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661B1 -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661B1
KR102452661B1 KR1020220031057A KR20220031057A KR102452661B1 KR 102452661 B1 KR102452661 B1 KR 102452661B1 KR 1020220031057 A KR1020220031057 A KR 1020220031057A KR 20220031057 A KR20220031057 A KR 20220031057A KR 102452661 B1 KR102452661 B1 KR 10245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eated
tank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엔텍
Priority to KR102022003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3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rotary devices or vibration mechanisms, e.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조정조(1); 유량조정조(1)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2); 상기 혐기조(2)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3); 상기 무산소조(3)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호기조(4); 상기 호기조(4)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상등액과 슬러지로 분리시키는 침전조(5); 열교환에 의해 피처리수를 고온살균처리하는 고온살균부(20);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10), 피처리수 유입공간(1040)에 장착되는 부상여과장치(1020), 피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030)를 갖는 부상여과조(1000); 상기 부상여과조(1000)의 유입공간(1040)의 피처리수를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하기 위한 순환가이드부(40); 및 상기 순환가이드부(40)에 의해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순환가이드조절부(80);를 포함하여 부상여과조(1000)로 피처리수의 용이한 유입을 유도함에 따라, 처리량 및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which is controllable the inflow of the treated water}
본 발명은 하수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N비가 낮은 폐수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질소 및 인)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폐수를 정화시키고, 폐수처리 시설의 설치면적을 줄이고 운전·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시하수, 마을하수도 및 오·폐수의 영양염류에 의한 하천이나, 연안바다 및 호소(호수 및 저수지)등의 부영양화가 심각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으로 영양염류의 처리가 필요하다.
폐수 중 질소 및 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리ㅇ화학적 방법 및 생물학적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물리·화학적 방법은 처리시설 및 화학약품을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경제적인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처리 방법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런 생물학적처리 방법들은 C/N비가 낮은 국내 폐수처리시 체류시간, 부지면적, 질소·인 처리효율 및 유입 부하변동에 대처 능력 등을 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질소·인 처리공정(바덴포, A 2 /O, UCT 및 VIP등)의 변법 및 메디아를 이용한 공정이 개발되고 있다. 메디아를 이용한 질소·인 처리공정은 메디아에 부착된 고농도의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폐수처리시 체류시간 단축, 설치면적의 축소 및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부상여재를 이용한 처리공정은 여재의 단가가 저렴하여 다른 유동상 메디아 및 고정상 메디아보다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생물학적 분해작용과 물리적인 여과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져 안정적인 처리수질을 이룰 수 있다.
부상여재를 이용한 처리시설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세방식이다. 현재 역세방식은 공기, 물 및 프로펠러를 이용한 역세가 이루어진다. 공기를 이용한 역세방식은 브로와 및 컴프레셔에 의해 고압으로 주입하여 줌으로써 동력비가 많이 소요되며 역세시 물에 의한 역세 방식은 물량이 과량으로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이들 공기 또는 물을 이용한 역세방식은 여재의 팽창으로 인한 하부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프로펠러에 의한 역세방식은 일반적으로 물과 함께 이용되는데 동력비가 많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부상여재를 이용한 처리시설은 유기물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시설이며 질소 및 인은 미생물의 동화작용에 의해 제거되는 수준인 20 ∼ 30%에 불과하다. 따라서 부상여재를 이용한 유기물, 질소 및 인의 처리시설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나아가 부상여재를 포함한 여과조내의 실시간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제때 적절한 상황별 조치를 강구하기 어려워 처리효율을 저하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C/N비가 낮은 폐수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질소 및 인)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폐수를 정화시키고, 폐수처리 시설의 설치면적을 줄이고 운전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유량조정조(1); 유량조정조(1)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2); 상기 혐기조(2)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3); 상기 무산소조(3)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호기조(4); 상기 호기조(4)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상등액과 슬러지로 분리시키는 침전조(5); 열교환에 의해 피처리수를 고온살균처리하는 고온살균부(20);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10), 피처리수 유입공간(1040)에 장착되는 부상여과장치(1020), 피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030)를 갖는 부상여과조(1000); 상기 부상여과조(1000)의 유입공간(1040)의 피처리수를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하기 위한 순환가이드부(40); 및 상기 순환가이드부(40)에 의해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순환가이드조절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여과조의 유입부는 유입공간부의 일측 상단부로 피처리수를 유입시키고, 배출부는 유입공간부의 타측 상단부에 구비되어 배출시키며, 부상여과장치는 배출부와 연결되도록 유입공간부의 타측부에 위치되어 유입공간부의 일측부에 유입된 피처리수가 저장되는 부상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부상저장공간의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하단부가 유입공간부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가이드부는, 상기 부상여과장치의 일측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일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1순환가이드부; 및 상기 제1순환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측 내벽 중앙부에 구비되어 제1순환가이드부에 의해 순환되는 피처리수를 상측과 하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2순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2) 상기 (1)에서,
상기 제1순환가이드부는, 중앙부가 일측으로 돌출되되, 상면과 하면이 타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일정 호로 형성되고,
상기 제2순환가이드부는, 중앙부가 타측으로 돌출되되, 상면과 하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일정 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가이드부(42)는 제1순환가이드부(41)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제1순환가이드부(41)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순환되는 피처리수를 제2순환가이드부(42)의 하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부상여과장치는,
저면에 장착된 유입여과망 및 상단 일측에 장착된 배출여과망을 갖고 내부에 부상여재를 수용하여 피처리수를 여과처리하는 여과탱크; 상기 여과탱크내 수용되며 피처리수와 함께 부상하면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부상여재; 여과탱크내 상부 제1측에 장착되어, 반대편인 제2측으로 피처리수를 이동시키는 제1프로펠러; 여과탱크내 하부 제2측에 장착되어, 반대편인 제1측으로 피처리수를 이동시키는 제2프로펠러; 여과탱크내 하부 제1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프로펠러에 의해 이동된 피처리수와 함께 이동되는 부상여재에 초음파를 방사하는 초음파발진기; 및 여과탱크내 제2측 벽면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피처리수와 부상여재를 하방으로 순환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펠러, 제2프로펠러, 및 초음파발진기는 측벽 내부 수용부에 수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6) 상기 (4)에 있어서,
가이드격벽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 이상의 산소공급부가 장착되며, 상기 산소공급부는 산소공급관과 산소공급노즐로 구성되어 하강하는 부상여재와 피처리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C/N비가 낮은 폐수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질소 및 인)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폐수를 정화시키고, 폐수처리 시설의 설치면적을 줄이고 운전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살균부, 순환가이드부 및 부상여과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여과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산소공급부와 필터막이 더 구비된 부상여과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부가 더 구비된 하수고도처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펜톤산화부의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공급부의 세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하우징의 세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반응조의 세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1)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2), 상기 혐기조(2)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3), 상기 무산소조(3)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호기조(4), 상기 호기조(4)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상등액과 슬러지로 분리시키는 침전조(5), 열교환에 의해 상기 상등액을 고온살균처리하는 고온살균부(20), 부상여과조(1000) 및 순환가이드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온살균부(20)와 부상여과조(1000) 및 순환가이드부(40)를 제외한 장치 구성은 공지의 것을 그대로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고온살균부 및 부상여과조를 중점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이외의 구체적인 장치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살균부(20)는 부상여과조(1000) 전단에 설치되며, 피처리수가 이송되는 내관(21), 및 상기 내관(22)을 둘러싸고 내부에 고온의 열매체가 흘러 상기 내관의 피처리수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외관(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매체는 고온의 스팀일 수 있으며, 외부 스팀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외관(22)과 내관의 사이공간에 투입되어 흐르게 한다. 내관(21)은 침전조(5)로부터 분리된 상등액이 이송되는 관으로 상기 외관내 흐르는 열매체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각종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함과 동시에 미생물을 살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고도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단에 부상여과조(1000)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여과조(1000)는 유입부(1010), 유입공간부(1040) 내 장착된 부상여과장치(1020), 및 배출부(10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의 상부에는 카메라부(1050)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부(1050)는 부상여과장치(1020)의 투명상판(13)의 상면을 촬영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감시카메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상여과장치(120)의 하부에는 미세기포공급부(1060,1061)가 장착된다. 미세기포공급부는 미세기포 공급관(1060)과 미세기포 공급노즐(1061)을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미세기포 공급관(1060)은 외부 미세기포발생기와 연결되어 미세기포를 공급받는다.
미세기포가 부상여과장치(1020)의 하면을 이루는 유입여과망(11) 위로 미세기포를 공급하면, 상기 미세기포는 피처리수내 함유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촉진시켜 부상여재(14)과의 접촉효율을 증진시킨다.
상승하는 미세기포는 투명상판(13)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는 상황(예로, 부상여재가 서로 응집되거나 이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패턴이 잘 관찰되지 않게 된다. 카메라부(1050)는 이러한 패턴을 실시간 감시하고 해당 이미지를 상황분석서버(30)로 전송하여 분석 후 실시간 상황은 관리자(모바일 단말기 등)에게 자동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는 바람직하게는 부상여과조(1000) 내부 일측에 장착되며, 피처리수는 유입부(1010)를 통해 부상여과조(1000) 내부공간인 유입공간부(1040)에 유입되고, 일측에 장착된 부상여과장치(120)를 경유하여 배출부(1030)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순환가이드부(40)는 상기 부상여과조(1000)의 유입공간(1040)의 피처리수를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상여과조(1000)의 유입부(1010)는 유입공간부(1040)의 일측 상단부로 피처리수를 유입시키고, 배출부(1030)는 유입공간부(1040)의 타측 상단부에 구비되어 배출시킨다.
또한 부상여과장치(1020)는 배출부(1030)와 연결되도록 유입공간부(1040)의 타측부에 위치되어 유입공간부(1040)의 일측부에 유입된 피처리수가 저장되는 부상저장공간(1042)이 형성되고, 부상저장공간(1042)의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하단부가 유입공간부(1040)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미세기포공급부(1060, 1061)에 의해 발생된 미세기포와 피처리수가 유입된다.
이를 위한, 순환가이드부(40)는 제1순환가이드부(41)와 제2순환가이드부(42)를 포함한다.
제1순환가이드부(41)는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의 일측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010)를 통해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일측으로 순환시킨다.
그리고 제2순환가이드부(42)는 제1순환가이드부(41)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입공간부(1040)의 일측 내벽 중앙부에 구비되어 제1순환가이드부에 의해 순환되는 피처리수를 상측과 하측으로 순환시킨다.
이 제2순환가이드부(42)의 하면을 따라 순환되는 피처리수는 부상여과조(1000)의 유입부(1010)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순환가이드부(41)는 중앙부가 일측으로 돌출되되, 상면과 하면이 타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일정 호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순환가이드부(42)는 중앙부가 타측으로 돌출되되, 상면과 하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일정 호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순환가이드부(42)는 제1순환가이드부(41)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제1순환가이드부(41)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순환되는 피처리수를 제2순환가이드부(42)의 하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순환시킨다.
다시 말해, 제1순환가이드부(41)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되는 피처리수는 제2순환가이드부(42)에 의해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시켜 순환시키되, 하측으로 더욱 많이 순환시켜 부상여과조(1000)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유입부(1010)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특히, 유입된 피처리수를 순환시켜 유기물 등이 응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여과망(11) 및 배출여과망(12)이 장착된 여과탱크(50), 부상여재(14), 제1프로펠러(15), 제2프로펠러(16), 초음파발진기(17), 및 가이드격벽(60)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부상여과장치(1020)는 여과탱크(50) 내부에 부상여재(14)가 수용되며, 상기 부상여재(14)는 피처리수와 함께 강제 대류 방식에 의해 여과탱크(50) 내부를 순환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여과탱크(50)는 피처리수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저면에 유입여과망(11)이 장착된다. 상기 유입여과망(11)은 피처리수는 유입시키되, 내부의 부상여재(14)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아주는 사이즈의 메쉬구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 여과탱크(50) 내부에서 처리된 피처리수의 배출을 위해 상단 측벽에 상기 배출부(1030)와 연결되는 배출여과망(12)이 장착된다. 상기 배출여과망(12)을 통해 처리수는 배출부(1030)로 배출되지만, 부상여재(14)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사이즈의 메쉬구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상기 제1프로펠러(15)는 여과탱크(50) 내부 일측(이하, 「제1측」이라 한다.) 상단에 장착된다.
상기 제1프로펠러(15)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피처리수(부상여재(14)와 함께)를 수평방향으로 반대편인 타측(이하, 「제2측」이라 한다.)으로 흐름을 일으켜 이송시킨다.
제1프로펠러(15)에 의해 제2측으로 이송된 부상여재(14)를 포함하는 피처리수는 배출여과망(12)에 이르러 일부는 처리수로 배출되고, 부상여재(14)는 하방으로 중력 혹은 강제대류에 의해 침강한다.
상기 제2프로펠러(16)는 여과탱크(50)의 제2측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제2프로펠러(16)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피처리수와 함께 침강된 부상여재(14)를 반대편인 제1측 방향으로 흐름을 일으켜 순환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서 초음파발진기(17)는 여과탱크(50)의 제1측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초음파발진기(17)는 제2프로펠러(16)에 의해 이송된 피처리수와 부상여재(14)를 향하여 초음파를 방사한다. 상기 초음파의 방사는 부상여재(14)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부착되어 케이크를 형성할 경우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일정 주기, 예를 들어 역세 과정마다 수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초음파 방사를 통해 탈리되는 케이크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침강되어 부상여과조(1000) 저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프로펠러(15), 제2프로펠러(16), 및 초음파발진기(17)는 부상여과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측벽 내부 수용부(15a, 16a, 17a)에 각각 별도 수납되어 보호되고, 그 입구는 여과망(15b, 16b, 17b)에 의해 보호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초음파 방사는 여과과정 중에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도 되는데, 이는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의 부상여재(14)와의 접촉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에 의해 탈리되는 오염물질은 상대적으로 큰 물질인 경우 하방으로 침강되어 제거되거나 미세한 물질은 유입되는 원수와 함께 재부유되고 혼합되어 함께 처리되어진다. 이 과정에 의하면 부상여재(14)에 오염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아 오랜 기간 동안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여과탱크(50) 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제2측의 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이드격벽(6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격벽(60)은 제1프로펠러(15)의 동작에 의해 제2측으로 이송되는 피처리수 및 부상여재(14)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격벽(60)은 제2측의 측벽과 적어도 1 이상의 지지대(61)에 의해 이격 지지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격벽(6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1 이상의 산소공급부(62)가 장착되어진다. 상기 산소공급부(62)는 가이드격벽 내부에 장착된 산소공급관(62a)과 산소공급노즐(62b)로 구성된다. 상기 산소공급부(62)는 외부 산소공급실린더 내지 콤프레셔와 같은 산소공급장치(70)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여과탱크(50) 내에서 피처리수와 함께 부상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흡착되고, 가이드격벽(60)에 의해 하방으로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산소공급부(62)에서 공급되는 산소 미세기포에 의해 흡착된 유기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처리할 수 있어 폐수의 처리효율은 추가적으로 개선되어진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격벽(60)과 대면되는 제2측의 측벽에 제2산소공급부(64)가 더 구비되어 산소를 공급함에 따라, 부상여재(14)에 흡착된 유기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처리할 수 있다.
이 제2산소공급부(64)는 산소공급부(62)와 동일한 구성임에 따라,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가이드격벽(60)과 제2측의 측벽 사이 공간에 필터막(66)을 더 구비된다.
이 필터막(66)은 부상여재(14)가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유기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부피가 큰 부상여재(14)는 통과되지 못하고 정체된다.
이에, 산소공급부(62)와 제2산소공급부(64)에서 공급되는 산소 미세기포에 의해 유기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산화되어 제거될 경우, 부상여재(14)가 통과되어 새로 유입되는 피처리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다시 흡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순환가이드조절부(80)는 순환가이드부(40)에 의해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순환가이드조절부(80)는 순환위치조절부(81)와 유입량센서(82), 배출량센서(83), 저류량센서(84) 및 순환가이드조절제어부(85)를 포함한다.
순환위치조절부(81)는 제1순환가이드부(41)와 제2순환가이드부(42)의 각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유입량센서(82)는 유입부(1010)를 통해 유입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배출량센서(83)는 배출부(1030)를 통해 배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저류량센서(84)는 유입공간부(1040)에 저류된 피처리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순환가이드조절제어부(85)는 유입량센서(82), 배출량센서(83), 저류량센서(84)의 신호를 수신하여 순환위치조절부(81)를 제어함에 따라,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순환가이드조절부(80)에 의하면, 피처리수의 유입량에 따라, 부상여과장치(1020)의 여과탱크(50)로 유입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조절하여 처리량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수고도처리장치는 부상살균부(90)를 더 포함된다.
이 부상살균부(90)는 유입공간부(1040)를 살균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부상살균부(90)는 살균조명부(91)와 광촉매부(92)를 포함한다.
살균조명부(91)는 유입공간부(1040)를 조명을 조사하도록 부상여과조(10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광촉매부(92)는 유입공간부(1040)에 형성되어 살균조명부(91)에서 조사되는 광에 반응한다.
이 살균조명부(91)를 작동시켜 주변으로 살균기능을 갖는 광을 조사함에 따라, 광촉매부(92)와 함께 유입공간부(1040)를 살균시킨다.
여기서, 살균조명부(91)는 복수의 LED로, UV, 405nm 파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사하며, UV는 단파(C)로 220 ~ 260nm의 파장을 조사한다.
이 405nm 파장은 살균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태양광의 일광 소독 효과와 동일하며, 대장균을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부(92)는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유입공간부(1040)에 도포되며, 순환가이드부(40)와 부상여과장치(1020)에도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촉매부(92)인 이산화티타늄(TiO2)은 산화력이 매우 큰 것으로, 항균 작용과 악취제거, 살균작용을 한다.
특히, 이산화티타늄(TiO2)인 광촉매부(92)는 살균조명부(91)의 UV나 405nm 파장과 반응하여 살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부상여재(14)가 내부에서 순환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기존 부상여과 방식에 비해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처리효율은 크게 개선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프로펠러(15) 및 제2프로펠러(16)의 크기 및 최적의 회전속도는 피처리수의 점도, 양, 내지 수용된 부상여재의 함량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하수고도처리장치는 도 5과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펜톤산화부(10)를 더 포함한다.
이 펜톤산화부(10)는 반응조(100)와 하폐수공급부(200), 펜톤산화물질공급부(300), 메인공급부(400), 결정체(500), 처리수배출부(600), 침전물배출부(700), 순환부(800) 및 펜톤필터막(900)을 포함한다.
반응조(100)는 내부에 반응공간부(110)가 형성되고, 하폐수공급부(200)는 하폐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펜톤산화물질공급부(300)는 펜톤산화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메인공급부(400)는 하폐수공급부(200)와 펜톤산화물질공급부(300)에서 공급된 하폐수와 펜톤산화물질을 반응조(1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결정체(500)는 반응조(100)의 반응공간부(110)에 다량 위치되어 메인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하폐수에 유동되면서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부착되기 위해 구비된다.
처리수배출부(600)는 반응조(1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며, 침전물배출부(700)는 반응조(100)에서의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중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펜톤산화부(10)에 의하면, 반응기(100)의 반응공간부(110)에 하폐수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펜톤산화물질을 공급하여 하폐수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결정체(500)에 부착되고, 부착되지 않은 슬러지는 침전되어 배출된다.
이에, 하폐수에 대한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처리과정에서 발생되어 침전되는 슬러지의 량을 절감시켜 슬러지 처리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순환부(800)는 반응공간부(110)에서 처리된 처리수의 일부를 메인공급부(400)로 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순환부(800)는 순환관(810)과 순환펌프(820)로 구성된다.
순환관(810)의 유입단은 반응조(100)에 연결되고, 배출단이 메인공급부(4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순환펌프(820)는 순환관(810)을 통해 처리수의 일부를 반응 공간부(110)의 하단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공급부(400)에 의해 반응공간 부(110)의 하단부로 공급된다.
또한 순환부(800)는 결정체세척부(830)를 더 포함한다.
이 결정체세척부(830)는 순환관(810)을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를 저장하여 함께 이송된 결정체(500)에서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결정체세척부(830)는 탈거저장조(831)와 탈거필터망(832), 원심분리 부(833), 결정체순환부(834) 및 세척슬러지 배출부(835)를 포함한다.
탈거저장조(831)는 순환관(810)을 통해 이송된 결정체(500)가 포함된 처리수 를 임시저장시킨다.
그리고 탈거필터망(832)은 탈거저장조(831)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된 처리수 에서 결정체(500)를 분리시켜 일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원심분리부(833)는 원심력에 의해 탈거필터망(832)에 걸려진 배출된 결정 체(500)에서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결정체순환부(834)는 원심분리부(833)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결정 체(300)를 순환관(810)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세척슬러지 배출부(835)는 원심분리부(833)에서 분리된 슬러지가 배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순환되는 처리수와 함께 세척된 결정체(500)를 펜톤산화부(10)로 순환 시킴에 따라, 펜톤산화부(10)에 유입된 슬러지에 대한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 다.
그리고 펜톤필터막(900)은 반응공간부(110)의 결정체(500)가 처리수배출부(6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펜톤필터막(900)은 제1펜톤필터막(910)과 제2펜톤필터막(920)으로 구성된다.
제1펜톤필터막(910)은 액체만 통과되고, 결정체(500)는 걸러지기 위한 미세기공을 갖고, 반응공간부(11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펜톤필터막(920)은 제1펜톤필터막(910)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제1펜톤필터막(910)보다 큰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액체와 함께 일정크기의 결정체(500)가 통과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펜톤필터막(920)을 통과하지 못하는 결정체(500)는 반응공간부에서 슬러지가 계속 부착됨이 당연하다.
여기서, 제1펜톤필터막(910)과 제2펜톤필터막(920) 사이에 위치된 하폐수와 펜톤산화물질 및 결정체(500)는 순환관(800)의 유입단을 통해 메인공급부(400)로 이동되어 다시 반응공간부(110)로 순환된다.
이에, 하폐수 처리효율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여기서, 메인공급부(4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판(410)과 공급하우징(420), 분사공(430), 공급공(440) 및 침전물이동부(450)로 구성된다.
공급판(410)은 반응조(100)의 반응공간부(110) 하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공급하우징(420)은 공급판(410)의 하측에 공급공간부(422)가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분사공(430)은 공급판(410)에 복수 구비된다.
공급공(440)은 공급하우징(420)의 공급공간부(422)로 하폐수공급부(200)와 펜톤산화물질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하폐수와 펜톤산화물질이 유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침전물이동부(450)는 공급판(410)의 외측부를 따라 구비되어 반응공간부(110)에서 발생된 침전되는 슬러지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메인공급부(4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하폐수공급부(200)와 펜톤산화물질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하폐수와 펜톤산화물질이 공급공(440)을 통해 공급공간부(422)로 공급된 후, 복수의 분사공(430)을 통해 반응공간부(110)로 공급되어 하폐수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공급판(4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450)가 더 포함된다.
이 회전부(450)는 회전샤프트(452)와 고정하우징(454) 및 회전구동부(456)로 구성된다.
회전샤프트(452)는 공급판(410)과 함께 회전되는 공급하우징(420)에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하우징(454)은 내부에 공급유로(455)가 형성되며, 공급하우징(420)이 회전 가능하도록 반응조(100)에 구비된다.
회전구동부(456)는 회전샤프트(452)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하우징(454)은 제1고정하우징(4542)과 제2고정하우징(4544)로 구성된다.
제1고정하우징(4542)은 내부에 제1공급유로(4552)가 형성되고, 제2 고정하우징(4544)은 내부에 제2공급유로(4554)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고정하우징(4542)의 공급유로(4552)로 하폐수공급부(200)의 하폐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이 하폐수는 제1공급공간부(422a)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고정하우징(4544)의 제2공급유로(4554)로 펜톤산화물질공 급부(300)의 펜톤산화물질이 공급되는 것으로, 이 펜톤산화물질은 제2공급공간부 (422b)로 공급된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응조(100)는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격벽(120)이 구비되어 반응공간부(110)를 제1반응공간부(112)와 제2반응공간부(114)로 구획한다.
그리고 제2반응공간부(114)에 다량의 결정체(500)가 위치된다.
이러한 제1반응공간부(112)와 제2반응공간부(114)로 메인공급부(400)를 통해 하폐수와 펜톤산화물질이 공급된다.
이에, 하폐수는 제1반응공간부(112)에서 펜톤산화물질에 의해 처리되고,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침전된다.
그리고 제2반응공간부(114)에서도 하폐수가 펜톤산화물질에 의해 처리되고,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결정체(500)에 의해 처리된다.
일 실시 예로, 반응공간부(110)는 격벽(120)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획되는 것으로, 복수 개 구획될 경우, 제1반응공간부(112)와 제2반응공간부(114)가 교번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복수의 제1반응공간부(112)와 복수의 제2반응공간부(114)가 각각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여기서, 제1반응공간부(112)에서 펜톤산화처리된 1차 처리수는 순환부(800)에 의해 제2반응공간부(114)로 공급되어 펜톤산화물질과 반응하여 2차 처리된다.
물론, 어느 하나의 제1반응공간부(112)에서 펜톤산화처리된 1차 처리수가 제2반응공간부(114)에서 2차 처리된 후, 다른 제1반응공간부(112)를 통해 3차 처리될 수 있음이 당연하며, 그 이상의 처리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에, 하폐수에 대한 처리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침전물의 량을 절감시켜 침전물 처리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여과탱크 20: 부상여재
30: 제1프로펠러 40: 제2프로펠러
50: 초음파발진기 60: 가이드격벽
100: 부상여과조 110: 유입부
120: 부상여과장치 130: 배출부
150: 카메라부 200: 고온살균부
300: 상황분석서버 400 : 순환가이드부

Claims (4)

  1. 유량조정조(1);
    유량조정조(1)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혐기조(2);
    상기 혐기조(2)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의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3);
    상기 무산소조(3)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 중으로 공기를 폭기시켜 질소를 질산화시키는 호기조(4);
    상기 호기조(4)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펜톤산화처리하기 위한 펜톤산화부(10);
    상기 펜톤산화부(10)로부터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상등액과 슬러지로 분리시키는 침전조(5);
    열교환에 의해 피처리수를 고온살균처리하는 고온살균부(20);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10), 피처리수 유입공간부(1040)에 장착되는 부상여과장치(1020), 피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030)를 갖는 부상여과조(1000);
    상기 부상여과조(1000)의 유입공간부(1040)의 피처리수를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하기 위한 순환가이드부(40); 및
    상기 순환가이드부(40)에 의해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순환가이드조절부(80);를 포함하고,
    상기 펜톤산화부(10)는,
    내부에 반응공간부를 갖는 반응조(100);
    하폐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폐수공급부(200);
    펜톤산화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펜톤산화물질공급부(300);
    상기 하폐수공급부(200)와 펜톤산화물질공급부(300)에서 공급된 하폐수와 펜 톤산화물질을 반응조(1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메인공급부(400);
    상기 반응조(100)의 반응공간부(110)에 다량 위치되어 메인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하폐수에 유동되면서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부착되기 위해 구 비되는 결정체(500);
    상기 반응조(10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처리수배출 부(600);
    상기 반응조(100)에서의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중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침전물배출부(700);
    상기 반응공간부(110)에서 처리된 처리수의 일부를 메인공급부(400)로 순환 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순환부(800); 및
    상기 반응공간부(110)의 결정체(500)가 처리수배출부(6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펜톤필터막(900);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800)는,
    유입단은 상기 반응조(100)에 연결되고, 배출단이 상기 메인공급부(400)에 연결되는 순환관(810);
    상기 순환관(810)을 통해 처리수의 일부를 반응 공간부(110)의 하단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공급부(400)에 의해 반응공간부(110)의 하단부로 공급되 는 순환펌프(820); 및
    상기 순환관(810)을 통해 이동되는 처리수를 저장하여 함께 이송된 결정 체(500)에서 슬러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결정체세척부(8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는 배출부(1030)와 연결되도록 유입공간부(1040)의 타측부에 위치되어 유입공간부(1040)의 일측부에 유입된 피처리수가 저장되는 부상 저장공간(1042)이 형성되고, 부상저장공간(1042)의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하단부가 유입공간부(1040)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순환가이드부(40)는,
    상기 부상여과장치(1020)의 일측면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010)를 통해 유입되는 피처리수를 일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1순환가이드부(41); 및
    상기 제1순환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입공간부(1040)의 일측 내벽 중앙부에 구비되어 제1순환가이드부에 의해 순환되는 피처리수를 상측과 하측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2순환가이드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순환가이드부(41)는,
    중앙부가 일측으로 돌출되되, 상면과 하면이 타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일정 호로 형성되고,
    상기 제2순환가이드부(42)는,
    중앙부가 타측으로 돌출되되, 상면과 하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일정 호로 형성되며,
    상기 제2순환가이드부(42)는 제1순환가이드부(41)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제1순환가이드부(41)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순환되는 피처리수를 제2순환가이드부(42)의 하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순환시키고,
    상기 순환가이드조절부(80)는,
    상기 제1순환가이드부(41)와 제2순환가이드부(42)의 각 위치를 조절하기 위 해 구비되는 순환위치조절부(81);
    유입부(1010)를 통해 유입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유 입량센서(82);
    배출부(1030)를 통해 배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배출량센서(83);
    유입공간부(1040)에 저류된 피처리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저류량 센서(84);
    유입량센서(82), 배출량센서(83), 저류량센서(84)의 신호를 수신하여 순환위 치조절부(81)를 제어함에 따라, 부상여과장치(1020)로 가이드되는 피처리수의 량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순환가이드조절제어부(85);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공간부(1040)를 살균시키기 위한 부상살균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상살균부(90)는,
    상기 유입공간부(1040)를 조명을 조사하도록 부상여과조(10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살균조명부(91); 및
    상기 유입공간부(1040)에 형성되어 살균조명부(91)에서 조사되는 광에 반응하는 광촉매부(92);를 포함하는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31057A 2022-03-11 2022-03-11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245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57A KR102452661B1 (ko) 2022-03-11 2022-03-11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57A KR102452661B1 (ko) 2022-03-11 2022-03-11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661B1 true KR102452661B1 (ko) 2022-10-11

Family

ID=8359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057A KR102452661B1 (ko) 2022-03-11 2022-03-11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452A (ja) * 1997-07-11 1999-02-02 Plantec:Kk 病源性微生物を含有する排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0986036B1 (ko) * 2010-08-17 2010-10-07 (주)도드람환경연구소 가축분뇨 처리방법
KR101299953B1 (ko) * 2011-12-08 2013-08-26 김두익 생물활성수(bmw) 공법에 의한 축산폐수의 효율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452A (ja) * 1997-07-11 1999-02-02 Plantec:Kk 病源性微生物を含有する排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0986036B1 (ko) * 2010-08-17 2010-10-07 (주)도드람환경연구소 가축분뇨 처리방법
KR101299953B1 (ko) * 2011-12-08 2013-08-26 김두익 생물활성수(bmw) 공법에 의한 축산폐수의 효율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79543A (ja) 曝気槽を用いた有機排水処理方法
KR20150028978A (ko) 마이크로오존버블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수처리방법
CN107021587A (zh) 一种利用撬装式光催化反应处理系统处理废水的工艺
KR102452662B1 (ko) 펜톤산화 및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0970425B1 (ko) 폐수복합처리방법
CN107585970A (zh) 一种工业反渗透浓水中难降解有机物深度处理的工艺
CN208562075U (zh) 臭氧氧化-bac过滤-复合催化氧化深度处理焦化废水的系统
JP4409532B2 (ja) 畜産廃水及び糞尿等のような高濃度の窒素を含む汚廃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1858028B1 (ko)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KR20060084232A (ko) 축산 폐수 처리시스템
KR102452661B1 (ko)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2452659B1 (ko)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2581817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부상여과조를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2452663B1 (ko) 펜톤산화 및 피처리수의 유입량 조절 가능한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2097717B1 (ko) 급속 부상 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 분뇨 및 오폐수 처리 설비
CN217780957U (zh) 一种基于分质处理的紫外协同臭氧催化氧化水处理装置
KR100486775B1 (ko) 고급산화법을 이용한 난분해성 축산폐수 처리방법 및 이를이용한 처리장치
KR101304329B1 (ko) 청소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버블 디퓨저를 이용한 폐수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버블 반응기
KR102496233B1 (ko) 복합여과 방식의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0711259B1 (ko) 정화처리 장치
KR102497137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부상여과조를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0435107B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질소, 인 제거를 위한 고도 처리장치 및 고도처리방법
CN108658393A (zh) 臭氧氧化-bac过滤-复合催化氧化深度处理焦化废水的系统及其处理方法
KR200219789Y1 (ko) 선박오수처리장치
KR101163968B1 (ko) 초미세기포 생물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