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179B1 -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179B1
KR102461179B1 KR1020150136976A KR20150136976A KR102461179B1 KR 102461179 B1 KR102461179 B1 KR 102461179B1 KR 1020150136976 A KR1020150136976 A KR 1020150136976A KR 20150136976 A KR20150136976 A KR 20150136976A KR 102461179 B1 KR102461179 B1 KR 10246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superimposed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7405A (en
Inventor
배재현
서종수
오영호
최정민
한재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179B1/en
Publication of KR2017003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97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in combination with other modul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송신 장치가 개시된다.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는, 제1 및 제2 신호를 중첩 코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A transmitting device is disclosed. A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scheme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overlaps first and second signals to generate an overlapped coded signal,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multiplies the overlapped coded signal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and transmits it includes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DM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tting apparatus, a receiv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mitting apparatus, a receiv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n LDM manner.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방송 통신 서비스는 본격적인 디지털화, 다채널화, 광대역화, 고품질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고화질 디지털 TV 및 PMP, 휴대방송 기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도 다양한 수신방식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ervices are entering the era of full-scale digitalization, multi-channel, broadband, and high-quality. In particular, as the distribution of high-definition digital TVs, PMPs, and portable broadcasting devices has recently expanded, the demand for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to support various reception methods is increasing.

이러한 요구에 따라 표준 그룹에서는 다양한 표준을 제정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In accordance with these demands, the standards group has established various standards and is providing various service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us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ind a way to provide better services through better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장치에서 원하는 방송 신호만 추출할 수 있도록 LDM 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response to the above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tting apparatus, a receiv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in an LDM manner so that only a desired broadcast signal can be extracted from the receiving apparatus .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는, 제1 및 제2 신호를 중첩 코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 overlapping coding signal by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a transmitter for multiplying the superposition coded signal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and transmitting the multiplied signal.

여기서, 상기 직교 코드 성분은, 기설정된 직교 코드 패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Here,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may be determined by a preset orthogonal code pattern.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중첩하여 상기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lso,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the overlapped coding signal by assigning different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superimposing them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method.

또한,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일 수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는,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and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received from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by multiplying a predetermined orthogonal code component by a signal recei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separating the .

여기서, 상기 직교 코드 성분은, 상기 수신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장치 사이에서 기 알려진 성분이며,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장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에 곱하여 전송한 직교 코드 성분의 인버스 성분이 될 수 있다. Here,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is a component known between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and is an orthogonal transmitted by multiply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by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It can be an inverse component of a code component.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분리된 제1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디맵퍼, 상기 디맵퍼의 출력을 디인터리빙하는 디인터리버, 상기 디인터리버의 출력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demapper that demodulates the separated first overlapped coded signal, a deinterleaver that deinterleaves an output of the demapper, and a decoder that decodes the output of the deinterleaver. .

여기서, 상기 제1 중첩 신호는, 제1 및 제2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이며, 상기 제2 중첩 신호는, 제3 및 제4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overlapping signal is a signal superimposed in an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the second overlapping signal is obtaine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It may be a signal overlapped by the LDM metho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이며, 상기 제3 및 제4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and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및 제2 신호를 중첩 코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LDM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verlap-coding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to generate a superposition coded signal, and the overlapping and transmitting the coded signal by multiplying the predetermined orthogonal code component.

또한, 상기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중첩하여 상기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enerating of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by assigning different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to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method.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devices,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a signal during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and multiplying a signal recei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to first and second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Separating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여기서, 상기 직교 코드 성분은, 상기 수신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장치 사이에서 기 알려진 성분이며,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장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에 곱하여 전송한 직교 코드 성분의 인버스 성분일 수 있다. Here,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is a component known between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and is an orthogonal transmitted by multiply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by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It may be an inverse component of the code component.

또한, 상기 분리된 제1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디인터리빙하는 단계, 상기 디인터리빙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demodulation on the separated first overlapping coding signal, performing the demodulated deinterleaving, and decoding the deinterleaved signal.

여기서, 상기 제1 중첩 신호는, 제1 및 제2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이며, 상기 제2 중첩 신호는, 제3 및 제4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overlapping signal is a signal superimposed in an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the second overlapping signal is obtaine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It may be a signal overlapped by the LDM metho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이며, 상기 제3 및 제4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and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및 제2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제1 및 제2 신호를 중첩 코딩하여 제1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하는 제1 송신 장치, 제3 및 제4 신호를 중첩 코딩하여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하는 제2 송신 장치 및,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하여 신호처리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a system including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and a receiv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overlapped by coding the first A first transmission device for generating a superposition coded signal and multiplying the superposed coding signal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to transmit, superposition coding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to generate a second superposed coded signal, and to the superposed coded signal a second transmitting device for multiplying and transmitting an orthogonal code component, and a signal received during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transmitting device, an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and a receiving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by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from a received signal by multiplying by a predetermined orthogonal code component.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는 상대 채널의 정보 없이도 원하는 방송 신호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the reception device can extract only a desired broadcast signal without information on the counterpart channel.

도 1a 내지 도 1c는 NGH-W에서 논의되는 주파수 공유형 방송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신호 중첩도에 따른 신호 크기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변조 방식에 따른 Shannon-limi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의 계층적 스펙트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계층적 스펙트럼 재사용방식을 사용한 클라우드 전송 수신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세 개의 스트림을 가진 주파수 공유형 전송의 커버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두 개의 스트림을 가진 기존 SFN 네트워크에 대한 주파수 공유형 방송 전송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송신기가 두 개인 경우 기존 단일 주파수 망(SFN)과 주파수 공유형 방송 서비스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에서 두 송신기가 다른 프로그램을 송출할 경우에 나타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현재 ATSC 3.0 표준에 채택된 주파수 공유형 방송 전송 모델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안 시스템과 기존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 성능을 BER 커브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첩 코딩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A to 1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technology discussed in NGH-W.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magnitude ratio according to a signal overlapping degre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annon-limit according to a modulation schem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ierarchical spectrum of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system.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loud transmission receiver using a hierarchical spectrum reuse schem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verage of a frequency sharing type transmission having three streams.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verage of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 transmission network with respect to an existing SFN network having two streams.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fference between a conventional single frequency network (SFN) and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service when there are two transmitters.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rvice that appears when two transmitters transmit different programs in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system.
10 shows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 transmission model currently adopted in the ATSC 3.0 standard.
11 is a diagram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and the existing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as a BER curve.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verlapping cod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c는 NGH-W에서 논의되는 주파수 공유형 방송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A to 1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technology discussed in NGH-W.

단일 주파수 망을 구현하더라 하더라도 현재까지 방송망 구축을 위한 문제점은 아직까지 논의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동일 채널 간섭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약 직경 100km 이내라고 가정한다면 단일 주파수 내에서 비록 수신이 닿지 않는 지역 (100km 이후) 동일 채널 간섭 (Co-Channel Interference: CCI)이 발생하여 잠재된 간섭이 300km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주파수 내에서 다른 신호를 동일채널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400km 떨어진 곳에에 설치해야 하며 주파수 효율은 매우 비효율적이 된다.Even if a single frequency network is implemented, the problems for constructing a broadcasting network are still being discussed. In particular, the exist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did not solve the problem of co-channel interference. For example, if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 assumed to be within about 100 km in diameter, co-channel interference (CCI) occurs within a single frequency, even though the reception is not reachable (after 100 km), and the potential interference affects up to 300 km. can give Therefore, in order to use other signals as the same channel within a single frequency, it must be installed at a distance of 400 km, and the frequency efficiency becomes very inefficient.

도 1a는 기존의 DTV 시스템의 영역에서 이상적인 동일 채널 할당 환경을 나타낸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 채널 방송 서비스로 이용하지 못한 영역이 매우 큰 것을 볼 수 있으며 전체 지역에 대비 실제 공간적 활용율은 28%에 불과하다. 여기서 실제로 사용할 수 없는 지역(명암이 없는 지역)을 실제로 동일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white space라고 불린다. 따라서 도 1b와 같이 white space 영역은 다른 주파수 전송을 통해 공간 부족 효율을 극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송할 경우 다수의 주파수를 사용해야 하므로 주파수 효율성이 매우 낮다. 도 1c는 주파수 공유형 방송망을 구축하였을 때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기존 단일 주파수망에 비교하여 주파수 공유형 방송망은 해당 방송 지역에 공동 채널 송신기의 위치 송신기의 출력과는 상관이 없으며 공간적 이용률을 100%로 활용할 수 있다.1A shows an ideal co-channel allocation environment in the area of the existing DTV system. As shown in FIG. 1A , it can be seen that the area not used by the same channel broadcasting service is very large, and the actual spatial utilization rate is only 28% compared to the entire area. Here, an area that is not actually usable (area without contrast) is called white space because it cannot actually be used at the same frequency.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B , the white space region can overcome the space shortage efficiency through transmission of different frequencies, and when transmitting in this way, a plurality of frequencies must be used, so the frequency efficiency is very low. 1c shows a predictable scenario when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network is constructed. Compared to the existing single frequency network, the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network has no correlation with the output of the position transmitter of the common channel transmitter in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area, and the spatial utilization rate can be utilized at 100%.

동일 채널 간섭에 대한 강인성과 동일 채널 전송의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주파수 공유형 방송망은 방송 서비스에 더 많은 채널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도심지에서 모든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채널의 증가는 법규로 인가되지 않은 장치 및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되는데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장치, 중계기 등 같은 여러 가지 내재된 장비를 활용하여 방송사는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 크게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대부분 10-20년 전에 개발되었지만 주파수 공유형 방송 기술은 최근 기술이 상당히 발전되었다.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MPEG-2 비디오 코딩을 사용하고 있지만 최근에 들어 H.264와 AVC 표준이 제안되어 같은 데이터 전송율 대비 HDTV 서비스에 대해 50%이상의 압축율을 보이고 있다. 비디오 코딩의 개선 뿐 아니라 LDPC 코드와 같은 Shannon-limit에 근접하는 고효율 오류정정부호부의 발전과 그리고 다중 안테나 같은 다이버시티 기술과 같은 방법에 의해 주파수 공유형 방송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As robustness against co-channel interference and the use of co-channel transmission are possible, it is expected that the frequency-sharing broadcast network can use more channels for broadcast services. In addition, since not all channels are used in urban areas, the increase in available channels helps to operate devices and systems that are not authorized by law, especially by utilizing various built-in equipment such as smartphones or tablet devices, repeaters, etc. Therefore, broadcasters can greatly utilize the interactive broadcasting service. Most of the exist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were developed 10-20 years ago, but the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technology has recently developed considerably. Most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use MPEG-2 video coding, but recently H.264 and AVC standards have been proposed, showing a compression ratio of 50% or more for an HDTV service compared to the same data rate.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video coding, the development of a high-efficiency error correction coder close to the Shannon-limit such as the LDPC code, and the method of the diversity technology such as multiple antennas, the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주파수 공유형 방송 전송 시스템에 관련된 주요 이슈는 동일 채널 간섭을 어떤 식으로 다루는 것으로 구체화된다. 특히 디지털 전송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간접의 영향은 백색 잡음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와 일치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동일 채널의 확률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은 매개 변수 2dB 부터 -3dB까지의 AWGN SNR 임계값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즉 주파수를 공유하는 형태의 방송망이 구축되는 경우 negative SNR 임계 값이 존재하는 잡음이 결합된 신호와 동일 채널 간섭 그리고 원하는 신호 전력보다 더 높은 다중 경로 왜곡 전력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은 동일 채널 간섭을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첫째로 AWGN 처럼 서로 다른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상관관계가 없는 수신기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또는 단일 주파수 환경에서 두 개 이상의 송신기가 동일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으로 이는 기존 단일 주파수 망 서비스 시나리오와 동일하다. 다중 경로 지연 확산이 수신기의 보호 구간 또는 등화기 범위보다 긴 경우나, 수신기에 구현된 등화기가 없는 경우 첫 번째 경우로 설명된다. 또한 수신 성능을 평가할 때 가장 최악의 경우는 주경로와 다중경로 신호는 동일한 전력 수준을 가지는 0dB 에코이다.A major issue related to a frequency-sharing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is embodied in how to deal with co-channel interference. In particular, in the digital transmis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 is known that the co-channel indirect effect coincides with the white noise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Assume that it has an AWGN SNR threshold of up to . That is, when a broadcasting network of a shared frequency is constructed, a signal combined with noise having a negative SNR threshold, co-channel interference, and multi-path distortion power higher than the desired signal power can be configured. The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divides co-channel interference into two types. First, when two or more uncorrelated receivers transmit signals, such as AWGN, or two or more transmitters in a single frequency environment The same program is transmitted, which is the same as the existing single-frequency network service scenario. The first case is described when the multipath delay spread is longer than the guard interval or equalizer range of the receiver, or when there is no equalizer implemented in the receiver. Also, when evaluating the reception performance, the worst case is 0dB echo with the same power level for the main path and multipath signal.

도 2는 두 개의 송신기가 주파수 공유 형태로 방송 서비스를 할 때 수신 신호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는지 나타낸다. 2 shows how a received signal is configured when two transmitters perform a broadcast service in a frequency sharing form.

α 는 dB 단위로 계산되며 상대적인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송신기 1 (Tx #1)과 송신기 2 (Tx #2)의 신호가 동일하게 들어온다고 가정하면 그 지역은 0 dB 에코에 노출되며 성능 열화가 가장 낮다. 주파수 공유형 시스템이 만약 -2dB부터 -3dB까지의 AWGN 임계값을 가진다면, 이 시스템은 반드시 적응형 등화기 또는 보호 구간이 없이 0dB 에코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상황에 있는 다중경로 왜곡은 동일 채널 간섭 유형 첫 번째에 정의된 시스템의 오류 정정 기능에 의해 처리되어야만 하며 기존 단일 주파수 망과는 다른 등화 또는 복구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α is calculated in dB and is calculated as a relative value. Therefore, assuming that the signals from transmitter 1 (Tx #1) and transmitter 2 (Tx #2) come in the same, that area is exposed to 0 dB echo and has the lowest performance degradation. If a frequency-sharing system has an AWGN threshold of -2dB to -3dB, it must be able to tolerate 0dB echo without an adaptive equalizer or guard interval. Multipath distortion in this situation must be dealt with by the error correction function of the system defined in the first co-channel interference type, and it must have an equalization or recovery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ingle-frequency network.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에서만 나타나는 동일 채널 간섭은 자연스럽게 송신기 커버리지 영역에 여러 신호가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주파수 공유형 방송 전송 시스템은 동일 채널 간섭의 유형을 견딜 수 있고 강한 신호 경로에 동기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도 1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송신기는 지정된 서비스 영역에 제한 없이 배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과는 다르게 4개의 주파수 대신 단일 주파수만 사용해도 큰 영역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 방식을 통해 스펙트럼 활용성이 4배 정도로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c에서 나타낸 중복된 커버리지 윤곽이 구름과 같은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제안된 새로운 전송 시스템의 명칭은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전송 (Cloud Transmission) 이라고 불린다.Co-channel interference, which appears only in a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naturally causes multiple signals to overlap in the transmitter coverage area. The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ithstand the type of co-channel interference and being able to synchronize to a strong signal path. Therefore, as shown in FIG. 1C , the transmitter can be deployed without limitation in a designated service area and can transmit various programs. Unlike FIGS. 1A and 1B , a large area can be efficiently covered by using only a single frequency instead of four frequencies. It can be seen that the spectrum utilization is increased by a factor of 4 through this method. Since the overlapping coverage contour shown in FIG. 1C has a cloud-like shape, the name of the proposed new transmission system is called Cloud Transmission worldwide.

기존의 단일 주파수에서 모든 송신기는 같은 RF 채널에 동일한 신호를 송출한다. 서로 다른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는 주파수와 위상이 고정되어 있어서 신호의 송출 타이밍은 커버 영역에서 다중 지연 확산을 제어하기 때문에 보호 구간 또는 수신기의 등화기 범위 내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In the conventional single frequency, all transmitters transmit the same signal on the same RF channel. Since the signals from different transmitters have fixed frequencies and phases, the timing of signal transmission must be within the guard interval or range of the receiver's equalizer because the multi-delay spread is controlled in the cover area.

하지만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인 클라우드 전송은 단일 주파수 방송 시스템의의 송신기에서는 동일한 신호, 서로 다른 신호 그리고 조합된 신호까지 송출가능하다. 서로 다른 송신기는 고정된 RF 주파수만 요구하며 신호의 위상까지 고정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주파수 공유형 방송망의 전송 SNR은 기존의 SNR 보다 낮은 복잡도와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다. 반면 송신기 송출 타이밍을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수신기 계산의 복잡성과 빠른 수신기 동기화의 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However, in cloud transmission, which is a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the same signal, different signals, and even combined signals can b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of a single frequency broadcasting system. Different transmitters only require a fixed RF frequency and do not need to be fixed until the phase of the signal. Therefore, the transmission SNR of the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network can be implemented with lower complexity and lower cost than the existing SNR. On the other hand, sinc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transmitter, the complexity of receiver calculation and the problem of fast receiver synchronization must be considered.

스펙트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은 데이터 처리량 혹은 데이터 강인성을 증가시키는 것인데 최근의 대부분 연구들이 데이터 처리량을 늘이는 것 방향과 Shannon-limit에 근접시키는 방향에 집중하고 있다. 반면, 주파수 공유형 방송 전송 시스템은 Shannon-limit의 negative SNR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비록 각 RF채널의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되지만, 수신 강인성이 크게 증가되고 그 동시에 스펙트럼 공간 재사용 능력과 전송 타워 위치의 유연성이 크게 향상된다. Two ways to improve spectral efficiency are to increase data throughput or data robustness, and most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increasing data throughput and approaching the Shannon-limit.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 transmission system is concentrated in the negative SNR region of Shannon-limit. Although the data throughput of each RF channel is reduced, the reception robustness is greatly increased, while at the same time the spectral space reuse capability and the flexibility of the transmission tower location are greatly improved.

도 3은 시스템의 변조 방식에 따라 Shannon-limit를 나타내는데 SNR 임계값이 -2부터 -3dB까지인 경우에 스펙트럼 효율이 0.4-0.5bit/s/Hz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RF (Radio Frequency) 채널의 대역폭이 6MHz인 경우라고 가정하면 시스템 처리 데이터 전송 속도가 2.4-3.0Mbps 가 된다. 이 정도 수준의 낮은 데이터 속도는 실제적인 HDTV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렵지만 하나 이상의 SDTV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품질 프로그램을 휴대용 모바일이나 태블릿 그리고 실내 서비스로 제공하는데 용이하다.3 shows the Shannon-limit according to the modulation scheme of the system. It can be seen that the spectral efficiency becomes 0.4-0.5 bit/s/Hz when the SNR threshold is from -2 to -3 dB. Assuming that the bandwidth of the RF (Radio Frequency) channel is 6 MHz, the system processing data transmission rate is 2.4-3.0 Mbps. This level of low data rate makes it difficult to provide an actual HDTV service, but it is easy to provide one or more SDTV (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quality programs to portable mobiles, tablets, and indoor services.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량을 높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두 개 주파수 공유형 기지국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예를 들어 두 개의 다른 방송망 신호를 같은 송신기와 안테나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주파수 공유형 시스템의 특징상 동일 채널 간섭을 강력하게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기지국을 공동 위치에 배치시키면 시스템 데이터 처리량은 두 배로 증가하므로 스펙트럼 효율이 0.8-1.0bit/s/Hz 정도를 나타내며 6MHz RF채널의 데이터 속도가 5-6Mps 정도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에서 HEVC를 사용하여 HDTV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속도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클라우드 전송 시스템이 매우 강인하기 때문에 계층적 스펙트럼 재사용(Hierarchical Spectrum Re-use)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A simple way to increase the data throughput of the system is to place two frequency-sharing base stations in the same location.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transmitting two different broadcasting network signals to the same transmitter and antenna.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sharing system can strongly withstand co-channel interference. Co-locating the base stations will double the system data throughput, resulting in spectral efficiencies of 0.8-1.0 bits/s/Hz, and data rates of 6 MHz RF channels increasing by 5-6 Mp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HDTV service using HEVC in the proposed system. Another way to increase the data rate is to use the Hierarchical Spectrum Re-use metho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data throughput because the cloud transmission system is very robust.

도 4는 계층적 스펙트럼 재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ierarchical spectrum reuse scheme.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통해 기존 스트림에 두 번째 디지털 방송 콘텐츠 B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방송 시스템이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A는 모바일 방송 및 넓은 커버리지를 커버하는 낮은 전송량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콘텐츠 B는 고정 수신 HDTV 가 선택된다. 두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콘텐츠 B는 약 5dB 이하의 낮은 신호로 스케일 되며 두 신호가 더해져 전송되는 방식이 된다.The second digital broadcasting content B may be inserted into the existing stream through the method shown in FIG. 4 . For example, assuming that two broadcasting systems are transmitted, content A selects mobile broadcasting and low-transmission data covering a wide coverage, and content B selects fixed reception HDTV. In order to transmit two signals at the same time, content B is scaled to a low signal of about 5dB or less, and the two signals are added and transmitted.

도 5는 계층적 스펙트럼 재사용방식을 사용한 클라우드 전송 수신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loud transmission receiver using a hierarchical spectrum reuse scheme.

도 4의 전송 구조 및 도 5의 수신기 블럭도를 참고하면, 주파수 공유형 전송 신호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방송 콘텐츠 A가 먼저 디코드를 통해 전송 오류를 제거한 후 디코딩된 신호가 다시 피드백해서 수신된 조합 신호에서 분리되며 결 고정 HD방송 콘텐츠를 디코드할 때 사용된다. 콘텐츠 B를 성공적으로 디코드하기 위해 콘텐츠 A보다 5dB 낮게 전송되었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A에 대해 최소 이득이 약 10dB 인 신호도 포함되어야 한다.Referring to the transmission structure of FIG. 4 and the receiver block diagram of FIG. 5, in the frequency sharing transmission signal system, the mobile broadcast content A first removes a transmission error through decoding, and then the decoded signal is fed back and separated from the received combined signal. and is used to decode crystal-fixed HD broadcast content. Assuming that content B is transmitted 5 dB below content A to successfully decode it, a signal with a minimum gain of about 10 dB for content A should also be included.

다른 전력의 계층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 개의 데이터 스트림(또는 콘텐츠) 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2.5-3.0Mbps로 스트림A는 가장 강력한 신호이며 모바일 및 이동 서비스로 사용할 수 있고 품질 좋은 SDTV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A와 B의 조합 스트림의 데이터 속도는 9Mbps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HEVC 또는 SVC를 사용하여 HD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채널 추정 및 신호 간섭 제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래에 두 스트림 A와 B 모두 이동 수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합된 스트림 (A+B+C)은 12 Mbps의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림 C의 데이터는 3D-TV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고정된 수신으로 사용할 수 있다.Assuming there are three data streams (or content) providing tiered services of different powers, with a data rate of 2.5-3.0 Mbps, stream A is the strongest signal, which can be used as a mobile and mobile service and provides quality SDTV programs. can provide In addition, the data rate of the combined stream of A and B can be increased to 9Mbps, and HDTV service can be provided using HEVC or SVC. It is expected that mobile reception of both streams A and B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with the development of channel estimation and signal interference cancellation technology. Since the combined stream (A+B+C) can provide a data throughput of 12 Mbps, the data in stream C can be used with 3D-TV or data services with fixed reception.

세 개의 스트림이 (A+B+C) 앞에서 언급된 스펙트럼 언더 레이 (Spectrum Underlay)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6 MHz의 채널 내에서 약 2 bit/s/Hz의 스펙트럼 효율이 달성된다. 이 효율은 기존의 스펙트럼 효율 3-5bit/s/Hz인 DTV시스템보다 작은데 이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주파수 공유형 전송 시스템은 기존 단일 주파수 망과는 다르게 매우 효율적인 주파수 활용의 이득이 존재한다. Assuming that the three streams (A+B+C) are implemented using the previously mentioned Spectrum Underlay technique, a spectral efficiency of about 2 bit/s/Hz is achieved within a channel of 6 MHz. This efficiency is smaller than the existing DTV system with a spectral efficiency of 3-5 bit/s/Hz. In order to improve this part, the frequency sharing type transmission system has the advantage of very efficient frequency utilization unlike the existing single frequency network.

주파수 공유형 전송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 데이터 서비스 또는 하나 이상의 스트림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림 A는 사용하지 않는 DTV 채널을 통해 저 전력으로 전송을 할 수 있으며 스트림 B는 나중에 추가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는 기존의 디지털 TV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주파수 공유형 전송의 전력이 서비스 요구에 따라 더 나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공유형 전송 네트워크의 점진적 구현 방법은 방송사업자들에게 보다 더 많은 비즈니스 계획에 대한 권한과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에 맞춰진 수신기 배치도 역 호환이 가능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전의 수신기는 스트림 A 신호만 수신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스트림 B가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트림 A와 B 동시 수신 가능에 대한 수요가 있다. 그동안에 스트림 A만 위해 설계한 초기 세대 수신기가 점점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모바일, 휴대용, 고정용 장치 등 다양한 시장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수화기, 셋톱 박스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수신기가 있을 것이다. 이런 수신기들은 사용 가능한 모든 데이터 스트림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일부의 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Because a frequency-shared transport network can have more than one layer data service or more than one stream, stream A can transmit at low power over unused DTV channels, and stream B can be added later. to be. This means that when the existing digital TV service is not used, the power of frequency-sharing transmission can be developed to provide better coverage according to the service demand. In addition, the gradual implementation of a frequency-sharing transmission network can offer broadcasters more control over business plans and a transition to a new system. Accordingly, receiver arrangement tailored to the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backward compatible manner. Previous receivers were designed to receive only stream A signals, but stream B can be used, so there is a demand for simultaneous reception of streams A and B. In the meantime, it is likely that the early-generation receivers designed only for stream A will gradually disappear. There will be different types of receivers, such as handsets and set-top boxes, to meet different market demands for different services, such as mobile, portable, and stationary devices. These receivers can decode all available data streams or some stream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도 6은 세 개의 스트림을 가진 주파수 공유형 전송의 커버리지를, 도 7은 두 개의 스트림을 가진 기존 SFN 네트워크에 대한 주파수 공유형 방송 전송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coverage of a frequency sharing type transmission having three streams,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coverage of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 transmission network with respect to an existing SFN network having two streams.

따라서 주파수 공유형 방송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개의 스트림 A, B, C가 동작하는 서비스 개념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런 서비스는 스트림 A는 고정 서비스 스트림 A+B 역시 고정 서비스 그리고 스트림 A+B+C는 고정 서비스, 마지막으로 스트림 A 이동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can implement a service concept diagram in which three streams A, B, and C operate as shown in FIG. 6 . These services can be used for stream A fixed service, stream A+B also fixed service, stream A+B+C fixed service, and finally stream A mobile service.

도 8a 및 도 8b는 송신기가 두 개인 경우 기존 단일 주파수 망(SFN)과 주파수 공유형 방송 서비스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ifference between a conventional single frequency network (SFN) and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service when there are two transmitters.

기존 단일 주파수 망은 두 송신기가 동일한 신호를 송출하고 이들의 커버리지를 중첩해서 같은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지만 주파수 공유형 전송의 경우 두 송신가가 스트림 A1와 A2 다른 신호를 송출하며 각자의 프로그램을 위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In the existing single-frequency network, two transmitters transmit the same signal and overlap their coverage to transmit the same program, but in the case of frequency-sharing transmission, the two transmitters transmit different signals in streams A1 and A2, and each transmitter has different coverage for each program. to provide.

도 9는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에서 두 송신기가 다른 프로그램을 송출할 경우에 나타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rvice that appears when two transmitters transmit different programs in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ing system.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송신가가 서로 다른 두 개 스트림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각 스트림은 A1, B1와 A2, B2로 표시했다(A1, B1와 A2, B2서로 다름). A1, A2에 대한 커버리지는 도 8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송신기가 각자의 프로그램 커버리지를 가지며 스트림 A1, A2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이 있다. 스트림 B1, B2에 대한 수신 임계값은 Negative dB 값이 아니기 때문에 B1, B2에 대한 커버리지는 중첩되지 않는다. 하지만, 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쓸 경우 스트림 B1, B2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중첩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As shown, assuming that each sender has two different streams, each stream is denoted as A1, B1 and A2, and B2 (A1, B1 and A2, B2 are different). It can be seen that the coverage of A1 and A2 i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FIG. 8 . Each transmitter has its own program coverage and there is an area where streams A1 and A2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Since reception thresholds for streams B1 and B2 are not negative dB values, coverages for B1 and B2 do not overlap. However, when a directional reception antenna is used, an overlapping region for receiving both streams B1 and B2 is gener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순히 +1 또는 -1의 Signed Identity Matrix를 송신기에 전송하는 방식을 취한다. +1과 -1의 성분 결정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직교 코드의 패턴을 이용하고 그 형태가 수신단에서 시간 별로 받았을 경우 완성되도록 전송한다. 기존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과 차별점은 직교 코드가 형성되기까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이 불가능 하지만 이러한 전송 방송은 기존 시공간 블록 코드 전송 방식과 동일하며 데이터율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imply transmitting a Signed Identity Matrix of +1 or -1 to the transmitter is taken. The component determination of +1 and -1 generally uses a well-known orthogonal code pattern, and when the form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end by time, it is transmitted so that it is completed. Th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is that data cannot be received in real time until an orthogonal code is formed.

수식의 편의성을 위해 도 8b의 주파수 공유형 모델을 가정하고 k 번째 샘플시간 j번째 중첩 시간에 수신된 벡터 r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or the convenience of the equation, the frequency sharing model of FIG. 8B is assumed and the vector r received at the k-th sample time and the j-th overlap time is expressed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1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1

여기서 H1, H2는 송신기 1, 송신기 2에서 생성된 Circulant Channel Matrix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OFDM 시스템에서 Cyclic Prefix (CP)가 제거된 등가 모델로 간주된다. 최대 다중 경로 탭은 CP 안에 있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P1j, P2j는 송신기 1, 송신기 2에서 전송을 하게 될 Signed Identity Matrix이며 형태는 이후에 설명 하도록 한다. Q는 FFT 매트릭스를 나타내며 d1, d2는 송신기 1, 송신기 2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데이터 벡터 스트림을 나타낸다. 가우시안 잡음 n는 벡터의 분산이 N을 따르고 평균이 0인 Normal Distribution을 따른다고 가정하였다. OFDM 전송 모델이므로 수신단은 FFT 연산을 취할 수 있으며 그 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Here, H 1 , H 2 represents the Circulant Channel Matrix generated by Transmitter 1 and Transmitter 2, and is generally regarded as an equivalent model in which the Cyclic Prefix (CP) is removed in the OFDM system. It is assumed that the maximum multi-path tap is in the CP. Also, P 1j and P 2j are the Signed Identity Matrix to be transmitted by Transmitter 1 and Transmitter 2, and the form will be described later. Q denotes an FFT matrix, and d 1 and d 2 denote respective data vector streams transmitted from transmitter 1 and transmitter 2. Gaussian noise n is assumed to follow a Normal Distribution where the variance of the vector follows N and the mean is 0. Since it is an OFDM transmission model, the receiving end can take an FFT operation, and the equation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2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2

여기서 프리코딩 매트릭스 P1j, P2j는 Signed Identity Matrix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상수만을 곱해진 형태가 될 것이며 위 식은 아래와 같이 등가로 간주해도 동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Here, since it is assumed that the precoding matrices P1j and P2j are the Signed Identity Matrix, they will be in the form of multiplying only constants, and the above equation can be expressed as equivalent even if it is regarded as equivalent as follows.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3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3

OFDM 채널 특성에 의해 Circulant 채널 상수 값은 Diagonal 성분의 주파수 축 채널로 변환되며 위 식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Due to the OFDM channel characteristics, the circular channel constant value is converted to the frequency axis channel of the diagonal component, and the above equation can be written as follows.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4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4

2개의 time slot 동안 받은 수신 신호는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j=2인 경우 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The received signal received during two time slots can be expressed in a matrix form, and when j = 2, the equation is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5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5

제안한 프리코딩 전송 방식은 Signed Identity Matrix를 전송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위 식은 단순히 상수의 값을 곱한 식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Since it is assumed that the proposed precoding transmission method transmits the Signed Identity Matrix, the above expression can be expressed the same as the expression simply multiplied by a constant value.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6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6

제안한 프리코딩 전송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Orthogonal Matrix의 성분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송신기가 2개인 경우 [1 1; 1 -1]의 상수가 곱해진 값을 얻을 수 있다.[1 1; 1 -1] to obtain a value multiplied by a constant.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7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7

다음과 같은 수신 모델은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에서 한 개의 송신기에서 2 개의 안테나를 사용해서 전송하는 방법, 또는 두 개의 송신기에서 각각의 데이터 서비스를 송출하는 모델로 간주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도 6 및 도 8과 같은 모델에도 적용이 바로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ATSC 3.0 표준에 채택된 주파수 공유형 전송 방식의 모델을 우선 고려한다.The following reception model can be regarded as a method of transmitting using two antennas from one transmitter in a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or a model transmitting each data service from two transmitters. Since the proposed system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models such as Figs. 6 and 8, a model of a frequency sharing transmission method currently adopted in the ATSC 3.0 standard is first considered.

도 10은 현재 ATSC 3.0 표준에 채택된 주파수 공유형 방송 전송 모델이다.10 is a frequency sharing type broadcast transmission model currently adopted in the ATSC 3.0 standard.

CRC&ETRI에서 논의되는 이 기술은 Mobile Service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최소 SNR이 -3dB 이상 작동해야 하고 고정방송은 10dB 이상의 SNR이 보장되어야 수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9와 같이 4개 이상의 방송 서비스가 송출될 경우 스트림 A1과 스트림 A2만 중첩되어야 하며 만약 스트림 B1과 B2가 A1과 A2이 중첩된 공간에 신호가 들어올 경우 수신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가장 중요한 Mobile Service의 최소 SNR조건인 -3dB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This technology discussed in CRC&ETRI requires a minimum SNR of -3dB or more to receive mobile service, and an SNR of 10dB or more is guaranteed for fixed broadcasting to be received. However, it is known that when four or more broadcast services are transmitted as shown in FIG. 9, only streams A1 and A2 should overlap, and if a signal enters a space where A1 and A2 overlap, streams B1 and B2 cannot be received. This is because -3dB, the minimum SNR condition of the most important mobile service, is not satisfied.

도 9와 같은 환경에서 수신 등가 모델은 다음과 같이 다시 정리할 수 있다.In the environment shown in FIG. 9 , the reception equivalent model can be rearranged as follows.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8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8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1과 -1의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져 전송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채널 추정 필요 없이 우선적으로 직교 매트릭스를 다음과 같이 곱한다.Assuming that the receiver knows that the transmitter is transmitted by multiplying the Signed Identity Matrix of +1 and -1, it preferentially multiplies the orthogonal matrix by the following without channel estimation.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9
Figure 112015094061617-pat00009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1과 -1의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져 전송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Z1, Z2는 독립적으로 각각 성분을 나눌 수 있다.Assuming that the receiver knows that the transmitter is multiplied by the Signed Identity Matrix of +1 and -1 to be transmitted, Z1 and Z2 can be divided into components independently.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0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0

수신기는 상대편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채널과 간섭 제거할 필요 없이 본인의 방송(또는 해당 지역방송) 서비스를 시청할 수 있다.The receiver can watch its own broadcast (or local broadcast) service without the need to cancel interference with the channel transmitted by the opposite transmitter.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1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2
이라 가정하면 본 특허는 3개 이상의 Tx 또는 수신 신호를 다 받지 않아도 간섭 제거를 완벽하게 할 수 있다.here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2
Assuming that , the present patent can completely eliminate interference even if three or more Tx or received signals are not received.

증명) M을 (1, -1, 0)로 이루어진 임의의 크기 mxn 매트릭스이고 m>n일 때,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3
의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매트릭스의 랭크 특성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갖는 r이 존재하게 된다. Proof) When M is an arbitrary size mxn matrix consisting of (1, -1, 0) and m>n,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3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refore, using the rank characteristic of the matrix, r having the following correlation exists.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4
Figure 112015094061617-pat00014

한편,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도 8b에서 논의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FFT 사이즈와 CP 길이는 각각의 서비스별로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다음과 같이 수행하는 이유는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하여 동기화나 캐리어 복구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였다. 다만 변조와 인코딩 파라미터는 각각 다르게 수행하였다. 상위 레벨의 바이너리 비트들은 LDPC인코딩을 수행한 후 QPSK로 매핑하였다. 반면에 하위 레벨의 바이너리 비트들은 16QAM 변조로 전송을 하였다. 이렇게 전송할 경우 데이터율은 2.4, 10.4 Mbps를 전송하도록 구현하였으며 6MHz 대역에서 SD 프로그램, 720p의 HDTV, 또는 UHDTV 서비스를 HEVC 코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모의 실험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다음 표 1과 같다. Meanwhil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the system discussed in FIG. 8B was implemented. The FFT size and CP length were set to be the same for each service. The reason for performing the following is to perform synchronization or carrier recovery at the same time by implementing cost-effectively. However, modulation and encoding parameters were performed differently. High-level binary bits are mapped to QPSK after performing LDPC encoding. On the other hand, the lower-level binary bits were transmitted with 16QAM modulation. In this case, the data rate is implemented to transmit 2.4 and 10.4 Mbps, and SD programs, 720p HDTV, or UHDTV services can be transmitted in the 6MHz band using the HEVC codec. The parameters used in the simula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LayerLayer ModulationModulation Code RateCode Rate FFTFFT Size Size Data RateData Rate UpperUpper QPSKQPSK 1/41/4 4K4K 2.4Mbps2.4Mbps LowerLower 16-QAM16-QAM 1/21/2 4K4K 10.4Mbps10.4Mbps

상위 계층의 신호는 최순위 신호로 간주되어 먼저 신호가 복구되고 하위 레벨의 신호가 복구되도록 설정하였다. 두 신호 간의 Injection Level은 5dB가 차이 나도록 하였다. LDPC 코드는 DVB-T2 표준을 사용하였다. 신호 복구는 주파수 축에서 수행하였다.The signal of the upper layer is regarded as the highest priority signal, so that the signal is restored first and the signal of the lower level is restored. The injection level between the two signals was set to be different by 5dB. The LDPC code used the DVB-T2 standard. Signal recovery was performed on the frequency axis.

도 11은 제안 시스템과 기존 주파수 공유형 방송 시스템 성능을 BER 커브로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and the existing frequency sharing broadcasting system as a BER curve.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 시스템은 간섭 제거 기술이 필요 없이 독립적인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므로 기존 시스템 대비 하위 계층은 약 2dB, 상위 계층은 6dB이상의 성능 향상을 나타내어 목표 달성을 수행하였다.As shown, the proposed system achieves the goal by showing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about 2dB for the lower layer and 6dB for the upper layer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because independent data extraction is possible without the need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technology.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신호 처리부(110) 및 송신부(120)를 포함한다. 12 ,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110 and a transmitting unit 120 .

신호 처리부(110)는 제1 및 제2 신호를 중첩 코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신호 처리부(110)는 제1 및 제2 신호를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중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가 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0 generates a superposition coded signal by superimposing coding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0 may generate a superimposed coding signal by assigning different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superimposing them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method.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송신부(120)는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직교 코드 성분은, 기설정된 직교 코드 패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하는 자세한 방식은 상기에서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The transmitter 120 multiplies the superposition coded signal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and transmits it. Here,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may be determined by a preset orthogonal code pattern. A detailed method of multiplying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by multiplying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and transmitting the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above equ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200)는 제1 인코더(211), 제1 인터리버(212) 및 제1 맵퍼(또는, 성상도 맵퍼)(213)를 포함하는 제1 신호 처리부(210)를 구비하여, 스트림 A를 인코딩 및 인터리빙한 후 이를 성상점에 맵핑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100)는 제2 인코더(221), 제2 인터리버(222) 및 제2 맵퍼(223)를 포함하는 제2 신호 처리부(223)를 구비하여, 스트림 B를 인코딩 및 인터리빙한 후 이를 성상점에 맵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includes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210 including a first encoder 211 , a first interleaver 212 , and a first mapper (or constellation mapper) 213 . Thus, after encoding and interleaving stream A, it may be mapped to a constellation point.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223 including a second encoder 221 , a second interleaver 222 and a second mapper 223 , and after encoding and interleaving the stream B This can be mapped to a constellation point.

이 경우, 제1 및 제2 인코더(211, 221)는 BCH(Bose, Chaudhri, Hocquenghem) 인코더(미도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인코더(미도시) 및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인코더(미도시)를 포함하여, BCH 인코딩 및 LDPC 인코딩을 연접(concatenation)하여 수행하거나, CRC 인코딩 및 LDPC 인코딩을 연접하여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211 and 221 are a Bose, Chaudhri, Hocquenghem (BCH) encoder (not shown),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encoder (not shown) and a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encoder ( (not shown) may be performed by concatenating BCH encoding and LDPC encoding, or may be performed by concatenating CRC encoding and LDPC encoding.

또한, 송신 장치(200)는 베이스 레이어 게인 컨트롤러(230)를 통해 제2 신호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게인(즉, 파워)을 조절한 후, 이를 제1 신호 처리부(21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중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adjusts the gain (ie, power)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220 through the base layer gain controller 230 , and then adjusts the gain (ie, power) to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210 . By overlapping the output signal,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uperimposed coding signal.

그리고, 송신 장치(200)는 게인 컨트롤러(240)를 통해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게인을 조절하고, 타임 인터리버(250)를 통해 중첩 코딩 신호가 맵핑된 성상점들 즉, 셀들을 인터리빙한 후, OFDM 송신부(260)를 통해 인터리빙된 셀들을 OFDM 프레임에 맵핑하여 수신 장치(300, 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OFDM 송신부(260)는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er 200 adjusts a gain for the overlapping coded signal through the gain controller 240 , interleaves constellation points to which the overlapping coded signal is mapped, ie, cells, through the time interleaver 250 , and then performs OFDM Through the transmitter 260 , the interleaved cells may be mapped to the OFDM frame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ers 300 and 1000 . In this case, the OFDM transmitter 260 may transmit the overlapped coded signal by multiplying it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한편,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성상도의 일 예는 도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a constellation for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may be shown as shown in FIG. 14 .

도 14의 경우, 상부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으로 변조되고 베이스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는 6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으로 변조된 경우를 일 예로 나타내었다. 14,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yer is modulated with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e layer is modulated with 64-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as an example.

도 14를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큰 파워를 갖는 상부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에 대한 성상점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파워를 갖는 베이스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에 대한 성상점이 중첩되어 나타내어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ellation points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e layer having relatively small power are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constellation points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yer having relatively large power.

한편, 중첩 코딩 신호를 파워 측면에서 나타내면 도 1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is expressed in terms of power, it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15 .

도 15를 참조하면, RF 채널 대역에서 상부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의 파워가 베이스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의 파워보다 약 5dB 정도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yer in the RF channel band is greater than the power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e layer by about 5 dB.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따르면 수신 장치(300)는 수신부(310) 및 신호 처리부(320)를 포함한다. 16 , the reception apparatus 300 includes a reception unit 310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320 .

수신부(310)는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한다. The receiver 310 receives signals from the first transmitter and the second transmitter during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신호 처리부(320)는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한다. 여기서, 직교 코드 성분은, 수신 장치(300) 및 제1 및 제2 송신 장치 사이에서 기 알려진 성분이며, 제1 및 제2 송신 장치에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에 곱하여 전송한 직교 코드 성분의 인버스 성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송신 장치는 각각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송신 장치(100 또는 200)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에 직교 코드를 곱하여 제1 및 제2 송신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는 자세한 방식은 상기에서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separates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devices by multiplying the signals recei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Here,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is a component known between the receiving apparatus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and is an orthogonal code component transmitted by multiplying the first and second overlapping coding signals by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may be an inverse component of Here,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devices may be implemented as the transmission device 100 or 200 illustrated in FIG. 12 or FIG. 13 , respectively. A detailed method of separating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by multiplying the received signal by an orthogonal code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above equa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신호 처리부(320)는 분리된 제1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디맵퍼, 디맵퍼의 출력을 디인터리빙하는 디인터리버, 디인터리버의 출력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중첩 신호는, 제1 송신 장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및 제2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첩 신호는 제2 송신 장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제3 및 제4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가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may include a demapper that demodulates the separated first overlapping coded signal, a deinterleaver that deinterleaves the output of the demapper, and a decoder that decodes the output of the deinterleaver. Here, the first overlapping signal may be a signal overlapped by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to be transmitted by the first transmitting apparatus.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cond overlapping signal may be a signal overlapped by the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the third and fourth signals to be transmitted by the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1000)는 OFDM 수신부(1010), 타임 디인터리버(1020), 게인 컨트롤러(1030), 버퍼(1040), 신호 제거부(1050), 베이스 레이어 게인 컨트롤러(1060), 제1 신호 처리부(1070) 및, 제2 신호 처리부(108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 the receiv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FDM receiving unit 1010 , a time deinterleaver 1020 , a gain controller 1030 , a buffer 1040 , and a signal removing unit 1050 . ), a base layer gain controller 1060 , a first signal processor 1070 , and a second signal processor 1080 .

우선, 수신 장치(1000)는,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First, the receiving apparatus 1000 may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es by multiplying a predetermined orthogonal code component by a signal recei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have.

OFDM 수신부(1010)는 제1 송신 장치(100, 200)가 전송한 중첩 코딩 신호 즉, 제1 중첩 신호에 대한 OFDM 복조를 수행하여, OFDM 프레임으로부터 셀들을 생성하여 타임 디인터리버(1020)로 출력할 수 있다.The OFDM receiver 1010 generates cells from the OFDM frame by performing OFDM demodulation on the overlapped coding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transmission apparatuses 100 and 200 , that is, the first overlapping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time deinterleaver 1020 . can do.

타임 디인터리버(1020)는 OFDM 수신부(1010)의 출력을 디인터리빙한다. The time deinterleaver 1020 deinterleaves the output of the OFDM receiver 1010 .

구체적으로, 타임 디인터리버(1020)는 송신 장치(200)의 타임 인터리버(25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셀들을 인터리빙하고, 인터리빙된 셀들을 게인 컨트롤러(1030)로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ime deinterleaver 1020 may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terleaver 250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 interleave cells, and output the interleaved cells to the gain controller 1030 .

게인 컨트롤러(1030)는 타임 디인터리버(1020)의 출력에 대한 게인을 조절한다.The gain controller 1030 adjusts a gain for the output of the time deinterleaver 1020 .

구체적으로, 게인 컨트롤러(1030)는 송신 장치(200)의 게인 컨트롤러(24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타임 디인터리버(10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게인을 조절하고, 게인이 조절된 신호를 제1 신호 처리부(1070) 및 버퍼(1040)로 출력한다.Specifically, the gain controller 1030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gain controller 240 of the transmitter 200, and adjusts a gain for a signal output from the time deinterleaver 1020, and controls the gain-controlled signal. 1 is outpu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70 and the buffer 1040 .

제1 신호 처리부(1000)는 게인 컨트롤러(10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신호는 상부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000 may generate a first signal by processing a signal output from the gain controller 1030 . Here, the first signal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pper layer.

한편, 버퍼(1040)는 게인 컨트롤러(10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장한다.Meanwhile, the buffer 1040 stores a signal output from the gain controller 1030 .

그리고, 신호 제거부(1050)는 버퍼(104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즉, 중첩 코딩 신호에서 제1 신호 처리부(107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거하여 베이스 레이어 게인 컨트롤러(1060)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signal removing unit 1050 remo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070 from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buffer 1040 , that is,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base layer gain controller 1060 .

여기서, 제1 신호 처리부(1070)는 제1 디맵퍼(1071), 제1 디인터리버(1072) 및 제1 디코더(1073)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송신 장치(200)의 제1 맵퍼(213), 제1 인터리버(212) 및 제1 인코더(211)의 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070 includes a first demapper 1071 , a first deinterleaver 1072 , and a first decoder 1073 , each of which is a first mapper 213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 ), the reverse process of the first interleaver 212 and the first encoder 211 may be performed.

베이스 레이어 게인 컨트롤러(1060)는 송신 장치(200)는 베이스 레이어 게인 컨트롤러(23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신호 제거부(10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게인을 조절하고, 이를 제2 신호 처리부(1080)로 출력한다.The base layer gain controller 1060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layer gain controller 230 in the transmitting device 200, and adjusts a gain for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remover 1050, and adjusts the gain to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 1080) is output.

제2 신호 처리부(1080)는 중첩 코딩 신호를 처리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신호는 베이스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1080 may generate a second signal by processing the overlapping coding signal. Here, the second signal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e layer.

이를 위해, 제2 신호 처리부(1080)는 제2 디맵퍼(1081), 제2 디인터리버(1082) 및 제2 디코더(10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맵퍼(1081), 제2 디인터리버(1082) 및 제2 디코더(1083) 각각은 송신 장치(200)의 제2 맵퍼(223), 제2 인터리버(222) 및 제2 인코더(221)의 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1080 may include a second demapper 1081 , a second deinterleaver 1082 , and a second decoder 1083 . Here, the second demapper 1081 , the second deinterleaver 1082 , and the second decoder 1083 respectively include the second mapper 223 , the second interleaver 222 and the second encoder 10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 221), the reverse process can be performed.

제2 디맵퍼(1081)는 중첩 코딩 신호에서 제1 신호 처리부(107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거된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한다.The second demapper 1081 demodulates the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070 is removed from the overlapped coding signal.

구체적으로, 제2 디맵퍼(1081)는 중첩 코딩 신호에서 제1 신호 처리부(107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복조하여 LLR 값을 생성하고, 이를 제2 디인터리버(1081)로 출력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demapper 1081 demodulates a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070 is removed from the overlapped coding signal to generate an LLR value,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deinterleaver 1081 . .

이 경우, 제2 디맵퍼(410)는 베이스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에 적용된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중첩 코딩 신호에서 제1 신호 처리부(107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거된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200)에서 베이스 레이어에 대응되는 신호를 64-QAM 방식으로 변조한 경우, 제2 디맵퍼(1081)는 64-QAM 방식에 기초하여 중첩 코딩 신호에서 제1 신호 처리부(107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제거된 신호에 대해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demapper 410 performs demodulation on the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070 is removed from the overlapped coding signal based on the mod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e layer. can For example,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modul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se layer using the 64-QAM method, the second demapper 1081 performs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 1070), demodul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is removed.

여기에서, LLR 값은 송신 장치(200)에서 전송한 비트가 0일 확률과 1일 확률의 비율에 Log를 취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LLR 값은 송신 장치(200)에서 전송한 비트가 0 또는 1일 확률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결정된 대표 값이 될 수도 있다.Here, the LLR value may be expressed as a value obtained by taking Log of the ratio of the probability that the bi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00 is 0 and the probability that it is 1. Alternatively, the LLR value may be a representativ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section to which the probability that the bi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is 0 or 1 belongs.

제2 디인터리버(1082)는 제2 디맵퍼(1081)의 출력을 디인터리빙한다.The second deinterleaver 1082 deinterleaves the output of the second demapper 1081 .

구체적으로, 제2 디인터리버(1082)는 송신 장치(200)의 제2 인터리버(222)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제2 인터리버(222)에서 수행된 인터리빙 동작을 역으로 수행하여 LLR 값을 디인터리빙하고, 이를 제2 디코더(1083)로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deinterleaver 1082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terleaver 222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200 , and deinterleaves the LLR values by inversely performing the interleaving operation performed in the second interleaver 222 . and output this to the second decoder 1083 .

제2 디코더(1083)는 제2 디인터리버(1082)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신호를 복원한다. The second decoder 1083 decodes the output of the second deinterleaver 1082 to reconstruct the signal.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제1 및 제2 신호를 중첩 코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한다(S1810).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hown in FIG. 18, first,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overlap-coded to generate an overlap-coded signal (S1810).

이어서, 중첩 코딩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전송한다(S1820).Then, the overlapped coding signal is multiplied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and transmitted (S1820).

또한, 상기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S1810 단계에서는, 제1 및 제2 신호를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중첩하여 상기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S1810 of generating the overlapped coded signal,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overlapped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manner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generate the overlapped coded signal.

여기서,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 도시된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1 송신 장치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한다(S1910).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hown in FIG. 19,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S1910).

이어서,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한다(S1920). 여기서, 직교 코드 성분은, 수신 장치 및 제1 및 제2 송신 장치 사이에서 기 알려진 성분이며, 제1 및 제2 송신 장치에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에 곱하여 전송한 직교 코드 성분의 인버스 성분일 수 있다. Next,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ers are separated by multiplying the signals recei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by a preset orthogonal code component (S1920). Here,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is a component known between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devices, and is an inverse component of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transmitted by multiplying the first and second overlapping coding signals by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devices. can be

또한, 분리된 제1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디인터리빙하는 단계, 상기 디인터리빙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중첩 신호는, 제1 및 제2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신호는 각각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일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demodulation on the separated first overlapping coding signal, performing the demodulated deinterleaving, and decoding the deinterleaved signal. Here, the first overlapping signal may be a signal that is overlapped by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may be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respectively.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computer-executable program code and stored in vario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It may be provided to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to be executed by

또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각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a bus is not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block diagram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n each apparatus may be performed through a bus. In addition, each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such as a CPU, a microprocessor, etc. that performs the various steps described above.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송신 장치 110: 신호 처리부
120: 송신부 300: 수신 장치
310: 수신부 320: 신호 처리부
100: transmitting device 110: signal processing unit
120: transmitter 300: receiver device
310: receiving unit 320: signal processing unit

Claims (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지상파 방송 신호 각각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하여 중첩 코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중첩 코딩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송신 장치 및 제2 송신 장치; 및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제1 시간 구간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중첩 코딩 신호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하여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에 포함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
상기 제2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지상파 방송 신호의 파워를 조정하는 제1 게인 컨트롤러;
상기 파워가 조정된 지상파 방송 신호 및 상기 신호 처리된 모바일 방송 신호를 중첩하여 상기 중첩 코딩 신호의 파워를 조정하는 제2 게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에 포함된 상기 송신부는,
상기 파워가 조정된 중첩 코딩 신호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중첩 코딩 신호는, 제1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제2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지상파 방송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이며,
상기 제2 중첩 코딩 신호는, 제3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제4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지상파 방송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이며,
상기 수신 장치에 포함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중첩 코딩 신호의 파워를 조정하는 제1 게인 컨트롤러;
상기 제1 게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파워가 조정된 제1 중첩 코딩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획득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파워가 조정된 제1 중첩 코딩 신호로부터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제거하는 신호 제거부;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가 제거된 제1 중첩 코딩 신호의 파워를 조정하는 제2 게인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게인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파워가 조정된 제1 중첩 코딩 신호로부터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획득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교 코드 성분은,
상기 수신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장치 사이에서 기 알려진 성분이며,
상기 제1, 2, 3 및 4 Signed Identity Matrix의 부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행렬의 인버스 행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In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scheme and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signal,
A first transmission device and a second transmission device each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allocates different powers to each of a mobile broadcast signal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to generate a superimposed coded signal by superimposing them in an LDM method; and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the superposed coded signal. Device;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signals during a first time interval and a second time interval from the first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multiplying a predetermined orthogonal code component by a predetermined orthogonal code component by a signal recei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A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first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signal by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overlapping coded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d in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for signal processing the mobile broadcasting signal;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for signal processing the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a first gain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ower of the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a second gain controller that adjusts the power of the superimposed coding signal by overlapping the power-adjusted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and the signal-processed mobile broadcast signal;
The transmission unit included in the first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cond transmission device,
Transmitting the power-adjusted superimposed coding signal to the receiving device,
The first overlapped coding signal is a signal that is superimposed in an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a mobile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first Signed Identity Matrix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second Signed Identity Matrix,
The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 is a signal superimposed in an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a mobile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third Signed Identity Matrix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fourth Signed Identity Matrix,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d in the receiving device,
a first gain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ower of the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obtain the mobile broadcast signal based on a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whose power is adjusted by the first gain controller;
a signal removing unit for removing the mobile broadcast signal from the first superimposed coding signal of which the power is adjusted;
a second gain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ower of the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from which the mobile broadcast signal is removed; and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obtain the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from the first superimposed coded signal whose power is adjusted by the second gain controller;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is
It is a known component between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devices,
A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inverse matrix of a matrix generated based on the sign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gned Identity Matrix.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에 포함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1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디맵퍼;
상기 디맵퍼의 출력을 디인터리빙하는 디인터리버; 및
상기 디인터리버의 출력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d in the receiving device,
a demapper that demodulates the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a deinterleaver for deinterleaving the output of the demapper; and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decoder for decoding the output of the deinterlea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및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시간 구간 동안 수신된 신호에 기설정된 직교 코드 성분을 곱하여 상기 제1 송신 장치 및 상기 제2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중첩 코딩 신호를 분리하여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첩 코딩 신호는, 제1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제2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지상파 방송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이며,
상기 제2 중첩 코딩 신호는, 제3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모바일 방송 신호 및 제4 Signed Identity Matrix가 곱해진 지상파 방송 신호에 서로 다른 전력을 할당하여 LDM 방식으로 중첩한 신호이며,
상기 신호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첩 코딩 신호의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파워가 조정된 제1 중첩 코딩 신호로부터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가 제거된 제1 중첩 코딩 신호의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가 제거되고 파워가 조정된 제1 중첩 코딩 신호로부터 상기 지상파 방송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직교 코드 성분은,
상기 수신 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장치 사이에서 기 알려진 성분이며,
상기 제1, 2, 3 및 4 Signed Identity Matrix의 부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행렬의 인버스 행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devices,
receiving signals from the first transmitting device and the second transmitting device during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and,
Separating and signal processing the first and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second transmitting apparatus by multiplying a predetermined orthogonal code component by a signal receiv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includes,
The first overlapped coding signal is a signal that is superimposed in an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a mobile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first Signed Identity Matrix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second Signed Identity Matrix,
The second superimposed coded signal is a signal superimposed in an LDM method by allocating different powers to a mobile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third Signed Identity Matrix and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multiplied by a fourth Signed Identity Matrix,
The signal processing step is
adjusting the power of the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removing the mobile broadcast signal from the power-adjusted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adjusting the power of the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from which the mobile broadcast signal is removed; and
Including; obtaining the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from the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from which the mobile broadcast signal is removed and power is adjusted;
The orthogonal code component is
It is a known component between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devices,
A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inverse matrix of a matrix generated based on the sign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gned Identity Matrix.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첩 코딩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신호를 디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상기 디인터리빙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performing demodulation on the first superposition coded signal;
deinterleaving the demodulated signal; and
Decoding the deinterleaved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36976A 2015-09-25 2015-09-25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1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76A KR102461179B1 (en) 2015-09-25 2015-09-25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76A KR102461179B1 (en) 2015-09-25 2015-09-25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405A KR20170037405A (en) 2017-04-04
KR102461179B1 true KR102461179B1 (en) 2022-11-01

Family

ID=5858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76A KR102461179B1 (en) 2015-09-25 2015-09-25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1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40B1 (en) 2019-06-17 2022-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thod in layer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and receiver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575B2 (en) * 2006-08-04 2011-03-08 Lg Electronics, Inc. Bandwidth-efficient control and bitmap signaling using super position 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318257B1 (en) * 2014-02-25 2021-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multiplexing signals using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MMUNICATIONS RESERCH CENTRE CANADA.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LDM) Summary. [online], 2015년 1월, [2021년 7월 15일 검색], 인터넷:<URL: https://www.transmitter.com/RF2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405A (en)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3451B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CN10721084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broadcast signals
CN11221754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931491B2 (en) Device for generating broadcast signal frame and method for generating broadcast signal frame corresponding to time interleaver for supporting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US9565044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740900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KR20130028898A (e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CN107005522B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28048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104119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roadcasting signal frame that includes preamble for signalling injection level information
KR20240001084A (en)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scaled by 4-bit injection level cod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25770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broadcasting signal frame for signaling time interleaving mod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39072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broadcasting signal frame using enhanced layer dummy value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40004125A (en)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366979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broadcasting signal frame for signaling time interleaving mod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615559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scaled by 4-bit injection level cod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461179B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4907B1 (en) Low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ode f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JP7054326B2 (en) OFDM transmitter / receiver
KR102615584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transmitter identific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06538B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27058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broadcasting signal frame for signaling time interleaving mod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459600B1 (en) Apparatus for broadcasting scalable video content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02187A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45409A (en) Method of broadcast gateway signaling for channel bond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