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651B1 -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651B1
KR102451651B1 KR1020220076613A KR20220076613A KR102451651B1 KR 102451651 B1 KR102451651 B1 KR 102451651B1 KR 1020220076613 A KR1020220076613 A KR 1020220076613A KR 20220076613 A KR20220076613 A KR 20220076613A KR 102451651 B1 KR102451651 B1 KR 10245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lothing
pressure value
length
display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이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이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이모션
Priority to KR1020220076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651B1/ko
Priority to KR1020220123568A priority patent/KR2024000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47Specific indicating or recording arrangements, e.g. for remote indication, for indicating overload or under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06T5/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상을 3차원 공간 상에 표시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한 3차원 바디(10)를 표시하는 바디표시단계(S100)와; 최소단위인 메쉬(20)들의 조합으로 의류(30)를 패턴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바디(10)에 표시하는 의류표시단계(S200)와; 상기 의류(30)의 상기 바디(10)에 따른 압력을 산출하는 압력산출단계(S300)와;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상기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단계(S400)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Method for 3D modeling of clothing}
본 발명은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상을 3차원 공간 상에 표시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프라인 상에서 의상제작 및 디자인 과정을 살펴보면 디자이너들이 의상에 대한 디자인 작업을 실시하여 패턴 및 샘플을 제작한 뒤 제작된 샘플들 중 상업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지인 샘플에 대해서 의상제작 업체 측에 생산을 의뢰하여 제품을 출시한다.
이와 같이 오프라인 상에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패턴 및 샘플 제작 과정은 다수의 인력이 많은 시간을 들여 작업하여야 하는 바, 제품의 제작 단가가 증가하고 디자인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들어 인터넷을 통한 제품의 구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특히 의상을 디자인하여 제작하고 이를 판매하는 의류디자인 및 의류판매가 오프라인 이외에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크게 확장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3차원 공간 상에서 의상을 표시하고 디자인하는 과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수요자 또한 의류에 관심이 많은 젊은 수요층을 기반으로 인터넷을 통한 의류 구매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구매 전 의상을 착용해볼 수 없어 의상의 사이즈나 착장 시 모습을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착용되는 신체의 다양성에 비해 의상은 비교적 획일화된 사이즈 및 형상으로 제작 및 판매되는 바, 의상 착장 시 신체 부위에 따른 가압 정도를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 의상에 대한 가압 정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한 3차원 바디(10)를 표시하는 바디표시단계(S100)와; 최소단위인 메쉬(20)들의 조합으로 의류(30)를 패턴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바디(10)에 표시하는 의류표시단계(S200)와; 상기 의류(30)의 상기 바디(10)에 따른 압력을 산출하는 압력산출단계(S300)와;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상기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단계(S400)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30)의 인장정도를 통해 상기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 이후의 상기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착장 후 길이(L2)를 도출하는 길이도출단계(S310)와; 상기 착장 후 길이(L2)와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 전 상기 패턴데이터 상 상기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최초길이(L1)를 비교하는 길이비교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비교단계(S320)는, 상기 착장 후 길이(L2)와 상기 최초길이(L1) 사이의 비율을 통해 상기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30)와 상기 바디(10) 사이의 접촉여부 및 접촉정도를 통해 상기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30)와 상기 바디(10) 내 침투 거리를 도출하여 압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표시단계(S400)는, 상기 메쉬 교차점(22)에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압력값을 할당하는 압력값할당단계(S410)와; 상기 메쉬 교차점(22)을 상기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상기 압력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색상표시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표시단계(S400)는, 상기 색상표시단계(S430)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교차점(22)에 대한 색상을 보정하는 스무딩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상기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대상교차점(23)에 할당된 압력값을 상기 대상교차점(23)을 둘러싸는 인접위치의 교차점(22)들에 할당된 압력값들의 평균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간범위 중 어느 하나의 구간범위 내 압력값들을 상기 압력값들이 포함되는 구간범위내 미리 설정된 값으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값이 커질수록 상기 구간범위는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의상을 모델링하여 표시함으로써, 착장 시 의상의 상태 및 모습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수요자의 사이즈가 정밀하게 반영된 모델 상에 의상을 착장함으로써, 수요자의 신체에 의상이 착장된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수요자의 사이즈가 정밀하게 반영된 모델 상에 의상을 착장하여, 각 신체부위 별 의상이 신체에 타이트하거나 헐렁한 정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각 신체부위 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자세 변경에 따라서 의상의 타이트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의상의 타이트한 정도를 맵핑하는 과정에서 스무딩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의상의 타이트한 정도를 이해하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의 바디표시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의 의류표시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중 압력산출단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4a는, 메쉬 중 스프링라인의 최초길이를 표현한 도면이며, 도 4b는, 메쉬 중 스프링라인의 착장 후 길이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중 압력표시단계의 스무딩단계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중 압력표시단계를 통해 압력이 표시된 모습을 각각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중 압력산출단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중 압력표시단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한 3차원 바디(10)를 표시하는 바디표시단계(S100)와; 최소단위인 메쉬(20)들의 조합으로 의류(30)를 패턴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바디(10)에 표시하는 의류표시단계(S200)와; 상기 의류(30)의 상기 바디(10)에 따른 압력을 산출하는 압력산출단계(S300)와;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상기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단말(100), 서버(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단말(10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100)은, 복수개로 동시에 네트워크(300)를 통해 단수 또는 복수의 서버(200) 및 상호 사용자단말(100) 간에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100)은, 종래 개시된 어떠한 형태의 통신 방식도 적용 가능하며, 네트워크(300)가 포함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등 통신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300)는, 일예로, PAN, LAN, CAN, MAN, WAN, BBN,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단말(100)에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단말(100)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100)은,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단말(1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의류에 대한 데이터인 패턴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200)는, 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패턴데이터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단말(100)은,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콘텐츠로서, 기 저장된 3차원 바디(10) 모델을 요청하면 서버(200)는, 이에 대응하여 3차원 바디(10)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디표시단계(S10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한 3차원 바디(10)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체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관한 치수정보로서, 의상이 표시되는 바디(10)를 사용자의 신체와 유사하도록 매칭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신체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입력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일예로, 신장, 몸무게, 허리둘레, 가슴둘레 등의 신체 각 부분에 대한 치수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바디표시단계(S1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체정보를 토대로 서버(200) 또는 사용자단말(100)에 기 저장된 다수의 3차원 바디(10) 중 가장 유사도가 높은 바디(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표시단계(S1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체정보를 종합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기 저장된 3차원 바디(10)를 사용자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200)에 저장된 다수의 3차원 바디(10)들 중 유사도가 높은 바디(10)를 불러올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0) 또는 서버(200)에 기 저장한 사용자가 신체정보가 반영된 3차원 바디(100)를 곧바로 표시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는, 메쉬(20)들의 조합으로 의류(30)를 패턴데이터를 반영하여 바디(10)에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데이터는, 의상 제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셋(Data set)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예로 패턴데이터는 의상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의 모양, 치수 정보, 스티치 정보, 소재정보, 랜드마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속성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Part)는 해당 의상의 제작에 사용되는 의상의 적어도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예로 파트는 해당 의상의 제작을 위해 재단한 천 조각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해당 의상의 제작에 사용되는 단추, 지퍼, 기타 결합을 위한 부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스티치(Stitch) 정보는, 전술한 파트들의 결합을 위한 정보로, 가령 재단된 천 조각들의 봉제선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스티치 정보는 파트간의 결합 시에 사용되는 소재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소재의 결합 시 사용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치 정보가 재단된 천 조각 들의 봉제선에 관한 정보인 경우, 스티치 정보는 봉제 땀 수에 관한 정보, 봉제에 사용되는 실의 색상, 굵기 및 소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스티치 정보는 파트들 간의 결합 방식, 결합 신축성 및 결합 강도와 같은 결합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소재 정보는 해당 소재에 관한 시각적 정보 및 해당 소재에 관한 물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소재에 관한 시각적 정보는 해당 소재의 색상, 해당 소재의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소재에 관한 물성 정보는 해당 소재의 두께, 밀도, 탄성, 신축성, 통기성, 마모성 및 투광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30)를 전술한 패턴데이터를 반영하여 메쉬(20)들의 조합으로 바디(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는, 의류(30) 및 바디(10)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지점들이 대응되도록 바디(10)에 의류(30)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30)는, 전술한 패턴데이터를 반영하여 메쉬(20)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때 메쉬(20)는, 의류(30)를 표현하기 위한 최소단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쉬(20)는, 다양한 기본도형을 이룰 수 있으며, 일예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쉬(20)는, 패턴데이터, 특히 신축 및 탄성 정도의 물성 정보를 반영하여 조합을 통해 의류(30)를 표현할 수 있으며, 메쉬(20)의 각 변은 스프링라인(21)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메쉬(20)는, 각 변이 스프링라인(21)을 이룰 수 있으며, 메쉬(20)가 형성되도록 서로 교차하는 스프링라인(21)들의 교차점(22)들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는, 바디(10)에 의류(30)를 배치하여 표시하면서 바디(10)와 의류(30) 사이에 접촉이 있는 경우 접촉 및 침투를 그대로 표현하거나, 바디(10) 외면으로 의류(30)의 부분을 위치시키면서 침투거리 또는 접촉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의류(30)의 바디(10)에 따른 압력을 산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의류(30)의 인장정도를 통해 압력을 산출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30)를 배치함에 따라 의류(30)가 바디(10)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요소에 따라 영향받는 인장정도를 통해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의류표시단계(S200) 이후의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착장 후 길이(L2)를 도출하는 길이도출단계(S310)와; 착장 후 길이(L2)와 의류표시단계(S200) 전 패턴데이터 상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최초길이(L1)를 비교하는 길이비교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도출단계(S310)는, 의류표시단계(S200) 이후의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착장 후 길이(L2)를 도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길이도출단계(S310)는, 의류표시단계(S200)에 따라 의류(30)가 바디(10)에 배치 및 3차원 공간 상 착장된 상태에서, 의류(30)를 이루는 메쉬(20)들의 인장정도에 따라 가변하는 스프링라인(21)의 길이(L2)를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30)와 바디(10) 사이의 간섭에 따라 패턴데이터 상 물성 정보인 탄성, 신축성을 반영하여 메쉬(20)의 크기를 포함하는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라인(21)의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라인(210)은, 바디(10)와의 간섭 뿐만 아니라, 함께 제공되는 환경정보로서, 일예로, 바람의 세기, 단추, 지퍼 등 파트에 따른 물리적 힘이 함께 고려되어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도출단계(S310)는, 전술한 바디(10)와의 간섭, 패턴데이터 상의 물성 정보 및 환경정보에 따른 물리적 힘이 모두 반영된 각 스프링라인(21)의 길이(L2)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길이비교단계(S320)는, 착장 후 길이(L2)와 의류표시단계(S200) 전 패턴데이터 상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최초길이(L1)를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길이비교단계(S320)는, 의류표시단계(S200)가 수행되기 전 최초, 패턴데이터 상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길이인 최초길이(L1)와 착장 후 길이(L2)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상기 길이비교단계(S320)는, 최초길이(L1)와 착장 후 길이(L2)를 비교함으로써 의류(30)의 바디(10)에 대한 압력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EO, 상기 길이비교단계(S320)는, 착장 후 길이(L2)와 최초길이(L1) 사이의 비율을 통해 압력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압력을 구체적인 수치로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의류(30)와 바디(10) 사이의 접촉여부 및 접촉정도를 통해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의류표시단계(S200)를 통해 표시되는 의류(30)와 바디(10) 사이의 거리를 도출하는 거리도출단계와, 도출된 거리를 통해 압력값을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의류(30)와 바디(10) 사이의 거리를 도출하여 접촉여부를 우선 판단하고, 접촉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들 사이의 거리인 침투 거리를 도출할 수 있고,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이들 사이의 거리인 이격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거리도출단계를 통해 도출된 이격 거리 또는 침투 거리를 토대로 수치화된 압력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수인 가지는 침투 거리의 절대값을 통해 침투 거리의 절대값이 클수록 압력값이 큰 것으로 산출하고, 양수인 이격 거리를 통해 이격 거리가 클수록 압력값이 음수로서 작은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거리도출단계를 통해 도출된 침투 거리를 토대로 의류(30)가 바디(10)에 타이트한 정도만을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이격 거리를 토대로 의류(30)가 바디(10)에 헐렁한 정도를 함께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표시단계(S400)는,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압력을 표시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표시단계(S400)는, 사용자가 바디(10)에 착장된 의류(30)에 따른 바디(10) 내에서 느껴지는 압력을 색상으로 표시되는 맵을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수치화된 압력값을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력표시단계(S400)는, 메쉬(20)의 교차점(22)에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압력값을 할당하는 압력값할당단계(S410)와; 색상표시단계(S430) 이전 또는 이후에 교차점에 대한 색상을 보정하는 스무딩단계(S420)와; 교차점(22)을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압력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색상표시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값할당단계(S410)는, 메쉬(20)의 교차점(22)에 압력산출단계(300)를 통해 산출된 압력값을 할당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력값할당단계(S410)는, 스프링라인(21) 길이변화를 통해 압력값 산출 시, 기준 스프링라인(21)에 대응되는 교차점(22)에 산출된 압력값을 할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라인(21)은, 삼각형의 메쉬(20) 구조를 고려할 때, 하나의 교차점(22)에 대하여 3개의 스프링라인(21)이 접하는 바, 미리 설정된 3개의 스프링라인(21) 중 하나의 스프링라인(21)에 대응되는 압력값을 해당 교차점(22)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압력값할당단계(S410)는, 스프링라인(21) 길이변화를 통해 산출된 압력값을 하나의 교차점(22)에 대하여 3개의 스프링라인(21)에 대응되는 압력값들의 평균값을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력값할당단계(S410)는, 바디(10)와 의류(30)의 거리를 통해 산출된 압력값의 경우, 다수의 교차점(22)들 위치에서의 거리값에 따라 산출된 압력값을 해당 교차점(22)에 부여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다수의 교차점(22)들 중 미리 설정된 특정 교차점(22)들에서의 거리값에 따른 압력값을 해당 교차점(22)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압력값할당단계(S410)와 이후 진행되는 색상표시단계(S430) 만이 수행될 경우, 정해진 압력값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이 그대로 표시됨으로써, 전체 표시맵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알록달록하여 전체적인 신체부위에 따른 압력을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후술하는 색상표시단계(S430) 이전 또는 이후에 교차점에 대한 색상을 보정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색상표시단계(S430) 이전에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압력값의 적절한 수치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이후 진행되는 색상표시단계(S430)에서의 색상표시가 보다 정돈된 그라데이션을 이루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색상표시단계(S430) 이후에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압력값에 대한 적절한 수치보정을 수행하고 그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색상표시단계(S430)에서 표시된 색상을 변경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색상표시를 보다 정돈된 그라데이션을 이루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보정대상인 대상교차점(23)에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압력값을 대상교차점(23)을 둘러싸는 인접위치의 교차점(22)들에 할당된 압력값들의 평균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교차점(23)을 기준으로 인접위치에 대상교차점(23)을 둘러싸고 위치하는 복수의 교차점(22)들에 할당된 압력값들의 평균값을 대상교차점(23)의 압력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다수의 교차점(22)들 또한 모두 각각 대상교차점(23)이 되는 바, 이때 대상교차점(23)의 압력값을 도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압력값은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최초의 압력값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대상교차점(23) 압력값을 도출하기 위한 인접위치에 교차점(22)들에 적용되는 압력값이 보정이 완료된 압력값이 적용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간범위 중 어느 하나의 구간범위 내 압력값들을 압력값들이 포함되는 구간범위내 미리 설정된 값으로 동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압력값 범위로서, 복수의 구간범위들을 설정하고, 특정 압력값이 특정 구간범위에 속할 때 특정 구간범위 내 미리 설정된 특정 압력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로써, 특정범위 내 압력값들은 모두 동일한 압력값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부분은 후술하는 압력표시단계(S430)를 통해 동일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로써 사용되는 색상 종류를 줄여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압력표시 맵핑이 가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복수의 구간범위들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구간범위 내 압력값들을 구간범위 내 중간값, 구간범위 내 경계값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값으로 동일하게 보정될 수 있다.
한편, 구간범위를 좁게 설정함에 따라 보다 정밀한 압력값에 대한 맵을 표현할 수 있고, 구간범위를 넓게 설정함에 따라 시인성이 뛰어난 압력값에 대한 맵을 표현할 수 있는 바, 구간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상기 구간의 크기를 서로 동일하게 하여 복수개의 구간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구간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복수개의 구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력값이 커서 의류(30)가 바디(10)에 보다 타이트하게 착장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보다 정밀한 압력값을 표현할 필요가 있고, 압력값이 작아 의류(30)가 바디(10)에 헐렁하게 착장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시인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구간범위들 중 압력값이 큰 범위의 구간 크기를 좁게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압력값이 작은 범위의 구간 크기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간의 크기는 압력값이 커질수록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전술한 구간범위를 통한 압력값을 보정하는 방법과 대상교차점(23)을 기준으로 인접한 교차점(22)들의 평균값을 적용하는 보정방법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거나, 동시에 두개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색상표시단계(S430)는, 교차점(22)을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압력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색상표시단계(S430)는 교차점(22) 또는 교차점(22)을 포함하는 일정영역을 압력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로서, 압력값이 클수록 붉은색으로, 압력값이 작을수록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압력값에 대응되는 색상은 하나의 예시일 뿐, 구분되는 색상이 적용되기만 한다면 어떠한 색상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색상표시단계(S430)는, 하나의 압력값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색상을 가지거나, 색상 내에서 명도, 채도 등이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바디(10)의 제1자세일 때의 압력값 분포에 따른 맵을 표시할 수 있으며, 바디(10)의 제2자세, 제3자세, 제N자세에 대하여 같은 방법을 통해 각 자세에서의 압력값 분포에 따른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디(10)의 서 있을 때의 정자세에 대하여 압력값 분포를 확인하고, 앉았을 때의 자세, 누웠을 때의 자세 등 일상 생활에서 자주 취하는 자세들에 대하여 압력값 분포를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자세에 따라 신체부위의 압력값 표시 정밀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서 있을 때의 정자세에서 복부, 허벅지, 종아리와 같은 비교적 의류(30)가 타이트가 유지되는 위치에 대하여는 정밀한 압력값 분포를 표현하고 기타 위치에 대하여는 시인성을 고려한 압력값 분포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앉아 있을 때의 자세에서는 무릎과 같은 신체위치에 대한 정밀한 압력값 분포를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세가 달라짐에 따라 압력값 분포의 표현 정밀도를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적용은 자세에 따른 신체부위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전술한 스무딩단계(S420)를 통한 구간범위의 압력값에 따른 구간 크기 차등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압력값이 높게 표시되는 신체부위에 대하여 정밀한 표현이 적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바디 20: 메쉬
30: 의류

Claims (11)

  1.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한 3차원 바디(10)를 표시하는 바디표시단계(S100)와;
    최소단위인 메쉬(20)들의 조합으로 의류(30)를 패턴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바디(10)에 표시하는 의류표시단계(S200)와;
    상기 의류(30)의 상기 바디(10)에 따른 압력을 산출하는 압력산출단계(S300)와;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상기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표시단계(S400)는,
    상기 메쉬(20)들이 교차하는 교차점(22)에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를 통해 산출된 압력값을 할당하는 압력값할당단계(S410)와;
    상기 교차점(22)을 상기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할당된 상기 압력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표시하는 색상표시단계(S430)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표시단계(S400)는,
    상기 색상표시단계(S430)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교차점(22)에 대한 색상을 보정하는 스무딩단계(S420)를 포함하며,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간범위 중 어느 하나의 구간범위 내 압력값들을 상기 압력값들이 포함되는 구간범위내 미리 설정된 값으로 동일하게 보정하며,
    상기 압력값이 커질수록 상기 구간범위는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30)의 인장정도를 통해 상기 압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 이후의 상기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착장 후 길이(L2)를 도출하는 길이도출단계(S310)와;
    상기 착장 후 길이(L2)와 상기 의류표시단계(S200) 전 상기 패턴데이터 상 상기 메쉬(20)들이 형성하는 각 스프링라인(21)의 최초길이(L1)를 비교하는 길이비교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비교단계(S320)는,
    상기 착장 후 길이(L2)와 상기 최초길이(L1) 사이의 비율을 통해 상기 압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30)와 상기 바디(10) 사이의 접촉여부 및 접촉정도를 통해 상기 압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력산출단계(S300)는,
    상기 의류(30)와 상기 바디(10) 내 침투 거리를 도출하여 압력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무딩단계(S420)는,
    상기 압력값할당단계(S410)를 통해 대상교차점(23)에 할당된 압력값을 상기 대상교차점(23)을 둘러싸는 인접위치의 교차점(22)들에 할당된 압력값들의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076613A 2022-06-23 2022-06-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45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13A KR102451651B1 (ko) 2022-06-23 2022-06-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220123568A KR20240000334A (ko) 2022-06-23 2022-09-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13A KR102451651B1 (ko) 2022-06-23 2022-06-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568A Division KR20240000334A (ko) 2022-06-23 2022-09-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651B1 true KR102451651B1 (ko) 2022-10-06

Family

ID=835974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613A KR102451651B1 (ko) 2022-06-23 2022-06-23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220123568A KR20240000334A (ko) 2022-06-23 2022-09-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568A KR20240000334A (ko) 2022-06-23 2022-09-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16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821A (ko) * 2007-10-24 2007-12-06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의류 착용 적합성 정보를 제공하는 의류 비즈니스 서비스방법
KR20190028826A (ko) * 2017-07-31 2019-03-20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가상 피팅 시스템
KR20210021898A (ko) * 2019-08-19 2021-03-02 (주)클로버추얼패션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821A (ko) * 2007-10-24 2007-12-06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의류 착용 적합성 정보를 제공하는 의류 비즈니스 서비스방법
KR20190028826A (ko) * 2017-07-31 2019-03-20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가상 피팅 시스템
KR20210021898A (ko) * 2019-08-19 2021-03-02 (주)클로버추얼패션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34A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2829B2 (en) Modification of three-dimensional garments using gestures
US11164381B2 (en) Clothing model generation and display system
US20170046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Clothing Model
KR20160076473A (ko) 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조합한 3d 합성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626210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65807A (ja) ターミナル試着模擬システム及び操作と応用方法
WO202020365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i et al. Modeling 3D garments by examples
CN106210504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系统及图像处理方法
US11151786B2 (en) Grading garment that includes supplemental material
JP201518330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0097B2 (ja) サイズ測定システム
WO2006071006A1 (en) Method for converting 2d image into pseudo 3d image and user-adapted total coordination method in us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rvice business method thereof
KR102451651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RU2745345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рения размеров, сервер управл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терминал и система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змеров
KR102451652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WO2022081745A1 (en) Real-time rendering of 3d wearable articles on human bodies for camera-supported computing devices
Chiricota Three‐dimensional garment modelling using attribute mapping
CN107464289B (zh) 一种虚拟服饰穿戴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ulińska et al. Block pattern design system using 3D zoning method on digital environment for fitted garment
WO2023032647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20173558A (ja) 型紙データ作成方法、型紙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型紙データ作成装置
CN113240818A (zh) 一种模拟和显示假人模型服装的方法
KR20080104396A (ko) 파라미트릭 바디 모델 생성 방법
CN108846145A (zh) 一种基于可变体模的服装评价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