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160B1 -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160B1
KR102457160B1 KR1020210054044A KR20210054044A KR102457160B1 KR 102457160 B1 KR102457160 B1 KR 102457160B1 KR 1020210054044 A KR1020210054044 A KR 1020210054044A KR 20210054044 A KR20210054044 A KR 20210054044A KR 102457160 B1 KR102457160 B1 KR 10245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disposed
housing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석
강은진
Original Assignee
강은진
신원식
주식회사 유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진, 신원식, 주식회사 유엠에스 filed Critical 강은진
Priority to KR102021005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1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undergroun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The undergroun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space arranged therein; a hose disposed in the space; and a water supply module for provid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o the hose, wherein the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having a flow passage formed therei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s buri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undergroun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is installed underground so as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surroundings, such as fire suppression, disease control, snow removal, and cleaning, without restriction of installation space.

Description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Undergroun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본 실시예는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underground buried type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도심의 명소, 재래시장, 주택 밀집 지역 등의 도로는 소형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로에는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음에 따라 화재가 발생 시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지역에는 옥외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옥외 비상소화장치는 옥외 설치로 인한 동절기 동파가 자주 발생되고, 도시 미관을 해치고 그 설치에 따른 불편 민원이 수시로 발생하여 왔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7127호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15231호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은 지하에 매설되는 소방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Roads in downtown attractions, traditional markets, and residential areas are usually narrow enough for a small car to pass through.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extinguish a fire in case of a fire as fire trucks could not enter on these roads. Accordingly, outdoor emergency fire extinguishing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these areas. These outdoor emergency fire extinguishers frequently suffer from freezing in winter due to outdoor installation, impair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frequent complaints about inconvenience caused by the install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2007127 "Underground Fire Box System" and Korean Patent No. 10-2015231 "Underground Fire Box System" propose a fire fighting system buried underground. .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그 주변의 화재 진압, 방역, 제설, 세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ire suppression, prevention, snow removal, and cleaning,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by being installed underground.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이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 내 배치되는 호스; 및 상기 호스로 소화수를 제공하는 급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모듈은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매립된다.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space is disposed; a hose disposed in the space; and a water supply module for providing fire fighting water through the hose, wherein the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s embed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본 실시예를 통해 화재 발생 영역에 따라 브라켓의 회전을 통해 호스의 연장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화재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se can be set in various way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fire occurs, so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fire suppression can be quickly performed.

또한, 분기관 내 유로 및 약통 결합 구조에 의해 일정한 흡입력으로 약통 내 약제가 혼합유로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약제와 소화수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tube can be sucked into the mixing passage with a constant suction force by the flow passage and the medicine tube coupling structure in the branch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dicine and the digestive water can be mixed at a constant ratio.

또한, 소화수 공급을 위한 급수관이 하우징 내 매립되므로, 영하 날씨에도 급수 모듈 내 급수관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s buried in the hous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supply pipes in the water supply module even in sub-zero weather.

또한, 하우징 내 복수의 배수 유로를 형성하여 공간 내 소화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space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forming a plurality of drain passages in th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개방된 소방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릴을 제1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호스가 제외된 호스릴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내 호스릴 어셈블리의 배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브라켓을 회전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와 가이드 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급수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내 급수관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배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배수 구조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ystem with an ope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el is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in FIG. 2 .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viewed from the side;
5 is a plan view of FIG. 3 viewed from the sid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se re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reel assembly in which a hose is ex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hose reel assembly in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rotated in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and a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and a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lunger and a guide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supply module in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man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drainage structure in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ainage structure in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and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explicitly. It may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general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dvance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one or mor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as A, B,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And,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where i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and another elem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upper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upper (above) or lower (lower) is not only when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Also includes cases in which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개방된 소방시스템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에서 릴을 제1방향으로 회전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이며, 도 5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ystem with an ope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e first reel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rotated in the direction, Fig. 4 is a plan view viewed from the side, Fig. 5 is a plan view viewed from the side,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은 하우징(1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면이 개구되며, 내측에는 소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이 수용되도록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1 to 5 ,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xternal shape formed by the housing 110 .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The housing 110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a space 112 may be formed inside to accommodate at least one component for firefighting.

개구된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커버(1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를 커버하거나, 상기 공간(112)을 외부로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는 상기 커버(120)를 개방시켜, 상기 공간(11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A cover 120 may be coupled to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cover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 and may cover the opening or open the space 112 to the outside according to rotation. The cover 120 may be hinged to the housing 110 .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user may open the cover 120 to expose the space 112 to the outside.

상기 커버(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120)의 재질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The cover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cover 120 may be aluminum.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은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10)은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커버(120)가 지면과 동일 높이 또는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지하에 매설된다는 점에서 매설박스로 이름할 수 있다.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may be buried underground. In this case, the housing 110 may be buried underground, and the cover 120 may be disposed to form the same height or the same plane as the g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housing 110 may be called a buried box in that it is buried underground.

상세히,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의 측방향과 하방향으로 최외곽 영역으로서,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은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공간(112) 내 장치들이 지하의 습기, 물, 미생물 등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concrete)와 같이 방수와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일 수 있다. In detail, the housing 110 is the outermost are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the side and lower surfaces are sealed,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buried underground in the form of an open manhole. . 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waterproofness and durability, such as concrete, to prevent the devices in the space 112 from being eroded by underground moisture, water, microorganisms, and the like.

상기 커버(120)는 상호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제1커버(122)와 제2커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22)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124)는 상기 제1커버(122)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커버(122)를 제외한 상기 제2커버(124)의 개방에 의해 후술할 프레임(130)의 상면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cov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hinged to each other. The cover 120 may include a first cover 122 and a second cover 124 . One end of the first cover 122 may be hinged to the housing 110 , and the second cover 124 may b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ver 122 .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exposed upward by opening the second cover 124 excluding the first cover 122 .

상기 커버(120)의 하면에는 프레임(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면이 상기 커버(12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는 후술할 호스릴 어셈블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커버(120)와 함께 상기 하우징(110) 내 공간(112)을 개방시키거나,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0)의 개방 시,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 하면 또는 상기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A frame 130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 The frame 130 may have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120 . A hose reel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130 . The frame 130 may rotate together to open the space 112 in the housing 110 together with the cover 120 or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the frame 13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110 or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

상기 프레임(13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상기 커버(2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rame 130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hose reel assembly 2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00 .

상기 커버(120)의 측면에는 링(10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104)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120)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 시스템(100)은 로프를 상기 링(104)에 묶은 후에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링(104)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A ring 104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ver 120 . The ring 10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four corners of the cover 120 .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100 may be buried underground using a fork crane after tying the rope to the ring 104 . The ring 104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은 댐퍼(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180)는 실린더(182)와, 상기 실린더(182)에 대하여 승강되게 배치되는 로드(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82)는 상단이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184)는 하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82)에 대한 상기 로드(184)의 압축, 신장에 의해 상기 커버(120)의 이동이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may include a damper 180 . The damper 180 may include a cylinder 182 and a rod 184 disposed to be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182 .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182 may be coupled to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and the lower end of the rod 184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movement of the cover 120 may be easily guided by compression and extension of the rod 184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182 .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은 호스릴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결합된 폐쇄 상태에서는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상기 공간(112)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의 개방 시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상기 공간(112)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may include a hose reel assembly 200 . The hose reel assembly 2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I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cover 1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hose reel assembly 20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12 .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the hose reel assembly 200 is separated from the space 112 , and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릴(210)과, 상기 릴(210)에 감기는 호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se reel assembly 200 may include a reel 210 and a hose 212 wound around the reel 210 .

상기 호스(212)는 일단이 후술할 급수 모듈(300, 도 15 참조)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어셈블리(22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모듈(300)으로부터 유입된 소화수가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를 통해 목표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호스(212)는 합성수지 소재의 연질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수는 약제 및 물이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One end of the hose 212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module 300 (refer to FIG. 15 ) to be described later, and a nozzle assembly 220 for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Accordingly,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300 may be sprayed to the target through the nozzle assembly 220 . The hose 212 may be formed of a soft pip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may be a mixture of a drug and w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릴(210)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호스(212)가 권취되거나, 권취된 호스(212)의 감김이 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The reel 210 is rotatably disposed, and may rotate so that the hose 212 is wound or the wound of the wound hose 212 is unwound.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상기 릴(210)이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릴(210)은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에 대하여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릴(21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e hose reel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el 210 may be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For example, the reel 210 may be rotatably disposed about the Z axis with respect to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In this case, the reel 210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assembly 220 extends in the X-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and 4 , or as shown in FIGS. 3 and 5 , the nozzle assembly 22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릴 어셈블리는 릴이 설치 영역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호스의 연장 방향이 일 방향으로만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hose ree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rotates while the reel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are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se is limited to only one direction.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릴 어셈블리(200)에 따르면, 릴(210)의 회전에 따라 호스(212)의 연장 방향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으로나 호스(212)가 연장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hose reel assembl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se 212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el 210,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is As a reference, the hose 212 can be extended in any direction, so it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rapid fire suppression.

이하에서는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hose reel assembly 200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호스가 제외된 호스릴 어셈블리의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내 호스릴 어셈블리의 배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브라켓을 회전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와 가이드 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se ree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reel assembly excluding a ho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underground bu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hose reel assembly in the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rotated in FIG. 9,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and a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lunger and a guide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120)의 개방에 의해 상기 공간(112)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1 to 13 , as described above, the hose reel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and by opening the cover 120 , the space It is possible to move outward of (112).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호스(212)의 권취 또는 해제를 위한 상기 릴(210)의 회전을 제1회전으로 정의하고, 도 2 및 도 4,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릴(210)에서부터 상기 호스(220)의 연장 방향이 달라지도록 상기 릴(210)의 위치가 달라지는 회전을 제2회전으로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otation of the reel 210 for winding or releasing the hose 212 is defined as a first rotation, and as in FIGS. 2 and 4, 5 and 8, the A rota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reel 210 changes so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se 220 from the reel 210 is changed is defined as a second rotation.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는, 릴(210), 호스(212), 브라켓(260), 지지 플레이트(270) 및 플런저(2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se reel assembly 200 may include a reel 210 , a hose 212 , a bracket 260 , a support plate 270 , and a plunger 264 .

상기 릴(210)은 상기 호스(212)가 권취되는 권취부(210b)와, 상기 권취부(210b)의 양단에 배치되며 상기 호스(212)를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부(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0a)는 상기 권취부(210b)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reel 210 may include a winding portion 210b on which the hose 212 is wound, and a fixing portion 210a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winding portion 210b and fixing the hose 212 to the inside. can The fixing part 210a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winding part 210b.

상기 권취부(210)의 양 측면 중앙에는 각각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미도시)은 상기 릴(220)의 상기 제1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winding unit 210 . The hole (not shown) may form the first rotation center of the reel 220 .

상기 권취부(210)의 일 측면 중앙에 형성된 홀에는 손잡이(214)가 결합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14)를 통해 상기 릴(210)을 제1회전시킬 수 있다. A handle 214 is coupled to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winding unit 210 , and a user can first rotate the reel 210 through the handle 214 .

상기 권취부(210)의 타 측면 중앙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호스(212)의 일단이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스(212)의 일단은 상기 공간(112) 내 급수 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호스(212)로 소화수가 유입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hose 212 is disposed to pass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winding unit 210 , and one end of the hose 212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module 300 in the space 112 . . Accordingly, fire fighting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se 212 .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는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는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을 포함하며, 스크류가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120) 또는 상기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를 통해 상기 호스 어셈블리(200)는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 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7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The support plate 27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ent at least once or more, and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The support plate 270 includes a screw hole for screwing to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and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screw hole and is coupled to the cover 120 or the frame 130 . can be Through the support plate 270 , the hose assembly 200 may be firmly fixed in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

상세히,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는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272)와, 상기 제1플레이트(272)의 일측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면에 상기 릴(210)이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72)와 상기 제2플레이트(274)는 상호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72)와 상기 제2플레이트(274)가 인접하는 모서리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상면에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기 위한 보강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upport plate 270 includes a first plate 272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30 , bent from one side of the first plate 272 , and the reel 2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72 . A second plate 274 may be included. The first plate 272 and the second plate 274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support plate 270 or arranging a separate configuration on the upper surfac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an edge adjacent to the first plate 272 and the second plate 274 . .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272)가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결합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 결합부(132는 타 영역과 구획되도록 상기 프레임(13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first plate coupling part 132 to which the first plate 272 is coupled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rame 130 . The first plate coupling part 132 may have a groove shape formed to be stepp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30 so as to be partitioned from other regions.

상기 제2플레이트(274)는 상기 커버(120)의 개방 시, 상기 커버(120) 및 상기 프레임(13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릴(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릴(210)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릴(210)의 회전은 제2회전일 수 있다.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the second plate 274 is vert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over 120 and the frame 130 , and the reel 210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reel 2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reel 210 may be the second rotation.

상기 제2플레이트(274)는 제1홀(2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홀(271)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271)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271)에는 후술할 스크류(28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274 may include a first hole 271 . The first hole 27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other surface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first hole 27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A screw 28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le 271 .

상기 릴(210)이 배치되는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에는 가이드(27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77)는 상기 제1홀(27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77)는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 중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77)는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guide 277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on which the reel 210 is disposed. The guide 277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hole 271 . The guide 277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corner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guide 277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상기 가이드(277)는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라켓(26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브라켓(260)의 위치를 고정한다는 점에서 스토퍼로 이름할 수도 있다. The guide 277 is for guid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racket 26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acket 260 ,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bracket 26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acket 260 . It may be called a stopper in that it fixes the position of the 260 .

상기 가이드(277)는 제1가이드(279)와, 제2가이드(2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279)와 상기 제2가이드(278)는 수직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가이드(277)는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279)와 상기 제2가이드(278)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277 may include a first guide 279 and a second guide 278 . The first guide 279 and the second guide 278 are vertically disposed, and thus, the guide 277 may have an “L” shape in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first guide 279 and the second guide 278 may be formed as one body.

상기 제2플레이트(274)는 복수의 가이드 홀(275, 2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홀(275, 276)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홀(275, 276)은 제1가이드홀(276)과, 제2가이드홀(2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홀(275, 276)에는 상기 플런저(264)가 택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 홀(275)의 배치 영역(273)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일 변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274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holes 275 and 276 .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275 and 276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275 and 276 may include a first guide hole 276 and a second guide hole 275 . The plunger 264 may be alterna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275 and 276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acket 260 . The arrangement area 273 of the second guide hole 275 may protrude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274 than the other area.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에는 브라켓 결합부(29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는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는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며, 내측에 상기 스크류(280)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298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98a)은 상기 제1홀(271)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bracket coupling part 298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and a first through hole 298a through which the screw 280 passes may be formed t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298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hole 271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의 상면에는 후술할 가이드 볼(296)이 결합되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guide groove to which a guide ball 296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

상기 브라켓(260)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60)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60)은 브라켓 몸체(261)와,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결합부(268, 26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racket 26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bracket 260 may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The bracket 260 may include a bracket body 261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268 and 269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1 .

상기 브라켓 몸체(260)는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브라켓 몸체(260)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홈(26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61a)은 상기 브라켓 몸체(260)의 하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가장자리부에 의해 타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홈(261a)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결합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내측에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가 결합되는 결합홈(29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90a)의 단면 형상은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racket body 26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groove 261a that is depressed relative to other regions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0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The groove 261a is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0. It may be partitioned from other regions by an edge disposed on It may be coupled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298.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may be disposed inside the plate coupling part 290 as shown in Fig. 11. The plate coupling part 290 )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290a to which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is coupled. ca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의 상면과 마주하는 하면부(291)와, 상기 하면부(291)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92)의 하단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과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late coupling part 290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291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298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29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dge region of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 It may include a side portion 292 facing the side of the 298). The lower end of the side portion 29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결합홈(290a)의 바닥면, 즉 상기 하면부(291)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볼(296)이 결합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guide groove to which the guide ball 296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90a,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291 .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측면, 상기 측면부(292)에는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주입구(2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295)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사이로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윤활유 주입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가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에 대한 상대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n injection hole 295 passing through the inner surface from the outer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ate coupling portion 290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292 . The injection hole 295 is for injecting lubricant between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and the plate coupling part 290, and the plate coupling part 29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by the lubricating oil injection.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can be easily made.

상기 주입구(295)에는 마개(29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 stopper 29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jection hole 295 .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사이에는 가이드볼(29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볼(296)은 상기 브라켓 결합부(298)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상대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은 각각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결합에 의해 상기 가이드볼(296)이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은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볼(296)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볼(296)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 guide ball 29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and the plate coupling part 290 . The guide ball 296 is for facilitat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plate coupling part 290 with respect to the bracket coupling part 298,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may each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guide ball 296 is coupled by coupling.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respectively, and the guide balls 296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ave. Accordingly, when the bracket 260 is rotated, the plate coupling part 290 can be easily rotated through the guide ball 296 .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중앙에는 제2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262)은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262)은 상기 제1홀(271)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홀(262)의 배치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90)의 중앙에도 상기 스크류(280)가 관통하도록 제2관통홀(291a)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hole 26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racket body 261 . The second hole 262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1 . The second hole 26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hole 271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through hole 291a may also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coupling part 290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rea of the second hole 262 so that the screw 280 passes therethrough.

상기 브라켓(260)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는 상기 스크류(28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280)는 상기 브라켓(26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끼워져, 상기 제2홀(262), 상기 제2관통홀(291a), 상기 제1관통홀(298a) 및 상기 제1홀(271)을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bracket 260 and the support plate 27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crew 280 . The screw 280 is inserted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260 , and the second hole 262 , the second through hole 291a , the first through hole 298a , and the first hole 271 . ) can be coupled to pass through.

상기 스크류(280)는 머리부(281)와 체결부(282)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282)의 하단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82)의 외주면 중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하부에는 너트(286)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너트(286)를 통해 상기 브라켓(260)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 간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281)의 하면과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상면 사이, 상기 너트(286의 상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하면 사이에는 각각 와셔(284, 287)가 개재될 수 있다. The screw 280 includes a head 281 and a fastening part 282 , and a lower end of the fastening part 282 may protrude below the second plate 274 . A nut 286 may be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274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astening portion 282 , and the bracket 260 and the support plate 270 are coupled through the nut 286 . This can be held firmly. In addition, washers 284 and 287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8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1,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nut 286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respectively. have.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브라켓 몸체(261)는 상기 스크류(280)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제2플레이트(274)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By the coup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body 261 may rotate on the second plate 274 with the screw 280 as a rotation center.

상기 브라켓 몸체(261)는 플런저 결합홀(26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결합홀(264c)은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결합홀(264c)에는 상기 플런저(26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런저 결합홀(264c)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제1가이드 홀(276)과 마주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2가이드 홀(275)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racket body 261 may include a plunger coupling hole 264c. The plunger coupling hole 264c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1 . The plunger 264 may be coupled to the plunger coupling hole 264c. As the bracket 260 rotates, the plunger coupling hole 264c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guide hole 276 of the second plate 274 or to face the second guide hole 275 of the second plate 274 . can be placed.

상기 복수의 결합부(268, 269)는 상기 브라켓 몸체(232)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릴(2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268, 269)는 상기 릴(21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68)와, 상기 릴(210)의 타 측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69)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268 and 269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32 , and the reel 210 may be coupled therein.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268 and 269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268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el 210 and a second coupling part 269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el 210 . may include

상기 제1결합부(268)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214)와 같은 상기 릴(210)의 회전 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A rotating means of the reel 210 such as the handle 21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268 .

상기 제2결합부(269)에는 상기 호스(212)가 관통하도록 홀 형상의 호스 가이드(269a)가 구비될 수 있다.A hole-shaped hose guide 269a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269 to allow the hose 212 to pass therethrough.

상기 제1결합부(268) 및 상기 제2결합부(269)에 의해 상기 릴(210)은 사이 영역에서 고정되며, 제1회전할 수 있다. By the first coupling part 268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69 , the reel 210 is fixed in the region between it and may be rotated first.

상기 플런저(264)는 상기 플런저 결합홀(264c)을 관통하여 상기 제1가이드 홀(276) 또는 상기 제2가이드 홀(27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264)는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 홀(276) 또는 상기 제2가이드 홀(275)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2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plunger 264 may pass through the plunger coupling hole 264c to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hole 276 or the second guide hole 275 . The plunger 264 is coupled to the first guide hole 276 or the second guide hole 275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acket 260 , and may fix the position of the bracket 260 .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플런저(264)는 플런저 몸체(264a)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26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몸체(264a)는 상기 플런저 결합홀(264c)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264b)는 상,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이드 홀(276) 또는 상기 제2가이드 홀(275)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몸체(264a)의 내측에는 탄성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264b)가 상기 플런저 몸체(264a)에 대하여 하방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plunger 264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264b that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nger body 264a. The plunger body 264a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plunger coupling hole 264c, and the guide protrusion 264b moves up and down and the first guide hole 276 or the second guide hole 275. One end may be coupled to An elastic part (not shown) may be disposed inside the plunger body 264a. The elastic part may be a spring. The elastic part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64b moves downward relative to the plunger body 264a.

따라서, 사용자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264b)의 일단이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가이드 돌기(264b)의 타단은 상기 제1가이드 홀(276) 또는 상기 제2가이드 홀(275)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 돌기(264b)의 타단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이드 홀(276) 또는 상기 제2가이드 홀(275)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 시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 홀(276) 또는 상기 제2가이드 홀(275)로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on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64b is moved upward by a user's external force, the other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64b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guide hole 276 or the second guide hole 275. . In addition, when the bracket 260 is rotated, the other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64b is mov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and the first guide hole 276 or the second guide hole When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275 , it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276 or the second guide hole 27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이하에서는 상기 호스릴 어셈블리(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ose reel assembly 200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210)이 결합된 상기 브라켓(260)은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상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260)은 도 9에서와 같이 제1위치를 가지거나, 도 10에서와 같이 제2위치를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260 to which the reel 210 is coupled may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74 . Accordingly, the bracket 260 may have a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9 or a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10 .

상기 브라켓(260)이 제1위치에 배치 시, 상기 릴(210)은 Y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제1회전 기준), 상기 호스(220)의 노즐(222)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When the bracket 26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reel 210 is rotatably disposed about the Y-axis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rotation), and the nozzle 222 of the hose 220 is rotated about the X-axis direction. direction can be extended.

그러나,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의 측방으로 화재 발생 시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을 포함한 호스(212)는 측방(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하므로, 상기 브라켓(260)을 회전시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260)을 제2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릴(210)은 X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호스(212)의 노즐(222) 또한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However, when a fire occurs in the side of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the hose 212 including the nozzle assembly 220 must extend laterally (Y-axis direction), so by rotating the bracket 260 By disposing the bracket 260 in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10 , the reel 210 can be rotated about the X-axis direction, and the nozzle 222 of the hose 212 is also rotated in the Y-axis direction. can be extended

상기 브라켓(260)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 시, 사용자는 상기 플런저(264)의 가이드 돌기(264b)가 상기 제1가이드 홀(276)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브라켓 몸체(26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플런저(264)의 단부를 외력을 통해 인장시킨다. When the bracket 260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user may use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0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64b of the plunger 264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uide hole 276 . The end of the plunger 264 protruding from the is tensioned through an external force.

이 후, 상기 가이드 돌기(264b)가 상기 제1가이드 홀(276)로 이탈됨으로써 상기 브라켓(260)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27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 외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260)은 도 9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reafter, as the guide protrusion 264b is separa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276 , the bracket 260 become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270 , and the bracket 260 is rotatable by a user external force. may rotate 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9 .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은,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측면이 상기 제2 플레이트(274) 내 가이드(277) 중 제2가이드(278)와 접촉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측면이 상기 제2가이드(278)에 접촉 시 상기 플런저(264)의 가이드 돌기(264b)는 상기 제2플레이트(274)의 제2가이드 홀(275)과 마주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264b)의 단부가 상기 제2가이드 홀(27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브라켓(260)의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bracket 260 may be rotated until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278 among the guides 277 in the second plate 274 . In addition,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1 contacts the second guide 278 , the guide protrusion 264b of the plunger 264 faces the second guide hole 275 of the second plate 274 . Since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64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27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racket 260 may be fixed.

상기 브라켓(261)의 제2위치에서 제1위치의 전환 또한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 몸체(261)는 도 1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 몸체(261)의 측면이 상기 제1가이드(279)와 접촉될 때까지 회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런저(264)의 가이드 돌기(264b)는 상기 제1가이드 홀(276)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witching of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of the bracket 261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this case, the bracket body 261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10 , and the bracket body 261 rotates until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6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279 . Also, the guide protrusion 264b of the plunger 264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276 .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화재 발생 영역에 따라 브라켓의 회전을 통해 호스의 연장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화재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se can be set in various way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fire occurs,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fire suppression can be performed quickly.

이하에서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nozzle assembly 220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의 단면도 이다.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도 6,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은 노즐 어셈블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는 상기 호스(212)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급수 모듈(300)로부터 유입된 소화수를 목표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2, 3, 6, 15 and 16 ,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ozzle assembly 220 . The nozzle assembly 22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se 212 , and may spray fire extingui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300 to a target. The nozzle assembly 220 may be gripped by a user.

상세히, 상기 노즐 어셈블리(220)는, 노즐(222), 분기관(230), 패킹부재(250) 및 약통(240)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nozzle assembly 220 may include a nozzle 222 , a branch pipe 230 , a packing member 250 , and a medicine cylinder 240 .

상기 노즐(222)은 상기 노즐 어셈브릴(220)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내측에 소화수 및 약제의 혼합물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222)의 단부에는 상기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토출구(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222) 내 토출구(223)는 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물이 강하게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노즐(222)에는 상기 유로 또는 상기 토출구(223)의 단면적 변경에 의해, 상기 혼합물의 분사 속도를 포함한 분사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The nozzle 222 is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nozzle assembly 220,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a mixture of fire extinguishing water and a drug flows may be formed therein. An outlet 223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nozzle 222 to spray the mixture. The discharge port 223 in the nozzle 22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ozzle, so that the mixture can be strongly sprayed. The nozzle 222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for changing the injection shape including the injection speed of the mixture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or the discharge port 223 .

상기 분기관(230)은 일단이 상기 노즐(22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호스(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230)은 상기 약통(240) 내 약제와, 상기 호스(212) 내 소화수를 혼합하여 상기 노즐(222)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기관(230)의 측면에는 상기 약통(240)이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branch pipe 230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nozzle 22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hose 212 . The branch pipe 230 may mix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box 240 with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hose 212 and deliver it to the nozzle 222 . To this end, the medicine cylinder 240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branch pipe 230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상세히, 상기 분기관(230)의 내측에는 상기 소화수 및 상기 약제가 혼합 및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a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branch pipe 230 to mix and flow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and the drug.

상기 유로는, 상기 호스(212)가 결합되는 제1유로(232), 상기 소화수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유로(232)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약통(240)과 연통되는 혼합유로(236), 상기 제2유로(236)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222)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제3유로(2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232)와 상기 혼합유로(236) 사이에는 제2유로(234)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low path is a first flow path 232 to which the hose 212 is coupled, a mixing flow path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flow path 232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medicine cylinder 240 . 236 , a third flow path 238 disposed behind the second flow path 236 and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o the nozzle 222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 second flow path 23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232 and the mixing flow path 236 .

상기 제1유로(232)는 상기 호스(212)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232)의 단면적은 상기 호스(212)의 단면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212)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분기관(230)의 타단에는 상기 패킹부재(2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25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호스(212)의 외면과 상기 유로의 내면 사이로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hose 21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low path 232 .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low path 23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se 212 . For a firm coupling of the hose 212 , the packing member 25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nch pipe 230 . The packing member 250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plastic material to prevent fluid from leaking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ose 2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ath.

상기 제2유로(234)는 상기 제1유로(232)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유로(234)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234)의 내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232) 내 호스(212)로부터 토출된 소화수는 상기 제2유로(234)를 통과하며 유속이 증가될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234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flow path 232 , and the second flow path 234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toward the rear. Accordingly,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234 .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ose 212 in the first flow path 232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234 and the flow rate may be increased.

상기 혼합유로(236)는 상기 제2유로(235)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약제 투입구(235)를 통해 유입된 상기 약통(240) 내 약제와 상기 소화수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유로(236)는 상기 제2유로(234) 및 상기 제3유로(238) 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유로(236)는 상기 약제 투입구(236)를 매개로 상기 약통(24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mixing passage 236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flow passage 235, and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container 240 introduced through the medicine inlet 235 and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mixed. The mixing passage 236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econd passage 234 and the third passage 238 . The mixing passage 236 may be connected to the medicine container 240 via the medicine inlet 236 .

상기 제3유로(238)는 상기 제2유로(236)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222) 내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238)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238)의 내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수 및 약제가 혼합된 혼합수는 상기 제3유로(238)를 통과하며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The third flow path 238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flow path 236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in the nozzle 222 . The third flow path 238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oward the rear.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flow path 238 . The mixed water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and the drug are mixed passes through the third flow path 238 and the pressure may increase.

상기 분기관(230)의 양단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결합부가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노즐(222)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패킹부재(25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At both ends of the branch pipe 230 , coupling portions having a shape protruding outward than other regions may be disposed, one end may be screwed to the nozzle 222 , and the other end may be screwed to the packing member 250 .

상기 약통(240)은 상기 분기관(2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230)의 측면에는 상기 혼합유로(236)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분기관(230)의 측면을 관통하는 투입구(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약통(240)은 상기 투입구(235)에 결합되어, 약제를 상기 혼합유로(236)로 제공할 수 있다. The medicine tube 240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branch pipe 230 . As described above, an inlet 235 passing through the side of the branch pipe 230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ixing passage 236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ranch pipe 230 . The medicine container 240 may be coupled to the inlet 235 to provide the medicine to the mixing passage 236 .

상기 약통(240) 내에는 약제가 수용되는 공간(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241) 내 약제는 소화용 약제, 소독용 약제, 제설용 약제, 세정용 약제와 같은 기능성 약제일 수 있다. 상기 약통(240)은 투명 재질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241)이 외부 영역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내 공간(112)에는 상기 소화용 약제, 소독용 약제, 제설용 약제, 세정용 약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약통이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약통 중 사용 목적에 맞는 어느 하나의 약통을 상기 분기관(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A space 241 in which the medicine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medicine container 240 . The drug in the space 241 may be a functional drug, such as a drug for fire extinguishing, a drug for disinfection, a drug for snow removal, and a drug for cleaning. The medicine container 240 is formed of a tu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space 241 may be exposed to an external area. A plurality of medicine boxes each contain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disinfecting agent, snow removing agent, and cleaning agent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12 in the housing 110, and the user may use one of the plurality of medicine boxes as needed. Any one medicine box suitable for the purpose may be coupled to the branch pipe 230 .

상기 약통(240)의 상단에는 상기 분기관(2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4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24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입구(235)의 내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42)의 상면에는 상기 약제가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part 242 for coupling with the branch pipe 230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edicine box 240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242 is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235 . can be A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242 to discharge the medicament.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분기관(220) 내 유로 및 약통 결합 구조에 의해 일정한 흡입력으로 상기 약통(240) 내 약제가 상기 혼합유로(236)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약제와 소화수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box 240 can be sucked into the mixing passage 236 with a constant suction force by the flow path and the medicine cylinder coupling structure in the branch pipe 220, a constant ratio of the medicine and the extinguishing water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ixed with

한편, 상기 혼합유로(236) 내 소화수의 수압과 상기 약통(240) 내 압력 차이가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약통(240)이 상기 분기관(230)의 하부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약통(240) 내 약제는 용이하게 상기 혼합유로(236)로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mixing passage 236 and the pressure in the medicine box 240 is large, even if the medicine box 240 is disposed under the branch pipe 230, the medicine box 240 is The drug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mixing passage 236 .

이하에서는 상기 급수 모듈(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water supply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급수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내 급수관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supply module in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water supply pipe in a man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은, 급수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모듈(3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 내 공간(112)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212)로 소화수를 제공할 수 있다. 16 and 17 ,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water supply module 300 .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module 30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12 within the housing 110 to provide fire fighting water to the hose 212 .

상기 급수 모듈(300)은 제1급수관(310), 제2급수관(330) 및 배수관(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310), 상기 제2급수관(330) 및 상기 배수관(3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화수가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module 300 may include a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a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 and a drain pipe 360 .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 and the drain pipe 36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 flow path may be formed therein for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to flow.

상기 제1급수관(310)은 상기 공간(112) 내 배치되며, 상기 공간(112)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310)은 일단이 상기 제2급수관(330)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호스(21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310)과 상기 호스(212)의 사이에는 엘보관(31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엘보관(316)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급수관(31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영역을 가지도록,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is disposed in the space 112 and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ace 112 .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 and the hose 212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thereof. An elbow storage 31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and the hose 212 . The elbow storage 316 may have a bent shap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has an area vert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상기 제1급수관(310)에는 메인밸브(3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밸브(312)는 상기 제1급수관(310)의 입구측 관로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2급수관(330)으로부터 제1급수관(310)으로의 소화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메인밸브(312)의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급수관(310)의 입구측 관로가 개방되거나 차폐될 수 있다. A main valve 31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The main valve 312 is installed in the inlet pip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to allow or block the supply of fire extinguishing water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 According to the lever operation of the main valve 312 by the user, the inlet pip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may be opened or blocked.

상기 배수관(360)은 상기 제1급수관(310)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60)의 상단은 내부 유로가 상기 제1급수관(310)의 내 유로와 연통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공간(112)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60)은 상기 제1급수관(31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60)에는 배수밸브(362)가 배치되며, 상기 배수밸브(362)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배수관(360) 내 유로를 개방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362)의 개방 시, 상기 호스(212)내 소화수 및 상기 제1급수관(310) 내 소화수가 상기 배수관(360)을 통해 상기 공간(112) 내 바닥으로 토출될 수 있다. The drain pipe 360 may be disposed to extend downwardly from one side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360 may have an internal flow path coupled to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ain pipe 36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A drain valve 362 is disposed in the drain pipe 360 , and the drain valve 362 may open or block the flow path in the drain pipe 360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When the drain valve 362 is opened, the fire water in the hose 212 and the fire water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may be discharged to the floor in the space 112 through the drain pipe 360 .

상기 제1급수관(310)에서 상기 배수관(360)의 상단의 결합 영역은, 소화수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밸브(3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upling region of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360 in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valve 312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상기 제2급수관(330)은 상기 제1급수관(3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급수관(310)으로 소화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관(330)은 일단이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의 외부에 배치된 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급수관(31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and may provide fire fighting water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a water pipe (not shown) disposed outside of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100 ,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

상기 제2급수관(33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 내 매립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may be embedded in the housing 110 .

상세히, 상기 제2급수관(330)은 상기 하우징(110) 내 매립되는 제2-1급수관(332)과, 상기 제2-1급수관(332)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2급수관(334)과, 상기 제2-1급수관(332)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급수관(310)과 연결되는 제2-3급수관(336)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is connected to a 2-1 th water supply pipe 332 embedded in the housing 110 and one end of the 2-1 th water supply pipe 332 ,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protruding 2-2 water supply pipe 334 and the second 2-3 water supply pipe 334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2-1 water supply pipe 332 and are protrud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310 A water supply pipe 336 may be included.

상기 제2-1급수관(332)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과 내면 사이 영역에 완전히 매립되고, 상기 제2-2급수관(334) 및 상기 제2-3급수관(336)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과 내면 사이 영역에 매립될 수 있다. The second-first water supply pipe 332 is completely embedded in a region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110, and the second-second water supply pipe 334 and the second-third water supply pipe 336 are at least partially It may be embedded in a region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110 .

따라서, 소화수 공급을 위한 상기 제2급수관(330)이 콘크리트 재질인 상기 하우징(110) 내 매립되므로, 영하 날씨에도 상기 급수 모듈(300) 내 급수관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for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s buried in the housing 110 made of concrete,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supply pipes in the water supply module 300 even in sub-zero weather.

한편, 상기 제2-1급수관(332)은 상기 제2-2급수관(334) 및 상기 제2-3급수관(336)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급수관(334)과 상기 제2-3급수관(336)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2급수관(334)은 상기 제2-3급수관(336)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2-1 th water supply pipe 332 may be vert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2-2 th water supply pipe 334 and the 2-3 th water supply pipe 336 . In addition, the 2-2 water supply pipe 334 and the 2-3 water supply pipe 336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2-2 water supply pipe 334 is lower than the 2-3 water supply pipe 336. can be placed.

상기 제2-1급수관(332)과 상기 제2-2급수관(334) 사이에는 상기 제2-1급수관(332)과 상기 제2-2급수관(334)을 연결시키는 제1절곡부(3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급수관(332)과 상기 제2-3급수관(336) 사이에는 상기 제2-1급수관(332)과 상기 제2-3급수관(336)을 연결시키는 제2절곡부(335)가 배치될 수 있다. Between the 2-1 water supply pipe 332 and the 2-2 water supply pipe 334, a first bent part 333 for connecting the 2-1 water supply pipe 332 and the 2-2 water supply pipe 334 is provided. can be placed. Between the 2-1 water supply pipe 332 and the 2-3rd water supply pipe 336, a second bent part 335 for connecting the 2-1 water supply pipe 332 and the 2-3rd water supply pipe 336 is provided. can be placed.

여기서, 상기 제1절곡부(333)와 상기 제2절곡부(335)에서의 유로의 단면적(D2)은, 상기 제2급수관(330) 내 타 영역에서의 단면적(D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급수관(330)의 소화수의 유동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cross-sectional area D2 of the flow path in the first bent part 333 and the second bent part 335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D1 in other areas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 have. Accordingly, the flow of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330 can be made more smoothly.

이하에서는 상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100)의 배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배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 배수 구조의 단면도 이다. 18 is a view showing a drainage structure in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ainage structure in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 내 공간(112)의 바닥면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제1배수 유로(4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 유로(420)는 상단이 상기 공간(112)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공간(112) 내 소화수가 배출되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공간(112)의 바닥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 유로(420)의 하단, 즉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상기 제1배수 유로(420) 내 소화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18 and 19 , a drain hol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12 in the housing 110 . The drain hole may b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drain passage 420 . The first drain passage 420 has an upper end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12 and a lower en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fire water in the space 112 is discharged therein. can be formed. The drain hole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12 . In addition, a first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first drain passage 42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rain passage 420 , that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상기 제1배수 유로(420)의 상단, 즉 상기 배수홀에는 드레인 밸브(410)가 배치되어, 상기 공간(112) 내 소화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가이드하고, 상기 공간(11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공간(112)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A drain valve 41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drain passage 420 , that is, in the drain hole, to easily guide the discharge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space 112 , and from the outside of the space 112 .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space 112 .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제2배수 유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 유로(430)는 일단이 상기 제1배수 유로(420)의 측면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 유??(430)의 타단에는 상기 제2배수 유로(430) 내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홀(43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second drain passage 430 . The second drain passage 430 may have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drain passage 420 and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A second discharge hole 432 for discharg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second drainage passage 430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ainage oil 430 .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측면과 하면을 연결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따기면(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배출홀(432)은 상기 모따기면(110a)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110) 내 소화수는 상기 제1배수 유로(420) 및 상기 제2배수 유로(430)를 따라 상기 제2배출홀(432)을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제1배수 유로(420) 내 하단에 배치되는 제1배출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A chamfered surface 110a that connects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is inclinedly form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hole 432 is formed in the chamfered surface 110a, and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space 110 is disposed along the first drainage passage 420 and the second drainage passage 430 .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432 , or may be discharged through a first discharge hol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rainage passage 420 .

상기 제2배수 유로(43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 유로(420)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배수 유로(430)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drain passage 4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the first drain passage 420 as a center. For example, four second drain passages 430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2배수 유로(430)는 상기 제1배수 유로(420)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drain passage 4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ssage 420 to the other end becomes clos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 내 복수의 배수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112) 내 소화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 the space 112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forming a plurality of drain passages in the housing 110 .

한편, 상기 제1배수 유로(420)와 상기 제2배수 유로(430)에는 각각 파이프 형상의 별도의 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의 내측 공간을 통해 소화수가 배출되는 구조 또한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eparate pipes in the shape of a pip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rain passage 420 and the second drain passage 430, respectively, and a structure in which fire extingui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tube may also be implemented.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being combined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내부에 공간이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 내 배치되는 호스; 및
상기 호스로 소화수를 제공하는 급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모듈은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매립되고,
상기 급수관은,
상기 공간 내 배치되며 상기 호스와 일단이 연결되는 제1급수관; 및
상기 제1급수관의 타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 매립되는 제2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급수관은,
상기 하우징 내 매립되는 제2-1급수관;
상기 제2-1급수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2급수관; 및
상기 제2-1급수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급수관과 연결되는 제2-3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1급수관과 상기 제2-2급수관 사이에는 제1절곡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1급수관과 상기 제2-2급수관 사이에는 제2절곡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 내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급수관 내 타 영역에서의 유로의 단면적 보다 큰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a housing having a space disposed therein;
a hose disposed in the space; and
Comprising a water supply module for provid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o the hose,
The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s embed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water pipe is
a first water supply pipe disposed in the spa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se; and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t least a part of which is embedded in the housing,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 2-1 water supply pipe embedded in the housing;
a 2-2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2-1 water supply pipe an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d a 2-3rd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2-1 water supply pip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 first bent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2-1 water supply pipe and the 2-2 water supply pipe,
A second bent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2-1 water supply pipe and the 2-2 water supply pip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n the first bent part and the second bent part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n other areas in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콘크리트인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erial of the housing is an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급수관은 상기 제2-2급수관 및 상기 제2-3급수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2-1 water supply pipe is an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that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2-2 water supply pipe and the 2-3rd water supply pip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제1급수관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including a drain pipe disposed in the space, the upp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and extends downward.
내부에 공간이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 내 배치되는 호스; 및
상기 호스로 소화수를 제공하는 급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모듈은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매립되고,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배수홀이 배치되고,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제1배출홀이 형성되는 제1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제1배수 유로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된 제2배출홀과 연결되는 제2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수 유로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까지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a housing having a space disposed therein;
a hose disposed in the space; and
Comprising a water supply module for providing fire extinguishing water to the hose,
The water suppl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s embed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drain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The drain hole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includes a first drain channel in which the first outlet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and a second drain channel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drain channe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second outlet hol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econd drain channel is an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 fighting system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from the one e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decreases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 유로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 유로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nderground burie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second drain passages,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first drain passage.
KR1020210054044A 2021-04-27 2021-04-27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KR1024571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44A KR102457160B1 (en) 2021-04-27 2021-04-27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44A KR102457160B1 (en) 2021-04-27 2021-04-27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160B1 true KR102457160B1 (en) 2022-11-01

Family

ID=8404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044A KR102457160B1 (en) 2021-04-27 2021-04-27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16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27B1 (en) * 2018-12-31 2019-09-18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Hydrant box system of underground laying
KR102189900B1 (en) * 2020-01-21 2020-12-11 이상우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27B1 (en) * 2018-12-31 2019-09-18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Hydrant box system of underground laying
KR102189900B1 (en) * 2020-01-21 2020-12-11 이상우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164B1 (en)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KR102189900B1 (en)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KR102015231B1 (en) Hydrant box system of underground laying
KR102007127B1 (en) Hydrant box system of underground laying
US6752167B1 (en) Freeze resistant automatic draining wall hydrant with dual check vacuum breaker
KR102457160B1 (en)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KR102475699B1 (en)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US20220341146A1 (en) Bidet washing apparatus with disinfectant wash feature
KR101932558B1 (en) Two-component spray system
KR102422250B1 (en) Underground hydrant
CA2963067A1 (en) A combined inspection gully dish and trap apparatus
KR102189899B1 (en) Firefighting system for being laid underground with complex function of dehumidification and insulation
KR102473343B1 (en) Hose-reel assembly and multipurpose firefighting system
KR200263793Y1 (en) Safety nozzle for fountain
KR20130071343A (en) Antifreeze spray beam
KR102215728B1 (en) form trailer of extinguishing fire
US20050156130A1 (en) Shunt valve for use in winterizing a pool
KR101535758B1 (en) Non freezing multistage valve for water work
KR200448696Y1 (en) indoor hydrant outlet
US20150211248A1 (en) Pool float valve and cover
KR102358187B1 (en) Foam injection underground fire extinguisher system
JP4072638B2 (en) Mixed faucet column
JP2958641B1 (en) Emergency water supply system for storage in distribution mains
JP2001204843A (en) Extinguish
KR200400031Y1 (en) Fire department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