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444B1 -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444B1
KR102455444B1 KR1020220084704A KR20220084704A KR102455444B1 KR 102455444 B1 KR102455444 B1 KR 102455444B1 KR 1020220084704 A KR1020220084704 A KR 1020220084704A KR 20220084704 A KR20220084704 A KR 20220084704A KR 102455444 B1 KR102455444 B1 KR 10245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ixing
kiosk
maintenan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연경
이주영
Original Assignee
강내서비스기아오토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내서비스기아오토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내서비스기아오토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4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07F9/0235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the arrangements being full-front touch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maintenance server that stores information inpu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a kiosk outputting a screen capable of a maintenance log, registration of a customer, a purchase log, and registration of parts. Therefore,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an check a maintenance schedule through also the kiosk in a field so as to plan an additional maintenance schedule in real time while a vehicle is being serviced.

Description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서 공산품을 온라인 상에서 거래하는 것은 오래 전부터 다반사가 돼 있고, 최근에는 서비스도 IT시스템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게 일반화된지 오래다.In Korea, as an IT powerhouse, it has been common to trade industrial products online for a long time.

상기 서비스로는 대리운전, 가정도우미, 음식배달, 차량정비 등을 들 수 있겠다. 이중에서도 현대인의 발로서 너무나 일반화된 차량의 정비업종은 사람의 생명과 연관된 것으로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업종이나 정비 업종에 IT 시스템이 적용된 사례는 적다.Examples of the above services include surrogate driving, housekeeping, food delivery, and vehicle maintenance. Among them, the vehicle maintenance industry, which is too generalized as the feet of modern people, is related to human life, and there are few cases where the IT system is applied to an essential industry or maintenance industry.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한국공개특허 제 10-2021-0037276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37276

본 발명의 목적은 정비 일정을 현장에 있는 키오스크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여 차량 정비 중 실시간으로 추가적인 정비 일정을 계획할 수 있는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lanning an additional maintenance schedule in real time during vehicle maintenance by enabling the maintenance schedule to be checked through a kiosk in the fiel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은, 정비 일지, 고객 등록, 매입 일지, 부품 등록이 가능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screen in which a maintenance log, customer registration, purchase log, and parts registration is possible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비서버; 및 상기 정비 서버와 통신하여 정비 일지, 고객 등록, 매입 일지, 부품 등록이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더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tenance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o store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kiosk that communicates with the maintenance server to output a maintenance log, customer registration, purchase log, and parts registration screen possibl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비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정비 일정을 일자 및 시간 별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새로운 차량의 정비 일정을 입력 받아 일자 및 시간을 저장하는 정비일정부; 상기 정비일정부에 입력되는 고객의 정보인 전화번호, 차량번호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 등록 번호를 부여하는 고객등록부; 차량의 정비에 필요한 부품의 정보 및 수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에 의해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에 의해 부품의 사용 여부에 따라 각 부품의 잔여 수량이 수정되는 부품등록부; 상기 부품등록부에 등록되는 각 부품의 매입 정보가 등록되며, 각 부품의 매입 날짜가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초과한 경우 해당 부품의 상태 확인 및 매입을 권유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매입일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tenance server provides a stored vehicle maintenance schedule by date and time, and receives a new vehicle maintenance schedul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kiosk to store the date and time. maintenance schedule; a customer register for storing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vehicle number, which is customer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tenance schedule, and granting a customer registration number; a parts registration unit in which information and quantity of parts required for vehicle maintenance are registered by the user terminal or the kiosk, and the remaining quantity of each part is mod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parts are used by the user terminal or the kiosk; a purchase diary in which purchase information of each part registered in the parts register is registered, and when the purchase date of each part exceeds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present, the purchase date part provides a guide message to check the status of the corresponding part and recommend purchase; and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kiosk.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차량을 정비하는 정비소 현장 일측면에 마련되어 차량 정비 중에도 정비일정, 부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a vehicle repair shop site to check a maintenance schedule and parts information during vehicle maintenanc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정비 일지, 고객 등록, 매입 일지, 부품 등록이 가능한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용지로 출력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may include: a display unit on which a screen capable of registering the maintenance log, customer registration, purchase log, and parts registration is outpu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on paper; and a leg part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output part to support the display part and the output par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floor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may include a safety support member at the lower end of the leg part for alleviating an impact generated from a floor surface or an impact generated from the kiosk.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전지지부재는, 삽입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제1 관통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재; 상기 삽입부재가 끼워진 체결부재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홈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각 제1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는 양단지지부를 갖는 고정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제1 관통홈 및 제2 관통홈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전진 동작 시 상기 각 제1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삽입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afety support memb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formed so that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so th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grooves are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into which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s inserted, the fastening member is seat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second through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grooves. a fixing member having both end support portions formed thereon; And it is fastened to each of the first through-groove and the second through-groove so that it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passes through each of the first through-groove during the forward operation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member to fix the insert member. It may include a set screw for supporting so as to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삽입부재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in various standard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sertion memb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부재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바닥밀착부의 평면 및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ertion member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to support the fixing member to have a low center of gravity, an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 plane and the center of 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부재의 자중에 따라 조임력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screw, it may be possible to vary the tightening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insertion memb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후진 동작하여 상기 고정나사가 상기 제1 관통홈 및 상기 제2 관통홈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삽입부재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xing screw is to separate the insertion member from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the fixing screw is separated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by moving backward. The coupling state of the insertion member may be releas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관통홈과 제2 관통홈은, 전,후 및 좌,우의 4방향에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hrough-groove and the second through-groove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 일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다리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may further include a leg fitting portion position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leg portion to prevent the leg portion from being damaged from the floor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리끼움부는, 각진 ‘U’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끼움 고정되는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끼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의 상단에 위치한 홈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1 고정나사부; 및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과 맞물려 체결되는 제2 고정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g fit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gled 'U', the support body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leg portion; a fixing memb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a fixing body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fitted and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a first fixing screw located through a groov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ody; and a second fixing screw part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and fasten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본체는,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띠가 형성되어 있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pport body, the protruding band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may be formed at both ends.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띠는, 각지게 형성되는 상기 지지본체로 인해 인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곽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ruding band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to prevent injury to the human body due to the support body formed at an angl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는,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제1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in the lower end direction, and a first screw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본체는 각진 ‘U’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의 빈 공간은 상기 고정부재가 끼움 고정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나사부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제2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끼움부; 및 상기 부재끼움부의 하단에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바닥면과 맞닿도록 위치하고, 하단면에는 바닥면과 맞닿아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gled 'U', and the empty space in the center is formed with a width in which the fixing member can be fitted and fixed, and the first fixing screw is penetra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 member fitting portion having a second screw groove formed thereon; and a fixing support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member fitting portion and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lower end surface is provided with an attachment memb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be fix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나사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기 부재끼움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나사홈을 관통하여 위치하되, 상기 고정본체의 상기 부재끼움부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가 위치되어 있는 경우 제1 나사홈도 동시에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is positioned through the second screw groove formed in the member fitting portion of the fixing body, and the fix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member fitting portion of the fixing body. When positioned, the first screw groove may also be positioned through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나사부는, 상기 제1 나사홈 및 상기 제2 나사홈에 관통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crew groove and the second screw groov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나사홈은, 상기 제1 나사홈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나사부가 상기 제1 나사홈을 관통함과 동시에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나사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crew groove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screw groove, and the first screw groove is the same as the first screw groove so that the first fixing screw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w groove and passes through it at the same time. may be formed at the loc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나사부는, 일단에 소정의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ixing screw may have a threa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one end thereof.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고정나사부는,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체결 가능하도록 둥근 도넛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fixing screw part may be formed in a round donut shape to be fastened to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고정나사부는,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et screw part may include, when a screw threa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et screw part, the first set screw part along the inner surface so as to be screw-fastened to one end of the first set screw part.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at one en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나사부는,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상기 제1 나사홈 또는 상기 제2 나사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짧은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홈 또는 상기 제2 나사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방지부; 상기 삽입방지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방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되 더 긴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기둥부; 및 상기 상단기둥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기둥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더 긴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상단기둥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단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sertion preventing par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short length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screw groove or the second screw groove to prevent insertion into the first screw groove or the second screw groove; an upper pole par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prevention part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revention part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longer length; and a lower pole par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upper pole part and formed in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pole part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nger length, the other end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pole par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기둥부는, 최상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상단기둥부의 내측에 삽입된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부; 중앙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얇은 스테인레스 줄이 다수 개 꼬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형상으로 유지하는 꼬임형성부; 상기 꼬임형성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방지부의 일단에 밀착 고정되는 제1 위치고정부; 상기 제1 위치고정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부가 타단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위치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ower pillar portion, is provided at the uppermost end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illar portion to prevent rotation,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protruding at both ends to prevent rotation; a twist forming pa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art and forming a plurality of thin stainless steel strings in a twisted shape to maintain a bent or unfolded shape; a first position fixing part penetrating through the twist forming part and closely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a spring par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position fixing part; and a second position fixing par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pring part to prevent the spr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ther en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기둥부는, 내부로 상기 하단기둥부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pillar portion may be formed in an empty shap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pillar portion can be inserted therei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기둥부는 상기 회전방지부가 삽입되도록 양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 및 타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위치고정부가 회전하여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pillar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ends so that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first screw thread formed at the other end and configured to be screw-fastened by rotating the second position fixing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위치고정부는, 상기 하단기둥부가 상기 상단기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회전방지부의 일단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상단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position fixing part, the lower pole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le part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part as i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can be locat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하단기둥부가 상기 상단기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함에 따라 상기 상단기둥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ring part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part as the lower pole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le part and position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위치고정부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부에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제2 나사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a second thread part may be formed to be screw-fastened to the first thread part along an inner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꼬임형성부는, 상기 제1 고정나사부가 상기 제1 나사홈 및 상기 제2 나사홈으로부터 돌출된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곧게 펴진 채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wist forming unit may maintain a shape while being bent or straightened by a user according to a degree to which the first fixing screw protrudes from the first screw groove and the second screw groov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꼬임형성부가 구부러지거나 곧게 펴진 채로 형상을 유지할 때,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고정부에 충격이 전해지고, 상기 제2 위치고정부에 전해진 충격이 상기 하단기둥부 또는 상기 상단기둥부에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ring part, when the twist forming part maintains its shape in a bent or straightened state, when an impact occurs from the outside,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and 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is transmitted The impact may be contracted or relaxed to prevent damage by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le portion or the upper pole por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은 정비 일정을 현장에 있는 키오스크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여 차량 정비 중 실시간으로 추가적인 정비 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maintenance schedule through a kiosk in the field, so that an additional maintenance schedule can be planned in real time during vehicle maintenance.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은 각 부품의 매입 날짜가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초과한 경우 해당 부품의 상태 확인 및 매입을 권유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 받아 주기적으로 부품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iodically manage the parts by receiving a guide message recommending to check the status of the parts and purchase them when the purchase date of each part exceeds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present.

또한, 정비 현장에 위치한 키오스크의 하단에 위치한 안전지지부재는 삽입부재와 같은 가공물을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에 결합시켜 축 중심과 평면이 일치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키오스크를 바닥면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afety support memb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kiosk located at the maintenance site connects a workpiece such as an insert member to the fixing member using a fastening member to support the axial center and the plane so that the plane coincides with it, and to have a low center of gravit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afely support it from the floor surface.

또한, 안전지지부재의 일부 구성인 삽입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으로 구성된 완충장치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하는 것이므로 충격의 흡수율이 매우 높아 키오스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부의 완충력이 변하지 않아 매우 안정적으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완충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member, which is a part of the safety support member, elastically supports the kiosk with a shock absorber composed of an elastic part made of metal, the shock absorption rate is very high, so that the kiosk can be safely protected and the buffering power of the elastic part is reduced even after long-term use As it can elastically support the kiosk in a very stable way without changing, it can maximize the external competitiveness of the shock absorber.

또한, 키오스크의 하단에 위치하여 다리부를 감싸는 다리끼움부에 의해 키오스크의 다리부가 바닥면에 의해 손상되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g portion of the kiosk from being damaged by the bottom surface by the leg fitting portion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kiosk and surrounding the leg portion.

또한, 제1 고정나사부는 상기 꼬임형성부가 구부러지거나 곧게 펴진 채로 형상을 유지할 때,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고정부에 충격이 전해지고, 상기 제2 위치고정부에 전해진 충격이 상기 하단기둥부 또는 상기 상단기둥부에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하는 스프링부에 의해 손상되어 다리끼움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maintains its shape with the twist forming portion bent or straightened, an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osition fixing portion when an impact occurs from the outside, and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second position fixing portion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leg-fitting part by being damaged by a spring part that contracts or relaxes to prevent damage by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pole part or the upper pole par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 to be described below.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의 다리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1 to 3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eg portion of a kiosk, which is a part of a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4]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6]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fasten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engaged with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fasten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to 3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10)은 정비 일지, 고객 등록, 매입 일지, 부품 등록이 가능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1 to 3 ,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maintenance log, customer registration, purchase log, and parts registration screen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500)와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선택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비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500 to provid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500 and stor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500 . It may include a maintenance server 100 that is.

한편, 정비서버(100)는 정비일정부(110), 고객등록부(130), 부품등록부(150), 매입일지부(170) 및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tenance server 100 may include a maintenance schedule unit 110 , a customer registration unit 130 , a parts registration unit 150 , a purchase diary unit 170 , and a communication unit 190 .

정비일정부(110)는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정비 일정을 일자 및 시간 별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새로운 차량의 정비 일정을 입력 받아 일자 및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The maintenance schedule unit 110 may provide a stored vehicle maintenance schedule by date and time, and receive a new vehicle maintenance schedul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kiosk to store the date and time.

고객등록부(130)는 정비일정부(110)에 입력되는 고객의 정보인 전화번호, 차량번호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 등록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The customer registration unit 130 may store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vehicle number, which are customer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tenance schedule unit 110 , and assign a customer registration number.

부품등록부(150)는 차량의 정비에 필요한 부품의 정보 및 수량이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키오스크(900)에 의해 등록되고, 사용자 단말기(500) 또는 키오스크(900)에 의해 부품의 사용 여부에 따라 각 부품의 잔여 수량이 수정될 수 있다.The parts registration unit 150 is registered by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kiosk 900 in the information and quantity of parts necessary for vehicle maintenance,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parts are used by the user terminal 500 or the kiosk 900 The remaining quantity of each part can be modified.

매입일지부(170)는 부품등록부(150)에 등록되는 각 부품의 매입 정보가 등록되며, 각 부품의 매입 날짜가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초과한 경우 해당 부품의 상태 확인 및 매입을 권유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purchase journal 170 registers the purchase information of each part to be registered in the parts registration unit 150, and when the purchase date of each part exceeds a certain period from the present, a guide message to check the status of the part and recommend purchase can provide

통신부(190)는 사용자 단말기(500) 및 키오스크(9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500 and the kiosk 90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10)은 정비 서버와 통신하여 정비 일지, 고객 등록, 매입 일지, 부품 등록이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키오스크(90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kiosk 9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maintenance server and outputs a maintenance log, customer registration, purchase log, and parts registration screen possible.

키오스크(900)를 구비함에 따라 차량을 정비하는 정비소 현장 일측면에 마련되어 차량 정비 중에도 정비일정, 부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s the kiosk 900 is provide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te of the repair shop where the vehicle is maintained, so that the maintenance schedule and parts information can be checked during vehicle maintenance.

즉, 사무실로 왔다갔다하는 이동 시간을 단축시켜 차량 정비소 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에게도 편리한 동선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shorten the travel time to and from the office, providing a convenient route for employees working at the auto repair shop.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4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kiosk, which is a part of a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안전지지부재(800)는, 체결부재(810), 고정부재(820) 및 고정나사(830)를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safety support member 800, which is a part of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member 810, a fixing member 820, and a fixing screw 830. may include.

체결부재(810)는 삽입부재(80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제1 관통홈(8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8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so that the end of the insertion member 801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grooves 812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고정부재(820)는 삽입부재(801)가 끼워진 체결부재(8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2 삽입홈(8205)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1 관통홈(8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홈(8215)이 각각 형성되는 양단지지부(82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820 has a second insertion groove 8205 formed therei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810 into which the insertion member 801 is inserted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820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grooves 812 . The through-groove 8215 may be formed to have both end support portions 821 respectively formed thereon.

또한, 고정나사(830)는 각각의 제2 관통홈(8215)에 체결되어 전,후진 이동 가능하고, 전진 동작 시 각 제1 관통홈(812)을 통과하여 삽입부재(801)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삽입부재(801)를 고정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 screw 830 is fastened to each of the second through grooves 8215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passes through each of the first through grooves 812 during the forward operation to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801 and It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member 801 to be fixed.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체결부재(810)는 삽입부재(80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것을 준비함으로써, 고정이 필요한 삽입부재(801)에 적합한 형태 및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astening member 810 can be used by selecting a shape and size suitable for the inserting member 801 that needs fixing by preparing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serting member 801 .

또한, 체결부재(810)는 대략 역삼각형 형태의 삽입부재(801)를 삽입하여 고정부재(820)에 낮은 무게중심을 갖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바닥밀착부(802)의 평면 및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810 supports the fixing member 820 to have a low center of gravity by inserting the inserting member 801 in the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and the plane and the center of the bottom attachment portion 802 coincide with each other. has a supporting function.

이를 위해 체결부재(810)는 그 형태가 중앙에 제1 삽입홈(8105)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astening member 81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groove 8105 is formed in the center.

그리고 체결부재(810)는 전,후 및 좌,우 방향인 4방향으로 외측이 연통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홈(8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8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grooves 81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n four directions, which ar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고정부재(820)는 체결부재(810)가 내측을 관통하여 안착되도록 상부에 체결부재(81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수 있으며 제2 삽입홈(8205)을 갖는 양단지지부(8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8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member 810 on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810 is seated through the inner side, and both end support portions 821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8205 are formed. can be

양단지지부(821)에는 체결부재(810)의 제1 관통홈(8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나사(830)가 체결되어 전,후 이동 가능 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 관통홈(8215)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A fixing screw 830 is fasten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groove 812 of the fastening member 810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821, and a second through-groove 8215 having a female thread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 may be formed in plurality.

고정부재(820)의 양단지지부(821) 내측에 체결부재(810)를 안착시키면서 고정부재(820)의 제2 삽입홈(8205)에 체결부재(810)의 하단을 끼움 결합시킬 수 있고, 고정부재(820)에 끼워진 체결부재(810)의 제1 삽입홈(8105)에 삽입부재(801)을 삽입시킨 후에, 양단지지부(821)의 제2 관통홈(8215)에 고정나사(830)를 체결시킬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member 810 can be fit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8205 of the fastening member 820 while seating the fastening member 810 inside the both ends of the support 821 of the fastening member 820, After inserting the insertion member 801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8105 of the fastening member 810 fitted into the fixing member 820 , the fixing screw 8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groove 8215 of the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821 . ) can be connected.

이어서, 고정나사(830)를 제2 관통홈(8215) 내에서 전진 동작시키면, 고정나사(830)의 단부가 제1 관통홈(812)을 통과하여 삽입부재(801)의 외측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Then, when the set screw 830 is moved forward in the second through groove 8215 , the end of the set screw 830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812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801 . can be

즉, 삽입부재(801)의 표면 바닥밀착부(802)를 바닥면에 중심이 수직 선상에 기립되게 접촉되도록 한 후에 4방향의 고정나사(830)를 전진 동작시켜 삽입부재(801)의 외측면 부위에 접촉시켜 균일한 압력으로 삽입부재(801)를 지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member 801 is moved forward by moving the fixing screws 830 in four directions after the center of the surface-bottom attachment portion 802 of the insertion member 80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stand on a vertical line. It may be possible to support the insertion member 801 with a uniform pressure by contacting the region.

이때, 고정나사(830)는 삽입부재(801)의 자중에 따라 조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screw 830 may vary the tightening for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insertion member 801 .

한편, 삽입부재(801)를 체결부재(810)와 고정부재(8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나사(830)를 다시 후진 동작시키면, 고정나사(830)가 제1 관통홈(812) 및 제2 관통홈(821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삽입부재(801)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ertion member 801 is to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member 810 and the fixing member 820, if the fixing screw 830 is operated backward again, the fixing screw 830 is formed in the first through groove 812. And the coupling state of the insertion member 801 may be releas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through-groove 8215 .

따라서 본 고안은 삽입부재(801)와 같은 가공물을 체결부재(810)을 이용하여 고정부재(820)에 결합시켜 축 중심과 평면이 일치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낮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키오스크를 바닥면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workpiece such as the insertion member 801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820 using the fastening member 810 to support the shaft center and the plane to coincide with the lower center of gravity, thereby lowering the kiosk to the flo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afely support it from the surfac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재(600)는 바닥면의 상부 중앙에는 하단부(620)가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620)에는 탄성부(64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을 수 있다.7 and 8, in the insertion member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620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elastic part 640 is provided to the lower end 620. It may be fixed.

탄성부(640)의 상부에는 상단부(63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부(630)의 중앙에는 제1 나사홈(630')이 뚫려져 있을 수 있다.An upper end 630 may b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640 , and a first screw groove 630 ′ may be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630 .

제1 나사홈(630')의 하부에는 제1 나사(65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나사(650)에 뚫려진 제2 나사홈은 제1 나사홈(630')과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 first screw 650 may b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crew groove 630 ′, and a second screw groove drilled in the first screw 65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crew groove 630 ′. may be made to be.

제1 나사(650)에는 결합볼트(660)가 나사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결합볼트(660)에는 제2 나사홈(660'')이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 coupling bolt 660 may be screwed to the first screw 650 , and a second screw groove 660 ″ may be formed through the coupling bolt 660 .

제2 나사홈(660'')에는 평면형 지지판(680)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나사(670)가 나사 결합되어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키면 지지판(680)이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A second screw 67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anar support plate 680 is screwed into the second screw groove 660 '', and when the head portion 660' of the coupling bolt 660 is rotated, the support plate 680 is formed.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lifting.

전술한 구성은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상단에 위치한 키오스크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삽입부재(600)의 구성이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of the insertion member 600 configured to absorb the impact gene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r the impact generated from the kiosk located at the top.

삽입부재(600)들은 키오스크가 위치한 치과 내부의 바닥에 적어도 두개 이상 연속 설치되어 있을수 있고, 삽입부재(600)들의 지지판(680)에는 키오스크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리부가 결합되어 수평을 이루어 연속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Insertion members 600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at least two or more on the floor inside the dentist where the kiosk is located. may be installed.

한편,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성부(640)로 구성된 완충장치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하는 것이므로 충격의 흡수율이 매우 높아 키오스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부(640)의 완충력이 변하지 않아 매우 안정적으로 키오스크를 탄력 지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kiosk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hock absorber composed of the elastic part 640 made of metal, the shock absorption rate is very high, so that the kiosk can be safely protected and the buffering power of the elastic part 640 does not change even after long-term use.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support the kiosk in a stable manner.

또한,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지지판(680)이 승강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므로 지지판(680)에 결합된 키오스크의 높이 및 수평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져 키오스크 설치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완충부재와 높이조절용 부재가 삽입부재(600)에 일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nd height of the kiosk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680 can be adjusted very easily because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680 is raised and lowered by simply rotating the head portion 660 ′ of the coupling bolt 660 .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and the buffer member and the member for height adjustment can be formed in an integrated configuration with the insertion member 600 .

한편, 제1 나사(650)에 결합된 결합볼트(660)와 제2 나사홈(660'')에 결합된 제2 나사(670)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하면 결합볼트(660)의 헤드부(660')를 회전시켰을 때 결합볼트(660)와 제2 나사(670)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높이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screw threads of the coupling bolt 660 coupled to the first screw 650 and the second screw 670 coupled to the second screw groove 660 ″ ar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coupling bolt 660 is When the head portion 660 ′ is rotated, the coupling bolt 660 and the second screw 670 are raised or lowered together,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quickly.

예를 들면 결합볼트(660)는 오른 나사산을 이루고 제2 나사(670)는 왼 나사산을 이루도록 하면 헤드부(660')를 회전시켰을 때 함께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coupling bolt 660 forms a right-hand thread and the second screw 670 forms a left-hand thread,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hen the head part 660' is rotated.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900)는 다리부(990)의 하단 일부분에 위치하여 다리부(990)가 바닥면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끼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9 to 11 , the kiosk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990 to prevent the leg portion 990 from being damaged from the bottom surface. (400) may be further included.

더욱 구체적으로, 다리끼움부(400)는 지지본체(401), 고정부재(440), 고정본체(450), 제1 고정나사부(460) 및 제2 고정나사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eg fitting 400 may include a support body 401 , a fixing member 440 , a fixing body 450 , a first fixing screw 460 , and a second fixing screw 480 .

지지본체(401)는 다리부(990)의 하단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리부(990)의 하단에 끼움 고정될 수 있으며, 각진 ‘U’자로 형성된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띠(430)가 형성되어 있되 양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support body 40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g portion 990 and can be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eg portion 990, and a protruding strip 430 along the outer periphery formed in an angled 'U' shape. ) is formed, but may be formed at both ends.

한편, 지지본체(401)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실리콘부재(49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01 may be provided with silicon members 490 at regular intervals.

지지본체(401)는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실리콘부재(490)에 의해 다리부(99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40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leg portion 990 by the silicone member 49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여기서, 실리콘부재(490)는 다리부(990)에 끼움 고정된 지지본체(401)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현한 방법일 뿐, 실리콘 소재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리부(990)에 끼움고정된 지지본체(401)가 다리부(99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고무 등)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ilicone member 490 is only a method expressed in order to prevent the support body 401 fitted and fixed to the leg portion 99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and is not limited to a silicone material, but is inserted into the leg portion 990 . Any material (such as rubber) that can prevent the fixed support body 401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leg portion 990 may be included regardless of its name.

즉, 다리부(990)가 각진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경우 지지본체(401)는 각진 ‘U’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의 빈 공간이 다리부(990)를 감싸도록 다리부(990)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g part 990 is formed as an angl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support body 401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gled 'U', and the width of the leg part 99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eg part 990 so that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surrounds the leg part 990 . It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 width.

다리부(990)가 둥근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본체(401)는 다리부(99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의 빈 공간이 다리부(990)를 감싸도록 다리부(99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401 in which the leg part 99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cylinder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eg part 990 , and the leg part 990 so that an empty space in the center surrounds the leg part 990 . )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여기서, 돌출띠(430)는 각지게 형성되는 지지본체(401)로 인해 인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곽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ruding band 430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to prevent injury to the human body due to the support body 401 formed at an angle.

즉, 돌출띠(430)도 내측면은 각진 ‘U’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면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키오스크(900)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발 앞부분 등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trip 430 is also formed in an angled 'U' shape, but the outer surface is formed in a round shape to prevent injury to the front part of the user's feet using the kiosk 900 .

고정부재(440)는 지지본체(401)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에는 제1 고정나사부(460)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제1 나사홈(44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xing member 440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401, and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first fixing screw 460 may penet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center. One screw groove 441 may be formed.

고정본체(450)는 하단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된 고정부재(440)가 끼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440)가 끼워진 채 고정부재(44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xing body 45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xing member 440 formed in a round direction in the lower direction is fitted and fixed, and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440 while the fixing member 440 is inserted.

한편, 고정본체(450)는 부재끼움부(455) 및 고정지지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xed body 450 may include a member fitting portion 455 and a fixed support portion 453 .

부재끼움부(455)는 각진 ‘U’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의 빈 공간은 고정부재(440)가 끼움 고정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으로 돌출된 양단은 상단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The member fitting portion 455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gled 'U', and the central empty space is formed with a width in which the fixing member 440 can be fitted and fixed, and both ends protruding toward the top may be rounded in the upper direction. .

또한, 부재끼움부(455)는 제1 고정나사부(460)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제2 나사홈(45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ber fitting part 455 may have a second screw groove 451 formed therein so that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can penetrate in a transverse direction.

고정지지부(453)는 부재끼움부(455)의 하단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바닥면과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고, 하단면에는 바닥면과 맞닿아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재(459)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xing support part 45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member fitting part 455 and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attachment member 459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be fixed. may be provided.

여기서, 부착부재(459)는 아스팔트로 형성된 바닥면 또는 타일이나 장판으로 형성된 바닥면 등에 무관하게 부착 가능한 소재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ttachment member 459 may mean a material that can be attached regardless of a floor surface formed of asphalt or a floor surface formed of tiles or a floor board.

제1 고정나사부(460)는 고정본체(450)의 상단에 위치한 제2 나사홈(451)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screw 460 may be positioned through the second screw groove 451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ody 450 .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고정나사부(460)는 고정본체(450)의 부재끼움부(455)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홈(451)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되, 고정본체(450)의 부재끼움부(455) 사이에 고정부재(440)가 위치되어 있는 경우 제1 나사홈(441)도 동시에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460 may be positioned to penetrate the second screw groove 451 formed in the member fitting portion 455 of the fixing body 450 , the member of the fixing body 450 . When the fixing member 44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tting parts 455 , the first screw groove 441 may also penetrate through it at the same time.

또한, 제1 고정나사부(460)()는 제1 나사홈(441) 및 제2 나사홈(451)에 관통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460 ( )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crew groove 441 and the second screw groove 451 .

이에 따라, 제2 나사홈(451)은 제1 나사홈(44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1 고정나사부(460)가 제1 나사홈(441)을 관통함과 동시에 관통하도록 제1 나사홈(441)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screw groove 451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screw groove 441 , and the first screw portion 460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w groove 441 while simultaneously passing through the first screw. It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groove 441 .

한편, 제1 고정나사부(460)는 일단에 소정의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460 may have a screw threa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at one end thereof.

제2 고정나사부(480)는 제1 고정나사부(460)의 일단과 맞물려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나사부(480)는 제1 고정나사부(460)의 일단에 체결 가능하도록 둥근 도넛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screw part 480 may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to be fastened, and the second fixing screw part 480 may be fastened to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in the shape of a round donut. can be formed.

즉, 제2 고정나사부(480)가 둥근 도넛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중앙의 빈 공간은 제1 고정나사부(46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또는 제1 고정나사부(460)에 끼움 고정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the second fixing screw part 48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donut, the empty space in the center has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or a diameter that can be fitted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 can be

제2 고정나사부(480)는 제1 고정나사부(460)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고정나사부(460)의 일단에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제1 고정나사부(46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fixing screw part 480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along the inner surface so as to be screw-fastened to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at one end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끼움부(400)를 통해 키오스크(900)의 다리부(990)가 바닥면에 의해 손상되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g portion 990 of the kiosk 900 from being damaged by the floor surface through the leg fitting portion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나사부(460)는 삽입방지부(461), 상단기둥부(462) 및 하단기둥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 the first fixing screw part 4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preventing part 461 , an upper pole part 462 and a lower pole part 463 . have.

삽입방지부(461)는 제1 나사홈(441) 또는 제2 나사홈(4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짧은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나사홈(441) 또는 제2 나사홈(451)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preventing portion 46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short length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crew groove 441 or the second screw groove 451, the first screw groove 441 or the second screw groove ( 45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또한, 상단기둥부(462)는 삽입방지부(461)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삽입방지부(46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되 더 긴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le portion 462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461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461 .

상단기둥부(462)는 내부로 하단기둥부(463)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olumn part 462 may be formed in an empty shap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lumn part 463 can be inserted into it.

한편, 상단기둥부(462)는 회전방지부(4631)가 삽입되도록 양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4621) 및 타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위치고정부(4638)가 회전하여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부(4622’)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lumn part 462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4621 and the other end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ends so that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4631 is inserted, and 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4638 is rotated and screwed. It may include a first screw thread portion 4622' formed to be fastened.

하단기둥부(463)는 상단기둥부(462)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단기둥부(46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더 긴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단은 상단기둥부(46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일단은 상단기둥부(46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 pole part 463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upper pole part 462 and is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pole part 462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longer length, the other end of the upper pole part 462. 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and one e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upper pillar portion 462 .

한편 하단기둥부(463)는 회전방지부(4631), 꼬임형성부(4632), 제1 위치고정부(4636), 스프링부(4637) 및 제2 위치고정부(4638)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st part 463 may include a rotation preventing part 4631 , a twist forming part 4632 , a first position fixing part 4636 , a spring part 4637 , and a second position fixing part 4638 . .

회전방지부(4631)는 최상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단기둥부(462)의 내측에 삽입된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anti-rotation part 4631 is provided at the uppermost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formed protruding at both ends to prevent rotatio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column part 462 .

즉, 회전방지부(4631)는 하단기둥부(463)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있어 하단기둥부(463)의 타단이 상단기둥부(462)의 비어 있는 내부로 삽입할 때, 상단기둥부(462)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4621)에 끼워져 하단기둥부(463)가 상단기둥부(46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을 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anti-rotation part 4631 is provid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lower pole part 463 so that when the other end of the lower pole part 463 is inserted into the empty interior of the upper pole part 462, the upper pole part 462 )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4621 formed on both ends of the lower column 463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when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upper column (462).

꼬임형성부(4632)는 중앙부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얇은 스테인레스 줄이 다수 개 꼬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부러지거나 펴지는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twist forming part 463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art,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hin stainless steel strings are twisted,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 bent or unfolded shape.

즉 꼬임형성부(4632)는 제1 고정나사부(460)가 제1 나사홈(441) 및 제2 나사홈(451)으로부터 돌출된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곧게 펴진 채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twist forming portion 4632 may maintain its shape while being bent or straighten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fixing screw 460 protrudes from the first screw groove 441 and the second screw groove 451. .

여기서, 꼬임형성부(4632)는 스테인레스 줄로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곧게 펴진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wist forming portion 4632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only with a stainless steel string, and may include any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bent or straightened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regardless of its name.

또한, 꼬임형성부(4632)는 제1 나사홈(441) 및 제2 나사홈(451)으로부터 돌출된 정도가 심하면 다리끼움부(400)로부터 과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고 기재하였으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구부러지는 것이 불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wist forming part 4632 is a material that can be bent to prevent excessive protrusion from the leg fitting 400 when the degree of protrusion from the first screw groove 441 and the second screw groove 451 is sever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it can be formed,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not be ben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꼬임형성부(4632)가 다리끼움부(400)로부터 과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은, 키오스크(900)를 이용하는 다수의 이용객이 키오스크(900)를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twist forming part 4632 from excessively protruding from the leg fitting part 400 is to prevent injury to the human body as a large number of users using the kiosk 900 use the kiosk 900 . it is for

제1 위치고정부(4636)는 꼬임형성부(4632)를 관통하여 회전방지부(4631)의 일단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fixing part 4636 may penetrate the twist forming part 4632 and be closely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4631 .

즉, 제1 위치고정부(4636)는 하단기둥부(463)가 상단기둥부(462)의 내부로 삽입되어 삽입홈(4621)에 삽입된 회전방지부(4631)의 일단에 밀착 고정됨에 따라 상단기둥부(46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osition fixing part 4636 is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463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621 by inserting the lower pole part 463 into the upper pole part 462 . It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lumn 462 .

스프링부(4637)는 제1 위치고정부(4636)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The spring part 4637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position fixing part 4636 .

즉, 스프링부(4637)는 하단기둥부(463)가 상단기둥부(462)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함에 따라 상단기둥부(46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That is, the spring part 4637 may be position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le part 462 as the lower pole part 463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le part 462 and positioned.

스프링부(4637)는 꼬임형성부(4632)가 구부러지거나 곧게 펴진 채로 형상을 유지할 때,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2 위치고정부(4638)에 충격이 전해지고, 제2 위치고정부(4638)에 전해진 충격이 하단기둥부(463) 또는 상단기둥부(462)에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할 수 있다.When the twist forming part 4632 maintains its shape in a bent or straightened state, the spring part 4637 transmits an impact to 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4638 when an impact occurs from the outside, and 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4638 ) can be contracted or relaxed to prevent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lower pole 463 or the upper pole 462 from being damaged.

제2 위치고정부(4638)는 스프링부(4637)의 일단에 위치하여 스프링부(4637)가 타단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4638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spring part 4637 to prevent the spring part 4637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ther end.

또한, 제2 위치고정부(4638)는 내측면을 따라 제1 나사산부(4622’)에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제2 나사산부(46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osition fixing part 4638 may have a second screw thread part 4622 ′ so that it can be screwed to the first thread part 4622 ′ along the inner surface.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10: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laims (3)

정비 일지, 고객 등록, 매입 일지, 부품 등록이 가능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정비서버; 및
상기 정비 서버와 통신하여 정비 일지, 고객 등록, 매입 일지, 부품 등록이 가능한 화면을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비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정비 일정을 일자 및 시간 별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새로운 차량의 정비 일정을 입력 받아 일자 및 시간을 저장하는 정비일정부;
상기 정비일정부에 입력되는 고객의 정보인 전화번호, 차량번호를 포함한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 등록 번호를 부여하는 고객등록부;
차량의 정비에 필요한 부품의 정보 및 수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에 의해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에 의해 부품의 사용 여부에 따라 각 부품의 잔여 수량이 수정되는 부품등록부;
상기 부품등록부에 등록되는 각 부품의 매입 정보가 등록되며, 각 부품의 매입 날짜가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초과한 경우 해당 부품의 상태 확인 및 매입을 권유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매입일지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차량을 정비하는 정비소 현장 일측면에 마련되어 차량 정비 중에도 정비일정, 부품 정보를 확인 가능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다리부의 하단 일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다리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리끼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끼움부는,
각진 ‘U’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끼움 고정되는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끼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의 상단에 위치한 홈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제1 고정나사부; 및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과 맞물려 체결되는 제2 고정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본체는,
외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띠가 형성되어 있되 양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띠는,
각지게 형성되는 상기 지지본체로 인해 인체에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곽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제1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본체는,
각진 ‘U’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의 빈 공간은 상기 고정부재가 끼움 고정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나사부가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제2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끼움부; 및
상기 부재끼움부의 하단에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바닥면과 맞닿도록 위치하고, 하단면에는 바닥면과 맞닿아 고정 가능하도록 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나사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기 부재끼움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나사홈을 관통하여 위치하되, 상기 고정본체의 상기 부재끼움부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가 위치되어 있는 경우 제1 나사홈도 동시에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고정나사부는,
상기 제1 나사홈 및 상기 제2 나사홈에 관통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홈은,
상기 제1 나사홈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나사부가 상기 제1 나사홈을 관통함과 동시에 관통하도록 상기 제1 나사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나사부는,
일단에 소정의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고정나사부는,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체결 가능하도록 둥근 도넛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나사부는,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상기 제1 고정나사부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
In the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outputting a maintenance log, customer registration, purchase log, and a screen capable of registering parts to a user terminal,
a maintenance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stor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kiosk that communicates with the maintenance server and outputs a screen in which a maintenance log, customer registration, purchase log, and parts registration is possible; further comprising,
The maintenance server,
a maintenance schedule unit that provides a stored vehicle maintenance schedule by date and time, receives a new vehicle maintenance schedul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the kiosk, and stores the date and time;
a customer register for storing customer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vehicle number, which is customer information input to the maintenance schedule, and granting a customer registration number;
a parts registration unit in which information and quantity of parts required for vehicle maintenance are registered by the user terminal or the kiosk, and the remaining quantity of each part is mod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parts are used by the user terminal or the kiosk;
a purchase diary in which purchase information of each part registered in the parts register is registered, and when the purchase date of each part exceeds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present, the purchase date part provides a guide message to check the status of the corresponding part and recommend purchase; and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the kiosk,
The kiosk is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te where the vehicle is being repaired, so you can check the maintenance schedule and parts information during vehicle maintenance.
The kiosk is
It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eg part further comprising a leg fitting to prevent the leg part from being damaged from the bottom,
The leg fitting portion,
a support body formed in the shape of an angled 'U' and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eg;
a fixing memb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a fixing body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fitted and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a first fixing screw located through a groov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ody; and
a second fixing screw part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part and fastened;
The support body is
A protruding band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and is formed at both ends,
The protruding band,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in a round shape to prevent injury to the human body due to the support body formed at an angle,
The fixing member is
It is formed in a round shape in the lower direction, and a first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fixed body is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gled 'U', and the empty space in the center is formed with a width in which the fixing member can be fitted, and the second screw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first fixing screw can pass through in a transverse direction. wealth; and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member fitting part and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a fixed support portion provided with an attachment memb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It is positioned through the second screw groove formed in the member fitting portion of the fixed body, and when the fix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member fitting portion of the fixed body, the first screw groove is also positioned through the same. ,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It is formed with a diameter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crew groove and the second screw groove,
The second screw groove,
It is formed in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screw groove, and is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screw groove so that the first fixing screw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w groov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fixing screw portion,
A thread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t one end,
The second fixing screw portion,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donut so as to be fastened to one end of the first fixing screw,
The second fixing screw portion,
When a screw threa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et screw part,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set screw part along the inner surface so as to be screw-fastened to one end of the first set screw part.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84704A 2022-07-10 2022-07-10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KR102455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04A KR102455444B1 (en) 2022-07-10 2022-07-10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04A KR102455444B1 (en) 2022-07-10 2022-07-10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444B1 true KR102455444B1 (en) 2022-10-18

Family

ID=8380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704A KR102455444B1 (en) 2022-07-10 2022-07-10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4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503B1 (en) * 2022-10-20 2023-03-22 주식회사 한강 벤쳐스 Private Blockchain-Based Control System
KR102537962B1 (en) * 2022-10-20 2023-05-30 주식회사 한강 벤쳐스 Virtual currency optimization trad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580A (en) * 2010-12-16 2012-07-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and method for car service management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in smart phone
KR20160046058A (en) * 2014-10-17 2016-04-28 (주)씨에스 미디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Vehicle Maintenance
KR20210037276A (en) 2019-09-27 2021-04-06 안창욱 Smart Vehicle Maintenance System
KR102374935B1 (en) * 2021-11-09 2022-03-16 주식회사 올앤컴퍼니 Customer car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580A (en) * 2010-12-16 2012-07-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and method for car service management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in smart phone
KR20160046058A (en) * 2014-10-17 2016-04-28 (주)씨에스 미디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Vehicle Maintenance
KR20210037276A (en) 2019-09-27 2021-04-06 안창욱 Smart Vehicle Maintenance System
KR102374935B1 (en) * 2021-11-09 2022-03-16 주식회사 올앤컴퍼니 Customer care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비마법사 사용자 매뉴얼, 출처 : http://www.kabead.com/manual/carwizard_manual.pdf)* *
정비에 키오스크 활용, 출처 :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71939051*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503B1 (en) * 2022-10-20 2023-03-22 주식회사 한강 벤쳐스 Private Blockchain-Based Control System
KR102537962B1 (en) * 2022-10-20 2023-05-30 주식회사 한강 벤쳐스 Virtual currency optimization trading system
KR102551854B1 (en) * 2022-10-20 2023-07-05 주식회사 한강 벤쳐스 Blockchain-based internal data analysis result providing system
KR102553824B1 (en) * 2022-10-20 2023-07-10 주식회사 한강 벤쳐스 Block information validation and inquir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444B1 (en)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U20182046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assembly hinging
CA2777969A1 (en) Dual bar linkage monitor support with adjustment feature
EP1067419A1 (en) Ceiling mount
US9869364B2 (en) Vibration isolator with pneumatic spring
ES2072656T3 (en) TOOL FOR ALIGNING A SPRING DAMPER LEG.
US7028969B2 (en) Seismically restrained vibration isolating mounting device
JPS6257521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part of furniture, especially, business chair by other part of furniture
CN208884375U (en) A kind of bridge construction support equipment of science of bridge building
US10925799B2 (en) Suspension device for balancing a weight
CN211332159U (en) Machine table foot pad
CN210031934U (en) Highway bridge pile foundation reinforcing apparatus
CN211061040U (en) Automobile weighing apparatus connecting structure
DE754407C (en) Seating furniture with a movable, flexible and stationary seat part mounted on the base
CN105547439A (en) Electronic balance
DE647320C (en) Shock-proof storage for the coils of electrical measuring devices using leaf springs
US20200292023A1 (en) Oscillation damper, in particular for a switch cabinet
US2408343A (en) Level
CN207409644U (en) A kind of antenna structure
CN208686211U (en) It is a kind of for installing the support base of railing
CN213898404U (en) A warning device for construction of fire control facility
US1107805A (en) Stake-mount for firearms.
KR102381147B1 (en) Post height variable information board facility
CN107247321B (en) Optical element adjusting device
EP2832260A2 (en) Conn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