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088B1 -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088B1
KR102451088B1 KR1020210149069A KR20210149069A KR102451088B1 KR 102451088 B1 KR102451088 B1 KR 102451088B1 KR 1020210149069 A KR1020210149069 A KR 1020210149069A KR 20210149069 A KR20210149069 A KR 20210149069A KR 102451088 B1 KR102451088 B1 KR 10245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generation unit
solar power
road pav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김영석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우리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부(101)가 매설된 도로포장(100); 상기 발열부(101)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200);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300); 상기 발열부(101), 태양광 발전부(200) 및 배터리(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산간 지역의 음영에 불구하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융설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SNOW MELTING SYSTEM FOR PAVEMENT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랙 아이스는 사전적인 의미로는 "검은색의 도로포장에 반투명에 가까운 얇은 얼음 막"을 의미하지만, 겨울철 도로에서 발생하는 블랙 아이스는 단지 검은색의 아스팔트 포장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포장을 포함한 전체 포장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빙을 의미한다.
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자,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도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블랙 아이스와 태양광 발전은 공통적으로 음영(陰影)과 관련이 큰데, 도로포장과 태양광 발전구조물이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경우, 위 음영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양지 상태의 태양광 발전구조물은 양호한 전력을 생산하지만, 양지 상태의 도로포장은 블랙 아이스 발생 우려가 적으므로, 도로포장의 융설을 위하여 많은 전력의 공급이 필요없다는 불합리가 있다.
이와 반대로, 음지 상태의 도로포장은 블랙 아이스 발생 우려가 크지만, 음지 상태의 태양광 발전구조물은 양호한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므로, 도로포장의 융설을 위하여 안정적인 전력의 공급을 할 수 없다는 불합리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강원도와 같은 산간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음지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지역은 사고의 우려가 큰 결빙 취약구간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산간 지역의 음영에 불구하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융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발열부(101)가 매설된 도로포장(100); 상기 발열부(101)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200);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300); 상기 발열부(101), 태양광 발전부(200) 및 배터리(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포장(100)이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포장(100)이 음지 상태에 있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로포장(100)은, 오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동향 도로포장(100a)과, 오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서향 도로포장(100b)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는, 오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와, 오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향 도로포장(100a),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향 도로포장(100a),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동향 도로포장(100a) 및 서향 도로포장(100b)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향 도로포장(100a) 및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서향 도로포장(100b)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동향 도로포장(100a) 및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동향 도로포장(100a)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로포장(100)은, 상호 양지 상태와 음지 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제1 도로포장(110)과, 제2 도로포장(120)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는, 상호 양지 상태와 음지 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제1 태양광 발전부(210)와, 제2 태양광 발전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이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이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이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이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에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산간 지역의 음영에 불구하고,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융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제2 실시예의 구성도.
도 3,4는 제3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발열부(101)가 매설된 도로포장(100); 발열부(101)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200);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300); 발열부(101), 태양광 발전부(200) 및 배터리(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로포장(100), 태양광 발전부(200)의 음영 상태에 따라, 제어부가 발열부(101), 태양광 발전부(200) 및 배터리(300)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제어부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도로포장(100)과 태양광 발전부(200)가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이다.(도 1)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양지 상태의 도로포장(100)에는 결빙 우려가 작으므로,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300)에 저장하였다가, 음지 상태의 도로포장(100)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도로포장(100)이 양지 상태에 있고, 태양광 발전부(20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태양광 발전부(20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양지 상태의 도로포장(100)에는 결빙 우려가 작고, 음지 상태의 태양광 발전부(200)는 전력 생산 효율이 좋지 못하므로, 가동을 중단하도록 한 것이다.
도로포장(100)이 음지 상태에 있고, 태양광 발전부(20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이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음지 상태의 도로포장(100)은 결빙 우려가 크고, 양지 상태의 태양광 발전부(200)는 전력 생산 효율이 좋으므로, 적극적으로 발열부(101)에 전력을 공급한다.
둘째, 도로포장(100)과 태양광 발전부(200)가 향(向)을 달리하여 설치된 경우이다.(도 2)
여기서 도로포장(100)은, 오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동향 도로포장(100a)과, 오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서향 도로포장(1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동향 도로포장(100a)이란, 오전에는 그늘이 지지 않지만, 오후에는 산의 그림자 등으로 인하여 그늘이 지는 지역에 위치한 도로포장을 의미한다.
태양광 발전부(200)는, 오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와, 오후에 양지 상태가 되는 지역에 위치한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란, 오전에는 그늘이 지지 않지만, 오후에는 산의 그림자 등으로 인하여 그늘이 지는 지역에 위치한 태양광 발전부를 의미한다.
동향 도로포장(100a),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한낮), 도로포장의 결빙 우려가 작으므로,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에서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동향 도로포장(100a),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밤), 도로포장의 융설을 위하여,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동향 도로포장(100a) 및 서향 도로포장(100b)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동향 도로포장(100a) 및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가 양지 상태에 있고,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오전),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에서 생산된 전력이 서향 도로포장(100b)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서향 도로포장(100b) 및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가 양지 상태에 있고, 동향 도로포장(100a) 및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오후),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에서 생산된 전력이 동향 도로포장(100a)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오전에는 양지 상태에 있는 동향 태양광 발전부(200a)에서 생산된 전력을 음지 상태에 있는 서향 도로포장(100b)에 공급하고, 오후에는 반대로 양지 상태에 있는 서향 태양광 발전부(200b)에서 생산된 전력을 음지 상태에 있는 동향 도로포장(100a)에 공급하므로,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도로포장의 융설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도로포장(100)과 태양광 발전부(200)가 향(向)을 달리하여 설치되지만, 동향과 서향을 반드시 특정할 수 없는 경우이다.(도 3)
여기서 도로포장(100)은, 상호 양지 상태와 음지 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제1 도로포장(110)과, 제2 도로포장(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태양광 발전부(200)는, 상호 양지 상태와 음지 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제1 태양광 발전부(210)와, 제2 태양광 발전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태양광 발전부(210)는 제1 도로포장(110)의 일측 인접사면에 설치되고, 제2 태양광 발전부(220)는 제2 도로포장(120)의 타측 인접사면에 설치된다.(도 4)
기본적으로,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모두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모두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제1 도로포장(110)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 이유는 위 실시예들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1 도로포장(110)이 양지 상태에 있고, 제2 도로포장(12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제2 도로포장(120)이 양지 상태에 있고,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모두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이므로, 결빙의 우려가 큰 음지 상태에 있는 도로포장의 발열부(101)에 대하여만,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의 사용을 최소화한다.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제2 도로포장(120)이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됨과 아울러,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제2 도로포장(12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제1 도로포장(110)이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에 공급됨과 아울러,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모두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이므로, 결빙의 우려가 큰 음지 상태에 있는 도로포장의 발열부(101)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여분의 전력이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한 것이다.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제2 태양광 발전부(22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이 모두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이므로, 양지 상태에 있는 태양광 발전부에서 적극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음지 상태에 있는 태양광 발전부 및 배터리(300)는 가동을 중단한다.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에서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제1 태양광 발전부(21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이 모두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이므로, 양지 상태에 있는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300)에 저장하고, 음지 상태에 있는 태양광 발전부는 가동을 중단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100a,100b,110,120 : 도로포장
101 : 발열부
200,200a,200b,210,220 : 태양광 발전부
300 : 배터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발열부(101)가 매설된 도로포장(100);
    상기 발열부(101)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200);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300);
    상기 발열부(101), 태양광 발전부(200) 및 배터리(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로포장(100) 및 태양광 발전부(20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포장(100)은,
    상호 양지 상태와 음지 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제1 도로포장(110)과, 제2 도로포장(120)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는,
    상호 양지 상태와 음지 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제1 태양광 발전부(210)와, 제2 태양광 발전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는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일측 인접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는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의 타측 인접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이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이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이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도로포장(120),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이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에 공급됨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제1 도로포장(110)의 발열부(101) 및 제2 도로포장(120)의 발열부(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 및 배터리(30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도로포장(110), 제2 도로포장(120) 및 제2 태양광 발전부(220)가 양지 상태에 있고,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가 음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태양광 발전부(220)에서 생산된 전력이 상기 배터리(3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태양광 발전부(210)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49069A 2021-11-02 2021-11-02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KR102451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69A KR102451088B1 (ko) 2021-11-02 2021-11-02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69A KR102451088B1 (ko) 2021-11-02 2021-11-02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088B1 true KR102451088B1 (ko) 2022-10-06

Family

ID=8359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69A KR102451088B1 (ko) 2021-11-02 2021-11-02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31A (ko) *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노면 결빙 방지장치
KR101850078B1 (ko) * 2017-08-28 2018-05-31 신도식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도로 하부 열선의 가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31A (ko) *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노면 결빙 방지장치
KR101850078B1 (ko) * 2017-08-28 2018-05-31 신도식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도로 하부 열선의 가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aib et al. Experimental analysis of using beeswax as phase change materials for limiting temperature rise in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KR101015804B1 (ko) 태양광과 풍력의 복합 대체 에너지 발전을 연계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
CN102823458B (zh) 太阳能光伏电热变功率蓄能农业大棚
Sairam et al. Canal top solar panels: A unique nexus of energy, water, and land
Tabasi et al. A detailed investigation and performance optimization of a photovoltaic panel integrated with a reflecting mirror
Bağcı Towards a zero energy island
CN114165831A (zh) 基于光伏光热综合利用系统的零耗能bipv/t方法
KR102451088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포장의 융설시스템
Ruan et al. A new optimal PV installation angle model in high-latitude cold regions based on historical weather big data
Köhler et al. Photovoltaic panels on greened roofs
KR20100005291A (ko) 제설 기능을 갖는 광기전력 모듈 구조
KR101159195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이용한 노면 결빙 방지장치
JPH07310956A (ja) 法面上に設置された太陽光熱利用発電併給装置
Iringova Location of Photovoltaic Panels in the Building Envelope in Terms of Fire Safety
JPS60235442A (ja) 光起電力連係制御装置
Hussain et al. Reviews of using solar energy to cover the energy deficit after the recent war in Mosul city
Liu et al. A research for the influence of tilt angles of the solar panel o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N208480379U (zh) 一种农业温室大棚用电加热防寒保温系统
CN202759896U (zh) 太阳能光伏电热变功率蓄能农业大棚
Mondal et al. Utilization of Constrained Urban Spaces for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Development of Solar Paved Pedestrian Walkway
JP2001081914A (ja) 太陽光エネルギー利用屋根
Hariyanto Design of solar energy for street light
Bujnowski et al. Smart heating system for home extending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Maisanam et al. Solar power potential of North-east India–A case study for Silchar
CN202254383U (zh) 一种加装了固定式聚光镜的太阳能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