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486B1 -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486B1
KR102458486B1 KR1020170018341A KR20170018341A KR102458486B1 KR 102458486 B1 KR102458486 B1 KR 102458486B1 KR 1020170018341 A KR1020170018341 A KR 1020170018341A KR 20170018341 A KR20170018341 A KR 20170018341A KR 102458486 B1 KR102458486 B1 KR 10245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response signal
information
signal
dis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535A (ko
Inventor
황상호
박성희
이명환
이장희
양칠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486B1/ko
Priority to PCT/KR2018/001355 priority patent/WO2018147592A1/ko
Priority to US16/481,963 priority patent/US11082856B2/en
Priority to EP18750791.8A priority patent/EP3567974B1/en
Publication of KR2018009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04W12/55Secure pairing of devices involving three or more devices, e.g. group pai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은,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새로운 디바이스가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을 근간으로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에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간의 연결에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특히, 하나의 마스터 디바이스와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이미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마스터 디바이스로 기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일차적으로 기 수립되어 있는 연결을 종료시키고, 이차적으로 새로운 연결을 수립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디바이스 간에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 수립되어 있는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종료하지 않고 새로운 디바이스로 기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디바이스 송수신부; 및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제1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종료시키지 않고 새로운 디바이스로 기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간 자동 연결 및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리스트 정렬 기능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근거로 무선 통신 시스템 활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연결 수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의 연결 방법에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구분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주가 되는 디바이스로 해당 디바이스를 통해 타 디바이스의와 연결을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휴대폰, 노트북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종이 되는 디바이스로 마스터 디바이스에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블루투스 이어폰, 블루투스 키보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이어폰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디바이스의 조작만으로 타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면, 슬레이브 디바이스인 동시에 마스터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을 위하여 마스터 디바이스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로 명시하였으며,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제3 디바이스로 명시하였다. 다만, 앞서 설시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제3 디바이스는 모두 마스터 디바이스인 동시에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연결 수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제3 디바이스의 예시로, 블루투스 이어폰(121)과 블루투스 스피커(125) 두 종류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2 디바이스(111)는 그 중 블루투스 이어폰(121)과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101)가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1)는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를 찾기 위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블루투스 스피커(125)는 타 디바이스와 연결이 수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101)의 디스커버리 신호에 대한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101)는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블루투스 스피커(125)와 연결할 수 있다..
반면에, 블루투스 이어폰(121)은 제2 디바이스(111)와 연결이 수립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101)의 디스커버리 신호에 응답할 수 없다. 따라서, 블루투스 이어폰(121)은 제1 디바이스(101)와 연결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제1 디바이스(101)와 블루투스 이어폰(121)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2 디바이스(111)에서 블루투스 이어폰(121)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다시 상기 제1 디바이스(101)를 통해 블루투스 이어폰(121)과의 연결을 수립해야 하므로, 그 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디바이스 연결 방법으로 제1 디바이스가,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이 기수립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3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해 제1 디바이스의 주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를 탐지한다. 일반적으로 디스커버리 신호는 제1 디바이스가 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어를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 뿐만 아니라, S201 단계와 같이 제1 디바이스에 전원이 온 되거나 제1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S211 단계를 통해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디바이스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S201, S211 단계를 통해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후술하겠지만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서 어플리케이션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의 실행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활용을 위한 디바이스가 필요할 수 있는바, S201, S211 단계를 통해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전원 온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같은 특정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가 발생했다면 S211 단계를 통해 디스커버리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종래기술과는 달리,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디스커버리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에는 연결 정보 요청가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 요청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는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노트북(lap-top)이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문서 작업에 필요한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종류 정보는 해당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키보드 또는 마우스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 정보 요청은 제1 디바이스의 이름, 종류, 블루투스 주소,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서비스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는 S221 단계를 통해,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즉,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는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3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주소, 계정 정보등이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는 제2 디바이스에서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신호이므로 제2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주소, 계정 정보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S221 단계 이후에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에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커버리 신호 및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디바이스의 계정 정보와 제3 디바이스의 계정 정보가 동일하다면 별도의 인증 과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S211 단계 이후에는, S231 단계를 통해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제1 디바이스에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표시될 수 있는데, 특히,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제3 디바이스들을 제1 디바이스에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3 디바이스들을 제1 디바이스에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리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제3 디바이스(321)의 예시로, 블루투스 이어폰과 블루투스 마우스 두 종류가 개시되어 있으며, 제2 디바이스(311)에는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과 블루투스 마우스가 모두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301)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311)에 연결된 디바이스로 블루투스 이어폰과 블루투스 마우스를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제3 디바이스(321) 외에 다른 디바이스(도 3의 경우에는 블루투스 스피커와 블루투스 키보드가 이에 해당한다.)가 존재할 수 있는바, 제1 디바이스(301)에 표시되는 리스트에는 제3 디바이스(321)외의 디바이스도 포함될 수 있다.
이후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겠지만, 제3 디바이스(321)인 블루투스 마우스와 블루투스 이어폰이 연결 대상으로 선택되면 제2 디바이스(311)와 제3 디바이스(321)의 연결은 종료되며, 제1 디바이스(301)와 제3 디바이스(321) 사이에 새로운 연결이 수립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401)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성이 높은 디바이스 순서에 따라 리스트로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2 디바이스(411)에는 제3 디바이스로서 심박수를 체크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디바이스(423)와 블루투스 이어폰(421)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디바이스(401)에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이다.
이 경우, 건강 관리 디바이스(423)는 블루투스 이어폰(421)보다 음악 어플리케이션과의 연관성이 낮으므로 제1 디바이스(401)에 표시되는 리스트에 블루투스 이어폰(421)보다 낮은 순서에 배치된다.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 관리 디바이스(423)를 제1 디바이스의 리스트에서 제외시킬 수도 있다.
제3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의 연관성은 제3 디바이스의 카테고리와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제3 디바이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되는 분야를 의미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블루투스 이어폰과 음악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음악 카테고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동일하다면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하다면, 연관성이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겠지만, 블루투스 이어폰(421)이 제1 디바이스(401)의 연결 대상으로 선택되면 제2 디바이스(411)와 블루투스 이어폰(421)의 연결은 종료되며, 제1 디바이스(401)와 블루투스 이어폰(421) 사이에 새로운 연결이 수립될 것이다.
반면, 건강 관리 디바이스(423)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대상이 아니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411)와의 연결을 유지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501)에서 문서 작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2 디바이스(511)에는 제3 디바이스로서 블루투스 이어폰(523)과 블루투스 키보드(521)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디바이스(501)에서 문서 작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이다.
이 경우,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디바이스(501)의 리스트에 블루투스 키보드(521)가 블루투스 이어폰(52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또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이어폰(523)을 리스트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후 블루투스 키보드(521)가 제1 디바이스(501)의 연결 대상으로 선택되면 제2 디바이스(511)와 블루투스 키보드(521)의 연결은 종료되며, 제1 디바이스(501)와 블루투스 키보드(521) 사이에 새로운 연결이 수립될 것이다. 반면, 블루투스 이어폰(523)은 제2 디바이스(511)와의 연결을 유지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601)에서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도 4 및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611)에 연결되어 있는 건강 관리 디바이스(621)가 제1 디바이스(601)의 리스트에 높은 순위로 표시될 것이며, 건강 관리 디바이스(621)가 제1 디바이스(601)의 연결 대상으로 선택되는 경우, 건강 관리 디바이스(621)와 제2 디바이스(611)의 연결은 종료되며, 제1 디바이스(601)와 건강 관리 디바이스(621) 사이에 새로운 연결이 수립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701)에 기등록된 리스트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자주 연결이 수립되는 디바이스간의 연결은 사전에 제1 디바이스(701)에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711)와의 통신을 통한 제3 디바이스 리스트(블루투스 마우스(721)와 블루투스 키보드(723))와는 별도로 사전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를 즐겨찾기로 등록된 리스트(Favorite connection)라고 표현하였으나, 이는 사전에 제1 디바이스(701)에 설정된 리스트를 의미할 뿐, 해당 명칭에 권리범위가 국한되서는 안 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811)를 상위노드로 하여 제1 디바이스(801)에 접속 가능한 리스트를 표시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811)에 연결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트리 구조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써 도 8에서 제2 디바이스(811)에 블루투스 마우스(821)와 블루투스 이어폰(823)이 연결된 경우, 제1 디바이스(801)에 제2 디바이스(811)를 상위노드로 하고 제2 디바이스(811)에 연결된 블루투스 마우스(821)와 블루투스 이어폰(823)을 하위노드로 하는 트리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 디바이스(801)에서 연결 대상으로 상위노드인 제2 디바이스(811)가 선택되면,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2 디바이스(811)에 연결되어 있는 하위노드인 블루투스 마우스(821)와 블루투스 이어폰(823) 모두 일괄적으로 제2 디바이스(811)와의 연결이 종료되고 제1 디바이스(801)와 새로운 연결이 수립된다.
도 8에서는 상위노드로 제2 디바이스 하나이고 하위노드로 블루투스 이어폰과 마우스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위노드로 복수개의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드의 개수도 두 개(상위노드와 하위노드)로 나눠지는 것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간 연결되는 계층 구조에 따라 세 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3 디바이스의 성능에 따라 리스트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으로 인하여 제1 디바이스(901)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스피커(921)와 블루투스 이어폰(923)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 개시하고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이어폰(923)보다 성능이 좋은 블루투스 스피커(921)를 제1 디바이스(901)에 표시되는 리스트의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제1 디바이스(901)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블루투스 스피커(921)를 선택하는 경우, 일련의 과정을 통해 블루투스 스피커(921)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911)는 연결이 종료되고, 블루투스 스피커(921)와 제1 디바이스(901) 사이에 새로운 연결이 수립될 것이다.
반면에 선택되지 않은 블루투스 이어폰(923)은 종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913)와의 연결을 유지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S231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제1 디바이스와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제3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S241 단계를 통해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즉, 제1 디바이스에서 제3 디바이스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이다. 앞서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이미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는 제1 디바이스에서 인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연결 요청 신호에는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와의 연결 수립을 위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제3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주소가 상기 최소한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S241 단계 이후에는, S251 단계를 통해 제1 디바이스에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연결 응답 신호도 연결 요청 신호와 동일하게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와의 연결 수립을 위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포함시키는 것이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S251 단계 이후에는, S261 단계를 통해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간에 연결이 수립된다. 연결이 수립되면 앞서 도 3 내지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의 연결은 종료된다.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디바이스간 연결 방법 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2에서 S231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즉, S221 단계를 통해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디스커버리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3 디바이스의 종류와 매칭되는 경우, 자동으로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S241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별도의 제어 없이 제1 디바이스에 필요한 디바이스를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단계만으로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활용의 편의성이 증대할 수 있다.
이 외에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도 2에서 개시하고 있는 흐름을 기본으로 다양한 실시예가 파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써 제2 디바이스(1011)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제1 디바이스(1001)에 연속해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2 디바이스(1011)에서 블루투스 마우스(1021)와 블루투스 키보드(1023)를 통해 문서 작업을 수행되고 있고, 이를 제1 디바이스(1001)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디바이스(1001)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1011)에서 수행 중이던 작업을 이어하기 위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와 동시에 도 2에서 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제1 블루투스 마우스(1021)와 블루투스 키보드(1023)를 제1 디바이스(1001)에 연결할 수 있다.
결국 도 2에서 개시하고 있는 흐름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고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이에 기반한 연결 요청 신호와 연결 응답 신호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01)가 블루투스 마우스(1021)와 블루투스 키보드(1023)와 연결이 수립되게 된다.
따라서, 문서 작업을 이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즉, 제1 디바이스(1001)에서의 제어만을 통해 종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1011)와 블루투스 마우스(1021) 및 블루투스 키보드(1023)의 연결을 종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마우스(1021) 및 블루투스 키보드(1023)를 제1 디바이스(1001)에 연결하여 제2 디바이스에서 수행하던 문서 작업을 제1 디바이스(1001)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제1 디바이스(1101)가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101)는 무선 카메라이고 제3 디바이스(1121)는 무선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헤드셋(1121)인 경우이다.
제1 디바이스(1101)가 무선 카메라인 경우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 디바이스(1101)에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표시가 어려운바, 이 경우에는 도 2의 S231 단계는 배제하고, 제1 디바이스(1101)에 제3 디바이스(1121) 접속을 위한 버튼 등을 마련하여 상기 버튼을 통해 연결 요청 신호가 전송되어 제1 디바이스(1101)와 제3 디바이스(1121)간 연결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3 디바이스(1121)와 제2 디바이스(1111) 간의 연결은 제1 디바이스의 연결 요청 신호에 의해 종료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1201)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바이스(1201)는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디바이스 송수신부(1211),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제1 디바이스 제어부(1221) 및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12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정보 요청은 제1 디바이스(1201)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 제어부(1221)는 제1 디바이스(1201)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제3 디바이스의 종류와 매칭되는 경우, 자동으로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송수신부(1211)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에 있어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해 별도의 제어를 했을 때 뿐만 아니라, 제1 디바이스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또는 제1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1231)는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종류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데, 디바이스 종류 리스트는 제1 디바이스(1201)의 종류와 연관성이 높은 디바이스 순서 또는 제1 디바이스(1201)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성이 높은 디바이스 순서 또는 디바이스의 사용 빈도수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1231)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디바이스를 상위노드로 하고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하위노드로 하는 트리구조를 표시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이던 제1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1231)를 통해 제1 디바이스(1201)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제3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 송수신부(1211)는 제2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 제어부(1221)는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S1301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데, 연결 정보 요청은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S1311 단계에서, 디스커버리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311 단계 이후에는, S1321 단계를 통해 제1 디바이스로부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S1331 단계를 통해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401), 제2 디바이스(1411) 및 제3 디바이스(1421)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최초 제1 디바이스(1401)는 S1431 단계를 통해 제2 디바이스(1411)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응답하여 S1441 단계를 통해 제2 디바이스(1411)는 제1 디바이스(1401)에게 제3 디바이스(1421)와 자신이 연결되어 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제1 디바이스(1401)를 통해 제1 디바이스(1401)의 연결 대상으로 제3 디바이스(1421)가 선택되면, S1451 단계를 통해 제1 디바이스(1401)는 제2 디바이스(1411)에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제2 디바이스(1411)는 이에 응답하여 S1461 단계를 통해 제3 디바이스(142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응답 신호를 제1 디바이스(1401)로 전송한다.
최종적으로 제1 디바이스(1401)가 S1461 단계를 통해 제2 디바이스(1411)로부터 제3 디바이스(142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S1471 단계를 통해 제1 디바이스(1401)와 제3 디바이스(1421)간 연결이 수립된다. 반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에 연결되어 있던 제2 디바이스(1411)와 제3 디바이스(1421) 간의 연결은 종료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디바이스(1501)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2 디바이스 송수신부(1511)와 디스커버리 신호에 기반하여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결정하는 제2 디바이스 제어부(1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정보 요청은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디바이스 송수신부(1511)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연결 응답 신호를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 제어부(1521)는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연결 응답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 1와 실시예 2, 그리고 실시예3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LTE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5G 혹은 NR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28)

  1.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 요청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종류와 매칭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연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 연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종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종류의 리스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종류와 연관성이 높은 디바이스 순서 또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성이 높은 디바이스 순서 또는 디바이스의 사용 빈도수에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상위노드로 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하위노드로 하는 트리구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대상으로 상위노드인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모든 하위노드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11.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 요청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종류와 매칭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대상으로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 송수신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종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종류 리스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종류와 연관성이 높은 디바이스 순서 또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성이 높은 디바이스 순서 또는 디바이스의 사용 빈도수에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20. 제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상위노드로 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하위노드로 하는 트리구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연결 대상으로 상위노드인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연결된 모든 하위노드 디바이스와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21.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3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상기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 요청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24. 삭제
  25.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3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2 디바이스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결정된 연결 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연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상기 연결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 요청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28. 삭제
KR1020170018341A 2017-02-09 2017-02-09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45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41A KR102458486B1 (ko) 2017-02-09 2017-02-09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PCT/KR2018/001355 WO2018147592A1 (ko) 2017-02-09 2018-01-31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US16/481,963 US11082856B2 (en) 2017-02-09 2018-01-31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device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750791.8A EP3567974B1 (en) 2017-02-09 2018-01-31 Methods and devices for connecting device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341A KR102458486B1 (ko) 2017-02-09 2017-02-09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535A KR20180092535A (ko) 2018-08-20
KR102458486B1 true KR102458486B1 (ko) 2022-10-25

Family

ID=6310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341A KR102458486B1 (ko) 2017-02-09 2017-02-09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82856B2 (ko)
EP (1) EP3567974B1 (ko)
KR (1) KR102458486B1 (ko)
WO (1) WO2018147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6006B2 (en) * 2020-03-13 2023-02-28 Pixart Imaging Inc. Connection synchronizing method of Bluetooth system and slave device
CN113691964B (zh) * 2020-05-19 2023-09-0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蓝牙设备的连接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2203238B (zh) * 2020-05-22 2022-08-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通信方法、系统、电子设备、芯片和存储介质
CN111787553B (zh) * 2020-06-01 2023-12-19 深圳市匠盟科技有限公司 一种多类型无线设备的连接方法、装置和系统
CN114980149A (zh) * 2021-02-24 2022-08-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网络设备管理系统、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853031B (zh) * 2021-09-18 2024-04-02 雅迪科技集团有限公司 头盔的连接方式切换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604A1 (ko) * 2015-07-26 2017-02-02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le(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대체 통신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192B2 (ja) 2002-09-27 2005-09-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同電子機器の接続先切替え方法
CN101340212A (zh) * 2007-07-03 2009-01-07 艾威梯软件技术(北京)有限公司 按键触发蓝牙连接设备自动切换的方法、设备和系统
ATE545302T1 (de) 2008-06-30 2012-02-15 Telecom Italia Spa System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umschalten der verbindung einer drahtlosen schnittstelle
US20120083208A1 (en) 2010-09-30 2012-04-05 Apple Inc. Wireless accessory device pairing transfer between multiple host devices
JP2014526090A (ja) * 2011-07-12 2014-10-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バイスディスカバリー方法及び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方法
KR20140119547A (ko) * 2013-04-01 2014-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Wi-Fi 통신 시스템에서 P2P(Peer-to-Peer) 디바이스를 디스커버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813845B2 (en) 2013-11-11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 connection
US10034239B2 (en) 2014-06-17 2018-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nection between devices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KR101636022B1 (ko) * 2014-07-30 2016-07-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제어 장치 연동을 통한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0548068B2 (en) 2014-07-31 2020-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WO2016017907A1 (ko) 2014-07-31 2016-02-0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604A1 (ko) * 2015-07-26 2017-02-02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le(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대체 통신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7974A4 (en) 2020-01-15
US20190394818A1 (en) 2019-12-26
EP3567974B1 (en) 2021-09-15
KR20180092535A (ko) 2018-08-20
US11082856B2 (en) 2021-08-03
WO2018147592A1 (ko) 2018-08-16
EP3567974A1 (en)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486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CN113163379B (zh) 一种发现及配网的方法和电子设备
CN108476247B (zh) 标识媒体访问控制地址的方法和相应的支持无线的设备
CN112189374B (zh) 无线通信系统中利用波束成形的通信方法和装置
CN105960827B (zh) 识别无线插接站的装置、系统和方法
CN116980867A (zh) 数据传输的方法及电子设备
CN109314738B (zh) 无线音频源切换
US202302923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for and connecting bluetooth device
US202203437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alarm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CN116489645B (zh) 数据传输的方法及电子设备
KR2023011094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uwb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
CN104969143A (zh) 用于装置间无线数据通信的连接信息
KR20220018874A (ko)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1727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400075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edge computing in virtual radio access network
US202400486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wi-fi peer to peer (p2p) group
CN104954048B (zh) 蓝牙通信方法和系统
US20230354444A1 (en) Method for connecting ife to wireless device
US2024010729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4277359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ccess poi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30112678A1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396671A1 (en) Method for managing persistent group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
KR20240055593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채널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10117580A (ko)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77367A (ko) 전자 장치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