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933B1 -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933B1
KR102450933B1 KR1020220048796A KR20220048796A KR102450933B1 KR 102450933 B1 KR102450933 B1 KR 102450933B1 KR 1020220048796 A KR1020220048796 A KR 1020220048796A KR 20220048796 A KR20220048796 A KR 20220048796A KR 102450933 B1 KR102450933 B1 KR 10245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ubstrate
module
display module
protrus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봉
손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픽
Priority to KR102022004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조기판;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부에 고정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 및 보조기판은 서로 밀착되어, 일체화된다.

Description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CAMERA MODULE FIXING STRUCTURE FOR GLASSES-FEE 3D DISPLAY}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디스플레이에 장착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시선추적을 통해 무안경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카메라 모듈의 완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시선추적의 오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는 사용자에게 3차원 화상을 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종류이다. 이때, 각각의 구현방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가지나 기본적으로 사람의 두 눈에 대해서 각각 다른 화상을 제시하고, 양안 시차에 의해 영상을 입체로 보이게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스테레오스코피(stereoscopy)는 기본적으로 사람의 두 눈에 각각 서로 다른 픽셀을 보도록 유도함으로써 3차원 영상을 구현한 것이다. 그 종류로 영상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앞에 슬릿 등을 설치하는 시차 장벽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이트 필드(light field) 합성에 의한 입체 영상을 제시하는 광선 재생형 디스플레이나, 회전 등의 물리적인 구조에 의해 빛의 점(복셀)을 실제의 공간안에 표시하는 체적형 등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르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와 사용자 시점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픽셀)의 전방에는 3D렌즈(즉,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등의 렌즈시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렌즈는 픽셀의 영상이 양안으로 구분되어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두 눈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서로 다른 픽셀을 각각 바라보게 됨에 따라, 3차원 영상을 체감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의 픽셀은 오른쪽 눈을 위한 우안픽셀과, 왼쪽 눈을 위한 좌안픽셀의 패턴이 교번하여 배치되고, 렌즈에 의해 우안픽셀의 영상이 오른쪽 눈으로, 좌안픽셀의 영상이 왼쪽 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위치를 좌우로 이동하여, 양안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 경우, 각각의 눈은 좌안픽셀 영상과 우안픽셀 영상의 가운데 지점의 영상을 시청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섞어서보게 되고 화면이 두개로 보이는 잔상이 발생되며, 이는 입체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면, 좌안픽셀과 우안픽셀도 다른 위치에서 생성되어야 사용자는 어디를 이동해도 동일한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때, 도 1b와 같이,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찾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점추적을 할 수 있다. 카메라가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값을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트롤러로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변화된 양안의 위치에 맞게 픽셀값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실시간으로 무안경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의 양안 사이의 거리는 보통 60-70mm정도이다. 즉, 우안으로 주사되는 우안픽셀영상과 좌안으로 주사되는 좌안픽셀영상 간의 간격은 정확히 60-70mm가 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눈동자의 중간점으로 주사되도록 해야만 선명한 무안경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만약 눈동자의 위치를 5mm 정도만 잘못 측정하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입장에서 섞여보이는 영상의 양이 5배이상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는 정확하게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를 측정해야 한다.
카메라가 항상 정확하게 양안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는 화면과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며, 이러한 배치관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의 경우, 카메라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가 소정의 플라스틱이나 철재 브라켓 형태로 구성되고, 이러한 브라켓을 디스플레이의 프론트 커버나 백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LCD패널이나 OLED 패널은 프론트커버나 백플레이트와 약간의 조립공차를 두고 배치되며, 프론트커버나 백플레이트와 브라켓 간의 결합 시에도 조립이나 결합에 의한 공차가 발생되기 마련이다. 이렇게 공차를 가진 채로 카메라가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경우, 외부 충격, 진도ㅇ이나 온도변화, 압력변화 등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카메라는 초기에 배치된 상태에서 약간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바뀌게 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뜨거운 열을 내뿜는 백플레이트에 의해 또는 고온의 여름 환경에 의해 철재로 구성된 브라켓은 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초기에 는 화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화면과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가능성이 크게 된다.
도 1c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카메라가 초기에 장착된 것에 비하여, 외부 요인에 의해 1˚정도 우측으로 기울여지게 된 경우를 가정해본다. 이때, 사용자와 카메라 간의 거리는 1m이다. 이 경우 오차값은 1000mm x 0.01745radians = 17.45mm로 계산된다. 즉, 카메라는 사용자가 화면과 정방향으로 위치해있다고 측정하였을지라도, 실제로는 사용자가 화면에 대해 17.45mm만큼 이동 해 있는 것이다. 양안 사이 거리가 60-70mm인점을 감안할 때, 17.45mm는 굉장히 큰 오차값이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우안과 좌안 영상이 섞여서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 눈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간의 배치관계가 외부환경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카메라가 일체화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외부 충격, 진동, 열에 의해 상호간의 위치관계가 바뀌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조기판;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부에 고정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 및 보조기판은 서로 밀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시트;를 더 포함하고, 렌즈시트, 디스플레이 모듈 및 보조기판은 서로 밀착되며, 센서 모듈이 사용자의 시점 추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픽셀값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점 변경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 무안경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조기판은 강화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밀착되고, 렌즈시트는 보조기판의 전면에 밀착되며, 보조기판은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시트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밀착되고, 보조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시트, 보조기판, 및 센서 모듈은 기설정된 접착물질에 의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센서 모듈의 후면부와 장착되기 위한 홀 구조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의 후면부와 돌출부의 홀 구조물 사이에 브라켓;이 더 배치되고, 센서 모듈의 후면부, 홀 구조물 및 브라켓은 볼트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의 후면부와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이 더 배치되며, 센서 모듈의 후면부, 브라켓 및 돌출부는 기설정된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시트 및 보조기판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에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에지 커버는 보조기판의 돌출부의 전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보조기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센서 모듈이 각 돌출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두 눈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재생하는 방향과 동일시하기 위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혹은 디스플레이의 뒤틀림, 열에 의한 백플레이트의 변형 등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간의 배치관계를 변형시키는 여러가지 환경적인 영향에 제한받지 않고 완전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시점과 3차원 영상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의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이 밀착된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결합 위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의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즉, 앞서 설명한 도 1b의 그림(d)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S110),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눈동자의 좌표(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S120).
이때,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구분하게 된다. 영상 표시 장치가 눈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술은 종래의 이미지 인식기술, 딥러닝 기술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눈동자 좌표에 기반하여 시청자의 시청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S130).
마지막으로, 영상 표시 장치는 시청자의 시청 위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픽셀값이 갖는 영상 반복 주기 및 위치 보정값을 생성하고(S140), 생성된 반복 주기 및 위치 보정값에 따라 현재 출력중인 영상의 픽셀값을 수정하게 된다(S150).
이러한, 단계(S110) 내지 단계(S150)를 통해 사용자가 영상의 시청 중에 시청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영상 표시 장치가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에 맞게 픽셀값을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어떠한 위치에서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3차원의 경험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센서 모듈(4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구성하는 패널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고,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사양에 해당된다면, 패널의 종류나 형태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 모듈(400)은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의 일종으로, 디스플레이 모듈(400)의 전면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 카메라가 아닌 다양한 센서들이 센서 모듈(400)에 해당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 모듈(400)은 사용자의 얼굴을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의 사양을 갖추어야 하나, 반드시 종래의 카메라만이 이용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깊이값을 산출하는 센서나, 형태를 구분할 수 있는 감지 센서 등 사람의 눈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라도 센서 모듈(400)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센서 모듈(400)이 산출하는 센싱값이 사람의 눈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사양이라면, 영상 표시 장치(10)에 내장된 딥러닝 기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눈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센서 모듈(400)은 도 3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부에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나, 센서 모듈(400)이 형성되는 위치나 개수는 제한이 없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센서 모듈(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와 영상 표시 장치(1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한 깊이값 등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400)이 부착된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센서 모듈(400)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에 장착된 경우를 도시하나, 센서모듈(400)이 장착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도 4a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일부만을 표현한 것이며, 하단의 구조물은 생략하여 도시되었다.
도 4a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렌즈시트(200), 보조기판(300) 및 센서 모듈(40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에 언급된 각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3차원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패널의 종류는 LCD패널 또는 OLED패널 등 픽셀을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패널을 의미한다.
이때, 센서 모듈(400)이 사용자의 시점 추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픽셀값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점 변경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 무안경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시트(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기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과(100)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기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판(30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센서 모듈(400)은 보조기판(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와 결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보조기판(300)에 돌출부(310)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보조기판(300)의 상부 가장자리에 각각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돌출부(310)에는 복수의 센서 모듈(40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보조기판(300)은 강화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1mm ~ 10mm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보조기판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재생하는 영상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하고, 외부충격, 진동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뒤틀림이나 변형이 적도록 기설정된 값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렌즈시트(200) 및 보조기판(300)이 기설정된 순서대로 서로 밀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는 도 5a, 도 5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5b는 도 4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장치 상단의 일부만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며 하부 영역은 생략되어 도시되었다.
제 1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00), 렌즈시트(200) 및 보조기판(30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판(3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밀착되고, 렌즈시트(200)는 보조기판(300)의 전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기판(300)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어야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재생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00), 렌즈시트(200) 및 보조기판(30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시트(200)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밀착되고, 보조기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 보조기판(3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의 픽셀영역을 보호할 수 있고, 보조기판(300)의 앞면과 뒷면을 렌즈시트(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밀착하고 있기에 뒤틀림에 강하다는 강점을 가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보조기판(3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부에 장착되기에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00), 렌즈시트(200), 보조기판(300) 및 센서 모듈(400)은 기설정된 접착물질(500)에 의해서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물질(500)은 영상이 투과되어 재생될 수 있으면서도, 각 모듈을 단단하게 접착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물질(500)로 광학접착제의 한 종류인 OCA, OC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조기판(300)은 종래의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백플레이트와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기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백플레이트와 일정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보조기판(300)과 백플레이트 사이에 기설정된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열에 의해 백플레이트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엣지 커버(6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렌즈시트(200) 및 보조기판(300)의 외부면과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에지 커버(60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커버함과 동시에, 보조기판(300)의 상단 일영역을 커버하고 있고, 보조기판(300)의 돌출부(310)의 전면을 노출시켜,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이 보조기판의 돌출부(310)에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 결합구조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센서모듈과 보조기판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기판(300)의 돌출부(310)는 센서 모듈(400)의 후면부가 장착되기 위한 홀 구조물(42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 센서 모듈(400)의 후면부와 돌출부(310)의 홀 구조물(420) 사이에 브라켓(410)이 배치되고, 센서 모듈(400)의 후면부, 홀 구조물(420), 및 브라켓(410)은 하나의 볼트(43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앞서 설명한 도 5a나 도 5b에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400)의 후면부와 돌출부(310)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410)을 더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센서 모듈(400)의 후면부, 브라켓(410), 및 돌출부(310)는 기설정된 접착물질(500)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400)의 결합 위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선택적 실시예로, 센서 모듈(400)은 2가지 방식으로 보조기판(3000의 돌출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실시예로 도 7a를 참고하면, 센서 모듈(400)의 후면부는 보조기판(300)의 전면부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의 그림(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400)의 후면부가 돌출부(310)에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센서 모듈(400)이 결합되면, 도 7a의 그림(b)와 같이 센서 모듈(400)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전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전면 공간이 협소한 경우 다음의 제2실시예로 센서 모듈(40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도 7a의 그림(c)와 같이 센서 모듈(400)과 돌출부(310)에는 볼트 홀(4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센서 모듈(400)은 보조기판(300)의 돌출부(310)와 볼트(43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 도 7b를 참고하면, 센서 모듈(400)의 전면부는 보조기판(300)의 후면부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b의 그림(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400)의 전면부가 돌출부(310)의 후면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 모듈(400)은 볼트(430) 또는 접착물질(500)에 의해 돌출부(310)와 결합되고, 돌출부(310)에는 홀 구조물(320)이 형성되어 센싱 모듈(400)이 센싱을 수행함에 있어 방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센서 모듈(400)이 결합되면, 도 7b의 그림(b)와 같이 센서 모듈(400)이 디스플레이의 후면부의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전면부에 많은 공간을 요구하지 않게 된다.
한편 추가 실시예로, 앞서 설명한 브라켓(410)이 생략되어, 센서 모듈(400)이 보조기판(300)의 돌출부(310)와 볼트(430)를 통해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영상 표시 장치
100: 디스플레이 모듈 200: 렌즈시트
300: 보조기판 400: 센서 모듈
500: 접착물질 600: 엣지 커버

Claims (12)

  1.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조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센서 모듈;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보조기판은 서로 밀착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렌즈시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보조기판은 서로 밀착되며,
    상기 센서 모듈이 사용자의 시점 추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픽셀값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점 변경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 무안경 3차원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보조기판은 강화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렌즈시트는 상기 보조기판의 전면에 밀착되며, 상기 보조기판은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조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밀착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시트, 보조기판, 및 센서 모듈은 기설정된 접착물질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센서 모듈의 후면부와 장착되기 위한 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후면부와 상기 돌출부의 홀 구조물 사이에 브라켓;이 더 배치되고, 상기 센서 모듈의 후면부, 홀 구조물 및 브라켓은 볼트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후면부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이 더 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의 후면부, 브라켓 및 돌출부는 기설정된 접착물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시트 및 보조기판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에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지 커버는 상기 보조기판의 돌출부의 전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보조기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성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센서 모듈이 각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KR1020220048796A 2022-04-20 2022-04-20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KR10245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96A KR102450933B1 (ko) 2022-04-20 2022-04-20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96A KR102450933B1 (ko) 2022-04-20 2022-04-20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933B1 true KR102450933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796A KR102450933B1 (ko) 2022-04-20 2022-04-20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9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570A (ko) * 2014-03-18 2015-09-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영 객체 인식을 통한 미러 디스플레이 기반 증강 현실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50139095A (ko) * 2014-06-02 2015-1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무안경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20180120128A (ko) * 2018-10-19 2018-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570A (ko) * 2014-03-18 2015-09-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영 객체 인식을 통한 미러 디스플레이 기반 증강 현실 영상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50139095A (ko) * 2014-06-02 2015-1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무안경식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20180120128A (ko) * 2018-10-19 2018-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956B1 (ko) 2d/3d 겸용 디스플레이
US7834944B2 (en) Method for the orientation of a parallax barrier screen on a display screen
US6771231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and method therefor
JP5006587B2 (ja) 画像提示装置および画像提示方法
US20080084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rrecting parallax in head borne video systems
US20100283833A1 (en)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with stereo image display and touch functions
CN103533340A (zh) 移动终端的裸眼3d播放方法和移动终端
KR20120016408A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US20100259598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ree-dimensional distance
WO2022119940A4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al images
JP5050120B1 (ja) 立体画像表示装置
CN105657417B (zh) 一种对位检测方法和对位检测装置
CN103947199A (zh) 图像处理装置、立体图像显示设备、图像处理方法和图像处理程序
TW201310974A (zh) 三維影像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2013051636A (ja) 映像処理装置
US11778297B1 (en) Portable stereoscopic image capturing camera and system
CN103207455A (zh) 立体显示装置
JP4664690B2 (ja)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方法
KR102450933B1 (ko) 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모듈 고정 구조
KR100440955B1 (ko) 2d/3d 겸용 디스플레이
EP1531632A2 (en)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741227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15695976A (zh) 一种显示装置及其图像采集方法
CN114898440A (zh) 液晶光栅的驱动方法及显示装置、其显示方法
KR101883883B1 (ko) 플립영상을 차단하는 무안경 원통형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