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42B1 - Method for repeating singnals using multi-path repeat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peating singnals using multi-path repe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7742B1 KR102457742B1 KR1020210036698A KR20210036698A KR102457742B1 KR 102457742 B1 KR102457742 B1 KR 102457742B1 KR 1020210036698 A KR1020210036698 A KR 1020210036698A KR 20210036698 A KR20210036698 A KR 20210036698A KR 102457742 B1 KR102457742 B1 KR 102457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signal
- path
- output terminals
- amplif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4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537 neu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7 surface acoustic wav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으로서, 복수의 입출력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는 입력 단자로, 나머지는 출력 단자로 가변되는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의 입력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의 입출력단자를 입력 단자로 결정하고 나머지를 출력 단자로 하는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신호 중계 상태로 진입하여, 결정된 입출력 방향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를 제어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comprising a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s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n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Detecting the input signals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each of which is performed by a signal relay system including a path repeater, and in a standby state; determining an input/output direction in which one input/out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nput/output terminals are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detected level of the input signal; and relaying the signal by entering the signal relay state and controlling the multi-path repeat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put/output direction.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단일주파수를 이용한 단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와 범위를 확장하고, 장애물이 있더라도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and extend the distance and rang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network using a single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ingle frequency, and transmit a signal even if there is an obstacle It is abou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multipath that makes this possibl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일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단신 통신 방식은 오래 전부터 아마추어 무선망, 기업망, 공용망, 긴급망, 재난망 등에 널리 적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개인이 사용하는 아마추어 무선망, 택시조합에서 운용하는 기업망, 한국전력 등의 국영기업에서 사용하는 공용망, 경찰청이나 소방청이 업무 중 지휘나 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긴급망, 재난 발생 시 건물이나 시설물에서 사용되는 재난망이 있다.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ingle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ingle frequency has been widely applied to amateur radio networks, corporate networks, public networks, emergency networks, and disaster networks since a long time ago. For example, amateur radio networks used by individuals, corporate networks operated by taxi associations, public networks used by state-owned companies such as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emergency networks us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or the fire department for command or communication during their work, and disasters There is a disaster network used in a building or facility.
한편 위와 같은 단신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주파수만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므로, 양방향 통신을 위해 시간적으로 송수신 신호를 구분하는 시간 분할 방식(Time Division Duplex: TDD)을 이용한다. 현재의 TDD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는 다른 이동통신망과는 달리, 기지국 없이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단말기의 출력 및 최저 수신 레벨에 의해 통신 가능한 서비스 구역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건물의 지하, 터널, 지하철, 공동구 등 시설물 내에서는 통신 장애가 발생하고 서비스 구역을 확보하지 못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only one frequency in the network of the above single communication method,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for temporally divid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is use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the current TDD network, unlike 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performed without a base station. Accordingly, a communication service area is formed by the output and the lowest reception level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in a facility such as a basement of a building, a tunnel, a subway, or a common area, and the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because a service area cannot be secured.
그에 따라 특히 재난망에 대해서는 서비스 구역 확보를 위해, 단말기 간의 송수신 신호를 중계하는 보조설비를 건물이나 시설물 내에 반드시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설비의 설치는 건물이나 시설물의 준공 검사 항목 중 하나로서, 검사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건물이나 시설물 내에 재난망의 형성을 위한 설비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재난망은 시설물 내 화재나 재난 발생시 소방관들이나 인명구조사들에 의해 사용된다. 따라서 건물의 지하, 터널, 지하철, 공동구 등 시설물에는 국가화재 안전기준 중 특히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SFC 505)’을 만족하는 통신설비를 구축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고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a service area, especially for disaster networks, auxiliary facilities for relaying transmission/reception signals between terminals must be provided in buildings or facilities. The installation of such auxiliary equipment is one of the items of inspection on completion of a building or facility, and in order to pass the inspection,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equipment for the formation of a disaster network in the building or facility. Such a disaster network is used by firefighters or lifeguards in case of a fire or disaster in a facility. Therefore, it is legally compulsory to construct communication facilities that satisfy the ‘Fire Safety 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uxiliary Equipment (NSFC 505)’ among the national fire safety standards for facilities such as basements, tunnels, subways, and common areas of buildings.
이와 같은 재난망의 신호 중계를 위한 보조설비는 통상적으로, 서로 다른 서비스 구역, 예를 들어 같은 건물 내 지하 1층과 지하 2층 등과 같이 서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구역 사이의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장치로 구성된다. 중계장치는 하나의 서비스 구역에서 수신된 신호를 중계기를 이용하여 증폭 가공한 후 다른 서비스 구역으로 송출한다. 이를 통해 서로 차단된 구역 사이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Auxiliary equipment for signal relay of such a disaster network is typically a relay device that relays signals between different service areas, for example, areas where signals are not transmitted to each other, such as the first basement floor and the second basement floor in the same building. is composed of The repeater amplifies and processes the signal received in one service area using a repeater and then transmits it to another service area. This makes it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etween areas blocked from each other.
그러나 재난망을 위한 신호 중계설비의 경우 최근에 이르러서야 그 필요성이 강조되어 개발이 시작된 실정이며, 현재의 NSFC 505의 규정에 의하면 방재실 또는 건물 외부의 지휘통신부와 지하, 지상의 화재진압 인원과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그 역할이 한정되어 있다. 그에 따라 재난망의 신호 중계설비는 현재로서는 화재나 재난 발생시 인명구조요원들이 필요한 만큼 충분히 교신할 수 있을 만큼 고도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ignal relay facility for a disaster network, the necessity has been emphasized and development has begun only recently. Its role is limited in relaying the communication of Accordingly, the signal relay facilities of the disaster network are not advanced enough to enable life-saving personnel to communicate as needed in case of a fire or disas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재난망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의하면, 건물 외부 및 방재실에서의 신호는 방재실 안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과하여 지하 각 층으로 전송된다. 또한 역방향의 신호는 지하 각 층에서 신호 분배기 및 선로를 통해 방재실의 중계기로 전달되고, 전달된 신호는 증폭 가공되어 지휘본부가 있는 건물 외부로 전달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aster network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 signals from outside the building and from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are transmitted to each basement floor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In addition, the signal in the reverse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repeater of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through signal distributors and tracks on each basement floor, and the transmitted signal is amplified and 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where the command headquarters is located.
이러한 통신 구성에서는 층간 통신, 예를 들어 지하 1층에서 수신된 신호는 지하 2층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그 역방향도 마찬가지이다. 사방이 콘크리트 벽으로 차폐된 지하나, 건물 내부에서는 무선 신호가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재난망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계 시스템을 이용하더라도 층간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such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nter-floor communication, for example, a signal received on the first basement level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basement floor. The reverse is also true. In a conventional disaster network, it is difficult to perform inter-floor communication even using a relay system as shown in FIG.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각 층에서 수신되거나 각 층으로 송신될 신호를 분배를 위한 복수의 분배기가 구비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윌킨슨 분배기(Wilkinson Divider)는 층간을 연결하는 선로에서 신호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층수가 많아질수록 각 층마다 설치된 복수의 분배기를 통과하는 신호는, 분배기를 통과할 때마다 손실이 누적되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지상에서 지하 4층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4단의 분배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분배기마다 약 -30dB, 총 -120dB정도의 신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such a system, a plurality of dividers are provided for distributing a signal to be received from each layer or transmitted to each layer, and a commonly used Wilkinson divider causes signal loss in a line connecting the layers. Therefore, as the number of floors increases, a signal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distributors installed on each floor accumulates loss every time it passes through the distributors,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becomes impossible. For example, in FIG. 1,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fourth basement level, since it passes through the four-stage splitter, there is a problem that a signal loss of about -30 dB and a total of -120 dB occurs for each splitter.
이러한 시스템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운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층간 통신이 가능하고 음영 지역이 없도록 다수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보완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중계기를 설치해야 한다. 특히 건물의 지하의 층수가 깊어지고 지상의 층수도 높아지는 상황에서 하나의 중계기에 선로와 분배기를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건물 전체에 통신 서비스 구역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중계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 구성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뿐 아니라, 유지보수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system structure, a larger number of repeaters must be installed and operated. For example, if the system shown in FIG. 1 is supplement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epeaters so that inter-floor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there is no shadow area, a plurality of repeaters must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2 .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basement floors of a building increases and the number of floors above the ground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form a communication service area in the entire building simply by connecting a line and a distributor to one repeater, so the problem of installing multiple repeaters there i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system configuration cost rapidly increases, but also a lot of time and effort is required for maintenance.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건물 내에서 음영 지역 없이 재난망 등 단신 통신의 네트워크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Embodiments disclosed herein have an object to propose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enables the formation of a network of short-term communication such as a disaster network without a shadow area within a building.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층, 특히 지하층들 사이의 단신 통신의 중계를 가능하게 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have an object to presen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enables relay of short-term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floors, in particular, underground floor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과도하게 많은 수의 중계기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넓은 서비스 지역을 형성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have an object to propose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forms a wide service area even without connecting an excessively large number of repeaters.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복수의 중계기가 연결되더라도 신호 손실이 발생하거나, 과도하게 신호를 증폭시키지 않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have an object to provide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does not cause signal loss or excessively amplify a signal even if a plurality of repeaters are connected.
나아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복수의 중계기의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설비를 증설하지 않더라도 신호 중계가 가능한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have an object to provide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capable of relaying a signal even without additional facilitie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repeaters.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다중 경로 중계기를 단순 연결하는 것만으로 서비스 지역의 확장이 가능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have an object to provide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which is easy to install, since a service area can be expanded by simply connecting a multi-path repeater.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중계기의 각 입출력단자가 설치 환경이나 통신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s to provide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in which each input/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adaptive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environment or a communication environmen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중게 방법은 복수의 입출력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는 입력 단자로, 나머지는 출력 단자로 가변되는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의 입력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의 입출력단자를 입력 단자로 결정하고 나머지를 출력 단자로 하는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신호 중계 상태로 진입하여, 결정된 입출력 방향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를 제어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gnal relay method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performed by a signal relay system including a multi-path repeater that is variable as an input terminal and the rest is an output terminal, and in a standby state, detecting input signals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determining an input/output direction in which one input/out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nput/output terminals are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detected level of the input signal; and relaying the signal by entering the signal relay state and controlling the multi-path repeat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put/output direction.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중계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서 신호 중계 방법은, 복수의 입출력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는 입력 단자로, 나머지는 출력 단자로 가변되는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의 입력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의 입출력단자를 입력 단자로 결정하고 나머지를 출력 단자로 하는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신호 중계 상태로 진입하여, 결정된 입출력 방향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를 제어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gnal relay metho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signal relay method is recorded,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depending on the level of input signal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Detecting each input signal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n a standby state, performed by a signal relay system including a multi-path repeater i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s an output terminal; determining an input/output direction in which one input/out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nput/output terminals are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detected level of the input signal; and relaying the signal by entering the signal relay state and controlling the multi-path repeat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put/output direction.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복수의 입출력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는 입력 단자로, 나머지는 출력 단자로 가변되는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신호 중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신호 중계 방법은,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의 입력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의 입출력단자를 입력 단자로 결정하고 나머지를 출력 단자로 하는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신호 중계 상태로 진입하여, 결정된 입출력 방향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를 제어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ulti-path repeat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s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n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The signal relay method is performed by a signal relay system comprising: i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to perform the signal relay method, in a standby state, each of the steps of detecting the input signals of the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terminals; determining an input/output direction in which one input/out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nput/output terminals are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detected level of the input signal; and relaying the signal by entering the signal relay state and controlling the multi-path repeat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put/output direction.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건물 내에서 음영 지역 없이 재난망 등 단신 통신 네트워크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enables the formation of a short-term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disaster network without a shadow area within a building.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서로 다른 층, 특히 지하층들 사이의 단신 통신의 중계를 가능하게 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enables relay of short-term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floors, in particular, the basement floors.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과도하게 많은 수의 중계기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넓은 서비스 지역을 형성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forms a wide service area without connecting an excessively large number of repeaters.
나아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중계기가 연결되더라도 신호 손실이 발생하거나, 과도하게 신호를 증폭시키지 않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that does not cause signal loss or excessively amplify a signal even when a plurality of repeaters are connected.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중계기의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설비를 증설하지 않더라도 신호 중계가 가능한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capable of relaying signals without additional facilitie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repeaters.
그리고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중 경로 중계기를 단순 연결하는 것만으로 서비스 지역의 확장이 가능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which is easy to install, because a service area can be expanded by simply connecting a multi-path repeater.
그리고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중계기의 각 입출력단자가 설치 환경이나 통신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ignal relay method using a multi-path in which each input/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adaptive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environment or a communication environment.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able i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disclos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belong. will be able to understand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재난망 중계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가 구성된 시스템의 신호 입출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분배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의 바이패스 경로 구성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의 동작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7은 다중 경로 중계기가 수행하는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에서, S200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와 20은 도 17에 도시된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 예시도이다.
도 21은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시스템에서, 이동국 신호를 학습하여 시스템에 포함된 각 중계기의 증폭부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다중 경로 중계기를 학습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and 2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aster network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signal input/output states of a system in which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configured.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unit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ilkinson power divider.
10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mplify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of configuring a bypass path of an ampl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to 14 are diagrams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amplify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5 to 16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tector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laying a signal through a multi-path step by step performed by a multi-path repeater.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200 in more detail in the method of relaying a signal through the multipath shown in FIG. 17 .
19 and 20 are exemplary system configuration diagrams including a multi-path repeater for explaining the signal relay method through the multi-path shown in FIG.
2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mplifier mode of each repeater included in the system by learning a mobile station signal in a signal relay system including a multi-path repeater.
2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learning a multi-path repeat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And,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가 구성된 시스템의 신호 입출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분배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9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signal input/output states of a system in which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configured.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8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unit of a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9 is a Wilkinson power distributor.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나아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의 바이패스 경로 구성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의 동작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urthermore, FIG. 10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mpl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necessity of configuring a bypass path of the ampl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to 14 are diagrams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n amplify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한편 도 15 내지 도 16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출기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Meanwhile, FIGS. 15 to 16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tect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일반적인 중계기와 같이 입력과 출력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입출력이 필요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변되는 중계기로서, 1:1의 중계 방식을 넘어, 1: N-1의 신호 중계를 수행한다. 이때 입출력단자의 수가 ‘N’이라면 이 중 하나가 입력단자가 되고 나머지 N-1개가 출력단자가 되는 방식이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N’ 개의 입출력단자 중 일부인 ‘K’개의 단자만을 사용하는 경우, 이 중 하나가 입력단자가 되고 나머지 K-1개가 출력단자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때 입력단자가 하나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입력신호의 강도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입력단자로 결정된다. The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에 따라 1:8의 신호 중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총 9개의 입출력단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제1단자(110-1)가 입력단자가 되면, 나머지 단자들인 제2단자(110-2) 내지 제9단자(110-9)는 모두 출력단자가 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1:N의 신호 중계를 수행하는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중계기를 대체할 수 있다. 종래의 중계기가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하고, 1:1의 신호 중계를 수행하던 것에서 나아가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1:N의 신호 중계를 수행하기 때문에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도 2에 도시된 11개의 중계기를 1:8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 하나가 대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를 기준으로 제8단자(110-8)에 해당하는 입출력단자가 방재실중계기와 연결된 상태에서, 방재실중계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제8단자(110-8)를 입력단자로 설정하고, 나머지 8개의 단자들을 모두 출력단자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repeater while the input/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ighth terminal 110-8 is connec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repea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multi-path repeater 100 ) may set the eighth terminal 110-8 as an input terminal, and all other eight terminals may be set as an output terminal.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를 기준으로 제3단자(110-3)가 입력단자로 설정되면, 나머지 8개의 단자들은 모두 출력단자로 설정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6 , when the third terminal 110 - 3 is set as an input terminal with reference to FIG. 4 , all other eight terminals may be set as output terminals.
그에 따라 방재실에서 발생된 신호는 지상으로 출력될 뿐 아니라, 다중 경로 중계기(100)를 통해 지하의 각 층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지하 4층에서 발생된 신호가, 방재실로 전달될 뿐 아니라, 지하 1, 2, 3층으로 모두 전달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ignal generat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may be output to the ground as well as to each basement floor through the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 종래에 지하 각 층에서 발생된 신호가 방재실로만 전달되고, 방재실에서 이를 다시 각 층으로 전달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됨과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 다수의 중계기들이 설치되어야 하는 비효율도 개선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ystem as shown in FIG. 1 , the conventional signal generated from each basement floor is transmitted only to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ransmit it back to each floor in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is solved, an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The inefficiency of having to install multiple repeaters in the same system can also be improved.
다시 도 3에서, 이와 같은 1:N-1의 신호 중계가 가능한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N개의 입출력단자(110)와, 제어부(120), 분배부(130), N개의 증폭부(140), N개의 검출부(150), 그리고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gain, the
이때 입출력단자(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N-1의 신호 중계를 위하여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부(130)와 증폭부(140)는 입출력단자(110)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wo or more inpu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으로 신호를 중계하기 위해 4개의 입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 중계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4개의 입출력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입출력단자에는 각각 하나의 검출부와 증폭부가 이어서 구성된다. 이때 분배부가 각각의 입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증폭부를 연결한다. As shown in FIG. 7 , the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입출력단자(11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달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안테나를 포함하는 외부의 무선 송수신장치와 연결되는 포트(Port)이다. Referring back to FIG. 3, sequentially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CPU나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중 경로 중계기(100) 내의 모든 구성을 제어하며, 실시간으로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단자(110) 중 입력단자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출력단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되는 알고리즘이나 이와 관련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수단(미도시)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을 통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결정하는 것 외에, 미리 설정되는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각 입출력단자(110)에 종속되는 증폭부(140)의 동작모드와 증폭 이득 등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nd the
한편 분배부(130)는 하나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나머지 출력단자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입출력단자(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입출력단자(110)에 대응하는 각각의 증폭부(140), 검출부(150), 그리고 입출력단자(110)가 이루는 집합의 사이에 구성되어, 이들 중 하나의 신호를 나머지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를 위해 분배부(130)는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성 전력 분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윌킨슨 전력 분배기(Wilkinson Power Divider)를 이용하여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분배부(13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층간 통신에 따른 신호 전달 시 각 포트 사이의 분리(Isolation) 특성으로 인한 신호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윌킨슨 전력 분배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1을 기준으로 중심 주파수 Fo의 λ/4의 전송선로와, 포트 2 및 3 사이의 분리 특성 구현을 위하여 2xZ0의 저항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다중 경로 중계기(100)를 이용한 층간 통신에서,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Wilkinson power divider is configured with a transmission line of λ/4 of a center frequency Fo with respect to
예를 들어, 포트 1이 입력, 포트 2와 포트 3이 각각 다른 층으로의 출력이 되는 경우, 포트 2와 3에서 각각 -3dB의 이상적인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포트 2를 통해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다른 층에 대응하는 포트 3으로의 출력은 -30dB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층간 통신을 위한 분배부(130)를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전력 분배기는 포트 2와 3 사이의 분리 특성이 작아야 한다. For example, when
그에 따라 다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을 이용하여 전력을 분배할 경우, λ/4의 전송선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포트 2와 3 간의 분리 특성이 적고, 주파수 특성에 좌우되지 않아 광대역의 전력 분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when power is distributed using a resistor as shown in FIG. 8 again, since a λ/4 transmission line is not used,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나아가 분배부(130)는 각각의 증폭부(140)와 연결되는데, 증폭부(140)와 연결되는 선로의 길이를 동일하게 설계하여, 분배부(130)에 의한 분배 또는 결합 시에, 손실과 위상이 동일하게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각 경로간 이득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한편 증폭부(140)는 입출력단자(110)가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 중 어떤 것으로 결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의 전송 경로를 형성하고, 동시에 입출력단자(11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입출력단자(110)로 전달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0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증폭부(140)는 좌측은 분배부(130), 우측은 검출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수신 신호, 우측에서 좌측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송신 신호가 될 수 있다.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FIG. 10 , the
이때 증폭부(140)는 검출부(150)와 분배부(130) 사이를 복수의 서로 다른 경로로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mplifying
우선 바이패스 경로(P1)는 수신 신호나 송신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그대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로서, 경로상에는 선로 외에 선택적으로 감쇠기(Attenuator: 147)만이 포함될 수 있다. 감쇠기(147)는 신호의 파형을 변형시키지 않고 단순히 진폭만을 일정 비율로 조정하여, 다른 소자나 장치로 입력되거나 전달되는 신호가 과도하게 큰 진폭을 가짐으로써, 소자나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First, the bypass path P1 i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or the transmitted signal as it is without amplifying it, and only the
바이패스 경로(P1)는 이와 같이 송수신 신호가 후술할 증폭 경로(P2)를 경유하지 않도록 우회시켜 신호를 증폭 없이 다른 소자나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The bypass path P1 can be bypassed so that the transmit/receive signal does not pass through the amplification path P2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way, so that the signal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device or device without amplification.
한편 증폭 경로(P2)는 수신 신호 또는 송신 신호를 증폭하여 검출부(150)를 통해 입출력단자(110)로 전달하거나, 분배부(130)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이다.Meanwhile, the amplification path P2 is a path for amplifying a received signal or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input/
증폭 경로(P2) 상에는 우선 저역필터(LPF: 141)가 구비될 수 있다. 저역필터(141)는 수신 신호 또는 송신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어서 자동레벨제어기(ALC: 142)에서 송수신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약한 신호에는 더 많은 증폭을 주고, 강한 신호에는 더 적은 증폭을 주어서 신호가 일정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저잡음 증폭기(LNA: 143)는 잡음을 최소화하며 송수신 신호를 1차 증폭하고, 증폭된 송수신 신호에서 불필요한 주파수대의 신호를 대역통과필터(BPF: 144)를 통해 걸러낼 수 있다. 한편 송수신신호는 전력 증폭기(PA: 145)를 통해 다시 한 번 증폭된 이후, 증폭 과정에서 발생한 고주파의 하모닉 신호는 다시 저역필터(LPF: 146)를 통해 제거된다. 이때 저잡음 증폭기(143)는 증폭 경로(P2)의 선단에 위치하지 않고, 자동레벨제어기(142)의 후단에 위치함으로써, 검출부(150)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의 진폭이 과도하게 큰 경우에도 자동레벨제어기(142)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저잡음 증폭기(143)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First, a low-pass filter (LPF: 141) may be provided on the amplification path P2. The low-
한편 증폭부(140)에는 정방향 링크(L1)와 역방향 링크(L2)가 형성될 수 있다. 정방향 링크(L1)는 입출력단자(110) 측에서 전달되는 송신 신호를 증폭 경로(P2)를 경유하도록 하고, 역방향 링크(L2)는 분배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숫신 신호를 증폭 경로(P2)를 경유하도록 한다. Meanwhile, a forward link L1 and a reverse link L2 may be formed in the
이를 위해 정방향 링크(L1)는 우선, 송신 신호를 증폭 경로(P2)의 선단으로 전달하는 제1정방향 링크(L1a)와, 증폭 경로(P2)를 경유한 송신 신호를 증폭 경로(P2)의 후단에서 분배부(130)로 전달하는 제2정방향 링크(L1b)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orward link (L1) first, the first forward link (L1a) for transferring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front end of the amplification path (P2), and the rear end of the amplification path (P2) the transmission signal pas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path (P2) It may include a second forward link (L1b) delivered to the distribution unit (130).
또한 역방향 링크(L2)는 우선, 분배부(130) 통해 전달된 수신 신호를 증폭 경로(P2)의 선단으로 전달하는 제1역방향 링크(L2a)와, 증폭 경로(P2)를 통과한 수신 신호를 검출부(150)를 통해 입출력단자(110)측으로 전달하는 제2역방향 링크(L2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verse link (L2) first, the first reverse link (L2a) for transferring the receive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이때 증폭부(140)에는 총 네 개의 스위치(SW1 내지 SW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스위치(SW1)는 검출부(150)와 연결되는 증폭부(140)의 일단에 구비되어, 바이패스경로(P1), 증폭 경로(P2) 또는 제2역방향 링크(L2b)를 입출력단자(110) 측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a total of four switches SW1 to SW4 may be provided in the
그리고 제2스위치(SW2)는 증폭 경로(P2)의 선단에 구비되어, 증폭 경로(P2)를 제1스위치(SW1)를 통해 제1정방향 링크(L1a)와 연결하여 송신 신호가 증폭 경로(P2)를 경유하도록 하거나, 또는 증폭 경로(P2)를 제1역방향 링크(L2a)와 연결하여, 후술할 제4스위치(SW4)를 통해 분배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신호가 증폭 경로(P2)를 경유하도록 한다. 즉 제2스위치(SW2)는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가 증폭 경로(P2)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And the second switch SW2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amplification path P2, and connects the amplification path P2 with the first forward link L1a through the first switch SW1 so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amplification path P2. ), or by connecting the amplification path P2 with the first reverse link L2a, the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한편 제3스위치(SW3)는 증폭 경로(P2)의 후단에 구비되어, 증폭 경로(P2)를 제2정방향 링크(L1b)와 연결함으로써, 증폭 경로(P2)를 통과한 송신 신호가 분배부(130)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또는 증폭 경로(P2)를 제2역방향 링크(L2b)와 연결하여 증폭 경로(P2)를 통과한 수신 신호가 제1스위치(SW1)를 통해 입출력단자(11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스위치(SW3)는 증폭 경로(P2)를 경유한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다른 구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switch SW3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amplification path P2, and connects the amplification path P2 with the second forward link L1b, so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pas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path P2 is distributed to the distribution unit ( 130), or by connecting the amplification path P2 with the second reverse link L2b, the received signal pas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path P2 is transmitted to the input/
나아가 제4스위치(SW4)는 분배부(130)와 연결되는 증폭부(140)의 타단에 구비되어, 바이패스 경로(P1), 증폭 경로(P2) 또는 제1역방향 링크(L2a)와 분배부(130)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ourth switch SW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이처럼 증폭부(140)는 바이패스 경로(P1), 증폭 경로(P2), 정방향 링크(L1)와 역방향 링크(L2)를 포함함으로써, 신호의 전달 방향과, 신호의 증폭 여부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증폭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As such, the
다만 위와 같은 바이패스 경로(P1), 증폭 경로(P2), 정방향 링크(L1)와 역방향 링크(L2)로 구분되는 증폭부(140)의 경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ath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이때 증폭부(140)의 동작모드에, 송수신 신호를 증폭 없이 바이패스하는 동작모드가 포함되는 이유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Meanwhile, the reason why the operation mode of bypassing the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without amplification is included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amplifying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중계 시스템 내에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 ①, ②로 나타낸 구간에는 선로 손실이 없어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모두 신호를 증폭하는 경우, 시스템 운영 시 과도한 발진 및 증폭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①, ② 구간에서는 다중 경로 중계기(100) 내부의 증폭부(140)가 수신 신호 및 송신 신호를 증폭 없이 바이패스함으로써 송수신 신호가 복수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를 경유하더라도, 과도한 증폭이나 발진 없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1 , two or more
따라서 상술한 증폭부(140)가 바이패스경로(P1)를 포함하여 송수신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시스템의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한편 증폭부(140)의 동작모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부(140)는 송신 신호(TX) 또는 수신 신호(RX)가 바이패스경로(P1)를 따라 우회하는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증폭부(140)는 송신 신호(TX)와 수신 신호(RX)를 바이패스경로(P1)를 따라 우회시키는TX/RX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치(SW1)와 제4스위치(SW4)는 모두 바이패스경로(P1)로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분배부(130)와 검출부(150)가 바이패스경로(P1)를 통해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amplifying
즉 송신 신호(TX)나 수신 신호(RX)를 증폭 없이 전달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설정된 값보다 큰 신호가 수신된 경우나, 이미 다른 입출력단자(110)측에 구비된 증폭부(140)에 의해 증폭 과정을 거친 경우, 증폭부(140)는 TX/RX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ransmission signal TX or the reception signal RX must be transmitted without amplification, for example, when a signal greater than a set value is received, or the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①, ② 구간에 연결된 입출력단자(110) 측에 구비되는 증폭부(140)는 TX/RX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 the
한편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증폭부(1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X 증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증폭부(140)는 송신 신호(TX)를 전달하되, 송신 신호(TX)를 정방향 링크(L1)를 통해 증폭 경로(P2)를 경유시켜 증폭한 후 분배부(130)로 전달되도록 하는 TX 증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와 같은 경우, 제1스위치(SW1)는 제1정방향 링크(L1a)를 통해 증폭 경로(P2)의 선단에 위치한 제2스위치(SW2)로 연결되고, 제2스위치(SW2)도 제1스위치(SW1)와 연결되는 제1정방향 링크(L1a)로 단락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switch SW1 i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 SW2 located at the tip of the amplification path P2 through the first forward link L1a, and the second switch SW2 is also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 SW1) and the first forward link (L1a) connected to the short circuit.
한편 제3스위치(SW3)는 제2정방향 링크(L1b) 쪽으로 단락되어 제4스위치(SW4)와 연결되고, 제4스위치(SW4)는 제3스위치(SW3)가 구비된 제2정방향 링크(L1b)의 후단에 연결된다. Meanwhile, the third switch SW3 is shorted toward the second forward link L1b and connected to the fourth switch SW4, and the fourth switch SW4 is a second forward link L1b provided with the third switch SW3. )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이를 통해 검출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송신 신호(TX)가 증폭 경로(P2)를 통해 증폭된 이후에 분배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transmission signal TX transmitted from the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증폭부(140)는 RX 증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증폭부(140)는 분배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신호(RX)를 제1역방향 링크(L2a)를 통해 증폭 경로(P2)로 유도하고, 다시 증폭 경로(P2)를 경유한 수신 신호(RX)를 제2역방향 링크(L2b)를 통해 검출부(150) 측으로 전송하는 RX 증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 the
이를 위해 증폭부(140)의 제4스위치(SW4)는 제1역방향 링크(L2a) 측으로 연결되고, 제2스위치(SW2)는 제1역방향 링크(L2a)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ourth switch SW4 of the amplifying
한편 증폭 경로(P2)의 후단에서 제2정방향 링크(L1b)와 제2역방향 링크(L2b)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제3스위치(SW3)는 제2역방향 링크(L2b)의 선단으로 단락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hird switch SW3 switched between the second forward link L1b and the second reverse link L2b at the rear end of the amplification path P2 may be shor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reverse link L2b.
나아가 제1스위치(SW1)는 제2역방향 링크(L2b)의 후단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switch SW1 may be switch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reverse link L2b.
이를 통해 도 14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RX)는 제4스위치(SW4)를 통해 제1역방향 링크(L2a)로 유도되고 다시 제2스위치(SW2)를 거쳐 증폭 경로(P2)로 전달되며, 증폭 경로(P2)를 경유한 후 제3스위치(SW3)에서 제2역방향 링크(L2b)로 전달된 후 제1스위치(SW1)를 통해 검출부(150)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입출력단자(110)로 출력될 수 있다. As a result, as shown by a broken line in FIG. 14 , the received signal RX is guided to the first reverse link L2a through the fourth switch SW4 and then to the amplification path P2 through the second switch SW2 again.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switch SW3 to the second reverse link L2b after passing through the amplification path P2, and then transferred to the
이와 같이 증폭부(140)는 해당 증폭부(140)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110)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중 어떤 단자로 기능하는지 여부와, 증폭 필요성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시점을 기준으로 각 증폭부(140)는 ‘TX/RX 바이패스 모드’, ‘TX 증폭 모드’, ‘RX 증폭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하나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증폭부(140) 각각의 동작모드는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각의 입출력단자(110)에 구비되는 검출부(150)의 신호 검출 결과에 따라 각각의 증폭부(14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한편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증폭부(140)의 모드는 제어부(120)에 의해 실시간으로 ‘TX/RX 바이패스 모드’, ‘TX 증폭 모드’, ‘RX 증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각 증폭부(140)의 동작모드는 송신 신호(TX)와 수신 신호(RX)에 대하여 각각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부(140)가 송신 신호(TX)를 전달할 때의 동작모드와, 수신 신호(RX)를 전달할 때의 동작모드가 각각 미리 설정됨으로써, ‘TX/RX 바이패스 모드’, ‘TX 증폭/RX 바이패스 모드’, ‘TX 바이패스/RX 증폭 모드’, 그리고 ‘TX 증폭/RX 증폭 모드’ 중 하나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de of the
후자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내에서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구성되는 환경에 따라, 각각의 증폭부(140)에 대하여 송신 신호(TX)를 우회시킬지 또는 증폭시킬지, 그리고 수신 신호(RX)를 우회시킬지 또는 증폭시킬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20)는 실제 동작할 때 해당 증폭부(140)가 입력단자에 대응하면, TX 바이패스 모드 또는 TX 증폭 모드 중 미리 정해진 어느 하나로 동작하고, 해당 증폭부(140)가 출력단자에 대응하면 RX 바이패스 모드와 RX 증폭 모드 중 미리 정해진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In the latter embodiment,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예를 들어, 특정 증폭부(140)가 ‘TX 증폭/RX 바이패스 모드’로 미리 설정된 경우, 해당 증폭부(140)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110)가 입력단자로 결정될 때에는 TX 증폭 모드로 동작하고, 출력단자로 기능할 때에는 RX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X/RX 바이패스 모드’는 송신 신호(TX)와 수신 신호(RX)를 모두 바이패스 시키는 동작 모드로서,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연결될 때, 과도한 증폭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적어도 일부의 증폭부(140)를 이와 같은 동작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TX/RX bypass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bypasses both the transmit signal (TX) and the receive signal (RX). For example, when several
‘TX 증폭/RX 바이패스 모드’는 송신 신호(TX)는 증폭하고, 수신 신호(RX)는 우회시키는 동작 모드로서, 시스템 운용 시 수신 신호(RX)의 이득이 충분히 확보되어, 송신 신호(TX)만 증폭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The 'TX amplification/RX bypass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amplifies the transmit signal (TX) and bypasses the receive signal (RX). ) is used to amplify only
‘TX 바이패스/RX 증폭 모드’는 송신 신호(TX)는 우회시키고 수신 신호(RX)만 증폭시키는 동작 모드로서, 시스템 운용 시 수신 신호(RX) 경로의 이득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수신 신호(RX)의 증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이용될 수 있다. The 'TX bypass/RX amplification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bypasses the transmission signal (TX) and amplifies only the reception signal (RX). When the system operates, the gain of the reception signal (RX) path is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the reception signal (RX) ) can be used when amplification is not required.
그리고 ‘TX 증폭/RX 증폭 모드’는 송신 신호(TX)와 수신 신호(RX)를 모두 증폭하는 동작 모드이다.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하나만 구성되거나 일반적인 시스템 운용 시 이용될 수 있다. And ‘TX amplification/RX amplification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amplifies both the transmit signal (TX) and the receive signal (RX). Only one
그러나 위와 같은 실시예 외에는 각각의 입출력단자(110)에 입력되는 신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어부(120)가 각 증폭부(140)의 모드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정해진 모드에 따라 제어부(120)는 증폭부(140)에 구비된 스위치들(SW1 내지 SW4)를 스위칭시킴으로써,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어부(120)가 증폭부(140)의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추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 method for the
한편 검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입출력단자(110)에 대응하여 구성되어 입출력단자(110)로 입력되는 신호를 감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검출부(150)는 각각 분배부(130)를 중심으로 증폭부(140)를 거쳐 입출력단자(110)와 증폭부(1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검출부(150)는 입출력단자(110)와 증폭부(140) 사이에 구비되는 커플러(미도시) 등을 통해 입출력단자(110)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입출력단자(110)는 증폭부(140), 그리고 검출부(15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증폭부(140)와 입출력단자(110) 사이의 선로는 검출부(150)로 분기될 수 있으며, 신호의 분배를 위해 커플러 등의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input/
검출부(150)는 각각의 입출력단자(110)로의 입력 신호를 실시간 검출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각 입출력단자(110)의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복수의 입출력단자(110) 중 하나만을 입력으로 결정한다. The
이를 위하여 검출부(150)는 입력 신호를 가공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o this end, the
이와 같은 검출부(150)의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Such a configuration of the
일례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검출부(150)는, 다이렉트 검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회로 구조가 간단하고 단가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도 15에서, 검출부(150)는 입출력단자(110)로 수신된 RF 신호를 입력 신호로서 바로 입력 받아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 the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50’)는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g) 검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 후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믹서(Mixer)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낮은 대역, 예를 들어, 400MHz의 입력 신호를 10MHz 대역으로 변경한 후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 이에 의하면 다이렉트 검출 방식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신호까지 신호의 검출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 the
도 16에서 검출부(150’)는 RF 신호를 입력 신호로 입력 받고, 주파수 대역을 변경한 후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며, 검출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In FIG. 16 , the
그에 따라 제어부(120)는 각각의 입출력단자(110)에서 검출되는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복수의 입출력단자(110) 중 하나를 입력으로 나머지를 출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한편 위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검출부(150, 150’)는 모두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검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필터들, 예를 들어, 대역통과필터(BPF)나 표면 탄성파 필터(SAW filt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신 통신에 대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만을 검출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수행하는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에서, S200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 예시도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은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다중 경로 중계기(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다중 경로 중계기(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17 내지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signal relaying method through the multipa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7 and 18 includes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by the
우선 도 17을 참조하여 다중 경로를 통한 신호 중계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다중 경로 중계기(100) 내에 포함된 모든 입출력단자(100)의 입력 신호를 검출한다(S100). 이때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대기 상태’에 해당한다.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대기 상태’와 ‘신호 중계 상태’ 사이를 천이하며 동작하는데, 모든 입출력단자(110)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의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은 ‘대기 상태’에서 이루어진다.First, the signal relay method through the multi-path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The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대기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제어부(120)는 증폭부(140)에 구성되는 모든 스위치가 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제어부(120)는 대기 상태에서, 증폭부(140)에 구비되는 감쇠기(ATT)의 감쇠레벨을 최대값으로 설정하여 과도한 크기의 입력 신호를 충분히 감쇠시킨 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대기 상태에서 증폭부(140) 내의 증폭기(AMP)의 증폭 이득을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외에 제어부(120)는 대기 상태에서, 검출부(150)의 각 구성들, 예를 들어, 감쇠기(ATT), 증폭기(AMP), 디텍터(DET),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모두 동작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In the standby state, the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이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 각각의 입출력단자(110)에 구비된 검출부(150)를 이용하여 모든 입출력단자(110)로의 입력 신호를 검출한다.The
그리고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각각의 입출력단자(110)에서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입출력 방향을 결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각 검출부(150)로부터 입력 신호의 레벨 값을 수신하여 어떤 입출력단자(110)를 입력 단자로 결정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And the
S200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120)는 각각의 입출력단자(110)에서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S210). 이때 임계값은, 입출력단자(110)로 수신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레벨이, 해당 입출력단자(110)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실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는 수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임계값은, 실제 통신 환경에서 무선 신호가 교환될 때, 입력 신호의 최소 레벨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Looking at step S20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8 , the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부(120)는 이어서, 각 입출력단자(110)에서 검출된 입력 신호 중, 신호 레벨이 임계값 이상인 입력 신호들만을 다시 비교하여, 신호 레벨이 임계값 이상인 입력 신호 중 가장 높은 레벨의 입력 신호를 선출할 수 있다(S220). 이때 제어부(120)는 선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한편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S210단계에서 임계값과 비교된 각 입력 신호의 레벨이 모두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도 17의 S100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어서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S220단계에서 선출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110)를 입력 단자로 결정할 수 있다(S230). 그에 따라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나머지 입출력단자(110)를 모두 출력 단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가 결정됨으로써, 다중 경로 중계기(100) 내의 신호 입출력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그리고 이와 같이 신호의 입출력 방향이 결정되면,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부(120)는 각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240). And when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the signal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입출력단자 3이 입력 단자로 결정되는 경우, 나머지 입출력단자 1, 2, 4는 모두 출력 단자로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증폭부 3은 송신 신호(TX)의 전송을 위한 동작 모드로, 증폭부 1, 2, 4는 수신 신호(RX)의 전송을 위한 동작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 when input/
이때, 증폭부 3은 예를 들어, 송신 신호(TX)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TX 증폭 모드’로 설정되거나, 또는 송신 신호(TX)를 우회시키기 위한 ‘TX/RX 바이패스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증폭부 1, 2, 4는 수신 신호(RX)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RX 증폭 모드’로 설정되거나, 또는 수신 신호(RX)를 우회시키기 위한 ‘TX/RX 바이패스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때 제어부(120)는 S220단계에서 저장된 입력 신호의 레벨 값에 기초하여 증폭부 3의 동작 모드를 ‘TX 증폭 모드’로 설정할지 또는 ‘TX/RX 바이패스 모드’로 설정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증폭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증폭 이득을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는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증폭부(14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증폭부 1 내지 4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부 1에 대하여, 미리 ‘TX/RX 증폭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20)는 출력 단자에 대응함으로써, 수신 신호(RX)를 전달하는 경로가 되는 증폭부 1을 ‘RX 증폭 모드’로 동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증폭부 1이 입력 단자가 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TX/RX 증폭 모드’에서 ‘TX 증폭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이때 제어부(120)가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증폭부(140)의 증폭 이득을 미리 설정하거나 제어하기 위해서, 각 조건에 따른 제어 정책이 미리 설정되는 제어 알고리즘에 의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한편 S220단계에서,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입력 신호 중 가장 높은 레벨의 입력 신호를 선출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한번 선출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110)에서 다시 가장 높은 레벨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입출력단자(110)를 입력 단자로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S220, the
즉, 제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하나의 입력 단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임계값 이상의 레벨을 갖는 입력 신호 중 가장 높은 레벨의 입력 신호를 선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입력 단자를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ocess of detec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determining one input terminal accordingly, the
한편 다시 도 17에서, S200단계에 의하여, 신호의 입출력 방향과 그로 인한 각 증폭부의 동작 모드가 결정된 이후에,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결정된 바에 따라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300).On the other hand, again in FIG. 17, after the input/output direction of the signal and the operation mode of each amplification unit are determined by step S200, the
즉, 제어부(120)는 각각의 증폭부(140)에 대하여 미리 결정한 동작 모드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증폭부(140) 내에 포함된 스위치들을 동작 모드에 따라 스위칭시킨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S300단계에서, S200단계에서 결정된 신호 입출력 방향 등에 따라 회로 소자의 제어가 완료되면,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신호 중계 상태로 천이한다(S400). 이때 신호 중계 상태는 S300단계에서 제어된 상태에 따라, 결정된 하나의 입력 단자에서 수신된 신호를 나머지 출력 단자로 중계하는 상태로서, 신호 중계 상태에서 제어부(120)는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하나의 검출부(150)를 제외한 나머지 검출부(15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S500). 또한 신호 중계 상태에서 제어부(120)는 입력 단자에서 검출되는 입력 신호의 레벨에 따라 자동 레벨 제어기(ALC)나 감쇠기(ATT) 등을 설정할 수 있다.As such, in step S300, when the control of the circuit element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output direction determined in step S200, the
한편,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이와 같은 신호 중계 상태에서 입력 신호의 레벨이 임계값 미만인지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S600). 그에 따라 입력 신호의 레벨이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하면,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다시 대기 상태로 천이하여, S100단계로부터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S600단계에서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입력 신호의 레벨이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검출되더라도, 다시 입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입력 신호의 레벨이 지속적으로 임계값 미만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만 대기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600, the
이와 같이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복수의 입출력단자(110)에 모두 검출기(150)를 구비함으로써, 모든 단자의 입력 신호 레벨을 감시하고, 이를 통해 하나의 입력 단자를 선정함으로써 단신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한편 상술한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에서,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S20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각의 증폭부(140)의 모드를 시스템 구성에 따라 달리 결정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signal relay method using the multi-path described above, the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중계 시스템 내에 캐스캐이드(Cascade) 연결 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1:3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나란하게 3대 이어서 설치되는 경우, 좌측의 제1다중 경로 중계기(100-1)에 가장 큰 레벨의 입력 신호가 검출되면, 제1 다중 경로 중계기(100-1)에서 해당 신호가 검출된 단자가 입력 단자가 되고, 나머지는 출력 단자가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 the
그리고 제1다중 경로 중계기(100-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2다중 경로 중계기(100-2)의 입출력단자가 입력 단자가 되고, 나머지 단자는 출력 단자가 되며, 제2다중 경로 중계기(100-2)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제3다중 경로 중계기(100-3)의 입출력단자는 다시 입력 단자가 되고 나머지는 모두 출력 단자가 된다. And the input/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multi-path repeater 100-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path repeater 100-1 becomes an input terminal, the remaining terminals become an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multi-path repeater ( The input/output terminal of the third multi-path repeater 100-3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100-2) becomes an input terminal again, and all others become output terminals.
이와 같이 다중 경로 중계기(100)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될 때에도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에 대하여 하나의 입력 단자가 선정되고 나머지는 출력 단자로 기능함으로써,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단신 통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소수의 중계기만을 활용하여 넓은 커버리지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입출력단자이든 입력 단자가 되고, 나머지가 출력 단자가 되어 특정 구역에서 발생한 신호를 나머지 구역에서 모두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난망의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such, even when the
한편 다른 예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내에 1:3 다중 경로 중계기(100) 총 5대가 십자형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1다중 경로 중계기(100-1)에서 입력이 발생하면, 입력 신호가 검출된 하나의 입출력단자만이 입력 단자가 되고, 나머지는 모두 입력된 신호를 출력한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0 , when a total of five 1:3
그리고 제1다중 경로 중계기(100-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2다중 경로 중계기(100-2)의 입출력단자는 입력 단자가 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마다 하나의 입력 단자와 세 개의 출력 단자가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input/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multi-path repeater 100-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path repeater 100-1 becomes an input terminal, one input terminal for each
그리고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이와 같이 결정된 입출력 방향에 따라 증폭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어느 단자에서 가장 큰 레벨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입출력 신호의 경로가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나아가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부(120)들이 서로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하거나, 복수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와 각각 통신하는 제어기(미도시)가 시스템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에 구성된 제어부(120) 또는 별개로 구성되는 제어기는,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입출력 방향이나, 신호 증폭 여부에 따라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한편 위와 같은 다중 경로 중계기(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에 포함되는 증폭부의 동작 모드와, 증폭 이득 등은 다중 경로 중계기(100)가 설치되는 시스템 구성이나 운용 환경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동작 모드와 증폭 이득에 의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동국, 즉 무선 통신 단말로의 신호 중계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in a system including the
이를 위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내에 포함된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 알고리즘을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도록 트레이닝 시킬 수 있다. 도 21은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시스템에서, 이동국 신호를 학습하여 시스템에 포함된 각 중계기의 증폭부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2는 다중 경로 중계기를 학습시키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21 ,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우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 신호를 학습하여 시스템에 포함된 각 중계기의 증폭부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서는, 우선 실제 설치 환경에 하나 이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S1000). First, as shown in FIG. 21,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mplifier mode of each repeater included in the system by learning the mobile station signal, first configuring a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S1000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총 3개의 1:3 다중 경로 중계기(100)를 일렬로 배치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각각의 입출력단자들은 각각의 폐쇄된 구역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입출력단자는 지하1층, 다른 하나의 입출력단자는 지하 2층 등과 같이 분리된 구역의 신호 송수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step S10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 a total of three 1:3
이와 같이 시스템과 환경을 구성한 상태에서, 복수의 이동국, 즉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S2000). 이때 각 이동국의 위치와, 각 이동국의 신호 송수신 상태, 그리고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국에서 발생하는 무선 신호 등이 구체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With the system and environment configured in this way, a wireless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tha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2000).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each mobile station, th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each mobile station, and the radio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station transmitting the signal may be specifically recorded.
이어서,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이동국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검출하고, 미리 제어부(120)에 설정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각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고, 증폭 이득을 조절하여 신호를 중계한다(S3000).Then, each
여기서 제어 알고리즘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에 의하여 학습되어 최적의 제어 정책을 수립하는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일례로 강화학습 모델인 Q-network에 다른 인공신경망이 결합되는 DQ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trol algorithm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is learned by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to establish an optimal control policy.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by including a DQN in which other artificial neural networks are combined with Q-network, which is a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이어서, 신호 중계의 결과로서, 다시 각 이동국에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검출한다(S4000). 이때, S4000단계에서는, 수신 신호의 레벨이나 신호대잡음비 등을 검출할 수 있다.Next, as a result of the signal relay, the reception signal received by each mobile station is detected again (S4000). In this case, in step S4000, th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or the signal-to-noise ratio may be detected.
그리고 S5000단계에서는 이동국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레벨이나 신호대잡음비가 미리 설정한 목표 범위 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이동국이 각각 다른 위치에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각각의 이동국의 수신 신호가 미리 설정한 목표 범위 내인지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5000,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level or signal-to-noise ratio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mobile station is within a preset target range. 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receive signals at different positions,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received signals of each mobile station are within a preset target range.
만약 수회의 테스트 결과, 수신 신호가 모두 목표 범위 내인 것으로 확인되면,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부(120)의 제어 알고리즘을 현재 상태로 확정할 수 있다(S700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received signals are all within the target range as a result of several tests,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그러나 S5000단계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가 목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예를 들어, 수신 신호의 레벨이 과도하게 작거나 큰 경우, 또는 잡음이 많은 경우에는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 알고리즘을 수정할 수 있다(S6000). 예를 들어, 특정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거나, 증폭 이득을 조정하는 등이다. However, i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in step S5000 is out of the target range, for example, if th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is excessively small or large, or if there is a lot of noise,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또한 예를 들어, 지하 1층의 이동국에서 수신된 신호는 목표 범위 내였으나, 지하 2층의 이동국에서 수신된 신호는 신호 레벨이 목표치 미만인 경우, 지하 2층에 대응하는 입출력단자(110)에 연결된 증폭부(140)의 증폭 이득을 조정하는 등, 검출된 수신 신호의 패턴에 따라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 알고리즘을 수정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whe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station on the first basement level was within the target range, bu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station on the second basement floor has a signal level less than the target value, it is connected to the input/
복수의 이동국을 이동시키고, 발생되는 신호를 조절하며,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국을 변경하는 등 여러 가지 상황에서 충분히 많은 횟수에 걸쳐 S2000단계 내지 S6000단계를 반복함으로써, 각각의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 알고리즘이 최적화될 때까지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By repeating steps S2000 to S6000 over a sufficiently large number of times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moving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adjusting generated signals, and changing mobile station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each
한편 도 2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어 알고리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통상의 강화학습 모델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알고리즘에 포함되는 강화학습 모델은 에이전트와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이전트는 일반적으로 인공신경망이나 룩업테이블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정책’과,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정보(St)와 리워드 정보(Rt)를 참조하여 액션(At)을 결정하는 정책을 최적화하는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강화학습 알고리즘은 환경을 관찰하여 획득되는 상태정보(St)와, 상태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때 주어지는 리워드(Rt), 그리고 정책에 따라 출력되는 액션(At)을 참조하여 정책을 개선한다. Meanwhile,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algorith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2 . 2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ypical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22 , the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included in the control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agent and an environment. Here, the agent is 'reinforcement learning' that optimizes the policy for determining the action (At) by referring to the 'policy' generally configur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s or lookup tables, and the state information (St) and reward information (Rt) given from the environment. Algorithm'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improves the policy by referring to the state information (St) obtained by observing the environment, the reward (Rt) given when the state is improved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the action (At) output according to the policy. .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단계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이하에서 현재에 대응하는 단계는 t로, 다음 단계는 t+1 등으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And this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for each step, and hereinafter, a step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is indicated by t, a next step is indicated by t+1,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다중 경로 중계기(100)는, 다중 경로 중계기(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구성된 장소, 예를 들어 빌딩을 환경으로, 이러한 환경 내에서 이동국이 수신하는 수신 신호의 레벨 등의 값을 상태정보(St)로 갖고, 기 설정된, 조건에 따른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나, 증폭 이득을 액션(At)으로 하며, 수신 신호의 레벨 등의 상태정보(St)가 개선되면 리워드(Rt)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다중 경로 중계기(100)의 제어부(140)는 입력 단자를 결정하고 각 증폭부(14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며, 증폭 이득을 조정하면서 신호를 중계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최적의 신호 중계를 위해, 위와 같이 환경에 적응적으로 학습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term '~ unit'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patent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Functions provided i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separated from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도 17 내지 도 2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The signal rela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2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executable by a computer. In this case, the instructions and data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a predetermined program module may be generat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addition,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a computer recording medium, which is a volatile and non-volatile and non-volatile embodi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t may include both 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or example, the computer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such as HDD and SSD,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 DVD and Blu-ray disc, or accessible through a network. It may be memory included in the server.
또한 도 17 내지 2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relay method using the multipa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2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r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instructions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an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n assembly language, or a machine language. .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in a tangib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g, a memory, a hard disk, a magnetic/optical medium, or a solid-state drive (SSD), etc.).
따라서 도 17 내지 22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ignal relay method using the multipa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2 may be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computer program as described above by the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a high-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memory and the high-speed expansion port, and a low-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low-speed bus and the storage device.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various buses, and may be mounted on a common motherboard or in any other suitable manner.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processor may process commands within the computing device, such as for displaying graphic information for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an external input or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connected to a high-speed interface. Examples are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or a storage device. In other embodiments, multiple processors and/or multiple buses may be used with multiple memories and types of memory as appropriate.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chipset formed by chips includ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analog and/or digital processors.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Memory also stores information within the computing device. As an example,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as a volatile memory unit or a set thereof. As another example,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as a non-volatile memory unit or a set thereof. The memory may also be another form of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for example, a magnetic or optical disk.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may provide a large-capacity storage space to the computing device. The storage device may be a computer-readable medium or a component comprising such a mediu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devices or other components within a storage area network (SAN), a floppy disk devic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Alternatively, it may be a tape device, a flash memory, or othe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device array similar thereto.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Claims (9)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의 입력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하나의 입출력단자를 입력 단자로 결정하고 나머지를 출력 단자로 하는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신호 중계 상태로 진입하여, 결정된 입출력 방향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를 제어하여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는,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각각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와 하기 분배부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와 분배부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복수의 증폭부와, 상기 복수의 증폭부 사이에 구비되어, 임의의 증폭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분배하여 나머지 증폭부로 전달하는 분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입출력 방향에 따라 상기 증폭부의 신호 전달 방향과 신호 증폭 여부를 달리하도록 상기 복수의 증폭부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방법. A signal relay system including a multi-path repeat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s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n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carried out by
detecting each input signal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n a standby state;
determining an input/output direction in which one input/out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s an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nput/output terminals are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detected level of the input signal; and
Entering a signal relay state and relaying a signal by controlling the multi-path repeat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put/output direction,
The multi-path repeater,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put signal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and a signal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and the distribution unit ar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and the following distribution unit, respectively. A plurality of amplification units for selectively amplifying, and a distribut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amplification units to distribute a signal transmitted from an arbitrary amplification unit and transmit it to the remaining amplification units,
The step of relaying the signal is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the plurality of amplifiers to vary the signal transmission direction and signal amplification of the amplifi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put/output direction.
상기 신호 중계 방법은,
상기 신호 중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상기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만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검출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중계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relay method,
detecting only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n the signal relay state; and
A signal relay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vely amplifying a relayed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input signal.
상기 신호 중계 방법은,
상기 신호 중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단자 중 상기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만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입력 단자에서 검출된 입력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하면, 신호 중계를 중단하고 상기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중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relay method,
detecting only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in the signal relay state; and
and when the level of the input signal detected at the input terminal decreases below a preset threshold, stopping signal relay and transitioning to the standby state.
상기 입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입출력단자에서 검출된 신호 레벨이 임계값 이상인 입력 신호 중 가장 큰 신호 레벨을 갖는 입력 신호가 검출된 입출력단자를 입력 단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put/output direction includes:
A signal relay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input/output terminal from which an input signal having the largest signal level among input signals having a signal level detected at each input/output terminal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detected as an input terminal.
상기 신호를 중계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증폭부의 동작 모드와 상기 복수의 증폭부의 증폭 이득을 제어하도록 정의된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증폭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laying the signal is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mplifiers using a control algorithm defined to control the operation modes of the plurality of amplifiers and the amplification gains of the plurality of amplifiers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상기 신호 중계 방법은,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시스템을 구성한 상태에서, 복수의 이동국을 운용하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다중 경로 중계기를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하면서, 상기 복수의 증폭부의 동작 모드에 따라 중계되어 상기 복수의 이동국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알고리즘에 포함된 인공신경 모델을 트레이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중계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ignal relay method,
generating a signal while operating a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in a state in which a signal relay system including the multi-path repeater is configured;
controlling the multi-path repeater according to the control algorithm, and detecting the received signals re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lurality of amplifiers and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mobile stations;
A signal relay method comprising training an artificial neural model included in the control algorithm according to the detected received sig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698A KR102457742B1 (en) | 2021-03-22 | 2021-03-22 | Method for repeating singnals using multi-path repe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698A KR102457742B1 (en) | 2021-03-22 | 2021-03-22 | Method for repeating singnals using multi-path repe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2090A KR20220132090A (en) | 2022-09-30 |
KR102457742B1 true KR102457742B1 (en) | 2022-10-21 |
Family
ID=8345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6698A KR102457742B1 (en) | 2021-03-22 | 2021-03-22 | Method for repeating singnals using multi-path repe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7742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63726A (en) * | 1986-05-09 | 1987-11-16 | Aikomu Kk | Repeater |
KR100555330B1 (en) * | 2003-01-04 | 2006-02-24 | 송기홍 | 1:N Multiple Acess Repeater for High data rate mobile Communications |
US8121535B2 (en) * | 2007-03-02 | 2012-02-21 | Qualcomm Incorporated | Configuration of a repeater |
-
2021
- 2021-03-22 KR KR1020210036698A patent/KR102457742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2090A (en) | 2022-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033763C (en) | Distributed amplifier network management system | |
US6047199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mobile radio signals | |
US10236921B1 (en) | Signal booster device,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signal booster device | |
US20150380928A1 (en) | Protection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s | |
KR101916850B1 (en) | Floor-by-floor service apparatus for fire figh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floor-by-floor service method using therof | |
US11563549B2 (en) | Selectable band suppression f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 |
US20030040329A1 (en) |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combiner/splitters | |
US1072877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457742B1 (en) | Method for repeating singnals using multi-path repeater | |
KR102457743B1 (en) | Multi-path repeat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
JP2002223176A (en)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ransmitter-receiver and reception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 thereof | |
GB2502143A (en) | A wireless signal repeater providing an amplified uplink channel when communication is detected on the uplink channel | |
US6690916B1 (en) | Radio network for radio communication in an enclosed environment and a repeater for such a radio network | |
US7024231B2 (en) | Booster system in a cellular phone base station | |
US2006017811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noise in wireless transceiver | |
US4139735A (en) | Carrier current communications system | |
KR100549454B1 (en) |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repeater | |
WO201304448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receiving dynamic range of rf transceiver in tdd system | |
JP6651477B2 (en) | Power amplification device and power amplification control method | |
KR100993084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WO2006126344A1 (en) | Wireless relay device | |
US10484028B2 (en) | Squelch sub-system using correlation between uplink paths | |
KR200433349Y1 (en) | Apparatus for selecting RF signal path | |
JPH07202604A (en) | Transmission output controller | |
JP2002141854A (en) | Antenna switch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