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98B1 - 에어로졸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798B1
KR102457798B1 KR1020200180002A KR20200180002A KR102457798B1 KR 102457798 B1 KR102457798 B1 KR 102457798B1 KR 1020200180002 A KR1020200180002 A KR 1020200180002A KR 20200180002 A KR20200180002 A KR 20200180002A KR 102457798 B1 KR102457798 B1 KR 10245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amber
aerosol generating
heater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404A (ko
Inventor
이종섭
김민규
박주언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18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98B1/ko
Priority to EP21911293.5A priority patent/EP4262460A1/en
Priority to JP2022550040A priority patent/JP7331266B2/ja
Priority to PCT/KR2021/017902 priority patent/WO2022139226A1/en
Priority to CN202180012772.5A priority patent/CN115052494A/zh
Priority to US17/797,982 priority patent/US20230039402A1/en
Publication of KR2022008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수용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 구획된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회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감지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테이너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사용챔버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제1 기준 이상, 제2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가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상기 제2 기준 이상, 제3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최적의 품질을 유지하는 매질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의 교체 없이, 사용자에게 다양한 매질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디바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매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매질에 대한 사용 정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매질에서 추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성분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수용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 구획된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회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감지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테이너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사용챔버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제1 기준 이상, 제2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가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상기 제2 기준 이상, 제3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최적의 품질을 유지하는 매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교체 없이, 사용자에게 다양한 매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매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다양한 매질에 대한 사용 정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기초하여 히터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매질에서 추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성분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4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7 내지 49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1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방향을 정의한다. 직교좌표계에서 x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x를 향하는 방향은 좌측방향, -x를 향하는 방향은 우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y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y를 향하는 방향은 전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후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z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z를 향하는 방향은 상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하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내부에 수용공간(11)을 제공할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20)는 하우징(10)의 상부(이하, 상부하우징(13))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20)는 상부하우징(13)을 둘러쌀 수 있다. 오프닝(O)은 어퍼케이스(20)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프닝(O)은 수용공간(11)과 연통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하우징(10)이 제공하는 수용공간(11)에 삽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카트리지(30) 내부에서 생성되며, 카트리지(30)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프닝(O)은 어퍼케이스(20)의 상면(21)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20)의 상면(21)은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20)의 측면(22)은 상면(2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20)의 측면(22)은 상부하우징(1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헤드커버(23)는 어퍼케이스(20)의 상면(21)의 일부일 수 있다. 헤드커버(23)는 컨테이너헤드(33)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장착홈(27)은 어퍼케이스(20)의 측면(22)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27)은 어퍼케이스(20)의 측면(2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17)는 상부하우징(13)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착돌기(17)는 상부하우징(13)의 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착돌기는 장착홈(27)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돌기(17)와 장착홈(27)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17)와 장착홈(27)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제1 컨테이너(31)와 제2 컨테이너(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는 액체를 수용하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매질을 수용하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매질을 수용하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1)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와 제2 컨테이너(32)는 서로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guide slit)(316)은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은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은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제1 가이드슬릿(316)은 제1 가이드레일(316)이라고도 한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의 소정의 높이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제2 가이드슬릿(236)은 제2 가이드레일(326)이라고도 한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면,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1 가이드슬릿(316)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단은 제1 가이드슬릿(316)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2 컨테이너(32)의 하단에서 가장 폭이 넓을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하단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며, 소정의 높이에서부터 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단의 폭은 제1 가이드슬릿(316)의 상단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은 하단의 폭 및/또는 상단의 폭이 가장 넓을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은 제1 컨테이너(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2 컨테이너(32)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316, 326)은 가이드 레일, 가이드채널(guide channel) 또는 가이드홈(guide groove)이라 칭할 수 있다.
고정홈(317)은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17)은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고정홈(317)은 제1 가이드슬릿(316)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17)은 제1 가이드슬릿(316)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17)는 고정홈(317)에 삽입될 수 있다(도 3 참조).
고정홈(317)은 실린더(31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홈(317)의 길이는 폭보다 클 수 있다. 고정돌기(117)는 고정홈(317)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31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홈(317)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1 고정홈(317)과 제1 고정홈(317)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제2 고정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홈(317)은 제1 고정홈(317)보다 제2 컨테이너(3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홈(317)과 제2 고정홈(317)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홈(31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홈(31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수용공간(11)의 하부에 고정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수용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 제1 컨테이너(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317) 또는 고정돌기를 제1 회전제한부(317)라하고, 수용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17) 또는 고정홈을 제2 회전제한부(117)라고도 한다.
한편, 카트리지(30)는 제2 컨테이너(32)의 상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헤드(3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상측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측면부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상측부와 측면부가 ‘ㄱ’ 자로 연속되어 개방될 수 있다.
끼움돌기(337)는 컨테이너헤드(33)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337)는 컨테이너헤드(33)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있다. 끼움돌기(337)는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337)는 수용공간(11)의 상측에 형성된 끼움홈(137)에 끼워질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카트리지(30)는 컨테이너헤드(3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되는 마우스피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내부에 흡입유로(343, 도 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로(343)는 제2 흡입구(341) 및 제2 토출구(342)와 연통될 수 있다(도 5 참조). 흡입유로(343)는 편의상 유로(343), 혹은 제2 유로(343)라 지칭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컨테이너헤드(33)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마우스피스(34)는 어퍼케이스(20)의 오프닝(O)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오프닝(O)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오프닝(O)의 내측에서 피봇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의 피봇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4)는 상부하우징(13)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4)는 상부하우징(13)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안착부(14)는 마우스피스(3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있을 때,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마우스피스(34)는 안착부(14)에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
탈착홈(347)은 마우스피스(34)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탈착돌기(147)는 안착부(14)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탈착돌기(147)는 탈착홈(347)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안착부(14)에 안착되면, 탈착돌기(147)는 탈착홈(347)에 삽입되고, 마우스피스(34)는 안착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가 반대방향으로 피봇되면, 탈착돌기(147)는 탈착홈(347)으로부터 탈거되고, 마우스피스(34)는 안착부(1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다이얼(43)은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얼(43)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이얼(43)은 상부하우징(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얼(43)은 회전하여 제2 컨테이너(32)를 회전시㎍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30)는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 도 2 참조)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삽입될 수 있다. 배터리(50)는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며, 수용공간(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40)는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며, 배터리(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4)는 수용공간(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4)는 배터리(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는 내부에 액상챔버(311)와 증발챔버(3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화전 제재는 액상챔버(311)에 수용될 수 있다. 기화전 제재는 액체일 수 있다. 심지(313)는 증발챔버(3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3)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있다. 히터(314)는 증발챔버(3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14)는 심지(313) 주변에 배치되어 심지(313)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14)는 심지(313)를 둘러싸며 코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화전 제재는 액상챔버(311)로부터 심지(313)에 흡수되어 증발챔버(312)로 유입될 수 있다. 히터(314)는 심지(313)를 가열하여 심지(313)에 흡수된 기화전 제재를 증발시켜 에이로졸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증발챔버(312)와 연통될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증발챔버(31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심지(313) 및 히터(31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상하"?향으?* 길게 배치된 컨테이너축(325)의 길이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상기 컨테이너 축(325)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서로 구분된 복수의 챔버들(321, 3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챔버들(321, 322) 각각은 제1 과립챔버(321)와 제2 과립챔버(322)라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및 제2 과립챔버(321, 322)챔버에 대하여만 설명할 것이나, 제2 컨테이너(32)는 개수의 제한 없이 서로 구분된 복수의 챔버(321, 322,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챔버(321, 322, ...)는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컨테이너축(32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2 컨테이너(32)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2 컨테이너(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컨테이너축(32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251)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1 컨테이너(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디스크(32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251)과 제1 디스크(325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3251)과 제1 디스크(325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은 제1 플랜지(3253)라 칭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1 컨테이너(31)에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1 컨테이너(3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는 제1 컨테이너(31)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는 제1 컨테이너(31)와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는 제1 컨테이너(3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홀(3259)는 제1 디스크(325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크홀(3259)은 제1 연결유로(319)와 연결(connected) 또는 연통(communicated)될 수 있다. 제1 디스크홀(3259)은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 위치에 따라 하부챔버홀(323)과 연통될 수 있다.
회전축(3251)은 제2 컨테이너(3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3251)은 복수의 챔버들(321, 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3251)은 제2 컨테이너(32)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회전축(325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325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3251)은 제1 디스크(325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제2 컨테이너(3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제2 컨테이너(32)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복수의 챔버들(321, 3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제2 플랜지(327)라 칭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컨테이너축(325)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회전축(32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회전축(325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컨테이너헤드(33)와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는 컨테이너헤드(3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와 컨테이너헤드(33)는 컨테이너축(3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와 컨테이너헤드(33)는 상대적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 컨테이너헤드(33) 및 컨테이너축(325)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컨테이너축(32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컨테이너헤드(3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챔버들(321, 322)은 컨테이너축(325)을 중심으로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매질은 복수의 챔버들(321, 32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축이라 지칭할 수 있다.
하부챔버홀(323)은 제1 과립챔버(3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챔버홀(323)은 제2 과립챔버(32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챔버홀(324)은 제1 과립챔버(3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챔버홀(324)은 제2 과립챔버(32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와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연결유로(319)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제1 컨테이너(31)와 제2 컨테이너(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증발유로(318)의 상측에 위치하여 증발유로(318)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제2 컨테이너(32)의 복수의 챔버들(321, 3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제2 컨테이너(32)의 복수의 챔버들(321, 322)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연결유로(319)는 제2 컨테이너(32)의 복수의 챔버들(321, 3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제1 과립챔버(32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챔버홀(32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제2 과립챔버(322)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챔버홀(323)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챔버들 중 제1 연결유로(319)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챔버 혹은 챔버들(이하, 나머지 챔버)은,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나머지 챔버에 형성된 홀들은 폐쇄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의 하부에는 제1 흡입구(301,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의 상부에는 제1 토출구(3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01)는 증발챔버(312)와 연통될 수 있다. 증발챔버(312)는 제1 흡입구(3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토출구(302)는 상부챔버홀(324)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토출구(302)는 상부챔버홀(32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329, 도 5 참조)는 제1 토출구(302) 및 상부챔버홀(3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329)는 제1 토출구 및 상부챔버홀(32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토출구(302)는 제2 흡입구(341)와 마주하여, 흡입유로(343)와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3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는 제1 토출구(302)를 통해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3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들은 제1 유로 또는, 카트리지유로라 지칭될 수 있다. 제1 유로는 제1 흡입구(301) 및 제1 토출구(302)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0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를 지나 제1 토출구(302)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유로는, 제2 컨테이너(32)의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와 제1 컨테이너(31)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어퍼케이스(20)의 헤드커버(23)는 컨테이너헤드(3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커버(23)는 컨테이너헤드(33)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돌기(117)는 수용공간(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고정돌기(117)는 고정홈(317, 도 2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컨테이너(32)가 수용공간(11) 내에서 회전할 때, 제1 컨테이너(31)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끼움홈(137)은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끼움돌기(337)는 끼움홈(137)에 끼워질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트리지(30)를 수용공간(11) 내에 삽입할 때 카트리지(30)를 정확한 위치로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1) 내에서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할 때, 컨테이너헤드(33)는 제2 컨테이너(32)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40)는 제2 컨테이너(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4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40)는 카트리지기어(41), 다이얼기어(42), 다이얼(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축과 나란한 회전축을 지닐 수 있다. 다이얼기어(42) 및/또는 다이얼(43)의 회전축은 다이얼축(45)이라 지칭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의 다이얼축(45)은 컨테이너축(325)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배터리(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카트리지(30)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제2 컨테이너(32)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다이얼(43)을 회전시켜 회전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제2 컨테이너(3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과 직접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는 하우징(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는 제2 컨테이너(32)와 동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는 내주면의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은 수용공간(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은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는 카트리지기어(41)의 외주면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43)은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43)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이얼(43)은 다이얼기어(42)와 동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이얼(43)은 다이얼축(45)을 중심으로 다이얼기어(4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축(45)은 컨테이너축(325)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다이얼(43)을 회전시켜 제2 컨테이너(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이얼(43)은 상부하우징(13)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43)은 배터리(5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쥔 상태에서 편리하게 다이얼(43)을 회전시킬 수 있다.
로터리스위치(44)는 다이얼기어(42) 및/또는 다이얼(43)의 동축상에 설치될 수 있다. 로터리스위치(44)는 배터리(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스위치(44)는 다이얼기어(42) 및/또는 다이얼(43)이 회전함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여 제2 컨테이너(3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로터리스위치(44)를 통해 제1 연결유로(319) 및 제1 토출구(302)가 복수의 과립챔버 중 어느 과립챔버와 연통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50)는 수용공간(1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0)는 수용공간(11) 및/또는 카트리지(3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0)는 다이얼기어(42) 회전축의 길이방향에서 다이얼기어(42)와 수용공간(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50)의 용량 확보를 위하여 배터리(50)의 부피가 증가하더라도, 제품이 불필요하게 길어지지 않고 사용자들의 손의 크기에 맞도록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50)의 상하측에 기어어셈블리(40), 안착부(14), 유동감지센서(60), 진동모터(90) 등의 구성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60)는 배터리(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60)는 수용공간(11)의 하부 측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싱홀(61)은 유동감지센서(60)와 수용공간(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60)는 제1 흡입구(301)를 통해 카트리지(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안착부(14)는 배터리(50)의 상측에서 상부하우징(13)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4)는 다이얼기어(42) 및 다이얼(4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14)는 다이얼기어(42)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에서 다이얼기어(42) 및/또는 다이얼(4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소켓(80)은 하우징(1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소켓(80)은 충전단자와 연결되어 배터리(50)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진동모터(9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진동모터는 하우징(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모터(90)는 제어부(7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배터리(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하우징(10)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수용공간(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히터(314), 로터리스위치(44), 배터리(50), 유동감지센서(60), 소켓(80), 진동모터(90) 등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히터(314)가 심지(313)를 가열하도록 제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유동감지센서(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0)는 유동감지센서(60)가 공기의 유동을 감지한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로터리스위치(44)로부터 전기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70)는 로터리스위치(44)로부터 입력받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진동모터(90)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컨테이너(31)는 외면을 구성하는 실린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상챔버(311)는 실린더(3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실린더(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증발관(318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관(3180)은 액상챔버(31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증발하우징(3120)은 증발관(3180)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증발하우징(3120)의 하부는 반경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린더(310)와 연결될 수 있다. 증발챔버(312)는 증발하우징(31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챔버(312)는 증발유로(318)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심지(313)는 증발하우징(3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14)는 증발하우징(3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14)는 심지(313)를 감으며 둘러쌀 수 있다. 히터(314)는 심지(313)를 둘러싸는 코일 형상일 수 있다. 히터(314)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314)는 코일 히터(314)라 칭할 수 있다. 히터(314)의 코일은 심지(313)의 외주면에 권선될 수 있다.
심지홀(3121)은 증발하우징(3120)에 형성되어, 액상챔버(311)와 증발챔버(312)를 연결할 수 있다. 심지(313)는 심지홀(3121)에 삽입될 수 있다. 기화전 제재는 심지홀(3121)을 통해 심지(313)를 적실 수 있다.
마개(cap, 36)는 카트리지(30)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마개(36)는 제1 컨테이너(3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36)는 실린더(3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마개(36)의 외면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실린더(310)의 외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01)는 마개(36)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01)는 증발챔버(3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62)는 제1 흡입구(301)의 주위에서 마개(36)의 바닥(36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62)는 마개(36)의 바닥(36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흡입구(301)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연장부(362)는 마개(36)의 바닥(361)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챔버(311)로부터 기화전 제재가 누출되더라도 제1 흡입구(301)를 통하여 카트리지(3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365)는 마개(36)의 외주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365)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365)는 실린더(310)의 하부의 내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림(367)은 연결부(365)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림(367)은 실린더(3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부실런트(37) 혹은 하부실러(37)는 마개(36)와 증발챔버(3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실러(37)는 증발하우징(3120)과 함께 증발챔버(312)를 구획할 수 있다. 하부실러(37)의 바디(373)는 증발하우징(3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유입구(371)는 하부실러(37)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증발유입구(371)는 하부실러(37)의 바디(373)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유입구(371)는 제1 흡입구(301)와 증발챔버(312)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흡입구(301) 및 증발챔버(3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72)는 하부실러(37)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72)는 증발유입구(371)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연장부(372)는 증발유입구(371)의 주위에서 하부실러(37)의 바디(37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72)는 하부실러(37)의 바닥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3)에 흡수된 기화전 제재가 증발유입구(371)를 통해 하측으로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액상챔버(311)로부터 증발챔버(312)로 이동한 기화전 제재가 증발유입구(371)및 제1 흡입구(301)를 통해 카트리지(3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림(375)은 하부실러(37)의 외주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림(375)는 하부실러(37)의 바디(373)의 외주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3122)는 증발하우징(3120)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림(375)은 리브(3122)와 실린더(310)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하부림(377)은 하부실러(37)의 외주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림(377)은 마개(36)에 형성된 림(367)과 실린더(310)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부림(375)과 하부림(377)의 외주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림(375)과 하부림(377)은 실린더(31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마우스피스(3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공기 및 에어로졸의 유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3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는 하우징(10)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수용공간(11)과 카트리지(3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수용공간(11)과 카트리지(30) 사이를 통과한 공기는 제1 흡입구(301)를 통해 제1 컨테이너(31) 내부의 증발챔버(312)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증발챔버(312) 내에 있는 에어로졸을 동반하여 증발유로(318)를 통과할 수 있다. 증발유로(318)를 통과한 에어로졸은 제1 연결유로(319) 및 하부챔버홀(323)을 차례로 거쳐 제2 과립챔버(322)로 유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제2 과립챔버(322) 내부의 매질을 통과하며, 상부챔버홀(324)을 거쳐 제1 토출구(302)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제1 토출구(302)를 통과한 에어로졸은 제2 흡입구(341)로 유입되고, 흡입유로(343)를 통과하여 제2 토출구(342)를 통해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디스크(327)는 컨테이너축(325)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크스(327)는 회전축(3251)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체결홀(3271)은 제2 디스크(327)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3271)은 제2 디스크(327)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278)는 체결홀(3271)을 관통할 수 있다. 체결부재(3278)는 회전축(3251)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재(3278)는 회전축(3251)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3278)는 제2 디스크(327)와 컨테이너축(325)을 결합할 수 있다.
제2 디스크홀(3279)은 제2 디스크(327)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스크홀(3279)은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스크홀(3279)은 상부챔버홀(324)과 연결(또는 연통)될 수 있다. 제2 디스크홀(3279)은 복수의 과립챔버들(321, 322)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챔버홀(324)과 연결 또는 연통될 수 있다. 복수의 과립챔버들(321, 322) 중 어느 하나는 상부챔버홀(324) 및 제2 디스크홀(3279)을 통해 연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디스크(327)와 컨테이너헤드(33) 사이에 제2 연결유로(329)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제2 디스크(327)에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컨테이너 헤드(33)는 제2 디스크(327)에 고정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에 제1 토출구(3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302)는 제2 연결유로(329)와 연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카트리지기어(41)는 제2 가이드슬릿(326)에 삽입되는 내주돌기(416)를 포함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2 가이드슬릿(326)에 삽입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2 가이드슬릿(326)과 맞물릴 수 있다. 내주돌기(416)가 제2 가이드슬릿(326)에 맞물려 카트리지기어(41)와 제2 컨테이너(32)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내주돌기(416)를 따라 카트리지(30)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내주돌기(416)가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단은 카트리지(30)가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로써 기능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은 제2 가이드슬릿(32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은 연속된 면을 형성하여 내주돌기(416)를 따라 카트리지(30)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컨테이너헤드(3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6는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마우스피스(34)는 안착부(14)에 안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하우징(1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어퍼케이스(20)의 오프닝(O)을 폐쇄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의 일면은 오프닝(O)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의 흡입유로(343)는 어퍼케이스(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유로(343)는 카트리지(30)의 길이방향에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캡(35)은 제1 토출구(302)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된 매질과 기화전 제재나, 내부 구성들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의 피봇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34)가 제1 위치로 피봇될 때, 실링캡(35)이 제1 토출구(302) 주위에 형성된 면에 걸리지 않고 마우스피스(34)가 제1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마우스피스(34)는 안착부(1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제1 토출구(302)로부터 이탈하여 제1 토출구(302)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토출구(302)와 제2 흡입구(341)은 접촉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의 흡입유로(343)는 제1 토출구(302)와 연통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의 흡입유로(343)는 제1 토출구(302)를 통해 제1 컨테이너(31) 및 제2 컨테이너(32)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흡입유로(343)는 카트리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입유로(34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안착부(14)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마우스피스(34)의 방향을 정의한다. 좌표계의 FD(Forward Direction)가 향하는 방향은 마우스피스(34)의 전측 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RD(Rear Direction)가 향하는 방향은 마우스피스(34)의 후측 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LD(Lateral Direction)가 향하는 방향은 마우스피스(34)의 좌우방향 또는 측면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UD(Upward Direciton)은 마우스피스(34)의 상측 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DD(Downward Direction)은 마우스피스(34)의 하측 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마우스피스(34)는 마우스피스(34)의 전후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납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흡입구(또는, 유입구)(341)는 마우스피스(34)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구(342)는 마우스피스(34)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343, 도 6 참조)는 마우스피스(34)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흡입구(341)는 유로(343)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토출구(342)는 유로(343)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의 피봇축(355)으로부터 제2 토출구(342)까지의 거리는, 피봇축(355)으로부터 제2 흡입구(341)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유로(343)는 제2 유로(343)라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우스피스(34)의 제2 토출구(342)측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탈착홈(347)은 마우스피스(34)의 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탈착홈(347)은 마우스피스(34)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탈착홈(347)은 제2 흡입구(341)보다 제2 토출구(34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실링캡(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와 결합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제2 토출구(342)보다 제2 흡입구(34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피봇축(355)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피봇축(355)은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의 중심, 또는 피봇 중심이라 지칭할 수 있다. 피봇축(355)은 마우스피스(34) 또는 실링캡(35)의 양 측면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피봇축(355)은 상하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피봇축(355)은 제2 토출구(342)보다 제2 흡입구(34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캡(35)은 연장부(352)의 하단으로부터 마우스피스(3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실링면(3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면(356)은 실링캡(35)의 하단에서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링면(356)은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될 때, 제1 토출구(302)의 주변에 접촉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가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실링면(356)은 제1 토출구(302)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토출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도 5 참조). 마우스피스(34)가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실링면(356)은 제1 토출구(302)의 주위에 배치된 가스켓(331, 도 11 참조)에 밀착될 수 있다. 가스켓(331)은 도킹부재(docking member) 또는 도킹링(docking ring)이라 지칭할 수 있다.
제1 실링면(356)은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면(356)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1 평탄부(356a) 및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 라운딩부(34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부(356a)는 연장부(352)의 하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라운딩부(346b)는 제1 평탄부(356a)로부터 제2 흡입구(341)를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라운딩부(356b)는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의 중심과 인접한 위치에서 곡률반경의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될 때, 실링캡(35)의 제1 실링면(346)이 제1 토출구(302) 주위에 형성된 면에 걸리지 않고 마우스피스(34)가 제1 및 제2 위치로 부드럽게 피봇될 수 있다. 제1 실링면(356) 및/또는 실링캡(35)의 끝단은, 마우스피스(34)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마우스피스(34)와의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공간(S)의 전방과 하방은 연장부(352) 및 제1 실링면(346)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실링캡(35)의 연장부(352)와 제1 실링면(346)은 후크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캡(35)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캡(35)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34)가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제1 실링면(356)이 제1 토출구(302)와 접촉하며, 공간(S)이 형성된 방향으로 함몰되어 제1 토출구(302)를 가압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마우스피스의 후면을 구성하며, 제2 흡입구(341)를 둘러싸는 제2 실링면(3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면(346)은 제2 흡입구(341)의 주변에서 마우스피스(34)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링면(346)은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될 때, 제1 토출구(302)의 주변에 접촉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가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실링면(346)은 제1 토출구(30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흡입구(341)는 제1 토출구(302)와 연통될 수 있다(도 6 참조). 마우스피스(34)가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실링면(346)은 제1 토출구(302)의 주위에 배치된 가스켓(331, 도 11 참조)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실링면(346)은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면(346)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2 평탄부(346a) 및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2 라운딩부(34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탄부(346a)는 제2 라운딩부(346b)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라운딩부(346b)는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라운딩부(346b)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라운딩부(346b)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마우스피스(34)의 피봇 방향의 중심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평탄부(346a)는 제2 라운딩부(346b)로부터 마우스피스(34)의 상측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되어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피스(34)가 피봇될 때, 마우스피스(34)의 제2 실링면(346)이 제1 토출구(302) 주위에 형성된 면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제1 및 제2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스프링(344)은 마우스피스(34)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344)은 실링캡(35)에 형성된 슬릿(354)을 통과하여 마우스피스(34)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스프링(344)의 일부는 마우스피스(34)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실링캡(35)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조립돌기(359)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돌기(359)는 실링캡(35)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조립홈(349)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홈(349)은 마우스피스(34)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립돌기(359)는 조립홈(349)에 삽입될 수 있다. 실링캡(35)은 마우스피스(34)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마우스피스(34)로부터 마우스피스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스프링결합축(34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결합축(345)은 피봇축(355)과 동일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344)은 스프링결합축(345)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프링결합축(345)에 권취될 수 있다. 스프링(344)의 일단은 마우스피스(34)에 접촉되고, 스프링(344)의 타단은 마우스피스(34)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마우스피스(34)는 컨테이너헤드(3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홀(335)은 컨테이너헤드(3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피봇축(355)은 샤프트홀(335)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샤프트홀(335)에 삽입된 피봇축(355)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홀(335)은 컨테이너헤드(33)의 상측부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마우스피스(34)가 배치되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측면부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상측부와 측면부가 ‘ㄱ’자로 연속되어 개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는 컨테이너헤드(33)의 개방된 부분을 따라 피봇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의 바닥면에 제1 토출구(3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302)는 제2 컨테이너(32)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유로(329)와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30)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연결유로(329)를 거쳐 제1 토출구(30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가스켓(331)은 제1 토출구(302)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331)은 컨테이너헤드(33)의 바닥면에서 제1 토출구(302)를 둘러쌀 수 있다. 가스켓(331)은 컨테이너헤드(3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스켓(331)은 컨테이너헤드(33)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스켓(331)은 제2 흡입구(341)를 둘러싸도록 제2 흡입구(341)의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스켓(331)은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가 제1 위치에 위치하면, 가스켓(331)은 실링캡(35)의 제1 실링면(356)과 밀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34)가 제2 위치에 위치하면, 가스켓(331)은, 제2 흡입구(341)의 주변에서 마우스피스(34)의 후면을 구성하는 제2 실링면(346)과 밀착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스프링삽입구(33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삽입구(334)는 컨테이너헤드(3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삽입구(334)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34)의 하측으로 노출된 스프링(344)의 끝단은 스프링삽입구(33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344)은 컨테이너헤드(33)에 고정되고, 마우스피스(34)에 연결되어, 제2 위치를 향해 마우스피스(34)를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344)은 복원력을 통하여 마우스피스(34)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는 제2 컨테이너(32)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헤드(33)의 바닥면에 조립구(338)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나사(328)는 조립구(338)를 관통하여 제2 컨테이너(32)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내벽(12)은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내벽(12)은 하우징(10)과 별도로 이루어져 하우징 내부에 결합(또는 접착)되거나,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12)은 수용공간(11)을 둘러쌀 수 있다. 내벽(1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될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내벽(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카트리지기어(41)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110)는 수용공간(11)을 둘러쌀 수 있다. 커넥터(110)는 수용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수용공간(11)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110)의 내주면의 직경은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커넥터(110)의 내주면은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원통형의 바디(1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는 수용공간(11)을 둘러쌀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는 수용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는 수용공간(11)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의 내주면(112)는 수용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의 내주면(112)은 수용공간(11)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하우징(10)과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110)는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하우징 내벽(12)의 홈(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홈(121)에 삽입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커넥터(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커넥터(110)의 상하 방향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고정돌기(117)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커넥터(1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커넥터바디(1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외측돌기(113)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고정돌기(117)는 커넥터(11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돌기(117)는 커넥터바디(11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117)는 고정홈(317)(도 14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기어(41)는 하우징(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15 참조). 기어삽입구(411)는 카트리지기어(41)의 중공을 구성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에 둘러싸일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은 수용공간(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수용공간(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카트리지기어(41)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내주돌기(416)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내주돌기(416)는 수용공간(11)의 중심(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카트리지기어(41)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내주돌기(416)은 카트리지기어(4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릿(316, 326)에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은 카트리지(30)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수용공간(11)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1 가이드슬릿(316)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2 가이드슬릿(326)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은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은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수용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을 향하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상기 일면의 반대편이 개방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이 개방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카트리지(3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개방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카트리지(30)가 인출되는 방향에서 개방될 수 있다. 기어삽입구(411)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경사면(416a, 416b)를 구비할 수 있다. 내주돌기(416) 카트리지기어(41)의 반경방향에서 외측 길이가 내측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사면(416a, 416b)은 내주돌기(416)의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경사면(416a, 416b)은 내주돌기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경사면(416a)과 제2 경사면(41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내주돌기(416)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내주돌기(416)의 단부 중 수용공간(11)의 개방된 일면 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내주돌기(416)의 단부 중 기어삽입구(411)의 일면 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내주돌기(416)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내주돌기(416)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내주돌기(416)의 단부 중 수용공간(11)의 개방된 일면 반대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내주돌기(416)의 단부 중 기어삽입구(411)의 타면(상기 일면의 반대면) 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제2 경사면(416b)은 내주돌기(416)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수용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을 향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수용공간(11)의 개방된 일면 및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하측으로 갈수록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기어삽입구(411)의 개방된 일면을 향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기어삽입구(411)의 개방된 일면 및 기어삽입구(411)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카트리지(30)가 기어삽입구(4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기어삽입구(4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1 경사면(416a)은 하측으로 갈수록 기어삽입구(4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단은 제1 경사면(416a)을 마주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단은 제1 경사면(416a)과 나란하게 경사질 수 있다(도 5 참조).
제2 경사면(416b)은 수용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의 반대편을 향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수용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의 반대편 및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상측으로 갈수록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기어삽입구(411)의 개방된 일면의 반대편을 향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기어삽입구(411)의 개방된 타면을 향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기어삽입구(411)의 개방된 일면의 반대편 및 기어삽입구(411)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카트리지(30)가 기어삽입구(41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기어삽입구(4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2 경사면(416b)은 상측으로 갈수록 수용공간(11)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30)를 수용공간(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30)를 수용공간(11)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30)를 기어삽입구(4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30)를 기어삽입구(411)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슬릿(316)과 내주돌기(416)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카트리지(30)를 수용공간(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슬릿(3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카트리지(30)를 용이하게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카트리지(30)는 카트리지기어(41)의 내부에 형성된 기어삽입구(411)에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30)는 카트리지기어(41)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의 회전축 방향은 상하방향일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릿(316, 326)에 삽입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릿(316, 326)을 따라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은 내주돌기(416)와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은 카트리지(3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카트리지(3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카트리지기어(41)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와 제2 가이드슬릿(326)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내주돌기(416) 각각은 복수의 제2 가이드슬릿(326)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30)의 원주방향은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의 원주방향은 카트리지기어(41)의 회전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와 카트리지기어(41)의 회전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돌기(117, 도 12 참조)는 고정홈(317)에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3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완전히 삽입되면, 끼움돌기(337)는 끼움홈(137, 도 6 참조)에 삽입되어, 컨테이너헤드(3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완전히 삽입되면, 내주돌기(416)는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기어(41)가 회전하면, 내주돌기(416)와 제2 가이드슬릿(326)이 맞물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할 때, 제1 컨테이너(3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할 때, 컨테이너헤드(33) 및 마우스피스(3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넓어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2 컨테이너(32)의 하단에서 가장 폭이 넓을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하단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폭(w2)이 점차 좁아지며, 소정의 높이에서부터 폭(w1)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부의 폭(w2)은,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부의 폭(w2)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의 폭(w3)은,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부의 폭(w2)과 같아질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의 폭(w3)은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부의 폭(w1)과 같거나, 더 넓을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은 내주돌기(416)와 폭이 동일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부의 폭(w1)은 내주돌기(416)의 폭(w0, 도 13 참조)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부의 폭(w2)은 내주돌기(416)의 폭(w0)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16)의 폭(w3)은 내주돌기(416)의 폭(w0)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슬릿(3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의 경계가 약간 틀어진 상태에 있더라도, 카트리지(30)가 기어삽입구(411)에 삽입될 때, 내주돌기(416)가 제1 가이드슬릿(3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의 경계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제1 가이드슬릿(316) 및 제2 가이드슬릿(326)의 경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유로(319)와 하부챔버홀(323)을 완전하게 연통시켜 에어로졸의 유동 효율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카트리지기어(41)는 다이얼기어(42)와 맞물려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카트리지기어(41)와 다이얼기어(42)의 회전축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나사산(412)은 카트리지기어(4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산(422)은 다이얼기어(4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산(412)과 제2 나사산(422)은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제1 나사산(412)의 높이와 제2 나사산(422)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43)과 다이얼기어(42)는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다이얼(43)과 다이얼기어(42)는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요철(432)은 다이얼(4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432)의 높이는 제1 나사산(412) 및 제2 나사산(4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다이얼(43)을 회전시킬 수 있다(도 1 참조). 사용자가 다이얼(43)을 회전시키면, 다이얼기어(42) 및 카트리지기어(41)가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제2 컨테이너(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8을 참조하면, 마개(36, cap)는 카트리지(30)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마개(36)는 캡(36)이라 칭할 수 있다. 마개(36)는 하측캡(36)이라 칭할 수도 있다. 마개(36)는 실린더(310, 도 4 참조)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36)는 실린더(310)에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마개(36)는 실린더(310)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구(307)는 마개(36)가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07)는 마개(36)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삽입구(307)는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축의 연장선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하, 삽입구(307)는 삽입홈(307)이라고도 한다.
베이스(16)는 수용공간(11)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삽입돌기(167)는 베이스(16)의 바닥면(168)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167)는 베이스(16)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삽입돌기(167)는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축의 연장선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삽입구(307)와 삽입돌기(167)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삽입돌기(167)는 삽입구(307)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돌기(167)는 상측으로 연장된 원기둥(pill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돌기(167)의 상단부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돌기(167)의 상단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테이너(31) 및 카트리지(30)가 지정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돌기(167)와 삽입구(307)의 위치가 완전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삽입돌기(167)의 상단부와 삽입구(307)가 접촉되어 카트리지(30)가 제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하더라도, 제1 컨테이너(3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단자(164)는 베이스(16)의 바닥면(168)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단자(164)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베이스(16)의 중심에서 서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단자(164)는 상측으로 연장된 원기둥(pill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자(164)는 배터리(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단자(304)는 마개(36)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304)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마개(36)의 중심에서 서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단자(304)는 히터(3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164)와 제2 단자(30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제2 단자(304)는 제1 단자(164)와 접촉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164)는, 히터(314)가 심지(313)를 가열하도록, 제2 단자(304)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9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커넥터(110)는 원통형의 바디(1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카트리지(30)의 회전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돌기(117)는 커넥터(110)의 내주면(11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커넥터(110)에 홈(114, 115)이 형성될 수 있다. 홈(114, 115)은 커넥터바디(111)를 관통할 수 있다.
넥(116, 118)은 홈(114, 115)에서 돌출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넥(116, 118)은 커넥터바디(111)로부터 홈(114, 115)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넥(116, 118)은 상하방향으로 커넥터바디(111)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돌기(117, 119)는 넥(116, 118)으로부터 커넥터(1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하, 고정돌기(117, 119)는 헤드(117, 119)라고 칭할 수 있다. 헤드(117, 119)는 고정홈(317)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117, 119)는 제1 컨테이너(3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117, 119)는 제1 컨테이너(3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하더라도 헤드(117, 119)가 고정홈(317)에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31)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커넥터(110)의 하부에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홈(114)은 커넥터(1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넥(116)은 하부홈(114)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넥(116)은 커넥터바디(111)로부터 하부홈(114)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헤드(117)는 제1 넥(116)으로부터 커넥터(1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1 헤드(117)는 제1 컨테이너(31)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317)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고정홈(3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헤드(11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헤드(117)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넥(116) 및 하부홈(114)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넥(116)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홈(114)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부홈(114)보다 상측에 중간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홈(115)은 원주방향으로 하부홈(114)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넥(118)은 중간홈(115)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넥(118)은 커넥터바디(111)로부터 중간홈(115)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 헤드(119)는 제2 넥(118)으로부터 커넥터(1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2 헤드(119)는 제1 컨테이너(31)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317)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고정홈(3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헤드(119)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헤드(119)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넥(118) 및 중간홈(115)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넥(118)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홈(115)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바디(11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수용공간(11)은 하우징(10) 및 상부하우징(1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3)은 수용공간(1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20)는 상하로 개방된 측면(22)과 측면(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20)는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하우징(1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오프닝(O)은 상면(21)에 형성될 수 있다. 오프닝(O)은 상하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끼움홈(137, 도 3 참조)은 수용공간(11)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측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끼움홈(137)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끼움홈(137)에 끼움돌기(337)가 삽입될 수 있다.
경사면(143)은 안착부(14)로부터 카트리지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경사면(143)은 실링캡(35, 도 2 참조)의 회전(피봇)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끼움홈(137)은 경사면(143)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실린더(310)는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실린더 캡(310C)은 개구된 실린더(310)의 상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실린더 캡(310C)은 이너 파트(3101), 아우터 파트(3102), 그리고 림(310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너 파트(3101)는 링형상의 원판일 수 있다. 아우터 파트(3102)는 링형상의 원판일 수 있고, 이너 파트(3101)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파트(3102)는 이너 파트(3101)와 함께 하나의 원판을 형성할 수 있다. 림(3103)은 이너 파트(3101)와 아우터 파트(3102)를 구획할 수 있다. 림(3103)은 아우터 파트(3102) 및 이너 파트(310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링형상의 벽(wall)일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이너 파트(3101)에 삽입될 수 있다. 증발유로(318)는 이너 파트(3101)를 관통할 수 있다.
실런트(3104)는 이너 파트(3101)를 덮을 수 있다. 실런트(3104)는 링 형상의 원판일 수 있다. 실런트(3104)는 이너 파트(3101)와 접촉할 수 있고, 실런트(3104)의 외주면은 림(3103)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실런트(3104)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런트(3104)는 러버(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 내지 26을 참조하면, 제1 컨테이너(31)는 제2 컨테이너(3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제2 컨테이너(32)와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 디스크(coupling disc, 38)는 제1 컨테이너(31)와 제2 컨테이너(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플링 디스크(38)는 제1 컨테이너(31)에 고정되고, 제2 컨테이너(3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커플링 디스크(38)는 바디(381), 센터홀(382), 결합홈들(383), 그리고 덕트(38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81)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일 수 있다. 센터홀(382)은 바디(381)의 회전중심에서 바디(38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들(383)은 커플링 디스크(38)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들(383)은 제2 컨테이너(32)와 마주할 수 있다.
덕트(384)는 제1 파트(384a)와 제2 파트(3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84a)는 센터홀(38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파트(384a)는 전체적으로 길게 연장된 커넬(canal) 또는 터브(tub) 형상일 수 있다. 제1 파트(384a)의 일단은 막힐 수 있고, 제1 파트(384a)의 타단은 개방될 수 있다. 제2 파트(384b)는 전체적으로 중공된 부채꼴 형상의 벽(wall)일 수 있다. 제2 파트(384b)는 제1 파트(384a)의 개방된 타단과 연통될 수 있다. 덕트(384)의 제2 파트(384b)는 센터홀(382)에 대하여 결합홈(383)과 대향할 수 있다.
결합돌기들(3253P)은 제1 디스크(3253)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들(3253P)은 복수개일 수 있다. 결합돌기들(3253P)의 개수는 커플링 디스크(38)의 결합홈들(383)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커플링 디스크(38)가 제2 컨테이터(32)에 삽입되면, 결합돌기들(3253P)은 결합홈들(383)에 삽입될 수 있다. 덕트(384)의 제2 파트(384b)는 제1 디스크(3253)의 디스크홀;(3259)에 삽입될 수 있다. 증발유로(318)를 통해 유동하는 기체는 덕트(384)의 제1 파트(384a) 및 제2 파트(384b)를 통하여 제2 컨테이너(32)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7 내지 29를 참조하면, 제2 컨테이너(32)는 복수개의 챔버들(321,322)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챔버들(321,322)은 서로 구획되어, 제1 챔버(321a), 제2 챔버(321b), 제3 챔버(322a), 그리고 제4 챔버(322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25)은 복수개의 챔버들(321,322)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챔버(321a)는 회전축(325)에 대하여 제3 챔버(322a)와 대향할 수 있고, 제2 챔버(321b)는 회전축(325)에 대하여 제4 챔버(322b)와 대향할 수 있다. 복수개의 챔버(321,322)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챔버 바텀(3211a)은 제1 챔버(321a)의 개방된 하단을 막을 수 있다. 제2 챔버 바텀(3211b)은 제2 챔버(321b)의 개방된 하단을 막을 수 있다. 제3 챔버 바텀(3221a)은 제3 챔버(322a)의 개방된 하단을 막을 수 있다. 제4 챔버 바텀(3221b)은 제4 챔버(322b)의 개방된 하단을 막을 수 있다.
챔버튜브들(3212a,3212b,3222a,3222b)은 챔버바텀들(3211a,3211b,3221a,3221b)에 형성될 수 있다. 챔버튜브들(3212a,3212b,3222a,3222b)은 전체적으로 중공된 깔대기 형상일 수 있다. 챔버튜브들(3212a,3212b,3222a,3222b)은 이를 유동하는 기체를 확산시킬 수 있다.
챔버 커버(CC)는 챔버튜브들(3212a,3212b,3222a,3222b)이 연통되는 홀들(323)을 구비할 수 있고, 회전축(325)에 대하여 챔버들(321,32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홀(323)은 하부챔버홀(323)이라 칭할 수 있다. 챔버 커버(CC)는 챔버들(321,32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는 챔버 커버(CC)에 결합되고, 회전축(325)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홀(3259)은 챔버들(321,322)이 회전하면서 챔버튜브들(3212a,3212b,3222a,3222b) 및 홀들(H)에 정렬될 수 있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챔버루프(3241)는 챔버들(321,322, 도 27 참조)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다. 챔버루프(3241)는 링형상의 원판일 수 있다. 챔버루프(3241)는 회전축(3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챔버루프(3241)는 챔버들(321,322)에 고정되어 챔버들(321,32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챔버루프(3241)는 회전축(325)에 고정될 수 있고, 챔버들(321,322)은 챔버루프(3241)와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도 있다. 상부챔버홀(324)은 챔버루프(3241)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챔버홀들(324)은 하부챔버홀들(323)에 개수 및/또는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챔버커버(3242)는 챔버루프(3241)와 마주하거나 대향할 수 있다. 챔버튜브들(3243)은 챔버커버(3242)와 챔버루프(32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챔버튜브들(3243)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일 수 있고, 갈때기 형상일 수도 있다. 챔버루프(3241)에 가까운 챔버튜브(3243)의 직경은 챔버커버(3242)에 가까운 챔버튜브(3243)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가 챔버튜브(3243)를 통과하면서 확산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2 디스크(327)는 상판(327a)과 하판(327b)을 구비할 수 있다. 하판(327b)은 제2 컨테이너(3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판(327a)은 하판(327b)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디스크홀(3279)은 상판(327a)과 하판(327b)을 관통하여 제2 디스크(327)에 형성될 수 있다.
실런트(3244)는 챔버커버(3242, 도 31 참조)와 하판(327b)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디스크홀(3279)의 주위를 밀폐할 수 있다. 실런트(3244)는 하판(327b)에 고정되고, 챔버커버(3242)와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2 디스크(327)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부챔버홀(324)은 제2 디스크홀(327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챔버홀(324) 및 제2 디스크홀(3279)을 통과하는 기체는 컨테이너헤드(33)에 형성된 제1 토출구(302)를 통과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300)는 하우징(10)이 제공하는 수용공간(11)에 삽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카트리지(300) 내부에서 생성되며, 카트리지(300)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제1 컨테이너(39)와 제2 컨테이너(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는 액체를 수용하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9)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9)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9)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와 제2 컨테이너(32)는 서로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guide slit)(3916)은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은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은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제1 가이드슬릿(3916)은 제1 가이드레일(3916)이라고도 한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면, 제2 가이드슬릿(326)은 제1 가이드슬릿(3916)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단은 제1 가이드슬릿(3916)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단의 폭은 제1 가이드슬릿(3916)의 상단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은 하단의 폭 및/또는 상단의 폭이 가장 넓을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은 제1 컨테이너(39)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3916)은 가이드 레일, 가이드채널(guide channel) 또는 가이드홈(guide groove)이라 칭할 수 있다.
고정홈(3917)은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917)은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고정홈(3917)은 제1 가이드슬릿(3916)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917)은 제1 가이드슬릿(3916)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17, 도 3 참조)는 고정홈(3917)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3917)은 실린더(391, 도 35 참조)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홈(3917)의 길이는 폭보다 클 수 있다. 고정돌기(117)는 고정홈(3917)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391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홈(3917)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1 고정홈(3917)과 제1 고정홈(3917)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제2 고정홈(39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홈(3917)은 제1 고정홈(3917)보다 제2 컨테이너(3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홈(3917)과 제2 고정홈(3917)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홈(391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홈(3917)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수용공간(11)의 하부에 고정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수용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 제1 컨테이너(39)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3917) 또는 고정돌기를 제1 회전제한부(3917)라하고, 수용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17) 또는 고정홈을 제2 회전제한부(117)라고도 한다.
헤드(117, 119, 도 19 참조)는 제1 컨테이너(39)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30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117, 119)는 제1 컨테이너(39)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하더라도 헤드(117, 119)가 고정홈(3917)에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39)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헤드(117)는 제1 컨테이너(39)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3917)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고정홈(39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헤드(119)는 제1 컨테이너(39)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3917)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고정홈(39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 도 2 참조)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제2 컨테이너(32)의 상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헤드(33)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컨테이너헤드(3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되는 마우스피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실링캡(35)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30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어퍼케이스(20)의 헤드커버(23)는 컨테이너헤드(3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60)는 제1 흡입구(3901)를 통해 카트리지(3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300)는 카트리지기어(41)의 내부에 형성된 기어삽입구(411)에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는 카트리지기어(41)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릿(3916, 326)에 삽입될 수 있다. 내주돌기(416)는 제1 및 제2 가이드슬릿(3916, 326)을 따라 카트리지(30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은 내주돌기(416)와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은 카트리지(3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의 원주방향은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카트리지(300)가 수용공간(11)에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돌기(117, 도 12 참조)는 고정홈(9317)에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39)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할 때, 제1 컨테이너(39)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의 폭(w3)은,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제2 가이드슬릿(326)의 하부의 폭(w2)과 같아질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의 폭(w3)은 제2 가이드슬릿(326)의 상부의 폭(w1)과 같거나, 더 넓을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3916)의 폭(w3)은 내주돌기(416)의 폭(w0, 도 13 참조)보다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슬릿(39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의 경계가 약간 틀어진 상태에 있더라도, 카트리지(300)가 기어삽입구(411)에 삽입될 때, 내주돌기(416)가 제1 가이드슬릿(3916)과 제2 가이드슬릿(326)의 경계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제1 가이드슬릿(3916) 및 제2 가이드슬릿(326)의 경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크홀(3259)와 하부챔버홀(323)을 완전하게 연통시켜 에어로졸의 유동 효율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396, cap)는 카트리지(300)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마개(396)는 캡(396)이라 칭할 수 있다. 마개(396)는 하측캡(396)이라 칭할 수도 있다. 마개(396)는 실린더(391, 도 35 참조)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396)는 실린더(391)에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마개(396)는 실린더(391)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구(3907)는 마개(396)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907)는 마개(396)의 중심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삽입구(3907)는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축의 연장선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하, 삽입구(3907)는 삽입홈(3907)이라고도 한다.
삽입구(3907)와 삽입돌기(167, 도 18 참조)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삽입돌기(167)는 삽입구(3907)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마개(396)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마개(396)의 중심에서 서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히터(39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164)와 제2 단자(330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가 수용공간(11)에 삽입되면, 제2 단자(3904)는 제1 단자(164)와 접촉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자(164)는, 히터(394)가 심지(393)를 가열하도록, 제2 단자(3904)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는 카트리지(300)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은 마개(39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은 마개(396)의 바닥(396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300)는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 도 2 참조)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는 길게 연장된 실린더(39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91)는 제1 컨테이너(39)의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391)는 내부에 액상챔버(3911, 도 36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린더(391)는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마개(396)는 실린더(39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개(396)는 실린더(391)의 개구된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실런트(398)는 실린더(391)와 마개(39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396)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실런트(398)가 삽입될 수 있다.
증발하우징(392)은 제1 컨테이너(39)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하우징(392)은 실린더(39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하우징(392)은 실린더(391) 내부 공간을 액상챔버(3911)와 공기챔버(3921)로 구획할 수 있다. 증발하우징(392)과 실린더(391) 사이에 액상챔버(3911)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하우징(392)과 마개(396) 사이에 공기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기화전 제재는 액상챔버(311)에 수용될 수 있다. 기화전 제재는 액체일 수 있다.
증발하우징(392)은 심지(393)를 수용할 수 있다. 증발하우징(392) 내부에 심지 수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심지 수용공간에 심지(39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심지 수용공간은 액상챔버(39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심지 수용공간은 액상챔버(3911)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심지 수용공간은 심지(39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심지 수용공간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심지(393)는 제1 컨테이너(39)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93)는 실린더(39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93)는 실린더(391)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93)는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심지(393)는 증발하우징(39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93)는 증발하우징(392)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93)는 기화전 제재를 흡수할 수 있다. 심지(393)는 다공성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심지(393)는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393)는 다공질일 수 있다. 심지(393)는 다공성의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393)는 증발하우징(392) 내부로 유입된 기화전 제재를 흡수할 수 있다.
심지(393)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심지(393)의 길이방향에서 심지(393)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실린더(391)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공기챔버(3921)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증발유로(3935, 도 36 참조)라 칭할 수 있다.
히터(394)는 기화전 제재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94)는 기화전 제재를 증발시킬 수 있다. 히터(394)는 심지(393)에 흡수된 기화전 제재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14)는 심지(313)를 가열하여 심지(313)에 흡수된 기화전 제재를 증발시켜 에이로졸을 형성시킬 수 있다.
히터(394)는 심지(393)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94)는 심지(393)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394)는 제2 단자(3904)에 연결될 수 있다.
히터(394)는 제어부(70, 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히터(39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히터(394)가 심지(393)를 가열하도록 제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서포터(397)는 심지(393)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97)는 심지(393)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397)는 증발하우징(392)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97)는 증발하우징(392)과 마개(39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1 컨테이너(39)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1 컨테이너(39)에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컨테이너축(325)은 제1 컨테이너(39)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는 제1 컨테이너(39)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는 제1 컨테이너(39)와 결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제1 디스크(3253)는 제1 컨테이너(39)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와 컨테이너헤드(33)는 컨테이너축(3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와 컨테이너헤드(33)는 상대적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 컨테이너헤드(33) 및 컨테이너축(325)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컨테이너(39)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와 제2 컨테이너(32)는 제1 연결유로(319)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제1 컨테이너(39)와 제2 컨테이너(3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증발유로(393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19)는 증발유로(3935)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9)의 하부에는 제1 흡입구(3901, 도 37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는 공기챔버(3921)와 연통될 수 있다. 공기챔버(3921)는 제1 흡입구(39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3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는 제1 토출구(302)를 통해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들은 제1 유로 또는, 카트리지유로라 지칭될 수 있다. 제1 유로는 제1 흡입구(301) 및 제1 토출구(302)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를 지나 제1 토출구(302)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유로는, 제2 컨테이너(32)의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와 제1 컨테이너(39)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실린더(391)는 원통형의 외벽(39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3910)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측캡(3912)은 실린더(39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캡(3912)은 외벽(3910)의 개구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캡(3912)은 실린더(391)의 폭 방향에서 배치될 수 있다. 상측캡(3912)은 외벽(391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측캡(3912)은 액상챔버(39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캡(3912)은 액상챔버(3911)의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관(3913, 3914)은 상측캡(3912)에서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관(3913, 3914)은 실린더(391)의 중심 길이 축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3913, 3914)은 상측캡(391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관(3913, 3914)은 증발하우징(392)의 결합부(3927)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관(3913, 3914)은 증발하우징(392)의 결합부(3927)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관(3913)은 상측캡(39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관(3914)은 상측캡(3912)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관(3914)은 증발하우징(392)의 결합부(3927)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관(3914)은 증발하우징(392)의 결합부(3927)에 삽입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연결관(3913, 3914)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증발유로(3935)와 연통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증발유로(3935)와 연결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제1 연결유로(319)에 연통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제1 연결유로(319)에 연결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증발유로(3935)에서 나온 에어로졸을 연결유로(319)로 안내할 수 있다.
실린더(391)의 상단(3918)은 외벽(3910)에서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린더(391)의 상단(3918)은 상측캡(3912)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린더(391)의 상단(3918)과 외벽(3910)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391)의 상단(3918)은 상측림(3918)이라 칭할 수 있다.
심지 하우징(3920)은 실린더(39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하우징(3920)은 실린더(3910)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심지 하우징(3920)은 내부에 심지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심지 하우징(3920)은 심지(393)를 둘러쌀 수 있다.
유입구(3922)는 심지 하우징(392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3922)는 심지 하우징(39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3922)는 실린더(391)의 반경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유입구(3922)는 상기 심지 수용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3922)는 액상챔버(3911)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3922)는 상기 심지 수용공간과 액상챔버(3911)를 연결할 수 있다.
돌출부(3924)는 심지 하우징(39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924)는 심지 하우징(3924)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924)는 링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3924)는 연결관(3913, 39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924)는 제2 연결관 (39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924)는 심지(39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924)는 심지(393)와 연결관(3913, 39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유로(3925)는 돌출부(392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3925)는 토출유로(3915)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로(3925)는 증발유로(3935)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로(3925)는 증발유로(3935)와 토출유로(3915)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유로(3925)는 토출유로(3915)에 연통할 수 있다. 연결유로(3925)는 증발유로(3935)에 연통할 수 있다. 연결유로(3925)는 증발유로(3935)와 토출유로(3915)를 연통시킬 수 있다.
결합부(3927)은 심지 하우징(3920)에서 심지 하우징(39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927)는 연결관(3913, 3914)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3927)는 제2 연결관(3914)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3927)는 제2 연결관(3914)을 둘러쌀 수 있다. 결합부(3927)에 제2 연결관(3914)이 삽입될 수 있다.
파티션(3928)은 실린더(39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3928)은 심지 하우징(39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3928)은 실린더(391)의 반경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파티션(3928)은 심지 하우징(3920)의 하부에서 실린더(39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파티션(3928)의 외측면은 실린더(391)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파티션(3928)은 액상챔버(3911)와 공기챔버(3921)를 구획할 수 있다. 파티션(3928)은 실린더(391) 내부 공간을 액상챔버(3911)와 공기챔버(3921)로 구획할 수 있다.
파티션(3928)의 상측면은 액상챔버(3911)의 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파티션(3928)의 상측면은 실린더의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파티션(3928)의 상측면은 심지(393)에서 실린더(391)를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유입구(3922)는 파티션(3928)의 상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3922)의 하측부는 파티션(3928)의 상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챔버(3911)의 액체는 유입구(3922)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외측림(3929)은 파티션(3928)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외측림(3929)은 실린더(39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외측림(3929)는 링형상일 수 있다.
외측림(3929)는 실린더(391)와 마개(396)의 림(396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림(3929)은 실린더(391)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외측림(3929)은 림(3967)에 접할 수 있다. 림(3967)과 실린더(391)는 이격되어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외측림(3929)이 삽입될 수 있다.
심지(393)는 심지 하우징(39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심지(393)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심지(393)를 관통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심지(393)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공기챔버(3921)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공기챔버(3921)에 연통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유입유로(3975)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유입유로(3975)를 통해 공기챔버(3921)에 연통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토출유로(3915)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토출유로(3915)에 연통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연결유로(3925)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유로(3935)는 연결유로(3925)를 통해 유입유로(3975)에 연결될 수 있다.
히터(394)는 증발유로(3953)를 감싸는 코일(3941)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941)은 심지(393)를 가열할 수 있다. 코일(3941)은 심지(393)에 삽입될 수 있다. 코일은(3941)은 나선형의 형상을 갖고, 심지(393)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코일(3941)은 증발유로(3945)를 감싸는 나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3944)는 코일(3941)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3944)는 제2 단자(3904)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3944)는 코일(3941)과 제2 단자(3904)를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3944)는 서포터(397)를 관통할 수 있다.
서포터(397)는 심지(39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97)는 파티션(3928)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397)는 파티션(3928) 하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3971)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397)는 마개(396)의 바닥(3961)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3973)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397)는 플레이트(3971)와 링(3973)을 연결하는 브릿지(397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971)는 파티션(3928)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3971)는 마개(396)의 림(3967)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3971)는 와이어(3944)를 지지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서포터(397)를 관통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플레이트(3971)를 관통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공기챔버(3921)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증발유로(3935)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공기챔버(3921)와 증발유로(3935)를 연결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공기챔버(3921)에 연통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증발유로(3935)에 연통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는 공기챔버(3921)와 유입유로(3975)를 연통시킬 수 있다.
유입유로(3975), 증발유로(3935), 연결유로(3925) 및 토출유로(3915)는 하나의 유로(395)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 증발유로(3935), 연결유로(3925) 및 토출유로(3915)는 서로 연결되어 공기챔버(3921)와 제1 연결유로(319)를 연결할 수 있다. 유입유로(3975), 증발유로(3935), 연결유로(3925) 및 토출유로(3915)는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유입유로(3975), 증발유로(3935), 연결유로(3925) 및 토출유로(3915)는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컨테이너 유로(395)는 공기챔버(3921)와 제1 연결유로(319)를 연결할 수 있다. 컨테이너 유로(395)는 실린더(391)의 중심 길이축에 위치할 수 있다. 실린더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컨테이너 유로(395)는 증발유로(393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유로(395)는 토출유로(391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유로(395)는 연결유로(392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유로(395)는 유입유로(3975)를 포함할 수 있다.
링(3973)은 실린더(39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링(3973)은 마개(396)의 연결부(396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3973)은 마개(396)의 연결부(3965)에 접할 수 있다.
링(3973)은 마개(396)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3973)은 바닥(3961)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3972)는 링(3973)과 플레이트(3971)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3972)는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에서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397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브릿지(3972)는 링(3973)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돌기(3978)는 플레이트(3971)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홈(3968)은 마개(396)의 내측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홈(3968)은 림(3967) 또는 연결부(3965)의 내측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돌기(3978)는 홈(3968)에 삽입될 수 있다.
마개(396)는 카트리지(300)의 바닥(3961)을 제공할 수 있다. 마개(396)는 제1 컨테이너(39)의 바닥(3961)을 제공할 수 있다. 바닥(3961)은 실린더(39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3961)은 실린더(391)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다. 바닥(3961)은 실린더(391)의 개구된 하측을 커버할 수 있다.
보스(3964)는 바닥(396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수 있다. 보스(3964)는 바닥(3961)에서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3964)는 제2 단자(3904)를 둘러쌀 수 있다. 보스(3964)는 제2 단자(3904)를 마개(39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마개(396)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보스(3964)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보스(3964)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보스(396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단자(3904)는 카트리지(3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962)는 바닥(3961)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962)는 바닥(3961)에서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962)는 제1 흡입구(3901)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는 마개(396)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는 바닥(3961)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은 제1 연장부(3962)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은 공기챔버(39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입구(3901)은 공기챔버(3922)에 연통할 수 있다.
마개(396)는 바닥(396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부(396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965)는 실린더(391)의 원주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3965)는 실린더(391)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3965)는 실린더(391)의 개구된 하측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3965)는 실린더(391)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홈이 연결부(3965)의 외측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연결부(3965)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홈은 링 형상일 수 있다.
실런트(398)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실런트(398)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실런트(398)는 실린더(391)와 마개(396) 사이 틈으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실런트(398)는 액상챔버(3911) 내의 액체가 카트리지(300) 하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396)는 연결부(3965)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림(3967)을 포함할 수 있다. 림(3967)은 실린더(39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림(3967)은 실린더(391)에서 이격될 수 있다. 림(3967)과 실린더(391)의 이격된 사이에 하측림(3929)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8은 코일(3941)의 나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심지(393)는 중공(3935)이 형성되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심지(393)는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심지(393)는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중공(3935)은 증발유로(3935)라고도 한다. 증발유로(3935)는 심지(393)의 내면(393i)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히터(394)는 심지(393)의 내면(393i)과 외면(393o)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394)는 심지(393)의 내면(393i)과 외면(393o)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홈(3934)은 심지(393)의 내면(393i)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3934)은 히터(394)를 심지(393)의 내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홈(3934)은 심지(393)의 내주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홈(3934)은 심지(39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홈(3934)은 심지(393)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심지(393)의 외측부(3931)는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외측부(3931)은 실린더(391)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외측부(3931)는 증발유로(3935)를 둘러쌀 수 있다. 외측부(3931)는 히터(394)를 둘러쌀 수 있다. 외측부(3931)은 코일(3941)을 둘러쌀 수 있다.
심지(393)의 내측부(3933)는 외측부(3931)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내측부(3933)는 외측부(3931)에서 증발유로(3935)로 돌출될 수 있다. 내측부(3933)는 심지(393)의 길이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홈(3934)은 내측부(3933)에서 함몰될 수 있다.
내측부(393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내측부(3933)는 심지(393)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내측부(3933)들이 서로 이격된 사이에 홈(3934)이 위치할 수 있다.
심지(393)는 외측부(3931)와 내측부(3933)로 구분될 수 있다. 외측부(3931)와 내측부(3933) 사이에 히터(394)가 위치할 수 있다. 외측부(3931)와 내측부(3933) 사이에 코일(3941)이 위치할 수 있다.
히터(394)는 심지(393)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394)의 제1 부분(3942)은 홈(3934)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히터(394)의 제2 부분(3943)은 홈(3934)에 노출될 수 있다. 히터(394)의 제2 부분(3943)은 홈(3934)을 통해 증발유로(3935)에 노출될 수 있다.
히터(394)는 증발유로(3935)를 감쌀 수 있다. 히터(394)는 내측부(3933)를 감쌀 수 있다. 히터(394)는 내측부(39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3941)은 증발유로(3935)를 감쌀 수 있다. 코일(3941)은 내측부(3933)를 감쌀 수 있다. 코일(3941)은 내측부(39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3941)은 외측부(394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3942)는 내측부(39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3942)은 외측부(39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3942)는 내측부(3933)와 외측부(39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3943)은 외측부(39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3943)은 홈(3934)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원활하게 증발유로(3935)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코일(3941)은 증발유로(3935, 도 36 참조)를 감싸는 나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3941)은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심지(39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코일(3941)은 심지(39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코일(3941)은 증발유로(3935)의 출구(3937, 도 37 참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코일(3941)은 증발유로(3935)의 입구(3936, 도 37 참조)보다 출구(393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높은 온도로 제2 컨테이너(32)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코일(3941)은 증발유로(3935, 도 36 참조)를 감싸는 나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3941)은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심지(39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코일(3941)은, 증발유로(3935)의 입구(3936, 도 37 참조)에 인접하고, 증발유로(3935)의 출구(3937, 도 37 참조)에 인접할 수 있다. 코일(3941)은 입구(3936)에 인접한 위치에서 심지(393)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를 지나 출구(3937)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코일(3941)의 입구(3936)측 일단은 상기 중간 위치보다 입구(3936)에 인접할 수 있다. 코일(3941)의 출구(3937)측 타단은 상기 중간 위치보다 출구(3937)에 인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93)의 가열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량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높은 온도로 제2 컨테이너(32)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1 및 42를 참조하면, 실린더(391)는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실린더 캡(310C)은 개구된 실린더(391)의 상측에 삽입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이너 파트(3101)에 삽입될 수 있다. 토출유로(3915)는 이너 파트(3101)를 관통할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제1 컨테이너(39)는 제2 컨테이너(3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제2 컨테이너(32)와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 디스크(coupling disc, 38)는 제1 컨테이너(39)와 제2 컨테이너(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플링 디스크(38)는 제1 컨테이너(39)에 고정되고, 제2 컨테이너(3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4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통신 인터페이스(1010), 입출력 인터페이스(1020),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 메모리(1040), 센서 모듈(1050), 배터리(1060)(예: 도 3의 배터리(50)) 및/또는 제어부(1070)(예: 도 3의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본체(예: 도 1의 하우징(10), 어퍼케이스(20))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예: 도 2의 카트리지(30))와 본체(예: 도 2의 하우징(10), 어퍼케이스(20))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10)는, 외부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0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010)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2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장치(미도시) 및/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는, 터치 패널, 물리적 버튼,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스피커, 버저 등의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햅틱 효과 등의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예: 도 3의 진동모터(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20)는,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액체 상태, 고체 상태, 겔(gel)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물, 솔벤트, 니코틴,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비타민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판상엽 시트, 각초, 과립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끽미 조절제, 가향 물질 등이 포함된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끽미 조절제는,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산화칼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향 물질은, 허브 과립 등의 천연 물질이나, 향 성분을 포함하는 실리카(silica), 제올라이트(zeolite), 덱스트린(dextr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은, 적어도 하나의 히터(예: 도 3의 히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은, 전기 저항성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저항성 히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가열된 전기 저항성 히터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저항성 히터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전도성 트랙은, 관 형상, 판 형상, 침 형상, 봉 형상 및 코일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은,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식을 이용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도 가열식 히터는,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주기적으로 방향이 변하는 교번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교번 자기장이 자성체에 인가되는 경우, 자성체에서 와류손(eddy current loss) 및 히스테리시스손(hysteresis loss)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손실되는 에너지가 열에너지로서 방출됨에 따라, 자성체에 인접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에 의해 발열하는 객체는 서셉터(susceptor)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은,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은, 카토마이저(cartomizer), 무화기(atomizer), 증기화기(vaporizer)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제어부(10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처리된 데이터 및 처리 대상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040)는, 제어부(10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0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04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적어도 하나의 전력 프로파일, 사용자의 흡입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퍼프는 사용자의 흡입을 의미할 수 있고, 흡입은 사용자가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5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50)은, 퍼프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퍼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퍼프 센서는, 압력 센서, 유동감지센서(60)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50)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구비된 구성(예: 배터리(1060))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센서 및/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50)은,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에 포함된 히터가 온도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히터의 전기 저항성 물질은 저항온도계수(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센서 모듈(1050)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히터의 저항을 측정하여 히터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본체에 궐련이 삽입 가능한 경우, 센서 모듈(1050)은,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궐련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가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경우, 센서 모듈(1050)은, 본체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착/분리, 위치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카트리지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의 제2 컨테이너(32)가 회전 가능한 경우, 센서 모듈(1050)은,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하, 회전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궐련감지센서, 카트리지 감지센서 및/또는 회전감지 센서는, 인덕턴스 기반의 센서, 정전 용량형 센서, 저항 센서,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본체에 포함된, 카트리지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1 단자(164)가 카트리지 감지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50)은, 제1 단자(164)에 흐르는 전류, 제1 단자(164)에 인가되는 전압 등에 기초하여, 본체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착/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다이얼기어(42) 및/또는 다이얼(43)의 동축상에 설치되어, 다이얼기어(42) 및/또는 다이얼(43)의 회전에 대응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로터리 스위치(44)가 회전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배터리(1060)는, 제어부(1070)의 제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동작에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6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구비된 다른 구성,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010)에 포함된 통신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1020)에 포함된 출력장치,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에 포함된 히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6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1060)는,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폴리머(Li-Polymer)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배터리(1060)가 충전이 가능한 경우, 배터리(1060)의 충전율(C-rate)은 10C, 방전율(C-rate)은 10C 내지 20C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1060)는 충전/방전이 2000회 진행된 경우에도, 전체 용량의 80% 이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배터리(1060)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인 배터리 보호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모듈(PCM)은, 배터리(1060)의 상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보호모듈(PCM)은, 배터리(1060)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1060)와 연결된 회로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1060)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배터리(106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등에 있어서, 배터리(1060)에 대한 전로를 차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입력되는 충전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본체의 일 측에 배치된 충전단자에 전력선이 연결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충전단자에 연결된 전력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06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충전단자는, USB 통신을 위한 유선 단자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통신 인터페이스(101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에 포함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060)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과 상호 간에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여,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상태, 입출력 인터페이스(10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명령 등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복수의 기능(예: 예열 기능, 가열 기능, 충전 기능, 청소 기능 등)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 전력 프로파일, 사용자의 흡입 패턴 등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060)에서 에어로졸 생성 모듈(1030)로 소정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센서 모듈(1050)에 포함된 퍼프 센서를 통해, 퍼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퍼프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 내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압력 변화, 전압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퍼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퍼프 여부 및/또는 퍼프 횟수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퍼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모리(1040)에 저장된 전력 프로파일에 따라 전력이 히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전력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소정 가열 시간 동안 기 설정된 단위 시간당 전력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히터의 온도가 변경되거나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PWM 방식을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 및 듀티비를 가지는 전류 펄스가 히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70)는, 전류 펄스의 주파수 및 듀티비를 조절하여,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어의 목표가 되는 목표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70)는, 히터의 온도와 목표온도의 차이 값, 차이 값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적분한 값 및 차이 값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미분한 값을 통한 피드백 제어 방식인 PID 방식을 이용하여,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 방식으로 PWM 방식과, PID 방식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비례-적분(Proportional-Integral, PI) 방식, 비례-미분(Proportional-Differential, PD) 방식 등 다양한 제어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소정 조건에 따라,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궐련이 제거된 경우, 카트리지가 분리된 경우,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최대 퍼프 횟수에 도달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퍼프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배터리(1060)의 잔량이 소정 값 미만인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부(1070)는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배터리(1060)에 저장된 전력에 대한 잔여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센서 모듈(1050)에 포함된 전압 센서 및/또는 전류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배터리(1060)의 잔여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복수의 과립챔버(예: 도 3의 과립챔버(321, 322)) 중,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과립챔버(이하, 사용챔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챔버는, 복수의 과립챔버 중, 제1 연결유로(319)와 연결되는 과립챔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회전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과립챔버 중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과립챔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회전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과립챔버가 정위치에 배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과립챔버의 정위치는, 복수의 과립챔버 중 어느 하나와 제1 연결유로(319)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챔버는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복수의 과립챔버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복수의 과립챔버가 정위치에 배열되지 않은 경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카트리지가 사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퍼프 횟수, 히터의 온도, 히터에 공급된 전력, 퍼프 시 유량(flow) 변화, 압력 변화 등에 기초하여, 카트리지가 사용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가 액상챔버(예: 도 3의 액상챔버(311))와 과립챔버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70)는 액상챔버가 사용된 정도와 과립챔버가 사용된 정도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가 복수의 과립챔버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70)는 복수의 과립챔버 각각에 대하여, 사용된 정도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카트리지에 관한 데이터를 메모리(10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카트리지가 액상챔버와 과립챔버를 포함하는 경우, 액상챔버에 관한 데이터와, 과립챔버에 관한 데이터를 메모리(1040)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액상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와,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1040)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카트리지에 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복수의 과립챔버 중 어느 하나가 사용챔버로 결정된 상태에서, 센서모듈(1030)에 포함된 퍼프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퍼프의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가 복수의 과립챔버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70)는 복수의 과립챔버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메모리(1040)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카트리지의 장착/분리에 기초하여, 메모리(10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카트리지의 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메모리(10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카트리지의 장착이 감지되는 경우, 로터리 스위치(4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과립챔버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과립챔버 각각에 관한 데이터를, 결정된 순서에 대응하여 메모리(1040)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이얼기어(42)가 모터에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070)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 컨테이너(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얼기어(42)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스텝모터(step motor)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입력장치를 통해 복수의 과립챔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과립챔버가 제1 연결유로(319)와 연결되도록, 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70)는, 카트리지의 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다이얼기어(4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가 하우징(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어부(1070)는, 입력장치를 통해 다이얼기어(42)를 회전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다이얼기어(42)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동작 제어를 생략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응하는 전력이 히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퍼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흡입에 관한 퍼프 횟수에 기초하여, 메모리(1040)에 저장된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퍼프 횟수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히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10 동작에서,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복수의 과립챔버 중, 제1 컨테이너(3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사용챔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로터리 스위치(44)는, 회전축(470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샤프트(shaft)(4710)와, 고정 컨택(4720)과,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변 컨택들(47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기어(42) 및/또는 다이얼(43)의 회전에 대응하여 로터리 스위치(44)의 샤프트(4710)가 회전하는 경우, 고정 컨택(4720)은 샤프트(4710)에 의해 다수의 가변 컨택들(4730)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통전될 수 있고, 로터리 스위치(44)는 다수의 가변 컨택들(4730) 중 하나와 고정 컨택(4720) 간의 통전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복수의 가변 컨택들(4730) 중, 초기 설정 시 로터리 스위치(44)가 출력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제1 가변 컨택(4731)을 기준 컨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가변 컨택들(4730)의 개수는,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의 개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기준 컨택으로 결정된 제1 가변 컨택(4731)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 각각에 대응하는 가변 컨택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원형으로 배열된 가변 컨택들 중, 제1 가변 컨택(4731)과, 제1 가변 컨택(473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가변 컨택(4737)을,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 각각에 대응하는 가변 컨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원형으로 배열된 가변 컨택들 중, 제1 가변 컨택(4731)과, 원형을 3등분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제3 가변 컨택(4735, 4739)을,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 각각에 대응하는 가변 컨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원형으로 배열된 가변 컨택들 중, 제1 가변 컨택(4731)과, 원형을 4등분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제4 가변 컨택(4734, 4737, 4740)을,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 각각에 대응하는 가변 컨택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과립챔버 각각에 대응하는 가변 컨택들이 결정된 후, 로터리 스위치(44)가 출력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가변 컨택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제1 가변 컨택(4731)에 대응하는 과립챔버를 사용챔버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46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2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퍼프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3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은, 과립챔버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최대 퍼프 횟수, 단위 시간당 전력이 공급되는 최대 시간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퍼프 횟수가 최대 퍼프 횟수 이상인 경우,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4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미만인 경우, 센서 모듈(1050)에 포함된 퍼프 센서를 통해, 퍼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소정 시간 동안 퍼프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50 동작에서, 퍼프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따라, 히터를 가열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3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과립챔버를 통과하는 동안, 과립챔버에 수용된 고체 상태의 매질에서 니코틴 성분 등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과립챔버에 대응하여 누적된 퍼프 횟수가 적은 경우, 예컨대, 에어로졸이 과립챔버를 최초 통과하는 경우, 추출 대상인 성분이 매질에 다량 포함되어 있어, 해당 성분이 에어로졸에 의해 쉽게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증가할수록, 즉, 과립챔버에 대응하여 누적된 퍼프 횟수가 증가할수록, 동일한 양의 에어로졸에 의해 매질에서 추출되는 성분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히터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고, 과립챔버를 통과하는 에어로졸이 양이 많아질수록, 매질에 포함된 성분의 추출되는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응하여 누적된 퍼프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히터 가열 시 목표가 되는 목표온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응하여 누적된 퍼프 횟수가 0회 이상 10회 이하인 경우, 목표온도는 260℃, 누적된 퍼프 횟수가 21회 이상 30회 이하인 경우, 목표온도는 270℃로 결정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결정된 목표온도 이상으로 히터가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히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한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온도는, 목표온도보다 기 설정된 온도 값(예: 20℃)만큼 높은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누적
퍼프횟수
목표온도
[℃]
제한온도
[℃]
전력[W]
0.5s 1.0s 1.5s 2.0s
0 - 10 260 280 7 7 6.5 6.5
11 - 20 265 285 8 8 7.5 7.5
21 - 30 270 290 8.5 8.5 8 8
31 - 40 275 295 9 9 8.5 8.5
41 - 50 280 300 10 10 9.5 9.5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상기 표 1의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목표온도에 대응하는 전력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퍼프가 감지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또는, 퍼프가 감지된 시점부터 종료되는 시점까지, 목표온도에 대응하는 전력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PID 방식을 이용하여, 히터가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 이상, 제한온도 미만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4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6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하여, 메모리(1040)에 저장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과립챔버에 대응하여 누적된 퍼프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7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응하여 누적된 퍼프 횟수가 기 설정된 최대 퍼프 횟수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4680 동작에서, 사용챔버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로터리 스위치(44)가 출력하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샤프트에 의해 고정 컨택과 통전되는 가변 컨택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가변 컨택이 변경되는 경우, 사용챔버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사용챔버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S4620 동작으로 분기하여, 업데이트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따라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10 동작에서, 제2 컨테이너(32)에 포함된 복수의 과립챔버 중, 제1 컨테이너(3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사용챔버를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2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퍼프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3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에 포함된 퍼프 횟수가 최대 퍼프 횟수 이상인 경우,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4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미만인 경우, 메모리(1040)에 저장된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를, 히터의 가열에 사용할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전원이 온(on)되고, 복수의 과립챔버 중 어느 하나가 사용챔버로 결정된 시점부터 퍼프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흡입에 대한 퍼프 횟수(이하, 연속 퍼프 횟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 퍼프 횟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전원이 오프(off)되거나, 사용챔버로 결정되는 과립챔버가 변경되는 경우, 초기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메모리(1040)에 저장된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연속 퍼프 횟수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히터의 가열에 사용할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5010, 5020, 5030)에 따르면,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응하여 누적된 퍼프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히터 가열 시 목표가 되는 목표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전원이 온(on)된 시점에는, 복수의 과립챔버에 수용된 고체 상태의 매질이 모두 마른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과립챔버 중 제1 과립챔버가 사용챔버로 결정되어, 에어로졸이 제1 과립챔버를 복수 회 통과한 경우에도, 제1 과립챔버를 제외한 나머지 과립챔버에 수용된 매질은 여전히 마른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과립챔버에 수용된 매질이 마른 상태인 경우에 비해, 매질이 일정 수준 젖은 상태에서 에어로졸이 과립챔버를 통과 시, 매질에서 성분이 상대적으로 쉽게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연속 퍼프 횟수가 제1 횟수(예: 5회) 미만인 경우 제3 온도 프로파일(5030), 제1 횟수(예: 5회) 이상 제2 횟수(예: 15회) 미만인 경우 제2 온도 프로파일(5020), 제2 횟수(예: 15회) 이상인 경우 제1 온도 프로파일(5010)을, 히터의 가열에 사용할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누적된 퍼프 횟수가 동일할 때,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5010, 5020, 5030) 각각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온도가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적된 퍼프 횟수가 0회 이상 10회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온도 프로파일(5010)에 대응하는 목표온도는 260℃, 제2 온도 프로파일(5020)에 대응하는 목표온도는 265℃, 제3 온도 프로파일(5030)에 대응하는 목표온도는 270℃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으로 과립챔버에 수용된 매질이 마른 상태인 경우, 과립챔버를 통과하는 에어로졸이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도록, 히터의 목표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으로 매질이 일정 수준 젖은 경우, 과립챔버를 통과하는 에어로졸이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도록, 히터의 목표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5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5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미만인 경우, 센서 모듈(1050)에 포함된 퍼프 센서를 통해, 퍼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60 동작에서, 퍼프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따라, 히터를 가열할 수 있다.
누적
퍼프횟수
온도
프로파일
목표온도
[℃]
제한온도
[℃]
전력[W]
0.5s 1.0s 1.5s 2.0s
0 - 10 1 260 280 7 7 6.5 6.5
2 265 285 8 8 7 7
3 270 290 8.5 8.5 8 8
11 - 20 1 265 285 8 8 7.5 7.5
2 270 290 8.5 8.5 8 8
3 275 295 9 9 8.5 8.5
21 - 30 1 270 290 8.5 8.5 8 8
2 275 295 9 9 8.5 8.5
3 280 300 9.5 9.5 9 9
31 - 40 1 275 295 9 9 8.5 8.5
2 280 300 9.5 9.5 9 9
3 285 305 10 10 9.5 9.5
41 - 50 1 280 300 10 10 9.5 9.5
2 285 305 10.5 10.5 10 10
3 290 310 11 11 10.5 10.5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상기 표 2의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목표온도에 대응하는 전력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연속 퍼프 횟수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응하는 목표온도를 결정할 수 있고, 목표온도에 대응하는 전력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7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하여, 메모리(1040)에 저장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한 연속 퍼프 횟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80 동작에서,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S5090 동작에서, 사용챔버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사용챔버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S5020 동작으로 분기하여, 업데이트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 및 연속 퍼프 횟수에 따라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가 소정 기준 미만인 경우, 퍼프가 종료된 시점부터 퍼프가 다시 감지되는 시점까지, 히터의 온도가 소정 온도 범위에 포함되도록, 히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온도 범위는, 예열온도 범위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퍼프가 종료된 시점부터 퍼프가 다시 감지되는 시점까지, 메모리(1040)에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 중, 예열에 관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히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예열온도 범위의 최대 온도는, 에어로졸의 생성을 위한 최저 목표온도(예: 260℃)보다 낮은 온도(예: 80℃)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퍼프가 종료된 시점부터 시간이 경과될수록, 히터의 온도가 예열온도 범위 내에서 낮아지도록 히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챔버로 결정된 과립챔버에 대한 연속 퍼프 횟수에 대응하여, 예열온도 범위의 최대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예: 5회) 미만인 경우, 예열온도 범위의 최대 온도를 제1 예열온도(예: 80℃)로 설정할 수 있고,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예열온도 범위의 최대 온도를 제1 예열온도보다 낮은 제2 예열온도(예: 60℃)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으로 과립챔버에 수용된 매질이 마른 상태인 경우, 히터 가열 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도록 히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예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으로 과립챔버에 수용된 매질이 일정 수준 젖은 상태인 경우, 히터를 일정 온도 미만으로 예열하여, 심지(313)에 흡수된 기화전 제재가 불필요하게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복수의 과립챔버가 사용된 정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품질을 유지하는 매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교체 없이,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과립챔버의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매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메시지 등에 따라, 사용자가 다이얼(43)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매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과립챔버의 사용 정도에 기초하여 히터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에서 추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성분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5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는,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수용하는 제1 컨테이너(31); 상기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314);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 구획된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제2 컨테이너(32); 상기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감지 센서(예: 로터리 스위치(44)); 및 제어부(10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회전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테이너(3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사용챔버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제1 기준 이상, 제2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314)가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상기 제2 기준 이상, 제3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314)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가 기 설정된 최대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314)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퍼프 센서(예: 유동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퍼프 센서(예: 유동감지센서(60)); 및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전원이 온(on)되고,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시점부터 상기 퍼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흡입에 대한 연속 퍼프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히터(314)의 가열에 사용되는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제1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히터(314)의 가열에 사용되는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제2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히터(314)의 가열에 사용되는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상기 제1 기준 이상, 상기 제2 기준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가열된 상기 히터(314)의 온도는, 상기 제2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가열된 상기 히터(314)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되는 챔버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연속 퍼프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컨테이너(31) 및 상기 제2 컨테이너(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3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0) 및 카트리지(30)의 장착을 감지하는 카트리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카트리지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30)의 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챔버의 사용 정도를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퍼프 센서(예: 유동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70)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1000)의 전원이 온(on)되고,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시점부터 상기 퍼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흡입에 대한 연속 퍼프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종료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감지되는 시점까지, 상기 히터(314)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 이하로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종료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감지되는 시점까지, 상기 히터(314)가 상기 제3 온도보다 낮은 제4 온도 이하로 가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내주면이 제2 컨테이너(32)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 기어(예: 카트리지기어(41)) 및 제1 기어의 외주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예: 다이얼기어(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챔버는, 제2 컨테이너(32)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수용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가열하는 히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 구획된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회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감지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컨테이너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통과하는 사용챔버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제1 기준 이상, 제2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가 제1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상기 제2 기준 이상, 제3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가 기 설정된 최대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챔버의 사용 정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퍼프 센서; 및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전원이 온(on)되고,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시점부터 상기 퍼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흡입에 대한 연속 퍼프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히터의 가열에 사용되는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제1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히터의 가열에 사용되는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 중 제2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히터의 가열에 사용되는 온도 프로파일로 결정하고,
    상기 판단된 사용 정도가 상기 제1 기준 이상, 상기 제2 기준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가열된 상기 히터의 온도는, 상기 제2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가열된 상기 히터의 온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되는 챔버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연속 퍼프 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 및 상기 제2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을 감지하는 카트리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의 분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챔버의 사용 정도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는 퍼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전원이 온(on)되고, 상기 복수의 챔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챔버로 결정된 시점부터 상기 퍼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흡입에 대한 연속 퍼프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종료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감지되는 시점까지, 상기 히터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 이하로 가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속 퍼프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종료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의 흡입이 감지되는 시점까지, 상기 히터가 상기 제3 온도보다 낮은 제4 온도 이하로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내주면이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외주면에 접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의 외주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감지 센서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로터리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챔버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00180002A 2020-12-21 2020-12-21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45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02A KR102457798B1 (ko) 2020-12-21 2020-12-21 에어로졸 생성장치
EP21911293.5A EP4262460A1 (en) 2020-12-21 2021-11-30 Aerosol-generating device
JP2022550040A JP7331266B2 (ja) 2020-12-21 2021-11-30 エアロゾル生成装置
PCT/KR2021/017902 WO2022139226A1 (en) 2020-12-21 2021-11-30 Aerosol-generating device
CN202180012772.5A CN115052494A (zh) 2020-12-21 2021-11-30 气溶胶生成装置
US17/797,982 US20230039402A1 (en) 2020-12-21 2021-11-30 Aerosol-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02A KR102457798B1 (ko) 2020-12-21 2020-12-21 에어로졸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04A KR20220089404A (ko) 2022-06-28
KR102457798B1 true KR102457798B1 (ko) 2022-10-20

Family

ID=8215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02A KR102457798B1 (ko) 2020-12-21 2020-12-21 에어로졸 생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39402A1 (ko)
EP (1) EP4262460A1 (ko)
JP (1) JP7331266B2 (ko)
KR (1) KR102457798B1 (ko)
CN (1) CN115052494A (ko)
WO (1) WO2022139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93709B (zh) * 2023-09-11 2023-12-05 深圳市瑞之辰科技有限公司 控温电路、控温方法及气溶胶产生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7753A1 (en) 2010-12-06 2012-09-13 Newton Kyle D Charger Package for Electronic Cigarette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1528B2 (en) 2012-08-31 2016-03-01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Multi-flavored electronic cigarette
TWI651055B (zh) 2013-10-08 2019-02-21 傑提國際公司 噴霧產生裝置之噴霧轉移適配器及噴霧產生裝置中轉移噴霧方法
EA036500B1 (ru) * 2014-11-14 2020-11-17 ДжейТи ИНТЕРНЭШНЛ СА Контейнер для аэрозолеобраз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330286B1 (ko) * 2017-09-29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GB201805268D0 (en) *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Trading Ltd Apa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from an aerosolisable medium, an article of aerosolisable medium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7753A1 (en) 2010-12-06 2012-09-13 Newton Kyle D Charger Package for Electronic Cigarette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04A (ko) 2022-06-28
WO2022139226A1 (en) 2022-06-30
US20230039402A1 (en) 2023-02-09
JP2023514718A (ja) 2023-04-07
JP7331266B2 (ja) 2023-08-22
EP4262460A1 (en) 2023-10-25
CN115052494A (zh)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798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457799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457796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457797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33269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2011512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589101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US20230105520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23005656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590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56507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55925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590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24518585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230103460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110149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13964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6540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56546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103461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6549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059691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9114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59226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