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751B1 -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 Google Patents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751B1
KR102456751B1 KR1020220002270A KR20220002270A KR102456751B1 KR 102456751 B1 KR102456751 B1 KR 102456751B1 KR 1020220002270 A KR1020220002270 A KR 1020220002270A KR 20220002270 A KR20220002270 A KR 20220002270A KR 102456751 B1 KR102456751 B1 KR 102456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tenna
aperture radar
satellite
pay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
전세연
이승훈
이창현
조준희
김남규
박헌웅
박승현
송찬미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3/90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e.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2Details of the space or ground control se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2013/0236Special technical features
    • G01S2013/0245Radar with phased array antenna
    • G01S2013/0254Active array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위성 구조체부와,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을 포함하고, 위성 구조체부의 제1 면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열안테나부와, 위성 구조체부의 제2 면에 설치되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생산부를 포함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위성으로, SAR 탑재체와 위성 본체를 일체화시킬 수 있고, 구조를 보강하고 중량을 경량화하면서 우수한 SAR 영상품질을 획득할 수 있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가 제시된다.

Description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SAR PAYLOAD}
본 발명은 초소형 위성용의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체를 소형의 단일 패널 형상으로 하여서 위성체의 중량을 경량화하면서 우수한 SAR 영상품질을 획득할 수 있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에 관한 것이다.
합성 개구 레이다(SAR : Synthetic Aperture Radar)는 위성, 항공기 등의 이동 플랫폼에 탑재되어 지상 및 해양을 관찰하는 레이다이다. 합성 개구 레이다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를 통해 관심 지역으로 레이다 빔을 방사하여 수신되는 반사 신호를 처리하여 관심 지역의 영상을 생성한다. 합성 개구 레이다는 주로 인공위성, 항공기 등에 탑재된다.
인공위성은 궤도 운동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위성 본체 및 전파 통신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탑재체를 포함한다. 이때, 위성 본체에는 추진기 및 태양전지판이 설치되고, 탑재체에 합성 개구 레이다가 탑재된다. 또한, 위성 본체에는 탑재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잡한 구조물이 설치된다.
한편, 인공위성은 크기에 따라 중대형 인공위성과 초소형 인공위성으로 구분된다. 그중 초소형 인공위성은 주로 상용부품을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제작되며, 원활한 운용 및 임무수행을 위해 다수개가 군집 대형을 이룬다. 이때, 초소형 인공위성이 군집 대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수개가 함께 발사되어야 하므로, 각각의 초소형 인공위성은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중대형 인공위성을 제작하듯이, 초소형 인공위성을 위성 본체와 탑재체를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할 경우, 위성 본체에 탑재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도 설치해야 하고, 위성 본체에 설치된 구조물의 중량만큼 초소형 인공위성의 중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목표하는 중량으로 초소형 인공위성을 경량화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탑재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에 의해 탑재체에 태양광이 입사되는 면적과 탑재체로부터 열이 방열되는 면적이 제한되고, 그 면적이 시간에 따라 달라지면서 탑재체의 온도 제어를 어렵게 하기 때문에 탑재체 내의 고성능 및 고발열의 송수신 소자에 열이 축적되어 성능이 빠르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SAR 탑재체에 적용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가 위성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탑재체에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의 면적 방향으로 온도 구배가 커지는 것을 제어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합성 개구 레이다로 우수한 영상품질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KR 10-1807417 B1 KR 10-2015-0067469 A
본 발명은 합성 개구 레이다(SAR) 탑재체에 위성 본체를 일체화시킬 수 있는, 단일 패널 형태의 위성체에 적합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량을 경량화하면서 우수한 SAR 영상품질을 획득할 수 있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위성 구조체부;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제1 면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열안테나부; 및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제2 면에 설치되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생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성 구조체부는 우주에서 궤도를 유지하기 위한 추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타일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상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복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일측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고, 타측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타일의 지지체에 구비되는 돌기가 다른 하나의 안테나 타일의 지지체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어느 하나의 안테나 타일과 다른 하나의 안테나 타일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열안테나부는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이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제1 면에 적어도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의 개수를 선택하여 상기 배열안테나부의 일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열안테나부와 연결되는 프론트엔드부;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연결되는 송수신부;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전력생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타일과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각 안테나 타일의 중심 위치를 경유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양측 단부가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양측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위성 구조체부는, 일측에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지지되고, 타측에 상기 전력생산부가 설치되는 허니컴 구조체; 상기 허니컴 구조체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열안테나부의 가장자리를 연결시키는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가 수납되고, 상기 안테나 타일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방열판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타일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안테나 타일 및 상기 허니컴 구조체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위성의 본체 역할을 하는 위성 구조체부를 마련하고, 위성 구조체부의 제1 면에 배열안테나부를 설치하고, 위성 구조체부의 제2 면에 전력생산부를 설치함으로써, 합성 개구 레이다와 위성이 일체화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성 구조체부의 제1 면을 개방시켜 개방된 부위에 배열안테나부를 설치함으로써,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중량을 100kg 이하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위성 구조체부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전력생산부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배열안테나부가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을 포함함으로써 온도 제어가 용이하여 열변형이 억제 혹은 방지됨으로써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가 관찰하는 관심 지역의 영상에 대한 우수한 영상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구조체부 및 프론트엔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열안테나부 및 프론트엔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구성 요소 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성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에 관한 것으로서, 군에서 감시정찰 체계로 사용되는 초소형 인공위성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다양한 종류의 인공위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구조체부 및 프론트엔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열안테나부 및 프론트엔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위성 구조체부(100),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을 포함하고, 위성 구조체부(100)의 제1 면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열안테나부(200), 및 위성 구조체부(100)의 제2 면에 설치되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생산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배열안테나부(200)와 연결되는 프론트엔드부(400),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프론트엔드부(400)와 연결되는 송수신부(500),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 및 전력생산부(300)와 연결되며,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와 제어부(60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합성 개구 레이다와 위성이 일체화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일 수 있다. 합성 개구 레이다와 위성이 일체화되었다는 것은 합성 개구 레이다를 수납하기 위한 본체와, 위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가 동일한 본체인 것을 의미한다. 이때, 위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를 위성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탑재체-위성체 일체형의 위성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위성 구조체부(100)는 일체식 구조를 가지는 위성 구조체부(100)로서, 탑재체의 역할과 위성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위성 구조체부(100)는 합성 개구 레이다를 수납할 수 있고, 우주에서 정해진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위성 구조체부(100)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위성 구조체부(100)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고, 개방된 제1 면 및 개방되지 않은 제2 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성 구조체부(100)는 개방된 제1 면 및 개방되지 않은 제2 면을 연결시키는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위성 구조체부(100)는 제1 면을 개방시켜서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고, 개방된 제1 면과 개방되지 않은 제2 면에 배열안테나부(200)와 전력생산부(300)를 각각 설치하여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성 구조체부(100)는 허니컴 구조체(110), 연결체(120) 및 추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허니컴 구조체(11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전술한 제2 면으로서, 허니컴 코어를 가지는 패널일 수 있다. 또한, 허니컴 구조체(110)는 복수개의 관통구를 가질 수 있다. 허니컴 구조체(110)는 일측에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와 제어부(600)와 전원공급부(700)가 지지될 수 있다. 허니컴 구조체(110)는 일측은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를 향하는 허니컴 구조체(110)의 일면일 수 있다. 허니컴 구조체(110)는 타측에 전력생산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허니컴 구조체(110)는 타측은 허니컴 구조체(11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으로서, 위성 구조체부(100)의 외부를 향하는 허니컴 구조체(110)의 타면일 수 있다. 허니컴 구조체(110)는 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연결체(12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전술한 측면으로, 허니컴 구조체(110)의 가장자리와 배열안테나부(200)의 가장자리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체(120)는 후술하는 방열판(420)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개구의 개수는 방열판(42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연결체(120)와 허니컴 구조체(11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일체식 구조의 단일 몸체를 형성할 수 있고, 위성 구조체부(100)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연결체(120)는 중공의 사각통 형상일 수 있다.
추진기(미도시)는 우주상에서 궤도를 유지 및 제어하기 위한 추진기로서, 추진기에 의해 위성 구조체부(100)가 위성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추진기는 허니컴 구조체(110) 및 연결체(120)의 복수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추진기의 구조와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의 소정 위치에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기(미도시)와, 전력의 충방전이 가능한 메인 베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배열안테나부(20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제1 면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열안테나부(200)로서, RF 송신 신호를 방사하고, RF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의 보정 경로를 제공할 수 있따. 배열안테나부(200)는 예컨대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로서, 고이득 및 고효율의 개구 결합형 캐비티 백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일 수 있다. 배열안테나부(200)는 위성 구조체부(10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위성 구조체부(100)의 개방된 제1 면 전체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고, 허니컴 구조체(110)의 전술한 일면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열안테나부(200)는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열안테나부(200)는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이 위성 구조체부(100)의 제1 면에 적어도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배열안테나부(20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의 개수를 선택함으로써, 일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위성 구조체부(100)의 개방된 제1 면의 전체 면적을 덮을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의 개수가 4개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개수는 일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배열안테나부(200)가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열안테나부(200)의 온도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배열안테나부(20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하나의 대면적 안테나 타일의 경우에는 대면적 안테나 타일의 중심 위치와 가장자리 위치의 온도 구배를 줄여주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 각각은 배열안테나부(200)의 일부여서 작은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각 안테나 타일(210)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배열안테나부(200) 전체의 관점에서 온도 구배를 줄여주기가 용이할 수 있다. 이로부터 태양광에 의한 배열안테나부(200)의 열변형이 억제 혹은 방지됨으로써 관심 지역으로 신호 예컨대 RF 신호를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고, 관심 지역으로부터 반사되는 RF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어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가 관찰하는 관심 지역의 영상에 대한 우수한 영상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안테나 타일(210)은 지지체 및 지지체상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복사 소자(2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패널(2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체는 2개의 서브패널이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는 서브패널의 개수를 조절하여, 타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 3 참조).
지지체는 일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 중에서, 일측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고, 타측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돌기 및 삽입홈은 각기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서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타일(Tile#1)의 지지체에 구비되는 돌기가 다른 하나의 안테나 타일(Tile#2)의 지지체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삽입됨에 의해, 어느 하나의 안테나 타일(Tile#1)과 다른 하나의 안테나 타일(Tile#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나머지 안테나 타일들(Tile#3, Tile#4)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이 모두 연결될 수 있다(도 3 참조).
지지체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복사 소자(212)가 배열될 수 있다. 지지체의 일면은 위성 구조체부(100)의 외부를 향하는 면일 수 있다.
복사 소자(212)는 단일 복사 소자일 수 있다. 복사 소자(212)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부배열(212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부배열(212a)은 복수개 구비되어 지지체의 일면을 따라 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복사 소자(212)는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복사 소자(212)의 배열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전력생산부(30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제2 면에 설치되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생산부(300)로서, 예컨대 태양광 발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생산부(300)는 태양광을 입사받아서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메인 베터리로 공급하거나, 전원공급부(700)로 공급해줄 수 있다.
프론트엔드부(400)는 RF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프론트엔드부(400)로서, 안테나 빔을 제어하고, 보정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론트엔드부(400)는 방열판(420)을 구비하여, 방열이 우수할 수 있고, 배열안테나부(200)에 대해 구조보강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배열안테나부(200)는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로 형성되는 반도체 송수신 모듈을 프레임(410) 내에 집약하여 배치함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줄어든 크기만큼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엔드부(40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배열안테나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엔드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타일과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론트엔드부(400)는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고, 서로 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엔드부(400)는 각 안테나 타일(210)의 중심 위치를 경유하도록, 각각이 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엔드부(400)는 안테나 타일(210)과 타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프론트엔드부(400)는 각각의 양측 단부가 위성 구조체부(100)의 타 방향의 양측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프론트엔드부(400)는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과 각각 접촉하여,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210)을 각각 지지해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복수개의 프론트엔드부(400)에 의해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구조적으로 더욱 보강하여 줄 수 있다.
프론트엔드부(400)는,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미도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가 수납되고, 안테나 타일(210)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410), 프레임(410)의 양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며 연결체(120)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방열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는 반도체 송수신 소자로서,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는 복수개의 복사 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는 프레임(410)에 수납될 수 있다.
프레임(410)은 안테나 타일(210)을 보강해주는 역할과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프레임(410)은 안테나 타일(210)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며, 안테나 타일(210)과 구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안테나 타일(210)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1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410)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케이스(4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케이스(411) 각각의 내부에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가 모듈화되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케이스(411) 각각은 모듈화된 송수신 소자(412)를 동작시키기 위한 반도체 송수신 회로(413), 각 안테나 타일(210)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신호 분배 회로(미도시) 등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케이스(411)를 타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며, 이때, 복수개의 케이스(411)의 개수를 조절하여 타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케이스(411)는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송수신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판(420)으로 신속히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10)은 허니컴 구조체(110)의 일면과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10)은 안테나 타일(210) 측으로 치우치도록 하여, 방열판(420)에 장착될 수 있다.
방열판(410)은 허니컴 구조체(110)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되고, 프레임(410)의 타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방열판(410)은 프레임(410)과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방열판(410)은 프레임(4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서 위성 구조체부(100)의 측면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이때, 방열판(410)은 위성 구조체부(100)의 측면의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우주 공간으로 열을 방열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방열판(410)은 안테나 타일(210) 및 허니컴 구조체(110)와도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방열판(410)은 안테나 타일(210) 및 허니컴 구조체(110)와 접촉되어서 안테나 타일(210)의 열을 허니컴 구조체(110) 측으로 전달하거나, 그 반대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허니컴 구초체(110) 측으로 태양광이 입사될 때는 허니컴 구초체(110)가 상대적으로 고온이 되고, 안테나 타일(210)이 상대적으로 저온이 되므로 방열판(410)이 허니컴 구초체(110)의 열을 안테나 타일(210) 측으로 전달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방열판(410)은 안테나 타일(210)과 허니컴 구조체(110)의 이격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이들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다. 한편, 프레임(410)은 안테나 타일(210) 측으로 치우치도록 하여 방열판(420)에 장착될 수 있다.
송수신부(500)는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송수신부(500)로서, 주파수 체배, 주파수 하향 변환, 기준 주파수 생성, 보정 경로 제공 등의 역할을 가진다. 송수신부(500)에 의해 효과적으로 광대역 송신 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다.
송수신부(50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프론트엔드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500)는 배열안테나부(200)의 복사 소자를 통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로는 주파수 합성 회로, 제어 회로, 스위칭 회로, 송수신 신호 분배 회로, 보정 신호 분배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500)는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위성 구조체부(100)에 구비된 통합제어기와 TM(Telemetry) 방식과, TC(Telecommand) 방식으로 연동됨으로써,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전술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해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파형을 생성할 수 있고,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통합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PDDS(parallelized direct digital synthesizer) 방식 및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특성을 이용하여 광대역 파형을 생성할 수 있고, 고집적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하여 단일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600)일 수 있다. 제어부(600)는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신호의 생성을 위한 동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 신호의 생성을 위한 송신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기 위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은 복수개의 프론트엔드부(400)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되는 복수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500)와 제어부(600)는 동일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0)는 전력생산부(300)와 연결되며,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와 제어부(60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700)이다. 전원공급부(700)는 메인 베터리(미도시)를 통하여 전력생산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력제공구(700)는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와 제어부(600)가 각각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각각에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전원공급부(700)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전원공급부로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의 전원공급부(700)는 서로 간에 출력 전력의 밸런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원공급부(700)는 전술한 복수의 공간 중 송수신부(500)와 제어부(600)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량이 한 위치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원공급부(700)는 위성 구조체부(100)의 중심 위치에 대하여 대칭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구성 요소 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고해상도 표준모드, 광역관측모드, 비디오 SAR(Synthetic Aperture Radar) 모드로 운용될 수 있다. 이때,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각 모드에서 1 m 급의 고해상도 SAR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높은 임무적시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자적 빔 조향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열안테나부(200)에 평면 개구면 결합 패치 안테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프론트엔드부(400)의 반도체 송수신 모듈은 GaN 타입을 적용하여, 고출력 및 고효율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송수신부(500)에 주파수 상향 변환, 주파수 하향 변환, 주파수 합성, 스위치 네트워크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고집적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기반으로 하여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를 모두 확보할 수 있다.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신호 송신 시, 제어부(600)를 이용하여 송신할 RF 신호의 파형을 생성하고, 송수신부(500)를 이용하여 고안정 기준 클럭을 생성하고, 기준 주파수를 생성하고, 주파수 상향 변환 및 주파수 대역 확장을 수행하고, 배열안테나부(200)에서 RF 신호를 고출력 증폭하여 방향성을 가진 빔의 형상으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신호 수신 시, 안테나부(200)를 방향성을 가진 빔을 형성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600)에서 처리하고, 하향 변환 및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광대역 RF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제어부(600)에서 송신 파형을 생성한 후, 송수신부(500)에서 4체배하여 X대역 RF 신호를 얻은 후, 배열안테나부(200)를 통해 광대역 RF 신호를 방사한다. 또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배열안테나부(200)를 통해 수신된 광대역 RF 신호를 송수신부(500)에서 단일 하향 변환을 통해 L대역 IF 신호를 얻은 후, 제어부(600)에서 고속 AD 변환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얻음으로써, 관심 지역으로부터 반사된 광대역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에서 고속 AD 변환된 데이터는 디지털 하향 변환을 통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 후, I/Q 복조, 필터링 및 데이터 감소, BAQ 압축, CCSDS 포맷팅을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WizardLink 연동을 통해 통합 제어기로 고속 데이터 전송한다. 이때,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제어부(600)를 이용하여 고안정 기준 클럭을 생성하여, 송신 기능과 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국부 주파수 및 기준 주파수를 생성한다. 또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전원공급부(700)를 이용하여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운용을 위해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구성부들에 각각의 운용 모드에 맞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메인 베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각 구성부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각 구성부 간의 연동도 및 아키텍처의 일 예시를 도 4 및 도 5에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배열안테나부(200)와 하우징(100)을 일체화시켜 프론트엔드부(400)와 송수신부(500)와 제어부(600)와 전원공급부(700)를 모두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수납함으로써, 이들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위성체 역할을 하며 제1 면이 개방되는 위성 구조체부(100)를 마련하고, 위성 구조체부(100)의 개방된 제1 면에 배열안테나부(200)를 설치하고, 위성 구조체부(100)의 제2 면에 전력생산부를 설치함으로써, 합성 개구 레이다와 위성이 일체화된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얻을 수 있다. 이를테면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앞면이 배열안테나부로 구성되고, 뒷면이 전력생산부로 구성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일 수 있다. 또한, 위성 구조체부(100)의 내부공간에 프론트엔드부와 송수신부와 제어부와 전력공급부를 집약시켜 탑재시키고, 위성 구조체부의 일면에 배열안테나부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중량으로 인공위성을 경량화시킬 수 있고, 인공위성의 전체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다.
이로부터 능동위상배열안테나 기반의 100kg 급 이하의 초소형 위성을 획득할 수 있고, 고해상 표준모드, 광역관측모드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구현하여, SA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능동위상배열안테나를 통해 구현되는 전자적 빔조향 기능을 통해, 임무 수행의 적시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SAR 영상 획득 시나리오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기계적 빔조향의 경우에 비해, 자세 기동에 의한 위성체 진동이 최소화되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한 SAR 영상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의 성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를 제작하고, 신호의 송신 출력을 1.92kW 이상으로 하고, 송신대역폭을 400MHz 이상으로 하고, 안테나 빔폭을 방위각 0.8도 고각 1.6도로 하고, 빔 조향 범위를 고각 -10도 ~ 10도로 하고 잡음지수를 4dB 이하로 하여, 운용입사각 15~35도 범위에 대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도 6은 고해상 표준 모드의 성능 분석 결과이고, 도 6은 광역 관측모드의 성능 분석 결과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는 운용입사각 25도에서 고해상 표준모드의 경우와 광역 관측모드의 경우 각각 NESZ -14dB와 -17dB 이하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위성 구조체부
200: 배열안테나부
210: 안테나 타일
300: 전력생산부
400: 프론트엔드부
500: 송수신부
600: 제어부
700: 전원공급부

Claims (16)

  1. 합성 개구 레이다의 본체와 위성의 본체가 동일한 본체가 되도록 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로서,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제1 면 및 개방되지 않은 제2 면과,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연결시키는 측면을 가지는 위성 구조체부;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제1 면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열안테나부; 및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제2 면에 설치되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생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성 구조체부는,
    우주에서 궤도를 유지 및 제어하기 위한 추진기;
    합성 개구 레이다와 위성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기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통합 제어기는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타일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상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복사 소자;를 포함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일측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되고, 타측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 타일의 지지체에 구비되는 돌기가 다른 하나의 안테나 타일의 지지체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어느 하나의 안테나 타일과 다른 하나의 안테나 타일이 서로 연결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열안테나부는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이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제1 면에 적어도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련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의 개수를 선택하여 상기 배열안테나부의 일 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타일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열안테나부와 연결되는 프론트엔드부;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연결되는 송수신부;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전력생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타일과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각 안테나 타일의 중심 위치를 경유하도록 연장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양측 단부가 상기 위성 구조체부의 양측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성 구조체부는,
    일측에 상기 프론트엔드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원공급부가 지지되고, 타측에 상기 전력생산부가 설치되는 허니컴 구조체;
    상기 허니컴 구조체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열안테나부의 가장자리를 연결시키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엔드부는,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송수신 소자가 수납되고, 상기 안테나 타일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방열판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타일과 접촉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안테나 타일 및 상기 허니컴 구조체와 접촉되는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KR1020220002270A 2022-01-06 2022-01-06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KR10245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70A KR102456751B1 (ko) 2022-01-06 2022-01-06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270A KR102456751B1 (ko) 2022-01-06 2022-01-06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751B1 true KR102456751B1 (ko) 2022-10-20

Family

ID=8380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70A KR102456751B1 (ko) 2022-01-06 2022-01-06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7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900B1 (ko) 2022-11-29 2023-07-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하는 초소형 위성
KR102555899B1 (ko) 2022-11-29 2023-07-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하는 초소형 위성
KR102555901B1 (ko) 2022-11-29 2023-07-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하는 초소형 위성
KR102566870B1 (ko) 2022-11-30 2023-08-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위성 탑재장치 및 인공위성 운용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527A (ja) * 1995-03-28 1996-10-18 Nec Corp キャビティアンテナ
KR20110114267A (ko) * 2010-04-13 2011-10-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 통신용 복합재 지능 구조물
KR20150067469A (ko) 2013-12-10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 인공위성용 안테나 모듈
KR101807417B1 (ko) 2016-08-05 2017-12-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의 추진제 잔량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289298B1 (ko) * 2020-11-26 2021-08-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527A (ja) * 1995-03-28 1996-10-18 Nec Corp キャビティアンテナ
KR20110114267A (ko) * 2010-04-13 2011-10-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 통신용 복합재 지능 구조물
KR20150067469A (ko) 2013-12-10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 인공위성용 안테나 모듈
KR101807417B1 (ko) 2016-08-05 2017-12-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의 추진제 잔량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289298B1 (ko) * 2020-11-26 2021-08-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900B1 (ko) 2022-11-29 2023-07-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하는 초소형 위성
KR102555899B1 (ko) 2022-11-29 2023-07-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하는 초소형 위성
KR102555901B1 (ko) 2022-11-29 2023-07-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하는 초소형 위성
KR102566870B1 (ko) 2022-11-30 2023-08-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위성 탑재장치 및 인공위성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751B1 (ko) 합성 개구 레이다 탑재체
US9698492B2 (en) Low-cost diplexed multiple beam integrated antenna system for LEO satellite constellation
US7250905B2 (en) Virtual antenna technology (VAT) and applications
US7663546B1 (en) Real-time autonomous beam steering array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US6246364B1 (en) Light-weight modular low-level reconfigurable beamformer for array antennas
US20030206134A1 (en) Partially deployed active phased array antenna array system
Hwang Satellite antennas
KR102454426B1 (ko) 고처리량 분할 위성들
Yu et al. Spaceborne multibeam phased array antennas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US6037909A (en) Deployed payload for a communications spacecraft
US20240006778A1 (en) Direct radiating array ("dra") antenna, method of assembling a dra antenna, and system for managing heat generated by a dra antenna
US6703970B2 (en) Beam forming network, a spacecraft, an associated system and a beam forming method
US11462828B1 (en) Peripheral antenna placement for calibration for a phased array antenna
CN110571511B (zh) 一种用于超视距无线通信的数字平面角分集天线
Zaghloul et al. Low cost flat antennas for commercial and military SATCOM terminals
Warshowsky et al. 20 GHz phased array antenna for GEO satellite communications
Tanaka et al. Development of multibeam phased array antenna on ets‐vi for s‐band intersatellite communications
Li et al. Ka band multi-beam phased array antenna for communication satellite application
Yang et al. Highly Integrated Q/V-Band Multi-Beam Phased Array Antenna for LEO Communication Satellite
WO2024017850A1 (en) Synthetic aperture radar satellite design and operation
Vazquez-Sogorb et al. Multi-Beam Arrays for Future LEO SatCom Payloads
Gregorwich Conformal airborne arrays
CA32000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beamforming
Roederer Semi-active satellite antenna front-ends: A successful European innovation
Kummer et al. A high-gain self-steering microwave ar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