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126B1 -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126B1
KR102454126B1 KR1020220013215A KR20220013215A KR102454126B1 KR 102454126 B1 KR102454126 B1 KR 102454126B1 KR 1020220013215 A KR1020220013215 A KR 1020220013215A KR 20220013215 A KR20220013215 A KR 20220013215A KR 102454126 B1 KR102454126 B1 KR 102454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gear
beverage
hot water
extra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섭
Original Assignee
(주)메디프레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프레소 filed Critical (주)메디프레소
Priority to KR102022001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이 포함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온수를 가열하여 열수로 전환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되는 열수이동유로와, 상기 열수이동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이동유로로부터 열수를 전달받고 상기 열수를 상기 캡슐에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취출된 음료를 외부로 안내하는 노즐부와, 상기 하우징의 캡슐 투입구 커버를 개폐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기어의 집합체로 형성되어 개폐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convenience including gear assembly}
본 발명은 음료 추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 또는 에스프레소를 얻기 위한 캡슐 음료 추출장치는, 분말차나 분말커피 등이 내장된 캡슐을 추출부의 홀더에 장착한 후, 상기 홀더에 안착된 캡슐을 펀칭부로 펀칭하여 천공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순간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와 함께 캡슐에 수용된 차 또는 커피 추출물이 천공부와 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방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캡슐 음료 추출장치는, 간편하게 가정이나 회사에서 차나 에스프레소를 얻을 수 있어 갈수록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 추출장치에 있어 캡슐을 수용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급격히 젖혀지거나, 젖혀진 상태에서 고정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음료 추출장치는 캡슐 수용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해, 사용자가 한손으로는 커버를 파지한 상태에서 반대손으로 캡슐을 투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커버가 강하게 개폐되어, 개폐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나아가, 커버의 개폐시에 충격이 발생하여, 커버가 파손되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캡슐 투입 공간을 개폐하는 편의성이 향상된 커버가 구비된 캡슐 음료 추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포함하는 캡슐 투입구 커버를 개폐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 투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이 포함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구와 상기 캡슐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캡슐 투입구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온수를 가열하여 열수로 전환시키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되는 열수이동유로; 상기 열수이동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이동유로로부터 열수를 전달받고 상기 열수를 상기 캡슐에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취출된 음료를 외부로 안내하는 노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캡슐 투입구 커버를 개폐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기어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추출부와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2 기어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3 기어의 직경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부는, 캡슐을 홀딩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캡슐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기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와 맞물려 연결되도록 외면에 톱니가 형성된 홀더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캡슐 홀더의 후방에 연결되는 홀더 링커; 상기 캡슐 홀더를 수용하는 추출부 프레임; 상기 추출부 프레임과 상기 홀더 링커를 연결하는 프레임 링커; 및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와 상기 홀더 링커를 연결하는 커버 링커;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링커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기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와 맞물려 연결되도록 상기 기어 어셈블리 방향의 일면에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부는,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가 인입될 수 있는 상기 추출부 프레임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수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홈은, 상기 추출부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 링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가 소정의 각도 이상 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커버 링커에서 분리되어, 상기 수납홈을 통해 하방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어 어셈블리에 의해 보다 부드럽게 캡슐 투입구 커버를 개폐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 보관함을 개방한 상태를 편리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음료 추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트레이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하우징 내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배치 상 태로,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캡슐 보관함 및 캡슐 투입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상기 음료 추출장치에서 물통이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 및 유로를 표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 2의 B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폐쇄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도 13은 상기 도 2의 A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후방으로 개방된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14는 제2바구니 수용부에서 제2 폐캡슐 바구니가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음료 추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 어셈블리가 구비된 음료 추출장치가 닫힌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기어 어셈블리와 추출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캡슐 투입구가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는 분말이 포함된 캡슐 내부로 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로, 2가지 이상의 음료(차, 커피 등)를 동시에 추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음료 추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외부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은 하우징 하부파트(112)와 상기 하우징 하부파트(112)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된 하우징 상부파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하우징 상부파트(113)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추출된 음료를 분사하는 노즐부(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부(2)는 제1노즐부(21)과 제2노즐부(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 가지 이상의 음료를 동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노즐의 하부에 구비된 트레이 모듈(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모듈(3)은 컵이 거치되는 트레이(31)와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31)를 지지하는 잔수 받침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하부파트(112)의 전면에는 상기 트레이(31)에 거치되는 컵의 후면을 지지하는 전방패널(1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패널(114)은 상기 제1노즐부(21)의 하부에 거치된 컵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패널(1141)과 상기 제2노즐부(22)의 하부에 거치된 컵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패널(1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1141)과 상기 제2패널(1142) 모두 중심부가 양측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후방으로 만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추출장치는 음료 추출시 보일러와 펌프가 구동되면서 본체에 진동이 발생하여 트레이(31)에 거치된 컵이 외부로 이탈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패널(17)이 컵의 좌우측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 상부파트(113)의 상면에 구비된 제1 캡슐 투입구(1133)와 제2 캡슐 투입구(11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상부파트(113)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캡슐 투입구(113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상기 제2 캡슐 투입구(11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를 통칭하여 캡슐 투입구 커버(13)로 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 사이에는 캡슐 보관함 커버(11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캡슐 보관함 커버(1135)은 후술할 캡슐 보관함(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노즐부(21)과 상기 제2노즐부(22)은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제1노즐부(21)과 연결된 제1노즐 이송핸들(23)와 상기 제2노즐부(22)과 연결된 제2노즐 이송핸들(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트레이(31)에 높이가 높은 컵이 거치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노즐이송핸들을 이용해 노즐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높이가 낮은 컵이 거치될 경우 노즐 이송핸들을 이용해 노즐을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상기 트레이(31) 위에 컵이 거치된 일례로, 상기 제1노즐부(21)의 하측에는 높이가 높은 컵(LC)이 구비되어 상기 제1노즐 분사부(212)가 상승된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제2노즐부(22)의 하측에는 높이가 낮은 컵(SC)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노즐 분사부(222)가 하강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는 높이가 높은 컵이 이용되는 경우 노즐을 상승시켜 용이하게 컵을 거치시키고, 높이가 낮은 컵이 이용되는 경우 노즐을 하강시켜 추출액이 컵의 바닥에서 리바운드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트레이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31')는 그 후단이 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잔수 받침부(32') 역시 상기 트레이(31')가 후방으로 기울 어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전방패널(114)의 만곡된 구조와 함께, 음료 추출시 보일러와 펌프가 구동되면서 본체에 진동이 발생하여 트레이(31)에 거치된 컵이 외부로 이탈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는 상기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하우징 내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노즐부(2)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부(51, 52)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1추출부(51)는 캡슐을 홀딩하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는 캡슐 홀더(53, 도 12)를 수용하는 제1추출부 프레임(5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추출부(52)는 상기 제1추출부 프레임과 나란하게 구비되며, 캡슐을 홀딩하며 캡슐에 열수를 공급하는 캡슐 홀더(53, 도 12)를 수용하는 제2추출부 프레임(5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추출부 프레임(511)과 상기 제2추출부 프레임(521)의 측면은 폐쇄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 각각에서 추출하는 음료의 향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추출부(51)는 상기 제1노즐부(21)로 음료 추출액을 공급하는 제1토출부(5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추출부(52)는 상기 제2노즐부(22)로 음료 추출액을 공급하는 제2토출부(5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511)와 상기 제1노즐부(21), 그리고 상기 제2토출부(512)와 상기 제2노즐부(22)는 유연한 재질의 호스(미도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독립된 유로를 유지하여 향의 혼합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노즐부(2)가 상하 이동할 때, 그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호스가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6은 상기 음료 추출장치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의 배치 상태로, 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최적 배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이너 프레임(12)은 하부 이너 프레임(121)과, 상기 하부 이너 프레임(121)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 이너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너 프레임(121)의 내측에는 상기 유량계(75)와 보일러(71)와 펌프(72)와 제1밸브(73) 및 제2밸브(7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이너 프레임(121)의 측부에는 후술한 폐캡슐 회수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72)는 상기 보일러(7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일러(71)의 상측에는 상기 제1밸브(73) 및 제2밸브(74)가 배치되어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와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공간을 효율적을 활용할 뿐만 아니라, 유로 저항을 감소시켜 열수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캡슐 보관함 및 캡슐 투입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캡슐 보관함 커버(1135)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관련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 사이에는 상기 제1캡슐 보관함(41)과 상기 제2캡슐 보관함(4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 사이에는 상기 캡슐 보관함 커버(11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캡슐 보관함 커버(1135)를 개방하고 곧바로 측부의 캡슐 투입구(1131, 1132)에 캡슐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캡슐 투입 동선이 최소화되어 사용의 편의성의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상기 음료 추출장치에서 물통이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어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온수가 수용되는 물통(9)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9)은 상온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물통바디(91)와 상기 물통바디(91)를 차폐하는 물통커버(9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9)은 후술되는 제1폐캡슐 회수부(81)와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에는 상기 물통바디(91)가 안착되는 물통안착부(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통바디(91)는 물통안착부(115)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물통의 높이를 높일 수 있어 저수용량이 증대되며, 음료 추출장치의 후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1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통배출구(911)과 상기 보일러(71)를 연통시키는 상온수유입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온수유입홀(117)은 유량계(75)와 연통되어 물통배출구(911)에서 배출되는 상온수를 상기 유량계 및 보일러(71)로 안내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부에 열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서 상온수가 유동하는 라인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열수가 유동하는 라인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먼저, 상온수 라인과 관련된 부분으로,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상온수를 보관하는 물통(9), 상기 물통배출구(911)와 연결되는 유동조절부(116), 유량계(75), 상온수를 열수로 전환하는 보일러(71) 및, 상기 물통(9)에서 상기 보일러(71)로 상온수가 공급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수 라인과 관련된 부분으로,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보일러(71)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71)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되는 열수이동유로(76, 7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는 상기 보일러(71)와 상기 추출부(5)를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수이동유로(76, 77)는 상기 보일러(71)와 상기 제1추출부(51)를 연결하는 제1열수이동유로(76),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73), 상기 보일러(71)와 상기 제2추출부(52)를 연결하는 제2열수이동유로(77),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하나의 보일러와 하나의 펌프로 두 개의 추출부 각각에 선택적으로 열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며,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기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밸브(73)와 상기 제2밸브(74)는 상기 제1열수이동유로(76)와 상기 제2열수이동유로(77)를 개폐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들은 상기 이너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하우징(11)이 제거된 음료 추출장치를 도시한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노즐부(2)에 관한 세부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분말이 포함된 캡슐에 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1추출부(51)의 측방에 구비되며 분말이 포함된 캡슐에 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제2추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노즐부(21)은 제1노즐 하우징(211), 상기 제1노즐 하우징(211)의 하측에 연결된 제1노즐 분사부(212), 상기 제1추출부(51)와 연통하며 음료 추출액을 상기 제1노즐 분사부(212)로 안내하는 제1노즐 유입부(213) 및, 상기 제1노즐 이송핸들(23)과 상기 제1노즐 하우징(211)을 연결하는 제1핸들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노즐부(22)은 제2노즐 하우징(221), 상기 제2노즐 하우징(221)의 하측에 연결된 제2노즐 분사부(222), 상기 제2추출부(52)와 연통하며 음료 추출액을 상기 제2노즐 분사부(222)로 안내하는 제2노즐 유입부(223) 및, 상기 제2노즐 이송핸들(24)과 상기 제2노즐 하우징(221)을 연결하는 제2핸들 연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12)의 상측에는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추출부(51)와 상기 제2추출부(52) 사이에는 사용 전 음료 캡슐을 보관하는 바구니인 캡슐 보관함(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슐 보관함(4)은 상기 제1추출부(51)에 투입될 캡슐을 보관하는 제1캡슐 보관함(41)과, 기 제2추출부(52)에 투입될 캡슐을 보관하는 제2캡슐 보관함(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캡슐 보관함(41)과 상기 제2캡슐 보관함(42)은 각기 다른 음료 캡슐(차와 커피 등)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서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프레임(12)의 측부에는 상기 음료 추출장치를 제어하는 PCB(P)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PCB는 상기 펌프(72), 밸브(73, 74), 노즐부(2), 추출부(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음료 추출장치를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부(C)와 통신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C)에 상기 펌프(72), 밸브(73, 74), 노즐부(2), 추출부(5)의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사용자의 UI/UX 클라이언트(미도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받아, 펌프(72), 밸브(73, 74), 노즐부(2), 추출부(5)를 제어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C)에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에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UI/UX 클라이언트는 상기 통신모듈과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UX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통신모듈과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UI/UX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에 명령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상기 도 2의 B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폐쇄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또한, 도 13은 상기 도 2의 A 라인을 따라 커팅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음료 추출장치의 제2폐캡슐 회수부가 후방으로 개방된 것을 표현한 것이다.
이하, 도 2의 A단면을 도식화한 도 13 및 도 2의 B단면을 도식화한 도 12을 참조하여, 추출부(51, 52)의 작동방식 및 캡슐의 이동 경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추출부(51)는 캡슐 홀더(53), 캡슐 홀더(53)의 후방에 연결된 홀더 링커(54), 상기 제1추출부 프레임(511)과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프레임 링커(55) 및, 상기 제1캡슐 투입구 커버(1131)와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커버 링커(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캡슐 투입구(16)를 투입된 캡슐은, 상기 제1캡슐 투입구커버(12)가 닫힘에 따라 상기 캡슐 홀더(53)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 추출장치는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추출부(51, 52)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부(51, 52)에서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을 보관하는 폐캡슐 회수부(81, 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폐캡슐 회수부(81, 82)는 상기 제1추출부(51) 하측에 구비된 제1폐캡슐 회수부(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는 상면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1바구니 수용부(811)와 상기 제1바구니 수용부(811)의 상면을 통해 상기 제1바구니 수용부(81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제1폐캡슐 바구니(8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이너 프레임(122) 중 상기 제1추출부(51)의 캡슐 홀더(53)의 하측 부분은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이 상기 캡슐 홀더(53)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로 낙하되도록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를 향해 개방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이 완료된 폐캡슐은 자연스럽게 상기 제1폐캡슐 회수부(81)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제1폐캡슐 바구니(812)는 폐캡슐을 보관하는 제1바구니 바디(8121), 상기 제1바구니 바디(8121)의 상측에 연결된 제1바구니 핸들(8122) 및, 상기 제1바구니 바디(8121)의 하면에 구비되어 폐캡슐의 잔수를 배출하는 제1바구니 홀(812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구니 수용부(811)의 하측에는 상기 제1바구니 홀(8121a)을 통해 유출된 잔수가 모이는 제1잔수 체류 공간(811a)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제2바구니 수용부에서 제2 폐캡슐 바구니가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제2추출부(52)에 투입되는 캡슐의 처리루트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추출부(52)는 캡슐 홀더(53), 캡슐 홀더(53)의 후방에 연결된 홀더 링커(54), 상기 제2추출부 프레임(521)과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프레임 링커(55) 및 상기 제2캡슐 투입구 커버(12)와 상기 홀더 링커(54)를 연결하는 커버 링커(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캡슐 투입구(16)를 투입된 캡슐은, 상기 제2캡슐 투입구 커버(1132)가 닫힘에 따라 상기 캡슐 홀더(53)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캡슐 회수부(81, 82)는 상기 제2추출부(52) 하측에 구비된 제2폐캡슐 회수부(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는 상면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2바구니 수용부(821)와 상기 제2바구니 수용부(821)의 상면을 통해 상기 제2바구니 수용부(82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제2폐캡슐 바구니(8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이너 프레임(122) 중 상기 제2추출부(52)의 캡슐 홀더(53)의 하측 부분은 추출이 완료된 폐캡슐이 상기 캡슐 홀더(53)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로 낙하되도록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를 향해 개방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이 완료된 폐캡슐은 자연스럽게 상기 제2폐캡슐 회수부(82)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제2폐캡슐 바구니(822) 역시 폐캡슐을 보관하는 제2바구니 바디(8221), 상기 제2바구니 바디(8221)의 상측에 연결된 제2바구니 핸들(8222) 및, 상기 제2바구니 바디(8221)의 하면에 구비되어 폐캡슐의 잔수를 배출하는 제2바구니 홀(822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구니 수용부(821)의 하측에도 상기 제2바구니 홀(8221a)을 통해 유출된 잔수가 모이는 잔수 체류 공간(821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가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에서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구성들에 의해 사용자는 핸들(8122, 8222)을 파지하고 바구니 바디(8121, 8221)를 상측으로 리프팅시켜 폐캡슐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이 개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의 연결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는 전방커버(85), 상기 전방커버(85)의 하단에 연결된 잔수 체류 공간(821a)을 형성하는 베이스(84), 상기 베이스(84)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커버(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커버(85)에는 탄성부 체결부(85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 내측에는 수용부 연결부(614)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 체결부(851)와 상기 수용부 연결부(614)는 토션스프링으로 구비된 탄성부(8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6)는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에 상기 하우징(11)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폐캡슐 바구니(812, 822)가 인출되면 자동으로 상기 바구니 수용부(811, 821)는 폐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연결부(614)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벽, 상기 이너 프레임(12) 또는 PCB(P)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어셈블리(6)가 적용된 음료 추출장치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7은 도 16의 음료 추출장치에서 폐캡슐 회수부(8)가 후방으로 개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는 캡슐 투입구 커버(13)를 개폐하는 기어 어셈블리(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6)는, 복수개의 기어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어 어셈블리(6)는 세개의 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어의 크기, 기어들 간의 기어비, 구성들 사이의 너비 등을 고려하여 기어의 개수가 선택될 수 있다.
기어 어셈블리(6)는, 추출부(5)와 캡슐 투입구 커버(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 어셈블리(6)는 캡슐 홀더(53)와 프레임 링커(55) 사이에 구비되며, 프레임 링커(55)는 캡슐 투입구 커버(13)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추출부(5) 및 캡슐 투입구 커버(1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캡슐 투입구 커버(13)의 전방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들어올려 개방할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기어 어셈블리(6)가 추출부(5), 보다 구체적으로 캡슐 홀더(53)로 전달하여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8은 기어 어셈블리(6)의 설치된 상태에서 추출부(5)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어 어셈블리(6)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기어(610), 제2 기어(620) 및 제3 기어(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610), 제2 기어(620) 및 제3 기어(630)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어(610)의 직경은 상기 제2 기어(620)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620)의 직경은, 제3 기어(630)의 직경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610)와 제2 기어(620) 및 제3 기어(630) 사이의 직경 차이에 따라 기어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기어(610) 대비 제3 기어(630)의 회전수를 높이고 힘은 낮추어 보다 부드럽게 캡슐 투입구 커버(13)를 개폐할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기어(630)의 직경을 d라고 정의할 때, 제2 기어(620)의 직경은 2d, 제1 기어(610)의 직경은 4d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어 어셈블리(6)의 기어비는 4:1(제1 기어(610):제3 기어(630))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기어(630)의 직경을 d라고 정의할 때, 제2 기어(620)의 직경은 2d, 제1 기어(610)의 직경은 3d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어 어셈블리(6)의 기어비는 3:1(제1 기어(610):제3 기어(630))로 정의될 수 있다.
기어비 및 기어비를 변경하기 위한 기어(610, 620, 630)들의 직경은, 캡슐 투입구 커버(13)의 길이와 캡슐 홀더(53)의 전후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하여 변경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기어 어셈블리(6)는 복수개의 기어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하는 기어 고정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어 고정부(640)는 복수개의 기어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일종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어 고정부(640)는 복수개의 기어들의 중심 축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샤프트들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어 어셈블리(6)는 캡슐 홀더(53)와 프레임 링커(55) 사이에 구비되며, 프레임 링커(55)는 캡슐 투입구 커버(13)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추출부(5) 및 캡슐 투입구 커버(1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캡슐 홀더(53)와 프레임 링커(55)는 기어 어셈블리(6)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캡슐 홀더(53)는 제3 기어(6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프레임 링커(55)는 제1 기어(610)와 연결될 수 있다.
캡슐 홀더(53)는, 기어 어셈블리(6)의 기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와 맞물려 연결되도록 외면에 톱니가 형성된 홀더 이동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홀더 이동부(531)는 상면에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기어(630)가 회전하면, 홀더 이동부(531)가 맞물려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 링커(55)는, 기어 어셈블리(6)의 기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와 맞물려 연결되도록 기어 어셈블리(6) 방향의 일면에 톱니(55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슐 투입구 커버(13)가 후방으로 회전하면, 프레임 링커(55)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링커(55)와 회전적으로 맞물려 연결된 제1 기어(6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610)가 회전하면, 제2 기어(620), 제3 기어(630)가 함께 회전하며, 홀더 이동부(531)를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캡슐 홀더(53)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캡슐 투입구 커버(13)의 배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먼저, 캡슐 투입구 커버(13)는, 사용자에 의해 전방에서 파지된 뒤, 커버 링커(56)를 축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링커(56)는, 캡슐 투입구 커버(13)가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하면 결합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설계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일 예로 90°로 설계될 수 있다.
캡슐 투입구 커버(13)는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커버 링커(56)와 분리되어 90° 이상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13-1)로 배치될 수 있다.
추출부(5)는 캡슐 투입구 커버(13)가 인입될 수 있는 추출부 프레임(521)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수납홈(522)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홈(522)은 캡슐 투입구 커버(13)의 두께와 너비를 고려하여 개방된 공간의 형태가 설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링커(56)에서 분리된 캡슐 투입구 커버(13-2)가 수납홈(522)을 통해 인입된 상태(13-2)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캡슐 투입구에 캡슐을 투입하기 위해 캡슐 투입구 커버(13)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수납홈(522)으로 인입해 보관한 뒤, 개방된 캡슐 투입구에 캡슐을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장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하우징 2: 노즐부 3: 트레이모듈
4: 캡슐보관함 5: 추출부 6: 기어 어셈블리
610: 제1 기어 620: 제2 기어 630: 제3 기어
71: 보일러 72: 펌프 73: 제1밸브
8: 폐캡슐회수부 9: 물통

Claims (9)

  1. 분말이 포함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캡슐이 투입되는 캡슐 투입구와 상기 캡슐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캡슐 투입구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온수를 가열하여 열수로 전환시키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전환된 열수가 이동되는 열수이동유로;
    상기 열수이동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열수이동유로로부터 열수를 전달받고 상기 열수를 상기 캡슐에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부에서 취출된 음료를 외부로 안내하는 노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캡슐 투입구 커버를 개폐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캡슐을 홀딩할 수 있는 캡슐 홀더를 수용하는 추출부 프레임;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추출부 프레임의 일부가 개방되며, 상기 추출부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납홈; 및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 링커;
    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기어의 집합체로 형성되며,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는,
    소정의 각도 이상 후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커버 링커에서 분리되어, 상기 수납홈을 통해 하방 이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홈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추출부와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2 기어의 직경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의 직경은, 상기 제3 기어의 직경과 같거나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캡슐을 홀딩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캡슐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기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와 맞물려 연결되도록 외면에 톱니가 형성된 홀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캡슐을 홀딩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캡슐 홀더;
    캡슐 홀더의 후방에 연결되는 홀더 링커;
    상기 캡슐 홀더를 수용하는 추출부 프레임;
    상기 추출부 프레임과 상기 홀더 링커를 연결하는 프레임 링커; 및
    상기 캡슐 투입구 커버와 상기 홀더 링커를 연결하는 커버 링커;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링커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기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와 맞물려 연결되도록 상기 기어 어셈블리 방향의 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13215A 2022-01-28 2022-01-28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KR102454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215A KR102454126B1 (ko) 2022-01-28 2022-01-28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215A KR102454126B1 (ko) 2022-01-28 2022-01-28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126B1 true KR102454126B1 (ko) 2022-10-14

Family

ID=8360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215A KR102454126B1 (ko) 2022-01-28 2022-01-28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474B1 (ko) * 2011-04-07 2011-10-17 이영식 캡슐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
KR20210046988A (ko) * 2019-10-21 2021-04-29 (주)메디프레소 음료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474B1 (ko) * 2011-04-07 2011-10-17 이영식 캡슐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
KR20210046988A (ko) * 2019-10-21 2021-04-29 (주)메디프레소 음료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EP3078308B1 (en) Coffee extraction device
CN103391736A (zh) 泡制组件和包括所述组件的饮料制备机
CN106998932B (zh) 奶泡机、饮料制备系统和饮料制备机
CN101378685A (zh) 用于冲泡咖啡或茶的用具
GB2403401A (en) Multi-function coffee maker
CN104720572A (zh) 烹饪器具
CN108698754A (zh) 用于制造饮料的多腔式胶囊系统
KR102454126B1 (ko)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개폐 편의성이 향상된 음료 추출장치
CN106998949A (zh) 奶泡机、饮料制备系统和饮料制备机
CN101416856A (zh) 洗碟机
KR102218826B1 (ko) 듀얼 음료 추출장치
ITBS20110151A1 (it) Macchina per la produzione e l'erogazione di una bevanda
JP2021164696A (ja) 洗濯機
CN210975289U (zh) 二位阀组及自动补水熨烫装置
CN105816041A (zh) 胶囊咖啡机
CN110747617A (zh) 补水方法、二位阀组及自动补水熨烫装置
KR20220055249A (ko) 듀얼노즐을 이용한 커피캡슐 및 티캡슐 전용 음료추출머신
KR20210046988A (ko) 음료 추출장치.
KR102220630B1 (ko) 음료 추출장치
KR102369685B1 (ko) 캡슐 보관함이 구비된 캡슐 음료 추출장치
CN110269517A (zh) 咖啡机
CN110811331A (zh) 奶茶机
KR20230064349A (ko) 기어 어셈블리로 개폐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듀얼 음료 추출장치
CN208058054U (zh) 浴缸龙头的按压式阀芯及浴缸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