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874B1 -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 Google Patents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874B1
KR102453874B1 KR1020220040121A KR20220040121A KR102453874B1 KR 102453874 B1 KR102453874 B1 KR 102453874B1 KR 1020220040121 A KR1020220040121 A KR 1020220040121A KR 20220040121 A KR20220040121 A KR 20220040121A KR 102453874 B1 KR102453874 B1 KR 10245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rban
land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종주
Original Assignee
서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주 filed Critical 서종주
Priority to KR102022004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74B1/en
Priority to KR1020220127555A priority patent/KR1025051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5Land develo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ty planning description writing system capable of writing a city planning description by matching the land-related law information for an area for which a city development or a city regeneration plan is to be established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he city planning description writing system comprises a description generation part that writes a city planning description that document the information related to a city development plan or a city regeneration plan.

Description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본 발명은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문서화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는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cre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creation system capable of creating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document document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근래에는 급속한 도시성장과 함께, 지속 가능한 도시를 개발하는 것이 새로운 도시 성장 관리의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였다. 이에, 지자체, 공사, 민간 건설사 및 시행사는 매년 지속 가능한 도시를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고 있으며, 중견 이하의 건설사 역시, 이러한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소규모 도시개발 등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long with rapid urban growth,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has emerged as a new paradigm for urban growth management. Accordingly, local governments, public corporations,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and developers are reviewing ways to develop sustainable cities every year, and construction companies of less than mid-sized companies are also looking for ways to develop small cities in line with this paradigm.

한편 이러한, 지속 가능한 도시의 개발 방안 및 소규모 도시 등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은 토지 이용 계획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토지 이용 계획은 교통 계획, 시설 계획, 공원 녹지 계획과 더불어 도시 계획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s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plans and plans for developing small towns include land use plannin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land use plan that forms the basis of urban planning along with transportation planning, facility planning, and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considered as a part.

이때, 토지 이용 계획이란, 일반적으로 계획 구역 내의 토지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계획으로, 도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활동들의 양적 수요를 예측하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계획 작업을 말한다.In this case, the land use plan is a plan that determines how the land in the planning area will be used in general.

한편, 이러한 토지 이용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계획 구역에 대한 지형 정보와 함께 지하 시설물 등에 대한 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각각의 토지 이용 계획 내에 포함되는 계획 구역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수집해야 했으므로 그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establishing such a land use plan, it requires topographical information about the planned area and related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etc.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collect such related information, Since the information had to be collected one by one, there was a problem that too much time and effort was consumed in the process.

아울러, 연간 계획되는 다수의 토지 이용 계획이 모두 실시되는 것은 아니므로, 계획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모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not all of the many land use plans planned annually are implemen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e inefficient to spend a lot of effort and tim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planned area.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긴 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계획 구역에 대한 지형 정보 및 지하 시설물 등에 대한 관련 정보를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수집할 뿐, 이러한 시스템 역시, 계획 구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 및 예상 비용 정보 등을 일일이 검토하고 산출해야 하므로, 여전히 그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a system utiliz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ut it is simply a method to easily collect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a planned area and related information about underground facilities compared to the prior art. However, such a system also has a problem in that too much time and effort is consumed in the process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calculat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and expected cost information for the planned area one by one.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218404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84048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지리정보 데이터와 대응시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는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writing system capable of creating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by matching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for an area in which an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plan is to be establish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data.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은,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문서화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하는 설명서 생성부를 포함한다.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cription generating unit for creating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docum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상기 설명서 생성부는,The manual generating unit,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부;a database unit for constructing a database related to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목적, 대상 지역, 시공사, 개발 기간, 신축 건축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a dat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ext information for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purpose, target area, construction company, development period, new building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map information for an area where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is made; and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계획 설명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를 포함한다.and a documen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은,The city planning manual preparation system,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에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이 이루어질 지역에 대한 3차원 건물모델을 생성하는 구현부; 및an implementation unit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for an area in which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is to be made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city planning description and the BIM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상기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safety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상기 안전성 평가부는,The safety evaluation unit,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설정하고,Set the maximum load for each floor of the 3D building model by referring to the pre-stored lookup table,

생성된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설정된 최대 하중을 가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변형도를 측정하고,Measur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3D building model by applying the maximum load set for each floor of the generated 3D building model,

측정된 3차원 건물 모델의 변형도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되,Evaluate the safety of the 3D building model based on the measured deformation degree of the 3D building model,

시뮬레이션 이후의 3차원 객체 및 시뮬레이션 이전의 3차원 객체의 외곽선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두 외곽선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여,By extracting the outlines of the 3D object after simulation and the 3D object before the simulation, respectively, and comparing the two extracted outlines to calculate the degree of similarity,

산출된 유사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of the 3D building model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alculated similarity with a preset standard similarity.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지리정보 데이터와 대응시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by matching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for an area in which an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plan is to be establish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reating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reating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100)은 수집부(110),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로서 제공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인터렉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urban planning manual cre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on unit 110 , a limited data generation unit 120 , and a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130 .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viding unit 140 , a database 150 , and an interaction unit 160 as components.

수집부(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collection unit 110 receives data about an area in which an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plan is to be establish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이때, 수집부(110)는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신하고,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collection unit 110 may receive data and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for an area in which an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plan is to be established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llect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및 지리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업로드 되고,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공급자 단말(20)을 통해 직접 업로드 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불러오기를 통해 수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land use planning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re uploaded directly from a user, and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may be directly uploaded through the provider terminal 20, may be

아울러,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10) 및 공급자 단말(20)은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및 데스크탑 등 유선 및 무선 통신의 사용이 가능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provider terminal 2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devices capable of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smart phones, tablets, laptops and deskto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계획 설명서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 설명하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사용자(예컨대, 발주자)가 개발하려는 토지 위치 정보(주소 검색 영역), 토지(도시) 정보 표시 영역, 건축물 정보 표시영역, 국토 계획정보 표시 영역, 토지개발 가능여부 표시 영역 및 지도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land use planning data will be described. The land use plan data includes land location information (address search area), land (city) information display area, and building information that a user (eg, orderer) intends to develop. It may include an area, a land planning information display area, a land development possibility display area, and a map display area.

주소 검색 영역은 사용자가 개발 또는 재생하려는 도시의 주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주소 검색 영역에 주소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검색된 도시에 대한 현황, 개발 현황, 지도 등과 같은 세부적인 정보가 하단 영역에 표시된다.In the address search area, the user may input address information of a city to be developed or reproduced. When the user inputs address information into the address search area using the user terminal 10 ,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searched city status, development status, and map is displayed in the lower area.

도시 정보 표시 영역은 도시의 전체 면적, 공시지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건축물 정보 표시 영역은 현재 개발 또는 재생 대상 도시에 건출된 건축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In the city information display area, information on the total area of the city, the official land price, etc. are displayed, and in the building information display area, information on the type and number of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city currently being developed or regenerated is displayed.

또한, 개발 대상 위치 정보가 주소 검색 영역에 입력되는 경우, 도시 정보 표시 영역을 통해 해당 토지에 대한 토지 대장 정보도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공되는 토지 대장 정보는 후술되는 비용 산출 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velopment target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in the address search area, land ledger information for the land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the city information display area, and the land ledger information provided here is used as a basis for calculating costs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는, 서울 모처(토지 위치 정보)에 생태 공원을 개발하고자 하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와, 토지 데이터에 대한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nd use plan data may include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 ecological park in some part of Seoul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range information about the land data.

또한, 도시 개발 계획서는 위치 정보, 토지 개발 방식 정보 및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시 개발 계획서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 및 토지 위치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수집부(110)는 해당 토지 개발 방식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토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토지 개발 방식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토지 위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rban development plan is not limited to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rang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rban development plan may include only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l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collection unit 110 may collect one or mor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cluding land lo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can be applied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 whereby the user Land location information to which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can be applied can be easily checked.

지도 표시 영역은 주소 검색 영역에 입력된 주소에 대한 도시에 대한 2차원 지도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이 영역에서 사용자는 범위 설정 기능을 통해 범위 정보를 더 추가하여 상기 범위의 구역을 세분화 하고, 세분화된 구역 각각에 대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The map display area is an area where two-dimensional map data for the city for the address entered in the address search area is displayed. In this area, the user subdivides the area of the range by adding more range information through the range setting function, You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each subdivided area.

한편 지도 표시 영역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기반으로 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가 반영되는 데이터이고, 지리 정보 데이터에는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각종 지리정보가 수치화되어 포함되며,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지리 정보를 분석 및 종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 정보 데이터는 특정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지형정보, 지하시설물 등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의 서버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수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p display area is data that reflect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t may mean data that can be provided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For exampl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land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ic information for specific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underground facilities, and may be collected from one server or storage medium that stores geographic information dat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suc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configuration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술한 직접 입력 또는 시스템 분석을 통해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어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각 세부 항목에 마우스 오버와 같은 미리 보기 동작을 실행하면, 선택된 각 세부 항목 별로 해당되는 범위에 대한 시각 정보가 지도 표시 영역을 통해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설정된 세부 항목에 따라 서로 중복되는 구역에 대한 정보 또한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detailed item is selected and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direct input or system analysis, or when the user executes a preview operation such as a mouse over on each detailed item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he range corresponding to each selected detailed item Visual information on . may be expressed through the map display area, and through this, information on overlapping areas according to detailed items set can also be know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100)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따라,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cre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land location information and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ning data,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Some of the information data may be extracted and collected.

예를 들어,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생태 공원을 개발하고자 하는 1 내지 2등급지에 대한 세부 항목이 선택된 토지 개발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집부(110)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의 지리 정보 데이터 중 생태 공원의 개발이 가능한 1등급지 및 2등급지에 해당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지리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는 수집부(1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수집부(110)가 지리 정보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For example, when the land use planning data includes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in which detailed items for grades 1 and 2 for developing an ecological park are selected, the collection unit 110 may us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geographic information data by extracting only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sites where ecological park development is possible from among the bas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ollection unit 110 , and the collection unit 110 is not limited to extracting and collecting a part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국토계획정뵤 표시 영역 및 토지개발 가능여부 표시 영역은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 정보 및 토지 개발 방식 정보에 적용 가능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키워드에 근거하여 추출될 수 있다.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may serve to generate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Here, the land planning information display area and the land development possibility display area may mean l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and use plan data and land-related law information applicable to land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such land-related law information is It may be extracted based on keywords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including related legal information.

예를 들어,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특정 토지 위치에 대한 개발 면적 제한, 토지의 공적 규제 사항, 용도변경 가능 여부, 개발 불능지 해당 여부 및 주택법, 도시개발법, 국토계획법, 관광진흥법 등의 관련 법령 적용 여부와 같은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포함되는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면적' 및 '제한'과 같은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위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triction data generation unit 120 may limit the development area for a specific land location, public regulations of the land, whether the use can be changed, whether the development is impossible, and whether the housing law, the Urban Development Act,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the Tourism Promotion Act, etc. Keywords such as 'area' and 'restriction' are extracted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that contains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or not relevant laws are applied, and based on this, land use restriction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land can create

또한, 상기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외부 기관에서 제공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와 관련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ricted data generating unit 120 receives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institution from the database 150 to be described later, extracts a keyword related to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 Thus,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may be generated.

여기에서, 외부 기관이라 함은, 상기 키워드 추출의 대상이 되는 상기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external institution may mean a public institution that provides th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that is the target of the keyword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이렇게 생성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는 지리 정보 시스템 기반의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되어, 지도 표시 영역상에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를 구별할 수 있으며, 지도 데이터 상에 반영된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구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generated in this way is reflect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 developable location and an undevelopable location on the map display area. Impossible position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them.

또한, 토지 관련 법규 정보가 웹 페이지 또는 텍스트 파일로부터 추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토지 관련 법규 정보는 공급자 단말(20)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being extracted from a web page or text file, for example,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may be directly input from the provider terminal 20 .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자는 공급자 단말(20)을 통해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적용 가능한 층수 제한 정보, 개발면적 제한 정보 등과 같은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공급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근거하여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lier may input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such as limit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loors applicable to the corresponding land location information, development area limit information, etc. one by one through the supplier terminal 20, and in this case, the limit data generating unit 120 ) may generate land use restriction data based o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supplier terminal 20 .

다만 이때,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의해서만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로 판단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하는 경우, 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형정보, 지하시설물 등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대한 관련 정보를 추가 반영하여 개발 가능한 위치와 개발 불가능한 위치로 판단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land use plan data reflect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s not determined as a location that can be developed or a location that cannot be developed only by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For example, whe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reflects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t adds relat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land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ic information and underground facilities includ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urban planning description data judged to be a location that can be developed and a location that cannot be developed by reflecting it.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지리 정보 데이터에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반영시킨 후,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reflects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110 , and then uses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o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to the land use plan data. It can play a role in generating urban planning description data for

또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지리 정보 데이터 내의 토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토지 구분 정보, 이용 가능 행위 정보, 이용 가능 토지로 구분되는 토지에 대한 등급 정보 및 적용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비용 정보를 상기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에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generates the urban planning explanatory data,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lan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to which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is reflected, l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vailable action information , can be generated by including grade information, applica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cost information on land classified as available land in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data.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지리 정보 데이터에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반영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토지 데이터의 좌표계를 기준 원점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각 지자체 또는 사용자가 토지 데이터를 용이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converts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land data collected in the step of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reference origin, so that each local government Alternatively, users can easily utilize land data.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반영된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 정보는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상기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었던 기존의 지리 정보 데이터 및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reflecting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and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data information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are stored in a database 150 to be described later, where the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the land use restriction data When is changed, urban planning description data for the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land use plann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0 may be changed based on the changed land use restriction data.

구체적으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지리 정보 데이터에 반영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표현되는 토지 위치 정보를 개발 가능한 위치와 불가능한 위치로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분된 토지 위치 정보의 개발 가능한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정보, 가능 개발 방식 정보 및 예상비용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reflects land use restriction data including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n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divides land location information expressed on the map data into developable locations and impossible locations. It can play a role, a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grade information, possible development method information, and estimated cos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land use plan data based on the development possible location of the divided land location information.

여기에서, 예상 비용은 표준품셈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용역비, 공사비 및 용지 보상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준품셈은 건설 공사 표준품셈으로서, 건설 공사 중 대표적이며 일반화된 공종 및 공법을 기준으로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 및 공사량 등을 수치로 나타내는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estimated cost may include a service cost, a construction cost, and a land compensation cost calculated based on standard product counting. The standard product calculation is a standard product calculation for construction work, and may refer to a standard representing numerically the materials and construction amount required for construction based on a typical and generalized type and method of construction work.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실현 가능 정도를 토대로 등급을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를 DB화하고 해당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가 100% 실현 가능한 경우 A등급, 9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B등급, 8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C등급, 70% 이상 실현 가능한 경우 D등급, 그 이하인 경우 F등급으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may be set to calculate a grade based on the feasibility of the land use plan data. For example, if the land use plan data is 100% feasible, 90% or more will be realized, by creating a DB of similar cases, precedents, and replying cases and analyzing keywords for areas similar to the location requirements through machine learning. If possible, it can be calculated as B-grade, when 80% or more feasible, C-grade, 70% or more feasible, D-grade, and below that, F-grade.

구체적인 예로써, 총괄 평가에서 70%의 실현 가능성이 도출되는 경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서 D등급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a feasibility of 70% is derived from the summative evaluation, a grade of D grade can be calculated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또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예상 비용을 산출함에 있어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토지의 규제와 관련된 토지 관련 법규 정보 간에 상관 관계를 구축한 후, 우선시해야 하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먼저 적용하고 후 순위의 토지 관련 법규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등급 및 예상 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했을 때, 해당 토지의 구역이 특별법에 의한 개발 제한 구역일 경우, 다른 규제 사항보다 우선 적용할 수 있고, 동등한 위계의 규제 또는 규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단 알고리즘에 의해 미리 분석된 조항 간 상관 관계에 따라 규제 또는 규정이 차등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직접 그리기 기능을 통해 범위 설정한 구역에 대해서 다른 개발 가능한 사업 방식을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토지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토지 위치를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시킬 지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 use plan data processing unit 130, in calculating the grade and expected cost for the land use plan data, establishes a correlation betwee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the land through a determination algorithm, and then prioritizes an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grade and estimated cost of the land use plan data by first applying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and then applying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of a later order.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on land in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is analyzed, if the area of the land is a development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a special law, it can be applied prior to other regulations, When there is an equivalent hierarchy of regulations or regulations, the regulations or regulations may be differential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visions analyzed in advance by the determination algorithm.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determination algorithm, other developable business methods are derived for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or the area set by the user directly through the drawing function, an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recommendation information on how to develop the land location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land location information.

제공부(14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 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도시계획 설명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10)의 설정에 근거하여,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뿐만 아니라, 등급 및 비용을 산출하게 된 산출 과정까지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해당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해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roviding unit 140 may serve to provide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data generated by the land use planning data processing unit 130 to the user terminal 10 . On the other hand, the providing unit 140, based on the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10, not only the grade and cost for the land use plan data, but also the calculation process for calculating the grade and cost to the user terminal 10. Therefore, the user can more objectively determine the land use plan data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제공부(140)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을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공부(140)를 통해 직접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대한 등급 및 비용과, 이의 산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The providing unit 140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creen that outputs the rating and cost for the land use planning data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user can directly access the land use planning data through the providing unit 140 . You can check the grade and cost, and the calculation process thereof.

데이터베이스(150)는 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판례 및 사례 데이터는 토지 관련 법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등급 산출 예를 참조하면, 제한 데이터 생성부(1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판례 및 사례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한 키워드를 머신 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추출함으로써, 토지 이용 제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에 기초한 머신 러닝 분석은 수신되는 토지 이용 계획 데이터에 해당하는 입지요건과 유사한 지역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수많은 표본(유사사례, 판례 및 질의회신 사례)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해서 정확도 높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store data on similar cases, precedents, and query reply cases, and the precedents and case data may be included in land-related legal information.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grade calculation example, the restricted data generation unit 120 utilizes the precedent and case-relate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50 to determine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d use plan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By analyzing and extracting keywords for areas similar to the requirements through machine learning, land use restriction data can be generated. Machine learning analysis based on these keywords analyzes a number of samples (similar cases, precedents, and response cases) stored in the database 150 for areas similar to the location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and use planning data, It can provide high-accuracy results for land-use plannin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200)이 도시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ty planning description cre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부(210), 데이터 가공부(220), 문서 생성부(230), 구현부(240) 및 안전성 평가부(250)를 포함한다.Urban planning manual cre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unit 210 , a data processing unit 220 , a document generation unit 230 , an implementation unit 240 , and a safety evaluation unit 250 . include

데이터베이스부는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The database unit builds a database related to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데이터 가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목적, 대상 지역, 시공사, 개발 기간, 신축 건축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he data processing unit generates text information on the purpose of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target area, construction company, development period, new building, and map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is performed.

문서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계획 설명서를 생성한다.The document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구현부는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에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이 이루어질 지역에 시공될 예정인 건축물에 대한 3차원 건물모델을 생성한다.The implementation unit creates a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for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in an area where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is to be made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city planning description and the BIM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안전성 평가부는 상기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200)에 의해 생성된 도시 계획 설명서가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generated by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prepar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gitimate by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구체적으로, 안전성 평가부는 3차원 건물모델의 부위별로 하중을 가하여 3차원 가상객체의 변형 정도를 시뮬레이션한다.Specifically, the safety evaluation unit simulates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3D virtual object by applying a load to each part of the 3D building model.

구체적으로, 안전성 평가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사용용도별 최대 하중에 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안전성 평가부는 이러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건물의 층별로 최대 얼마만큼의 하중이 가해지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safety evaluation unit sets the maximum load for each floor of the 3D building model based on the database built in the database unit. To this end, a look-up table for the maximum load for each use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obtain information on how much load is applied to each floor of each building by referring to this lookup table.

안전성 평가부는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생성된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가한다. 안전성 평가부는 설정된 최대 하중을 1m단위로 3차원 가상객체에 부여하여, 3차원 가상객체의 변형을 시뮬레이션한다.The safety evaluation unit applies the maximum load to each floor of the generated 3D building model with reference to the lookup table stored in advance. The safety evaluation unit simulates the deformation of the 3D virtual object by applying the set maximum load to the 3D virtual object in units of 1m.

일 실시예에서,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후의 3차원 객체를 시뮬레이션 이전의 3차원 객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후의 3차원 객체 및 시뮬레이션 이전의 3차원 객체의 외곽선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두 외곽선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afety evaluation unit calculates th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3D object after the simulation with the 3D object before the simulation. The safety evaluation unit extracts the outlines of the 3D object after the simulation and the 3D object before the simulation, respectively, and calculates th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two extracted outlines.

안전성 평가부는 산출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예컨대 90%) 이상인 경우 해당 건축물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산출된 유사다고 미리 설정된 기준 유사도 미만인 경우 해당 건축물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The safety evalu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building is safe when the calculated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tandard similarity (eg, 90%), and determines that the building is unsafe if the calculated similarity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ard similarity.

일 실시예에서, 안전성 평가부는 3차원 건물모델에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특징점은 비상구, 소화전, 기둥 등과 같이 건물의 안전과 직결되는 주요 장소마다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안전성 평가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구조를 파악하여 복수의 특징점을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set a plurality of feature points in the 3D building model. In this case, the feature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for each major place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building, such as an emergency exit, a fire hydrant, a pillar,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generate a plurality of feature points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the 3D building model based on the BIM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안전성 평가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특징점을 연결하는 특징선분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성분의 각도와 크기를 나타나는 벡터정보를 특징선분별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전성 평가부는 3차원 건물모델의 1층에 설정된 제1 특징점과 3차원 건물모델의 2층에 설정된 제2 특징점을 연결하는 제1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으며, 3차원 건물모델의 2층에 설정된 제2 특징점과 3차원 건물모델의 3층에 설정된 제3 특징점을 연결하는 제2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generate a feature line segment connecting a plurality of neighboring feature points, and generate vector information indicating an angle and a size of the generated feature element for each feature line segment. For example, 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generate a first characteristic line segment connecting the first feature point set on the first floor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set on the second floor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and the second floor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A second feature line segment connecting the second feature point set in , and the third feature point set on the third floor of the 3D building model may be generated.

이때, 동일 층에 두 개의 특징점이 생성되는 경우 해당 특징점들을 우선적으로 연결한 후 다음 층에 설정된 특징점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건물모델에 1층에 제1 특징점과 제2 특징점이 설정되고, 2층에 제3 특징점이 설정되는 경우, 안전성 평가부는 제1 특징점과 제2 특징점을 연결하는 제1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특징점과 제3 특징점 간의 거리정보와 제2 특징점과 제3 특징점 간의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제1 특징점이 제3 특징점과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특징점과 제3 특징점을 연결한 제2 특징선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특징점으로부터 복수의 특징선분이 생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wo feature points are generated on the same layer, the feature points may be preferentially connected and then the feature points set in the next layer may be connected. For example, when a first feature point and a second feature point are set on the first floor and a third feature point is set on the second floor in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the safety evaluation unit first features connecting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You can create a line segment. There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eature point is closer to the third feature point by comparing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third feature point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feature point and the third feature point,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third feature point are connected A second feature line segment may be generated. In this way, a plurality of feature line segments may be generated from one feature point.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전의 벡터정보들과 시뮬레이션 이전의 벡터정보들을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이전의 제1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1a와, 시뮬레이션 이후의 제1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1b를 비교하여 각도와 크기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시뮬레이션 이전의 제2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2a와, 시뮬레이션 이후의 제2 특징선분에 대한 벡터정보 2b를 비교하여 각도와 크기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안전성 평가부는 생성된 모든 특징선분에 대한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vector information before the simulation with the vector information before the simulation. For example, the safety evaluation unit compares the vector information 1a of the first characteristic line segment before the simulation with the vector information 1b of the first characteristic line segment after the simulation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angle and size,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ngle and size of the second characteristic line segment before the simulation. By comparing the vector information 2a of , and the vector information 2b of the second feature line segment after simulation, the amount of change in angle and size is calculated. In this way, 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for all the generated feature line segments.

안전성 평가부는 산출된 각각의 변화량들을 합산하여 합산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합산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합산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건축물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산출된 합산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해당 건축물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safety evaluation unit calculates the summed change by adding up each calculated change, and compares the calculated sum of chang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f the total change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building is judged to be safe.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결과 건축물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200)에 의해 생성된 도시 계획 설명서가 정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uilding is safe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safety evaluation unit may determine that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generated by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prepar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sonable.

이와 같이, 안전성 평가부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지역에 시공될 건축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시 개발 또는 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지역에 시공될 건축물이 안전한지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받아 안전한 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the safety evaluation unit evaluates the safety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in an area where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is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Therefore, the user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whether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in an area where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is to be performed is safe in advance so that safe urban regeneration can be achieved.

이와 같은,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As such, the technology for providing the urban planning description creation system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nd DVD, an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able

210: 데이터베이스부
220: 데이터 가공부
230: 문서 생성부
240: 구현부
250: 안전성 평가부
210: database unit
220: data processing unit
230: document generation unit
240: implementation
250: safety evaluation unit

Claims (3)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문서화한 도시 계획 설명서를 작성하는 설명서 생성부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 생성부는,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 목적, 대상 지역, 시공사, 개발 기간, 신축 건축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 및 도시 개발 또는 도시 재생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도시 계획 설명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은,
상기 도시 계획 설명서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에 도시 개발 계획 또는 도시 재생 계획이 이루어질 지역에 대한 3차원 건물모델을 생성하는 구현부; 및
상기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안전성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성 평가부는,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최대 하중을 설정하고,
생성된 3차원 건물모델의 층별로 설정된 최대 하중을 가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변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3차원 건물 모델의 변형도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건물모델에 복수의 특징점을 설정하고, 복수의 특징점 중 서로 이웃하는 두 특징점을 연결하는 특징선분을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성분의 각도와 크기를 나타나는 벡터정보를 생성하고, 시뮬레이션 이전의 벡터정보들과 시뮬레이션 이전의 벡터정보들을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각의 변화량들을 합산하여 합산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합산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3차원 건물모델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 계획 설명서 작성 시스템.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creation system comprising a description generating unit for creating an urban planning description docum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The manual generating unit,
a database unit for constructing a database related to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a dat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ext information for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purpose, target area, construction company, development period, new building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map information for an area where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is made; and
and a documen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ity planning description based on the text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city planning manual preparation system,
an implementation unit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for an area in which an urban development plan or an urban regeneration plan is to be made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city planning description and the BIM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afety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The safety evaluation unit,
Set the maximum load for each floor of the 3D building model by referring to the pre-stored lookup tabl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3D building model is measured by applying the maximum load set for each floor of the generated 3D building model, and the safety of the 3D building model is evaluated based on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measured 3D building model,
Based on the BIM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 plurality of feature points are set in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a feature line segment connecting two feature point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eature points is generated, and the angle and size of the generated feature elements are displayed. Generates vector information, compares vector information before simulation with vector information before simulation to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adds up each calculated change amount to calculate a sum change amount, and sets the calculated sum change amoun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 urban planning manual cre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of the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40121A 2022-03-31 2022-03-31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KR102453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121A KR102453874B1 (en) 2022-03-31 2022-03-31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KR1020220127555A KR102505115B1 (en) 2022-03-31 2022-10-06 Land Use Planning Documentation and Safety Assess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121A KR102453874B1 (en) 2022-03-31 2022-03-31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555A Division KR102505115B1 (en) 2022-03-31 2022-10-06 Land Use Planning Documentation and Safety Assess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74B1 true KR102453874B1 (en) 2022-10-11

Family

ID=835992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121A KR102453874B1 (en) 2022-03-31 2022-03-31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KR1020220127555A KR102505115B1 (en) 2022-03-31 2022-10-06 Land Use Planning Documentation and Safety Assessment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555A KR102505115B1 (en) 2022-03-31 2022-10-06 Land Use Planning Documentation and Safety Assess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387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92704A (en) * 2024-04-02 2024-05-07 山东亿华天产业发展集团有限公司 High-precision land planning and mapping method and system
CN117992704B (en) * 2024-04-02 2024-06-04 山东亿华天产业发展集团有限公司 High-precision land planning and mapping method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79B1 (en) * 2013-05-20 2013-07-10 (주)한성개발공사 Cadastral map and city planning management system
KR102184048B1 (en) 2018-07-10 2020-11-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2356403B1 (en) * 2019-12-02 2022-01-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formed shape of buil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79B1 (en) * 2013-05-20 2013-07-10 (주)한성개발공사 Cadastral map and city planning management system
KR102184048B1 (en) 2018-07-10 2020-11-27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2356403B1 (en) * 2019-12-02 2022-01-2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formed shape of build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92704A (en) * 2024-04-02 2024-05-07 山东亿华天产业发展集团有限公司 High-precision land planning and mapping method and system
CN117992704B (en) * 2024-04-02 2024-06-04 山东亿华天产业发展集团有限公司 High-precision land planning and mapping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115B1 (en)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stin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Literature review, applications,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Chen et al. Development of city buildings dataset for urban building energy modeling
Chen et al. A BIM-WMS integrated decision support tool for supply chain management in construction
Irizarry et al. Optimizing location of tower cranes on construction sites through GIS and BIM integration
KR102123450B1 (en) Simulation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30019629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n analysis service about location requirements and trade area according to types of real property
Liu et al. A generalized framework for measuring pedestrian accessibility around the world using open data
Ren et al. Developing an information exchange scheme concerning value for money assessment in Public-Private Partnerships
Bansal Integrated framework of BIM and GIS applications to support building lifecycle: A move toward nD modeling
Ramírez Eudave et al. On the suitability of a unified GIS-BIM-HBIM framework for cataloguing and assessing vulnerability in Historic Urban Landscapes: A critical review
Omrany et al. The uptake of City Information Modelling (CIM):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implementations,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KR1021840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of information about estate development pla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hiabrando et al. A European Interoperable Database (EID) to increase resilience of cultural heritage
Byun et al. A street-view-based method to detect urban growth and decline: A case study of Midtown in Detroit, Michigan, USA
Yin et al. An automated layer classification method for converting CAD drawings to 3D BIM models
Rinner GS-25-Spatial Decision Support
CN113780475A (en) Mountain tunnel model fusion method based on GIS environment
KR102453874B1 (en) Urban planning documentation system
Cichociński et al. Spatio-temporal analysis of the real estate marke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hatta et 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s a Planning Support System (PSS) in Urban Planning: Theoretical Review and its Practice in Urban Renewal Process in Hong Kong
CN115115244B (en)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for investment environment of mining projects and computer equipment
KR20220110349A (en)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and commercial area analysis services for each type of real estate item
Ezekwem Environmental information modeling: An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lean and green developments
Bolshakov et al. Digital asset in the system of real estate management
Saha et al. Learning GIS Using Open Source Software: An Applied Guide for Geo-spatial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