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505B1 - Rope removable handrail - Google Patents

Rope removable hand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505B1
KR102454505B1 KR1020200149767A KR20200149767A KR102454505B1 KR 102454505 B1 KR102454505 B1 KR 102454505B1 KR 1020200149767 A KR1020200149767 A KR 1020200149767A KR 20200149767 A KR20200149767 A KR 20200149767A KR 102454505 B1 KR102454505 B1 KR 10245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onnection
coupling
post
pres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3666A (en
Inventor
설경남
Original Assignee
설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경남 filed Critical 설경남
Priority to KR102020014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505B1/en
Publication of KR2022006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로프 탈착식 난간대가 개시된다. 상기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로 일정 간격 배열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일측 및 상기 지주의 일측에 대칭되는 상기 지주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커플링연결볼트; 서로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연결되는 로프; 상기 로프의 양단에 고정되는 로프연결커플링; 및 상기 각각의 로프연결커플링에 동축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너트가 상기 커플링연결볼트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pe detachable handrail is disclosed. The rope detachable balustrade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predetermined number along one direction; a coupling connection bol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ld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post symmetrical to one side of the post; ropes connected between neighboring poles; Rope connection couplings fixed to both ends of the rope; And it comprises a fastening nut coaxially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rope connecting coupl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nut is screwed to the coupling connecting bolt.

Description

로프 탈착식 난간대{ROPE REMOVABLE HANDRAIL}Rope Removable Handrail {ROPE REMOVABLE HANDRAIL}

본 발명은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프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로프 탈착식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pe detachable handrail that facilitates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ropes.

일반적으로 로프 난간대는 등산로와 같이 길에 안전지대와 위험지대를 로프를 이용하여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포스트들과 그 포스트들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로프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프는 한 줄로 이루어지고 포스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이후, 못이나 나사에 의해 상기 포스트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In general, a rope handrail is for dividing a safety zone and a danger zone on a road using a rope, such as a hiking trail,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post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ropes installed through the posts. . The rope is formed in one row and installed through the post, and then is firmly fixed to the post by nails or screws.

이러한 로프 난간대는 못이나 나사로 로프를 고정하므로 그 설치 과정이 불편하고 번거러운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rope railing is fixed to the rope with nails or screws, the installation process is inconvenient and cumbersome.

등록특허 제10-1749907호Registered Patent No. 10-174990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로프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로프 탈착식 난간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 detachable handrail so that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rope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로 일정 간격 배열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일측 및 상기 지주의 일측에 대칭되는 상기 지주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커플링연결볼트; 서로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 연결되는 로프; 상기 로프의 양단에 고정되는 로프연결커플링; 및 상기 각각의 로프연결커플링에 동축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너트가 상기 커플링연결볼트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movable rope balustr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connection bol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ld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post symmetrical to one side of the post; ropes connected between neighboring poles; Rope connection couplings fixed to both ends of the rope; And it comprises a fastening nut coaxially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rope connecting coupl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nut is screwed to the coupling connecting bol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상기 로프연결커플링은 상기 조임너트와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편 단부측의 내면에 일정 길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로프가압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간대는 상기 로프가압돌기부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고, 상기 로프의 양단에서 상기 로프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로프에 삽입되고 상기 로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배열되어 상기 로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커플링 연결보강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의 단부는 상기 로프연결커플링에 삽입할 때 상기 로프가압돌기부의 나선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삽입하고, 상기 로프가압돌기부는 상기 로프의 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로프의 가장자리 및 상기 연결보강 와이어를 가압할 수 있다.The rope-removable hand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includes a rope pressing protrusion extending helically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posite end side of the end connected to the tightening nut, and the handrail is the A plurality of couplings having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op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pe at both ends of the rop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pe, and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rop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reinforcing wire, the end of the rope is inserted while rotating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iral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when the end of the rope is inserted into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and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is inserted when the end of the rope is inserted It is possible to press the edge of the rope and the connection reinforcement wire.

본 발명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에 의하면, 로프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나아가, 로프가 끊어지거나 닳아서 훼손된 경우 로프를 쉽게 지주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로프로의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난간대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etachable rope balustr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rope can be facilitated, and furthermore, when the rope is broken or worn out, the rop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pole and it is easy to replace it with a new rop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of the handrail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의 연결모습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프 및 로프연결커플링의 연결모습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on of the rope shown in Figure 1.
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on of the rope and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shown in Figure 3;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의 연결모습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rope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지주(110), 커플링연결볼트(120), 로프(130), 로프연결커플링(140), 조임너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t 110 , a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 a rope 130 , a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 and a tightening nut 150 . may include

지주(110)는 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로 일정 간격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주(110)는 목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posts 11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predetermined number along one direction. As an example, the post 110 may be provided with wood.

커플링연결볼트(120)는 지주(110)의 일측 및 상기 지주(110)의 일측에 대칭되는 지주(1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커플링연결볼트(120)는 지주(110)의 평면에서 볼 때 서로 대칭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커플링연결볼트(1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post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post 110 symmetrical to one side of the post 110 . That is, a plurality of coupling connection bolts 12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post 110 . The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is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로프(130)는 서로 이웃하는 지주(1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rope 13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neighboring posts 110 .

로프연결커플링(140)은 로프(130)의 양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로프연결커플링(14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고, 말단의 일부 길이에는 원형 고리 형상의 삽입링(141) 및 상기 삽입링(141)의 후단에 형성되는 환형홈(1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may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rope 130 . As an example,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n annular groove 14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 ring 141 and the insert ring 141 having a circular annular shape at some lengths of the ends. may include

조임너트(150)는 각각의 로프연결커플링(14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임너트(150)는 후단에는 원통의 중심을 향해 직각으로 꺽여서 꺽인단부(151)를 형성할 수 있다. 조임너트(150)는 상기 꺽인단부(151)가 상기 환형홈(142)에 체결되고, 상기 삽입링(141)은 상기 꺽인단부(15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 구조에 의해 자유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조임너트(150)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연결볼트(1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tightening nut 150 may be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rope connection couplings 140 . For example, the tightening nut 150 may be bent at a right angle toward the center of the cylinder at the rear end to form the bent end portion 151 . In the tightening nut 150 , the bent end 151 is fastened to the annular groove 142 , and the insertion ring 141 can be freely rotated by a fastening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bent end 151 . . In addition, the tightening nut 150 may be screwed with the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by forming a thread on the inner surface.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등산로, 공원 등 조경시설에 설치될 수 있다. Such a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landscaping facilities such as hiking trails and park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for installing a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지주(110)를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로 일정 간격 이격시키면서 지면에 설치한다.First, the posts 110 are installed on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number along a predetermined path.

이어서, 서로 이웃하는 지주(110)들 사이에 로프(130)를 연결한다. 이때, 로프(130)는 커플링연결볼트(120) 및 조임너트(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rope 130 is connected between the neighboring posts 110 . At this time, the rope 130 may be connected by a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and a tightening nut 150 .

즉, 도 2와 같이 로프(130)의 양단에 구비된 로프연결커플링(140)과 연결된 조임너트(150)를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지주(110) 상에서 돌출되어 있는 커플링연결볼트(120)에 나사 결합한다. 이에 따라, 로프(130)는 지주(110)들 사이에 연결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connection bolts 120 protruding from the respective posts 110 adjacent to each other are the tightening nuts 150 connected to the rope connection couplings 14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pe 130. screw on to Accordingly, the rope 130 is connected between the posts 110 .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로프(130)가 탈착 가능한 커플링연결볼트(120) 및 조임너트(15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지주(110)들 사이에 연결되므로 로프(130)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s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posts 110 by the screw coupling of the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and the tightening nut 150 to which the rope 130 is detachable, so the rope 130 )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can be facilitated.

나아가, 로프(130)가 끊어지거나 닳아서 훼손된 경우 로프(130)를 쉽게 지주(110)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로프(130)로의 교체가 용이하다. 따라서, 난간대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when the rope 130 is broken or worn out, the rope 13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post 110 to facilitate replacement with a new rope 130 .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of the handrail can be facilitat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프 및 로프연결커플링의 연결모습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the rope and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shown in FIG.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로프연결커플링(140)이 로프가압돌기부(143)를 포함하고, 다수의 커플링 연결보강 와이어(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로프가압돌기부(143) 및 다수의 커플링 연결보강 와이어(16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3 and 4, the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includes a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a plurality of coupling connection reinforcement wire 160 Since it is the same as the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it further includes,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and a plurality of coupling connection reinforcing wires 160 .

로프가압돌기부(143)는 로프연결커플링(140)의 로프(130)가 삽입되는 로프삽입단부(140a)의 내면에 일정 길이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is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spir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pe insertion end 140a into which the rope 130 of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is inserted.

다수의 커플링 보강와이어(160)는 로프가압돌기부(143)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커플링 보강와이어(160)는 로프(130)의 양단에서 상기 로프(13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로프(130)에 삽입되고, 상기 로프(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배열되어 상기 로프(1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A plurality of coupling reinforcing wires 160 may be provid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 A plurality of coupling reinforcing wires 160 are inserted into the rope 130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pe 130 at both ends of the rope 130,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pe 130 is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rope 130 .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탈착식 난간대는 로프(130)의 양단에 로프연결커플링(140)을 고정할 때, 로프(130)의 단부를 로프연결커플링(140)의 로프삽입단부(140a)로 삽입한다. 즉, 로프(130)를 로프가압돌기부(143)의 나선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삽입하고, 이에 의해, 로프(130)의 단부는 점차 로프가압돌기부(143)의 내측으로 삽입된다.This rope detachable hand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xing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to both ends of the rope 130, the end of the rope 130, the rope insertion end of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140a) is inserted. That is, the rope 130 is inserted while rotating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iral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 and thereby, the end of the rope 130 is gradually inserted into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

이때, 로프(130)의 단부에 로프(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커플링 연결보강 와이어(160)는 로프가압돌기부(143)에 의해 가압되어 로프가압돌기부(143)에 의해 가압되는 길이방향의 일부 영역들이 로프(130)의 중심부를 향해 볼록해지고, 그 볼록해지는 영역들은 로프가압돌기부(143)의 각각의 나선돌기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upling connection reinforcing wires 160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pe 130 at the end of the rope 130 are pressed by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by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 Some area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pressed become convex toward the center of the rope 130 , and the convex areas are shaped to surround each spiral protrusion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

따라서, 로프(130)를 로프연결커플링(140)의 로프삽입단부(140a)로 삽입하여 고정할 때 다수의 커플링 연결보강 와이어(160)가 로프가압돌기부(143)의 각각의 나선돌기를 감싸서 로프가압돌기부(143)에 결합되는 형태가 되므로 로프(13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로프(130)가 로프연결커플링(140)과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rope 130 is inserted into the rope insertion end 140a of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and fixed, a plurality of coupling connection reinforcing wires 160 each spiral protrusion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 Since it wraps and becomes a form coupled to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the fixing force of the rope 130 can be improved, and as a result, the rope 13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and can maintain a strong coupling state.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2)

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로 일정 간격 배열되는 지주(110);
상기 지주(110)의 일측 및 상기 지주(110)의 일측에 대칭되는 상기 지주(11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커플링연결볼트(120);
서로 이웃하는 지주(110) 사이에 연결되는 로프(130);
상기 로프(130)의 양단에 고정되는 로프연결커플링(140); 및
상기 각각의 로프연결커플링(140)에 동축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임너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너트(150)가 상기 커플링연결볼트(12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로프연결커플링(140)은 상기 조임너트(150)와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편 단부측의 내면에 일정 길이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로프가압돌기부(143)를 포함하고,
난간대는 다수의 커플링 연결보강 와이어(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커플링 연결보강 와이어(160)은, 상기 로프가압돌기부(143)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고, 상기 로프(130)의 양단에서 상기 로프(13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상기 로프(130)에 삽입되고, 상기 로프(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배열되어 상기 로프(1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로프(130)의 단부는 상기 로프연결커플링(140)에 삽입할 때 상기 로프가압돌기부(143)의 나선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삽입하고,
상기 로프가압돌기부(143)는 상기 로프(130)의 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로프(130)의 가장자리 및 그 가장자리의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다수의 연결보강 와이어(160)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탈착식 난간대.
Posts 11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predetermined number along one direction;
a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post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post 110 symmetrical to one side of the post 110 ;
Rope 130 connected between the neighboring posts (110);
Rope connection couplings 140 fixed to both ends of the rope 130; and
It includes a tightening nut 150 coaxially freely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rope connection couplings 140,
The tightening nut 150 is screwed to the coupling connection bolt 120,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includes a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extending helically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posite end side of the end connected to the tightening nut 150,
The handrail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connection reinforcing wires 160,
The plurality of coupling connection reinforcing wires 160 have a l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pe 130 at both ends of the rope 130. ) is inserte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pe 130 and located at the edge of the rope 130,
The end of the rope 130 is inserted while rotating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iral of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when inserted into the rope connection coupling 140,
The rope pressing protrusion 143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nd of the rope 130 is inserted, the edge of the rope 130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einforcing wires 160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dge are pressed. ,
Rope removable handrail.
삭제delete
KR1020200149767A 2020-11-10 2020-11-10 Rope removable handrail KR102454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767A KR102454505B1 (en) 2020-11-10 2020-11-10 Rope removable hand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767A KR102454505B1 (en) 2020-11-10 2020-11-10 Rope removable hand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666A KR20220063666A (en) 2022-05-17
KR102454505B1 true KR102454505B1 (en) 2022-10-12

Family

ID=8180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767A KR102454505B1 (en) 2020-11-10 2020-11-10 Rope removable hand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50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059A (en) * 2009-06-19 2011-01-06 Asano Kinzoku Kogyo Kk Wire stretching implement
US20180094450A1 (en) * 2016-10-04 2018-04-05 Felix Sorkin Barrier cable anch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907B1 (en) 2015-10-12 2017-06-23 (주) 토모우드 Rope handra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2059A (en) * 2009-06-19 2011-01-06 Asano Kinzoku Kogyo Kk Wire stretching implement
US20180094450A1 (en) * 2016-10-04 2018-04-05 Felix Sorkin Barrier cable anch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666A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4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line base plate termination in monopole structures
US6399881B2 (en) Multi-sectional utility pole having slip-joint conical connections
US6679480B1 (en) Wire fastening device and wire extending structure using wire fastening devices
KR101902600B1 (en) Thread device, thread joint and drill string component for percussive rock drilling
US4523880A (en) Tie rod assembly for rock borehole anchor
KR101467929B1 (en) Anchor Bolt
KR101364045B1 (en) Pedestraion suspension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454505B1 (en) Rope removable handrail
US2703216A (en) Cable-flex pole band
KR102130526B1 (en) Anchor bolt to be used first for formwork
CN109853541B (en) Anchoring device for preventing landslide geological disasters
CN1115452C (en) Post-tensioning anchor head assembly
KR102233282B1 (en) Steel wire combined fastening and fixing unit and concrete fix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091913A (en)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KR20210110244A (en) Ring beam type cable bridge
KR102106258B1 (en) Damage Prevention Structure for Wire-Connection Part of Safety Net
KR200175455Y1 (en) Wire rope seperating and fixing device of picket fence for preventing road falling rock
KR101594728B1 (en) Complex pile
CN216074750U (en) Corrugated pipe penetrating end protection device
KR102219323B1 (en) Fixed structure of spiral wind turbine blade
CN212154372U (en) Assembled rail guard
CN205875525U (en) Converter is connected with finish rolling twisted steel to steel strand wires
KR200331401Y1 (en) Space sustenance unit for mold
KR102158265B1 (en) Semiautomatic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N217680910U (en) Novel flange assembling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