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933B1 - Filtration system for water pipe maintenance - Google Patents
Filtration system for water pipe mainten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933B1 KR102459933B1 KR1020210051853A KR20210051853A KR102459933B1 KR 102459933 B1 KR102459933 B1 KR 102459933B1 KR 1020210051853 A KR1020210051853 A KR 1020210051853A KR 20210051853 A KR20210051853 A KR 20210051853A KR 102459933 B1 KR102459933 B1 KR 1024599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ater supply
- water
- filter media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01D29/0027—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에 있어서, 세척된 상수도관에서 상수도의 통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의 통수시 상기 상수도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상수도관 여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상수도관의 일부가 밸브를 통해 폐쇄될 때,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 상수도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상수도가 구획지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획지게 유입되는 상수도가 여과될 여과공간을 마련하는 챔버;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공간에서 상기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를 상기 상수도관으로 유출시키는 처리수배출관;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체적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여재압축튜브;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수도가 상기 처리수배출관으로 유출되기 전에 저밀도인 제1 상태에서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섬유볼여재; 및 상기 여재압축튜브와 상기 섬유볼여재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여재압축튜브가 팽창될 때 상기 여재압축튜브에 의해 상기 섬유볼여재를 일방향으로 압축하는 여재압축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before passing water in the washed water pip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when passing the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water supply pipe filtering device, when a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losed through a valve,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introduced; a chamber having a partition for allowing the water supply moving along the inlet pipe to move in a partitioned manner, and providing a filtr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is filtered; 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are filtered in the filtration space to the water supply pipe; a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expands or contracts according to the volume of air inj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one or more air injection units; a fiber ball filter medium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of the water supply in a low-density first state before the water supply is discharged in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and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compresses the fiber ball filter media in one direction by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when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is expanded. plate; may inclu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된 상수도관에서 상수도의 통수시 발생되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generated when water is passed through a washed water supply pipe.
일반적으로 정수장에서 생산된 상수도(수돗물)을 주택, 아파트, 빌딩, 공장 등에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상수도관은 특성상 장기간 사용되고, 지하에 매설되어 유지관리가 어렵다.In general, water supply pipes installed to supply water (tap water) produced at water purification plants to houses, apartments, buildings, factories, etc.
종래의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될수록 노후화로 인해 내부가 부식하여 녹 발생 또는 도막이 탈락되거나, 이러한 각종 이물질이 침착되어 유출될 수 있으며 상수도관의 파손 등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수도가 오염될 위험성을 초래하게 되는 가능성을 항상 가지고 있었다.Conventional water pipes may rust due to aging over time and cause rust or paint films to fall out, or these various foreign substances may be deposited and flowed out. has always had the potential to lead to
이에, 종래의 상수도관은 상수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수도 관망시설 유지관리를 위해 노후관 갱생 및 교체, 주기적인 관세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수도 관망시설 유지관리(관세척 등) 행위 후 상수도의 통수시 상수도관에 설치된 밸브의 조작 등 유속의 변화로 인해 기존 상수도관 내 스케일의 재부상 등으로 인해 수용가에 유입되는 상수도에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식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pipe, old pipe regeneration and replacement, and periodic customs cleaning are perform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water supply. However, due to changes in the flow rate, such as operation of a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when water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facility maintenance (pipe washing, etc.) A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ubstance may be includ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hibit a function as drinking wat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된 상수도관에서 상수도의 통수시 상수도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when passing water in the washed water supply pipe. .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부유물질의 여과를 통해 식수로서 사용 가능한 상수도가 수용가에 유입되도록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that allows tap water usable as drinking water to flow into a consumer through fil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ap water.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에 있어서, 세척된 상수도관에서 상수도의 통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상수도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의 통수시 상기 상수도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상수도관 여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상수도관의 일부가 밸브를 통해 폐쇄될 때,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 상수도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상수도가 구획지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획지게 유입되는 상수도가 여과될 여과공간을 마련하는 챔버;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공간에서 상기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를 상기 상수도관으로 유출시키는 처리수배출관;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체적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여재압축튜브;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수도가 상기 처리수배출관으로 유출되기 전에 저밀도인 제1 상태에서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섬유볼여재; 및 상기 여재압축튜브와 상기 섬유볼여재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여재압축튜브가 팽창될 때 상기 여재압축튜브에 의해 상기 섬유볼여재를 일방향으로 압축하는 여재압축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which i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before passing water in the washed water pipe,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when passing the water supply, and Including; a water supply pipe filtering device for filtering suspended substances, the water supply pipe filtering device, when a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losed through a valve, the inflow into which the water supply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introduced coffin; a chamber having a partition for allowing the water supply moving along the inlet pipe to move in a partitioned manner, and providing a filtr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is filtered; 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are filtered in the filtration space to the water supply pipe; a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expands or contracts according to the volume of air inj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one or more air injection units; a fiber ball filter medium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of the water supply in a low-density first state before the water supply is discharged in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and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compresses the fiber ball filter media in one direction by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when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is expanded. plate; may include.
또한, 상기 섬유볼여재는, 상기 여재압축판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축될 때, 상기 제1 상태보다 고밀도인 제2 상태에서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ber ball filter media is compressed in one direction by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plate, it is possibl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in the tap water in a second state having a higher density than the first state.
그리고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수도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상기 배수본관과 연통되어 상기 배수본관을 따라 배수되는 상수도가 수용가에 급수되도록 하는 소블록 급수관의 관세척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And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is a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main drainage pipe and/or the drainage main pipe, so that the water supply drained along the drainage main pipe is supplied to the customer 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은, 상기 배수본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 중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기준으로, 상기 배수본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면서 폐쇄되는 다른 하나의 밸브까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drain main pipe may be up to another valve that is closed while being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drain main pipe, based on at least one closed valve among the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the drain main pipe. have.
그리고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상대적으로 후단에 설치되는 밸브의 폐쇄를 통해 상기 배수본관을 따라 배수되는 상수도가 상기 유입관에 유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And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through the closing of the valve installed at the relatively rear end with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drain main pipe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water supply drained along the main drain pipe flows into the inlet pipe. .
또한, 상기 소블록 급수관의 관세척 구간은, 상기 소블록 급수관과 상기 배수본관의 연통지점으로부터 상기 소블록 급수관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 중 상기 연통지점과 가장 근접하면서 폐쇄되는 밸브까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may be from a communication point between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and the main drainage pipe to a valve that is closed while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point among a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그리고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밸브의 폐쇄를 통해 상기 소블록 급수관을 따라 급수되는 상수도가 상기 유입관에 유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And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water supply supplied along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through the closing of the valve flows into the inlet pipe.
또한,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상수도의 통수 전에 상기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상기 소블록 급수관의 관세척 구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설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된 후에 상기 배수본관 및/또는 상기 소블록 급수관으로부터 철거 후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is install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drain main pipe and/or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before passing the water supply, and after the preset time has elapsed, the drainage It may be reusable after removal from the main building and/or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은 세척된 상수도관의 통수시 상수도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 상수도가 수용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when passing through the washed water supply pipe,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supply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consumer.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 여과장치의 철거 후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관세척 구간에 상수도관 여과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used after the removal of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so that the user can install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desired by the use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3은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 여과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섬유볼여재가 제1 상태인 A-부분에 대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섬유볼여재가 제2 상태인 A-부분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재압축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재압축튜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재압축판과 여재압축튜브의 부분확대
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여과필터의 부분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plan cross-sectional views of a water supply pip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main drainage pipe.
FIG. 4A is a view of part A of the fiber ball filter shown in FIG. 2 in a first state.
FIG. 4B is a view of part A of the fiber ball filter shown in FIG. 2 in a second stat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direction shown in FIG. 3 .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dia compress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filter media compression plate and a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o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shown in FIG. 8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shown in FIG. 8 .
11 is a state diagram of a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direction shown in FIG. 11 .
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iltering filter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의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은 세척된 상수도관에서 상수도의 통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수도관에 설치되고, 상수도의 통수시 상수도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부유물질(Suspended solid, SS)을 여과하는 상수도관 여과장치(1)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water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before passing the water in the washed water pipe,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olids (Suspended solid, SS) is provided with a water pipe filtration device (1) for filtering.
이때, 상수도관이라 함은 강물이나 지하수를 여과하여 식수로서 사용 가능한 상수도를 생산하는 정수장(200), 고지대로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시설이 구비된 가압장(210), 상기 가압장(210)으로부터 공급받은 상수도를 임시 저장하는 배수지(220) 및 상기 배수지(200)로부터 배수된 상수도를 식수로서 사용하는 수용가(300)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배수본관(2) 및 상기 배수본관(2)과 연통되어 배수본관(2)을 따라 배수되는 상수도가 수용가(300)에 급수되도록 하는 소블록 급수관(3)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pipe refers to the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상수도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상수도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에 설치된다.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1) is installed 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drainage main pipe (2) and/or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3) where the water supply is drained in order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
즉,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또는 소블록 급수관(3)에 설치되거나,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및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에 동시 설치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1) is installed in the custom washing section or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3) of the main drainage pipe (2), or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drainage main pipe (2) and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3). 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in the section.
이러한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 상수도가 수용가(3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water supply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은 배수본관(2)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 중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기준으로, 배수본관(2)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면서 폐쇄되는 다른 하나의 밸브까지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례로,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은 배수본관(2)의 일부를 폐쇄하는 밸브(2a)를 기준으로, 배수본관(2)의 후단에 설치되면서 폐쇄되는 밸브(2b)까지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drain main pipe (2) is closed while being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drain main pipe (2) based on at least one closed valve among a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the drain main pipe (2) up to another valve. As a specific example,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drain main pipe (2) is based on the valve (2a) that closes a part of the drain main pipe (2), up to the valve (2b) that is closed while being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drain main pipe (2) can
도 2 내지 도 3은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 여과장치의 평단면도이다.2 to 3 are plan sectional views of a water supply pip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drain main pipe.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가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설치되는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상대적으로 후단에 설치되는 밸브의 폐쇄를 통해 배수본관(2)을 따라 배수되는 상수도가 유입관(20)에 유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b)의 폐쇄를 통해 배수본관(2)을 따라 배수되는 상수도가 유입관(20)에 유입되도록,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유입관(20)이 밸브(2b)의 전단에 배치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o describe in more detail the location where the water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은 소블록 급수관(3)과 배수본관(2)의 연통지점으로부터 소블록 급수관(3)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 중 상기 연통지점과 가장 근접하면서 폐쇄되는 밸브까지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례로,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은 배수본관(2)과 소블록 급수관(3)의 연통지점으로부터 소블록 급수관(3)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 중 상기 연통지점과 가장 근접하면서 폐쇄되는 소블록 급수관(3)의 밸브(3a)까지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small block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가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설치되는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소블록 급수관(3)과 배수본관(2)의 연통지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밸브의 폐쇄를 통해 소블록 급수관(3)을 따라 수용가(300)로 급수되는 상수도가 유입관(20)에 유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밸브(3a)의 폐쇄를 통해 소블록 급수관(3)을 따라 수용가(300)로 급수되는 상수도가 유입관(20)에 유입되도록,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유입관(20)이 밸브(3a)보다 소블록 급수관(3)과 배수본관(2)의 연통지점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o describe in more detail the location where the water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설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된 후에 상기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으로부터 철거 후 재사용된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에 12시간동안 설치되고, 12시간이 경과된 후에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으로부터 철거 후에 다른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또는 소블록 급수관(3)의 관세척 구간에 설치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이하에서는,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가 상수도관 중 하나인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관(20)이 밸브(2b)의 전단에 배치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water pipe filtering device (1) is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the washing section of the drain main pipe (2) which is one of the water pipes, more specifically, the inlet pipe (2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valve (2b)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pipe filtering device (1) based on that.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섬유볼여재가 제1 상태인 A-부분에 대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섬유볼여재가 제2 상태인 A-부분에 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재압축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재압축튜브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재압축판과 여재압축튜브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9은 도 8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A-A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여과필터의 부분확대도이다.FIG. 4A is a view of part A of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shown in FIG. 2 in a first state, FIG. 4B is a view of part A of the fiber ball filter media shown in FIG. 2 in a second state,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shown in FIG. 3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dia compress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filter media compression plate and a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8, and FIG. 10 is part A shown in FIG.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is a state diagram of a filtr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shown in FIG. 11, and FIG. 13 is a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shown in FIG. is an enlarged view.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챔버(10), 유입관(20), 처리수배출관(30), 섬유볼여재(40), 여재압축판(50), 여재압축튜브(60), 제1 밸브(70), 제2 밸브(80), 역세공기유입관(90), 잔류공기 배출부(100) 및 역세수 및 역세공기배출관(110)를 구비한다.2 to 3, the water
챔버(10)는 여과공간(15)을 통해 내, 외벽이 이루어지며, 내부에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 상수도가 구획지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획부(14)가 구비되고, 상수도가 여과될 여과공간(15)을 마련한다.The
구획부(14)는 유입관(20)과 연결되는 유입구(14a)를 통해 내부에 유입되는 상수도가 처리수배출관(30)으로 이동되기 전에 섬유볼여재(40)에서 여과되도록 하기 위해 상수도가 구획지게 이동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배수본관(2) 또는 처리수배출관(30)으로 미처리 상수도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여과공간(15)은 처리수배출관(30), 섬유볼여재(40), 여재압축판(50) 및 여재압축튜브(60)가 배치되면서, 구획부(14)에 의해 구획지게 이동되는 상수도가 섬유볼여재(40)에 의해 여과되는 공간이다.The
한편, 상기 챔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여과공간(15)을 장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하측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지지부(13)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 the
유입관(20)은 배수본관(2)의 일부가 밸브(2b)를 통해 폐쇄될 때, 배수본관(2)을 따라 이동되는 상수도가 유입되며, 유입구(14a)와 연결되어 배수본관(2)으로부터 유입된 상수도를 구획부(14)로 이동시킨다.In the
처리수배출관(30)은 여과공간(15)에 배치되어 섬유볼여재(40)에 의해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를 배수본관(2)으로 유출시킨다.The treated
섬유볼여재(40)는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섬유볼로 이루어지는 필터재이다. 이러한 섬유볼여재(40)는 자체 탄성이 있어 여재압축판(50)에 의해 압축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변화된 후에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The fiber
상기 섬유볼여재(40)의 제1 상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재압축판(50)에 의해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서 제2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섬유볼 간의 간격이 넓거나 큰 저밀도 상태를 의미한다.The first state of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40 is a state that is not compressed by the filter
상기 섬유볼여재(40)의 제2 상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재압축판(50)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축되는 상태로서 제1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섬유볼 간의 간격이 좁거나 작은 고밀도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섬유볼여재(40)의 제2 상태는 제1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입자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까지 여과시킬 수 있다The second state of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40 is a state compressed in one direction by the filter
더 나아가, 상기 섬유볼여재(40)는 구획부(14)와 인접한 여과공간(15)의 일부를 차지하여 구획부(14)로부터 여과공간(15)의 일부로 유입되는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한다.Furthermore,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40 occupies a part of the
상기 섬유볼여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연이 플랜지의 내벽(11a)과 접촉 가능한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중심부가 처리수배출관(30)에 의해 관통됨으로써, 섬유볼여재(40)의 외연으로부터 섬유볼여재(40)의 중심부를 향해 유입되는 상수도가 처리수배출관(30)에 도달하기 전에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40 has a diameter such that the outer edge can contact the
여재압축판(5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공간(15)에서 섬유볼여재(40)와 여재압축튜브(60)의 사이에 배치되며, 여재압축튜브(60)가 공기(62a)의 체적에 따라 팽창될 때, 섬유볼여재(40)를 일방향으로 압축하여 섬유볼여재(4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시킨다.2 to 4, the filter
상기 여재압축판(50)은 여재압축튜브(60)가 팽창되거나 팽창된 상태에서 수축될 때, 처리수배출관(30)을 축으로 여과공간(15) 내에서 이동되기 위해 가이드홀(51)이 형성된다.The filter
상기 여재압축판(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배출관(30)이 관통 가능한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홀(51)이 중심 영역에 형성되어 처리수배출관(30)을 축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여재압축판(50)은 처리수배출관(30)을 축으로 하여 여재압축튜브(60)가 팽창될 때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여재압축튜브(60)가 팽창된 상태에서 수축될 때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filter
상기 여재압축판(50)은 가이드홀(51)과 처리수배출관(30)의 틈으로 미처리 상수도 또는 처리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O링 등의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이와 같이, 상기 여재압축판(50)은 패킹부재를 통해 미처리 상수도 또는 처리수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여과공간(15)을 섬유볼여재(40)가 배치되는 일부와 여재압축튜브(60)가 배치되는 타부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섬유볼여재(40)로부터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는 여과공간(15)의 일부에서 처리수배출관(30)을 따라 배수본관(2)으로 이동되며, 여과공간(15)의 타부에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In this way, the filter
여재압축튜브(6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재압축판(50)에 의해 구획되는 여과공간(15)의 타부에 배치되며, 처리수배출관(30)을 축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62a)의 체적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기위해 가이드홀(61) 및 공기주입부(62)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lter
상기 여재압축튜브(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배출관(30)이 관통 가능한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홀(61)이 여재압축튜브(60)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부(62)가 가이드홀(51)과 동일하게 여재압축튜브(60)의 중심 영역이되, 가이드홀(51)보다는 상대적으로 여재압축튜브(60)의 둘레 영역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주입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기(62a)를 주입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n the filter
공기주입부(62)는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홀(61)을 둘러싸는 형태이되,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공기주입부(62a), 제2 공기주입부(62b), 제3 공기주입부(62c) 및 제4 공기주입부(62d)로 이루질 수 있다.The air injection part 62 has a shape surrounding the
제1, 2, 3, 4 공기주입부(62a, 62b, 62c, 62d)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기주입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기(62a)를 주입받아 여재압축튜브(60)를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상기 공기주입부(62)는 여재압축튜브(60)가 플랜지(11)에 체결(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공기(62a)의 체적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주입 어댑터(620) 및 고정볼트(621)로 이루어진다.The air injection unit 62 is an air injection adapter 620 and fixed to expand or contract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공기주입 어댑터(62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의 관통홈(11b)에 인입되며, 고정볼트(621)는 관통홈(11b)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주입 어댑터(620)의 끝단과 체결됨에 따라, 공기주입 어댑터(620)가 관통홈(11b)에 인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여재압축튜브(60)를 플랜지(11)에 체결시킬 수 있다.The air injection adapter 6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상기 공기주입 어댑터(620) 및 고정볼트(621)가 제1 공기주입부(62a)의 공기주입 어댑터(620a) 및 고정볼트(621a)로 도시되었으나, 나머지 제2, 3, 4 공기주입부(62b, 62c, 62d)도 이와 동일하게 공기주입 어댑터(620) 및 고정볼트(62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FIGS. 8 to 10 , the air injection adapter 620 and the fixing bolt 621 are shown as the
상기 공기주입부(62)는 공기주입장치(미도시)가 PLC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때, 공기주입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기(62a)를 주입받을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62 may receive the
한편, 상기 여재압축튜브(6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의 형상으로 여과공간(15)의 타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제1 밸브(7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0)의 일부에 설치되어 유입관(2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The
상기 제1 밸브(70)는 유입관(20)과 배수본관(2)의 밸브(2b)와 연계되어 유입관(20)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 상수도의 공급방향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제1 밸브(70)는 밸브(2b)가 폐쇄될 때 유입관(20)을 개방하여 상수도를 여과공간(15)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밸브(2b)가 개방될 때 유입관(20)을 폐쇄하여 상수도가 배수본관(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며, 여과공간(15)으로 상수도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한편, 밸브(2b)의 폐쇄 및 제1 밸브(70)의 개방은 상기 밸브(2b)와 다른 배수본관의 밸브(2a) 사이의 일부 영역이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에 의해 통로가 과하게 축소될 때 이루어질 수 있고, 배수본관(2)의 관세척 구간에 상수도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osing of the
상기 제1 밸브(70)는 유입관(20)의 연결 위치에 따라 밸브(2a)와 연계되거나, 도면에 미도시된 다른 배수본관(2)의 밸브(이하에서는 '2c')와 연계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밸브(70)는 유입관(20)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압력계(75)가 설치된다.The
제2 밸브(80)는 처리수배출관(30)의 일부에 설치되어 처리수배출관(3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The
상기 제2 밸브(80)는 밸브(2b)의 후단에 배치되는 미도시된 밸브(2c)와 연계되어 처리수배출관(30)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 처리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제2 밸브(80)는 배수본관(2)의 밸브(2c)가 개방될 때 처리수배출관(30)을 개방하여 처리수를 배수본관(2)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배수본관(2)의 밸브(2c)가 폐쇄될 때 상수도가 처리수배출관(30)으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처리수배출관(30)을 폐쇄시킬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밸브(2b) 및 상기 제2 밸브(80)의 개방은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상수도)를 배수본관(2)으로 유출시킴으로써, 배수본관(2)을 따라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 상수도가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
상기 제2 밸브(80)는 처리수배출관(30)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압력계(85)가 설치된다.The
역세공기유입관(90)은 외부의 역세공기 주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여과공간(15)의 역세를 위한 역세공기를 처리수배출관(30)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The backwash
잔류공기 배출부(100)는 챔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챔버(10)의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residual
역세수 및 역세공기배출관(110)은 챔버(10)를 관통하여 여과공간(15)을 역세한 역세수 및 역세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backwashing water and backwashing
이때, 역세수 및 역세공기는 처리수배출관(30)으로 투입되어 여과공간(15)을 역세한 후에 역세수 및 역세공기배출관(11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backwash water and backwash air are introduced into the treated
한편, 상기 여과공간(15)의 역세 과정에서 제1, 2 밸브(70, 80)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배출관(110)이 아닌 유입관(20) 또는 처리수배출관(30)으로 유출되거나, 역세수 및 역세공기배출관(110)이 아닌 유입관(20) 또는 처리수배출관(30)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관(20)과 처리수배출관(30)을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backwashing process of the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과필터(120)를 더 구비한다.11 to 13 , the water
여과필터(120)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상수도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섬유볼여재(40)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여과필터(120)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상수도의 이동이 발생되는 배수본관(2)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가 수용가(300)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상수도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filing.
1: 상수도관 여과장치, 2: 배수본관,
3: 소블록 급수관, 10: 챔버,
11: 플랜지, 11a: 플랜지 내벽,
11b: 관통홈, 13: 지지부,
14: 구획부, 14a: 유입구,
15: 여과공간, 20: 유입관,
30: 처리수배출관, 40: 섬유볼여재,
50: 여재압축판, 51: 가이드홀,
52: 제1 체결부, 53: 제2 체결부,
53a: 삽입홈, 54: 제3 체결부,
54a: 고정볼트, 54b: 고정너트,
55: 관통홈, 60: 여재압축튜브,
60a: 제1 여재압축튜브, 61: 가이드홀,
62: 공기주입부, 62a: 공기,
70: 제1 밸브, 75: 제1 압력계,
80: 제2 밸브, 85: 제2 압력계,
90: 역세공기유입관, 100: 잔류공기 배출부,
110: 역세수 및 역세공기배출부, 120: 여과필터,
200: 정수장, 210: 가압장,
220: 배수지, 300: 수용가,
620: 공기주입 어댑터, 621: 고정볼트.1: Water pipe filter device, 2: Drain main pipe,
3: small block water pipe, 10: chamber,
11: flange, 11a: flange inner wall,
11b: through groove, 13: support,
14: compartment, 14a: inlet,
15: filtration space, 20: inlet pipe,
30: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40: fiber ball filter media,
50: media compression plate, 51: guide hole,
52: a first fastening part, 53: a second fastening part,
53a: insertion groove, 54: third fastening part,
54a: fixing bolt, 54b: fixing nut,
55: through groove, 60: media compression tube,
60a: first media compression tube, 61: guide hole,
62: air inlet, 62a: air;
70: a first valve, 75: a first pressure gauge;
80: a second valve, 85: a second pressure gauge;
90: backwash air inlet pipe, 100: residual air outlet,
110: backwashing water and backwashing air discharge unit, 120: filtration filter,
200: water purification plant, 210: pressurization plant,
220: water reservoir, 300: consumer,
620: air inlet adapter, 621: fixing bolt.
Claims (8)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상수도관의 일부가 밸브를 통해 폐쇄될 때,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 상수도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상수도가 구획지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획지게 유입되는 상수도가 여과될 여과공간을 마련하는 챔버;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공간에서 상기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여과된 처리수를 상기 상수도관으로 유출시키는 처리수배출관;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체적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여재압축튜브;
상기 여과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수도가 상기 처리수배출관으로 유출되기 전에 저밀도인 제1 상태에서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섬유볼여재; 및
상기 여재압축튜브와 상기 섬유볼여재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배출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여재압축튜브가 팽창될 때 상기 여재압축튜브에 의해 상기 섬유볼여재를 일방향으로 압축하는 여재압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A water pipe filtering devic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before passing the water supply in the washed water supply pip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when passing the water supply pipe; includes,
The water pipe filter device,
When a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is closed through the valve,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introduced;
a chamber having a partition for allowing the water supply moving along the inlet pipe to move in a partitioned manner, and providing a filtr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is filtered;
a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are filtered in the filtration space to the water supply pipe;
a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expands or contracts according to the volume of air inj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one or more air injection units;
a fiber ball filter medium disposed in the filtration space,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of the water supply in a low-density first state before the water supply is discharged in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A filter media compression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and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which is penetrated by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compresses the fiber ball filter media in one direction by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when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tube expands. ; Water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comprising a.
상기 섬유볼여재는,
상기 여재압축판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축될 때, 상기 제1 상태보다 고밀도인 제2 상태에서 상수도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fiber ball filter medium,
When compressed in one direction by the filter media compression plate, the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suspended substances of the water supply in a second state that is higher in density than the first state.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수도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상기 배수본관과 연통되어 상기 배수본관을 따라 배수되는 상수도가 수용가에 급수되도록 하는 소블록 급수관의 관세척 구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pipe filter device,
Waterworks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main drainage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is drained and/or 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main drainage pipe so that the water supply drained along the drainage main pipe is supplied to the consumer.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상기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은,
상기 배수본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 중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기준으로, 상기 배수본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면서 폐쇄되는 다른 하나의 밸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4. The method of claim 3,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main drainage pipe is,
Based on at least one closed valve among the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the drain main pipe, the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valve is closed while being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drain main pipe.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 내에서 상대적으로 후단에 설치되는 밸브의 폐쇄를 통해 상기 배수본관을 따라 배수되는 상수도가 상기 유입관에 유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water pipe filter device,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water supply drained along the drainage main pipe flows into the inlet pipe through the closing of a valve installed at the relatively rear end within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drainage main pipe .
상기 소블록 급수관의 관세척 구간은,
상기 소블록 급수관과 상기 배수본관의 연통지점으로부터 상기 소블록 급수관에 설치된 복수의 밸브 중 상기 연통지점과 가장 근접하면서 폐쇄되는 밸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4. The method of claim 3,
The customs washing section of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is,
A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rom a communication point between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and the main drainage pipe to a valve that is closed while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point among a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밸브의 폐쇄를 통해 상기 소블록 급수관을 따라 급수되는 상수도가 상기 유입관에 유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7. The method of claim 6,
The water pipe filter device,
Water supply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water supply supplied along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through the closing of the valve flows into the inlet pipe.
상기 상수도관 여과장치는,
상기 상수도의 통수 전에 상기 배수본관의 관세척 구간 및/또는 상기 소블록 급수관의 관세척 구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설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상 경과된 후에 상기 배수본관 및/또는 상기 소블록 급수관으로부터 철거 후 재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유지관리 여과시스템.4.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pipe filter device,
It is install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main drainage pipe and/or in the custom washing section of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before passing the water supply,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main drainage pipe and/or the small block water supply pipe Water pipe maintenance filt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used after remov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1853A KR102459933B1 (en) | 2021-04-21 | 2021-04-21 | Filtration system for water pipe mainten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1853A KR102459933B1 (en) | 2021-04-21 | 2021-04-21 | Filtration system for water pipe maintenan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5141A KR20220145141A (en) | 2022-10-28 |
KR102459933B1 true KR102459933B1 (en) | 2022-10-31 |
Family
ID=8380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1853A KR102459933B1 (en) | 2021-04-21 | 2021-04-21 | Filtration system for water pipe mainten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933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352Y1 (en) | 2006-09-28 | 2006-12-11 | 대한기업주식회사 | Waterworks pipe inside cleaning system |
KR101150675B1 (en) | 2011-09-20 | 2012-05-25 | 신지훈 | The constant filtration system which has a backwash-water and the filtration method |
KR101700931B1 (en) | 2015-12-15 | 2017-01-31 | 조성범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 having function of screen and filtering media washing |
KR101817296B1 (en) | 2017-08-11 | 2018-01-10 |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vibration washing |
KR102076940B1 (en) | 2019-08-23 | 2020-02-12 | (주)보선워터텍 |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6967Y1 (en) | 2006-03-08 | 2006-05-22 | 조한식 | Anticontamination ? Anticorrosion Apparatus for Water Pipe |
KR100822863B1 (en) | 2007-09-17 | 2008-04-16 | 김병훈 | Filtering device for waste water |
-
2021
- 2021-04-21 KR KR1020210051853A patent/KR1024599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352Y1 (en) | 2006-09-28 | 2006-12-11 | 대한기업주식회사 | Waterworks pipe inside cleaning system |
KR101150675B1 (en) | 2011-09-20 | 2012-05-25 | 신지훈 | The constant filtration system which has a backwash-water and the filtration method |
KR101700931B1 (en) | 2015-12-15 | 2017-01-31 | 조성범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 having function of screen and filtering media washing |
KR101817296B1 (en) | 2017-08-11 | 2018-01-10 |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vibration washing |
KR102076940B1 (en) | 2019-08-23 | 2020-02-12 | (주)보선워터텍 |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5141A (en) | 2022-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68397A (en) | Gas backwash of pleated filters | |
US5690824A (en) | Septic system screened pump vault | |
EP202925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a high volume flowing liquid | |
EP2397209B1 (en) | Filter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 |
KR2005000476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flowing liquid | |
KR102608983B1 (en) | Rotary filter filtration system with backwash function | |
CN100446835C (en) | Stationary cloth media filtration | |
KR20210001678A (en) | Bucket type strainer | |
KR102459933B1 (en) | Filtration system for water pipe maintenance | |
KR101064635B1 (en) | Filter with self clean funtion | |
US11684876B2 (en) | Self cleaning filter system and method | |
KR200418627Y1 (en) | A filtering apparatus for shower waste water using air | |
KR102625168B1 (en) | Sealed filtration ball valve equipped with a truncated cone-shaped filter net that allows filter cleaning and flow control without pressure loss | |
KR100681715B1 (en) | Upward flow type multi-stage filter apparatus | |
KR101350537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used with multi-fiber layer and the backward wash method thereof | |
KR102249692B1 (en) | Precision filtration device Utilizing fiber balls | |
KR100884825B1 (en) | Water treatment method and the apparatus using horizontal purify | |
AU2014330107B2 (en) |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liquid | |
JP5620199B2 (en) | Filtration device and strainer | |
KR102616060B1 (en) | Uninterrupted water automatic backwash small biological filtration device | |
CN217519310U (en) | High-precision filtering control valve | |
CN218608407U (en) | Low-cost scale inhibition vertical pre-filter | |
KR102403521B1 (en) | Water filter | |
KR200191877Y1 (en) | Filter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 |
KR102438222B1 (en) | Multichannel sampling filte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