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557B1 - 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 Google Patents

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557B1
KR102458557B1 KR1020200023877A KR20200023877A KR102458557B1 KR 102458557 B1 KR102458557 B1 KR 102458557B1 KR 1020200023877 A KR1020200023877 A KR 1020200023877A KR 20200023877 A KR20200023877 A KR 20200023877A KR 102458557 B1 KR102458557 B1 KR 10245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al health
diagnosis
stress
mobile
manage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8804A (en
Inventor
이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러스
Priority to KR102020002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557B1/en
Publication of KR2021010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정신건강관리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method is recorded. it's about

Description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정신건강관리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method is recorded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본 발명은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정신건강관리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method is recorded. it's about

정신질환은 유병률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2016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만 18세부터 만 74세의 성인의 25.4%는 평생 중 한 가지 이상의 정신질환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사회가 되면서 정신건강에 관련된 새로운 건강위험요인이 최근 수년간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감정노동 근로자의 규모는 서비스종사자 75만 명(6.3%), 판매종사자 120만 명(10%)정도로 추산되며 이 중 30%∼60%가 감정노동 근로자로 추정된다.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job stress) 반응인 사회심리학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며 장기적으로 지속이 되었을 때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므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관리 가능한 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Mental illness is a disease with a very high prevalence, and according to the 2016 Epidemiological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t is known that 25.4% of adults aged 18 to 74 will experience at least one mental illness during their lifetime. In particular, new health risk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as the industrial society has become centered on the service industry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approximately 1.2 million sales workers (10%) and 30% to 60% of them are emotional labor workers. Emotional labor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social psychological health level, which is a response to job stress, and when it persists for a long time, it causes stress and negatively affects mental health, so the health level of workers performing emotional labor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stress, it is necessary to suggest alternatives to manage stress.

더욱이, 정신질환을 진단받은 사람 중의 22.2%가 정신건강서비스를 한번 이상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또한 모든 질환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는 모든 질환에서 '나는 정신질환이 없다고 생각했다'가 81.0%로 가장 흔하다. 그러므로 국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인식개선, 정신질환문제가 발생하기 전 정신건강교육을 통한 조기 개입 및 예방 등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Moreover, 22.2% of those diagnosed with mental illness visited mental health services at least once, but it was still low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I thought there was no' was the most common with 81.0%.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ctive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to prevent and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before they occur.

지금까지 국내에서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주로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위험요인, 직무스트레스의 건강영향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즉, 최근 직장인의 정신건강 중재프로그램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 때 개인?? 조직차원에서 스트레스를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일이 개인 및 조직의 정신건강을 지키는 방편이라고 간주하였고 산업보건의 측면에서도 산업안전보건법은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근로자의 정신건강증진에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총체적인 정신건강관리 접근이 부족한 상태이다. Until now, as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workers' mental health has increased in Korea,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 In other words, the recent ment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 for office workers is a personal ?? The majority are programs that manage stres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considered that identifying and managing stress is a way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d in terms of occupational heal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pproaches the promotion of workers' mental health focusing on job stress, so it is a holistic mental health management approach. This is in short supply.

따라서, 정신건강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근로자에게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구체적인 정신건강증진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성이 존재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prevent mental diseases such as depression in advance by providing accur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workers before mental health problems occur so that they can take specific mental health promotion actions.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8-008654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6546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결과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s a result of a number of studi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맞춤형 정신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정신취약 계층을 포함한 사용자가 정신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등 정신건강증진행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인 개인 맞춤형 정신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신건강증진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정신건강관리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m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such as increasing a sense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knowledge of mental health management by users, including the mentally vulnerable, through a custom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gram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can provide effective mental health promotion social services by providing continuous personal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a method for providing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using the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mental health management methods To provide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object of the inven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also be included. .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정신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정신건강 진단모듈; 및 상기 진단된 결과를 근거로 VLDB(Very Large Database)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겟 검색 및 조회하는 힐링컨텐츠안내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for diagnosing a mental health state by driving a diagnostic program for a mental state including a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 and a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for driving a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that searches for and inquires at least one of the compressed and stored healing content information in the VLDB (Very Large Databas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 service provision system is provid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은 주기적으로 측정된 맥박, 심박변이도 및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신호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더 구동시키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further drives a diagnostic program for biosignals including periodically measured pulse rate,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은 메인 앱 페이지 상에 오픈된 진단 선택버튼 클릭시, 제 1 앱 페이지가 오픈하면서 진단하기 버튼 및 진단결과 보기 버튼을 제공하며, 상기 진단하기 버튼 선택시, 제 2 앱 페이지가 오픈하면서 마음상태 진단하기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마음상태 진단하기 아이콘 선택으로 제 1 비활성화 모드에서 제 1 활성화 모드로 변경될 경우, 기표출된 시작버튼 클릭에 따라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diagnosis selection button opened on the main app page is clicked,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provides a diagnosis button and a diagnosis result view button while the first app page is opened, and when the diagnosis button is selected , the second app page opens and provides an icon for diagnosing a state of mind, and when changing from the first deactivation mode to the first activation mode by selecting the icon for diagnosing the state of mind, the stress factor according to the expressed start button click It runs diagnostics on states of mind, including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음상태 진단프로그램의 구동으로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각기 다른 다수의 질의문이 제 3 앱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질의문과 1:1 매칭되는 다수의 답변이 완료되면 진단 완료됨에 따른 안내멘트, 명언멘트 및 진단결과 보기버튼이 제 4 앱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 plurality of different questions about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provided through a third app page by driving the mental state diagnosis program, When a plurality of answers matching the question and 1:1 matching are completed, a guide, a saying, and a button to view the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diagnosis completion are displayed on the fourth app pag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결과 보기버튼 클릭시, 상기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상기 다수의 답변을 룩업테이블에 대입시켜 상기 다수의 답변에 따라 각기 달리 수치 책정된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개별 수치를 그래프화시키고, 상기 마음상태 진단점수를 제 4 앱 페이지 상단의 최근 진단결과 영역에 호출하여 최근 진단결과 정보를 표출시키며, 최근날짜 선순위대로 리스트화된 각기 다른 다수의 지난 진단결과 정보를 상기 제 4 앱 페이지 하단의 지난 진단결과 영역에 표출시키는 것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view diagnosis result button is clicked, the mental state diagnosis program substitutes the plurality of answers into a lookup table, and the stress factor index and stress level calc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answers. ,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graphed, and the mental state diagnosis score is called in the recent diagnosis result area at the top of the 4th app page to display the late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latest date is listed in order of priority. A plurality of different pa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past diagnosis result area at the bottom of the fourth app pag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근 진단결과 영역 클릭시, 상기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제 5 앱 페이지 상단에 상기 최근 진단결과 정보를 재표출시키고, 상기 제 5 앱 페이지 일부에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대한 개별진단 결과를 색상으로 레벨표시하며, 상기 제 5 앱 페이지 하단에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개별진단 결과를 텍스트로 표출시키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recent diagnosis result area is clicked, the diagnosis program for the mental state re-expresses the late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at the top of the fifth app page, and the stress factor index in a part of the fifth app page; Individual diagnosis results for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displayed in color, and individual diagnosis results for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fifth app page. It is expressed in tex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힐링컨텐츠 제공모듈은 메인 앱 페이지 상에 오픈된 힐링컨텐츠 선택버튼 클릭시,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에 의해 진단된 가장 최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힐링컨텐츠안내 프로그램을 이용해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를 리스트화시켜 화면 제공하며, 상기 다수의 정보 중 선택된 하나 클릭시, 선택된 힐링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세 정보를 화면 제공하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uses the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based on the most recent result diagnosed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when clicking the healing content selection button opened on the main app page. It provides a screen by list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when clicking on one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selected healing content on the screen is provid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는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에 의해 진단된 마음상태 진단점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bout the healing cont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ntal health diagnosis score diagnosed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는 육체적 활동을 좋아하는지 여부, 음악을 좋아하는지 여부, 독서를 좋아하는지 여부, 그림을 좋아하는지 여부, 영상을 좋아하는지 여부 및 관계지향인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bout the healing content includes whether you like physical activity, whether you like music, whether you like reading, whether you like pictures, whether you like images and whether you are relationship-oriented. It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one or more of

또한, 본 발명은 정신건강 진단모듈이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이 상기 마음상태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진단된 결과를 근거로 VLDB(Very Large Database)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겟 검색 및 조회하는 힐링컨텐츠안내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comprising the steps of: driving a diagnostic program for mental states including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covery resilience, and depression; and driving, by 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a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for target search and inquiry of at least one of the compressed and stored healing content information in a VLDB (Very Large Databas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by the mental state diagnosis program; It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including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맞춤형 정신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많은 감정 노동 서비스 근로자, 노인 대상등 정신 취약 계층을 포함한 사용자가 정신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등 정신건강증진행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인 개인 맞춤형 정신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신건강증진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rough a custom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gram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users, including emotional labor service workers with a lot of stress and depression, and ment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elderly subjects, feel self-efficacy based on their knowledge of mental health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m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such as increasing the level of mental health, and to provide effective mental health promotion social services by providing continuous personal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These technic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range mentioned above,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t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also of cours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내 탑재된 다수의 모바일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메인/서브 앱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내 탑재된 다수의 모바일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메인/서브 앱 페이지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내 탑재된 다수의 모바일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메인/서브 앱 페이지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내 탑재된 다수의 모바일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메인/서브 앱 페이지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내 탑재된 다수의 모바일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메인/서브 앱 페이지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내 탑재된 다수의 모바일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메인/서브 앱 페이지를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sub-app page displayed by a plurality of mobile-only programs mounted i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main/sub-app pages displayed by a plurality of mobile-only programs loaded i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main/sub-app page displayed by a plurality of mobile-only programs loaded i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main/sub-app page displayed by a plurality of mobile-only programs loaded i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main/sub-app page displayed by a plurality of mobile-only programs loaded i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main/sub-app page displayed by a plurality of mobile-only programs loaded i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n particular, whe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of degree are used, they may be construed as being used in a sense at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This includes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 is use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reference numbers used to describe the inven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맞춤형 정신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많은 감정 노동 서비스 근로자, 노인 대상 등 정신 취약 계층을 포함한 사용자가 정신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등 정신건강증진행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지속적인 개인 맞춤형 정신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있다.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users, including ment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emotional labor service workers with a lot of stress and depression, and elderly subjects, can feel self-efficacy based on their knowledge of mental health management through a custom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gram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There is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using the system that can increase m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such as increasing the level of mental health, and can provide continuous personaliz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정신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정신건강 진단모듈; 및 상기 진단된 결과를 근거로 VLDB(Very Large Database)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겟 검색 및 조회하는 힐링컨텐츠안내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한다. Therefore, the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for diagnosing mental health conditions by driving a diagnostic program for mental states including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 and a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for driving a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that searches and inquires a target for at least one of the compressed and stored healing content information in a VLDB (Very Large Databas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내 탑재된 다수의 모바일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서로 다른 메인/서브 앱 페이지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different main/sub-app pages respectively displayed by a plurality of mobile-only programs loaded i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100)은 앱 접속을 통해 접근한 사용자의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를 파악해 현재 정신건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신건강상태가 나빠지기 전에 미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다양한 힐링 컨텐츠를 현재 파악된 마음상태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앱 포탈지원 서비스를 상시적으로 늘 제안해 주는 시스템으로, 정신건강 진단 모듈(110) 및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dentifies the state of mind including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the user accessed through the app access to determine the current mental health By providing information so that the state can be accurately understood, we always offer a customized app portal support service that can provide various healing contents for stress relief before the mental health condition deteriorate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mind. As a giving system, it includes a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10 and a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120 .

먼저, 정신건강 진단모듈(110)은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한다.First,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10 drives a diagnostic program related to a state of mind including a stress factor index, a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정신건강 진단 모듈(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앱 페이지 상에 오픈된 마음상태진단 선택버튼(10) 클릭시, 제 1 앱 페이지가 오픈하면서 마음상태 진단하기 버튼(11) 및 진단결과 보기 버튼(12)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하며, 마음상태 진단하기 버튼(11) 선택시, 제 2 앱 페이지가 오픈하면서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세부적인 항목으로 진단할 수도 있도록 각각의 세부항목에 대한 아이콘(11b 내지 11f)은 물론 전체 진단하기 아이콘(11a)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2 ,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10 opens the first app page when the mind state diagnosis selection button 10 opened on the main app page is clicked, and the mental state diagnosis button 11 and diagnosis The result view button 12 is provided as shown in FIG. 3, and when the mental state diagnosis button 11 is selected, the second app page is opened and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displayed. In order to diagnose detailed items, icons 11b to 11f for each detailed item as well as an overall diagnosis icon 11a are provided.

정신건강 진단 모듈(110)은 전체 마음상태진단하기 아이콘(11a)선택으로 제 1 비활성화 모드에서 제 1 활성화 모드로 변경될 경우, 제 2 앱 페이지에 기표출된 시작버튼(11g) 클릭에 따라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When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10 is changed from the first inactive mode to the first active mode by selecting the icon 11a for diagnosing the entire state of mind, stress according to the click of the start button 11g displayed on the second app page It runs diagnostics on state of mind, including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의 구동으로,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각기 다른 다수의 질의문이 제 3 앱 페이지를 통해 예/아니오 형태로 제공되며, 다수의 질의문과 1:1 매칭되는 다수의 답변이 완료되면 진단 완료됨에 따른 안내멘트, 명언멘트 및 진단결과 보기버튼(12)이 제 4 앱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된다.By running the diagnostic program on the state of mind, a number of different questions about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provided in yes/no form through the 3rd app page, When a number of answers matching the question 1:1 are completed, a guide comment, a statement, and a view diagnosis result button 12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iagnosis are displayed on the fourth app pag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결과 보기버튼(12) 클릭시,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다수의 답변을 룩업테이블에 대입시켜 다수의 답변에 따라 각기 달리 수치 책정된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개별 수치를 그래프 화시키고, 전체 마음상태 진단점수를 제 4 앱 페이지 상단의 최근 진단결과 영역(12a)에 호출하여 최근 진단결과 정보를 표출시킨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view diagnosis result button 12 is clicked, the diagnosis program for the state of mind substitutes a plurality of answers into the lookup table, and the stress factor index, the stress level, Individual values related to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graphed, and the overall mental state diagnosis score is called in the recent diagnosis result area (12a) at the top of the fourth app page to display the late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또한, 전체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최근날짜 선순위대로 리스트화된 각기 다른 다수의 지난 진단결과 정보(13)를 제 4 앱 페이지 하단의 지난 진단결과 영역(12b)에 표출시키는 동시에 당시 사용자가 선택했던 힐링컨텐츠 정보를 표출시킨다.In addition, the diagnosis program for the overall state of mind displays a plurality of different pa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13 listed in order of priority by the most recent date in the past diagnosis result area 12b at the bottom of the fourth app page,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selects It displays the healing content information that was don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진단결과 영역(12a) 클릭시, 전체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제 5 앱 페이지 상단에 최근 진단결과 정보를 재표출시키고, 제 5 앱 페이지 일부에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대한 개별진단 결과를 색상으로 레벨 표시하며, 제 5 앱 페이지 하단에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개별진단 결과를 텍스트로 표출시킨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recent diagnosis result area 12a is clicked, the diagnosis program for the overall mental state re-expresses the recen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at the top of the 5th app page, and the stress factor index, Individual diagnosis results for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displayed in color, and individual diagnosis results on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displayed in text at the bottom of the 5th app page. expres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난 진단결과 영역(12b) 클릭시, 전체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최근날짜 선순위대로 리스트화된 각기 다른 다수의 지난 진단결과 정보(13)를 제 6 앱 페이지 상에 보여주며, 달력 검색 아이콘을 제공해 날짜검색에 따라 각기 다른 다수의 지난 진단결과 정보 중 날짜와 1:1 매칭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난 진단결과 정보(13)를 검출하여 보여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 when the last diagnosis result area 12b is clicked, the diagnosis program for the overall state of mind displays a plurality of different pa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13 listed in order of priority by the latest date on the 6th app page. display, and a calendar search icon may be provided to detect and display at least one piece of pa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13 that matches the date 1:1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pa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a date search.

필요한 경우, 정신건강 진단모듈(110)은 주기적으로 측정된 맥박, 심박변이도 및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데이터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더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데이터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 앱 페이지 상에 오픈된 생체신호데이터진단 선택버튼 클릭시, 제 1 앱 페이지가 오픈하면서 사용자가 현재 본인이 알고 있는 맥박, 심박변이도 및 혈압 등을 포함하는 생체신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근거로 과거 사용자의 데이터와 표준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사용자의 신체적 스트레스 상태를 진단하고 정신건강 진단모듈(110)이 마음상태 진단시 참조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If necessar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10 may further drive a diagnosis program for biosignal data including periodically measured pulse rate,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Here, although the diagnostic program for biosignal data is not shown, when the biosignal data diagnosis selection button opened on the main app page is clicked, the first app page is opened and the user currently knows the pulse, heart rate variability, blood pressure, etc. Provides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bio-signal data including, and compares the data of the past user with standard data based on the input data to diagnose the current user's physical stress state, and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10 It can also be implemented to refer to when diagnosing a state of mind.

힐링컨텐츠 제공모듈(120)은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확인된 개별 진단점수 및/또는 개별 진단점수의 평균치인 전체 진단점수로 VLDB(Very Large Database)(130)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겟 검색 및 조회하는 힐링컨텐츠 정보 안내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120 is an individual diagnostic score and/or an average of individual diagnostic scores identified from at least one of a stress factor index, a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s a VLDB (Very Large Database) (130) Drives a healing content information guide program to search and inquir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about the compressed stored healing content in the target.

힐링컨텐츠 제공모듈(120)은 메인 앱 페이지 상에 오픈된 힐링 컨텐츠 선택버튼(20) 클릭시, 정신건강 진단모듈에 의해 진단된 가장 최신 결과를 근거로힐링컨텐츠 안내 프로그램을 이용해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를 리스트화시켜 도 7과 같이 화면 제공하며, 다수의 정보 중 선택된 하나 클릭시, 선택된 힐링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세 정보를 화면 제공한다. 여기서,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는 정신건강 진단모듈(110)에 의해 진단된 마음상태 진단점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육체적 활동을 좋아하는지 여부, 음악을 좋아하는지 여부, 독서를 좋아하는지 여부, 그림을 좋아하는지 여부, 영상을 좋아하는지 여부 및 관계지향인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healing content selection button 20 opened on the main app page is clicked, 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120 is based on the most recent result diagnosed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7, the screen is provided as shown in FIG. 7, and when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is clicked, detailed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selected healing content is provided on the screen. Here, a plurality of information about the healing cont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ntal state diagnosis score diagnosed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10, whether the user likes a preset physical activity, whether he likes music, or reads. I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one or more of whether or not a person likes a picture, whether he likes an image, and whether he or she is relationship-oriented.

필요한 경우, 힐링컨텐츠 안내 프로그램은 다수의 정보 중 선택된 하나 클릭시, VLDB(Very Large Database)(130)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 이외에 웹 상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링크된 각기 다른 힐링컨텐츠 정보에 관한 상세 안내 글을 오픈시킬 수 있다.If necessary, the healing contents guide program collects information on the web in addition to the compressed and stored healing contents in the VLDB (Very Large Database) 130 when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is clicked. can be open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현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현방법은 앱 접속을 통해 접근한 사용자의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파악해 현재 마음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신건강상태가 나빠지게 전에 미리 마음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다양한 힐링컨텐츠 소개 정보 등 정신건강관리에 대한 맞춤형 앱 포탈지원 서비스를 상시 제안해 주는 구현방법이다.Referring to Figure 8,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is to identify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of the user accessed through the app acces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mind. By providing information,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state of mind in advance before the state of mental health deteriorates. is the implementation method.

먼저,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정신건강 진단모듈은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100).First,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of the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drives a diagnostic program for mental states including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S100).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은 상기 마음상태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진단된 결과를 근거로 VLDB(Very Large Database)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겟 검색 및 조회하는 힐링컨텐츠안내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200).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drives a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that searches and inquires at least one of the compressed and stored healing content information in the VLDB (Very Large Database) based on the result diagnosed by the mental state diagnosis program (S200) .

또한,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은 정신건강 진단모듈에 의해 진단된 진단점수에 힐링컨텐츠안내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힐링컨텐츠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힐링컨텐츠를 매칭시켜 등록한다(S300). In addition, 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registers by matching the healing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healing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to the diagnostic score diagnosed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S300).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00 :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110 : 정신건강 진단모듈 120 : 힐링컨텐츠제공모듈
130 : VLDB
100: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10: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120: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130: VLDB

Claims (11)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정신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정신건강 진단모듈; 및
상기 진단된 결과를 근거로 VLDB(Very Large Database)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겟 검색 및 조회하는 힐링컨텐츠안내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을 포함하는데,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은 메인 앱 페이지 상에 오픈된 진단 선택버튼 클릭시, 제 1 앱 페이지가 오픈하면서 진단하기 버튼 및 진단결과 보기 버튼을 제공하며, 상기 진단하기 버튼 선택시, 제 2 앱 페이지가 오픈하면서 마음상태 진단하기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마음상태 진단하기 아이콘 선택으로 제 1 비활성화 모드에서 제 1 활성화 모드로 변경될 경우, 기표출된 시작버튼 클릭에 따라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며,
상기 마음상태 진단프로그램의 구동으로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각기 다른 다수의 질의문이 제 3 앱 페이지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다수의 질의문과 1:1 매칭되는 다수의 답변이 완료되면 진단 완료됨에 따른 안내멘트 및 진단결과 보기버튼이 제 4 앱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진단결과 보기버튼 클릭시, 상기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상기 다수의 답변을 룩업테이블에 대입시켜 상기 다수의 답변에 따라 각기 달리 수치 책정된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개별 수치를 그래프화시키고, 마음상태 진단점수를 제 4 앱 페이지 상단의 최근 진단결과 영역에 호출하여 최근 진단결과 정보를 표출시키며, 최근날짜 선순위대로 리스트화된 각기 다른 다수의 지난 진단결과 정보를 상기 제 4 앱 페이지 하단의 지난 진단결과 영역에 표출시키는 동시에 당시 사용자가 선택했던 힐링컨텐츠 정보를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a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for diagnosing mental health conditions by driving a diagnostic program for mental states including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nd
It includes a;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provides a diagnosis button and a diagnosis result view button while the first app page is opened when the diagnosis selection button opened on the main app page is clicked, and when the diagnosis button is selected, the second app page is opened Provides an icon for diagnosing a state of mind while opening, and when changing from the first inactive mode to the first active mode by selecting the icon for diagnosing the state of mind,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and stress according to the displayed start button click driving diagnostic programs for states of mind including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By driving the mental state diagnosis program, a plurality of different questions about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provided through the third app page, and 1:1 matching with the plurality of questions When a number of answers are completed, a noti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diagnosis and a button to view diagnosis results are displayed on the fourth app page,
When the view diagnosis result button is clicked, the diagnostic program for the state of mind substitutes the plurality of answers into a lookup table, and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calc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answers. and individual figures for depression are graphed, and the mental state diagnosis score is called in the recent diagnosis result area at the top of the fourth app page to display the lates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and a number of different past diagnoses listed in order of priority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ul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last diagnosis result area at the bottom of the fourth app page, and at the same time, the healing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은 주기적으로 측정된 맥박, 심박변이도 및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신호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더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is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drives a diagnostic program for biological signals including periodically measured pulse rate,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 진단결과 영역 클릭시, 상기 마음상태에 관한 진단프로그램은 제 5 앱 페이지 상단에 상기 최근 진단결과 정보를 재표출시키고, 상기 제 5 앱 페이지 일부에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대한 개별진단 결과를 색상으로 레벨표시하며, 상기 제 5 앱 페이지 하단에 상기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에 관한 개별진단 결과를 텍스트로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recent diagnosis result area is clicked, the mental state diagnosis program re-expresses the recent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at the top of the fifth app page, and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Individual diagnosis results for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displayed in color, and individual diagnosis results regarding the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re displayed in text at the bottom of the fifth app page.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컨텐츠 제공모듈은 메인 앱 페이지 상에 오픈된 힐링컨텐츠 선택버튼 클릭시,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에 의해 진단된 가장 최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힐링컨텐츠안내 프로그램을 이용해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를 리스트화시켜 화면 제공하며, 상기 다수의 정보 중 선택된 하나 클릭시, 선택된 힐링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세 정보를 화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7.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6,
When 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clicks the healing content selection button opened on the main app page, 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uses the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based on the most recent result diagnosed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selected healing content when a selected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is clicked on the scree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는 상기 정신건강 진단모듈에 의해 진단된 마음상태 진단점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information about the healing content is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ntal state diagnosis score diagnosed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컨텐츠에 관한 다수의 정보는 육체적 활동을 좋아하는지 여부, 음악을 좋아하는지 여부, 독서를 좋아하는지 여부, 그림을 좋아하는지 여부, 영상을 좋아하는지 여부 및 관계지향인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information about the healing content is given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whether you like physical activity, whether you like music, whether you like reading, whether you like pictures, whether you like images, and whether you are relationship-oriented.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정신건강 진단모듈이 스트레스 요인지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 회복 탄력성 및 우울증을 포함하는 마음상태에 대한 진단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힐링 컨텐츠 제공모듈이 상기 마음상태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진단된 결과를 근거로 VLDB(Very Large Database) 내 압축 저장된 힐링컨텐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겟 검색 및 조회하는 힐링컨텐츠안내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
As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erformed in the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6,
driving, by the mental health diagnosis module, a diagnostic program for mental states including stress factor index, stress level, stress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depression; and
Driving, by the healing content providing module, a healing content guide program for target search and inquiry of at least one of the compressed and stored healing content information in the VLDB (Very Large Databas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by the mental state diagnosis program;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including
제 10 항의 모바일기반 정신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mobile-based mental health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method of claim 10.
KR1020200023877A 2020-02-26 2020-02-26 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KR102458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877A KR102458557B1 (en) 2020-02-26 2020-02-26 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877A KR102458557B1 (en) 2020-02-26 2020-02-26 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804A KR20210108804A (en) 2021-09-03
KR102458557B1 true KR102458557B1 (en) 2022-10-25

Family

ID=7778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877A KR102458557B1 (en) 2020-02-26 2020-02-26 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256A (en) 2021-12-30 2023-07-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on-face-to-face mental care system that can provide differentiated feedback according to emotional sta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579B1 (en) * 2015-02-05 2016-06-29 손명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contents of read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328B1 (en) * 2012-06-22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Psychometric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ntal health included in management System for mental health
KR101814706B1 (en) * 2015-05-11 2018-01-04 정영진 System for providing psychical cure service and methode thereof
KR101928415B1 (en) * 2016-12-09 2018-12-12 주식회사 옴니씨앤에스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mental health using virtual reality
KR20180086546A (en) 2017-01-22 2018-08-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ear headset device for stress measurement and stress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579B1 (en) * 2015-02-05 2016-06-29 손명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contents of re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804A (en)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ggins et al. Defining autistic burnout through experts by lived experience: Grounded Delphi method investigating# AutisticBurnout
Robitschek et al. A structural model of parental alcoholism, family functioning,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mediating effects of hardiness and personal growth orientation.
KR102214402B1 (en) A mobile-based customized mental health care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using the system
Philip et al.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ealth care workers during an epidemic: a thematic review
Overgaard The status and future of consciousness research
Kamzanova et al. Use of EEG workload indices for diagnostic monitoring of vigilance decrement
Williams et al. Senior house officers' work related stressors, psychological distress,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clinical tasks in accident and emergency: a questionnaire study
Boyle Assessment of stigma associated with stutter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elf-stigma of stuttering scale (4S)
Dennis et al. Trait anxiety and conflict monitoring following threat: an ERP study
Kim et al. Retirement transitions, gend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life-course, ecological model
US20080091515A1 (en) Methods for utilizing user emotional state in a business process
Green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plans for military veterans: do safety plans tailored to veteran characteristics decrease suicide risk?
Braitman et al. Comparison of barriers to employment for unemployed and employed clients in a case management program: An exploratory study.
Boksem et al. Facing disapproval: Performance monitoring in a social context
Auman et al. Effect of health-related stereotypes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hypertensive middle-aged and older men
Laing et al. Anxiety and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workplace health support and presenteeism: a cross-sectional analysis
Vinci et 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and distress tolerance in a sample of male veterans with comorbid substance use disorders
Cavalhieri et al.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perceived classism experiences scale
Ryan et al.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Fourth Edition performance in 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Nixon et al. Emotional labour, collectivism and strain: a comparison of Turkish and US service employees
KR102458557B1 (en) A mobile-based mental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 method for providing a mental health care service using the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ental health care method
Ostberg et al. A methodology for psycho-biological assessment of stress in software engineering
Pignatti et al. Specific impairments of selective attention in mild Alzheimer’s disease
Warsito et al.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Interperson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Variable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Staffs In Purwokerto.
Segall et al. Patient load effects on response time to critical arrhythmias in cardiac telemetry: a randomized t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