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491B1 -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491B1
KR102455491B1 KR1020210123804A KR20210123804A KR102455491B1 KR 102455491 B1 KR102455491 B1 KR 102455491B1 KR 1020210123804 A KR1020210123804 A KR 1020210123804A KR 20210123804 A KR20210123804 A KR 20210123804A KR 102455491 B1 KR102455491 B1 KR 10245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content
contents
use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명산
김종현
이인
임현수
Original Assignee
(주)소셜인프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셜인프라테크 filed Critical (주)소셜인프라테크
Priority to KR102021012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4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which includes: a list selec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ively produce list content of digital content, and uploading the list content from a terminal of the user; a token assignment unit for assigning individual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s to the lis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and a sharing unit for sharing the list content and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 with a plurality of nodes.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매니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가 선택되고,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의 특정 구간, 플레이 순번에 대한 선택적인 리스팅 순서에 따라 리스트 콘텐츠를 생산하여 리스트 콘텐츠마다 고유의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도록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ar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arbitrary selection, and list contents according to a selective listing order for a specific section and play order of the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that produces and assigns a uniqu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to each list content.

저작물은 '사람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문학 작품(시, 소설, 각본), 강연, 작곡, 연극, 영화, 춤, 그림, 조각, 건축, 사진,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표현방식에 따라 구현된다. A work is a 'creation that expresses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a person', and it is based on various expression methods such as literary works (poetry, novels, screenplays), lectures, compositions, plays, films, dances, paintings, sculptures, architecture, photography, and computer programs. is implemented

이 중 2차적 저작물은 원저작물을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 제작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로서 독자적인 저작물로서 보호된다. Among these, a derivative work is a creative work prepared by translation, arrangement, transformation, adaptation, video production, or other methods of the original work, and is protected as an independent work.

최근 영화 혹은 사진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재 창출과 이에 대한 2차적 저작물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는 PC, 노트북, 스마트폰을 활용한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등의 콘텐츠 제작 툴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Recently, various re-creations of digital content such as movies or photos and secondary works are being activated, which is similar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ntent creation tools such as programs (applications) using PCs, laptops, and smartphones. looks like

또한, 출판, 음악, 방송 등 주요 저작물들의 제작, 유통, 이용 환경이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P2P,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분쟁과 같은 디지털 인터넷 환경에서 저작권자에게 가져오는 위험에 대한 통제가 불가피해졌다. In addition, as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se environment of major works such as publishing, music, and broadcasting are converted to digital, it is inevitable to control the risks posed to copyright holders in the digital Internet environment such as P2P and streaming music service disputes.

디지털 자산의 경우 그 특성상 완벽히 동일한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원본성 및 소유권 확인/인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복제 혹은 위조된 정보가 한 사람에게 이용되어진 후에는 인터넷이라는 개방성의 특성으로 다른 사람들의 접근을 컨트롤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the case of digital assets, since the exact same reproduction is possi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asse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verify/certify the originality and ownership.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물은 원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에 대한 원본과 카피본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가장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 저작물에 고유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In such works of digital content, copyright protection for the original and copies of the original work and derivative works is emerging as the biggest issue, and various methods are being tried to ensure the uniqueness of the digital content work.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방식의 계약 단말 및 방법(등록번호 제10-2178583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As an example of a prior patent document, "a contract terminal and method of a block chain method using a digital content original confirmation key (Registration No. 10-217858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exists.

특허문헌 1의 경우, 계약하고자 하는 대상의 계약 사항을 입력받는 입력 모듈; 대상의 계약시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모듈; 입력 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계약 사항 및 위치 정보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집된 계약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계약서를 생성하는 계약서 생성 모듈; 입력 모듈에 의해 입력받은 계약 사항 및 위치 정보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집된 계약시 위치 정보를 컨텐츠 이니셜라이저(contents initializer) 및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 제공하고,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는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 인터페이스 모듈; 디지털 원본 확인키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 원본 확인키를 계약서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계약서와 결합하여 디지털 컨텐츠 원본 계약서를 생성하는 디지털 컨텐츠 원본 계약서 생성 모듈; 디지털 컨텐츠 원본 계약서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계약서를 암호화 하여 블록체인(blockchain)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블록체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블록체인을 네트워크(network) 상에 분산 저장하도록 P2P 방식으로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블록체인 분산 저장 제어 모듈을 구성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the contract details of the target to be contracted;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contracting a target; a contract cre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act by using the contract details input by the input modu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e contract details input by the input modu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tim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re provided to the contents initializer and international authentication settlement server, and the digital content source from the content initializer or international authentication settlement server a digital content original confirmation key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a confirmation key; a digital content original contract cre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digital content original contract by combining the digital content original confirmation key received from the digital original confirmation key interface module with the contract generated by the contract generating module; a block chai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block chain by encrypting the contract created in the digital content original contract generation module; Configure a blockchain distributed storage control module that transmits the blockchain created in the blockchain creation module to other terminals in a P2P manner to distribute and store the blockchain on the network.

또한, "동영상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등록번호 제10-1745895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In addition, "a content expans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wo-dimensional code inserted into a moving picture, a playback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therefor (Registration No. 10-174589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also exist.

특허문헌 2의 경우, 동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재생 장치로서, 동영상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에 삽입되며 동영상 컨텐츠에 연관된 확장 컨텐츠에 상응하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재생 장치; 및 재생 장치에 표시된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2차원 코드를 인식하여, 2차원 코드에 인코딩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확장 컨텐츠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동영상 컨텐츠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현재 시청하고 있는 동영상 컨텐츠에 연관된 확장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2차원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현재 시청하고 있는 동영상 컨텐츠에 연관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컨텐츠,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 및 게임 컨텐츠 등을 향유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a playback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video content, wherein the video content is inserted into an image constituting one or more frames of the video content and includes a two-dimensional code corresponding to extended content related to the video content. ; and a user device configured to recognize a two-dimensional code from video content displayed on a playback device, read information encoded in the two-dimensional code, and execute extended content using the read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extended content related to the currently viewed video content by scanning the 2D code inserted into the video content, and the user can scan the 2D code included in the video content to scan the 2D code included in the video content to view the currently viewed video content. You can enjoy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content,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content, game content, etc. related to the .

아울러,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생성 및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등록번호 제10-1355077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In addition,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verifying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Registration No. 10-135507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also exists.

특허문헌 3의 경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디지털 서명을 PKI 키와 결합하여 원본 확인키를 최초로 생성하고, 생성된 원본 확인키에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PKI 키를 생성하여 컨텐츠 이니셜라이저로 미리 제공하고, 최초 생성 이후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확인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로부터 제공된 원본 확인키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결합하여 디지털 원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등록 서버; 컨텐츠 이니셜라이저 또는 국제 인증 정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원본 확인키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원본 인증을 수행하는 국내 및 국가별 인증 정산 서버를 구성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the user information and digital signature for predetermined digital content are received,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digital signature are combined with the PKI key to generate an original confirmation key for the first time, and a serial number is added to the generated original confirmation key. A content initializer provided by giving; an international authentication settlement server that generates and provides a PKI key in advance as a content initializer, and generates and provides an original confirmation key for digital content after initial creation; a content registration server for generating digital original content by combining a predetermined digital content with an original confirmation key provided from a content initializer or an international authentication settlement server; It receives the original confirmation key provided by the content initializer or the international authentication settlement server and configures a domestic and country-specific authentication settlement server that performs original authentication on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lient terminal.

원 저작물의 보호와 함께, 2차적 저작물 제작의 활성화 및 저작권의 보호라는 세 가지 측면은 풀기 힘든 난제 중 하나이며, 디지털 콘텐츠가 하나의 고유한 저작물로서 유일성이 확보되어 생산, 거래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뢰성 있는 기술에 대한 발전이 시급한 실정이다. Along with the protection of the original work, the three aspects of activation of the production of secondary works and protection of copyright are one of the difficult challenges to solve, an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digital content is unique as a unique work so that production, trading, etc. are possible. The development of reliable technology is urgently needed.

등록번호 제10-2178583호Registration No. 10-2178583 등록번호 제10-1745895호Registration No. 10-1745895 등록번호 제10-1355077호Registration No. 10-1355077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리스트 콘텐츠가 생산 가능하도록 한다. First, various list contents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digital contents.

둘째, 사용자가 선택한 리스트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여 리스트 콘텐츠의 유일성과 고유성을 부여하며, 리스트 콘텐츠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Second, by giving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to the list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list contents are given, and the transaction of the list contents is possible.

셋째, 리스트 콘텐츠와 리스트 콘텐츠의 트랜잭션 및 소정의 인증 토큰을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하고 저장함을 통하여 복제, 위조, 불법 공유를 차단하도록 한다. Third, it prevents duplication, counterfeiting, and illegal sharing by sharing and storing list contents and transaction of list contents and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s in a plurality of nodes.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problems to be solv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리스트 콘텐츠를 생산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콘텐츠를 업로딩하는 리스트 셀렉 유닛;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상기 리스트 콘텐츠에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 및 상기 리스트 콘텐츠와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트랜잭션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로 공유되도록 하는 쉐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ssignment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st selection unit for a user to selectively produce list content of digital content, and upload the list content from the user's terminal; a token assignment unit for assigning an individual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to the lis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and a sharing unit configured to share the list contents and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s to a plurality of node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리스트 셀렉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콘텐츠를 업로딩하는 콘텐츠 업로딩부; 상기 리스트 콘텐츠를 상기 쉐어링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시키는 콘텐츠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list selection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uploading unit for uploading the list content from the user's terminal; and a content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list contents to the sharing unit and sharing the list contents with the plurality of node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리스트 콘텐츠에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의 할당을 요청하는 토큰 요청부; 및 상기 토큰 요청부에서 요청된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할당 요청이 승인되면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토큰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token assignment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ssignment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ke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assignment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to the list content; and a token granting unit for granting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when the request for allocation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of the list contents requested by the token requesting unit is approved.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노드 쉐어링 유닛은,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발생된 이벤트를 상기 복수 개의 노드와 공유하는 토큰 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node sharing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ken information sharing unit that shares an event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with the plurality of nodes.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리스트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임의 선택되고,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총 재생 시간 내에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list contents of the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the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digital contents are randomly selected by the user, and in a predetermined order within the total playback time of the list content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ist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리스트 콘텐츠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동영상 콘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상기 선택 구간이 상기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ist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video content, the user selectively sets a selection section of the video content Thu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section of the plurality of video content is list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리스트 콘텐츠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뮤직 콘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뮤직 콘텐츠의 플레이 순번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상기 뮤직 콘텐츠가 상기 플레이 순번에 따라 상기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ist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ssignment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music content, a play order of a plurality of music content selectively by the user By setting , a plurality of the music contents may be list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play order.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리스트 셀렉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상기 소정의 순서에 대한 조합에 따라 개별적인 신규 콘텐츠가 재생산되며, 상기 리스트 콘텐츠 상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도록 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list selection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new content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list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redetermined ord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allowed to be granted on the list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리스트 콘텐츠에 따라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상기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token assignment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signment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ants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list content, wherein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is allocat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상기 쉐어링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의 수정 또는 변경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haring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vent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n any one node of the plurality of nodes occurs, the plurality of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event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shared among nodes is compared, and whether to allow the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determined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des. .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 별로 고유의 감성과 독창성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리스트 콘텐츠의 생산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First, the production of list contents from a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can be activated based on the unique sensibility and originality of each user.

둘째, 사용자가 생산한 리스트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여 복제 및 위조 방지는 물론 콘텐츠의 고유성과 유일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Second,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given to the list contents produced by the user to prevent duplication and forgery, as well as to ensure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contents.

셋째,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리스트 콘텐츠의 생성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익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생산한 리스트 콘텐츠를 통해 또 다른 수익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ird,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list contents using digital contents, the revenue for digital contents is improved, and another profit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list contents produced by user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콘텐츠가 생산되는 것을 도시한 제1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콘텐츠가 생산되는 것을 도시한 제2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리스트 콘텐츠가 플레이 순번에 따라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리스트 콘텐츠가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콘텐츠가 소정의 순서에 대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신규 콘텐츠가 재생산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을 통하여 리스트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는 것을 도시한 제1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을 통하여 리스트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는 것을 도시한 제2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콘텐츠가 쉐어링 유닛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쉐어링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first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list contents for digital contents are produced by a user in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list contents for digital contents are produced by a user in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list content produced by a user in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sted in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play order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lis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in the list selection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sted in a predetermined order. .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various new contents ar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list contents of the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the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irst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given to list content through a token assignment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7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given to list content through a token assignment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list contents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re shared with a sha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token assignment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sharing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want to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콘텐츠가 생산되는 것을 도시한 제1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콘텐츠가 생산되는 것을 도시한 제2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리스트 콘텐츠가 플레이 순번에 따라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리스트 콘텐츠가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콘텐츠가 소정의 순서에 대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신규 콘텐츠가 재생산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을 통하여 리스트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는 것을 도시한 제1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을 통하여 리스트 콘텐츠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는 것을 도시한 제2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콘텐츠가 쉐어링 유닛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쉐어링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first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list contents for digital contents are produced by a user in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list contents for digital contents are produced by a user in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list content produced by a user in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sted in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play order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lis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in the list selection unit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sted in a predetermined order. .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various new contents ar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list contents of the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the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irst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given to list content through a token assignment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7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given to list content through a token assignment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list contents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re shared with a sha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list selection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token assignment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b-configuration of a sharing unit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셀렉 유닛(list select unit, 100),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token assignment unit, 200), 쉐어링 유닛(sharing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 a list select unit 100, a token assignment unit , 200 ), and a sharing unit 300 .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셀렉 유닛(100)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리스트 콘텐츠(10)를 생산하고, 사용자의 단말기(1)로부터 리스트 콘텐츠(10)를 업로딩 할 수 있다. 1 to 2, in the case of the list selection unit 100, the user selectively produces the list contents 10 of digital contents, and uploads the list contents 10 from the user's terminal 1 can do.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디지털 동영상, 드라마, SNS 동영상, 음악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소리, 영상, 이미지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음성, 음향, 영상 등을 통하여 디지털화된 정보로 저장, 전달 활용되는 영상, 음성, 문자를 포함하는 모든 자료,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digital content, it may correspond to digital video, drama, SNS video, music,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content in the form of sound, video, image, and the like. In the case of such digital content, it may correspond to all data and information including images, voices, and texts that are stored and transmitted as digitized information through voice, sound, and image.

또한, 리스트 콘텐츠(10)의 경우,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를 조합하여 생성된 콘텐츠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되고 조합된 디지털 콘텐츠가 리스팅 된 콘텐츠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st contents 10 , it corresponds to contents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and the digital contents selec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re listed contents.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1)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리스트 콘텐츠(10)를 생산할 수 있는데, 여기서의 사용자의 단말기(1)는 최근 흔히 상용화되어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PC, 데스크톱 PC 등에 해당할 수 있다. The user can produce the list contents 10 of digital content through the user's terminal 1, wherein the user's terminal 1 corresponds to a smartphone, tablet PC, laptop PC, desktop PC, etc. which are commonly commercialized recently. can do.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리스트 콘텐츠(10)를 업로딩 하는데,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사용자의 단말기(1)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우드(cloud) 서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1)로부터 리스트 콘텐츠(10)를 업로드할 수 있다. The list selection unit 100 uploads the list contents 10 produced by the user, and the list selection unit 100 builds a cloud server connected to the user's terminal 1 and the network, such a cloud The server may upload the list content 10 from the user's terminal 1 .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공간이기는 하나, 사용자는 각자 자신의 계정이나 ID를 통해서만 자신이 생산한 리스트 콘텐츠(10)의 접근 권한과 수정 변경 등의 권한이 부여되고, 타 사용자의 리스트 콘텐츠(10)는 일정한 규칙 하에 열람 가능하지만, 수정이나 변경 혹은 복제는 불가하게 된다. Although the list selection unit 100 is a space for a number of users, each user is granted access rights and rights such as modification and change of the list contents 10 produced only through their own account or ID, and other users The list contents 10 of can be viewed under certain rules, but modification, change, or duplication is impossible.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리스트 콘텐츠(10)에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oken assignment unit 200, an individual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may be assigned to the list content 10 produced by the user.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경우, 암호화된 형태로 리스트 콘텐츠(10)에 제공되는 것으로, 고유한 식별 값을 가져 대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it is provided to the list content 10 in an encrypted form, and has a unique identification value and may have an irreplaceable characteristic.

예컨대,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경우, 복제 불가능한 암호화된 토큰에 해당하며,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과 같은 토큰에 해당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it corresponds to an encrypted token that cannot be copied, and may correspond to a token such as an NFT (non-fungible token).

쉐어링 유닛(300)의 경우, 리스트 콘텐츠(10)와 리스트 콘텐츠(10)의 트랜잭션 정보(transaction information)를 복수 개의 노드(node)에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haring unit 300 , the list content 10 and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 10 may be shared with a plurality of nodes.

리스트 콘텐츠(10)의 트랜잭션 정보라 함은, 리스트 콘텐츠(10)에 발생된 모든 이벤트의 기록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리스트 콘텐츠(10)의 복사, 수정, 거래, 결제, 권리자 변경, 라이센싱 계약 등, 리스트 콘텐츠(10)에 부수할 수 있는 모든 이벤트를 총망라하게 된다.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s 10 means a record of all events occurring in the list contents 10, for example, copying, modification, transaction, payment, change of the right holder, licensing agreement, etc. of the list contents 10 , it will cover all events that may be incidental to the list contents (10).

쉐어링 유닛(300)은 리스트 콘텐츠(10)와 리스트 콘텐츠(10)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동시에 복수 개의 노드(node)와 공유함을 통하여 리스트 콘텐츠(10)에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를 복수 개의 노드와 공유할 수 있다. The sharing unit 300 shares all events occurring in the list content 10 with a plurality of nodes by simultaneously sharing the list content 10 and transaction information for the list content 10 with a plurality of nodes. can do.

쉐어링 유닛(300)에 공유된 리스트 콘텐츠(10)에 대한 정보는 복수 개의 노드 각각에 공유되고 저장되어짐을 통하여 임의 수정 및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formation on the list content 10 shared in the sharing unit 300 is shared and stored in each of a plurality of nodes, so that arbitrary modification and manipulation is not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업로딩부(110), 콘텐츠 공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st selection unit 1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includes a content uploading unit 110 and a content sharing unit 120. may include

콘텐츠 업로딩부(110)의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1)로부터 리스트 콘텐츠(10)를 업로딩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tent uploading unit 110 , the list content 10 may be uploaded from the user's terminal 1 .

콘텐츠 업로딩부(110)는 사용자의 단말기(1)를 통해 사용자가 리스트 콘텐츠(10)를 업로딩 하여 자신의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ent uploading unit 110 may allow the user to upload the list content 10 through the user's terminal 1 and store it in his/her own storage.

스토리지(storage)의 경우, 자신의 계정이나 ID를 통하여 접근 권한과 수정 변경 등의 권한이 부여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는 일정한 규칙하에서 열람만이 가능하며, 수정, 변경, 복제가 불가능한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torage, it may correspond to a space where access rights and rights such as modification and change are granted through one's account or ID, and other users can only view it under certain rules, It may correspond to an impossible space.

콘텐츠 공유부(120)의 경우, 리스트 콘텐츠(10)를 쉐어링 유닛(300)으로 전송하여,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tent sharing unit 120 , the list content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haring unit 300 to be shared by a plurality of nodes.

콘텐츠 공유부(120)를 통하여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리스트 콘텐츠(10)는 복수 개의 노드 간에 지속적인 변경 데이터를 확인함을 통하여 변경 데이터에 대한 공유 및 복수 개의 노드 간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는지에 대한 데이터 간 정합성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ist content 10 shared to a plurality of nodes through the content sharing unit 120 is data for sharing change data and sharing the same data between a plurality of nodes by checking continuous change data between the plurality of nodes It can be used to check the consistency of the liver.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큰 요청부(210) 및 토큰 부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ken assignment unit 2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 a token requesting unit 210 and a token granting unit 220 ) may be included.

토큰 요청부(210)의 경우, 리스트 콘텐츠(10)에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oken requesting unit 210 , it may request allocation of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to the list contents 10 .

토큰 요청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리스트 콘텐츠(10)에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할당되도록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oken request unit 210 requests that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be allocated to the list contents 10 created by the user.

토큰 부여부(220)의 경우, 토큰 요청부(210)에서 요청된 리스트 콘텐츠(10)의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할당 요청이 승인되면,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리스트 콘텐츠(10)에 부여한다. In the case of the token granting unit 220, when the request for allocation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of the list content 10 requested by the token requesting unit 210 is approved,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is transferred to the list content ( 10) is given.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은 토큰 요청부(210)를 통해 요청된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승인을 거치게 되면 토큰 부여부(220)는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리스트 콘텐츠(10)에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6 to 7 , the token assignment unit 200 receive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requested through the token requesting unit 210 through approval, and the token granting unit 220 provides a predetermined It is preferable to grant the authentication token 20 of the list content (10).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쉐어링 유닛(300)은,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발생된 이벤트를 복수 개의 노드와 공유하는 토큰 정보 공유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aring unit 3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ken information sharing unit ( 310) may be included.

토큰 정보 공유부(310)의 경우, 소정의 인증 토크(20)의 발급, 부여, 거래, 수정, 변경 등에 대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발생된 이벤트를 복수 개의 노드와 공유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oken information sharing unit 310 , the event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for the issuance, grant, transaction, modification, change, etc.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may be shared with a plurality of nodes.

또한, 복수 개의 노드는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를 각각의 노드에 공유하고 저장함으로 복수 개의 노드가 동일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nodes share and store the event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in each node so that the plurality of nodes share the event information on the sam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콘텐츠(10)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가 임의 선택되고, 리스트 콘텐츠(10)의 총 재생 시간 내에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 될 수 있다. In the list content 1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gital content is arbitrarily selected by a user, They can be listed in the order of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1)를 통하여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를 임의 선택하여 리스트 콘텐츠(10)를 생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5 , the user may generate the list contents 10 by randomly selecting a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through the user's terminal 1 .

예컨대, 리스트 콘텐츠(10)가 특정한 음악인(예컨대, 가수 아이유)에 대한 음악 플레이리스트에 해당하는 경우,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는 특정한 음악인이 발매한 노래들(예컨대, 가수 아이유의 노래)에 해당하며, 리스트 콘텐츠(10)는 특정한 음악인이 발매한 노래들 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대로 리스팅 되도록 한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list content 10 corresponds to a music playlist for a specific musician (eg, singer IU), the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corresponds to songs released by a specific musician (eg, singer IU), The list content 10 is such that some of the songs released by a specific musician are listed in the order selected by the user.

리스트 콘텐츠(10)는 총 재생 시간을 가지게 되는데, 리스트 콘텐츠(10)의 총 재생 시간은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 각각의 길이, 종류, 개수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The list contents 10 have a total reproduction time, and the total reproduction time of the list contents 10 may vary according to the length, type, number, etc. of each of a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는 자신의 독창적 감성에 따라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를 임의 선택하고, 자신의 감성에 따라 선택된 복수 개의 디지털 콘텐츠의 리스팅 순서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The user can arbitrarily select a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according to his or her original sensibility, and can also select the listing order of the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selected according to his or her sensibility.

즉, 리스트 콘텐츠(10)의 총 재생 시간, 목록, 순서, 리스트 콘텐츠(10) 내 디지털 콘텐츠의 소정의 재생 구간은 모두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reproduction time of the list contents 10, the list, the order, and the predetermined reproduction section of the digital contents in the list contents 10 are all set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콘텐츠(10)는, 디지털 콘텐츠가 동영상 콘텐츠(video contents)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이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ist content 1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video content, the user selectively selects the video content By setting a section, it is possible to list a selected section of a plurality of video contents in a predetermined order.

디지털 콘텐츠가 동영상 콘텐츠(video contents)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선택 구간이 사용자가 선택한 조합에 따라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 되어지는 것이다.When the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video contents, the user may set a selection section (a portion of the video content) of the video content, and the selection section selected by the user is set in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selected by the user It will be listed as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가 영화 동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영화에 대한 공식 스틸컷은 제작사 혹은 배급사에서 선택된 것에 해당하지만, 사용자마다 인상적, 감동적인 장면이 다르기에 사용자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 중 일부 구간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video content corresponds to a movie video, the official still cut for the movie corresponds to the one selected by the production company or distributor, but since each user has different impressive and touching scenes, some sections of the video conten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r. have.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구간은 디지털 동영상 중 일부에 해당하는 짧은 동영상 또는 스틸샷의 형태일 수 있다.The selection section set by the user may be in the form of a short video or still shot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digital video.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구간의 길이 및 선택 장면은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election sec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selection scene are set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사용자가 선택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동영상 콘텐츠는 영화뿐만 아니라 예컨대, 드라마 또는 버라이어티(variety) 영상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드라마 또는 버라이어티 영상에 대하여서도 독창적인 장면에 대한 컷 또는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 등과 같은 형태의 장면 조합에 대한 리스트 콘텐츠(10) 생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video content of the digital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drama or a variety image as well as a movie, and even for a drama or variety image, a cut for an original scene or a GIF (Graphic Interchange Format), etc. It may be possible to create the list content 10 for the scene combination of the form.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 개의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생 순서의 조합이 가능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에 따라 리스팅 되어 디지털 콘텐츠(10)가 생성되는 것이다.In the selection section of a plurality of video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a combination of the playback order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as shown in FIG. 5 , the digital content 10 is generated by listing according to the order selected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콘텐츠(10)는, 디지털 콘텐츠가 뮤직 콘텐츠(music contents)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뮤직 콘텐츠의 플레이 순번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뮤직 콘텐츠가 플레이 순번에 따라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ist content 1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ssignment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music content, a plurality of music content selectively by the user By setting the play order of , it is possible to list a plurality of music contents in a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play order.

뮤직 콘텐츠(music contents)의 경우, 소리나 음악을 녹음한 매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컨대, 디지털 음원, 음악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music contents, it may correspond to a medium in which sound or music is recorded, for example, it may correspond to a digital sound source or music data.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 개의 뮤직 콘텐츠가 선택되며, 뮤직 콘텐츠의 임의 배치와 조합에 따라 리스트 콘텐츠(10)가 생성되는 것이다. That is, a plurality of music content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list contents 10 are generated according to an arbitrary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the music contents.

예컨대, 사용자가 가을을 주제로 리스트 콘테츠(10)를 생성하는 경우, 사용자 A의 경우, 쓸쓸함에 대한 감정적 뮤직 콘텐츠를 복수 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B의 경우는, 가을 산책하기 좋은 음악에 대한 뮤직 콘텐츠를 복수 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a user creates the list contents 10 with the theme of autumn, user A can select a plurality of emotional music contents for loneliness, and user B can choose music for good autumn walks. Multiple music contents can be selected.

아울러, 뮤직 콘텐츠에 대한 플레이 순번이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되고, 플레이 순번에 따라서도 리스트 콘텐츠(10)가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y order for the music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user, and the list content 10 may be various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play order.

리스트 콘텐츠(10)의 경우,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음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뮤직 콘텐츠의 배치에 따라, 뮤직 콘텐츠의 조합에 따라 전체적인 분위기와 아우라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list contents 10 , even though they have a common theme, the overall atmosphere and aura may chan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usic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combination of the music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리스트 콘텐츠(10)의 소정의 순서에 대한 조합에 따라 개별적인 신규 콘텐츠가 재생산되며, 리스트 콘텐츠(10) 상에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부여되도록 허락할 수 있다. In the list selection unit 1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new content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list content 10 selected by the user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can allow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to be granted on the list content 10 .

리스트 콘텐츠(10)의 경우, 복수 개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파편적 영역의 임의 배치와 조합에 따라 신규 콘텐츠가 재생산되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list contents 10, new contents may be reproduced according to arbitrary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fragmented areas for a plurality of video contents.

예컨대, 동영상 콘텐츠가 조커 영화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A가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 중 10.1초로부터 10.9초에 해당하는 구간을 선택하였으며, 사용자B가 동영상 콘텐츠의 일부 구간 중 10.3초로부터 10.12초에 해당하는 구간을 선택하였다면, 사용자A와 사용자B는 선택한 구간이 일부 오버랩 되지만, 선택 구간에 대한 장면에 대한 전체적인 아우라와 심상에 대한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video content corresponds to the Joker movie, User A selects a section corresponding to 10.1 seconds to 10.9 seconds among some sections of the video content, and User B corresponds to 10.3 seconds to 10.12 seconds among some sections of the video content If a section is selected, user A and user B partially overlap the selected section, but the overall aura of the scene and the image for the selected section may be clearly displayed.

이러한 선택 구간에 대한 전체적인 아우라와 심상에 대한 차이는, 예컨대, 사용자A가 선택한 선택 구간은 조커의 범행의 정당성을 내포함과 동시에 범행장면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B가 선택한 선택 구간은 조커의 범행장면과 피해자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A와 사용자B가 선택한 구간에서 오버랩되는 구간이 존재하지만 해석의 차이 및 분위기 등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aura and image of this selection section is, for example, the selection section selected by user A can include the justification of the joker’s crime and at the same time include the crime scene, and the selection section selected by user B is the joker’s The crime scene and the victim's video may be included, and although there is an overlapping section in the section selected by user A and user B,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and atmosphere may appear.

선택된 선택 구간에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가 담긴 콘텐츠의 내러티브(narrative)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A difference may appear in the narrative of the content containing the user's inten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selection section.

내러티브(narrative)는 이어지는 사건들의 연속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정한 장면 내 연속적인 일련의 이야기라 할 수 있다. Narrative refers to a continuation of successive events, and can be said to be a continuous series of stories within a certain scene.

사용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내러티브적 요소를 리스트 콘텐츠(10)에 담을 수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의 스토리(사건을 중심으로 엮은 이야기) 내 담긴 내러티브적 요소를 파편적 영역의 임의 배치와 조합에 따라 리스트 콘텐츠(10)에 담기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clude narrative elements in the list content 10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list the narrative elements contained in the digital content story (a story woven around events) according to the arbitrary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fragmented areas. It can be included in the content (10).

리스트 콘텐츠(10)의 경우, 복수 개의 뮤직 콘텐츠에 대한 임의 배치와 조합에 따라서도 신규 콘텐츠가 재생산되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list contents 10, new contents may be reproduced according to arbitrary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usic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리스트 콘텐츠(10)의 임의 배치와 조합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list selection unit 1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whether the arbitrary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the list content 10 is the same.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리스트 콘텐츠(10)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콘텐츠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하나의 리스트 콘텐츠(10) 내에 디지털 콘텐츠가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e list selection unit 100 may check whether the digital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for each of the list contents 10 are the same, and may check whether the digital contents are equally arranged in one list contents 10 .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리스트 콘텐츠(10) 각각의 고유성, 유일성 등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list selection unit 100 is to check the uniqueness, uniqueness, etc. of each of the list contents 10 generated by the user.

리스트 셀렉 유닛(100)은,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의 임의 배치의 일치 및 불일치에 대한 단순한 차이 및 선택 구간의 일치 퍼센트(percent)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ist selection unit 100 may enable quantitative evaluation of a simple difference between the coincidence and inconsistency of any arrangement of the selected digital content and the percentage coincidence of the selected period.

또한,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의 일치성을 판단하여 리스트 콘텐츠(10)의 전체적인 내용 및 아우라에 대하여 평가하고 판단함으로 제작된 리스트 콘텐츠(10)의 고유성 및 유일성을 판단하고, 판단의 내용을 리스트 콘텐츠(10) 동일성 평가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judging the consistency of the selection section of the video content to evaluate and judge the overall content and aura of the list content 10,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list content 10 produced by judging, and the content of the judgment as the list content (10) It can b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equality.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은, 리스트 콘텐츠(10)마다 독자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하는 것으로 콘텐츠에 따라 부여되는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그 고유한 값이 상이할 수 있다. The token assignment unit 2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ependent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for each list content 10 to the content.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s 20 that are given accordingly may have different unique values.

도 6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생산한 리스트 콘텐츠(10) 별로 상이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리스트 콘텐츠(10)에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6 to 7 ,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different for each list content 10 produced by the user is given to the list content 10 .

즉, 각각의 리스트 콘텐츠(10)는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받으며, 개별적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각각이 구별되는 독자적인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That is, each of the list contents 10 is given an individual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and the individual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forms an independent configuration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리스트 콘텐츠(10)는 콘텐츠 자체의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표면적인 구성인 동시에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각기 개별적이고 독자적인 구성을 통하여 단 하나뿐인 디지털 콘텐츠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list content 10 is an independent and creative superficial composition of the content itself, and at the same time forms only one digital content through each individual and independent composition of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은,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로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oken assignment unit 2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uthentication tok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a predetermined number of authentication tokens 20 to be allocated according to the user in a preset number.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증 토큰(20)은 사용자별로 개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개수에 따라 리스트 콘텐츠(10)를 생산하고 생산된 리스트 콘텐츠(10)에 소정의 인증 토큰(20)을 부여받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number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s 20 may be preset for each user, and the user produces the list content 10 according to the preset number and adds a predetermined number to the produced list content 10 . may be given an authentication token 20 of

예컨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증 토큰(20)이 사용자별로 10개로 한정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to 7 , a predetermined number of authentication tokens 20 may be limited to 10 per user.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개수의 제한은 다양한 사용자가 리스트 콘텐츠(10)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별로 개수를 제한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가 리스트 콘텐츠(10)를 생성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s 20 is to allow various users to create the list contents 10, and by limiting the number for each user, various users can create and trade the list contents 10 will do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쉐어링 유닛(300)은, 리스트 콘텐츠(10)와 리스트 콘텐츠(10)의 트랜잭션 정보를 상호 매칭 비교하여, 복수 개의 노드 각각에 공유된 리스트 콘텐츠(10)와 리스트 콘텐츠(10)의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e sharing unit 3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 10 and the list content 10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nodes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 10 and the list content 10 shared with each other cross-matches.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쉐어링 유닛(300)은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수정 또는 변경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haring unit 300 of th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and authentication token allocation of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event for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in any one node among a plurality of nodes. It is possible to compare ev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shared among nodes, respectively, and determine whether to allow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nodes.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노드 상호 간의 데이터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정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If it is confirmed that the event generated in any one node does not match data between the nodes, it is determined that ev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not selectively matched.

또한,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 정보 비교를 통하여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수정 또는 변경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allow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through comparison of event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shared by a plurality of nodes.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의 경우,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발행, 리스트 콘텐츠(10)로의 부여, 거래, 수정 등에 대한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event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it corresponds to all events occurring in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for issuance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granting to the list content 10, transaction, modification, etc. can do.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에 대한 허용은 복수 개의 노드가 공유한 이벤트 정보 비교를 통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mission of the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be determined through comparison of event information shared by a plurality of nodes.

쉐어링 유닛(300)의 경우, 리스트 콘텐츠(10)와 리스트 콘텐츠(10)의 트랜잭션, 소정의 인증 토큰(20), 소정의 인증 토큰(20)에 대한 이벤트를 복수 개의 노드와 공유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haring unit 300 , a transaction between the list content 10 and the list content 10 ,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 and an event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may be shared with a plurality of nodes.

쉐어링 유닛(300)은 복수 개의 노드 각각에 공유된 리스트 콘텐츠(10)와 리스트 콘텐츠(10)의 트랜잭션, 소정의 인증 토큰(20), 소정의 인증 토큰(20)의 이벤트를 비교할 수 있으며, 각각의 노드에 공유된 정보가 상호 정합하는지 여부를 매칭 비교하고 확인할 수 있다. The sharing unit 300 may compare the event of the list content 10 and the list content 10 shar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the transaction of the list content 10,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and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2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check whether the information shared in the nodes of .

이후,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통하여 노드 상호 간의 데이터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리스트 콘텐츠(10)와 리스트 콘텐츠(10)의 트랜잭션 정보가 리스트 셀렉 유닛(100),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200), 쉐어링 유닛(300)으로부터 소싱되지 않은 정보는 선택적으로 제거되며, 노드 상호간의 데이터 정합을 이루도록 한다. Thereafter, when data matching between nodes is not achieved through an event generated in any one nod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s 10 and the list contents 10 is transferred to the list selection unit 100 and token assignment Information not sourced from the unit 200 and the sharing unit 300 is selectively removed to achieve data matching between nodes.

쉐어링 유닛(300)은 복수 개의 노드 각각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들을 상호 인입시켜 인입되는 순서에 따라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 비교하여 이들 데이터들의 정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aring unit 300 mutually inserts data appli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and cross-matches and compares them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receiv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se data match.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describ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components. should be

1: 단말기
10: 리스트 콘텐츠
20: 소정의 인증 토큰
100: 리스트 셀렉 유닛
110: 콘텐츠 업로딩부
120: 콘텐츠 공유부
200: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
210: 토큰 요청부
220: 토큰 부여부
300: 쉐어링 유닛
310: 토큰 정보 공유부
1: terminal
10: List content
20: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100: list select unit
110: content uploading unit
120: content sharing unit
200: token assignment unit
210: token request unit
220: token grant unit
300: sharing unit
310: token information sharing unit

Claims (10)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리스트 콘텐츠를 생산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콘텐츠를 업로딩하는 리스트 셀렉 유닛;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산된 상기 리스트 콘텐츠에 개별적인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 및
상기 리스트 콘텐츠와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트랜잭션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로 공유되도록 하는 쉐어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리스트 셀렉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콘텐츠를 업로딩하는 콘텐츠 업로딩부; 및
상기 리스트 콘텐츠를 상기 쉐어링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시키는 콘텐츠 공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리스트 콘텐츠에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의 할당을 요청하는 토큰 요청부; 및
상기 토큰 요청부에서 요청된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할당 요청이 승인되면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는 토큰 부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쉐어링 유닛은,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발생된 이벤트를 상기 복수 개의 노드와 공유하는 토큰 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임의 선택되고,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총 재생 시간 내에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동영상 콘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상기 선택 구간이 상기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뮤직 콘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뮤직 콘텐츠의 플레이 순번을 설정하여, 복수 개의 상기 뮤직 콘텐츠가 상기 플레이 순번에 따라 상기 소정의 순서대로 리스팅되고,
상기 리스트 셀렉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상기 소정의 순서에 대한 조합에 따라 개별적인 신규 콘텐츠가 재생산되며, 상기 리스트 콘텐츠 상에 소정의 인증 토큰이 부여되도록 허락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리스트 콘텐츠 각각의 고유성과 유일성 여부를 확인하되,
선택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임의 배치의 일치 및 불일치에 대한 단순한 차이와 선택 구간의 일치 퍼센트(percent)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임의 배치와 조합이 동일한지 여부의 확인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콘텐츠가 동일한지를 확인하고, 하나의 상기 리스트 콘텐츠 내에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동일하게 배치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선택 구간의 일치성의 판단과 상기 리스트 콘텐츠의 고유성과 유일성을 판단하여, 판단의 내용을 상기 리스트 콘텐츠 동일성 평가에 반영하며,
상기 토큰 어사인먼트 유닛은,
상기 리스트 콘텐츠에 따라 개별적으로 독자적인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을 부여하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이 상기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로 할당되고,
상기 쉐어링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의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 개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상기 소정의 인증 토큰의 수정 또는 변경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선택적 리스팅과 인증 토큰 할당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
a list selection unit for a user to selectively produce list contents of digital contents, and upload the list contents from the user's terminal;
a token assignment unit for assigning an individual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to the list content produced by the user; and
A sharing unit configured to share the list contents and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st contents to a plurality of nodes,
The list selection unit is
a content uploading unit for uploading the list content from the user's terminal; and
and a content shar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list contents to the sharing unit and sharing the list contents with the plurality of nodes,
The token assignment unit,
a toke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allocation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to the list contents; and
and a token granting unit for granting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when an allocation request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of the list contents requested by the token requesting unit is approved;
The sharing unit is
and a token information sharing unit for sharing an event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with the plurality of nodes,
The list contents are
A plurality of the digital contents are randomly selected by the user, and are listed in a predetermined order within the total playing time of the list contents,
When the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video content, the user selectively sets a selection section of the video content, and the selected section of a plurality of the video content is list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When the digital content corresponds to the music content, the user selectively sets the play order of a plurality of the music content, so that a plurality of the music content is list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according to the play order,
The list selection unit is
allowing individual new contents to b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list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redetermined order, and to be given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on the list contents;
Checking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each of the list contents generated by the user,
To enabl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simple difference between the coincidence and inconsistency of any arrangement of the selected digital content and the percentage coincidence of the selected section,
Checking whether the arbitrary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the list contents is the same, check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are the same, and checking whether the digital contents are equally arranged in one of the list contents,
Judging the consistency of the selection section of the video content and determining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list content, and reflecting the content of the judgment in the list content equality evaluation,
The token assignment unit,
Granting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list content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authentication tokens is allocat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user,
The sharing unit is
When an event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is generated at any one node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event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shared with the plurality of nodes is compared respectively,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nodes is compared.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 and allocation of an authentication tok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o allow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token through one n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23804A 2021-09-16 2021-09-16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 KR102455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04A KR102455491B1 (en) 2021-09-16 2021-09-16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04A KR102455491B1 (en) 2021-09-16 2021-09-16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491B1 true KR102455491B1 (en) 2022-10-17

Family

ID=8380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804A KR102455491B1 (en) 2021-09-16 2021-09-16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4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323A (en) 2022-07-19 2024-01-29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Method for generating alternative album for contents playbac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77B1 (en) 2012-08-23 2014-01-27 모트렉스(주) System for creating and certifying the original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101745895B1 (en) 2016-11-29 2017-06-12 유한회사 올빼미하우스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extension, present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20170091529A (en) * 2016-02-01 2017-08-09 주식회사 포키비언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of social contents
KR20190136452A (en) * 2018-05-30 2019-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contents
KR102178583B1 (en) 2018-11-13 2020-11-13 주식회사 싸이투코드 Contract apparatus and method of blockchain using digital contents orginal key
KR102239448B1 (en) *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System for authentication of transaction of digital conten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77B1 (en) 2012-08-23 2014-01-27 모트렉스(주) System for creating and certifying the original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170091529A (en) * 2016-02-01 2017-08-09 주식회사 포키비언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of social contents
KR101745895B1 (en) 2016-11-29 2017-06-12 유한회사 올빼미하우스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extension, present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20190136452A (en) * 2018-05-30 2019-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contents
KR102178583B1 (en) 2018-11-13 2020-11-13 주식회사 싸이투코드 Contract apparatus and method of blockchain using digital contents orginal key
KR102239448B1 (en) *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System for authentication of transaction of digital cont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2323A (en) 2022-07-19 2024-01-29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Method for generating alternative album for contents playb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98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media rental
US201901143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KR102375395B1 (en) Platform system for creating contents by allocating authentication token and creating secondary contents
TWI442750B (en) Controlling interaction between protected media
US8280818B2 (en) License source component, license destination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US20060212370A1 (en) Cryptographi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torage media electronic rights management in closed and connected appliances
US20060059105A1 (en) Move component, program, and move method
JP53836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digital content licenses
JP5461436B2 (en) Simple non-autonomous peering environment watermarking, authentication, and binding
KR20050045883A (en) Content sharing system,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content sharing method
JP2006502495A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multimedia product using biometric data
US20060069652A1 (en) Copy component, program and method thereof
KR20060017774A (en) Information server,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200019677A1 (en) Monitor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Including Copyrighted Items
JP201203943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60059101A1 (en) Reproduction component, program and method thereof
US20060059104A1 (en) Rent component, program, and rent component method
Coats et al. Streaming into the Future: Music and video Online
KR202100372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KR102455491B1 (en) Management system for contents through selective listing of digital contents and allocation of token
JP2005302015A (en) Copyright protection method for digital publication, and system therefor
JP58742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375394B1 (en) Platform system for creating contents by using selectively allocating token and setting intervals of video contents
US112049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retrieving and playing digital media using peer-to-peer distribution
KR20040038456A (en) A drm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the digital contents in the home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