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918B1 -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2918B1 KR102452918B1 KR1020220078449A KR20220078449A KR102452918B1 KR 102452918 B1 KR102452918 B1 KR 102452918B1 KR 1020220078449 A KR1020220078449 A KR 1020220078449A KR 20220078449 A KR20220078449 A KR 20220078449A KR 102452918 B1 KR102452918 B1 KR 1024529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ssing person
- missing
- report
- location
- pers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16 delive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805 Au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706 Autis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347 Intellectual Disabil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197 atypical au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0 mental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97 real-tim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2 risk assess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2—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a temporal dimension, e.g. time-based feature extraction; Pattern trac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기 등록된 실종자를 검색 또는 제보하거나,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등록된 실종자 리스트에 추가하는 등록부, 기 등록된 실종자를 지역별 및 실종자의 상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실종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검색부, 실종자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실종자가 선택된 후 제보하기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보장소, 제보내용 및 제보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어느 하나의 실종자를 등록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보부를 포함하는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종자를 검색하거나 실종자를 제보할 수 있고, 실종자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제보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대변화와 사회문화 변화에 따라 실종사건의 형태가 달라진다. 최근 인권보호가 강화되고 치료자의 자유의사를 존중함에 따라 시설에 대한 강제치료, 강제입원 등이 줄어들면서, 지적·정신장애인 실종, 고령화로 인한 치매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실종사건이 발생하면 실종자의 나이, 성별, 가정환경, 실종원인, 장소, 유류물 등 여러 상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경찰수사의 신속한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초기대응이 매우 중요하지만, 실종 초기 위험성 분석단계부터 객관적 판단 부족으로 인해 실종수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실종아동 등이 접수되었을 경우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생명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실종사건은 12시간 내에 실종아동 등이 발견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골든타임이 가장 중요하다.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장기미제로 남을 가능성이 큰데, 실종아동 등 사건은 초기 대응에 따라 적게는 몇 분, 많게는 수십 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때, 실종자를 검색하거나 정보를 게재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4858호(2016년04월26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845025호(2008년07월09일 공고)에는, 실종자로 등록된 얼굴 이미지를 기반으로 후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CCTV에서 입력된 영상 내 객체와 비교함으로써 실종가족을 찾도록 하는 구성과, 실종자 정보를 게시하기 위하여 실종자의 문자, 이미지 및 영상을 포함하는 실종자찾기 콘텐츠를 IPTV를 통하여 브로캐스팅되도록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실종자로 등록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한데 이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경찰에서 접수조차 해주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 접수가 되지 않은 이상 프로세스 개시가 불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도 IPTV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팅되도록 하지만 타인의 얼굴을 자세히 또 오래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에, 실종자 등록, 제보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종자를 등록, 제보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아동, 치매 및 장애에 대응하는 태그를 부착하여 분류하고, 실종자를 등록한 후 제보가 접수되면 실종자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로 제보접수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며, 실종자를 검색할 때에도 분류에 따른 태그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색을 용이하게 하고, 검색 메뉴 내 실종자 리스트가 리스트업 된 셀(Cell)을 누르면 바로 제보접수하기 버튼을 출력함으로써 검색 및 제보접수를 직관적으로 페인포인트를 최소화하여 활발한 제보를 유도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 등록된 실종자를 검색 또는 제보하거나,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등록된 실종자 리스트에 추가하는 등록부, 기 등록된 실종자를 지역별 및 실종자의 상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실종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검색부, 실종자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실종자가 선택된 후 제보하기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보장소, 제보내용 및 제보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어느 하나의 실종자를 등록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보부를 포함하는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종자를 등록, 제보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아동, 치매 및 장애에 대응하는 태그를 부착하여 분류하고, 실종자를 등록한 후 제보가 접수되면 실종자를 등록한 사용자 단말로 제보접수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며, 실종자를 검색할 때에도 분류에 따른 태그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색을 용이하게 하고, 검색 메뉴 내 실종자 리스트가 리스트업 된 셀(Cell)을 누르면 바로 제보접수하기 버튼을 출력함으로써 검색 및 제보접수를 직관적으로 페인포인트를 최소화하여 활발한 제보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종자 검색, 제보 및 등록을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보호자로, 피보호자의 피보호자 단말(400)을 등록하고, 피보호자 단말(400)의 안심존을 설정하며, 도움요청신호를 수신할 때 자동으로 녹음 또는 녹화된 소리 또는 영상과 지도를 함께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피보호자 단말(400)을 등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피보호자 단말(400)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종자 등록을 하는 경우, 등록 검토를 통하여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종자 검색을 하는 경우, 기 등록된 실종자 리스트를 출력하도록 하며, 실종자 제보를 하는 경우 실종자를 등록한 단말(미도시)로 제보알림을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실종자 정보를 실종장소 기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푸시(Push) 메시지를 이용하여 발송할 수 있다. 현재 재난문자의 경우에는 기지국을 위치로 실종정보를 전송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이용할 수도 있고, 각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GPS를 이용하여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은,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피보호자의 단말일 수 있다. 피보호자 단말(400)은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GPS, 마이크, 카메라 등의 엑세스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허용하는 단말일 수 있고, 피보호자 단말(400)의 위치를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검색부(320), 제보부(330), 내가족찾기부(340), 피보호자위치표시부(350), GPS설정부(360), 입력부(370), 검증부(380), CCTV요청부(390), 이동추적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로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은,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등록된 실종자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종자를 등록하고 실종장소 등을 입력하면, 실종장소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실종장소에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 단말(100), 예를 들어, 실종장소에 현재 위치하는 다른 회원에게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CBS>
방송형동보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란, 재난 발생시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해당지역내에 있는 수신 가능 단말기에 재난문자를 무료로 전송하는 대국민 서비스로, 기존 문자메시지(SMS)의 경우 동시에 수 천만명에게 보내면 통신시스템에 부하가 걸려 수신이 안되거나 지체되지만 CBS는 방송형이라 빠른 시간내에 동시에 전달된다. 이를 이용하는 경우 푸시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되므로 CS(Circuit Switch) 망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도 해당 지역에 위치한 회원에게 푸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CBS를 이용하게 되면 예를 들어 역삼동에 계속 거주하다가 역삼동을 벗어나 출장을 가게 되면 해당 역삼동에 다시 돌아와서 실종자를 마주쳐 제보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푸시 메시지 자체를 받지 못하게 되므로 제보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2 주 내지 한 달간 각 UE(User Equipment)가 기지국에 물려있는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만약 기 설정된 기간에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거주민이라고 판단되면 또는 해당 지역에서 직장을 다니는 등 오랜 기간 머무른다고 판단되면, 시 또는 도를 벗어나더라도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검색부(320)는, 기 등록된 실종자를 지역별 및 실종자의 상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실종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 등록된 실종자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이나 치매노인의 경우 중위험군으로, 아동 및 성인여성의 경우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아동, 장애 및 치매의 분류태그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종아동에 대한 관련 법률은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규칙으로는 「실종아동 및 가출인 업무처리 규칙」등이 있다.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18세 미만의 아동,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실종아동 및 가출인 업무처리 규칙」은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18세 미만의 아동이란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실종아동 등’에는 실종당시 18세 미만의 아동 중에서 약취·유인·유기·사고 또는 가출하거나 길을 잃은 등의 사유로 인하여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등을 말한다.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에서 지적장애인은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을 말한다. 자폐성 장애인은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따른 언어·신체표현·자기조절·사회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말한다. 치매환자는 치매로 인한 임상적 특징이 나타나는 사람으로서 의사 또는 한의사로부터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물론 상술한 의사의 진단이나 법적 판단 근거로 본 발명의 플랫폼 분류태그를 부착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검색부(320)는, 실종자의 상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실종자 리스트를 제공할 때, 아동, 장애 및 치매로 구분된 탭(Tab)으로 실종자 리스트를 나누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더 많은 탭 및 분류태그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보부(330)는, 실종자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실종자가 선택된 후 제보하기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보장소, 제보내용 및 제보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어느 하나의 실종자를 등록한 보호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 등록된 실종자를 제보할 수 있다. 제보부(330)는, 검색부(320)의 실종자 리스트의 어느 하나의 실종자에 대응하는 셀(Cell)이 선택되는 경우, 제보하기 버튼을 출력한 후 제보하기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보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보를 하고 타인이 실종자 등록을 한 경우라면, 타인의 단말(미도시)에서 각 제보가 된 위치 및 시간에 따라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2022년 6월 20일 오후 2시에 강남역 8 번 출구에서 제보를 했고, 사용자 B가 2022년 6월 20일 오후 4시에 역삼역 4 번 출구에서 제보를 했으며, 사용자 C가 2022년 6월 20일 오후 6시에 신사역 D 부근에서 제보를 했다면, 지도 상에 [강남역 8 번 출구 - 역삼역 4 번 출구 - 신사역 D 부근]과 같이 이동경로가 생성되고 각 이동경로 상에 날짜 및 시각을 표기해줌으로써 어떠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때, 제보사진이 업로드된 경우, 제보사진 내 촬영된 객체가 실종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보사진은 자신이 직접 찍긴 했지만 멀리서 찍을 확률이 높은데, 이 경우 얼굴인식이 잘 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종자 탐색에 시간 절약과 높은 인식률을 위해 MTCNN(Multi-Task Cascaded 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활용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적은 특징으로도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MTCNN 모델의 여러 규제에 변화를 주어 제보자의 위치에서 거리에 관계없이 얼굴을 추출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도록 한다.
<MTCNN>
MTCNN은 기존 CNN보다 더 얼굴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제작되었다. 인식된 얼굴을 CNN에서는 Convolution Layer를 통해 연산이 되는데, 이 방식은 연산도 복잡하고 영상의 크기에 따라 시간의 소요가 달라진다. MTCNN에서는 이미지 피라미드를 통해 인식한 얼굴을 P-Net, R-Net, O-Net이라는 계단식 Network를 걸쳐 인식한다. 이미지 피라미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얼굴을 인식하여 Network에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인식된 얼굴은 12x12 크기로 조정하여 P-Net에 전달한다. P-Net에서는 12x12크기에 맞춰져 있는 Network이다. Fully Connected Layer를 거치지 않고 Convolution Layer를 통해 인식되어 얼굴이라고 판단된 영역을 원래의 크기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도록 좌표를 변환한다. 여기서 얼굴이라 인식된 영역에 관한 바운딩 박스(Bounding Box)가 많이 남아 있으므로 NMS(Non-Maximum Suppression)을 거쳐 중복된 박스를 줄인다. 이때 줄여진 바운딩 박스, 얼굴 분류 결과, 눈, 코, 및 양 입 꼬리를 반환한다.
추려진 바운딩 박스들은 24x24 크기로 조정되어 R-Net에 보내진다. R-Net에서는 Convolution Layer를 거쳐 바운딩 박스들을 NMS를 거쳐 중복된 상자를 줄인 후 Fully Connected Layer를 거쳐 O-Net에 전달한다. 48x48크기로 조정되어 전달받은 O-Net에서는 다시 Convolution Layer과 Fully Connected Layer를 통해 신뢰성 낮은 바운딩 박스를 제거함으로서 한 개의 바운딩 박스를 남기게 된다. 최종적으로 P-Net, R-Net, O-Net 3가지 단계를 모두 거치고 나면 최종 결과 값은 바운딩 박스와 신뢰성과 눈, 코, 입꼬리 값으로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CCTV와 같이 많은 연산을 소화하지 못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에 적용할 수 있고, 각 제보자의 단말 단(End)에서도 연산이 가능할 수 있어 실제 동일인, 즉 실종자가 맞는지의 여부를 제보자의 단말 단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서버 단(End)에서 수행하여 제보의 신뢰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든 제보는 실종자를 등록한 단말로 전달하되, 실종자를 등록한 단말에서 제보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내가족찾기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등록된 피보호자를 실종자로 등록한 경우, 제보건수 및 제보내역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고, 등록한 실종자의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는 메뉴를 제공하며, 실종상태가 종료된 경우 완료버튼을 선택하여 실종자 리스트에서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피보호자위치표시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을 등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400)의 실시간 GPS 위치를 지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도와줘)은 아동 및 부모와 같이 피보호자를 등록하고, 피보호자의 실시간 이동위치를 체크하고, 안심존 이외의 지역, 예를 들어, 자녀가 학교-학원-집으로 오는 길이 아닌 경우에는 알람을 보내거나, 부모가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하루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등에는 알람을 보내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종자 등록, 제보 및 검색을 추가하므로, 피보호자가 실종된 경우 피보호자의 마지막 GPS 위치와 마지막 GPS 위치가 찍힐 때까지의 이동 경로 등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해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플랫폼(도와줘)은 도움요청신호가 전달될 때 녹음 또는 녹화를 진행하고 이를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하므로 어떤 위치, 즉 GPS 상에서 어떠한 녹음 및 녹화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납치가 된 위험한 상황인지, 길을 잃은 것인지 등의 종류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GPS설정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보장소를 입력받을 때, 실시간 GPS 위치를 이용하거나 기 저장된 사진인 경우, 사진의 GPS 태그를 이용하여 제보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제보자는 선의로 제보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보가 귀찮거나 복잡하게 만들면 안된다. 이때, 제보장소는 GPS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더라도 바로 GPS를 추출하여 자동등록하도록 할 수 있고, 만약 사용자가 사진을 찍은 것을 업로드하는 경우에는 사진에 GPS 태그가 부착된 경우 이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할 때, 사진, 성별, 이름, 생년월일, 발생일자, 발생장소, 신체적 특징 및 특이사항을 포함하는 신고내역, 신고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검증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종자 등록을 신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차를 거쳐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실종자 등록이 결정된 경우 기 등록된 실종자의 실종자 리스트에 새로운 실종자를 추가할 수 있다.
CCTV요청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한 실종자에 대한 제보가 입력된 경우, 제보에 포함된 제보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를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CCTV가 검색된 경우 제보가 등록된 시각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이동추적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CCTV에서 촬영된 영상 내 실종자로 등록된 객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의 이동경로 및 이동시각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CCTV를 보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 찾고자 하는 객체 이외의 정보는 모두 지우거나 블러처리를 해야 하고, 만약 그대로 보여주기 위해서는 CCTV 내 포함된 모든 객체, 즉 타인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렇게 공공기관에 신청사례가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제3자가 함께 찍히면 동의를 받아야 하거나 블러처리를 해야 하는 등 사실상 열람이 불가능하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물론, 실종 등의 긴급한 사항의 경우에는 경찰청장은 이를 열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는 있지만 이는 실종사건으로 접수된 경우에 한하여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플랫폼과 같은 기업에서는 CCTV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플랫폼에 따른 CCTV요청부(390)는 원본 그 자체를 받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플랫폼에 등록된 실종자의 얼굴로 특정되는 객체를 얼굴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식별하고, 특정된 객체의 이동경로만 지도 상에 표시한 지도를 받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인을 블러처리하느라 시간을 쓰거나 동의를 받지 않아도 되고 본 발명의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상태는 실종자의 얼굴 및 이를 추적한 이동경로를 표시한 지도만이 수신되게 되므로 CCTV 활용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을 지키면서도 실종자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CCTV요청부(390)는 각 지자체나 방범용 CCTV를 설치한 기관 등에 이하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그 결과만을 받도록 함으로써 실종자의 수색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지도 표시를 위한 객체 추적>
인공지능 기술에서도 영상정보를 분석하는 기술은 제품에 탑재되어 상용화될 만큼 가장 고도화되어 있어 인지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알려진 영상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로는 ① Faster RCNN, ② YOLO, ③ SSD 등이 있는데, ① Faster RCNN은 RCNN에서 Fast RCNN을 거처 실시간 처리속도를 목표로 개선된 모델이다. 이는 Fast RCNN과 구조는 유사하지만, 매우 작은 Region Proposal Network라는 회귀 네트워크를 Selective Search에 이용하여 RCNN 대비 250배, Fast RCNN 대비 25배의 처리 속도 성능을 보여준다. ② YOLO는 이미지의 픽셀(Pixel) 단위가 아닌 N 개의 상자에 해당하는 Grid 단위로 나누어 객체를 추적하는 방식이며, 실시간에 가까운 처리 성능으로 실시간 탐지 시스템(Realtime Detection System)에 적합한 모델이다.
③ SSD는 다양한 크기의 특징맵(Feature Map)을 바탕으로 한 장의 이미지에서 다양한 목표 객체를 추적하는 방식을 취하는 방식으로 균형있는 정확도와 처리 속도를 보여주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YOLOv4 기반으로 프레임 내 객체의 종류와 위치를 인지하고 그 결과를 Deep Sort에 적용하여 연속적인 프레임에서 특정 객체를 추적하는 루프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연속되는 프레임에서 목표 객체의 식별 및 추적한 결과, 객체 위치 추적 방식으로는 최소사각형 형태를 채용할 수 있고, 추적된 각 객체에 대한 사각형은 향후, 시각화 정합을 위한 객체의 위치정보로 이용된다. 추적된 객체가 사람인 경우, Sankaranara-Yanan의 방안을 토대로 사각형 하단의 중심점을 대표 위치로 이용할 수 있으며, 차량 등의 경우 객체의 형태를 간략화한 사각형의 높이, 너비를 고려하여 하단으로부터 1/4 지점의 중심점을 대표 위치로 채택할 수 있다.
<좌표계 변환>
입력정보로 이용되는 CCTV 영상이 예를 들어, 가로(X), 세로(Y)가 각각 1920과 1080 해상도를 가지고 있고, 정밀, 항공, 일반 지도가 이용된 시각화에서는 위도(Latitude) -19~90, 경도(Longitude) -180~180의 범위를 가지는 WGS84 좌표계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입력 영상에서 추적되는 객체의 정위치 매핑을 위해서는 좌표계 간의 차이(Translate, Rotation, Scale)를 설명할 수 있는 변환 행렬이 요구된다. CCTV 영상과 시각화의 차원이 다른 두 좌표계 간의 변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CCTV의 내부(Intrinsic)·외부(Extrinsic) 파라미터와 함께 CCTV 영상의 특정점과 매칭되는 WGS84 좌표계 상의 점을 통해 변환 행렬을 계산하는 방법과 이미지에서 불변하는 다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WGS84 좌표계에서 이에 대응되는 특징점을 매핑하여 두 좌표계 간의 변환관계가 정립된 변환행렬 H(Homography Matrix)를 계산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위치 매칭 정확도가 높을 수 있으나 CCTV의 실 측정을 통한 내·외부 파라미터 획득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는 전자에 비해 정확도는 떨어질 수 있으나, 변환 관계 정립이 비교적 간단하고 대응 특징점의 정밀도에 따라서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를 들어, 유용성 검증 측면에서 H 계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H는 2D-2D, 2D-3D 간 좌표계 변환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이는 AR(Augmented Reality) 기술에서 마커와 카메라 간의 관계 정립을 위해 필수적을 이용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두 방향의 카메라에서 같은 점 x 를 바라볼 때 각 카메라의 영상에 맺히는 점 x와 x' 간의 이동, 회전 등이 정의된 3×3 행렬을 의미한다. 이를 좌표계 변환 문제에서 제 1 이미지를 CCTV 카메라로 정의하고, 제 2 이미지를 WGS84 좌표계로 정의하여 두 좌표계 간의 변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즉, CCTV 영상의 불변하는 특징점에 대한 WGS84 좌표계 대응점을 이용하여 변환 행렬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객체 위치정보 시각화 대상지의 CCTV 영상에서 불변하는 특징점(담벼락, 대문, 입구 시설물 등)을 정의하고, CCTV가 비추는 사유지 또는 도로의 정보를 실측하여 WGS84좌표에 제작한 정밀도로지도에서도 영상 특징점에 대응되는 점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영상의 특징점과 정밀도로지도에서의 대응점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메뉴얼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일부 영역에 대한 특징점을 이용하는 경우, 특징점이 없는 영역이 왜곡되어 객체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맵핑(Mapping)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영상에서 정의하는 특징점들은 되도록 넓은 범위를 포함하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이에, 좌표계 간 변환 관계 계산을 위해 각 영상별 N 개의 불변 특징점들을 정의한 후, 변환식을 통해 객체의 위치를 변환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이렇게 목표 객체를 식별 및 추적한 결과로는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로 객체 타입, 위치, ID 등이 출력된다. 이는 하나의 객체 대한 속성들로서 용이한 전달 및 이용을 위해서는 하나의 데이터셋(DataSet)으로 묶는 과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포맷들은 다양하다.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인코딩, 디코딩이 빠르고 안정적인 JSON 포맷을 채택하여 객체의 식별 및 추적 결과로 출력된 속성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된 객체별 데이터셋은 이후 Kafka 서버에 전달되고, 시각화에서는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받아와 디코딩을 수행한 후, 배경지도에 객체 정보를 매핑하게 된다.
<Kafka 서버>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 공장과 같이 각 부지가 각각 존재하는 넓은 대상지의 경우 모니터링을 위해 관리 구역에 여러 대의 CCTV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30fps의 촬영 속도를 가지는 여러 대의 CCTV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여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많은 리소스가 요구되며, 세부적으로는 빠른 데이터 적재와 제공이 필요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산처리 환경에 특화된 Kafka를 채택하여 이를 객체 정보 적재와 시각화 정보 전달에 이용할 수 있다. Kafka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분산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1:1 데이터 교환뿐만 아니라 1:N, N:1 간의 동시 전달이 가능하다. 즉, 여러 소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고 여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Kafka는 Producer, Consumer, Kafka Cluster, Topic으로 구성되는데, Producer는 Topic 노드에 데이터 쓰기 요청을 보내 지정된 토픽에 메시지를 작성(발행)하는 주체이며, Consumer는 생성된 Topic에 접근(구독)하여 데이터를 받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Kafka Cluster는 생성된 Topic과 관련 데이터를 파티션 단위로 분산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Kafka가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이유는 이들 구성 요소들이 분리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장애 발생 의존성이 낮고, 메시지 큐가 아닌 Topic을 통해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달·관리를 위한 Kafka Cluster를 구성하고 공유를 위한 Topic 노드를 정의하여 관련 파티션을 구성한 후, Consumer에 해당하는 시각화 모듈이 해당 Topic 노드를 구독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Producer에 해당하는 목표 객체의 식별·추적 모듈에서 Kafka에 정의된 Topic으로 결과를 전달하면 Kafka Cluster에서 해당 Topic 노드에 관련된 파티션에 데이터가 적재되고, 이와 동시에 구독상태에 있는 시각화 모듈에서 해당 데이터를 받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Kafka기반의 데이터 전달 방식은 요청에 의한 전달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전달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좌표정합 및 위치표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와줘 메인>
도 3a 내지 도 3c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한 피보호자의 피보호자 단말(4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공유받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외에 치매 실종자로 등록된 사람은 파란색의 사람 아이콘, 아동 실종자로 등록된 사람은 빨간색의 사람 아이콘, 장애 실종자로 등록된 사람은 초록색의 사람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의 실종등록 또한 함께 등록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아이콘은 동물 표시일 수 있고 색상은 다른 색상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도와줘)에 가입하고 실종자를 등록할 때, 지도상에 좌표를 찍어서 실종위치를 설정하고, 키나 인상착의 등 부가적인 정보를 기재하면, 실종지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 플랫폼 이용자에게 푸시알림을 하게 된다. 물론 회원들은 푸시알림에 대한 동의 절차를 먼저 진행한 회원일 수 있다. 또, 퀵 메뉴는 화면에 손을 가져다대는 경우 메뉴를 설명하는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때, 아동, 치매환자, 지적장애인을 서로 다른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 3d와 같이 실종자를 볼 수 있고 제보할 수 있는 버튼도 제공될 수 있다. 도 3e와 같이 메뉴 하단에 실종자 신고 및 제보의 메뉴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실종자 메인>
도 3f는 실종자 메인 화면인데, 크게 실종자 찾기 또는 실종자 등록의 하위메뉴를 제공한다.
<실종자 검색>
도 3g와 같이 지역별 또 분류태그별로 각 실종자의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실종자 검색 화면에서 한 명의 실종자에 대응하는 셀(Cell)을 선택하면 바로 제보하기 버튼이 출력되어 제보하는데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했고, 도 3i와 같이 얼굴을 자세히 출력할 수도 있다.
<실종자 제보>
도 3j와 같이 제보하기 화면은 지도 상 GPS로 자동 표기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사진을 첨부할 수도 있고, 제보자의 이름 및 연락처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k와 같이 사진을 첨부하고 제보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기재한 후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동의를 체크하여 제보하기를 마칠 수 있다. 도 3l과 같이 위치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고, 도 3m과 같은 개인정보수집 약관이 출력될 수 있다.
<실종자 제보내역>
도 3n과 같이 제보내역이 출력될 수 있고 도 3o와 같이 제보에 대한 신뢰도 또는 제보자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도 3p와 같이 지도로 제보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실종자 등록>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실종자 등록을 할 수 있는데 도 4b와 같이 약관에 동의한 후, 도 4c의 화면에 도 4d와 같이 실종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날짜를 도 4e와 같이 선택할 수 있다.
<내 가족 찾기>
도 4f와 같이 실종자로 등록한 내역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볼 수 있으며, 도 4g와 같이 제보는 몇 건이 얼마나 어떠한 내용으로 들어왔는지, 현재 실종자 등록이 대기 상태인지 등록된 상태인지, 실종자를 찾았는지 또는 아직도 진행해야 할 사건인 것인지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기 등록된 실종자 리스트에 추가한다(S5100).
그리고,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등록된 실종자를 지역별 및 실종자의 상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실종자 리스트를 제공하고(S5200), 실종자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실종자가 선택된 후 제보하기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보장소, 제보내용 및 제보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어느 하나의 실종자를 등록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기 등록된 실종자를 검색 또는 제보하거나,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하는 등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기 등록된 실종자 리스트에 추가하는 등록부, 상기 기 등록된 실종자를 지역별 및 실종자의 상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실종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검색부, 상기 실종자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실종자가 선택된 후 제보하기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보장소, 제보내용 및 제보자 정보를 업로드받아 상기 어느 하나의 실종자를 등록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보부를 포함하는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등록부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다른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에 연결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기설정된 기간에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거주민이라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과 관련한 지역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머무른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지역을 벗어나더라도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보부는,
복수의 타인의 단말로부터 각각 제보되는 복수의 위치 및 시간에 따라 제보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 상에 날짜 및 시각을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실종자의 상태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실종자 리스트를 제공할 때, 아동, 장애 및 치매로 구분된 탭(Tab)으로 상기 실종자 리스트를 나누어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부는,
상기 검색부의 실종자 리스트의 어느 하나의 실종자에 대응하는 셀(Cell)이 선택되는 경우, 제보하기 버튼을 출력한 후 상기 제보하기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보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등록된 피보호자를 실종자로 등록한 경우, 제보건수 및 제보내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등록한 실종자의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는 메뉴를 제공하며, 실종상태가 종료된 경우 완료버튼을 선택하여 실종자 리스트에서 삭제하도록 하는 내가족찾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을 등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의 실시간 GPS 위치를 지도 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피보호자위치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보장소를 입력받을 때, 실시간 GPS 위치를 이용하거나 기 저장된 사진인 경우, 사진의 GPS 태그를 이용하여 제보장소를 설정하는 GPS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새로운 실종자를 등록할 때, 사진, 성별, 이름, 생년월일, 발생일자, 발생장소, 신체적 특징 및 특이사항을 포함하는 신고내역, 신고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종자 등록을 신청하는 경우, 기 설정된 절차를 거쳐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실종자 등록이 결정된 경우 상기 기 등록된 실종자의 실종자 리스트에 상기 새로운 실종자를 추가하는 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한 실종자에 대한 제보가 입력된 경우, 제보에 포함된 제보장소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를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가 검색된 경우 제보가 등록된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을 요청하는 CCTV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종신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CTV에서 촬영된 영상 내 상기 실종자로 등록된 객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의 이동경로 및 이동시각을 지도 상에 표시하는 이동추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449A KR102452918B1 (ko) | 2022-06-27 | 2022-06-27 |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449A KR102452918B1 (ko) | 2022-06-27 | 2022-06-27 |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2918B1 true KR102452918B1 (ko) | 2022-10-12 |
Family
ID=8359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8449A KR102452918B1 (ko) | 2022-06-27 | 2022-06-27 |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291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320977A1 (en) * | 2022-11-07 | 2024-09-26 | Onemoresecurity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missing person based on attribut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6387A (ko) * | 2012-10-19 | 2013-01-16 | 홍욱선 |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기록매체 |
KR102305038B1 (ko) * | 2021-02-19 | 2021-09-27 | (주) 원모어시큐리티 | 미아 추적 서버 및 미아 추적 서버에서의 딥러닝 기반 미아 이동 경로 추적 방법 |
-
2022
- 2022-06-27 KR KR1020220078449A patent/KR1024529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6387A (ko) * | 2012-10-19 | 2013-01-16 | 홍욱선 |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기록매체 |
KR102305038B1 (ko) * | 2021-02-19 | 2021-09-27 | (주) 원모어시큐리티 | 미아 추적 서버 및 미아 추적 서버에서의 딥러닝 기반 미아 이동 경로 추적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320977A1 (en) * | 2022-11-07 | 2024-09-26 | Onemoresecurity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missing person based on attribu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373204A1 (en) | Social media content for emergency management | |
US1171660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ictim identification | |
US9892608B2 (en) | Released offender geospatial location information trend analysis | |
US914733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emergency notifications based on aggregate event data | |
US10922776B2 (en) | Platform for real-time views on consolidated data | |
US10623937B2 (en) | Validating and supplementing emergency call information | |
US898970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active community alert network | |
US20220014895A1 (en) | Spatiotemporal analysis for emergency response | |
US10423688B1 (en) | Notifying entities of relevant events | |
US2015014599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surveillance | |
WO2017117879A1 (zh) | 人员识别处理方法、装置及系统 | |
US931323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ssociated devices | |
ES2614873T3 (es) | Centro de resolución de información de localización geoespacial de delincuentes liberados | |
KR102452918B1 (ko) | 위치 기반 실종신고 및 실시간 실종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US10484815B1 (en) | Managing communications based upon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lectronic files exchanged during the communications | |
US11216900B1 (en) | Investigatio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non-resident devices used for communications with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residents | |
Shinde et al. | Design and development of geofencing based attendance system for mobile application | |
US12118824B2 (en) | Face detection method and server | |
CN114708545A (zh) | 基于图像的对象侦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 |
Timothy | An android location-based crime reporting system using the Google Map API | |
US10701544B1 (en) | Validating and supplementing emergency call information removing private information | |
Shaikh et al. | AI-Based Advanced Surveillance Approach for Women's Safety | |
Tan et al. | COVID-19 mandatory self-quarantine monitoring system | |
KR102566188B1 (ko) | Ai 기반 실종자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US12079266B2 (en) | Image-assisted field verification of query respon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