At this time, it is to be noted that the holding hole 521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upper joint member 400 or may be rotatably install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프리스트레스 긴장재 100: 유닛바닥부
110: 바닥면체 120:기초지지체
130: 이격공간 200: 업라이트부재
210: 인서트홈부 220: 벽체부재
230: 결속구인입공 300: 직립픽싱부재
310: 베이스픽싱구 320: 레벨플레이트
330: 긴장재수용구 340: 픽싱플레이트
350: 안착플레이트 352: 고정볼트
353: 제1볼트끼움공 400: 어퍼조인트부재
410: 포지션피팅편 420: 제2볼트끼움공
430: 마운팅홈 440: 양중조인트부재
500: 인장유닛부재 510: 로워고정부
520: 상측고정부
10: pre-stress tension material 100: unit bottom
110: bottom body 120: base support
130: separation space 200: upright member
210: insert groove 220: wall member
230: binding hole inlet 300: upright fixing member
310: base fixing sphere 320: level plate
330: tension receptacle 340: fixing plate
350: seating plate 352: fixing bolt
353: first bolt hole 400: upper joint member
410: position fitting piece 420: second bolt hole
430: mounting groove 440: double joint member
500: tension unit member 510: lower fixing part
520: upper fixed part

Claims (5)

모듈유닛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체(110)와, 상기 바닥면체(110)의 하측면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초지지체(120)로 이루어져 모듈유닛을 지면에 안착시, 지면과 바닥면체(110) 사이에 이격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유닛바닥부(10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목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업라이트부재(200);
상기 업라이트부재(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바닥부(100)를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된 중공형 베이스픽싱구(310)와,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길이방향 상측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상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21)이 형성된 레벨플레이트(320)와, 상기 레벨플레이트(320)의 상측에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인서트홈부(210)로 삽입되는 관체의 긴장재수용구(330)와, 상기 긴장재수용구(330)의 외측에 일정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에 형성된 인서트홈부(2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업라이트부재(200)를 관통하는 관통결속구(342)에 의해 고정되는 판체의 픽싱플레이트(340)로 이루어지는 직립픽싱부재(300);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되 모듈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는 인접 모듈유닛의 직립픽싱부재 내측으로 삽입되는 포지션피팅편(410)이 형성된 어퍼조인트부재(400);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측과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상측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길이방향 양측을 인장고정하여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인장유닛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인서트홈부(210)는,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 하측에 상기 픽싱플레이트(3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대응홈(211)과, 상기 플레이트대응홈(2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가 설치되는 긴장재설치홈(2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When the module unit is seated on the ground, it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body 110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module unit, and a base support body 120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body 110 toward the ground. (110) a spaced space 130 between the unit bottom portion 100 is formed to be formed;
A plurality of upright members 200 made of wood to be installed up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100 in a state in whic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hollow base fixing sphere 310 install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nit bottom 100 at a position where the upright member 200 is installed, and the base fixing sphere 310 formed to have a certain area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vel plate 3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bottom part 100 an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2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ase fixing hole 310 , and the upper side of the level plate 320 . The upright in a stat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side of the tubular tension member accommodating port 330, which is formed upright in the tubular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formed in the upright member 200, and the tension material receiving port 330. An upright fixing member 300 comprising a fixing plate 340 of a plate body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210 formed in the member 200 and fixed by a through binding hole 342 penetrating the upright member 200 . );
an upper joint member 400 having a position fitting piece 41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inserted into an upright fixing member of an adjacent module unit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unit;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by tensioning both sides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base fixing member 310 and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 and a tension unit member 500 to
The insert groove portion 210 of the upright member 200 includes a plate-corresponding groove 211 formed to accommodate the fixing plate 340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and the plate-corresponding groove (21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right member (200)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dula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ension member installation groove (212) in which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픽싱부재(3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기초지지체(120) 하측면에는,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과 연통되는 연통포지션홀(351)이 형성된 판체의 안착플레이트(350)가 설치되되 상기 안착플레이트(350)는 상기 이격공간(130)으로 연장되는 넓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격공간(130)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고정볼트(352)의 관통을 위한 제1볼트끼움공(353)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는 모듈유닛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넓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볼트끼움공(353)과 대응되는 제2볼트끼움공(420)이 형성되어 상하 모듈유닛의 적층시 상기 제1,2볼트끼움공(353,420)이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pport 120 of the unit bottom 100 at the position where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installed, a communication position hole 35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formed. of the seating plate 350 is installed, the seating plate 350 is made to have an area extend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130 and a fixing bolt 352 in a portion extend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130 for penetration A first bolt fitting hole 353 is formed,
The upper joint member 400 is made to have a width exten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odule unit, and a second bolt fitting hole 4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lt fitting hole 353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odule units are stacked. The movab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bolt fitting holes (353,420) are made to communic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에는 모듈유닛의 양중을 위한 양중조인트부재(44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movab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lifting joint member (440) for lifting the module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포지션피팅편(410)은, 상기 상기 유닛바닥부(100)의 기초지지체(120)와 상기 직립픽싱부재(300)의 긴장재수용구(330)를 관통하는 관통고정철물(411)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position fitting piece 410 inserted into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is the base support 120 of the unit bottom 100 and the tension member 330 of the upright fixing member 300 . A mobi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installed by a through-fixing hardware (411) passing through 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유닛부재(500)는, 상기 베이스픽싱구(3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일측을 고정하는 로워고정부(510)와, 상기 어퍼조인트부재(4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업라이트부재(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긴장재(10)의 타측을 고정하는 상측고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이동식 모듈유닛.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tension unit member 50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fixing member 310 to fix one side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with a lower fixing part 510 and the upper joint member 400. A movable module unit of a modula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upright member (200) in a connected state and comprises an upper fixing part (520)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prestress tension member (10).
KR1020210007491A 2021-01-19 2021-01-19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KR1024619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91A KR102461950B1 (en) 2021-01-19 2021-01-19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91A KR102461950B1 (en) 2021-01-19 2021-01-19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36A KR20220105236A (en) 2022-07-27
KR102461950B1 true KR102461950B1 (en) 2022-11-02

Family

ID=8270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491A KR102461950B1 (en) 2021-01-19 2021-01-19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9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81A (en) * 1998-11-30 2000-06-13 Hidetoshi Okawa Joint for wood and method for joining wood by using the same
KR101746782B1 (en) * 2017-01-26 2017-06-13 최규웅 Wooden building of seismic retrofit type having prestress tend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798537B1 (en) * 2017-03-17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LEGO-type PC house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584B1 (en) * 2019-06-25 2021-01-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odular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81A (en) * 1998-11-30 2000-06-13 Hidetoshi Okawa Joint for wood and method for joining wood by using the same
KR101746782B1 (en) * 2017-01-26 2017-06-13 최규웅 Wooden building of seismic retrofit type having prestress tend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798537B1 (en) * 2017-03-17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LEGO-type PC house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36A (en)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79015B (en)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integrated green building and design and installation process thereof
US5295754A (en) Framework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 and framework member
CN108978875B (en) Quick-disassembly-type special-shaped column frame plate type supporting structur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677115A (en) H-shaped steel beam and H-shaped steel column strong shaft assembled nod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1456222B (en)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integrated green building and design and installation process thereof
KR102461950B1 (en)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CN104032829A (en) Modularized high-rise assembled steel structure pre-stressed eccentric support system
KR102302428B1 (en) Module unit of modular building
CN211621960U (en) Wood structure building beam column connection node structure
US11021866B2 (en)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CN105369890A (en) Earthquake-proof folk house steel framework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399913B1 (en) Movable korea house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using container
AU2022202595A1 (en) Structural Building Element
CN212427537U (en) Assembled steel construction building fixed establishment
CN112302195A (en) Lateral force resistant damper and steel frame combin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749385A (en)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composite wood structure building roof
CN112095790B (en) Assembled steel construction beam column node connecting device
CN217840319U (en) Adjustable beam column with wooden shelter pavilion mortise and tenon structure
CN205348384U (en) Antidetonation local -style dwelling houses steel framework
CN214696146U (en) Steel structure connecting piece of wood column
CN215630842U (en)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capable of being installed efficiently
KR10161500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qaure shaped frame type retaining pannel easy width adjustment
JP5018711B2 (en) Hole down bolt fixing structure
JP4871363B2 (en) Column / beam joint structure and unit building reconstruction method
WO2021245735A1 (en) Laminated wood joi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