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397B1 -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397B1
KR102452397B1 KR1020220039916A KR20220039916A KR102452397B1 KR 102452397 B1 KR102452397 B1 KR 102452397B1 KR 1020220039916 A KR1020220039916 A KR 1020220039916A KR 20220039916 A KR20220039916 A KR 20220039916A KR 102452397 B1 KR102452397 B1 KR 10245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oilet
fall prevention
prevention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연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연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연애드
Priority to KR102022003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A47K17/024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pivotally mounted on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프론트 바아(122)에 좌우측 사이드 바아(124)가 결합된 낙상 방지 프레임(120);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가 설치된 장소의 벽체(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킨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Toilet seat supporter with fall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에 착석한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좌변기 사용이 없을 때에는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과 같은 장소의 벽체 쪽으로 접어 놓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약자나 장애인 등은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이는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세면할 경우나 용변을 볼 경우에 관절 및 근육부위 등에 많은 힘이 가해지므로 혼자 사용하는 욕실이나 화장실 내에서 신체를 균형있게 지지하지 못하여 미끄러지거나,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애로를 겪는 등 다수의 불편이 있으며, 노약자나 장애인 등이 욕실이나 화장실 내에서 안전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좌변기를 사용하는 노약자나 장애인(이하, 사용자라 함)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보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좌변기 주위에 설치되는 안전 보조구들은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와 제조 원가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와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좌변기 근처에 안전 보조구가 있게 되어서 추후에 사용자들이 사용할 때에 안전 보조구가 걸리적 거려서 사용시 불편을 겪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4525호(2017년08월18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4525호(2017년08월18일 공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0463호(2001년07월18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3426호(2002년01월2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에 착석한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좌변기 사용이 없을 때에는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과 같은 장소의 벽체 쪽으로 접어 놓을 수 있어서 추후 좌변기 사용시 걸리적거리지 않고 벽체에서 회동식으로 내려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새로운 구성의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바아(122)에 좌우측 사이드 바아(124)가 결합된 낙상 방지 프레임(120);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가 설치된 장소의 벽체(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킨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가 제공된다.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은, 상기 프론트 바아(122)의 양단부에 좌우 한 쌍의 나란한 사이드 바아(124)의 선단부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는, 상기 벽체(3)에 장착된 좌우 한 쌍의 브라켓(132)과, 좌우 한 쌍의 상기 브라켓(132)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는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옆에서 볼 때에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선단부가 연결되어 기단부 쪽이 상기 프론트 바아(122)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상향 연장된 좌우 한 쌍의 곡선형 바아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프론트 바아(122)가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앞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는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좌우 옆쪽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좌변기(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의 위쪽으로 치워놓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는 핸들(126)이 결합되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에 좌우 한 쌍의 핸들(1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변기(2)에 앉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좌우 한 쌍의 핸들(126)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하향 회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126)은 상기 사이드 바아(124)와 나란하도록 곡선형 핸들(126)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126)에는 전후로 나란한 한 쌍의 핸들(126)측 연결 바아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126)측 연결 바아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126)에 의해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의 저면에는 스톱퍼(128)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28)의 하단부가 상기 좌변기(2) 뒤쪽의 벽체(3)에 장착된 브라켓(132)의 전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줄 수 있는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스톱퍼(128)의 하단부에는 쇽업 탄성체(128SHE)가 구비되어, 상기 쇽업 탄성체(128SHE)가 상기 브라켓(132)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프론트 바아(122)가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는 순간에 상기 쇽업 탄성체(128SHE)가 압축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프론트 바아(122)가 탄성적으로 하강되면서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상기 프론트 바아(122)가 받쳐줄 때에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측단부에는 전방으로 교차되도록 돌출된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이 구비되고,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 좌우 측면에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가 돌출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에 형성된 힌지핀홀과,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힌지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 사이에는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개재되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에 상기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일정 압력으로 밀착되어, 상기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에 의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를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지지되도록 받쳐주는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를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지지되도록 받쳐주는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는,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저면으로 돌출된 프론트 돌출 바아(FPB);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끼워지는 프론트 결합 링체(CR);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상기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과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상기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는,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의 저면으로 돌출된 사이드 돌출 바아(FPB);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끼워지는 사이드 결합 링체(CR);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상기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과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상기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저면에는 텔레스코프관(TP)이 결합되고, 상기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는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텔레스코프관(TP)의 각각의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가 펼쳐지면서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에 의해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의 저면에는 텔레스코프관(TP)이 결합되고, 상기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는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텔레스코프관(TP)의 각각의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가 펼쳐지면서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에 의해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좌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에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압 릴리스홀(170H);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결부(162); 상기 절결부(162)에 의해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압 작동편(164); 상기 가압 작동편(164)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압 작동 돌편(166);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가압 작동편(164) 사이에 개재된 가압 작동 탄성체(16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작동편(164)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압 작동 돌편(166)이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졀결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가압 작동편(164)이 상기 절결부(162)에 의해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중심부 쪽으로 좁혀짐과 동시에 상기 가압 작동 탄성체(167)는 압축되어 상기 가압 작동 탄성체(167)의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이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 작동편(164)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압 작동 돌편(166)이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에 형성된 상기 가압 릴리스홀(170H)로 들어와서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과 상기 가압 작동편(164)은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벌어지고 상기 가압 작동 탄성체(167)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연결핀(174); 상기 연결핀(174)에 결합되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프론트 쿠션재(176); 상기 연결핀(17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와 상기 프론트 쿠션재(176) 사이에 개재된 쿠션 작동 탄성체(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사이드 연결핀(194); 상기 사이드 연결핀(194)에 결합되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팔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사이드 쿠션재(196); 상기 사이드 연결핀(19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와 상기 사이드 쿠션재(196) 사이에 개재된 사이드 쿠션 작동 탄성체(1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는 고리부재(12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장소의 벽체(3)에는 행거 지지체(180)가 구비되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키고, 상기 고리부재(123)를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행거 지지체(180)에 상기 고리부재(123)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상기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 지지체(180)는 상기 벽체(3)에 고정된 행거 바아(182)와, 상기 행거 바아(182)에 결합되며 일측으로는 내외주면으로 연통된 고리부재 진입홀을 구비한 탄성 행거 슬리브(18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리부재(123)가 상기 탄성 행거 슬리브(184)의 상기 고리부재 진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탄성 행거 슬리브(18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는 기존의 좌변기 주위에 설치되는 안전 보조구들과 달리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하면서도 구조 자체는 간소화된 장점이 있고, 구조가 간소화되어서 제조 원가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에 설치할 때에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좌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동 결합 지지부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놓기만 하면 좌변기 근처에 안전 보조구가 있게 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추후에 사용자들이 사용할 때에 낙상 방지 프레임이 걸리적 거려서 사용시 불편을 겪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좌변기 주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의 사이드 바아와 회동 결합 지지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하고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의 사이드 바아의 일부와 회동 결합 지지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좌변기 주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텔레스코프관과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를 프론트 바아에서 상승시킨 상태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사이드 바아에서 상승시킨 상태와 프론트 로워 서포터와 사이드 로워 서포터에 의해 상승되어 있는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각각 프론트 바아와 사이드 바아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3의 (A)와 (B)는 도 9에 도시된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프론트 바아와 사이드 바아에서 각각 상승시킨 상태와 프론트 로워 서포터에 의해 상승되어 있는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를 프론트 바아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와 사이드 로워 서포터에 의해 상승되어 있는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사이드 바아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주요부인 사이드 바아에 사이드 크로스 바아와 절결부와 가압 작동편 및 가압 작동 돌편이 구비된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주요부를 회동 결합 지지부를 구성하는 브라켓에 결합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주요부인 사이드 크로스 바아와 절결부와 가압 작동편과 가압 작동 돌편 및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 사이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주요부인 사이드 크로스 바아와 절결부와 가압 작동편과 가압 작동 돌편 및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 사이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도 10에 도시된 낙상 방지 프레임에 프론트 쿠션재와 사이드 쿠션재가 결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프론트 쿠션재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의 고리부재를 걸어주도록 좌변기 뒤쪽의 벽체에 행거 지지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키고 낙상 방지 프레임의 고리부재를 행거 지지체에 걸어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3은 도 1A 부분의 확대된 정단면도로서 가압 콘택트 디스크와 브라켓과 낙상 방지 프레임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 부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좌변기 주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의 사이드 바아와 회동 결합 지지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하고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의 사이드 바아의 일부와 회동 결합 지지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를 좌변기 주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텔레스코프관과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를 프론트 바아에서 상승시킨 상태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사이드 바아에서 상승시킨 상태와 프론트 로워 서포터와 사이드 로워 서포터에 의해 상승되어 있는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각각 프론트 바아와 사이드 바아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3의 (A)와 (B)는 도 9에 도시된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프론트 바아와 사이드 바아에서 각각 상승시킨 상태와 프론트 로워 서포터에 의해 상승되어 있는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를 프론트 바아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와 사이드 로워 서포터에 의해 상승되어 있는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를 사이드 바아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주요부인 사이드 바아에 사이드 크로스 바아와 절결부와 가압 작동편 및 가압 작동 돌편이 구비된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주요부를 회동 결합 지지부를 구성하는 브라켓에 결합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주요부인 사이드 크로스 바아와 절결부와 가압 작동편과 가압 작동 돌편 및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 사이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주요부인 사이드 크로스 바아와 절결부와 가압 작동편과 가압 작동 돌편 및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 사이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도 10에 도시된 낙상 방지 프레임에 프론트 쿠션재와 사이드 쿠션재가 결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프론트 쿠션재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낙상 방지 프레임의 고리부재를 걸어주도록 좌변기 뒤쪽의 벽체에 행거 지지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낙상 방지 프레임을 좌변기 뒤쪽의 벽체 쪽으로 상향 회동시키고 낙상 방지 프레임의 고리부재를 행거 지지체에 걸어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3은 도 1A 부분의 확대된 정단면도로서 가압 콘택트 디스크와 브라켓과 낙상 방지 프레임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 부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는 낙상 방지 프레임(120)과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은 프론트 바아(122)에 좌우측 사이드 바아(124)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프론트 바아(122)는 일자형 바아 형상으로서, 프론트 바아(122)의 좌우측 양단부에 좌측 사이드 바아(124)의 선단부와 우측 사이드 바아(124)의 선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낙상 방지 프레임(120)은 위에서 볼 때에 역유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는 좌변기(2)가 설치된 장소의 벽체(3)에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킨다.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는, 좌우 한 쌍의 브라켓(132)과 힌지(134)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32)은 벽체(3)에 장착된다. 좌우 한 쌍의 브라켓(132)이 좌변기(2)의 뒤쪽 벽체(3)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힌지(134)는 좌우 한 쌍의 브라켓(132)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을 연결한다.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는 프론트 바아(122)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상향 연장된 좌우 한 쌍의 곡선형 바아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옆에서 볼 때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의 선단부가 프론트 바아(122)의 좌우 양쪽 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 쪽이 프론트 바아(122)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상향 연장된다.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좌변기(2) 뒤쪽의 벽체(3)에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옆에서 볼 때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가 프론트 바아(122)를 기준으로 상향 연장된 곡선형 바아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프론트 바아(122)가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앞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는 프론트 바아(122)에서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좌우 옆쪽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좌변기(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구체적으로, 좌변기(2)의 뒤쪽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의 위쪽으로 치워놓은 상태로 유지되도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의 뒤쪽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는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의 세워진 상태의 가상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 낙상 방지 프레임(120)의 무게 중심이 상기 가상의 수직 중심선보다 벽체(3) 쪽에 더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기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낙상 방지 프레임(120)의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다시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되는 경우가 없으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당겨줄 때에만 비로소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는 핸들(126)이 결합된다. 즉,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에 좌우 한 쌍의 핸들(126)이 구비된다.
상기 좌변기(2)에 앉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좌우 한 쌍의 핸들(126)을 파지한 상태에서 아래로 당겨주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하향 회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프론트 바아(122)가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앞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좌변기(2)에 앉은 상태에서 앞으로 낙상되려 할 때에 상기 프론트 바아(122)가 사용자의 상체를 앞쪽에서 받쳐줌으로써,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앞으로 낙상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는 프론트 바아(122)에서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좌우 옆쪽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되어, 좌변기(2)에 앉은 사용자가 좌변기(2)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낙상되려 할 때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가 사용자의 상체를 옆쪽에서 받쳐줌으로써,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변기(2)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낙상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핸들(126)은 사이드 바아(124)와 나란하도록 곡선형 핸들(126)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126)에는 전후로 나란한 한 쌍의 핸들(126)측 연결 바아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126)측 연결 바아가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핸들(126)에 의해 사이드 바아(124)의 강도가 보강된다. 즉, 상기 핸들(126)은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쉽게 하향 회동시키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강도를 보강하여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낙상되려 할 때에 사이드 바아(124)가 사용자의 상체를 좌측과 우측에서 받쳐주는 힘을 더 높여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의 저면에 스톱퍼(128)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128)의 상단부가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 연결되어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서 스톱퍼(128)가 돌출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28)의 하단부가 좌변기(2) 뒤쪽의 벽체(3)에 장착된 브라켓(132)의 전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줄 수 있는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28)의 하단부가 좌변기(2) 뒤쪽의 벽체(3)에 장착된 브라켓(132)의 전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좌변기(2)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것과 같이 과도하게 하향 회동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줄 수 있는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는 기존의 좌변기(2) 주위에 설치되는 안전 보조구들과 달리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하면서도 구조 자체는 간소화된 장점이 있고, 구조가 간소화되어서 제조 원가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좌변기(2)가 설치된 화장실 등에 설치할 때에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좌변기(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뒤쪽의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놓기만 하면 좌변기(2) 근처에 안전 보조구가 있게 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추후에 사용자들이 사용할 때에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걸리적 거려서 사용시 불편을 겪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도 있다. 물론,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되어 있는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아래쪽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사용자의 신체(특히, 상체)를 받쳐줄 수 있는 위치에 자동 배치되므로, 좌변기(2)에 앉아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스톱퍼(128)의 하단부에는 쇽업 탄성체(128SHE)가 구비될 수 있다. 쇽업 탄성체(128SHE)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쇽업 탄성체(128SHE)가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톱퍼(128)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쇽업 탄성체(128SHE)의 일부가 상기 스톱퍼(128)의 하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쇽업 탄성체(128SHE)가 좌변기(2) 뒤쪽 벽체(3)에 장착된 브라켓(132)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가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프론트 바아(122)가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는 순간에 쇽업 탄성체(128SHE)가 압축되어 탄성적으로 프론트 바아(122)가 탄성적으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프론트 바아(122)가 받쳐줄 때에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변기(2)에서 낙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상체가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순간적으로 기울어져서 사용자의 상체가 프론트 바아(122)에 순간적으로 충돌하는 힘이 작용하려 할 때에 상기 쇽업 탄성체(128SHE)가 압축되면서 사용자의 상체가 프론트 바아(122)에 순간적으로 부딪히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설령 좌변기(2) 앞쪽으로 낙상하려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사용자의 신체가 프론트 바아(122)에 크게 충돌하여 사용자의 상체 부분에 멍이 생기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쇽업 탄성체(128SHE)에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으면 부드러운 재질의 완충캡(128SCP)이 결합되어, 상기 완충캡(128SCP)이 브라켓(132)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톱퍼(128) 또는 상기 쇽업 탄성체(128SHE)가 직접 브라켓(132)에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도 더 확실하게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132)의 좌우 측단부에는 전방으로 교차되도록 돌출된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이 구비되고,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 좌우 측면에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가 돌출된다.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상기 힌지(134)는 사이드 브라켓편(132SP)에 형성된 힌지핀홀과,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힌지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 사이에는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개재된다. 상기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는 고무 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마찰력이 있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된다.
볼트 구조의 상기 힌지핀(BT)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힌지 너트(NT)를 결합하여 조여주면,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 사이에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의 양면이 일정 압력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 사이에는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개재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즉, 좌변기(2) 뒤쪽의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이드 바아(124)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에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일정 압력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에 의해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힘을 주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키지 않는 한 항상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어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의도하지 않게 벽체(3) 쪽으로 하향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시 안전성을 더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와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 및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는 프론트 바아(12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저면에 결합된 텔레스코프관(TP)이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프론트 바아(12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는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의 저면에 결합된 텔레스코프관(TP)이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사이드 바아(124)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는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를 프론트 바아(122)에 지지되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는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를 사이드 바아(124)에 지지되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는 프론트 돌출 바아(FPB)와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와 프론트 결합 링체(CR) 및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는,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저면으로 돌출된 프론트 돌출 바아(FPB)와,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와,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끼워지는 프론트 결합 링체(CR)와,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상기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과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상기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는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저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에 결합된 전후 텔레스코프관(TP)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는 프론트 돌출 바아(FPB)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다.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상단부 쪽이 힌지를 매개로 프론트 돌출 바아(FPB)에 결합된다. 이때, 프론트 돌출 바아(FPB)는 하단부로 관통된 결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상단부에는 결합돌편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돌편이 끼워진 상태로 힌지핀이 결합돌편에 형성된 힌지핀홀과 프론트 돌출 바아(FPB)에 형성된 힌지핀홀에 공통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서포트 바아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프론트 돌출 바아(FPB)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즉,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프론트 돌출 바아(FPB)에 결합하는 상기 힌지는 프론트 돌출 바아(FPB) 쪽에 형성된 결합홈부와,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 쪽의 결합돌편과,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와 결합돌편의 양면으로 관통된 힌지핀홀들과 상기 힌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결합 링체(CR)는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프론트 결합 링체(CR)는 프론트 바아(12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프론트 결합 링체(CR)는 일측에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결합 진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결합 링체(CR)를 상기 결합 진입홀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 바아(122)의 외주면에 결합시킨다.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는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론트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과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에는 하단부로 관통됨과 동시에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 진입홀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로 인하여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와 프론트 돌출 바아(FPB)는 단면 원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 일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는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의 내주면에는 슬리브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 나사부와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 나사부에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 내주면의 슬리브측 나사부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로 인하여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를 위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다시 하강하는 경우는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를 다시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하강시켜서 접은 상태로 전환하려면,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 내주면의 슬리브측 나사부가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 나사부와 상기 프론트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 나사부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를 돌려서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 쪽으로 올려주고 동시에 상기 힌지는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의 바깥쪽에 있도록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회동시켜서 상기 프론트 결합 링체(CR)가 프론트 바아(122) 외주면에서 빠지도록 한 다음,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저면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준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픽싱 슬리브(SFP)에 형성된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 진입홀 안쪽으로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진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밑에서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를 받쳐준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를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하강시켜서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는 사이드 돌출 바아(FPB)와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와 사이드 결합 링체(CR) 및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를 포함한다.
즉,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는,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의 저면으로 돌출된 사이드 돌출 바아(FPB)와,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와,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사이드 바아(124)에 끼워지는 사이드 결합 링체(CR)와,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상기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과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는 사이드 보조 바아의 저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에 결합된 전후 텔레스코프관(TP)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는 사이드 돌출 바아(FPB)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다.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상단부 쪽이 힌지를 매개로 사이드 돌출 바아(FPB)에 결합된다. 이때, 사이드 돌출 바아(FPB)는 하단부로 관통된 결합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상단부에는 결합돌편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돌편이 끼워진 상태로 힌지핀이 결합돌편에 형성된 힌지핀홀과 사이드 돌출 바아(FPB)에 형성된 힌지핀홀에 공통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서포트 바아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사이드 돌출 바아(FPB)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즉,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사이드 돌출 바아(FPB)에 결합하는 상기 힌지는 사이드 돌출 바아(FPB) 쪽에 형성된 결합홈부와,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 쪽의 결합돌편과,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와 결합돌편의 양면으로 관통된 힌지핀홀들과 상기 힌지핀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결합 링체(CR)는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사이드 결합 링체(CR)는 사이드 바아(124)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사이드 결합 링체(CR)는 일측에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결합 진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결합 링체(CR)를 상기 결합 진입홀을 통해서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외주면에 결합시킨다.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는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고 동시에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과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에는 하단부로 관통됨과 동시에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 진입홀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로 인하여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와 사이드 돌출 바아(FPB)는 단면 원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 일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는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의 내주면에는 슬리브측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 나사부와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 나사부에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 내주면의 슬리브측 나사부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로 인하여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하향 회동된 상태와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를 위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가 사이드 바아(124) 쪽으로 다시 하강하는 경우는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를 다시 사이드 바아(124) 쪽으로 하강시켜서 접은 상태로 전환하려면,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 내주면의 슬리브측 나사부가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의 외주면 나사부와 상기 사이드 돌출 바아(FPB)의 외주면 나사부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를 돌려서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 쪽으로 올려주고 동시에 상기 힌지는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의 바깥쪽에 있도록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회동시켜서 상기 사이드 결합 링체(CR)가 사이드 바아(124) 외주면에서 빠지도록 한 다음,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사이드 보조 바아의 저면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준다. 이때, 상기 사이드 픽싱 슬리브(SFP)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 진입홀 안쪽으로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를 진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SP)가 밑에서 사이드 보조 바아를 받쳐준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사이드 보조 바아를 사이드 바아(124) 쪽으로 하강시켜서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저면에는 텔레스코프관(TP)이 결합되고, 상기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는 프론트 바아(122)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할 때에 텔레스코프관(TP)의 각각의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가 펼쳐지면서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프론트 로워 서포터(150LSP)에 의해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의 저면에는 텔레스코프관(TP)이 결합되고, 상기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는 사이드 바아(124)에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텔레스코프관(TP)의 각각의 텔레스코프 관체(TP1,TP2,TP3)가 펼쳐지면서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 로워 서포터(140LSP)에 의해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가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 부분을 프론트 바아(122)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변기(2) 앞으로 낙상되는 경우에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사용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가 사이드 바아(124)에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 옆쪽 부분을 사이드 바아(124)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변기(2) 좌측이나 우측으로 낙상되는 경우에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사용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와 가압 릴리스홀(170H)과 절결부(162)와 가압 작동편(164)과 가압 작동 돌편(166) 및 가압 작동 탄성체(16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는 브라켓(132)의 좌우 측단부에 구비된 좌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에서 돌출된다. 좌우 한 쌍의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가 브라켓(132)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수직 중심선 쪽을 향하여 돌출된다. 좌우 한 쌍의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적어도 두 개의 가압 릴리스홀(170H)이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내외주면으로 관통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가압 릴리스홀(170H)이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162)는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바아(124)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에 구비된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결부(162)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두 개의 절결부(162)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압 작동편(164)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결부(162)에 의해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절결부(162)에 의해 두 개의 가압 작동편(164)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은 가압 작동편(164)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가압 작동편(164)의 외주면에서 가압 작동 돌편(166)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의 양단부는 테이퍼부로 구성된다. 가압 작동 돌편(166)의 양단부에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두 개의 테이퍼부가 가압 작동 돌편(166)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단부를 정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테이퍼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 작동 탄성체(167)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가압 작동편(164) 사이에 개재된다. 두 개의 마주하는 가압 작동편(164)의 내주면에는 각각 탄성체 결합 보스가 구비되어, 두 개의 탄성체 결합 보스에 가압 작동 탄성체(167)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단부를 정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가압 작동 탄성체(167)가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에 형성된 두 개의 가압 작동편(164)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서 가압 작동 탄성체(167)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좌변기(2) 뒤쪽의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작동편(164)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압 작동 돌편(166)이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졀결부를 기준으로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압 작동편(164)이 상기 절결부(162)에 의해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중심부 쪽으로 좁혀짐과 동시에 가압 작동 탄성체(167)는 압축되므로, 상기 가압 작동 탄성체(167)의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이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좌변기(2) 뒤쪽의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는 압축된 가압 작동 탄성체(16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좌우 양쪽 사이드 바아(124)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상기 가압 작동편(164)들이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중심부 쪽으로 좁혀지고, 상기 가압 작동 탄성체(167)가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이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의 내주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므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의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의도적으로 좌변기(2) 쪽으로 하향시키려는 힘을 작용시키지 않으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좌변기(2) 뒤쪽의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뒤쪽의 벽체(3)에 보다 더 안정적으로 접어놓을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주로, 사용자가 손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파지하여 일정한 힘으로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작동편(164)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압 작동 돌편(166)이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에 형성된 가압 릴리스홀(170H)로 들어와서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과 가압 작동편(164)은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벌어지고 상기 가압 작동 탄성체(167)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좌변기(2) 뒤쪽의 벽체(3)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킬 때에는 사용자가 큰 힘을 주지 않고도 편안하게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향회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을 사용하기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의 양단부에 테이퍼부가 구비되어, 두 개의 테이퍼부가 가압 작동 돌편(166)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좌변기(2) 뒤쪽의 벽체(3)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키는 순간에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테이퍼부가 상기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170)에 형성된 가압 릴리스홀(170H)의 내주면을 타고 가면서 상기 가압 작동 돌편(166)이 원활하게 상기 가압 릴리스홀(170H)에서 빠지도록 하므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좌변기(2) 뒤쪽의 벽체(3)로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키는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연결핀(174)과, 상기 연결핀(174)에 결합되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프론트 쿠션재(176)와, 상기 연결핀(17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와 프론트 쿠션재(176) 사이에 개재된 쿠션 작동 탄성체(1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에는 내외주면으로 연통된 핀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174)은 상기 핀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핀(174)에서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 내부의 중공부에 들어가 있는 단부쪽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쿠션 작동 탄성체(172)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핀(17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쿠션 작동 탄성체(172)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외표면과 프론트 쿠션재(176)의 외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쿠션 작동 탄성체(172)가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150)의 외표면과 프론트 쿠션재(176)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연결핀(174)과, 상기 연결핀(174)에 결합되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팔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사이드 쿠션재(196)와, 상기 연결핀(17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와 사이드 쿠션재(196) 사이에 개재된 사이드 쿠션 작동 탄성체(19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에는 내외주면으로 연통된 핀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174)은 상기 핀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핀(174)에서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 내부의 중공부에 들어가 있는 단부쪽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쿠션 작동 탄성체(172)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핀(17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사이드 쿠션 작동 탄성체(192)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의 외표면과 사이드 쿠션재(196)의 외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쿠션 작동 탄성체(172)가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140)의 외표면과 사이드 쿠션재(196)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가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기울어지는 순간에 상기 프론트 쿠션재(176)가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어서 쿠션이 작용하는 성질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를 편안하게 받쳐서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쿠션 작동 탄성체(172)는 압축되면서 사용자의 상체를 탄성력에 의해 한번 더 받쳐주게 되므로,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프론트 바아(122)가 받쳐줄 때에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더욱 확실하게 흡수하게 된다.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변기(2)에서 낙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상체가 프론트 바아(122) 쪽으로 순간적으로 기울어져서 사용자의 상체가 상기 프론트 쿠션재(176)에 순간적으로 충돌하는 힘이 작용하려 할 때에 상기 프론트 쿠션재(176)의 충격 흡수 쿠션 성질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가 프론트 쿠션재(176)에 순간적으로 부딪히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상기 쿠션 작동 탄성체(172)는 압축되면서 사용자의 상체를 탄성력에 의해 한번 더 받쳐주면서 충격을 한번 더 흡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설령 좌변기(2) 앞쪽으로 낙상하려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사용자의 신체가 프론트 바아(122)에 크게 충돌하는 경우가 방지되고 사용자의 상체 부분이 프론트 바아(122)에 크게 충돌하여 멍이 생기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가 사이드 바아(124) 쪽으로 기울어지는 순간에 상기 사이드 쿠션재(196)가 사용자의 상체에서 특히 팔 부분을 받쳐주어서 쿠션이 작용하는 성질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 중에 팔 부분을 편안하게 받쳐서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사이드 쿠션 작동 탄성체(192)는 압축되면서 사용자의 상체에서 팔 부분을 탄성력에 의해 한번 더 받쳐주게 되므로,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에서 팔 부분을 사이드 바아(124)가 받쳐줄 때에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더욱 확실하게 흡수하게 된다.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변기(2)에서 낙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상체의 팔 부분이 사이드 바아(124) 쪽으로 순간적으로 기울어져서 사용자의 팔 부분이 상기 사이드 쿠션재(196)에 순간적으로 충돌하는 힘이 작용하려 할 때에 상기 사이드 쿠션재(196)의 충격 흡수 쿠션 성질에 의해 사용자의 팔 부분이 사이드 쿠션재(196)에 순간적으로 부딪히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상기 사이드 쿠션 작동 탄성체(192)는 압축되면서 사용자의 팔 부분을 탄성력에 의해 한번 더 받쳐주면서 충격을 한번 더 흡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가 설령 좌변기(2)의 옆쪽으로 낙상하려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사용자의 신체가 사이드 바아(124)에 크게 충돌하는 경우가 방지되고 사용자의 상체에서 특히 팔 부분이 사이드 바아(124)에 크게 충돌하여 멍이 생기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는 고리부재(12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장소의 벽체(3)에는 행거 지지체(180)가 구비되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키고, 상기 고리부재(123)를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행거 지지체(180)에 고리부재(123)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재(123)는 유자형 고리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고리부재(123)의 양단부에는 회동 지지관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 지지관은 상기 프론트 바아(122)의 내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재(123)가 회동 지지관과 함께 상기 프론트 바아(12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행거 지지체(180)는 벽체(3) 부분(좌변기(2) 뒤쪽의 벽체(3) 부분)에 고정된 행거 바아(182)와, 상기 행거 바아(182)에 결합되며 일측으로는 내외주면으로 연통된 고리부재 진입홀을 구비한 탄성 행거 슬리브(18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리부재(123)가 탄성 행거 슬리브(184)의 상기 고리부재 진입홀을 통과하여 탄성 행거 슬리브(18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시키고, 상기 고리부재(123)를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행거 지지체(180)에 고리부재(123)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의도적으로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키지 않는 이상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뒤쪽의 벽체(3)에 더욱더 안정적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뒤쪽의 벽체(3)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에 있어서 신뢰성을 더욱더 높이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좌변기 3. 벽체
120. 낙상 방지 프레임 122. 프론트 바아
123. 고리부재 124. 사이드 바아
126. 핸들 128. 스톱퍼
128SHE. 쇽업 탄성체 128SCP. 완충캡
130. 회동 결합 지지부 132. 브라켓
132SP. 사이드 브라켓편 PCD. 가압 콘택트 디스크
134. 힌지 140. 사이드 보조 지지 바아
140LSP. 사이드 로워 서포터 FPB. 사이드 돌출 바아
SP. 사이드 로워 서포트 바아 CR. 사이드 결합 링체
SFP. 사이드 픽싱 슬리브 150. 프론트 보조 지지 바아
150LSP. 프론트 로워 서포터 FPB. 프론트 돌출 바아
SP. 프론트 로워 서포트 바아 CR. 프론트 결합 링체
SFP. 프론트 픽싱 슬리브 TP. 텔레스코프관
TP1,TP2,TP3. 텔레스코프 관체 160. 사이드 크로스 바아
162. 절결부 164. 가압 작동편
166. 가압 작동 돌편 167. 가압 작동 탄성체
170. 브라켓측 회동 지지 슬리브 170H. 가압 릴리스홀
172. 쿠션 작동 탄성체 174. 연결핀
176. 프론트 쿠션재 180. 행거 지지체
182. 행거 바아 184. 탄성 행거 슬리브
192. 사이드 쿠션 작동 탄성체 194. 사이드 연결핀
196. 사이드 쿠션재

Claims (6)

  1. 프론트 바아(122)에 좌우측 사이드 바아(124)가 결합된 낙상 방지 프레임(120);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가 설치된 장소의 벽체(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킨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은, 상기 프론트 바아(122)의 양단부에 좌우 한 쌍의 나란한 사이드 바아(124)의 선단부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는, 상기 벽체(3)에 장착된 좌우 한 쌍의 브라켓(132)과, 좌우 한 쌍의 상기 브라켓(132)에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을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는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옆에서 볼 때에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 선단부가 연결되어 기단부 쪽이 상기 프론트 바아(122)를 기준으로 위쪽으로 상향 연장된 좌우 한 쌍의 곡선형 바아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좌변기(2) 쪽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프론트 바아(122)가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앞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는 상기 프론트 바아(122)에서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좌우 옆쪽에서 받쳐주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좌변기(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의 위쪽으로 치워놓은 상태로 유지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의 저면에는 스톱퍼(128)가 더 구비되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28)의 하단부가 상기 좌변기(2) 뒤쪽의 벽체(3)에 장착된 브라켓(132)의 전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이 좌변기(2)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줄 수 있는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는 핸들(126)이 결합되어,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에 좌우 한 쌍의 핸들(1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변기(2)에 앉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좌우 한 쌍의 핸들(126)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하향 회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26)은 상기 사이드 바아(124)와 나란하도록 곡선형 핸들(126)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126)에는 전후로 나란한 한 쌍의 핸들(126)측 연결 바아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126)측 연결 바아가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126)에 의해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측단부에는 전방으로 교차되도록 돌출된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이 구비되고,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기단부쪽 좌우 측면에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가 돌출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에 형성된 힌지핀홀과,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힌지핀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 사이에는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개재되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좌변기(2)가 설치된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바아(124)의 상기 사이드 크로스 바아(160)와 끝단과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한 쌍의 상기 사이드 브라켓편(132SP)의 안쪽면에 상기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가 일정 압력으로 밀착되어, 상기 가압 콘택트 디스크(PCD)에 의해 상기 회동 결합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낙상 방지 프레임(120)을 상기 벽체(3) 쪽으로 상향 회동시켜 놓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KR1020220039916A 2022-03-30 2022-03-30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KR10245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916A KR102452397B1 (ko) 2022-03-30 2022-03-30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916A KR102452397B1 (ko) 2022-03-30 2022-03-30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397B1 true KR102452397B1 (ko) 2022-10-07

Family

ID=8359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916A KR102452397B1 (ko) 2022-03-30 2022-03-30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3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202A (ja) * 2000-08-24 2001-03-21 Aron Kasei Co Ltd トイレ用安全フレ−ム
KR200240463Y1 (ko) 2001-04-26 2001-10-12 서유문 좌변기 보조대
KR200263426Y1 (ko) 2001-10-25 2002-02-04 주식회사 광남정밀 화장실용 안전보조구
JP2006239095A (ja) * 2005-03-02 2006-09-14 Inax Corp 手摺り
KR20160145346A (ko) * 2015-06-10 2016-12-20 이종영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
KR20170094525A (ko) 2017-07-31 2017-08-18 성판원 화장실용 안전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202A (ja) * 2000-08-24 2001-03-21 Aron Kasei Co Ltd トイレ用安全フレ−ム
KR200240463Y1 (ko) 2001-04-26 2001-10-12 서유문 좌변기 보조대
KR200263426Y1 (ko) 2001-10-25 2002-02-04 주식회사 광남정밀 화장실용 안전보조구
JP2006239095A (ja) * 2005-03-02 2006-09-14 Inax Corp 手摺り
KR20160145346A (ko) * 2015-06-10 2016-12-20 이종영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
KR20170094525A (ko) 2017-07-31 2017-08-18 성판원 화장실용 안전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022B2 (en) Folding commode and shower wheelchair
US6604750B2 (en) Commode and shower wheelchair
US4322093A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eat and hand brake
CA2492392A1 (en) Mobility aiding device
KR102045427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JP5372199B2 (ja) 折り畳み椅子
WO2006133642A1 (fr) Cadre de support pour chaise pliante a dossier
US6932425B1 (en) Foldable bench
US4729395A (en) Walking aid
JP2008295735A (ja) 折り畳み椅子
KR102452397B1 (ko) 낙상 방지가 가능한 좌변기용 지지대
WO2005110328A1 (fr) Marchette ajustable
US4934725A (en) Portable standing attachment for wheelchairs
US6595582B1 (en) Folding chair with safety latch device
US6176508B1 (en) Advanced commode-shower wheelchair
CA2505985C (en) Elevated toilet seat
JP5302741B2 (ja) 歩行補助具
KR101630665B1 (ko) 비대칭 발판을 이용한 힌지 목발
US9446699B2 (en) Footrest for construction machine operating room
CN211560973U (zh) 一种可收折的助行器
JP3973653B2 (ja) 椅子型簡易便器
JP2008229310A (ja) 折り畳み椅子
JP2008295736A (ja) 折り畳み椅子
KR200243652Y1 (ko) 의자
KR102597869B1 (ko) 안전 시트를 구비한 양변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