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517B1 - 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517B1
KR102454517B1 KR1020220077241A KR20220077241A KR102454517B1 KR 102454517 B1 KR102454517 B1 KR 102454517B1 KR 1020220077241 A KR1020220077241 A KR 1020220077241A KR 20220077241 A KR20220077241 A KR 20220077241A KR 102454517 B1 KR102454517 B1 KR 10245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key
signal
vehicle
state
driving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세철
Original Assignee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2007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wakes up a power module by a signal from a designated device when a vehicle's ignition key is off; a power module which is woken up by the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pplies driving power to a microcomputer and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and the microcomputer which output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o the power module when the same is woken up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which is to enable the second driving chip when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in a status in which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is output, and which selectively operates only designated specific functions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wake-up function of the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the designated specific function can be selectively driven e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us.

Description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만 동작되어야 하는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 중,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지정된 특정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mo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hat should be operated only in an ignition key on state, a specific function designated even in an ignition key off state is selectively selected.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to enable driving.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기능 안전(즉,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기능)과 관련하여 반드시 이그니션 키(Ignition Key) 온 상태에서만 동작하는 기능(즉,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어도 이그니션 키 온 상태, 즉,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그니션 키를 온한 상태가 아니면 동작하지 않는 기능), 및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계없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배터리 전원만 공급받으면 상시 동작하는 기능들이 있다.In general, a vehicle has a function that operates only in the ignition key on state in relation to the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that is, the function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vehicle) (that is, the ignition key on state, that is, the user (a function that does not operate unless the ignition key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다만 내연 기관 차량의 이그니션 키와 달리 전기차에는 이그니션 키가 없으며, 상기 이그니션 키를 대신하여 동작하는 스위치(예 : 파워 스위치, 기어와 연동되는 스위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스위치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의 이그니션 키는 상기 이그니션 키를 대신하여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unlike the ignition ke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n electric vehicle does not have an ignition key, and a switch that operates in place of the ignition key (e.g., a power switch, a switch linked to a gear, a switch operated by receiving a remote signal using a smartphone, etc.) may be included. Therefore, the ignition key in this embodimen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witch that performs an equivalent function instead of the ignition key.

그런데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즉,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만 동작하는 기능들) 중 일부 특정 기능은, 차량이 운행되는 환경적 특성(예 : 극한으로 춥거나 극한으로 더운 지역)이나 또는 일반적이지 않은 예외적인 운행 상황(예 : 차량에 위험한 증상이 발생하여 의도치 않게 강제로 이그니션 키 오프를 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제한적으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일부 특정 기능이 동작되어야 할 경우도 있다.However, some of the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ie, functions that operate only when the ignition key is on) are dependent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eg, extremely cold or extremely hot areas) or In the event of an unusually exceptional driving situation (e.g., a situation in which the ignition key is forcibly turned off due to a dangerous symptom in the vehicle), some specific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limited even when the ignition key is off There are times when this should work.

따라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 중 일부 지정된 특정 기능은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o selectively enable certain specified functions amo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e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8-0049816호(1998.09.15. 공개, 전자 제어장치의 웨이크 업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998-0049816 (published on September 15, 1998, device and method for wake-up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만 동작되어야 하는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 중,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지정된 특정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mo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hat should be operated only in the ignition key on state, a specific function designated e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which enables the vehicle to be selectively drive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는, 차량의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지정된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파워모듈을 웨이크 업 시키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모듈;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웨이크 업 되면,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지정된 작동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제2 구동칩을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waking up a power module by waking up by a signal from a designated device in an ignition key-off state of the vehicle; a power module that wakes up by a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pplies driv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and when it wakes up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it output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o the power module, and enables the second driving chip when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the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is output. and a microcomputer that selectively operates only specified specific functions from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after entering the st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가 감지되면,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거나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구동칩과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노멀 오퍼레이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is detected, the microcomputer stops output of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or outputs a low signal, and all of the vehicle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hip and the second driving chi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normal operation operation for driving a function is per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듈은,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는 상기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의 셀프 테스트 결과를 체크하여, 상기 셀프 테스트 결과가 모두 정상인 경우, 이에 대한 체크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체크 결과 신호와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앤드 연산하여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odule checks the self-test results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that are woken up by the driving power and perform the self-test, and when the self-test results are all normal, a monitoring module for outputting a check result signal for this; and an AND gate for outputting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by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check result signal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상태와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를 감지하는 제1 기능모듈;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만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2 기능모듈; 및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제3 기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comprises: a first function module for detecting an actual ignition key state and a virtual ignition key state; a second function module that selectively drives only a designated specific function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in a virtual ignition key-on state; and a third function module for driving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in an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icrocomputer is in an actual ignition key-off state and a virtual ignition key-off state, and satisfies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of a function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o be driven in an actual ignition key-off state, virtu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for switching to the ignition key on state is outpu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에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Positive 입력단인 제1 입력단과 Negative 입력단인 제2 입력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ing chip includes an AND gate at an enable signal input port, and the AND gate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that i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that is a negative input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상기 파워모듈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하이 신호'를 제1 입력단에 입력받고, 상기 마이컴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로우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ing chip receives a 'high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module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to a first input terminal, and outputs it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an enabled state by receiving a 'low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구동칩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icrocomputer is in an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and a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and satisfies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of a function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o be driven in an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the second driving chi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able signal is output to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칩에는 차량의 기능 안전에 관련이 없는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액추에이터들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칩에는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액추에이터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tuators for activating functions not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hip, and actuators for activati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do it wi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작동 조건은, 타임아웃 조건, 실제 이그니션 키 상태와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 조건, 및 제2 구동칩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includes a timeout condition, an actual ignition key state and a virtual ignition key state condition, and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second driving chip.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은, 차량의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통신 모듈이 지정된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파워모듈을 웨이크 업 시키는 단계; 상기 파워모듈이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이 상기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웨이크 업 되면,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지정된 작동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제2 구동칩을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includes: waking up a power module by waking up a communication module by a signal from a designated device in an ignition key-off state of the vehicle; applying driv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when the power module is woken up by a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microcomputer wakes up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it output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o the power module, and when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outputting the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he second driving chip and, after enabling , selectively operating only designated specific functions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이후,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마이컴은,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거나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구동칩과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노멀 오퍼레이션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lectively operating only specified specific functions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when an actual ignition key-on state is detected, the microcomputer generate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pping the output of , outputting a low signal, and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operation of driving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hip and the second driving chi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듈은,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는 상기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의 셀프 테스트 결과를 체크하여, 상기 셀프 테스트 결과가 모두 정상인 경우, 이에 대한 체크 결과 신호를 출력하고, 앤드 게이트를 통해 상기 체크 결과 신호와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앤드 연산하여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odule checks the self-test results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that are woken up by the driving power through the monitoring module and perform the self-test, so that the self-test result is When all are normal, a check result signal is output, and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is output by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check result signal and the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hrough an AND g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제1 기능모듈을 통해 실제 이그니션 키 상태와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를 감지하고, 제2 기능모듈을 통해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만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제3 기능모듈을 통해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detects the actual ignition key state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state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in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through the second func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a specific function designated among safety-related functions is selectively driven, and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are driven in an actual ignition key-on state through a third function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마이컴은,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the actual ignition key is off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is off, and the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s of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to be driven in the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are determined. If satisfied, the microcomputer output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for switching to a virtual ignition key-on state to the power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에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Positive 입력단인 제1 입력단과 Negative 입력단인 제2 입력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ing chip includes an AND gate at an enable signal input port, and the AND gate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that i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that is a negative input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상기 파워모듈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하이 신호'를 제1 입력단에 입력받고, 상기 마이컴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로우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ing chip receives a 'high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module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to a first input terminal, and outputs it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an enabled state by receiving a 'low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을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하는 단계에서,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2 구동칩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enabling the second driving chip, a function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o be driven is designated in an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and a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and in an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When the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microcomputer outputs an enable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chi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작동 조건은, 타임아웃 조건, 이그니션 키 상태 조건, 및 제2 구동칩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s include a timeout condition, an ignition key state condition, and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second driving chi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만 동작되어야 하는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 중,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지정된 특정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hat should be operated only in an ignition key on state, a specified specific function can be selectively driven even in an ignition key off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는, 통신 모듈(110), 파워모듈(120), 마이컴(130), 제1 구동칩(140), 및 제2 구동칩(1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 a power module 120 , a microcomputer 130 , a first driving chip 140 , and a first 2 driving chips 150 are included.

이 때 상기 구성 요소들(110 ~ 150)은 각각의 포트(P1 ~ P9)를 통해 상호간에 신호(예 : 제어 신호, 상태 신호 등)를 전달한다. 따라서 이하 상기 각 포트(P1 ~ P9)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components 110 to 150 transmit signals (eg, control signals, status signals, etc.) to each other through respective ports P1 to P9. Therefore, a description of each of the ports P1 to P9 will be omitted below.

또한 차량의 현재 상태는 이그니션 키(도 1에서 igk) 오프 상태에서 통신 모듈(110), 파워모듈(120), 마이컴(130), 제1 구동칩(140), 및 제2 구동칩(150)이 슬립(Slip)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 the power module 120 , the microcomputer 130 , the first driving chip 140 , and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n the ignition key (igk in FIG. 1 ) off state. Assume that it is in this sleep state.

상기 통신 모듈(110)은 지정된 알람 신호 제공 장치(예 : AVN 장치, 내비게이션 등)(미도시)로부터 지정된 통신 방식(예 : CAN, LIN 등)으로 알람 신호를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receives an alarm signal from a specified alarm signal providing device (eg, AVN device, navigation, etc.) (not shown) in a specified communication method (eg, CAN, LIN, etc.).

예컨대 상기 알람 신호 제공 장치(미도시)는 지정된 조건(예 : 지정된 시간, 지정된 온도, 지정된 원격신호의 수신 등)이 되었을 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For example, the alarm signal providing device (not shown) means a device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a specified condition (eg, a specified time, a specified temperature, reception of a specified remote signal, etc.) occurs.

상기 통신 모듈(110)은 상기 지정된 알람 신호 제공 장치(예 : AVN 장치, 내비게이션 등)(미도시)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상태에서 깨어나 웨이크 업(wake-up) 된다.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receives an alarm signal from the designated alarm signal providing device (eg, AVN device, navigation device, etc.) (not shown), it wakes up from the sleep state and wakes up.

상기 통신 모듈(110)은 슬립 상태에서 웨이크 업 되면, 상기 파워모듈(120)의 제2 인에이블 포트(en2)에 인에이블 신호(또는 웨이크 업 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wakes up from the sleep state, it outputs an enable signal (or a wakeup signal) to the second enable port en2 of the power module 120 .

상기 파워모듈(120)은 상기 통신 모듈(110)로부터 인에이블 신호(또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상태에서 깨어나 웨이크 업(wake-up) 된다.When the power module 120 receives an enable signal (or a wake-up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 it wakes up from the sleep state and wakes up.

상기 통신 모듈(110)과 상기 파워모듈(120)은 배터리 전원(bat)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각각 지정된 신호(예 : 알람 신호, 인에이블 신호,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곧바로 웨이크 업 된다.Since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power module 120 are in a state in which battery power (bat) is being supplied, they wake up immediately upon receiving a specified signal (eg, an alarm signal, an enable signal, and a wake-up signal). do.

상기 파워모듈(120)은 웨이크 업 되면, 비록 구동 전원 라인(vdd line)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마이컴(130), 상기 제1 구동칩(140), 및 상기 제2 구동칩(150)에 구동 전원(vdd)을 인가한다.When the power module 120 wakes up, although a driving power line (vdd line) is not shown, it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30 , the first driving chip 140 , and the second driving chip 150 . The driving power vdd is applied.

상기 마이컴(130), 상기 제1 구동칩(140), 및 상기 제2 구동칩(150)은, 상기 구동 전원(vdd)을 인가받으면 웨이크 업 되어 셀프 테스트를 수행한다.The microcomputer 130 , the first driving chip 140 , and the second driving chip 150 wake up when the driving power vdd is applied to perform a self-test.

상기 파워모듈(120) 내의 모니터링 모듈(121)은 상기 마이컴(130), 상기 제1 구동칩(140), 및 상기 제2 구동칩(150)의 셀프 테스트 결과를 전달받아 구동 전원(vdd)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었는지 체크한다.The monitoring module 121 in the power module 120 receives the self-test results of the microcomputer 130 , the first driving chip 140 , and the second driving chip 150 , so that the driving power vdd is reduced. Check whether it is supplied normally.

또한 상기 파워모듈(120) 내의 모니터링 모듈(121)은, 상기 마이컴(130), 상기 제1 구동칩(140), 및 상기 제2 구동치(150)의 셀프 테스트 결과가 모두 정상인 경우, 이에 대한 체크 결과 신호(예 : 하이 신호)를 앤드 게이트(&)에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self-test results of the microcomputer 130 , the first driving chip 140 , and the second driving device 150 are all normal, the monitoring module 121 in the power module 120 , The check result signal (eg, high signal) is output to the AND gate (&).

상기 마이컴(130)은 내부적으로 제1 기능모듈(FM1), 제2 기능모듈(FM2), 및 제3 기능모듈(FM3)을 포함한다. The microcomputer 130 internally includes a first function module FM1, a second function module FM2, and a third function module FM3.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기능모듈(FM1 ~ FM3)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기능모듈(FM)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마이컴(130)의 동작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3 기능모듈(FM1 ~ FM3)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function modules FM1 to FM3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may be integrated into one function module FM. However,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130, the first to third functional modules FM1 to FM3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웨이크 업 된 상기 마이컴(130)은 제1 기능모듈(FM1)을 통해 실제 이그니션 키(igk) 상태, 및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를 감지한다(P5 포트와 P4 포트를 이용하여 감지). The microcomputer 130, which has been woken up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actual ignition key (igk) state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state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FM1 (detected using the P5 port and the P4 port).

예컨대 상기 실제 이그니션 키(igk) 상태는 현재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도 현재는 가상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다.For example, the actual ignition key (igk) state is a current ignition key off state,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state is also a virtual ignition key off state.

또한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제1 기능모듈(FM1)을 통해 감지한 결과가 지정된 결과(즉,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 & 가상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로 확인 되고,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작동 가능 조건(예 : 타임아웃 상태, 제2 구동칩 상태)을 만족하면, 제2 기능모듈(FM2)을 통해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CTL_wk_state_ON)를 상기 파워모듈(120)의 제1 인에이블 포트(en1)에 출력한다(P3 포트를 통해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 출력).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30 confirms that the result detected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FM1 is a specified result (ie, the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 the virtual ignition key off state), and the vehicle to be dri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Control signal (CTL_wk_state_ON) for switching to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through the second function module (FM2) when the operable conditions (eg timeout state, second driving chip state) of the functional safety-related functions are satisfied. ) to the first enable port en1 of the power module 120 (control signal output for switching to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through the P3 port).

이에 따라 상기 파워모듈(120)은 상기 제어 신호(CTL_wk_state_ON)에 의해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 인식하게 되지만, 실질적인 상태는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가 된다. 다만 상기 파워모듈(120)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인지, 아니면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인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단순히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 인식할 뿐이다.Accordingly, the power module 120 recognizes the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by the control signal CTL_wk_state_ON, but the actual state becomes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power module 120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an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or a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and merely recognizes the ignition key on state.

따라서 상기 파워모듈(120)은 이그니션 키 온 상태 신호(예 : 하이 신호)와 상기 모니터링 모듈(121)에서 출력된 체크 결과 신호(예 : 하이 신호)를 상기 앤드 게이트(&)를 통해 앤드 연산하여(예 : 하이 신호), 지정된 인에이블 신호 출력 포트(ndis)를 통해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예 : 하이 신호)를 상기 제2 구동칩(150)의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ndis)의 앤드 게이트(&)의 제1 입력단(예 : Positive 입력단)에 출력한다.Therefore, the power module 120 performs an AND operation on the ignition key on state signal (eg, high signal) and the check result signal (eg, high signal) output from the monitoring module 121 through the AND gate (&). (eg: high signal),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eg, high signal) through a designated enable signal output port (ndis) of the enable signal input port (ndis) of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t is out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eg,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 (&).

여기서 상기 제2 구동칩(150)의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ndis)의 앤드 게이트(&)는 Positive 입력단인 제1 입력단과 Negative 입력단인 제2 입력단으로 구성된다. Here, the AND gate (&) of the enable signal input port ndis of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ncludes a first input terminal that i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that is a negative input terminal.

따라서 상기 제2 구동칩(150)의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ndis)의 앤드 게이트(&)는, 제1 입력단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입력단에 '로우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앤드 연산 결과가 '하이'가 될 경우, 상기 제2 구동칩(150)이 인에이블 된다.Accordingly, in the AND gate (&) of the enable signal input port ndis of the second driving chip 150, a 'high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a 'low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When the AND operation result becomes 'high',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s enabled.

한편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제1 기능모듈(FM1)을 통해 감지한 결과가 지정된 결과(즉,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 &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 확인 되고,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작동 가능 조건(예 : 타임아웃 상태, 제2 구동칩 상태)을 만족하면, 인에이블 신호 출력 포트(dis)를 통해,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예 : 로우 신호)를, 상기 제2 구동칩(150)의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ndis)의 앤드 게이트(&)의 제2 입력단(예 : Negative 입력단)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computer 130 confirms that the result detected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FM1 is a specified result (ie, the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and can be dri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When the operable conditions (eg, timeout state, second driving chip state) of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satisfied, the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eg, low) through the enable signal output port (dis) signal)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eg,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 (&) of the enable signal input port ndis of the second driving chip 150 .

이에 따라 상기 제2 구동칩(150)의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ndis)의 앤드 게이트(&)의 제1 입력단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고, 제2 입력단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앤드 연산 결과가 '하이'가 됨으로써, 상기 제2 구동칩(150)이 인에이블 상태가 된다.Accordingly, a 'high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 (&) of the enable signal input port (ndis) of the second driving chip 150, and a 'low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As the operation result becomes 'high',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s in an enabled state.

여기서 상기 제1 구동칩(150)은 차량의 기능 안전에 관련이 없는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액추에이터들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칩(150)은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액추에이터들이 연결된다.Here, to the first driving chip 150, actuators for activating functions not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and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actuators for activati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

그리고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제2 구동칩(150)이 인에이블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기능모듈(FM1)을 통해 감지한 결과가 지정된 결과(즉,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 &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 확인 될 경우, 상기 제2 기능모듈(FM2)을 통해,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출력한다(P6 포트와 P9 포트를 이용).In addition, in the microcomputer 130 ,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s enabled, and the result detected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FM1 is a specified result (that is, the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a control signal for selectively driving only specified specific functions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function module FM2. output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using the P6 port and the P9 port).

또한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제1 기능모듈(FM1)을 통해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2 기능모듈(FM2)을 통해 상기 파워모듈(120)의 제1 인에이블 포트(en1)에 출력하던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CTL_wk_state_ON)'의 출력을 중지하고(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을 모두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출력한다. In addition, when the microcomputer 130 detects the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FM1, the first enable port of the power module 120 through the second function module FM2 ( Stop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CTL_wk_state_ON) for transition to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CTL_wk_state_ON)' output to en1) (or output a low signal), and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all related functions is output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

즉, 상기 마이컴(130)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3 기능모듈(FM3)을 통해 상기 제1 구동칩(140)과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기능모듈(FM2)을 통해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만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at is, the microcomputer 130 drives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hip 140 and the second driving chip 150 through the third function module FM3 in an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to selectively drive only a specified specific function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through the second function module FM2 in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Outputs a control signal.

이에 따라 본 실시 예는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만 동작되어야 하는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 중,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지정된 특정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ffect of selectively driving a specified specific function e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amo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that should be operated only in the ignition key on stat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현재 상태가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통신 모듈(110), 파워모듈(120), 마이컴(130), 제1 구동칩(140), 및 제2 구동칩(150)이 슬립 상태(또는 OFF 상태)에 있을 때(S101), 상기 통신 모듈(110)이 지정된 알람 신호 제공 장치(예 : AVN 장치, 내비게이션 등)(미도시)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웨이크 업(wake-up) 될 경우(S102의 예),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마이컴(130)을 웨이크 업 시킨다(S103).Referring to FIG. 2 ,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 the power module 120 , the microcomputer 130 , the first driving chip 140 , and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When in the sleep state (or OFF state) (S101),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receives an alarm signal from a designated alarm signal providing device (eg, AVN device, navigation device, etc.) (not shown) to wake-up. up) (Yes in S102), the microcomputer 130 is woken up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S103).

예컨대 상기 통신 모듈(110)이 웨이크 업 되면, 상기 파워모듈(120)에 인에이블 신호(또는 웨이크 업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파워모듈(120)을 웨이크 업 시키고, 상기 파워모듈(120)이 웨이크 업 되면, 상기 마이컴(130), 제1 구동칩(140), 및 제2 구동칩(150)에 구동 전원(vdd)을 인가하여 웨이크 업 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wakes up, an enable signal (or a wake-up signal) is output to the power module 120 to wake up the power module 120 , and the power module 120 wakes up. When it is up, the driving power vdd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130 , the first driving chip 140 , and the second driving chip 150 to wake up.

상기 웨이크 업 된 마이컴(130)은 상기 파워모듈(120)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고(S104), 또한 상기 마이컴(130)은 제2 구동칩(150)의 작동 가능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하여 만족할 경우(S105의 예), 상기 제2 구동칩(150)을 작동 허용 상태(즉,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한다(S106).The wake-up microcomputer 130 output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o the power module 120 ( S104 ), and also checks whether the microcomputer 130 satisfies the operable condition of the second driving chip 150 . to be satisfied (Yes in S105),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s placed in an operation allowable state (ie, an enabled state) (S106).

예컨대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제1 기능모듈(FM1)을 통해 감지한 결과가 지정된 결과(즉,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 &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 확인 되고,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작동 가능 조건(예 : 타임아웃 상태, 제2 구동칩 상태)을 만족하면,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예 : 로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칩(150)이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한다.For example, the microcomputer 130 confirms that the result detected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FM1 is a specified result (ie, the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and can be dri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When the operable conditions (eg, timeout state, second driving chip state) of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satisfied, by outputting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eg, low signal),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s enabled.

상기 제2 구동칩(150)이 인에이블 상태가 되면, 상기 마이컴(130)은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S107).When the second driving chip 150 is in the enabled state, the microcomputer 13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to ensure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150 . Among the related functions, only specified specific functions are selectively operated (S107).

상기 과정(S104 ~ S107)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가 되기 전까지 반복 수행된다(S108의 아니오).The above processes (S104 to S107)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actual ignition key is turned on (NO in S108).

한편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가 감지되면(S108의 예),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S109), 상기 제1 구동칩(140)과 상기 제2 구동칩(150)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노멀 오퍼레이션 작동을 수행한다(S110).Meanwhile, when the actual ignition key-on state is detected (Yes in S108), the output of the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is stopped (or a low signal is output) (S109), and the first driving chip 140 and the second driving A normal ope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chip 150 (S110).

이에 따라 본 실시 예는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만 동작되어야 하는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여러 기능들 중,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도 지정된 특정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ffect of selectively driving a specified specific function even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amo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that should be operated only in the ignition key on state.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s an apparatus or a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110 : 통신 모듈
120 : 파워모듈
121 : 모니터링 모듈
130 : 마이컴
140 : 제1 구동칩
150 : 제2 구동칩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power module
121: monitoring module
130: microcomputer
140: first driving chip
150: second driving chip

Claims (19)

차량의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지정된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파워모듈을 웨이크 업 시키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모듈;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웨이크 업 되면,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지정된 작동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제2 구동칩을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 communication module for waking up the power module by waking up by a signal from a designated device in a vehicle ignition key off state;
a power module that wakes up by a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pplies driv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and
When it wakes up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is output to the power module, and when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the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is output, the second driving chip is enabled. and a microcomputer that selectively operates only specified specific functions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가 감지되면,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거나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구동칩과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노멀 오퍼레이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When the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is detected, the output of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is stopped or a low signal is output,
and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operation for driving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hip and the second driving ch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듈은,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는 상기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의 셀프 테스트 결과를 체크하여, 상기 셀프 테스트 결과가 모두 정상인 경우, 이에 대한 체크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체크 결과 신호와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앤드 연산하여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module,
A monitoring module that checks the self-test results of the microcomputer,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that are woken up by the driving power and performs the self-test, and outputs a check result signal when the self-test results are all normal ; and
and an AND gate for outputting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by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check result signal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상태와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를 감지하는 제1 기능모듈;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만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2 기능모듈; 및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제3 기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a first function module for detecting an actual ignition key state and a virtual ignition key state;
a second function module that selectively drives only a designated specific function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in a virtual ignition key-on state; and
and a third function module for driving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in an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The actual ignition key is off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is off.
When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of a function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o be driven is satisfied in an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a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for switching to a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is output to the power module. The wake-up func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에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Positive 입력단인 제1 입력단과 Negative 입력단인 제2 입력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iving chip,
and an AND gate to the enable signal input port;
The AND gate is a wake-up func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rst input terminal a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as a negative input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상기 파워모듈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하이 신호'를 제1 입력단에 입력받고,
상기 마이컴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로우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iving chip,
receiving a 'high signal' output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from the power module to a first input terminal;
The device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an enabled state by receiving a 'low signal' output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구동칩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The actual ignition key is off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is on.
The device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of a function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to be driven is satisfied in an actual ignition key-off state, an enable signal is output to the second driving ch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칩에는 차량의 기능 안전에 관련이 없는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액추에이터들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칩에는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을 활성화시키는 액추에이터들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ctuators for activating functions not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hip,
The device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ctuators for activati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ar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작동 조건은,
타임아웃 조건, 실제 이그니션 키 상태와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 조건, 및 제2 구동칩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s are:
A wake-up func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imeout condition, an actual ignition key state and a virtual ignition key state condition, and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second driving chip.
차량의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통신 모듈이 지정된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파워모듈을 웨이크 업 시키는 단계;
상기 파워모듈이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이 상기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웨이크 업 되면,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지정된 작동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제2 구동칩을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waking up the power module by waking up the communication module by a signal from a designated device in the ignition key off state of the vehicle;
applying driv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when the power module is woken up by a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microcomputer wakes up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it output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o the power module, and when a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outputting the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he second driving chip and selectively operating only specified specific functions from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after the enable state is establish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들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이후,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마이컴은,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거나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구동칩과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노멀 오퍼레이션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 wherein after selectively operating only specified specific functions among functions related to functional safety of a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When the actual ignition key on state is detected,
The microcomputer is
Stop the output of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or output a low signal,
and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operation of driving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chip and the second driving chip.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듈은,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 업 되어 셀프 테스트를 수행하는 상기 마이컴, 제1 및 제2 구동칩의 셀프 테스트 결과를 체크하여, 상기 셀프 테스트 결과가 모두 정상인 경우, 이에 대한 체크 결과 신호를 출력하고,
앤드 게이트를 통해 상기 체크 결과 신호와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앤드 연산하여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wer module,
The monitoring module checks the self-test results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that are woken up by the driving power to perform the self-test. If the self-test results are all normal, the check result signal is provided. print out,
and outputting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by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check result signal and the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through an AND gat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제1 기능모듈을 통해 실제 이그니션 키 상태와 가상 이그니션 키 상태를 감지하고,
제2 기능모듈을 통해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들 중 지정된 특정 기능만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제3 기능모듈을 통해 실제 이그니션 키 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에 연결된 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icrocomputer,
Detects the actual ignition key state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state through the first function module,
In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tate through the second function module, only a specified specific function is selectively driven among functions related to the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chip,
A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wherein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chips are driven in an actual ignition key-on state through a third function modul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마이컴은, 상기 파워모듈에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로의 전환을 위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virtual ignition key on signal,
The actual ignition key is off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is off.
When the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s for functions related to the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to be driven in the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are satisfied,
The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wherein the microcomputer outputs a virtual ignition key-on signal for switching to a virtual ignition key-on state to the power modul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인에이블 신호 입력 포트에 앤드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Positive 입력단인 제1 입력단과 Negative 입력단인 제2 입력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driving chip,
and an AND gate to the enable signal input port;
The AND gate is a wake-up function management method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rst input terminal as a positive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as a negative input terminal.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상기 파워모듈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하이 신호'를 제1 입력단에 입력받고,
상기 마이컴에서 제2 구동칩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는 '로우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driving chip,
receiving a 'high signal' output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from the power module to a first input terminal;
The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computer enters an enabled state by receiving a 'low signal' output as a second driving chip enable signal.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을 인에이블 상태가 되게 하는 단계에서,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이면서 가상 이그니션 키 온 상태이고,
실제 이그니션 키 오프 상태에서 구동할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기능의 지정된 작동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2 구동칩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the step of enabling the second driving chip,
The actual ignition key is off and the virtual ignition key is on.
When the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s for functions related to the functional safety of the vehicle to be driven in the actual ignition key off state are satisfied,
The microcomputer is
A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n enable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chip.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작동 조건은,
타임아웃 조건, 이그니션 키 상태 조건, 및 제2 구동칩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 업 기능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pecified operating conditions are:
A method for managing a wake-up function of a vehicle, comprising a timeout condition, an ignition key state condition, and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second driving chip.
KR1020220077241A 2022-06-24 2022-06-24 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2454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41A KR102454517B1 (en) 2022-06-24 2022-06-24 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41A KR102454517B1 (en) 2022-06-24 2022-06-24 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517B1 true KR102454517B1 (en) 2022-10-13

Family

ID=8359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241A KR102454517B1 (en) 2022-06-24 2022-06-24 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51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792A (en) * 1998-09-04 2000-04-06 정몽규 Regulator control mode of door glass for vehicle
JP2001206191A (en) * 2000-01-25 2001-07-31 Denso Corp Start device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ve system
JP2009061808A (en) * 2007-09-04 2009-03-26 Toyota Motor Corp Vehicle control apparatus
JP2017039376A (en) * 2015-08-19 2017-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assenger protection system
KR20190040523A (en) * 2017-10-11 2019-04-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irbag ecu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792A (en) * 1998-09-04 2000-04-06 정몽규 Regulator control mode of door glass for vehicle
JP2001206191A (en) * 2000-01-25 2001-07-31 Denso Corp Start device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ve system
JP2009061808A (en) * 2007-09-04 2009-03-26 Toyota Motor Corp Vehicle control apparatus
JP2017039376A (en) * 2015-08-19 2017-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assenger protection system
KR20190040523A (en) * 2017-10-11 2019-04-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irbag ecu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9888B2 (en) Message buffer for a receiver apparatus on a communications bus
US8812885B2 (en) Detecting wake-up events for a chip based on an I/O power supply
JP2004197585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
KR0157129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of docking station
JPH08202469A (en) Microcontroller unit equipped with universal asychronous transmitting and receiving circuit
KR102454517B1 (en) Apparatus for managing wake-up func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78861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MI processing method thereof
JP3742367B2 (en) USB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021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aving power of central processing unit
US9145100B2 (en) In-vehicle ECU
JP2000172384A (en) On-vehicle computer and its control method
WO2023005586A1 (en) Instrument assembly for vehicle, and vehicle
KR202001021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rk current of a vehicle
KR202301316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ilure diagnosis of redundancy steering system
CN101730300A (en) Displayer and keyboar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22498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mobile internet interface
US2018004624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troller to enter a low power mode
KR100479340B1 (en) Smart card for controlling a system clock and method therefor
CN215526418U (e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machine
KR100403371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using an universal serial bus
JP3003181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381403B1 (en) Microcomputer wake-up device
CN118069227A (e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terminal device and wake-up method
CN117644832A (en) CAN transceiver, motor drive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and vehicle
CN114407908A (en) Remote vehicle control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vehicle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