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10B1 - 속옷 일체형 상의 - Google Patents

속옷 일체형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10B1
KR102456610B1 KR1020210145286A KR20210145286A KR102456610B1 KR 102456610 B1 KR102456610 B1 KR 102456610B1 KR 1020210145286 A KR1020210145286 A KR 1020210145286A KR 20210145286 A KR20210145286 A KR 20210145286A KR 102456610 B1 KR102456610 B1 KR 10245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utton
bra
mounting member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장열
염보경
Original Assignee
염장열
염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장열, 염보경 filed Critical 염장열
Priority to KR102021014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속옷 일체형 상의에 관한 것으로, 상의 내부 전방측에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패드 거치부재; 및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브라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속옷 일체형 상의{ONE-PIECE BRA TOP}
본 발명은 속옷 일체형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지어용 패드가 상의에 구비될 수 있는 속옷 일체형 상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보호하고 가슴의 처짐을 방지하여 균형있는 체형을 유지하기 위한 속옷의 일종으로 여성의 가슴과 밀착되게 착용된다.
이러한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이 밀착되어 여성의 가슴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브라 컵과 브라 컵이 형성의 가슴에 착용되도록 착용자의 등에 결합되는 착용 밴드 및 브라 컵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가슴을 당기며 브래지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어깨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브래지어는 착용자의 가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가슴을 지속적으로 압박한다. 이에 장시간 브래지어를 착용할 때에는 여성의 가슴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브래지어는 접촉 밴드에 접촉되는 등에서 땀이 발생하며, 접촉 밴드가 접촉된 부위에는 피부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47157(2018.04.03.)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브래지어를 대체할 수 있는 패드를 상의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어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할 수 있는 속옷 일체형 상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의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는 상기 브라패드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2장의 직물부재로 형성되며, 각 장의 직물부재는,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어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전면부의 중앙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중앙 영역이 더 고정되며, 상기 거치공간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제1 거치공간과 제2 거치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패드는, 상기 제1 거치 공간에 대응되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2 거치 공간에 대응되는 제2 단위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패드는, 착용자의 일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이격되어 착용자의 타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2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패드의 위치를 변경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라패드와 상기 거치공간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브라패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패드 거치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거치공간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단추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의 양측 끝단 영역상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단추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패드는, 상기 단추와 결합되도록 선택된 서브 단추고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패드 거치부재상 탈부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상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탈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의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며,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1 장의 직물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패드는, 착용자의 일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이격되어 착용자의 타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2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의 일측에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기 위한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거치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각각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단추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의 양측 끝단 영역상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단추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패드는, 상기 단추와 결합되도록 선택된 서브 단추고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패드 거치부재상 탈부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의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일측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분리되며, 상의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타측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거나 탈착되고, 상기 상의 착용자의 일측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브라패드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거나 탈착되고, 상기 상의 착용자의 타측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2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에는 상기 제1 브라패드를 거치할 수 있는 제1 거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에는 상기 제2 브라패드를 거치할 수 있는 제2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는, 2장의 직물부재로 형성되며, 각 장의 직물부재는,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어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상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탈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는, 1장의 직물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패드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기 위한 제1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패드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기 위한 제1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단추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상 상기 제1 거치공간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거치공간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이 열경화 처리를 통해 원래 크기인 제1 면적에서 일정 값만큼 늘어난 제2 면적이 되도록 처리하여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제1 거치공간과 제2 거치공간의 입구가 있는 반대방향의 패드 거치부재의 밑단 일측을 패드 거치부재를 형성하는 직물 부재의 제1 인장력보다 기설정된 일정값 이상 높은 제2 인장력을 가지는 텐션 직물부재로 구성하여 착용자가 속옷 일체형 상의를 착용하였을 때, 텐션 직물부재가 착용자의 가슴 하부 영역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의의 내부 전방측에 브라패드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패드 거치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브라패드를 삽입하여 별도의 속옷(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착용자는 속옷을 착용하지 않음으로써 편안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둘째, 브라패드가 착탈 가능하므로 브라패드를 패드 거치부재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일반적인 상의로 착용할 수 있다.
셋째, 패드 거치부재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어 하나의 상의에 복수 개의 패드 거치부재를 교체하며 결합할 수 있거나 하나의 패드 거치부재에 복수 개의 상의를 교체하며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거치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 거치부재와 브라패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속옷 일체형 상의(1)는 패드 거치부재(100) 및 브라패드(2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에는 상기 상의(10)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브라패드(2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120)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상의(10)의 내부 전방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의(10)를 티셔츠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측은 착용자가 상기 상의(10)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가슴 부분을 가리는 측이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에는 상기 브라패드(20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상기 브라패드(200)가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브라패드(200)는 착용자의 일측 가슴을 보호하는 제1 단위 브라패드(210) 및 타측 가슴을 보호하는 제2 단위 브라패드(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210) 및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20)에 의해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210)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23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210)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230)가 분리되었는지 상기 연결부재(220)에 의해 연결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의 형태가 달라진다.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210) 및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삼각형, 물방울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패드(200)는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형태에 맞는 형상의 브라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210)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230)가 분리된 상기 브라패드(200)를 예로 들어 상기 브라 거치부재(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전면부(110) 및 후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110)는 상기 상의(10) 착용자의 양측 가슴을 포함하는 설정된 가슴영역(미표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전면부(1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면부(130)는 상기 전면부(110)와 상호 대칭으로 구비된다. 상기 후면부(130)도 상기 전면부(1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후면부(130) 사이에 상기 거치공간(12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상기 전면부(110)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111, 113)과 상기 후면부(130)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131, 133)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110)의 하측 가장장리 영역(115)과 상기 후면부(130)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135)이 고정된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상기 전면부(110)의 설정된 중앙 영역(117)과 상기 후면부(130)의 설정된 중앙 영역(137)도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후면부(130)의 고정되는 영역에 의해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후면부(130) 사이에는 고정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에는 상기 전면부(110)의 설정된 중앙 영역(117)과 상기 후면부(130)의 설정된 중앙 영역(137)을 기준으로 양 측에 고정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되지 않는 영역이 상기 거치공간(120)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된 중앙 영역(117, 137)을 기준으로 제1 거치공간(121) 및 제2 거치공간(123)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거치공간(121) 및 상기 제2 거치공간(123) 각각에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210) 및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23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가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의(10)의 내부 전방측에 재봉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항상 상기 상의(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가 상기 상의(10)에 항상 고정되도록 재봉되어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의(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속옷 일체형 상의(1)는 탈부착 수단(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 수단(150)은 제1 탈부착 부재(151) 및 제2 탈부자 부재(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탈부착 부재(151) 및 상기 제2 탈부착 부재(15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의(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탈부착 부재(151)가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153)가 상기 상의(10)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는 상기 탈부착 수단(150, 150‘)의 다양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1 탈부착 부재(151)는 단추로 적용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153)는 단추 고정 고리로 적용된다. 한편, 상기 제1 탈부착 부재(151)가 상기 상의(1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153)가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탈부착 부재(153)가 단추로 적용되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151)는 단추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단추 홀의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1 탈부착 부재(151‘) 및 상기 제2 탈부착 부재(153’)가 벨크로 테이프의 형태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151‘)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적용되고, 상기 제2 탈부착 부재(153’)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부착 수단(150, 150‘)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상의에 복수 개의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를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패드 거치부재(100)에 복수 개의 상의를 교체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패드 거치부재는 제1 거치공간(121)과 제2 거치공간(123)의 입구가 있는 반대방향의 패드 거치부재의 밑단 일측을 패드 거치부재의 제1 인장력보다 기설정된 일정값 이상 높은 제2 인장력을 가지는 텐션 직물부재로 구성하여 착용자가 속옷 일체형 상의를 착용하였을 때, 텐션 직물부재가 착용자의 가슴 하부 영역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가슴이 큰 여성의 경우 기존 브라의 하단에 설치되는 와이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가슴이 아래 방향으로 쳐짐에 의해 상체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패드 거치부재는 패드 거치부재상 제1 거치공간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제2 거치공간에 대응되는 제2 영역이 열경화 처리를 통해 원래 크기인 제1 면적에서 일정 값만큼 늘어난 제2 면적이 되도록 처리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나머지 영역보다 늘어나게 제작된 경우, 패드 거치부재가 착용자의 가슴과 밀착되는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착용자의 가슴에 의해 텐션있게 펼쳐지게 되어 패드 거치부재의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게 되며, 착용자의 가슴 하단이 패드 거치부재에 의해 일정 정도 지지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속옷 일체형 상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속옷 일체형 상의(1‘)도 패드 거치부재(100’) 및 브라패드(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브라패드(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1 단위 브라패드(210’), 제2 단위 브라패드(230‘) 및 연결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210‘)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230’)는 상기 연결부재(22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상기 브라패드(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거치공간(12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전면부(110) 및 후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110)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111, 113)과 상기 후면부(130)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131, 133)을 고정하고, 상기 전면부(110)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115)과 상기 후면부(130)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135)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후면부(130)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거치공간(120’)이 형성된다. (도 4 참조) 상기 브라패드(200‘)는 상기 거치공간(120’)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거치공간(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의(10)에 재봉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탈부착 수단(150)에 의해 상기 상의(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100‘)가 상기 탈부착 수단(150)에 의해 결합되며, 단추로 적용되는 제1 탈부착 부재(151)와 단추고리로 적용되는 제2 탈부착 부재(153)로 이루어지는 탈부착 수단(150)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도 4 참조)
한편, 본 실시예는 일체형의 상기 브라패드(200‘)가 하나의 상기 거치공간(120’)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상기 거치공간(120‘)의 크기가 상기 브라패드(2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공간(120‘)에 삽입된 상기 브라패드(200’)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상기 거치공간(120‘) 내에서 상기 브라패드(200’)가 움직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속옷 일체형 상의(1‘)는 상기 브라패드(200’)가 상기 거치공간(12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160)을 더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60)은 제1 고정부(161, 161‘) 및 제2 고정부(163, 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161. 161‘)가 상기 브라패드(200’) 및 상기 거치공간(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면, 상기 제2 고정부(163, 163’)는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고정부(161, 161‘)가 상기 브라패드(20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부(163, 163‘)는 상기 거치공간(120’)에 구비된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고정수단(160)의 일 실시 형태로는 도 5의 (a)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1 고정부(161)는 단추로 적용되어 상기 브라패드(200‘)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부(163)는 상기 제1 고정부(161)인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단추고리로 적용된다.
상기 제2 고정부(163)는 상기 상의(10)와 닿는 상기 전면부(110) 측에 고정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단추고리로 적용되는 상기 제2 고정부(163)는 상기 전면부(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63)가 복수 개로 구비되면, 착용자는 자신의 가슴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맞춰 상기 제1 고정부(161)를 상기 제2 고정부(163)와 결합시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브라패드(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60‘)의 다른 실시 형태로는 도 5의 (b)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1 고정부(161’) 및 상기 제2 고정부(163‘)가 벨크로 테이프로 적용된다.
상기 제1 고정부(161‘) 및 상기 제2 고정부(163’)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적용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적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고정부(161‘)가 상기 브라패드(20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부(163‘)가 상기 거치공간(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163‘)도 일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부(110)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부(163‘)는 상기 제1 고정부(161’)보다 높이방향 및 폭 방향이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패드(200‘)를 상기 거치공간(120’)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때, 상기 제2 고정부(163‘)의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고정부(161’)가 접착 고정되는 위치를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위치에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에서는 패드 거치부재가 전면부와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2장의 직물 부재로 형성되어 브라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패드 거치부재는 1장의 직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패드 거치부재는 1장의 직물 부재로 제작되는 경우, 브라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공간은 형성되지 않는 반면에, 브라패드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브라패드가 패드 거치부재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브라패드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일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이격되어 착용자의 타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2 단위 브라패드와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제2 단위 브라패드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패드측 고정수단으로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제2 단위 브라패드의 일측에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기 위한 제1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고, 패드 거치부재측 고정수단으로는 패드 거치부재의 타측에 제1 고정부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는 예를 들어 단추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부는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단추가 걸림되거나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는 패드 거치부재의 양측 끝단 영역상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단추고리(163, 163‘)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패드는 브라패드상 제1 고정부로 형성된 단추와 결합되도록 선택된 서브 단추고리의 위치에 따라 패드 거치부재상 탈부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속옷 일체형 상의(1“)는 패드 거치부재(600, 610)와 브라패드(210”, 230“)를 포함한다.
이때, 패드 거치부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상의상 착용자의 가슴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분리되어 각 가슴 영역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패드 거치부재는 중앙 영역이 단추나 지퍼 등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되는 형태의 상의에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중앙 영역이 분리되지 않는 일반적인 티셔츠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즉, 패드 거치부재(600)는 제1 패드 거치부재(600)와 제2 패드 거치부재(61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드 거치부재(600)는 상의(10)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일측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 패드 거치부재(610)는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분리되며, 상의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타측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드 거치부재(600)에는 2개의 단위 브라패드로 형성되는 브라패드의 제1 단위 브라패드(210”)를 거치할 수 있는 제1 거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610)에는 제2 단위 브라패드(230“)를 거치할 수 있는 제2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거치 공간을 위해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는 2장의 직물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장의 직물부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어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 거치부재가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제2 패드 거치부재로 분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브라패드 또한 제1 단위 브라패드(210”)와 제2 단위 브라패드(230“)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위 브라패드(210”)는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거나 탈착되고, 상기 상의 착용자의 일측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한다.
제2 단위 브라패드(230“)는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거나 탈착되고, 상기 상의 착용자의 타측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제2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상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탈부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탈부착 수단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구현 가능하다.
즉, 이러한 탈부착 수단은 상기 전면부 및 상기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단추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 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패드 거치부재(600)와 제2 패드 거치부재(610)에 대해서, 각 패드 거치부재가 전면부와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2장의 직물 부재로 형성되어 브라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각 패드 거치부재(600, 610)는 1장의 직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제2 패드 거치부재는 1장의 직물 부재로 제작되는 경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제2 단위 브라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공간은 형성되지 않는 반면에, 각 단위 브라패드(210”, 23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도 5에서 보여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각 단위 브라패드가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제2 패드 거치부재 각각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패드측 고정수단으로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제2 단위 브라패드의 일측에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기 위한 제1 고정부(161, 161’)가 형성될 수 있고, 패드 거치부재측 고정수단으로는 제1 패드 거치부재와 제2 패드 거치부재의 타측에 제1 고정부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163, 16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는 예를 들어 단추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부는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단추가 걸림되거나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는 패드 거치부재의 양측 끝단 영역상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단추고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패드는 브라패드상 제1 고정부로 형성된 단추와 결합되도록 선택된 서브 단추고리의 위치에 따라 패드 거치부재상 탈부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는 착용자가 별도의 속옷(브래지어)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브라패드는 패드 거치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브라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상의는 일반적인 상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브라패드를 패드 거치부재의 내부에 구비할 때에는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위치에 맞게 브라패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편안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 속옷 일체형 상의
10: 상의
100, 100‘: 패드 거치부재
110: 전면부
120, 120‘: 거치공간
121: 제1 단위 거치공간
123: 제2 단위 거치공간
130: 후면부
150, 150‘: 탈부착 수단
151, 151‘: 제1 탈부착 부재
153, 153‘: 제2 탈부착 부재
160: 고정수단
161, 161‘: 제1 고정부
163, 163‘: 제2 고정부
200, 200‘: 브라패드
210: 제1 단위 브라패드
230: 제2 단위 브라패드
220: 연결부재

Claims (27)

  1. 상의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는 상기 브라패드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2장의 직물부재로 형성되며,
    각 장의 직물부재는,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에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높이방향과 대응되는 양 측의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고, 상기 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후면부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이 고정되어 상기 거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패드는,
    착용자의 일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이격되어 착용자의 타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2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공간 내부에서 상기 브라패드의 위치를 변경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라패드와 상기 거치공간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브라패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패드 거치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거치공간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에 구비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단추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고리로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의 양측 끝단 영역상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단추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패드는,
    상기 단추와 결합되도록 선택된 서브 단추고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패드 거치부재상 탈부착 위치가 조절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상기 상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탈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탈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 고리를 포함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 탈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Hook)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Loop)로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15. 상의의 내부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가슴 영역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패드 거치부재와,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며, 상기 상의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거치부재는, 1 장의 직물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패드는, 착용자의 일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이격되어 착용자의 타측 가슴에 대응되는 제2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를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단위 브라패드의 일측에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에 탈부착되기 위한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거치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각각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단추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단추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단추가 걸림되거나, 상기 단추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단추와 분리되는 단추고리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패드 거치부재의 양측 끝단 영역상 수직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단추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패드는,
    상기 단추와 결합되도록 선택된 서브 단추고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패드 거치부재상 탈부착 위치가 조절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210145286A 2021-10-28 2021-10-28 속옷 일체형 상의 KR10245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86A KR102456610B1 (ko) 2021-10-28 2021-10-28 속옷 일체형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86A KR102456610B1 (ko) 2021-10-28 2021-10-28 속옷 일체형 상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610B1 true KR102456610B1 (ko) 2022-10-19

Family

ID=8380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286A KR102456610B1 (ko) 2021-10-28 2021-10-28 속옷 일체형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6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2222A1 (en) * 2016-03-04 2017-09-07 Nicole Marquez Breastmilk Absorbing System
KR101847157B1 (ko) 2016-11-30 2018-04-09 강인주 속옷 일체형 의류
KR20210110783A (ko) * 2021-08-22 2021-09-09 이광성 여성용 가슴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2222A1 (en) * 2016-03-04 2017-09-07 Nicole Marquez Breastmilk Absorbing System
KR101847157B1 (ko) 2016-11-30 2018-04-09 강인주 속옷 일체형 의류
KR20210110783A (ko) * 2021-08-22 2021-09-09 이광성 여성용 가슴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7936B1 (en) Hands free pumping and nursing bra
US5024628A (en) Maternity and nursing brassiere with strap variations
US9591878B2 (en) Snapless nurse and pump bandeau brassiere
US10334889B2 (en) Athletic wear nursing bra
US11957186B2 (en) Seamless garment for pumping and nursing
US20070128981A1 (en) Breast supporter
US11910846B2 (en) Multipurpose pumping and nursing garments
CA2396211A1 (en) Maternity nursing nightgown
KR200489468Y1 (ko) 유두 노출 차단 의류
US6074273A (en) Nursing bra
US20070249263A1 (en) Nursing bra with detachable T-shirt
JP2008095247A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102456610B1 (ko) 속옷 일체형 상의
KR200492681Y1 (ko) 누드 브래지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 의상
US2761147A (en) Cup supporting frames for brassieres
US20240081432A1 (en) Garments with integrated bra feature
KR102449726B1 (ko) 속옷 부착형 의류 및 이에 적용되는 속옷
JP2020056146A (ja) ストラップレスブラ
CN117545389A (zh) 具有中间柔性层的胸罩及其制造方法
JP7154993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3213340U (ja) カップ部付き衣類
JP3168656U (ja) ブラジャー
KR200252448Y1 (ko) 브래지어 일체형 속셔츠
KR102540240B1 (ko) 속옷 일체형 상의
JP6644393B1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