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177B1 - 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177B1
KR102460177B1 KR1020210137562A KR20210137562A KR102460177B1 KR 102460177 B1 KR102460177 B1 KR 102460177B1 KR 1020210137562 A KR1020210137562 A KR 1020210137562A KR 20210137562 A KR20210137562 A KR 20210137562A KR 102460177 B1 KR102460177 B1 KR 10246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electric vehicle
power
charging
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0177B9 (en
Inventor
정진범
신동현
송현식
김태훈
이홍종
임재우
최재영
김태성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3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1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177B1/en
Publication of KR10246017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177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management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method for evaluating charging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an electric vehicle.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management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by a power meter for determining the management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ng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an electric vehicle,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 a standby mode; connec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load to start charging, and calculating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which is the ratio of output power and input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when the output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maximum during the charging; measuring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 a standby mode after the charging is finished; and determining the management gra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ased on the power consum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Therefore, the method can reflect operating cost factors, thereby enabl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b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managed.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등급 판정 방법 및 전기자동차 연계 충전성능 평가 방법{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linked to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harging performanc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전기자동차 충전기(이하 '충전기'로 약칭)는 표준에서 제시한 전기적 사양과 기준을 달성하면 충전기로서 사용은 가능하나, 각 업체별로 제작한 충전기의 전기적 성능과 특성이 달라 신규 전기자동차가 나올 때마다 호환성에 관한 이슈가 발생한다.An electric vehicle charg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charger') can be used as a charger if it meets the electrical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presented in the standard. Compatibility issues arise.

또한, 충전기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로는 표준이나 규격에 대한 만족 여부나 적합성 또는 인증 결과만 알 수 있기 때문에, 충전기 간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부족한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charger can only know whether or not a standard or specification is satisfied, conformity, or certification result, there is a lack of standards for comparing performance between chargers.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 중이 아닌 충전 전/후의 대기상태에서 소모하는 전력이 큰 충전기의 경우, 운영비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며, 충전 중 내부 전력모듈의 변환효율이 낮거나 부가적인 전력소모의 증가로 전기자동차에 실제 전달되는 충전전력 대비 충전기의 입력전력의 비율인 충전전력 전달효율이 낮은 충전기도 운영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계통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대기 상태에 있거나 전기자동차 충전이 종료된 후 일정시간 이상 대기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과 직접 관련이 없는 전력소모가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운영비 증가 요인까지 고려한 충전기 평가 기준이 부재하여 충전인프라 구축 시 최적의 충전기를 선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harger that consumes a lot of power in the standby state before and after charging, not while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he operating cost is relatively large, A charger with low charg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which is the ratio of the input power of the charger to the actual charging power delivered to the device, also increases the operating cost. For example, as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 a continuous standby state while the system power is supplied, or maintains the standby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fte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s finished, power consumption not directly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occur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optimal charger when constructing a charging infrastructure because there is no charger evaluation standard that considers such an operating cost increase factor in the prior art.

또한, 종래의 충전기 평가 방법은, 일정한 전압과 전류 조건에서 충전기의 충전 효율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실제 전기자동차 충전 과정에서는 충전 중 전압이 변동되며, 충전기의 충전 효율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충전기 평가 방법은 이러한 점이 반영되지 않아 실질적인 평가가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harger evaluation method, it is common to evaluate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charger under constant voltage and current conditions. However, in the actual charging process of an electric vehicle, the voltage varies during charging, and although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charger varies depending on the charging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the conventional charger evaluation method does not reflect this point and thus cannot be evaluated.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운영비 발생 요인을 반영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 시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충전기를 선정/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충전기 등급 판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systematically classify and manage electric vehicle chargers by reflecting operating cost generation factors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support more efficient and optimized charger selection/operation when construc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ating a charger that can be used.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 차량 내 배터리로 전달된 전기에너지가 주행 중 방전경로를 통해 방전되는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제어 방법이나 전기자동차 내부의 충/방전 경로,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등에 따라 각기 다른 충/방전 성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알고리즘이 반영된 시험을 통해, 복수의 충전기 및/또는 복수의 전기자동차에 대해 충전기와 전기자동차의 조합에 따른 충전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연계 충전성능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energy delivered to the battery in the vehicl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th while driving,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different charging methods vary depending on the charging control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discharging path inside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discharg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Because it can represent /discharge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compare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for a plurality of chargers and/or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through a test in which the charging algorithm of an electric vehicle is reflec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충전기 등급 판정과 전기자동차 연계 충전성능 평가를 위한 전력측정기를 제공하며, 객관적 평가를 위한 규격화된 시험 절차와 환경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meter for charger rating determination and electric vehicle-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and to present a standardized test procedure and environment for objective evalu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은,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대기상태일 때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충전 이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 상기 충전기와 부하를 연결하여 충전을 개시하며, 상기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력이 최대일 때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율인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하는 단계; 충전 종료 후 상기 충전기가 대기상태일 때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충전 이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 및 상기 '충전 이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 및 상기 '충전 이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의 평균값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gra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before charging' of measur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 a standby state ; connecting the charger and the load to start charging, and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which is the ratio of the output power to the input power of the charger when the output power of the charger is maximum in the charging process; 'Standby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after charging' of measur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the charger is in a standby state after charging is finished; And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before charging' and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after charging',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consumed in the charger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is determined including;

상기 충전기가 직류 충전기일 경우, 상기 부하는 상기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모드와 정전류 모드 중 어느 것으로도 동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harger is a DC charger, the load may operate in either a constant voltage mode or a constant current mode during the charging process.

상기 충전기는 교류 충전기일 경우, 상기 부하는 상기 충전 과정에서 정저항 모드와 정전류 모드 중 어느 것으로도 동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harger is an AC charger, the load may operate in either a constant resistance mode or a constant current mode during the charging process.

상기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판단한 충전기 운용등급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준으로 판단한 충전기 운용등급 중 하위의 운용등급을 상기 충전기의 최종적인 운용등급으로 판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the lower operation grade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and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is the final operation of the charger It may be judging by grad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은,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상기 전기자동차가 갖는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소정의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에서 방전을 차단할 때까지 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에 상기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충전을 개시하며, 충전기 입력측에서 측정한 순간전력을 누적하여 충전기 입력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소정의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에서 방전을 차단할 때까지 방전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방전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전전력량과 상기 충전기 입력전력량의 비율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in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are connected and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maintained until charging is terminated by the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ischarg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evaluation pattern until the electric vehicle stops discharging; connect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charger, starting charging, and accumulating the instantaneous power measured at the input side of the charg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discharging until the electric vehicle stops discharg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lectric charge evaluation pattern,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calculating a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rate, which is a ratio of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and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한 후,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산출한 후, 상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1차 판정 단계; 상기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을 다시 측정하고, 상기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한 후,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통하여 충전기 입력전력량을 계산하며,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력 최대값에서의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다시 산출한 후, 상기 다시 측정된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다시 산출된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입력전력량 계산 및 충전기 운용등급 2차 판정 단계; 및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방전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방전전력량과 상기 충전기 입력전력량의 비율을 구하여 상기 충전기와 상기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을 계산하는 방전전력량 및 연계충전율 계산 단계;를 포함한다.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and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fter connecting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After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through the process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he charger operation grade primary determination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grade of the charger based on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step; Measur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again, connect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calculate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through the process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fter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gain, the charger input power amount calculation and charger operation class secondary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grade of the charger based on the re-measured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re-calculated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 and a discharging power amount and a linked charging rate for calculating a battery discharge power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dis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calculating a linkage charge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by obtaining a ratio of the discharge power amount and the charger input power amount calculation step;

상기 충전기 운용등급 1차 판정 단계 및 상기 충전기 입력전력량 계산 및 충전기 운용등급 2차 판정 단계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charging of the battery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first determining step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and the calculating of the input power amount of the charger and the second determining of the operating level of the charg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을 위한 전력측정기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 입력전력, 출력전력을 산출하는 측정부; 및 상기 출력전력이 최대일 때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율을 계산하여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구하고, 상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부를 포함한다.And, the power meter for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the standby of the charger a measurement unit for calculating state consumption power, input power, and output power; and calculating the ratio of output power and input power when the output power is the maximum to obtain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nd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to determine the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includes wealth.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를 위한 전력측정기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입력측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출력측('배터리의 입출력측'을 포함함)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의 입력전력량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전력량을 산출하는 측정부; 및 상기 입력전력량과 상기 방전전력량을 기초로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 충전율을 산출하는 연계충전성능 평가부;를 포함한다.And, the power meter for evaluating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n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out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cluding the 'input/output side of the battery')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voltage and uses the measured valu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input power of the charger and the amount of discharge power of the battery; and a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for calculating a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a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amount of input power and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를 위한 전력측정기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각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 입력전력, 출력전력, 입력전력량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전력량을 산출하는 측정부; 상기 출력전력이 최대일 때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율을 계산하여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구하고, 상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부; 및 상기 입력전력량과 상기 방전전력량을 기초로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 충전율을 산출하는 연계충전성능 평가부;를 포함한다.And, the power meter for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and evaluating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 measuring unit for calculating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input power, output power, input power amount, and discharge power amount of the battery by using the measured value; A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unit for calculating a ratio of output power and input power when the output power is maximum to obtain a charg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nd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 and a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for calculating a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a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amount of input power and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충전 시 다른 충전기와 대비되는 상대적 성능 우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충전기 운영 측면에서 어떤 충전기가 유리한지 쉽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a specific charger,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know the relative performance advantage compared to other chargers, and to easily determine which charger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harger opera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전기자동차에 대해 어떤 충전기와 연계했을 때 가장 우수한 충전성능을 갖는지 연계충전율을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 사용자 입장에서도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충전기 제품에 대한 객관적 판단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pecific electric vehicle can be compared based on the connected charging rate to determine which charger has the best charging performance when connected with a specific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mote more efficient use from the standpoint of the electric vehicle user,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bjectively judge the charger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을 위한 시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를 위한 시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의 세부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ng 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st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ng gr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 test configuration for evaluating charger-electric vehicle-linked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ng grade and evaluating a connected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detailed flowcharts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ng grade and evaluating a linked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종래에 존재하지 않았던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등급 판정 방법과 전기자동차와 연계한 충전기의 충전성능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등급 판정 방법은 종래의 충전기 평가 방법과 같이 단순히 충전기의 용량에 따라 구분하거나 표준에서 제시한 전기적 사양을 달성하는지 여부로 충전기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충전 전/후의 대기상태 소모전력 및 전기자동차 모사 장치를 부하로 사용한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준으로 등급을 구분함으로써, 충전기 간 운용등급 비교를 통해 운용비를 최소화하는 충전기를 선택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즉, 동일 클래스의 충전기에 대한 운용등급 비교를 통하여 어떤 충전기가 더 우수한 운용 효율성을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충전기 클래스 구분 기준과 충전기 운용등급 기준은 하나의 예시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본 발명의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예시된 클래스의 구분, 등급의 구분, 대기 상태 충전기 소모 전력의 수치, 충전기 충전전력 전달효율 수치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esenting a rating determination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a charger in connection with an electric vehicle, which did not exist in the prior art. The charger 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valuate the charger simply by classifying it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harger or achieving the electrical specifications suggested by the standard like the conventional charger evaluation method, but rather,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before/after charging. And by classifying the grades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using the electric vehicle simulating device as a load, it is possible to select a charger that minimizes operating costs by comparing the operating grades between chargers. That is,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charger has better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the comparison of operating grades for chargers of the same clas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harger class classification standard and the charger operating grade standard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e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ss illustra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s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figure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figure of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와 연계한 충전기의 충전성능 평가 방법(이하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으로 약칭)은 종래와 달리 실제 전기자동차를 부하로 사용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충전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조건에서 충전기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실제와 더욱 부합하는 평가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에 의해 전기자동차와 충전기 간의 적합성 평가를 할 수 있으며, 특정 전기자동차에 대해 충전기 간 충전 성능 비교가 가능하다. 즉, 충전기를 특정 전기자동차와 연계하여 충전하는 경우 특정 전기자동차의 경우 어떤 충전기로 충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충전에 따른 실질적인 충전/방전 전기에너지량이 가장 큰지 판단할 수 있는 충전성능 평가(시험)방법을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the charger linked to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by using an actual electric vehicle as a load, so that the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vehicle is applied.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charg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valuation result that is more consistent with reality. According to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suitability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er, and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charging performance between the chargers for a specific electric vehicle. In other words, when charging a charger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electric vehicle, it is most efficient to charge with which charger for a specific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test)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actual amount of charging/discharging electric energy according to charging is the largest A method i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m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등급판정 방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기(100)는 충전기의 입력측과 출력측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입력측과 출력측('배터리의 입출력측'을 포함함)에서 측정된 전류, 전압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고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충전율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의 입출력측'이란 배터리의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단자가 있는 부분을 의미하며, '배터리의 출력측'은 배터리의 입력과 출력이 다른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의 출력 단자가 있는 부분은 물론이고, 상기 '배터리의 입출력측'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단자가 있는 부분도 포함된다.The power m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perform the charger rating method and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urrent and voltage measured at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charger and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cluding the 'input/output side of the battery'), the charger operating rating and calculate the linkage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put/output side of the battery' means a part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when the same terminal is used for input and output of the battery, and 'output side of the battery' refers to a case where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battery are different. A portion having an output terminal of , as well as a portion having a corresponding terminal when the same input and output terminals are used, such as the 'input/output side of the battery', is includ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기(100)는 측정부(110),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부(120)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측정기(100)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power m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ing unit 110 , a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ing unit 120 , and a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130 .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40 .

측정부(110)는 충전기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입출력측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며, 전압/전류 측정값을 이용하여 전력을 산출하고, 전력을 누적하여 전력량을 산출한다. 또한, 측정부(110)는 전압/전류 측정값을 이용하여 충전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을 산출하며, 충전기 입력측의 순간전력과 입력전력량 및 충전기 출력측의 순간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측정부(110)는 전압/전류 측정값을 이용하여 충전 시의 배터리 입력측의 순간전력과 입력전력량을 산출하며, 방전 시의 전기자동차 배터리 출력측('배터리의 입출력측'을 포함함)의 순간전력과 방전전력량을 산출한다.The measuring unit 110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nput/output side of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calculates power using the voltage/current measurement value, and accumulates pow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In addition, the measuring unit 110 calculates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charger standby state by using the voltage/current measurement value, and calculates the instantaneous power and input power amount of the charger input side and the instantaneous power of the charger output sid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110 calculates the instantaneous power and input power amount of the battery input side during charging using the voltage/current measurement value, and the instantaneous moment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output side (including 'input/output side of the battery') during discharging. Calculate power and discharge power.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부(120)는 충전기 출력전력 값을 입력전력 값으로 나누어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하고,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충전기 최대출력 조건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한다.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by dividing the charger output power value by the input power value, and determines the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maximum output condition. .

연계충전성능 평가부(130)는 충전기 입력전력량과 전기자동차 배터리 방전전력량을 기초로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충전율을 산출한다. 또한, 연계충전성능 평가부(130)는 평가 대상 충전기에 대해 각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계충전율을 비교 평가한다.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amount of power input to the charger and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 addition,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130 compares and evaluates the linked charging rate for each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target charger.

저장부(140)는 측정부(110)가 산출한 전력 및 전력량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연계충전성능 평가부(130)가 산출한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충전율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power and power amount data calculated by the measurement unit 11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calculated by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13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은, 충전 전/후의 대기상태 소모전력을 계산하고, 전기자동차 모사 장치를 부하로 사용하여 충전기 최대 출력전력 시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하여, 상기 대기상태 소모전력과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준으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구분하는 방법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ng gr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before and after charging, and calculates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t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charger using the electric vehicle simulating device as a load, This is a method of classifying charger operation classes based on standby power consumption and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은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level of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210 to S230.

S210 단계는 충전기가 대기상태일 때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즉, 충전기에 부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기에 계통 전원이 공급되고 있을 때, 충전기 입력측의 전압/전류 측정을 통해 대기상태일 때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또는 산출)한다.Step S210 is a step of measur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the charger is in a standby state. That is, when grid power is supplied to the charger in a state in which a load is not connected to the charger,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is measured (or calculated) in the standby state by measuring the voltage/current of the charger input side.

S220 단계는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부하와 충전기를 연결하여 충전을 시작한다. 상기 부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알고리즘에 따라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모사 장치가 바람직하다. 충전기의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압/전류를 측정하고,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충전기의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을 산출하며, 출력전력이 최대일 때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율을 구하여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한다.Step S22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Connect the load and the charger to start charging. The load is preferably an electric vehicle simulat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charging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Measure the voltage/current of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charger, calculate the input power and output power of the charger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voltage and current, and calculate the ratio of the output power and the input power when the output power is maximum. Calculate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S230 단계는 충전 종료 후 충전기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또는 산출)한다. S210 단계에서 대기상태 소모전력을 이미 한 번 측정했으므로, S230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다만, 충전 시작 전 대기상태에 있을 때 충전기 소모 전력과 충전 종료 후 대기상태에 있을 때의 충전기 소모 전력은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S210 단계 및 S230 단계에서 모두 대기상태 소모전력값을 얻은 후, S240 단계에서 두 소모전력값의 평균값을 이용하거나 두 소모전력값 중 최대값을 활용하여 등급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소모전력값 중 최대값을 활용하여 등급을 구분할 경우, 그 때 판정된 충전기 등급은 충전기의 최소한의 성능을 보장하는 의미를 가진다.Step S230 measures (or calculates)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the charger is in the standby state after the end of charging. Sinc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has already been measured once in step S210, step S230 may be omitted. However, since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in the standby state before charging starts and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in the standby state after the end of charging, after obtaining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in both steps S210 and S230, In step S240,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the class by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two power consumption values or the maximum value among the two power consumption values. When the class is classified using the maximum value among the two power consumption values, the charger class determined at that time has the meaning of guaranteeing the minimum performance of the charger.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에서 사용되는 시험 구성은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test configuration used in steps S210 to S2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

참고로, 충전기가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 충전기에 부하는 연결되지 않지만, 충전기는 상시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충전기는 제어용 차단기와 충전전력 공급용 차단기(충전기 내 파워모듈에 충전 전원공급)가 별도로 있는 차단기가 2개인 충전기 구조를 지니며, 제어용 차단기가 ON 상태이면 대기전력이 존재한다. 부하가 없을 때, 즉 충전을 하지 않을 때 충전기와 차단되는 것은 파워모듈과 연결된 충전전력이며, 제어기와 표시장치 등에서 소모하는 제어용 대기전력은 여전히 계통과 연결되어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charger is in the standby state, the load is not connected to the charger, but the charger is always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In general, a charger has a charger structure with two circuit breakers, a circuit breaker for control and a circuit breaker for charging power supply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power module in the charger). When there is no load, that is, when there is no charge, what is cut off from the charger is the charging power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and the standby power for control consumed by th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is still connected to the grid.

S240 단계는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단계이다. 대기상태에서의 소모전력 평균값(또는 최대값) 및 충전 중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의 운용등급을 판정한다. S240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충전기 클래스(class) 구분 기준과 충전기 운용등급 기준은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Step S240 is a step for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The operation grade of the charg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r maximum value) of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during charging. Charger class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charger operating class standards that can be used in step S2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able 1] to [Table 4].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을 위한 시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시험 구성이다.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test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grade of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S. 3A to 3D are test configura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level of the charg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3a는 직류 충전기(21)의 경우에 적용되는 시험 구성이다. 전력측정기(100)는 계통(11)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기의 입력측은 충전기로부터 d1(예를 들어, 30cm)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11 내지 V13), 각 상별 전류를 측정하여(A11 내지 A13) 충전기(21)의 입력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00)는 동 시점에 충전기의 직류 출력측의 d2(예를 들어, 30cm) 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14), 시험용 부하(31) 및 버퍼용 배터리(32)로 공급되는 전체 전류를 측정하여(A14) 충전기(21)의 출력전력을 산출한다. 부하(31)는 전자부하로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알고리즘을 모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정전압(CV: Constant Voltage) 또는 정전류(CC: Constant Current) 모드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하고, 충전 중에도 정전압 모드에서 정전류 모드로 바뀌거나, 정전류 모드에서 정전압 모드로 바뀔 수 있어야 한다.3A is a test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case of the DC charger 21 .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1 (eg, 30 cm) from the charger at the input side of the charger receiving power from the system 11 (V11 to V13), and by measuring the current for each phase (A11 to A13) The input power of the charger 21 is calculated.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2 (eg, 30 cm) of the DC output side of the charger at the same time (V14), and is supplied to the test load 31 and the buffer battery 32 The output power of the charger 21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otal current (A14). The load 31 is an electronic load, and since it must be able to simulate the charging algorithm of an electric vehicle, it must be able to operate in a constant voltage (CV) or constant current (CC: constant current) mode. , or it should be able to change from constant current mode to constant voltage mode.

도 3b 내지 도 3d는 교류 충전기(22 내지 24)의 경우에 적용되는 시험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가 내장된 OBC(탑재형 충전기)를 동작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따른다면 본 시험 구성을 이용하여 그 충전 과정을 모사할 수 있다. 교류 충전기는 3상 입력-3상 출력(22), 3상 입력-단상 출력(23), 단상 입력-단상 출력(24)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각 구조에 따라 입/출력에 대한 전압/전류를 동시에 측정하여 전달효율을 산출한다. 교류 충전기(22 내지 24)의 출력의 경우 교류부하(33 내지 35)를 연결해야 하며, 교류 최대전력에서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정저항 모드(CR: Constant Resistance)나 정전류 모드로 평가가 가능한 부하(33 내지 35)를 구비해야 한다.3B to 3D are test configurations applied to the case of the AC chargers 22 to 24 . For example, if an electric vehicle operates an on-board charger (OBC) to charge a battery, the charging process can be simulated using this test configuration. The AC charger may have a structure of three-phase input-three-phase output 22, three-phase input-single-phase output 23, and single-phase input-single-phase output 24, and according to each structure, voltage/output for input/output The transfer efficiency is calculated by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current. In the case of the output of the AC charger (22 to 24),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AC load (33 to 35), and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t the maximum AC power, the evaluation is performed in the constant resistance mode (CR: Constant Resistance) or the constant current mode. Possible loads (33 to 35) should be provided.

도 3b는 3상-3상 교류 충전기(22)의 경우에 적용되는 시험 구성이다. 전력측정기(100)는 계통(11)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기 입력측의 d3(예를 들어, 30cm)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21 내지 V23), 각 상별 전류를 측정하여(A21 내지 A23) 충전기(22)의 입력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00)는 동 시점에 충전기의 교류 출력측의 d4(예를 들어, 30cm) 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24 내지 V26), 시험용 부하(33)로 공급되는 전체 전류를 측정하여(A24 내지 A26) 충전기(22)의 출력전력을 산출한다.3B is a test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case of the three-phase three-phase AC charger 22 .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3 (eg, 30 cm) of the charger input side receiving power from the grid 11 (V21 to V23), and measures the current for each phase (A21 to A23) The input power of the charger 22 is calculated.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4 (eg, 30 cm) of the AC output side of the charger at the same time (V24 to V26), and measures the total current supplied to the test load 33 (A24 to A26) to calculate the output power of the charger 22.

도 3c는 3상-단상 교류 충전기(23)의 경우에 적용되는 시험 구성이다. 전력측정기(100)는 계통(11)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기 입력측의 d5(예를 들어, 30cm)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31 내지 V33), 각 상별 전류를 측정하여(A31 내지 A33) 충전기(23)의 입력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00)는 동 시점에 충전기의 교류 출력측의 d6(예를 들어, 30cm) 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34), 시험용 부하(34)로 공급되는 전체 전류를 측정하여(A34) 충전기(23)의 출력전력을 산출한다.3C is a test configuration applied in the case of the three-phase-single-phase AC charger 23 .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5 (eg, 30 cm) of the charger input side receiving power from the grid 11 (V31 to V33), and measures the current for each phase (A31 to A33) The input power of the charger 23 is calculated.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6 (eg, 30 cm) of the AC output side of the charger at the same time (V34), and measures the total current supplied to the test load 34 ( A34) The output power of the charger 23 is calculated.

도 3d는 단상-단상 교류 충전기(24)의 경우에 적용되는 시험 구성이다. 전력측정기(100)는 계통(11)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기 입력측의 d7(예를 들어, 30cm)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41), 전류를 측정하여(A41) 충전기(24)의 입력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00)는 동 시점에 충전기의 교류 출력측의 d8(예를 들어, 30cm) 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42), 시험용 부하(35)로 공급되는 전체 전류를 측정하여(A42) 충전기(24)의 출력전력을 산출한다.3D is a test configuration applied in the case of single-phase-single-phase AC charger 24 .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V41) at a point within d 7 (eg, 30 cm) of the charger input side receiving power from the grid 11 (V41), and measures the current (A41) to the charger (24) Calculate the input power of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8 (eg, 30 cm) of the AC output side of the charger at the same time (V42), and measures the total current supplied to the test load 35 ( A42) The output power of the charger 24 is calculated.

도 3a 내지 도 3d에서 전류 측정 포인트(A11 내지 A14, A21 내지 A26, A31 내지 A34, A41 및 A42)에는 홀 센서(Hall effect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전력측정기(100)는 도 3a 내지 도 3d의 시험회로 구성을 통해 측정한 직류 충전기(21)나 교류 충전기(22 내지 24)의 입력/출력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00)는 대기상태에서 소모전력 측정, 충전 중의 전달효율 계산 및 충전 종료 후 대기상태에서의 소모전력 측정을 통해 충전기의 등급을 판정한다.A Hall effect sensor may be used at the current measurement points A11 to A14, A21 to A26, A31 to A34, A41 and A42 in FIGS. 3A to 3D . The power meter 100 calculates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using the input/output power of the DC charger 21 or the AC charger 22 to 24 measured through the test circuit configuration of FIGS. 3A to 3D .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determines the rating of the charger by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calculating the transfer efficiency during charging, and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after charging is completed.

[표 1] 내지 [표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에서 S240 단계(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테이블의 예시이다. [표 1] 내지 [표 2]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전기적 사양에 관한 클래스 테이블이며, [표 3] 내지 [표 4]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운용등급(성능등급)을 부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표 1] 내지 [표 4]를 통해, 각 클래스 및 운용등급(성능등급)에 따라 충전기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기 관리 및 호환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다. [표 1]은 직류충전기의 클래스 구분 테이블, [표 2]는 교류충전기의 클래스 구분 테이블, [표 3]은 직류충전기 운용등급 기준 테이블, [표 4]는 교류충전기 운용등급 기준 테이블이다.[Table 1] to [Table 4] are examples of tables that can be used in step S240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step) in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able 1] to [Table 2] are class tables related to the electrical specification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able 3] to [Table 4] are tables for giving the operation grade (performance gra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rough [Table 1] to [Table 4], since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charger according to each class and operation grade (performance grad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harger management and securing compatibility. [Table 1] is the class classification table of the DC charger, [Table 2] is the class classification table of the AC charger, [Table 3] is the DC charger operation grade standard table, and [Table 4] is the AC charger operation grade standard table.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1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1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2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2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3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3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4
Figure 112021118330171-pat00004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직류 충전기와 교류 충전기로 구분되며, 최대 출력전력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동일한 최대 출력전력을 지니더라도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 사양이 상이할 수 있다. [표 1]에서, 동일한 최대 출력전력 사양이더라도 출력전압 사양이 다를 수 있으므로, 450V급과 1000V급 충전기가 각기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여 500V이하급 충전기와 1500V이하급 충전기로 구분하였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divided into a DC charger and an AC charger, and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output power. Even with the same maximum output power, the output voltage and output current specifications may be different. In [Table 1], since the output voltage specification may be different even with the same maximum output power specification, it is divided into a 500V or less charger and a 1500V or less charger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ence of 450V class and 1000V class chargers, respectively.

직류 충전기의 경우, 우선적으로 최대 출력전력을 기준으로 클래스 A / B / C / D / E로 구분하며([표 1]), 교류 충전기의 경우에는 클래스 J / K / M / N으로 구분하였다([표 2]).In the case of DC charger, it is first classified into class A / B / C / D / E based on the maximum output power ([Table 1]), and in the case of AC charger, it is divided into class J / K / M / N ( [Table 2]).

동일한 최대 출력전력을 지니더라도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 사양이 상이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표 1]에서는 최대 출력전압을 기준으로 해당 클래스에서 1과 2로 구분한다. 예를 들면 최대 출력전력 150kW인 직류급속충전기는 클래스 C에 해당되며, 해당 충전기의 최대 출력전압이 850V라고 한다면 보다 세분화된 클래스 C2로 구분한다.Considering that the output voltage and output current specifications may be different even if they have the same maximum output power, [Table 1] divides them into 1 and 2 in the relevant class based on the maximum output voltage. For example, a DC fast charger with a maximum output power of 150 kW corresponds to class C, and if the maximum output voltage of the charger is 850 V, it is classified as a more subdivided class C2.

유사한 방식으로 교류 충전기도 클래스 구분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교류충전기는 충전기 입력에 해당하는 계통전압이 출력전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표 2]에서는 출력전압 구분보다 교류전력 인가 방식에 따라 단상 교류인지 3상 교류인지에 따라 세분화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In a similar way, AC chargers can be classified into classes. However, in most AC chargers, the system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harger input is directly related to the output voltage. A subdivision method was adopted depending on whether it was an alternating current or a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따라서 [표 2]를 참조할 때, 어떤 전기자동차 교류 충전기가 출력기준 7.7kW의 최대 출력전력 사양을 지니고 있으며, 220V 단상 교류 전압을 출력한다고 하면, 해당 교류 충전기는 클래스 K, 보다 세분화되게는 클래스 K1에 해당하는 충전기이다.Therefore, referring to [Table 2], if an electric vehicle AC charger has a maximum output power specification of 7.7kW and outputs 220V single-phase AC voltage, the corresponding AC charger is class K, and more specifically, class It is a charger corresponding to K1.

한편, 직류 또는 교류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산출한 후, 충전기가 계통에서 전달받는 전력 대비 전기자동차로 공급하는 충전전력이 얼마나 되는지 [표 3] 또는 [표 4]의 등급을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은 [표 3] 또는 [표 4]를 이용하여 동일한 전력을 전기자동차에 제공하더라도 운용비 측면에서 유리한 충전기인지 아닌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운용등급을 해당 충전기에 부여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a DC or AC charger, it is possible to compare how much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compared to the power the charger receives from the grid based on the ratings in [Table 3] or [Table 4]. have.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able 3] or [Table 4] to provide an operation grade that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harger is advantageous in terms of operating cost even if the same power is provided to the electric vehicle. given to the charg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은 충전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을 기준으로 한 운용등급을 구하고, 충전기의 클래스에 따라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준으로 한 운용등급을 구한 후, 두 운용등급 중 더 낮은 운용등급을 해당 충전기의 운용등급으로 판정하는 절차로 이루어진다. 두 운용등급 중 더 낮은 운용등급을 해당 충전기의 운용등급으로 판정하는 것은, 충전기가 최소한의 충전기 운용등급 요구를 만족하는지 판단하기 용이하기 때문이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합리적이고, 이해하기 쉽고,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 및 [표 3]을 이용하여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방법을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최대 출력 100kW, 최대 전압 450V인 직류 충전기를 대상으로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경우, [표 1]을 적용하는 경우 해당 충전기는 클래스 B(그 중에서 B1)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시험 결과 해당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이 15W이고, 최대 출력에서 충전전력 전달효율이 99.86%로 산출되었다면, [표 3]을 적용하는 경우 해당 충전기는 대기 상태 소모 전력을 기준으로 할 때 운용등급 2등급에 해당하고,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준으로 할 때 클래스 B에 대한 등급 구분에 따를 때 3등급에 해당한다. 최종적으로 해당 충전기에 부여되는 등급은 두 운용등급 중 더 낮은 등급인 3등급이다. 따라서 해당 충전기는 3등급 충전기로 판정한다. 한편, 교류 충전기에 대해서는 [표 2]와 [표 4]를 적용하여 직류 충전기에 대한 예시와 같은 방식으로 판정한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grade of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an operating grade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of the charger, and after obtaining an operating grade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lass of the charger, two operating grades It consists of a procedure to determine the lower operating level of the charger as the operating level of the charger. Determining the lower of the two operating grades as the operating grade of the charger is because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ger meets the minimum charger operating grade requirements, and it is reasonable, easy to understand, and reliabl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Because. [Table 1] and [Table 3] are used to describ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by way of example. For example, when judging the operating grade for a DC charger with a maximum output of 100kW and a maximum voltage of 450V, when [Table 1] is a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charger corresponds to class B (B1 among them). As a result of the test, if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is 15W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t the maximum output is calculated to be 99.86%, when [Table 3] is applied, the charger is operating class 2 based on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It corresponds to a grade, and it corresponds to a grade 3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or class B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Finally, the grade given to the charger is grade 3, which is the lower of the two operating grades. Therefore, the charger is judged as a class 3 charger. Meanwhile, for the AC charger, [Table 2] and [Table 4] are applied to determine the DC charg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xample.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운용등급은 1등급이 가장 높고 5등이 가장 낮은 등급으로, 낮은 등급일수록 전력계통에서 공급받은 전력 중 전기자동차로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내부에서 사용되거나 손실되는 전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As for the operation gra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e first grade is the highest and the fifth grade is the lowest, and the lower the grade, the smaller the amount of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 vehicle amo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ystem. This is because the power used or lost insid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relatively large.

따라서 동일 클래스의 충전기에 대해 운용등급을 비교하면 어떤 충전기가 더 우수한 운용 효율성을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다.Therefore, by comparing the operating grades of chargers of the same class,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charger has better operating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은 전기자동차 충전기 최대출력 조건에서의 전달효율에 따른 등급 기준을 우선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압에 따라 사용되는 전압범위와 출력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전달효율 기준(조건별 전달효율 기준에 따른 운용등급 판정)을 도출하여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에 적용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grade of th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esents the grade standar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n the maximum output cond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e voltage range and the output range used according to the battery voltage of the electric vehicle are actually different. Because it is different,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the transfer efficiency standard (operating grade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delivery efficiency standard for each condition) considering this and apply it to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표 3] 및 [표 4]의 운용등급 구분 테이블에서의 전달효율 값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표 3] 및 [표 4]의 전달효율 값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준으로 등급기준을 판정한다는 기술적 사상에 있다.The transfer efficiency values in the operating grade classification table of [Table 3] and [Table 4]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ransfer efficiency values of [Table 3] and [Table 4].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technical idea of determining the rating standard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이와 더불어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계통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대기 상태에 있거나 전기자동차 충전이 종료된 후 일정시간 이상 대기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과 직접 관련이 없는 전력소모가 발생됨을 고려하여, 대기상태에서의 전력소모량에 따른 운용등급 기준도 [표 3] 및 [표 4]에 반영되어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 a continuous standby state while the system power is supplied or the electric vehicle is in a standby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after charging is finished, power consumption not directly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occurs. The operating grade standards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are also reflected in [Table 3] and [Table 4].

[표 3] 및 [표 4]의 직류 충전기 및 교류 충전기에 대한 충전기 대기 상태 소모전력에 대한 기준값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표 3] 및 [표 4]의 충전기 대기 상태 소모전력 값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전력을 기준으로 등급기준을 판정한다는 기술적 사상에 있다.[Table 3] and [Table 4] the reference value fo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standby state for the DC charger and the AC charger is only an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harger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of [Table 3] and [Table 4] Not limited by value.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technical idea of determining the rating standard based on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전술한 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클래스 구분 및 운용등급 판정 방법과 이를 위한 시험 구성과 함께, 해당 충전기가 특정 전기자동차와 연계되어 충전하는 경우 특정 전기자동차의 경우 어떤 충전기로 충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충전에 따른 실질적인 충전/방전 전기에너지량이 가장 큰지를 비교할 수 있는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 이를 위한 시험 구성 및 상기 판정 방법과 평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측정기이다.As described above, wha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is a method for class classification and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and a test configuration for the same, and when the charger is connected with a particular electric vehicle to charge, which charger for a particular electric vehicle It i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that can compare whether charging is the most efficient and the actual amount of charging/discharging electric energy according to charging is the largest, a test configuration for this, and a power measuring instrument that can perform the above determination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은 S310 단계 내지 S350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평가 방법은 도 5a 또는 도 5b의 시험 구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310 to S350. The evalu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st configuration of FIG. 5A or FIG. 5B .

S310 단계는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이다.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해당 전기자동차가 갖는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충전을 지속한다.Step S310 is a step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Connect the charger to the electric vehicle and start charging. Charging continues until charging is terminated by the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S320 단계는 방전 단계이다. 충전이 종료되면, 냉각수 온도 등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12시간 이상) 차량(전기자동차)을 상온 환경에 방치한다. 이러한 상온 방치 조치는 시험 평가 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S340 단계도 마찬가지임). 이후, 상온조건에서 차량 다이나모미터(dynamometer)를 이용하여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차량에서 방전차단이 이루어질때까지 지속적으로 방전한다. 상기 전비평가패턴에서 '전비(電比)'는 전기자동차의 전력량 대비 주행가능 거리[km/kWh]를 의미한다.Step S320 is a discharging step. When charging is finished, the vehicle (electric vehicle) is left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12 hours or m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such as the coolant temperature. This room temperature leaving action is necessary to make the test evaluation conditions constant (the same is true for step S340). Thereafter, using a vehicle dynamometer at room temperature, the vehicle is continuously discharged according to the pre-evaluation pattern until the discharge is cut off in the vehicle. In the electric power evaluation pattern, 'electric power cost' refers to the driving distance [km/kWh] compared to the electric power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S330 단계는 충전 과정을 통해 충전기 입력전력량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방전이 종료되면,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해 차량을 상온 환경에 방치한다(예를 들어, 12시간 이상 방치함). 이후, 충전기에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충전기 입력측에서 측정한 순간전력[W] 데이터와 충전 중 누적된 충전전력량(충전기 입력전력량)[Wh]을 산출하고 기록(또는 자동 저장)한다.Step S33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through the charging process. When the discharge is finished, the vehicle is left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eg, left for more than 12 hours). After that, connect the electric vehicle to the charger and start charging.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algorithm, the instantaneous power [W] data measured at the charger input side and the accumulated charging power (charger input power) [Wh] are calculated and recorded (or automatically saved) during charging until charging is complete.

S340 단계는 방전 과정을 통해 방전전력량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충전이 종료되면,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해 차량을 상온 환경에 방치한다(예를 들어, 12시간 이상 방치함). 이후, 상온조건에서 차량 다이나모를 이용하여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차량에서 방전차단이 이뤄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방전하면서 배터리 출력측('배터리의 입출력측'을 포함함)의 측정포인트에서 순간전력[W]과 누적된 방전전력량[Wh]을 산출하여 기록(또는 자동 저장)한다.Step S34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through the discharging process. When charging is finished, the vehicle is left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eg, left for more than 12 hours). Thereafter, using the vehicle dynamo at room temperature, the instantaneous power [W] and the instantaneous power [W] and the Calculate and record (or automatically save) the accumulated amount of discharge power [Wh].

S350 단계는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충전율(이하 '연계충전율'로 약칭)을 계산하는 단계이다.Step S35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harging rate (hereinafter abbreviated as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S330 단계에서 측정된 충전기 입력측 전력량과 S340 단계에서 측정된 방전전력량의 비율을 계산하여 충전 성능(연계충전율)을 평가한다. 연계충전율[%]은 (전기자동차 배터리 방전전력량[Wh])/(충전기 입력전력량[Wh])*100의 식으로 구한다. 본 단계에서 계산된 연계충전율을 해당 충전기와 해당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로 정의하고, 결과값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연계충전율은 전력측정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harging performance (linked charging rate) i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amount of power on the input side of the charger measured in step S330 and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measured in step S340. Linkage charge rate [%]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electric vehicle battery discharge power amount [Wh])/(charger input power amount [Wh])*100. The linked charging rate calculated in this step is defined as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orresponding charger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and the result value is stored. For example, the linked charging rat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ower meter 100 .

S360 단계는 연계충전율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만약 동일한 충전기 또는 동일한 전기자동차를 대상으로 과거에 연계충전율 값이 전력측정기(100)에 저장되어 있다면 S360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연계충전율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전력측정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다른 충전기와 해당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을 S350에서 구한 연계충전율과 비교하거나, 이를 통해 평가 대상 충전기와 해당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의 고저를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측정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충전기와 다른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을 S350 단계에서 구한 연계충전율과 비교하여 해당 충전기가 어떤 전기자동차에 더 적합한지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tep S360 is a step of comparing the linked charging rate. If the linked charging rate value has been stored in the power meter 100 in the past for the same charger or the same electric vehicle, the linked charging rate may be compared by additionally performing step S360. That is,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another charg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ower meter 100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is compared with the linked charging rate obtained in S350, or through this, the relative high and low of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to be evaluated can be judged a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same charger and another electric vehic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ower meter 100 with the linked charging rate obtained in step S350,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determine which electric vehicle the corresponding charger is more suitable for. .

도 5a 및 도 5b는 특정 직류 충전기와 특정 전기자동차를 연계하여 충전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시험환경 구성은, ①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거나 ② 충전기와 전기자동차 모사 장치를 연결하여, 충전기와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만을 구하거나 연계충전율과 함께 충전기 운용등급까지 판정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시험환경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할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직류 충전기(21)를 대상으로 시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교류 충전기에 대해서도 직류 충전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 입력측의 충전 및 방전 전력을 측정하여 연계충전율을 산출할 수 있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est configuration for evaluating charging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DC charger and a specific electric vehicle. The configuration of the test environment shown in FIGS. 5A and 5B is, ① by connecting a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or ② by connecting a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simulating device, to obtain only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or up to the charger operation grade with the linked charging rate. It can be used for judgment. That is, the test environment configuration shown in FIGS. 5A and 5B is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or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and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All can be used.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test is performed on the DC charger 21 in FIGS. 5A and 5B , the associated charging rate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nput side in the same manner as the DC charger for the AC charger. .

도 5a는 충전 시 직류 충전기(21)의 출력측에서 전기자동차(36)의 내부회로(37)를 통해 배터리(38)로 연결되는 형태이고, 도 5b는 충전 시 직류 충전기(21)의 출력측에서 내부회로(37)를 거치지 않고 배터리(38)로 연결되는 형태라는 차이가 있다. 상기 차이는 전기자동차에 따라 내부의 전력 전달 경로가 달라지는 것을 반영한 것이고,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5A is a diagram in which the output side of the DC charger 21 is connected to the battery 38 through the internal circuit 37 of the electric vehicle 36 during charging, and FIG.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battery 38 without going through the circuit 37 . The above difference reflects that the internal power transmission path varies depending on the electric vehicle, and other parts are the same.

도 5a 또는 도 5b에서, 전력측정기(100)는 계통(11)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기(21) 입력측의 단자에서 d9(예를 들어, 30cm) 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51 내지 V53), 각 상별 전류를 측정하여(A51 내지 A53) 충전기(21) 입력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00)는 동 시점에 충전기의 출력측에서 d10(예를 들어, 30cm) 이내의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V54), 전기자동차(36)에 공급되는 전체 전류를 측정하여(A54) 충전기(21) 출력전력을 산출한다. 전력측정기(100)는 충전기의 입력측과 출력측에서 측정한 전류와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산출할 수 있으며, 충전 전후의 충전기 대기상태 소모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측정기(100)는 충전기(21)의 입력전력과 출력전력을 누적하여 충전기 입력전력량과 출력전력량을 산출한다. 또한, 전력측정기(100)는 배터리(38) 충전 시나 방전 시에 배터리(38)의 입력측(방전 시에는 출력측) 단자에서 d11(예를 들어, 30cm) 이내의 지점에서 전압(V55)과 전류(A55)를 측정하여 배터리(38)의 충전전력과 방전전력을 산출하고, 각 순간전력을 누적하여 충전전력량과 방전전력량을 산출한다. 전력측정기(100)는 충전기 입력전력량과 배터리(38) 방전전력량을 이용하여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율을 계산한다.5a or 5b,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9 (eg, 30 cm) from the terminal on the input side of the charger 21 receiving power from the system 11 (V51 to V53), by measuring the current for each phase (A51 to A53), the charger 21 input power is calculated.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measures the voltage at a point within d 10 (eg, 30 cm) from the output side of the charger at the same time (V54), and measures the total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36 (A54) ) Calculate the charger 21 output power. The power meter 100 may calculate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by using the current and voltage measured at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charger, and may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of the charger before and after charging. And the power meter 100 accumulates the input power and output power of the charger 21 to calculate the charger input power and output power amount. In addition, the power meter 100 is a voltage (V55) and current (V55) and current ( A55) is measured to calculate the charging power and the dis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38, and by accumulating each instantaneous power, the charging power and the discharging power are calculated. The power meter 100 calculates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e rate using the charger input power amount and the battery 38 discharge power amou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S410 단계 내지 S440 단계를 포함하며, S410 단계 내지 S430 단계의 세부적인 단계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on grade and evaluating a connected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steps S410 to S440, and detailed steps of steps S410 to S4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도 5a 또는 도 5b와 같이 시험 환경을 구성하고, S410 단계부터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은 충전-방전-충전-방전의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 방법이 충전부터 진행되는 것은, 시험 시작 시의 배터리의 상태는 규격화되지 않은 임의의 상태인데, 처음부터 배터리를 방전하는 경우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다이나모미터(dynamometer)를 최소한(2회)으로 가동하면서 연계충전성능 평가 결과와 2회의 충전기의 운용등급 판정 결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방법은 2회의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을 통해 판정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실제 전기자동차를 충전기에 연결하여 시험을 진행함으로써 차량의 충전제어 알고리즘, 기타의 차량 상태가 반영된 등급 판정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시험 구성을 통해 도출된 충전기 운용등급과 비교를 통해 상호 검증할 수 있다는 의미도 가진다.A test environment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5A or FIG. 5B, and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410.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and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in the order of charge-discharge-charge-discharge. The reason that the method proceeds from charging is that the state of the battery at the start of the test is an arbitrary state that is not standardized. will be considered In addition, the method is designed to simultaneously obtain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and the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harger twice while operating the dynamometer at least (two times). The method can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result through two times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method can obtain a grade determination result reflecting the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vehicle and other vehicle conditions by conducting a test by connecting an actual electric vehicle to the charger. It also has the meaning that it can be mutually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perating grade.

S410 단계는 충전기 운용등급 1차 판정 단계이다. 전기자동차를 충전기에 연결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 충전기 소모 전력을 측정(산출)하고, 충전 과정을 통해 충전기의 출력전력 최대값에서의 충전전력 전달효율 값을 구한다. 그리고,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출력전력 최대값에서의 충전기 충전전력 전달효율 값을 기초로 하여 충전기 운용등급을 1차 판정한다.Step S410 is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In the standby state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not connected to the charg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is measured (calculated),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value at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charger is obtained through the charging process. And,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value of the charger at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maximum output power value, the charger operation grade is primarily determined.

S420 단계는 충전기 입력 전력량 계산 및 충전기 운용등급 2차 판정 단계이다. 우선, 차량을 일정 시간 동안 상온 환경에 방치하여 차량 상태를 안정화한다. 충전기가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한다. 차량 상태가 안정화되면, 상온조건에서 차량 다이나모미터를 이용하여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차량에서 방전차단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방전한다. 방전이 종료되면 다시 차량을 차량을 일정 시간 동안 상온 환경에 방치하여 차량 상태를 안정화한 후, 전기자동차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충전기 입력측/출력측과 전기자동차 배터리 입력측에서 전압/전류 측정을 통해 순간전력 데이터와 충전 중 누적된 충전전력량(충전기 입력전력량)을 산출한다. 충전기 입력측/출력측의 순간전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전력이 최대일 때의 충전기 충전전력 전달효율 값을 구한다. 그리고,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출력전력 최대값에서의 충전기 충전전력 전달효율 값을 기초로 하여 충전기 운용등급을 2차 판정한다.Step S420 is a secondary determin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nput power of the charger and the charger operating grade. First, the vehicle is left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Measure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ile the charger is in standby state. When the vehicle state is stabilized, the vehicle continuously discharges until the discharge is cut off according to the pre-evaluation pattern using the vehicle dynamometer at room temperature. When discharging is finished, the vehicle is left in the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and then the voltage/current at the input/output side of the charger and the in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until charging is terminat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algorithm. Through measurement, instantaneous power data and accumulated charging power during charging (charger input power) are calculated. Using the instantaneous power data of the input/output side of the charger,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value of the charger when the output power is maximum is obtained. And,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value of the charger at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maximum output power value, the charger operation grade is determined secondarily.

S430 단계는 배터리 방전전력량과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율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차량을 일정 시간 동안 상온 환경에 방치하여 차량 상태를 안정화한다. 이후, 방전 과정을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방전전력량을 계산한다. S420 단계에서 산출된 충전기 입력전력량과 상기 방전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계충전율을 계산한다. 본 단계에서 계산된 연계충전율을 해당 충전기와 해당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로 정의하고, 결과값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연계충전율은 전력측정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Step S43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and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rate. The vehicle condition is stabilized by leaving the vehicle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after,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calculated through the discharging process. A linked charging rate is calculated using the amount of input power of the charger calculated in step S420 and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The linked charging rate calculated in this step is defined as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orresponding charger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and the result value is stored. For example, the linked charging rat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ower meter 100 .

S440 단계는 연계충전율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만약 동일한 충전기 또는 동일한 전기자동차를 대상으로 과거에 연계충전율 값이 전력측정기(100)에 저장되어 있다면 S440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연계충전율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전력측정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다른 충전기와 해당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을 S430에서 구한 연계충전율과 비교하거나, 이를 통해 평가 대상 충전기와 해당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의 고저를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측정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일한 충전기와 다른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을 S430 단계에서 구한 연계충전율과 비교하여 해당 충전기가 어떤 전기자동차에 더 적합한지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tep S440 is a step of comparing the linked charging rate. If the linked charging rate value has been stored in the power meter 100 in the past for the same charger or the same electric vehicle, the linked charging rate may be compared by additionally performing step S440. That is,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another charger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ower meter 100 is compared with the linked charging rate obtained in S430, or the high and low of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evaluation target charger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is relative can be judged a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same charger and another electric vehic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ower meter 100 with the linked charging rate obtained in step S430,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determine which electric vehicle the corresponding charger is more suitable for. .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7A to 7C are detailed flowcharts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ng grade and evaluating a linked charg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의 S410 단계 내지 S430 단계 각각에 포함되는 세부 단계와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detailed steps and flows included in each of steps S410 to S430 of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grade of the charger and evaluating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

S411 단계는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전기자동차를 충전기에 연결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 충전기 소모 전력을 측정(산출)한다.Step S411 is a step of measur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In the standby state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not connected to the charg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is measured (calculated).

S412 단계는 충전을 통해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충전을 진행하면서 충전기 입력/출력 전력과 배터리 입력 전력을 측정한다. 충전하면서 측정된 충전기 입력전력과 충전기 출력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지속적으로 측정(산출)하고,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 시 측정된 출력전력 최대값에서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한다. 해당 전기자동차가 갖는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충전을 지속한다.Step S412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through charging. Connect the charger to the electric vehicle and start charging. Measure the charger input/output power and battery input power while charging. Using the charger input power and charger output power measured while charg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is continuously measured (calculated),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is calculated at the maximum value of the measured output pow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inues until charging is terminated by the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S413 단계는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단계이다. S411 단계에서 구한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S412 단계에서 구한 출력전력 최대값에서의 충전기 충전전력 전달효율 값을 기초로 하여 충전기 운용등급을 1차 판정한다.Step S413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obtained in step S411 and the charger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value at the maximum output power obtained in step S412, the charger operation grade is first determined.

S421 단계는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는 단계이다. 충전이 종료되면, 냉각수 온도 등의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해 차량을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면, 12시간 이상) 상온 환경에 방치한다. 이러한 상온 방치 조치는 시험 평가 조건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S424 단계 및 S431 단계의 상온 방치 조치 역시 같은 취지임). S421 단계가 종료되면 S423 단계를 진행한다.Step S421 is a step of stabilizing the vehicle state. When charging is finished, the vehicle is left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12 hours or m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such as the coolant temperature. This room temperature leaving action is necessary to make the test evaluation conditions constant (the room temperature leaving action in steps S424 and S431 also has the same effect). When step S421 is finished, step S423 is performed.

S422 단계는 충전기가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S422 단계는 충전 이후나 충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충전기에 부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기 입력측 전압/전류 측정을 통해 대기상태일 때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또는 산출)한다. S422 단계는 S421 단계, S423 단계, S424 단계와 병행하여 진행될 수 있다. S422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S426 단계에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할 때 사용되는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 값은 S411 단계에서 측정된 소모 전력 값이 된다.Step S422 is a step of measuring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ile the charger is in a standby state. Step S422 may be performed after charging or before charging. That is,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is measured (or calculated) in the standby state by measuring the voltage/current at the input side of the charger in a state in which a load is not connected to the charger. Step S422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steps S421, S423, and S424. Step S422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value of the charger used when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in step S426 becomes the power consumption value measured in step S411.

S423 단계는 방전 단계이다. 차량 상태가 안정화되면, 상온조건에서 차량 다이나모미터를 이용하여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차량에서 방전차단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방전한다.Step S423 is a discharging step. When the vehicle state is stabilized, the vehicle continuously discharges until the discharge is cut off according to the pre-evaluation pattern using the vehicle dynamometer at room temperature.

S424 단계는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는 단계이다. 방전이 종료되면,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해 차량을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면, 12시간 이상) 상온 환경에 방치한다.Step S424 is a step for stabilizing the vehicle state. When the discharge is finished, the vehicle is left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2 hours or m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S425 단계는 충전 과정을 통해 충전전력 전달효율 및 충전기 입력전력량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차량 상태가 안정화되면, 전기자동차 충전을 다시 시작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충전기 입력측/출력측과 전기자동차 배터리 입력측에서 전압/전류 측정을 통해 순간전력[W] 데이터와 충전 중 누적된 충전전력량(충전기 입력전력량)[Wh]을 산출하고 기록(또는 자동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충전기 최대 출력 시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구한다.Step S425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nd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through the charging process. When the vehicle's condition is stabilized, the electric vehicle starts charging again. Instantaneous power [W] data and accumulated charging power during charging (charger input power) [Wh] is calculated and recorded (or automatically saved). Based on the data,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t the maximum output of the charger is obtained.

S426 단계는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단계이다. S422 단계에서 구한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S412 단계에서 구한 최대 출력 시 충전기 충전전력 전달효율 값을 기초로 하여 충전기 운용등급을 2차 판정한다. S422 단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생략된 경우는 S411 단계에서 구한 대기상태 소모 전력 값을 등급 판정에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S411 단계에서 구한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S422 단계에서 구한 대기상태 소모 전력의 평균값이나 최대값을 충전기 운용등급 2차 판정 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S411 단계에서 구한 대기상태 소모 전력값을 2차 판정 시에 그대로 이용하면서, S422 단계에서 구한 대기상태 소모 전력값을 참고값으로만 활용할 수도 있다.Step S426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obtained in step S422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value of the charger at the maximum output obtained in step S412, the charger operation grade is secondarily determined. When step S422 is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value obtained in step S411 is used for rating determina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average value or the maximum value of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obtained in step S411 and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obtained in step S422 may be used in the second determination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In addition, whil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value obtained in step S411 is used as it is in the second determination,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value obtained in step S422 may be used only as a reference value.

S431 단계는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는 단계이다. 충전이 종료되면, 차량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해 차량을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면, 12시간 이상) 상온 환경에 방치한다.Step S431 is a step for stabilizing the vehicle state. When charging is finished, the vehicle is left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12 hours or m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vehicle state.

S432 단계는 방전 과정을 통해 방전전력량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상온조건에서 차량 다이나모미터를 이용하여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차량에서 방전차단이 이뤄질때까지 지속적으로 방전하면서 전기자동차 배터리 입력측에서 전압/전류 측정을 통해 순간전력[W] 데이터와 방전 중 누적된 방전전력량(Wh)를 산출하고 기록(또는 자동 저장)한다.Step S432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through the discharging process. At room temperature, using the vehicle dynamometer, the vehicle continuously discharges according to the pre-evaluation pattern until the discharge is cut off. Calculate (Wh) and record (or automatically store).

S433 단계는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충전율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S425 단계에서 산출된 충전기 입력전력량과 S432 단계에서 측정된 방전전력량을 이용하여 연계충전율을 계산한다. 연계충전율[%]은 (전기자동차 배터리 방전전력량[Wh])/(충전기 입력전력량[Wh])*100의 식으로 구한다. 본 단계에서 계산된 연계충전율을 해당 충전기와 해당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로 정의하고, 결과값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연계충전율은 전력측정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Step S433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The connected charging rate is calculated using the amount of input power of the charger calculated in step S425 and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measured in step S432. Linkage charge rate [%]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electric vehicle battery discharge power amount [Wh])/(charger input power amount [Wh])*100. The linked charging rate calculated in this step is defined as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orresponding charger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vehicle, and the result value is stored. For example, the linked charging rat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of the power meter 100 .

S433 단계 이후 S440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S440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다.After step S433, step S440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Step S440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or hardware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may perform predetermined roles.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each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us, as an example, a componen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 It include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or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f the flowchart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iagram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not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It creates a means to perform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mory or using a computer, which may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thereby enabling the computer to use the computer or to be computer readab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the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are actually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blocks are sometime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term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or ASIC, and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전술한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 및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흐름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method, charger-electric vehicl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nd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and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presented in the drawings. For simplicity, the method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a series of blocks,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blocks, and some blocks may occur with other blocks in a different order or at the same time as shown and described herein. Also, various other branches, flow paths, and orders of blocks may be implemented that achieve the same or similar result. Also, not all illustrated blocks may be required for implementation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claims.

11: 계통 또는 배전함
21: 직류 충전기
22: 3상-3상 교류 충전기
23: 3상-단상 교류 충전기
24: 단상-단상 교류 충전기
31: 부하(전자부하)
32: 버퍼용 배터리
33: 부하(AC 부하)
34: 부하(AC 부하)
35: 부하(AC 부하)
100: 전력측정기
110: 측정부
120: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부
130: 연계충전성능 평가부
140: 저장부
11: grid or distribution box
21: DC charger
22: three-phase three-phase AC charger
23: 3-phase-single-phase AC charger
24: single-phase to single-phase AC charger
31: load (electronic load)
32: battery for buffer
33: load (AC load)
34: load (AC load)
35: load (AC load)
100: power meter
110: measurement unit
120: Charger operating class determination unit
130: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140: storage

Claims (10)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대기상태일 때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충전 이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
상기 충전기와 부하를 연결하여 충전을 개시하며, 상기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력이 최대일 때의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율인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계산하는 단계;
충전 종료 후 상기 충전기가 대기상태일 때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충전 이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 및
상기 충전기의 최대 출력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기의 클래스를 구분하고, 상기 클래스를 기준으로, 상기 '충전 이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 및 상기 '충전 이후 대기상태 소모전력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의 평균값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알고리즘을 모사하는 것
인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
'Standby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before charging' of measur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in the standby state;
connecting the charger and the load to start charging, and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which is the ratio of the output power to the input power of the charger when the output power of the charger is maximum in the charging process;
'Standby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after charging' of measur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when the charger is in a standby state after charging is finished; and
Classifying the class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charger, and based on the class, measured in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before charging' and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tep after charging', the determining a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and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including,
The load is
Replicating the charging algorithm of an electric vehicl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ng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직류 충전기이고,
상기 부하는 상기 충전 과정에서 정전압 모드와 정전류 모드 중 어느 것으로도 동작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er is a DC charger,
The load may operate in either a constant voltage mode or a constant current mode during the charging process,
How to determine the operating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교류 충전기이고,
상기 부하는 상기 충전 과정에서 정저항 모드와 정전류 모드 중 어느 것으로도 동작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er is an AC charger,
The load can operate in any of a constant resistance mode and a constant current mode during the charging process,
How to determine the operating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판단한 충전기 운용등급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준으로 판단한 충전기 운용등급 중 하위의 운용등급을 상기 충전기의 최종적인 운용등급으로 판정하는 것
인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ng grade,
Determining the lower operating grade among the charger operating grade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power consumed in the charger and the charger operating grad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s the final operating grade of the charge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ng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상기 전기자동차가 갖는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를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안정화하고, 소정의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에서 방전을 차단할 때까지 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기에 상기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충전을 개시하며, 충전기 입력측에서 측정한 순간전력을 누적하여 충전기 입력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를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상태를 안정화하고, 소정의 전비평가패턴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에서 방전을 차단할 때까지 방전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방전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전전력량과 상기 충전기 입력전력량의 비율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율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
connecting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until charging is terminated by a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leaving the electric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tabilize the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evaluation pattern until the electric vehicle stops discharging;
connect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charger, starting charging, and accumulating the instantaneous power measured at the input side of the charg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leaving the electric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stabilize the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dis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e-evaluation pattern until the electric vehicle stops discharging,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calculating a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rate, which is a ratio of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and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A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comprising a.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한 후,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산출한 후, 상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1차 판정 단계;
상기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을 다시 측정하고, 상기 충전기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한 후,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통하여 충전기 입력전력량을 계산하며, 상기 충전기의 출력전력 최대값에서의 충전기의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다시 산출한 후, 상기 다시 측정된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다시 산출된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입력전력량 계산 및 충전기 운용등급 2차 판정 단계;
상기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방전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방전전력량과 상기 충전기 입력전력량의 비율을 구하여 상기 충전기와 상기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을 계산하는 방전전력량 및 연계충전율 계산 단계; 및
상기 전기자동차와 다른 전기자동차와 상기 충전기 간의 연계충전율과 상기 충전기와 상기 전기자동차 간의 연계충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충전기의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
After measuring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ing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and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charger through the process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Charger operation grade primar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grade of the charger based o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Measur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er again, connect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calculate the amount of input power to the charger through the process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After calculating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again, the charger input power amount calculation and charger operation class secondary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grade of the charger based on the re-measured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re-calculated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
Calculating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dis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and the input power of the charger to calculate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step; and
determining suitability of the charger for the electric vehicle by comparing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other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er with the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th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ng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performance, inclu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운용등급 1차 판정 단계 및 상기 충전기 입력전력량 계산 및 충전기 운용등급 2차 판정 단계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되는 것
인 전기자동차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and the calculation of the charger input power amount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the charger operation grade,
Charging of the battery proceeds according to the charging control algorithm of the electric vehicle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grad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ng the charger-electric vehicle linkage charging performance.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 입력전력, 출력전력을 산출하는 측정부; 및
상기 충전기의 최대 출력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기의 클래스를 구분하고, 상기 최대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율을 계산하여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구하고, 상기 클래스를 기준으로, 상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부
를 포함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을 위한 전력측정기.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alculating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input power, and output power of the charger by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and
Classifying the class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charger,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maximum output power and the input power to obtai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based on the class,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Charger operation grade judgment unit that judges the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A power meter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class of the charger, including.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입력측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출력측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의 입력전력량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전력량을 산출하는 측정부;
상기 입력전력량과 상기 방전전력량을 기초로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 충전율을 산출하는 연계충전성능 평가부; 및
상기 연계충전성능 평가부에서 산출한 연계 충전율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계충전성능 평가부는,
상기 저장된 상기 충전기의 연계 충전율을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각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계충전율을 비교 평가하는 것
인 충전기-전기자동차 연계충전성능 평가를 위한 전력측정기.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in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out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input power of the charger and the amount of discharge power of the battery by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a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for calculating a linked charging rate between a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amount of input power and the amount of discharging power;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inked charging rate calculated by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including,
The linked charging performance evaluation unit,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linked charging rate for each electric vehicle of the charger based on the stored linked charging rate of the charger
A power meter for evaluation of charging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in-charger-electric vehicles.
전기자동차 충전기 및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각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의 대기상태 소모 전력, 입력전력, 출력전력, 입력전력량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전력량을 산출하는 측정부;
상기 충전기의 최대 출력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기의 클래스를 구분하고, 상기 최대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율을 계산하여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구하고, 상기 클래스를 기준으로, 상기 대기상태 소모 전력과 상기 충전전력 전달효율을 기초로 충전기 운용등급을 판정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부; 및
상기 입력전력량과 상기 방전전력량을 기초로 충전기-전기자동차 간 연계 충전율을 산출하는 연계충전성능 평가부;를 포함하는
충전기 운용등급 판정 및 연계충전성능 평가를 위한 전력측정기.
Measur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input side and output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voltage and current,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of the charger, input power, output power, input power amount and the battery a measuring unit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discharge power of
Classifying the class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charger,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maximum output power and the input power to obtain the charging power transfer efficiency, based on the class, the standby state consumption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Charger operation gra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charger operation grade based on th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Including;
A power meter for the evaluation of charger operation grade and the evaluation of connected charging performance.
KR1020210137562A 2021-10-15 2021-10-15 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KR1024601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562A KR102460177B1 (en) 2021-10-15 2021-10-15 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562A KR102460177B1 (en) 2021-10-15 2021-10-15 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177B1 true KR102460177B1 (en) 2022-10-28
KR102460177B9 KR102460177B9 (en) 2023-03-23

Family

ID=8383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562A KR102460177B1 (en) 2021-10-15 2021-10-15 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1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2968A (en) * 2023-07-04 2023-08-01 深圳市菲尼基科技有限公司 Charging power distribu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battery changing cabine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425A (en) * 2004-11-19 2006-05-24 대우전자부품(주) Portable test device for battery charger
WO2013128987A1 (en) * 2012-03-01 2013-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charger
KR102165362B1 (en) * 2019-07-31 2020-10-14 (주)비엠일렉텍 Charger test system
KR20210048823A (en) * 2019-10-24 2021-05-04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An inspection apparatus EV charger
KR20210068164A (en) * 2019-11-29 2021-06-09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electric vehicle charg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425A (en) * 2004-11-19 2006-05-24 대우전자부품(주) Portable test device for battery charger
WO2013128987A1 (en) * 2012-03-01 2013-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charger
KR102165362B1 (en) * 2019-07-31 2020-10-14 (주)비엠일렉텍 Charger test system
KR20210048823A (en) * 2019-10-24 2021-05-04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An inspection apparatus EV charger
KR20210068164A (en) * 2019-11-29 2021-06-09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electric vehicle charg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2968A (en) * 2023-07-04 2023-08-01 深圳市菲尼基科技有限公司 Charging power distribu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battery changing cabinet and storage medium
CN116512968B (en) * 2023-07-04 2023-09-08 深圳市菲尼基科技有限公司 Charging power distribu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battery changing cabine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177B9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3934B2 (en) A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the state of charge or the depth of discharge of a battery, and a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the soundness of a battery.
Li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study of energy management strategy and economic analysis for a range-extended electric bus
US10393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state of battery
CN106451592B (en) The control method of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control equipment of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electric vehicle
US9608443B2 (en) Energy storage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quipped with batter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1917038B (en) Charge balancing control method of power battery pack
US9759776B2 (en) Battery cell state-of-health estimation method
CN10346006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state-of-health of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CN104852435A (en) Electric automobile serial lithium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6154176A (en) Battery SOC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10435480A (en) The determination method, apparatus and vehicle of remaining mileage
CN103728566A (en) Method for correcting SOC based on different temperature and rate charging curves
Rubenbauer et al. Definitions and reference values for battery systems in electrical power grids
KR102460177B1 (en) Method of grading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valuation method of charging performance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N112858924B (en) Power battery remaining energy estimation metho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CN204597578U (en) A kind of serial lithium battery management system used for electric vehicle
CN204712888U (en) A kind of batteries of electric automobile group control module
Xia et al. A simple and upgradable autonomous battery aging evaluation and test system with capacity fading and AC impedance spectroscopy measurement
CN109660013A (en) The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nd device of charging pile detection device
KR102020044B1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ximum capacity charging in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CN103515658A (en) Rechargeable battery unit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
US20160097816A1 (en) Estimation Method for State of Charge of Lithium Iron Phosphate Power Battery Packs
CN113690909A (en) Power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for three-phase charging pile
KR101491460B1 (en) Active cell balancing method of battery and system thereof
CN114117728A (en) Method for selecting type of rated capacity of valve-regulated lead-acid storage battery of commerc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