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617B1 -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617B1
KR102452617B1 KR1020160000620A KR20160000620A KR102452617B1 KR 102452617 B1 KR102452617 B1 KR 102452617B1 KR 1020160000620 A KR1020160000620 A KR 1020160000620A KR 20160000620 A KR20160000620 A KR 20160000620A KR 102452617 B1 KR102452617 B1 KR 102452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e
cover
unit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503A (ko
Inventor
노승현
Original Assignee
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도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의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커버부; 및 양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도어의 일 측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ADVERTISEMENT APPARATUS ATTACHED DOOR}
본 발명은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어 문틀에서의 신체 끼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나 건물에는 깨끗하고 미려한 외관을 부각시키면서, 현관으로 자연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도어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힌지형 도어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강화유리도어(100)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재와, 유리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도어프레임을 구비하고, 도어프레임은 문틀에 상하부 일측이 힌지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리재가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도어(100)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어(100)의 유리재와 문틀 사이에는 도어(100)의 힌지 회전을 위한 유격이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사람의 손가락 등과 같은 신체 일부가 끼어 상해를 당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손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힌지나 손잡이 등에 손 끼임 방지를 위한 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는 점에서, 설치나 사용 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외관 상 좋은 미감을 주지 못하여,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힌지용 도어(100)를 많이 이용하는 일반 상점가 등에서는 사용자의 외면을 받아 그 실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문틀에서의 신체 끼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도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의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커버부; 및 양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도어의 일 측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부는 양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하되 연장 단부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기저면, 상기 기저면의 외측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내향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커버부 및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불투명 커버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반대 편에 부착되는 제 2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2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베이스부는 중앙에 개방 영역이 형성된 제 2 기저면 및 상기 제 2 기저면의 외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상기 커버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가 힌지 연결되는 문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끼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부는 양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이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부와 통신하여 광고 컨텐츠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및 상기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와 통신하며 광고 컨텐츠 및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원형 커버를 이용하여 간이한 방식으로 신체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과정이 간단하고, 도어의 부착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보다 향상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인의 이용이 빈번한 도어에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상업성 및 실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광고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하여, 광고 진행의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를 옥내에서 설치하되,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이 옥외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옥내 설치물로서 옥외 광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힌지형 도어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이용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이용 예를 도시한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이용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200)는 도어에 부착되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커버부(230) 및 고리부(24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도어 표면에 부착되어,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200)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부(210)는 도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견고한 지지를 위한 플라스틱, 금속 등 경질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20)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베이스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지지하는 기저면(212) 및 기저면(212)으로부터 전면으로 돌출하여 디스플레이부(220)를 감싸거나 고리부(240, 240')가 거치되는 테두리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어 표면, 특히 도어의 유리재 표면에 부착되기 위해,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적어도 일 영역 상에 형성되는 표시 영역(225)을 포함하며, 이러한 표시 영역(225)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표시 영역(225)이 커버부(23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225)이 커버부(230)의 반대편(즉, 도어 방향)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10)의 테두리부(214)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200)(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커버부(230)는 베이스부(210)의 전면에 배치되며, 베이스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23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200)가 도어의 가장 자리, 특히 힌지 연결부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경우, 커버부(230)가 도어의 힌지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힌지 동작에 의한 도어의 회전 영역 및 문틀 사이의 공간 변화를 고려하여, 커버부(230)가, 반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230)는 베이스부(2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230)는 양 단부에서 베이스부(210)를 향해 연장하되 연장 단부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235, 2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210)는 테두리부(214) 상에 형성되어 커버부(230)의 걸림 돌기(235, 235')가 삽입될 수 있는 내향 홈(216, 2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커버부(230) 전체가 투명한 것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23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및/또는 불투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230) 중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영역(225)에 대응하는 영역은 투명 커버부일 수 있으며, 커버부(230) 중 투명 커버부를 제외한 영역은 불투명 커버부일 수 있다. 즉, 투명 커버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20)에서 표시되는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불투명 커버부에 광고 문구 등을 기재함으로써 개선된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불투명 커버부는 불투명 재질로 구현되거나, 투명 커버부의 표면에 불투명 재질의 코팅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고리부(240, 240')는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200)(특히, 베이스부(210))가 도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부(240, 240')는 양 단부에 고리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각 절곡부가 베이스부(210)(특히, 베이스부(210)의 테두리부(214)) 및 도어 측면 각각 걸리도록 하여, 베이스부(210), 나아가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200)를 도어에 안정적으로 고정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도시되지 않으나,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외부(특히, 외부의 사용자 단말)와 통신하여 광고 컨텐츠 및/또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표시 종료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200)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는 베이스부(210) 및/또는 커버부(230)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하여,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30)에 의해 개방된 영역을 밀폐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는 제 2 베이스부(310), 제 2 커버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부(310) 및 제 2 커버부(320)는 도어를 기준으로 베이스부(210) 및 커버부(230)의 반대편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제 2 베이스부(310) 및 제 2 커버부(320)가 추가적으로 설치됨으로써,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가 도어의 (특히, 힌지 연결부 측에 인접하여) 양면에서 손 끼임 등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부(310)는, 베이스부(210)와 달리, 도어와 접하되 중앙 영역이 개방되는 제 2 기저면(312) 및 제 2 테두리부(314)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리부(330, 330')는 베이스부(210) 및 제 2 베이스부(310) 모두를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고리부(330, 330')는 양 단부에 고리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각각 베이스부(210) 및 제 2 베이스부(310)에 걸리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양 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에 다단 절곡부가 형성되어 도어 측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커버부(320)는 불투명 커버부일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20)에서 표시되는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과 더불어, 불투명한 제 2 커버부(320)에 광고 문구 등을 기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 컨텐츠가 도어의 어느 방향에서나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전면 및 배면 중 어디에서 접근하더라도,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에 의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 받게 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는 제 2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제 2 베이스부(310)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20)와는 반대 방면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이용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400)에 고정된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가 도시된다. 고리부(330, 330')를 통해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는 용이하게 도어(4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도어(400)의 가장 자리, 특히 힌지 연결부에 인접하여 부착됨으로써, 도어(400)의 이용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 내의 디스플레이부(220) 및/또는 커버부(230)의 적어도 일부에 기재된 광고 문구 등이 도어(4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10)는 도어에 부착되되 커버부(230)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210)의 기저면(212)이 도어 측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커버부(230) 방향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테두리부(214)가 도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210)는, 제 2 베이스부(310)와 마찬가지로, 기저면(212)의 중앙 영역이 개방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 또한, 베이스부(210)에 부착되되, 표시 영역(225)이 커버부(230)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영역(225)을 커버부(230)와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즉,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영역(225)이 제 2 베이스부(310) 및 제 2 커버부(320)를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표시 영역(225)에 의한 광고 컨텐츠가 도어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기 도 6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옥내 설치물에 의한 옥외 광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영역(225)이 제 2 커버부(320)를 향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제 2 커버부(320) 중 적어도 일부 영역(특히,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영역(225)에 대응하는 적어도 영역)은 투명 커버부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영역(225)에서 표시되는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230) 중 디스플레이부(220)의 표시 영역(225)이 대응하지 않는 영역은 불투명 커버부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불투명 커버부에 광고 문구 등을 기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컨텐츠가 도어의 어느 방향에서나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전면 및 배면 중 어디에서 접근하더라도,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에 의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 받게 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이용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220)는 베이스부(210)에 결합하되, 표시 영역(225)이 커버부(230)의 반대 방향(즉, 도어(400), 제 2 베이스부(310), 제 2 커버부(320) 등)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는 경우에도, 제 2 베이스부(310)의 제 2 기저면(312)의 중앙 영역이 개방되고, 제 2 커버부(320)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으로 구현되므로, 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한 광고 컨텐츠는, 도어(400), 제 2 베이스부(310) 및 제 2 커버부(320)를 통하여 도어(400)에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도 6에서 도어(400)의 전방이 옥외에 해당하고, 도어(400)의 후방이 옥내에 해당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20)를 옥내에서 설치하되, 표시 영역(225)이 옥외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옥외의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옥내 설치물로서 옥외 광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를 도시하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의 이용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는 끼임 방지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끼임 방지부(340)는 도어(400)가 힌지 연결되는 문틀(50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어(400)와 문틀(5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최대한 밀폐하여, 상기 이격 공간으로의 손가락 등 신체의 진입을 방지하고, 단열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임 방지부(340)는 문틀과 결합되는 결합부(342); 결합부(342)의 표면에서,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의 커버부(230, 320)를 향하여 형성되는 브러쉬부(344); 및 결합부(342)의 표면, 특히, 브러쉬부(344)의 외측에서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의 커버부(230, 3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밀폐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밀폐부(346)를 통해 도어(400)와 문틀(500) 사이의 공간으로 신체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브러쉬부(344)를 통해 밀폐부(346)가 닿지 않는 영역까지 커버하여 향상된 밀폐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끼임 방지부(340)의 형상이나 재질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346)의 돌출 길이는, 도어(400)의 힌지 동작 시, 커버부(230, 32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광고 시스템(700)은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 특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600)을 광고 컨텐츠 및/또는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에 전송함으로써,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에는,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표시 종료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300, 300' 도어부착형광고 장치 210 베이스부
212 기저면 214 테두리부
216, 216' 내향 홈 220 디스플레이부
225 표시 영역 230 커버부
235, 235' 걸림 돌기 240, 240', 330, 330' 고리부
310 제 2 베이스부 312 제 2 기저면
314 제 2 테두리부 320 제 2 커버부
340 끼임 방지부 342 결합부
344 브러쉬부 346 밀폐부
400 도어 500 문틀
600 사용자 단말 700 광고 시스템

Claims (13)

  1.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로서,
    도어에 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의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커버부; 및
    양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도어의 일 측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도어에 고정시키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반대 편에 부착되는 제 2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2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는 양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이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반원 형상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부는 양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연장하되 연장 단부에서 양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기저면, 상기 기저면의 외측에서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내향 홈을 포함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커버부 및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불투명 커버부로 구성되는,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부는 중앙에 개방 영역이 형성된 제 2 기저면 및 상기 제 2 기저면의 외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 2 베이스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상기 커버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힌지 연결되는 문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끼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와 통신하여 광고 컨텐츠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를 이용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및
    상기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와 통신하며 광고 컨텐츠 및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KR1020160000620A 2016-01-04 2016-01-04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KR102452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20A KR102452617B1 (ko) 2016-01-04 2016-01-04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620A KR102452617B1 (ko) 2016-01-04 2016-01-04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03A KR20170081503A (ko) 2017-07-12
KR102452617B1 true KR102452617B1 (ko) 2022-10-11

Family

ID=5935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620A KR102452617B1 (ko) 2016-01-04 2016-01-04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80Y1 (ko) 2003-06-05 2003-08-19 송병구 다기능 멀티 광고판
KR200398996Y1 (ko) * 2005-07-27 2005-10-18 문형순 도어용 옷걸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766A (ko) * 2011-08-17 2013-02-27 삼도산업전기(주) 스크린도어의 영상 표출 제어장치
KR101507740B1 (ko) * 2012-06-29 2015-04-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옥외 광고 led 전광판 및 상호 작용 방법
KR101518392B1 (ko) * 2013-10-16 2015-05-12 류녹수 모자이크 간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39211B1 (ko) * 2014-03-11 2016-07-13 노승현 광고 기능을 구비한 단열 및 끼임방지를 위한 강화유리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80Y1 (ko) 2003-06-05 2003-08-19 송병구 다기능 멀티 광고판
KR200398996Y1 (ko) * 2005-07-27 2005-10-18 문형순 도어용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03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7304A (zh) 用于窗户配列的无框辅助窗户
KR100824370B1 (ko)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KR20150113757A (ko)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KR101695657B1 (ko) 손 끼임 방지용 도어시스템
US20210115715A1 (en) Assembly of Door and Door Frame With Reduced Risk of Squeeze Caused Injuries
WO2007044838A3 (en) Hinged window screen
KR101639211B1 (ko) 광고 기능을 구비한 단열 및 끼임방지를 위한 강화유리도어
KR102452617B1 (ko) 도어 부착형 광고 장치
AU7585100A (en) Window protector assembly
KR102431062B1 (ko) 합성 수지 재질의 프레임을 금속 재질의 프레임으로 커버하여 단열성과 내구성을 모두 확보한 창문
US20020112422A1 (en) Attachment system for a decorative member
KR20190117282A (ko) 손끼임방지 도어용 안전장치
WO2016177064A1 (zh) 维护窗
US20190352962A1 (en) LED slat device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200368413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안전커버
KR200272167Y1 (ko) 출입문 외시경 구조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GB1078264A (en) Weatherproof hinge
KR20200001264A (ko) 보조문을 설치하기 위한 기둥 모듈
US20060090297A1 (en) Hinge capable of being installed to interior or exterior of doorplate
KR200300531Y1 (ko) 방풍 브러시 구조
CN209799792U (zh) 一种带隐藏关闭装置的防火窗
CN211950066U (zh) 一种玻璃自动门止摆器
KR102200479B1 (ko) 기설치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 안전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