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110B1 -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 Google Patents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110B1
KR102458110B1 KR1020200187101A KR20200187101A KR102458110B1 KR 102458110 B1 KR102458110 B1 KR 102458110B1 KR 1020200187101 A KR1020200187101 A KR 1020200187101A KR 20200187101 A KR20200187101 A KR 20200187101A KR 102458110 B1 KR102458110 B1 KR 10245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polishing
unit
support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7580A (en
Inventor
임시형
전유진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110B1/en
Publication of KR2022009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003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for skat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러너를 고정하는 러너 고정부; 상기 러너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러너의 주행면에 접촉하는 연마패드를 구비한 연마부; 및 상기 연마부를 러너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수작업에 의존하던 연마 작업을 자동화하여 러너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고, 직선이동하는 연마부를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러너의 주행면과 주행면 양측 에지 부분을 동시에 연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olishing a runner for an ice rink, and the apparatus for polishing a runner for an 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a runn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runner on the base; a polishing unit disposed above the runner fixing unit and having a polishing pad in contact with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and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abrasive unit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ner. Thereb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runner by automating the polishing operation, which has been dependent on manual labor, and to easily grind a runner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the linearly moving abrasive part, as well as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There is provided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polishing various types of runners sin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olish both edge portions of the running surface and the running surface.

Description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본 발명은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작업에 의존하던 연마 작업을 자동화하여 러너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고, 직선이동하는 연마부를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러너의 주행면과 주행면 양측 에지 부분을 동시에 연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an ice rink,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quality of a runner by automating a polishing operation that has depended on a manual operation, and a runner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linearly moving abrasiv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polishing various types of runners because it is possible to grind easily and simultaneously grind both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and the edge portions of both the running surfaces.

동계올림픽 경기는 크게 설상, 빙상, 슬라이딩으로 구분되며, 설상 경기는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알파인 스키, 스노보드 등으로 구분되고, 빙상 경기는 피겨스케이팅, 스피드스케이팅, 쇼트트랙 등으로 구분되고, 슬라이딩 경기는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 등으로 구분된다. The Winter Olympic Games are largely divided into snow, ice, and sliding, and snow sports are divided into biathlon, cross-country skiing, alpine skiing, snowboarding, etc. The competition is divided into bobsled, luge, and skeleton.

예컨대, 슬라이딩 경기 종목인 스켈레톤은 머리를 정면으로 향하여 엎드린 자세로 썰매를 타고 경사진 얼음 트랙을 활주하는 경기로, 남녀 각각 1인승으로만 경기를 치르며 썰매에 엎드려 머리부터 내려온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For example, Skeleton, a sliding event, is a competition in which a person rides a sled in a prone position with their head facing forward and slides down an inclined ice track. .

출발선에 선 선수는 썰매 좌우의 손잡이를 잡고 직선 코스로 약 30~40m를 달려 가속한 뒤 썰매 위에 엎드린 채 트랙을 활주하여 내려가는데, 방향 조종이나 제동을 보조하기 위한 장비는 금지되기 때문에 어깨와 머리, 다리로 중심을 이동하여 조종한다. 활주할 때 시속 100㎞가 넘어 봅슬레이나 루지와 마찬가지로 1000분의 1초의 기록을 다투는 경기이므로 속도를 줄이지 않고 활주하는 것이 좋은 기록을 내는 관건이다.The athlete standing at the starting line grabs the left and right handles of the sled, runs about 30-40 m on a straight course, accelerates, and then slides down the track while lying on the sled. Control b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with the head and legs. When gliding, the speed exceeds 100 km/h, and like bobsleigh and luge, it is a competition for the record of 1/1000 of a second.

이와 같이, 동계올림픽 경기에 이용되는 스키, 스케이트, 썰매 등과 같은 주행 도구는 눈 또는 얼음과 직접 접촉하는 러너의 연마 상태가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잘 다듬어진 러너가 필수이다. As such, in driving tools such as skis, skates, and sleds used in the Winter Olympic Games, the polished state of the runner in direct contact with snow or ice greatly affects the performance. to be.

하지만, 현재까지 러너는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거친 연마패드로부터 고운 연마패드까지 단계별로 직접 연마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관리자의 숙련도에 따라 연마 결과가 상이하고, 수작업시 러너의 모든 부분에 일정한 힘을 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연마패드의 단계에 따라 표면 연마 정도에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일정한 성능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한 쌍의 러너를 이용하는 경우 좌우 밸런스를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up to now, runners have taken the method of manually polishing the runner from a rough polishing pad to a fine polishing pad by hand, step by step. In other words, the polishing resul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manager,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a constant force to all parts of the runner during manual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o,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s lowered, and when a pair of runners is used, it is difficult to balance the left and right sides.

또한, 봅슬레이용 러너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주행면이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한 곡률 반경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수작업으로는 러너의 곡률 반경을 유지하면서 주행면을 정밀하게 연마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unn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of the bobsled runner forms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grind the running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unner manually. .

따라서 동계올림픽 경기에 사용되는 스키 날, 스케이트 날, 썰매용 러너 등의 연마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연마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utomatic polish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polishing ski blades, skate blades, runners for sleds, etc. used in the Winter Olympic Games.

미국 등록특허 제4,405,140호(1983.9.20)U.S. Patent No. 4,405,140 (March 20, 1983)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작업에 의존하던 연마 작업을 자동화하여 러너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an ice rink capable of increasing the quality of a runner by automating a polishing operation that has been dependent on a manual opera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또한, 패드 고정부를 스폰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직선이동하는 연마부를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러너의 주행면과 주행면 양측 에지 부분을 동시에 연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d fixing p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onge, it is possible to easily polish a runner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straight-line moving abrasive part, as well as the edge portions of the running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polishing various types of runners because they can be polished at the same time.

또한, 일정한 가압력으로 러너를 연마하고, 필요한 연마 단계에 따라 연마패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polishing a runner with a constant pressing force and easily replacing a polishing pad according to a required polishing step.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러너를 고정하는 러너 고정부; 상기 러너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러너의 주행면에 접촉하는 연마패드를 구비한 연마부; 및 상기 연마부를 러너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를 포함하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base; a runn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runner on the base; a polishing unit disposed above the runner fixing unit and having a polishing pad in contact with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and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olish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ner.

여기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연마패드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lishing unit may include a reciprocating driving unit for reciprocating the polishing pad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연마패드와 연마 구동부 사이에서 연마패드를 고정하고 상기 러너와 접촉하는 면이 압력에 의해 오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재질의 패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lishing unit includes a pad fixing uni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fixes the polishing pad between the polishing pad and the polishing driving unit and that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unner can be deformed into a concave shape by pressure.

또한, 상기 연마패드는 패드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ishing pad is detachably fixed to the pad fixing unit.

또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연마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제1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1지지대를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unit comprising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lishing unit, a first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in a first direction,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first support in a first direction desirable.

또한, 상기 제1지지대와 연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마부를 상기 러너의 접촉면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fer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polishing unit and capable of moving the polish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closer to or away from the contact surface of the runner.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연마부의 연마패드가 러너의 주행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제2방향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may include a stopper capable of fixing a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lishing pad of the polishing unit presses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1지지대 상에서 연마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 상기 제2지지대의 제2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제2지지대를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lishing unit on the first support, a second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second support in the secon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작업에 의존하던 연마 작업을 자동화하여 러너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quality of a runner by automating a polishing operation that was dependent on a manual operation.

또한, 패드 고정부를 스폰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직선이동하는 연마부를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러너의 주행면과 주행면 양측 에지 부분을 동시에 연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러너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since the pad fixing p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onge, it is possible to easily polish a runner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 straight-line moving abrasive part, as well as the edge portions of the running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Provided is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polishing various types of runners because they can be polished at the same time.

또한, 일정한 가압력으로 러너를 연마하고, 필요한 연마 단계에 따라 연마패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apable of polishing a runner with a constant pressing force and easily replacing a polishing pad according to a required polishing step.

도 1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배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연마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an ice ri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onfiguratio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3 is a rea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5 is a plan view of a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an ice rink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polish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typical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배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다.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Figure 3 is a rea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Figure 5 is It is a planar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this invention ice rink.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는, 베이스(110), 러너 고정부(120), 연마부(130), 제1이송부(140) 및 제2이송부(15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as shown in the figure includes a base 110 , a runner fixing part 120 , a polishing part 130 , a first transfer part 140 and a second transfer part 150 . .

상기 러너 고정부(120)는 상기 베이스(110) 상에 러너(R)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110)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러너(R)가 고정된다. 상기 러너 고정부(120)와 베이스(110)의 고정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0)에는 러너(R)의 규격에 따라 러너 고정부(120)의 고정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너 고정부(120)는 러너(R)의 연마부위에 따라 러너(R)의 고정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unner fix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jig for fixing the runner R on the base 110 , and one end is fixed to the base 110 and the runner R is fixed to the other end. do. The fixing of the runner fixing part 120 and the base 110 may be made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the fixing position of the runner fixing part 120 is fixed to the base 110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runner R.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can be fastened may be formed so as to be changed. In addition, the runner fix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o that the fixing angle of the runner 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lishing portion of the runner R.

상기 연마부(130)는 상기 러너(R)의 주행면에 접촉할 수 있는 연마패드(131)(sandpaper) 및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연마패드(131)를 상기 러너(R)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olishing part 130 includes a polishing pad 131 (sandpaper) capable of contacting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ner R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polishing pad 131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olishing pad 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ner 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iprocating drive unit 132 for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연마패드(131)와 왕복구동부(132) 사이에는 상기 연마패드(131)가 고정되고 스폰지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드 고정부(133)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마부(130)가 러너(R)의 주행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마패드(131)가 러너(R)의 주행면에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했을 때, 상기 패드 고정부(133)의 상기 러너(R)와 접촉하는 면이 러너(R)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오목한 형태로 변형되면서 연마패드(131)가 러너(R)의 주행면 뿐만 아니라 주행면 양측 에지 부분까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곡률반경의 러너(R)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olishing pad 131 is fixed between the polishing pad 131 and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132 , and a pad fixing unit 13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onge is provided. Accordingly, when the polishing part 130 moves in a direction close to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and the polishing pad 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by a certain pressure or more, the pad fixing part ( 133), a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unner (R) is deformed into a concave shape by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runner (R), the polishing pad 131 wraps not only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but also the edges of both sides of the running surface Because it can be disposed as,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ss the runner (R) of various radii of curvature.

또한, 상기 연마패드(131)는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 일명 찍찍이 테이프) 등에 의해 상기 패드 고정부(133)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연마패드(131)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마 단계에 따라 연마패드(13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lishing pad 131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pad fixing part 133 by means of a Velcro fastener (also called a clasp tape), it is easy to replace the polishing pad 131 as well as polishing the polishing pad 131 . The polishing pad 131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steps.

상기 왕복구동부(132)는 일정 범위내에서 직선 왕복 구동할 수 있는 구동기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기구의 구성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driving mechanism capable of linearly reciprocating driving within a certain range may be applied to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132, and the configuration of such a driving mechanism corresponds to a known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이송부(140)는 상기 연마부(130)를 러너(R)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마부(130)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141), 베이스(110) 상에서 상기 제1지지대(141)의 제1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142) 및 상기 제1지지대(141)를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구동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부(143)는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110)와 제1지지대(141) 사이에서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제1방향 직선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제1지지대(141)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볼스크류와 볼너트, 벨트와 풀리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fer unit 140 is for transferring the polishing unit 130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ner R, a first support 141 supporting the polishing unit 130, a base A first guide 14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141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110 and a first driving part 143 for transferring the first support 141 in the first direction. do. Here, the first driving unit 143 converts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of the driving motor between the driving motor and the base 110 and the first supporter 141 into linear kinetic energy in the first direction to form the first supporter 141 . It may be made of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can be transmitted to,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ball screw and a ball nut, a belt and a pulley.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왕복구동부(132)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연마패드(131)의 이동거리는 상기 제1이송부(140)에 의해 이동하는 연마부(130)의 이동거리에 비해 짧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마부(130)가 제1이송부(140)에 의해 러너(R)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마패드(131)가 왕복구동부(132)에 의해 제한된 일정 범위 내에서 고속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러너(R)를 연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이동영역은 20mm로 설정되고, 상기 제1이송부(140)에 의한 연마부(130)의 제1방향 이동속도는 약 7m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4인 봅슬레이 기준 최대 길이인 1,300mm의 러너(R)를 연마하는 경우 연마패드(131)의 거칠기에 따른 각 단계별 연마에 3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distance of the polishing pad 131 reciprocally moved by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132 is set shorter than the moving distance of the polishing unit 130 moving by the first transferring unit 140 .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the polishing part 130 mov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runner R by the first transfer part 140 , the polishing pad 131 is within a certain range limited by the reciprocating driving part 132 . The runner (R) can be polished while reciprocating at high speed. For example, the first movement area may be set to 20 mm, and the first movement speed of the polishing unit 130 by the first transfer unit 140 may be set to about 7 mm/s. Accordingly, in the case of polishing the runner R of 1,300 mm, which is the maximum length of the 4-man bobsleigh, it may take about 3 minutes for each step of polishing according to the roughness of the polishing pad 131 .

상기 제2이송부(150)는 상기 제1지지대(141)와 연마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마부(130)를 상기 러너(R)의 주행면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대(141) 상에서 상기 연마부(130)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151), 상기 제1지지대(141) 상에서 상기 제2지지대(151)의 제2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152) 및 상기 제2지지대(151)를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구동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부(153)는 제1지지대(141) 상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1지지대(141)와 제2지지대(151) 사이에서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에너지를 제2방향 직선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제2지지대(151)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볼스크류와 볼너트, 벨트와 풀리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141 and the abrasive unit 130 and moves the abrasive unit 130 in a second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a second support 151 for supporting the abrasive unit 130 on the first support 141,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151 on the first support 141 in the second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guide 152 and a second driving unit 153 for transferring the second support 151 in the second direction. Here, the second driving unit 153 transmits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of the driving motor fixed on the first support 141 and the driving motor between the first support 141 and the second support 151 in the second dir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converted into linear kinetic energy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support 151,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ball screw and a ball nut, a belt and a pulley.

한편, 상기 제2이송부(150)는 상기 연마부(130)의 연마패드(131)가 러너(R)의 주행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제2지지대(151)의 제2방향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1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대(141)에 제2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대(151)에 상기 관통홀 내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지지암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54)가 관통홀 내에 삽입된 지지암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제2지지대(151)의 제2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컨대, 스토퍼(154)는 제1지지대(141)에 제2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상기 제2지지대(151)의 상기 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장공을 경유하여 체결공으로 나사조립되는 스크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의 헤드와 제2지지대(151) 사이에 위치한 제1지지대(141)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를 조임 해제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지지대(151)를 고정해제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지지대(141)의 장공 범위 내에서 상기 제2지지대(151) 및 스크류가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can fix the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151 in a state where the polishing pad 131 of the polishing unit 130 presses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A stopper 154 is included. In this embodimen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141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upport arm that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with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151, and the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stopper 154 fixe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arm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ort 151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the stopper 154 is a long hol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first support 141,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of the second support 151, and a fastening hole via the long hole. It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ssembled screw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ix or release the first support 141 located between the head of the screw and the second support 151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and rotate the screw in the tightening direction to release the second support 141 .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151 is released, the second support 151 and the screw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within the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141 .

또한, 상기 러너(R)가 제1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경우, 상기 제2이송부(150)에 의한 연마부(130)의 제2방향 이송 거리는 상기 러너(R)의 곡률 반경에 따르는 제2방향 높이차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드 고정부(133)의 두께는 러너(R)의 곡률 반경에 따르는 제2방향 높이차보다 두껍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이송부(140)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연마부(130)를 이용해 제1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러너(R)를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runner R has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transfer distance of the polishing unit 130 by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depends 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unner R It is preferable to set it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ad fixing part 133 is preferably set to be thick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unner (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grind the runner R hav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polishing unit 130 that moves linearly by the first transfer unit 140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봅슬레이의 러너를 연마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스켈레톤, 루지 뿐만 아니라, 스케이트, 스키 등과 같이 얼음 또는 눈 위에서 주행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빙상 기구의 러너의 연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polishing the runner of the bobsl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unners of various ice equipment used for running on ice or snow, such as skates and skis, as well as skeletons and luge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t to grinding.

지금부터는 상술한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rink will now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연마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연마부의 작용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제2이송부의 작용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패드 고정부의 작용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의 제1이송부의 작용도이다. 6 to 9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perational views showing the polishing process of the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an ice r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operation diagram of the second transfer unit of the polishing apparatus, FIG. 8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pad fixing unit of the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연마부(130)는 제1이송부(140)에 의해 베이스(110) 상에서 러너(R)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이송부(150)에 의해 연마 대상이 되는 러너(R)의 주행면과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abrasive unit 13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ner R on the base 110 by the first transfer unit 140, and the runner ( It can move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close to or away from the running surface of R).

러너(R)는 주행면이 상기 연마부(13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러너 고정부(120)에 의해 베이스(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러너(R)의 주행면을 연마하기 위해 주행면이 연마부(130)와 마주하도록 배치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러너(R)의 측면부 또는 에지 부분을 연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가 연마부(130)를 향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러너 고정부(120)를 선택하여 러너(R)를 베이스(110) 상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runner R may be fixed on the base 110 by the runner fixing unit 120 in a state in which the running surface faces the polishing unit 130 .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olish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the running surface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to face the abrasive unit 130 as an example, but the side or edge portion of the runner R is polished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select the runner fixing part 120 that can be fixed so that the corresponding part faces the abrasive part 130 to fix the runner R on the base 110 .

상기와 같이 베이스(110) 상에 러너(R)를 고정한 이후, 제1이송부(140)를 이용해 연마부(130)를 지지하고 있는 제1지지대(141)를 러너(R)의 일단부 측으로 이동한 다음, 제2이송부(150)를 이용해 제1지지대(141) 상에서 연마부(130)를 지지하고 있는 제2지지대(151)를 러너(R)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 고정부(133)의 상기 러너(R)와 접촉하는 면이 러너(R)와의 접촉 압력에 의해 오목한 형태로 변형되면서 연마패드(131)가 러너(R)의 주행면 뿐만 아니라 주행면 양측 에지 부분까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After fixing the runner R on the base 1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141 supporting the abrasive unit 130 is moved toward one end of the runner R using the first transfer unit 140 . Then, the second support 151 supporting the abrasive unit 130 on the first support 141 using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is mov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runner R. Accordingly, as the surface of the pad fixing part 133 in contact with the runner R is deformed into a concave shape by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runner R, the polishing pad 131 travels as well as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It is arranged in a form that wraps up to the edg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마패드(131)는 왕복구동부(132)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러너(R)의 주행면과 에지부분을 동시에 연마하고, 이러한 연마부(130)가 제1이송부(140)에 의해 러너(R)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러너(R)의 주행면을 일정한 압력과 속도로 연마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polishing pad 131 simultaneously polishes the running surfac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runner R while reciprocating in the first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132, and the polishing unit 130. is mov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runner R by the first transfer unit 140 , so that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can be polished at a constant pressure and speed.

한편, 상기 연마패드(131)가 주행면과 주행면 양측의 에지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연마부(130)가 제2이송부(150)에 의해 러너(R)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스토퍼(154)를 이용해 제2지지대(151)의 제2방향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연마 도중 연마부(130)가 러너(R)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임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구동부(153)의 구동부하를 해소하고, 연마과정에서 연마패드(131)가 러너(R)의 주행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연마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polishing part 130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unner R by the second transfer part 150 so that the polishing pad 131 can wrap the edg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running surface and the running surface,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ort 151 in the second direction using the stopper 154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rasive unit 130 from randomly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unner R during polishing. Accordingly, the driving load of the second driving unit 153 is eliminated, and the polishing pad 131 can press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R with a constant pressure during the polishing process, so that a constant polishing quality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10:베이스, 120:러너 고정부, 130:연마부,
131:연마패드, 132:왕복구동부, 133:패드 고정부,
140:제1이송부, 141:제1지지대, 142:제1가이드,
143:제1구동부, 150:제2이송부, 151:제2지지대,
152:제2가이드, 153:제2구동부, 154:스토퍼,
R:러너
110: base, 120: runner fixing part, 130: grinding part,
131: abrasive pad, 132: reciprocating driving part, 133: pad fixing part,
140: first transfer unit, 141: first support, 142: first guide,
143: first driving unit, 150: second transfer unit, 151: second support,
152: second guide, 153: second driving unit, 154: stopper,
R: Runner

Claims (8)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러너를 고정하는 러너 고정부;
상기 러너 고정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러너의 주행면에 접촉하는 연마패드를 구비한 연마부; 및
상기 연마부를 러너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부는 상기 연마패드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 및 상기 연마패드와 왕복구동부 사이에서 연마패드를 고정하고 상기 러너와 접촉하는 면이 압력에 의해 오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재질의 패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
Base;
a runn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runner on the base;
a polishing unit disposed above the runner fixing unit and having a polishing pad in contact with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and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olish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nner;
The polishing unit includes a reciprocating driving unit for reciprocating the polishing pad in the first direction, and fixing the polishing pad between the polishing pad and the reciprocating driving unit, an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unner is deformed into a concave shape by pressure. A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an ice rink including a pad fix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패드는 패드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ishing pad is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fixed to the pad fix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연마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제1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1지지대를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ransfer part comprises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lishing part, a first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in a first direction, and a first driving part for transferring the first support in a first direction. runner polishing equipment for the ice rink.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연마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마부를 상기 러너의 접촉면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runners,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polishing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second transfer unit capable of moving the polishing unit in a second direction closer to or away from the contact surface of the runn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연마부의 연마패드가 러너의 주행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제2방향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transfer part is an ice runner poli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opper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lishing pad of the polishing part presses the running surface of the runn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1지지대 상에서 연마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 상기 제2지지대의 제2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제2지지대를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상용 러너 연마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transfer unit includes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polishing unit on the first support, a second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second support in a second direction. A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the 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00187101A 2020-12-30 2020-12-30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KR102458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01A KR102458110B1 (en) 2020-12-30 2020-12-30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01A KR102458110B1 (en) 2020-12-30 2020-12-30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580A KR20220097580A (en) 2022-07-08
KR102458110B1 true KR102458110B1 (en) 2022-10-25

Family

ID=8240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101A KR102458110B1 (en) 2020-12-30 2020-12-30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11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85B1 (en) * 2009-12-30 2010-08-23 곽정회 Processing machine for skate bla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8033A (en) 1979-08-29 1982-09-07 Stevens David B Bobsled
KR20110113675A (en) * 2010-04-10 2011-10-18 최창숙 Automatic sharpening equipment a skate bla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85B1 (en) * 2009-12-30 2010-08-23 곽정회 Processing machine for skate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580A (en)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7138A (en) Braking mechanism for in-line skate
US20120104705A1 (en) Ice Skate Blade
US7866684B2 (en) Ski with improved edging characteristics
EP0700696A2 (en) Ski with a system for influencing its stiffness by using inertial forces
RU2595547C2 (en) Attachment
JPH0838675A (en) Device for fixing shoes on sliding tool
US5901975A (en) Vertically flexible snowboard binding
KR102458110B1 (en) Runner polishing apparatus for ice
US5551711A (en) Braking mechanism for in-line skate
US3365208A (en) Roller skis
US4630409A (en) Device for finishing the edges of skis
US6575490B1 (en) Adjustable pad for foot binding
JP2006511301A (en) Snowboard binding with suspension heel loop
KR100886610B1 (en) Skate Blade Processing Machinery
US7178821B2 (en) Universal ski and snowboard binding
FR2628981B1 (en) SIDE SPOLLER SHOES FOR SNOW SURFING
US20150335984A1 (en) Roller skate blade and sharpening thereof
FR2643608B1 (en)
US9114304B2 (en) Quick release ski binding mounting system
US6273436B1 (en) Skate brake system and methods for multiple braking effects
WO2022262994A1 (en) Powered device for propelling a surface on snow
CA2438669C (en) Universal ski and snowboard binding
CN102089044A (en) Improved running bases
KR101535794B1 (en) Snow sliding device
RU2412735C1 (en) Device for elimination ski k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