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41B1 -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41B1
KR102460241B1 KR1020150191832A KR20150191832A KR102460241B1 KR 102460241 B1 KR102460241 B1 KR 102460241B1 KR 1020150191832 A KR1020150191832 A KR 1020150191832A KR 20150191832 A KR20150191832 A KR 20150191832A KR 102460241 B1 KR102460241 B1 KR 10246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s
touch
image
display pan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093A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2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B60K2350/9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영상 보정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차량 핸들에 장착되고, 다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영상 보정부는 픽셀들의 위치를 2차원 좌표계의 좌표로 설정하고, 핸들이 회전각만큼 회전할 때, 입력 영상의 픽셀 좌표를 핸들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회전변환 좌표를 산출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회전변환 좌표에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Dispay Device For Car Handle}
본 발명은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FPD; Fat Pane Dispay)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으로 인해서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뿐만 아니라, 노트북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기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iquid Crysta Dispay; CD), 플라즈마 표시장치(Pasma Dispay Pane; PDP), 전계 방출표시장치{Fied Emission Dispay; FE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ight Emitting diode Dispay; 이하, OED) 등이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TV 및 컴퓨터용 모니터에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근래에는 휴대용 표시장치 및 다른 전자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례로 종래에는 아날로그 방식의 표시창을 통해서 차량의 속도, 연료, rpm 정보 등과 같은 차량 부속 정보를 표시하였지만, 근래에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부속정보를 표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차량에 적용되는 표시장치는 그 활용도가 극히 한정되어 있고, 특히 차량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영상은 차량 운전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 사용자가 운전중이라는 매우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특성에 맞는 차량 핸들용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영상 보정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차량 핸들에 장착되고, 다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영상 보정부는 픽셀들의 위치를 2차원 좌표계의 좌표로 설정하고, 핸들이 회전각만큼 회전할 때, 입력 영상의 픽셀 좌표를 핸들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회전변환 좌표를 산출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회전변환 좌표에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핸들에 표시패널이 장착되어서 운전자의 시선이동을 줄이면서 차량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핸들 회전에 따라서 표시패널의 영상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표시영상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핸들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터치 센서에 입력되는 신호들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영상 보정부에 의한 영상 표시를 나타내는 방법.
도 6은 제1 영상 보정부에 의한 영상 데이터 보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회전변환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점유율 산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표시패널의 기울기 발생원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기울기에 의한 좌표의 원근감 발생원인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원근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보정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보정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핸들용 표시장치가 부착된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핸들용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 내부의 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차량 핸들용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는 호스트 시스템(105), 표시패널(100), 타이밍 콘트롤러(110), 디스플레이 구동회로(120), 터치 구동회로(150) 및 영상 보정부(2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핸들용 표시패널(100)은 운전자의 시선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도록 차량 핸들(10)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는 제1 내지 제n 데이터 라인들(DL1~DLn), 제1 내지 제m 게이트 라인들(GL1~GLm),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접속된 픽셀전극(5), 및 픽셀전극(5)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Cst) 등을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턴-온되어서,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픽셀전극(5)에 공급한다. 액정층(LC)은 픽셀전극(5)에 충전되는 데이터전압과 터치 공통전극(7)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 간의 전압차에 의해 구동되어서, 빛이 투과되는 양을 조절한다.
터치 센서(TC)는 다수의 픽셀들과 연결되고, 정전 용량(capacitance) 타입으로 구현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각각의 터치 센서(TC)에는 복수의 픽셀(P)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3x3 행렬 방식으로 나열된 9개의 픽셀(P)들이 하나의 터치 센서(TC)에 배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터치 공통전극(7)은 터치 센서(TC) 단위로 분할되고, 결국 터치 공통전극(7)이 차지하는 면적이 터치 센서(TC)로 지칭될 수 있다. 각 터치 센서들(TC)은 센싱 라인(TW)들이 하나씩 배정되어 연결된다. 예를 들어, 1행1열의 터치 센서(TC[1,1])에는 1행 1열의 센싱 라인(TW[1,1])이 연결되고, 1행 2열의 터치 센서(TC[1,2])에는 1행 2열의 센싱 라인(TW[1,2])이 연결된다.
공통전극(7)은 디스플레이 구동기간 동안 픽셀들의 기준 전압인 공통 전압(Vcom)을 공급받고, 터치 센서 구동기간 동안 터치 센싱 신호(Vac)를 공급받는다.
구동회로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120) 및 터치 구동회로(150)를 포함한다. 도 3에서와 같이, 구동회로는 1 프레임 기간을 디스플레이 구동기간(Td)과 터치 센서 구동기간(Tt)으로 시분할하고, 디스플레이 구동기간(Td)에 픽셀들에 입력 영상데이터를 기입하고 터치 센서 구동기간(Tt) 동안 터치 센서들을 구동한다. 공통전극(7)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센서(TC)는 디스플레이 구동기간(Td) 동안에는 공통전압을 공급받고, 터치 센서 구동기간(Tt) 동안에는 터치 구동신호(Vac)를 공급받는다.
호스트 시스템(105)은 차량의 운행 정보 및 부속 장치등을 관리하는 차량용 컴퓨터일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05)은 차량의 운행 속도 정보, 연료 정보 및 RPM 정보 등의 부가 정보(META)를 수집하고, 부가 정보(META)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 보정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시스템(105)은 차량용 오디오, 네비게이션 및 에어컨 등의 차량 부속 장치(300)등과 연계되어 부속 장치의 상태 및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를 표시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05)은 터치 구동회로(150)로부터 보정 터치 좌표(A_Tdata)를 제공받아서, 보정 터치 좌표(A_Tdata)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차량 부속 장치(300)를 제어한다.
영상 보정부(200)는 호스트 시스템(105)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영상 데이터의 좌표를 보정한다. 영상 보정부(200)는 제1 및 제2 영상 보정부(200)를 포함한다. 제1 영상 보정부(200)는 핸들(10)의 회전 정도에 따라 표시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정한다. 즉, 도 5의 (a)에서와 같이 핸들(10)이 정위치 된 상태에 비해서, 도 5의 (b)에서와 같이 핸들(10)이 회전하면 핸들(10)에 장착된 표시패널(100)도 회전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핸들이 회전한다고 할지라도, 영상의 위치는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5의 (b)는 핸들이 회전하여도 도 5의 (a)와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2 영상 보정부(200)는 핸들(10)의 기울기에 의해서 표시패널(100)에 원근이 발생하는 것을 보정한다. 표시패널(100)의 모든 위치의 픽셀은 운전자의 시선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것을 기준으로 영상이 표시된다. 하지만, 핸들(1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서 표시패널(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픽셀들은 운전자의 시선과 다른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표시패널(100)의 상부와 하부에 동일한 크기에 영상이 표시되더라도 운전자에게는 다르게 보이게 되는데, 제2 영상 보정부(200)는 이처럼 표시패널(100)의 기울기로 인한 표시패널(100) 내에서 비정상적인 원근을 보정한다.
영상 보정부(200)는 입력 영상의 좌표를 핸들(10)의 회전각(θ) 및 기울기(φ)에 따라 보정하고, 보정된 좌표를 타이밍 콘트롤러(11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120)는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게이트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표시패널(100)의 픽셀(P)들에 기입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영상 보정부(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의 좌표를 보정하고, 보정된 좌표를 바탕으로 표시패널(100)을 구동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입력 영상의 데이터와 동기되어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e, DE), 메인 클럭(MCK)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와, 게이트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동작 타이밍을 제어시키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120)와 터치 구동회로(150)를 동기시킨다.
데이터 구동부는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정극성/부극성 데이터전압을 출력한다.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된다.
게이트 구동부는 타이밍 콘트롤러의 제어 하에 게이트 라인들(GL)에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펄스는 데이터 전압에 동기된다.
터치 구동회로(150)는 타이밍 콘트롤러(110) 또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인에이블 신호(TEN)에 응답하여 터치 센서 구동기간 동안 터치 센서들을 구동한다. 터치 구동회로(150)는 터치 좌표 산출부(151) 및 터치 좌표 보정부(153)를 포함한다.
터치 좌표 산출부(151)는 터치 센서 구동기간 동안 터치 구동신호(Vmod)를 센싱 라인들(TW)을 통해 터치 센서(TC)들에 공급하여 터치 입력을 센싱한다. 터치 구동회로(150)는 터치 입력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터치 센서(TC)의 전하 변화량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고, 터치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터치 좌표(Tdata)를 산출한다.
터치 좌표 보정부(153)는 터치 좌표(Tdata)를 핸들(10)의 회전각(θ)에 따라 보정한 보정 터치 좌표(A_Tdata)를 산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영상 보정부(200)의 영상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 영상 보정부(200)는 먼저 호스트 시스템(105)으로부터 입력 영상데이터(Data)를 전송받는다. 입력 영상데이터(Data)는 차량의 속도정보, 연료정보, RPM 정보와 같은 차량 부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네비게이션이나 차량 오디오 유저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상 보정부(200)는 입력 영상데이터(Data)의 좌표를 차량의 핸들(10)이 회전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회전 변환 좌표를 산출한다.
도 7은 회전 변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에서, 표시패널(100)의 각 픽셀들은 좌표로 간주된다. 도 7에서 기준 픽셀(OP)은 표시패널(100)의 가장 가장자리, 예컨대 좌측 최하단 픽셀로 지정될 수 있다. 중심 픽셀(CP)은 표시패널(100)의 중심에 위치한 픽셀로 지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이 부착된 핸들(10)이 'a'방향으로 회전각(θ)만큼 회전하면, 제1 픽셀(P1)은 핸들(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각(θ)만큼 회전한다.
제1 영상 보정부(20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표현된 회전행렬식을 이용하여 각 픽셀들의 회전변환 좌표를 산출한다. 제1 영상 보정부(200)는 입력 영상의 픽셀 좌표를 핸들(10)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변환 좌표를 산출한다.
일례로 도 7은 제1 픽셀(P1)에 대한 제1 회전 변환 좌표(P1')를 도시하고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129539256-pat00001
이때, (u,v)는 중심 픽셀(CP)의 좌표를 지칭한다.(S601)
표시패널(100)의 xy좌표계는 픽셀(P)을 좌표로 간주한 것이기 때문에 각 픽셀(P)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해서, 회전변환 좌표와 초기 표시패널(100)의 좌표는 완전히 중첩되지 않는다. 그 결과, 도 8의 (a)에 도시된 영상이미지을 회전하면 도 8의 (b)에서와 같이 회전변환 좌표는 표시패널(100)의 좌표와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8의 (b)에서 표시패널(100)의 좌표계의 제2 픽셀(P[2,4])에 배치된 화소 영역은 제3 내지 제6 픽셀(P3~P6)의 회전변환 좌표에 의한 픽셀 영역과 중첩된다.
제2 영상 보정부(200)는 표시패널 좌표계에서 한 개의 소정 픽셀 영역에 회전변환 픽셀들이 둘 이상 중첩될 경우에, 소정 픽셀 영역의 좌표를 점유율이 높은 회전변환 픽셀의 회전변환 좌표로 산출한다. 예컨대,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제2 픽셀(P[2,4])과 중첩되는 픽셀들 중에서 제4 픽셀(P4)이 점유율이 가장 크다고 하면, 제4 픽셀(P4)의 회전변환 좌표를 (2,4)로 산출한다. (S603)
회전변환 좌표와 표시패널(100)의 초기 좌표의 중첩되는 비율만으로 회전변환 좌표를 결정하면, 회전변환 좌표의 개수 및 색감의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 영상 보정부(200)는 회전변환 좌표의 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보간법을 이용하여 보간한다.
회전변환 좌표의 영상 데이터 보간법은 최근접 이웃 알고리즘(Nearest Neighbor Agorism), 선형 보간법(Biinear), Bicubic Spine 보간법 및 anczos 보간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S605)
제1 영상 보정부(200)는 핸들(10)의 회전에 의한 영상 변화를 보정하는 데에 반해서, 제2 영상 보정부(200)는 핸들(10)의 기울기(φ)에 의해서 발생하는 표시패널(100)의 원근을 보정한다.
도 9에서와 같이, 핸들(10)은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돌록 정면이 운전자의 흉부와 대면한다. 따라서, 핸들(10)에 부착된 표시패널(100)의 정면은 사용자의 시선과 수직이 되지 못한다. 그 결과 도 10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00)에서 픽셀들은 +y 축 방향으로 갈수록 운전자의 시선과 가깝고 -y축 방향으로 갈수록 운전자의 시선과 멀어진다.
제2 영상 보정부(200)는 이와 같이, 핸들(10)의 기울기(φ)로 인해서 표시패널(100)의 y축 방향으로 원근감이 발생하는 것을 보정한다.
도 11은 핸들(10)의 기울기(φ)로 인해 표시패널(100)에 발생하는 원근의 정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에서 제1 평면(plane1)은 패널중심(c)을 지나며 운전자의 눈 위치(E)(이하, 관측점)와 수직인 평면이고, 제2 평면(plane2)은 제7 좌표(P7)을 지나며 제1 평면(plane1)과 평행인 평면이다. 원근 보정 좌표(P7')는 관측점(E)과 제7 좌표(P7)을 잇는 직선이 제1 평면(plane1)과 교차하는 지점이다.
관측점(E)과 제2 평면(plane2)의 최단거리(1)와 관측점(E)과 패널중심(C) 간의 거리(2)의 비율(2/1)은 관측점(E)과 제7 좌표(P7) 간의 거리(4)와 관측점(E)과 원근 보정 좌표(P7') 간의 거리(3)와의 비율(3/4)은 동일하다. 즉, 관측점(E)과 제2 평면(plane2)의 최단거리(1)와 관측점(E)과 패널중심(C) 간의 거리(2)의 비율(2/1)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2]
3/4 = 1/2 = 2/(2+ysinφ)
이때, 관측점(E)과 패널중심(C) 간의 거리(2)와 표시패널(100)의 기울기(φ)는 운전자의 표준 체형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관측점(E)을 이용하거나 운전자의 수동조절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영상 보정부(200)는 [수학식 2]에서 관측점(E)과 패널중심(C) 간의 거리(2)와 표시패널(100)의 기울기(φ)를 이용하여 y좌표의 원근 보정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7 좌표(P7)에서 y값과 원근 보정 좌표(P7')에서 y'의 값의 비율(y':y)은 관측점(E)과 제7 좌표(P7) 간의 거리(4)와 관측점(E)과 원근 보정 좌표(P7') 간의 거리(3)와의 비율(3:4)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원근 보정 좌표(P7')의 y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영상 보정부(200)는 제1 영상 보정부(200)와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제1 영상 보정부(200)가 획득한 회전 변환 좌표에 대해서 영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보정부(200)는 제1 영상 보정부(200)에서 회전변환 좌표를 획득한 이후에 원근 보정 좌표를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영상 보정부(200)는 원근 보정 좌표를 획득한 이후에, 원근 보정 좌표들이 표시패널(100)의 좌표계에서 소정의 픽셀 영역과 중첩되는 점유율을 바탕으로 원근 보정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원근 보정 좌표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S605 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터치 좌표 보정부에 의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 영상 보정부(200)에 의해서 운전자는 회전변환 좌표를 기준으로 표시되는 영상을 확인한다. 하지만,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TC)는 표시패널(100)에 고정되기 때문에, 표시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기준으로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터치 구동회로(150)는 잘못된 터치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터치 좌표 보정부는 도 12에 도시된 방법으로 터치 좌표를 보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보정부(153)는 터치 구동회로(150)의 센싱 유닛이 획득한 터치 좌표를 입력받는다.(S1201)
도 13의 (b)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회전변환 좌표에 의해서 회전된 영상(image_r)을 보고 제1 회전변환 좌표(P1')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였다면, 운전자의 의도는 도 13(a)의 제1 좌표(P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터치한 것이다. 회전변환 좌표에 의해 회전된 영상(image_r)은 원본 영상(image)과 동일하지만, 실제 표시패널(100)은 a방향으로 회전각 만큼 회전한 상태이기 때문에, 터치 좌표는 제1 회전변환 좌표(P1')로 산출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터치 보정부(153)는 획득한 터치 좌표(Tdata)를 핸들(10)이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보정 터치 좌표(A_Tdata)를 획득한다.
터치 보정부(153)는 회전 변환 좌표를 획득하는 것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회전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보정 터치 좌표를 산출한다.(S1203)
터치 구동회로(150)는 터치 보정부(153)가 획득한 보정 터치 좌표를 바탕으로 터치 연산 알고리즘을 수행한다.(S1205)
도 12에서는 표시패널(100)의 회전에 의한 터치 좌표 보정만을 설명하고 있다. 만약, 제2 영상 보정부(200)가 원근 보정을 수행하였다면, 터치 보정부(153)는 원근 보정의 역변환으로 터치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표시패널 110: 타이밍 콘트롤러
120: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150: 터치 구동회로
200: 영상 보정부 300: 차량 부속장치

Claims (7)

  1. 차량 핸들에 장착되고, 다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
    상기 픽셀들의 위치를 2차원 좌표계의 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핸들이 회전각만큼 회전할 때, 입력 영상의 픽셀 좌표를 상기 핸들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회전변환 좌표를 산출하는 영상 보정부; 및
    상기 회전변환 좌표에 상기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기입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보정부는 표시패널 좌표계에서 한 개의 소정 픽셀 영역에 회전변환 픽셀들이 둘 이상 중첩될 경우에, 소정 픽셀 영역의 좌표를 점유율이 높은 회전변환 픽셀의 회전변환 좌표로 산출하는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픽셀 좌표를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변환 좌표를 산출하는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회전변환 좌표에 대한 입력 영상을 보간하는 보간법을 더 수행하는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운전자의 눈 위치인 관측점과 패널중심 간의 거리와 표시패널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y좌표의 원근 보정 좌표값을 산출하는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표시패널 좌표계에서 한 개의 소정 픽셀 영역에 원근 보정 픽셀들이 둘 이상 중첩될 경우에, 소정 픽셀 영역의 좌표를 점유율이 높은 원근 보정 변환 픽셀의 원근 보정 좌표로 산출하는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픽셀들과 커플링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터치 입력이 인지된 상기 터치 센서들의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터치 좌표 산출부;
    상기 터치 좌표를 상기 핸들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각만큼 회전시킨 보정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터치 좌표 보정부; 및
    상기 보정 터치 좌표를 바탕으로 터치 연산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터치 연산부를 포함하는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KR1020150191832A 2015-12-31 2015-12-31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KR10246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32A KR102460241B1 (ko) 2015-12-31 2015-12-31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32A KR102460241B1 (ko) 2015-12-31 2015-12-31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093A KR20170081093A (ko) 2017-07-11
KR102460241B1 true KR102460241B1 (ko) 2022-10-31

Family

ID=5935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832A KR102460241B1 (ko) 2015-12-31 2015-12-31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6478B1 (en) * 2018-10-08 2021-01-13 Audi Ag A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024A (ja) * 2007-09-24 2009-04-09 Denso Corp 車両用メータユニット
JP2009093076A (ja) * 2007-10-11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内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2062026A (ja) * 2010-09-17 2012-03-29 Pioneer Electronic Corp 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35B1 (ko) * 2009-11-30 2013-02-25 홍석기 방향지시 표시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024A (ja) * 2007-09-24 2009-04-09 Denso Corp 車両用メータユニット
JP2009093076A (ja) * 2007-10-11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内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2062026A (ja) * 2010-09-17 2012-03-29 Pioneer Electronic Corp 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093A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3281B2 (ja) インセルタッチ表示装置
CN107015687B (zh) 显示装置、驱动显示装置的方法及其驱动电路
KR101675256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TWI530854B (zh) 觸控感測裝置及使用該觸控感測裝置的顯示裝置
US8941602B2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48031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008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EP3038097B1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EP3182257A1 (en) Display device with built-in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254540B1 (ko) 곡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8766943B2 (en) Display having touch sensor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performance thereof
TWI544396B (zh)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103514829A (zh) 具有集成触摸屏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20130124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Sensor
KR20170081068A (ko) 터치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US20220197467A1 (en) Touch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timing controller
KR102071204B1 (ko) 터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49841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60241B1 (ko) 차량 핸들 장착용 표시장치
US9081433B2 (en) Method of processing touch-sensor data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486407B1 (ko) 터치방식 표시장치
CN114647329A (zh) 触摸显示装置
KR102063347B1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스무딩 필터 제어 방법
US9922397B2 (en) Touch sensitive image display system having reduced lag
KR102252828B1 (ko) 영상데이터 보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