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789B1 -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789B1
KR102450789B1 KR1020210157524A KR20210157524A KR102450789B1 KR 102450789 B1 KR102450789 B1 KR 102450789B1 KR 1020210157524 A KR1020210157524 A KR 1020210157524A KR 20210157524 A KR20210157524 A KR 20210157524A KR 102450789 B1 KR102450789 B1 KR 10245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mmunication cable
module
outlet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섭
Original Assignee
이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섭 filed Critical 이한섭
Priority to KR102021015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7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7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ccess point (AP) function, which can enable wireless LAN network access and wireless Internet to be used with high efficiency at almost any location in a building through a fixed AP configuration based on an embedded outlet installed togethe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without additional purchase or installation of a separate device such as an existing wireless LAN extender by a user,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The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edded outlet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s are coupled to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building. The device comprises: an outlet body including a cover plate which has one or two or more exposure holes formed therein and which is fixed to the building, and a support unit which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installed in an embedded type in the building by combining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is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and a wireless AP module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while facing one side of the exposure hole and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the embedded type, wherein the wireless AP module is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in a manner for compatible installation or complex install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Description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 LAN 확장기 등 사용자가 별도의 기기를 추가적으로 구입 및 설치하지 않아도 건축물 시공 시에 함께 설치되는 매입형 콘센트 기반의 고정형 AP 구성을 통해 해당 건축물 내 거의 모든 위치에서 무선 LAN 네트워크 접속 및 무선 인터넷을 고효율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ireless LAN network access and access from almost any location in the building through the fixed AP configuration based on the recessed outlet that is installed together at the time of building construction without requiring the user to additionally purchase and install a separate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wireless LAN exten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that enables high-efficiency use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이나 사무형 건물 등 대부분의 건물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또한 이렇게 구획된 각각의 공간들은 내벽에 의해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In general, most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tels or office building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each space divided in this way is divided into several spaces by an inner wall.

아파트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아파트는 여러 세대로 구획되고, 각 세대는 내벽에 의해 거실, 방, 주방 등으로 구획된다.To elaborate on an apartment as an example, the apartment is divided into several households, and each household is divided into a living room, a room, a kitchen, and the like by an inner wall.

한편 무선 LAN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무선 인터넷의 사용을 위해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설치하는 것이 보편화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as the use of wireless LAN is expanding, it is becoming common to install a wireless Internet router for wireless Internet use in homes and offices.

그러나 이러한 무선 인터넷 공유기는 그 구입 비용 및 공간 점유 등의 이유로 하나의 가정 또는 사무실을 기준으로 한 대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한 대의 무선 인터넷 공유기 만으로 해당 가정 또는 사무실의 곳곳에서 무선 인터넷 이용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는 없는 것이었다.However, such wireless Internet routers are generally installed in one home or office for reasons such as purchase cost and space occupancy. Not everything could go smoothly.

아파트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상술한 것처럼 아파트의 각 세대는 내벽에 의해 거실, 방, 주방 등으로 구획되고, 따라서 거실이나 방에 설치된 무선 인터넷 공유기의 신호 송수신이 해당 세대의 내벽들로 인해 차단되면서 해당 세대 내의 많은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 사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To elaborate on an apartment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each household in the apartment is divided into a living room, a room, a kitchen, etc. by an inner wall, and thus,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router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or room is blocked due to the inner walls of the corresponding household. In many places within the household, the use of wireless Internet becomes difficult.

이러한 이유로 전원 콘센트에 꽂아서 사용하는 무선 LAN 확장기 등 별도의 기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별도의 기기를 구입 및 사용하는 데 따른 비용적인 부담이 있는 동시에 별도의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의 문제 및 설치된 기기로 인한 공간 점유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즉, 전원 콘센트로부터 실내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기기로 인해 해당 실내에서의 공간 활용에 지장이 초래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기기가 전원 콘센트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데 따른 주변 가구 등과의 간섭으로 인해 그 설치 위치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전원 콘센트의 부족으로 인해 멀티탭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연결하는 데 따른 부대 비용의 증가 및 번거로움도 초래되는 것이었다.For this reason, separate devices such as a wireless LAN extender that is plugged into a power outlet are used, but there is a cost burden in purchasing and using a separate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of securing space for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and the installed device. There was a problem of space occupancy. That is, device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power outlet toward the room may interfere with the use of space in the corresponding room.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a power outlet, an increase in incidental cost and inconvenience caus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d connecting a multi-tap and the like is also caused.

한편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이나 사무형 건물 등 대부분의 건축물에는 그 벽체나 바닥 또는 천장에 매입형 콘센트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in most building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and office building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and office buildings, recessed outlets are installed on the wall, floor, or ceiling.

즉, 건축물의 시공 시 그 벽체, 바닥 및 천장에 콘센트박스와 전선관이 매입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콘센트박스를 기반으로 전원케이블 내지 통신케이블 접속용의 콘센트가 매입형으로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케이블은 인터넷, 전화, 방송 등 정보 통신 관련의 케이블 모두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축물이 아파트 내지 주거용 오피스텔인 경우 매입형의 콘센트가 주로 벽체에 설치되지만, 이와 달리 사무형 건물 내지 주거,사무의 복합형 오피스텔인 경우 매입형의 콘센트는 벽체 외에 바닥, 천장에도 설치된다.That is, concrete is poured in such a way that an outlet box and a conduit are embedded in the wall, floor, and ceiling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accordingly, an outlet for connecting a power cable or a communication cable is fixed in a buried type based on the outlet box. is installed Here, the communication cable refers to all cables related to information communication such as the Internet, telephone, and broadcasting. And when the building is an apartment or residential officetel, the recessed outlet is mainly installed on the wa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office building or a mixed-type officetel of residence and office, the recessed outlet is installed on the floor and ceiling in addition to the wall.

이에 본 출원인은 건축물에 매입형 콘센트가 반드시 설치되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매입형 콘센트를 기반으로 해당 건축물에서의 안정적인 동시에 효율성 높은 무선 LAN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ology that enables a stable and efficient wireless LAN network to be built in a corresponding building based on such a buried outlet,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built-in outlet is necessarily installed in a building.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45757호(2019.05.03.공개), “와이파이 신호 확장을 위한 콘센트 모듈”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5757 (published on May 3, 2019), “Outlet module for Wi-Fi signal extension” 한국 등록특허 제10-2167940호(2020.10.20.공고),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용 콘센트 구조”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67940 (2020.10.20. Announcement), “Outlet structure for UTP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의 무선 LAN 확장기 등 사용자가 별도의 기기를 추가적으로 구입 및 설치하지 않아도 건축물 시공 시에 함께 설치되는 매입형 콘센트 기반의 고정형 AP 구성을 통해 해당 건축물에서 무선 LAN 네트워크 접속 및 무선 인터넷을 고효율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ireless LAN network access and wireless access in a building through a fixed AP configuration based on an embedded outlet that is installed together at the time of building construction without the user having to additionally purchase and install a separate device, such as an existing wireless LAN extender. Provided are a recess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that enables high-efficiency Internet use,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 사무형 건물 등의 건축물 시공 시에 매입형으로 함께 설치되는 콘센트박스 및 이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콘센트를 기반으로 AP(Wireless Access Point) 기능이 제공될 수 있어, 해당 건축물에서 고효율의 무선 LAN 네트워크가 구축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n outlet box installed together in a buried typ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officetel, an office building, etc. Provided are a buried outlet device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having an AP function that can be provided, so that a high-efficiency wireless LAN network can be built and used in a corresponding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건축물 시공 시에 매입형으로 함께 설치되는 콘센트박스 및 이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콘센트를 기반으로 AP(Wireless Access Point)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해당 매입형 콘센트 및 그 AP 모듈을 통해 구축되는 무선 LAN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건축물 내 모든 위치에서 무선 인터넷을 높은 송수신 세기의 고효율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 (Wireless Access Point) function based on an outlet box installed together in a recessed typ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an outlet installed in the recessed type thereto. Provided are a recessed outlet device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having an AP function that allows users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with high transmission/reception strength and high efficiency at any location in the building through the wireless LAN network built through the modu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는, 건축물의 통신케이블과 접속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를 상기 건축물에 매입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노출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건축물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안쪽 면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를 접속구가 상기 노출용 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시키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콘센트 몸체와, 상기 노출용 홀에 일측을 마주하면서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되,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해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와의 호환 설치 또는 복합 설치의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과 접속되는 AP(Wireless Access Point)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or mor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s for connection with a communication cable of a building, and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building In the recessed outlet device, one or more exposure holes are formed and a cover plate fixed to the building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port for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is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An outlet body including a support unit that is coupled to the building to be installed in an embedded type, and coupled to the supporting unit while facing one side to the exposure hole, and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an embedded type, for the support unit, It is installed by a method of installation compatible with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or a complex installation, and may include an AP (Wireless Access Poin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 및 AP 모듈은 각각 상기 지지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 및 AP 모듈의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방식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AP 모듈 전용 및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 전용 그리고 상기 AP 모듈과 통신케이블 커넥터의 겸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the AP module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respectively, and the detachable coupl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the AP module to the support unit has the same structure, 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 may be switchable to any one of the AP module only,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only, and the AP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상기 AP 모듈과 접속되는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은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AP 모듈은 접속되는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connected to the AP module may have a form including a power cable, and the AP module may supply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to which it is connect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술한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복수로 포함하며, 상기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AP 모듈이 마스터 AP로 설정되고 나머지의 AP 모듈들이 슬레이브 AP로 설정되어 상기 건축물을 대상으로 무선 LAN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And,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mbedded outlet devices having the above-described AP function, and any one AP module among the buried outlet devices having the AP function is set as a master AP, The remaining AP modules may be configured as slave APs to form a wireless LAN network for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들과 각각 접속되는 허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허브를 통해 상기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들 간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관계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u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uried outlet devices having the AP function, and a master and a master between the buried outlet devices having an AP function through the hub. A slave relationship may be established.

또한, 상기 허브는 상기 건축물의 배전함 내지 분전함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ub may b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box or a distribution box of the building.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는,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이 인입되는 콘센트 박스와, 상기 콘센트 박스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가리도록 상기 콘센트 박스에 결합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노출용 홀이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안쪽 면에 형성되며, 결합 대상을 상기 콘센트 박스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로 결합하는 지지 유닛과, 상기 노출용 홀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 박스의 내측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과 접속되는 AP(Wireless Access Point)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buri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box installed in a building embedded in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to the inside thereof, and the inside of the outlet box is covered from the outside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outlet box so as to have one or two or more exposure holes formed therein; , coupled to the support unit in a state facing the exposure hole,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side the outlet box, and may include an AP (Wireless Access Poin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AP 모듈은 상기 지지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는,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한 상기 AP 모듈의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지지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 박스 내측에 매입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과 접속되며 상기 노출용 홀을 통해 접속구를 노출하는 통신케이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and the recess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upling structure as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AP module to the support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through the structure, is installed in an embedded type inside the outlet box,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and exposes a connection port through the hole for exposure.

또한, 상기 AP 모듈과 접속되는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은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AP 모듈은 접속되는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connected to the AP module may have a form including a power cable, and the AP module may supply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to which it is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의 무선 LAN 확장기 등 사용자가 별도의 기기를 추가적으로 구입 및 설치하지 않아도 건축물 시공 시에 함께 설치되는 매입형 콘센트 기반의 고정형 AP 구성을 통해 해당 건축물에서 무선 LAN 네트워크 접속 및 무선 인터넷을 고효율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LAN network access in a corresponding building through a fixed-type AP configuration based on an embedded outlet that is installed togethe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a building without the user having to purchase and install a separate device such as an existing wireless LAN extender and wireless Internet can be used with high efficiency.

또한,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 사무형 건물 등의 건축물 시공 시에 매입형으로 함께 설치되는 콘센트박스 및 이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콘센트를 기반으로 AP(Wireless Access Point) 기능이 제공될 수 있어, 해당 건축물에서 고효율의 무선 LAN 네트워크가 구축 및 사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AP (Wireless Access Point) function can be provided based on an outlet box installed together in a recessed type and an outlet installed in a recessed typ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officetel, an office building, etc. , a high-efficiency wireless LAN network can be built and used in the building.

또한, 건축물 시공 시에 매입형으로 함께 설치되는 콘센트박스 및 이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콘센트를 기반으로 AP(Wireless Access Point)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해당 매입형 콘센트 및 그 AP 모듈을 통해 구축되는 무선 LAN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건축물 내 모든 위치에서 무선 인터넷을 높은 송수신 세기의 고효율로써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AP (Wireless Access Point) function is provided based on an outlet box installed together in a recessed type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an outlet installed in a recessed type thereto, the wireless Through the LAN network, users can use the wireless Internet at any location in the building with high transmission/reception strength and high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정면에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배면에서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정면에서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측면에서 예시한 도면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from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illustrating a buri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ure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nd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n by way of example of the embodimen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wealth", "… The term “module”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정면에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배면에서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ure 2 is an example of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it is one dra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 이하 “매입형 콘센트 장치”라 약칭 함)는 건축물의 통신케이블(C)과 접속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케이블 커넥터(130)가 결합되고, 통신케이블 커넥터(130)를 건축물에 매입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는 기존의 건축물 시공 시 해당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 및 콘센트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다.As shown, the buried outlet device 100 (hereinafter abbreviated as “recess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two for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The abov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is coupled, and includes as a basic configuration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a building. In other words, the recessed outle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configuration of the outlet box and the outlet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to be embedded in the existing building construction.

이러한 본 실시 예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는 콘센트 몸체(110) 및 AP(Wireless Access Point)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cessed outlet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let body 110 and an AP (Wireless Access Point) module 120 .

콘센트 몸체(110)는 커버 플레이트(111) 및 지지 유닛(11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커버 플레이트(111)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노출용 홀(111a)이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111)는 건축물에 고정된다. 부연 설명하면, 커버 플레이트(111)는 건축물의 시공 시 형성한 콘센트 박스를 외부로부터 가리면서 해당 콘센트 박스 내지 건축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 박스의 내측으로 건축물의 통신케이블(C)이 인입되며, 이때 통신케이블(C)은 통상적으로 해당 건축물의 벽체, 바닥 또는 천장에 매입된 전선관을 따라 설치되는 통신케이블이 해당 되겠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utlet body 110 includes a cover plate 111 and a support unit 112, and the cover plate 111 has one or more exposure holes 111a formed therein, and the cover plate 111 is a building structure. is fixed on In detail, the cover plate 111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outlet box or the building while covering the outlet box formed dur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from the outside.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enters the inside of the outlet box, an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cable (C) is usually a communication cable installed along the conduit embedded in the wall, floor or ceiling of the building.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지지 유닛(112)은 커버 플레이트(111)의 안쪽 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 유닛(112)은 통신케이블 커넥터(130)를 그 접속구(131)가 커버 플레이트(111)의 노출용 홀(111a)을 통해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하여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111)의 안쪽 면은 커버 플레이트(111)가 콘센트 박스 내지 건축물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콘센트 박스 내지 건축물과 마주하는 쪽 일면을 의미한다. And the support unit 1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1, and this support unit 112 connects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connection port 131 to the hole 111a for exposure of the cover plate 111. ), and it functions to be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a building by combining it in an exposed state.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1 means one side facing the outlet box or the building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111 is fixed to the outlet box or the building.

AP 모듈(120)은 커버 플레이트(111)의 노출용 홀(111a)에 일측을 마주하면서 지지 유닛(112)에 결합되어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AP 모듈(120)은 지지 유닛(112)에 대해 통신케이블 커넥터(130)와의 호환 설치 또는 복합 설치의 방식으로 설치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는 그 콘센트 몸체(110)의 지지 유닛(112)에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 중 어느 하나 만을 결합시켜 사용되거나,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을 모두 결합시켜 사용될 수 있다.The AP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12 while facing one side of the exposure hole 111a of the cover plate 111 to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an embedded manner. Here, the AP module 120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112 in a manner of compatible installation or complex install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 In other words, the recessed outlet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used by combining only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AP module 120 to the support unit 112 of the outlet body 110, or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Both 130 and the AP module 120 may be combined and used.

그리고 이를 위해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은 각각 지지 유닛(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의 지지 유닛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방식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는 AP 모듈 전용 및 통신케이블 커넥터 전용 그리고 AP 모듈과 통신케이블 커넥터의 겸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다.And 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AP module 12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12, respectively,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AP module 12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embedded outlet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can be switched and used in any one of the AP module only an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only, and the AP module an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의 지지 유닛(112)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는 기존의 인터넷 콘센트 내지 UTP 콘센트 등으로 지칭되는 콘센트 기구에서의 탈착형 결합 구조가 사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존의 인터넷 콘센트 내지 UTP 콘센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커버 플레이트(111)의 배면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는 동시에 각각에는 복수의 결합홀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 가이드(112b)와,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또는 AP 모듈(12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동시에 결합 가이드(112b)에 탈착형으로 고정되기 위한 후크(112a) 및 결합 가이드(112b)의 결합홀과 대응되는 결합돌기를 통한 탈착형 결합 구조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45757호(2019.05.03.공개)의 도 1 내지 도 3 등을 참조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의 지지 유닛(112)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for the support unit 112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AP module 120 has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in the outlet mechanism referred to as an existing Internet outlet or UTP outlet. will be used In other words, a pair of coupling guides 112b that are provided with a distance from each oth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1 used in the existing Internet outlets or UTP outlets and hav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hook (112a) and coupling guide (112b) for being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or the AP module 120 at the same time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coupling guide (112b). A removable coupling structure is used. For this, it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by referring to FIGS. 1 to 3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5757 (published on May 3, 2019).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for the support unit 112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AP module 120 in this embodiment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의 지지 유닛(112)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가 상술한 것처럼 결합 가이드(112b), 후크(112a), 결합돌기 및 결합홀 등의 공지 구성이 이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케이블 커넥터(130) 및 AP 모듈(120)이 지지 유닛(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for the support unit 112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AP module 120 includes the coupling guide 112b, the hook 112a,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Although it is exemplified that a known configuration such as such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0 and the AP module 120 satisfy the condition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12 .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within the scope.

그리고 AP 모듈(120)에는 건축물의 통신케이블(C)이 접속된다. 여기서, AP 모듈(120)과 접속되는 건축물의 통신케이블(C)은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고, 이에 따라 AP 모듈(120)은 접속되는 건축물의 통신케이블(C)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즉, AP 모듈(12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건축물의 벽체, 바닥 또는 천장의 외면을 따라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배선하는 데 따른 구조적인 복잡도 증가 및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동시에 건축물의 실내에 노출되게 배선되는 전원케이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여러 난점들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And the AP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Here,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connected to the AP module 120 may be in the form of including a power cable, and accordingly, the AP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it may be done That is, the increase in structural complexity and work hassle caused by wiring a separate power c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floor, or ceiling of a building to supply power to the AP module 120 are elimin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Various difficulties that may be caused by the exposed power cable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이나 사무형 건물 등 대부분의 건물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에서 해당 건축물의 시공 시 매입형으로 함께 설치되는 콘센트박스 및 이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콘센트 기구를 기반으로 AP(Wireless Access Point)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기존의 무선 LAN 확장기 등 별도의 기기를 추가적으로 구입 및 설치하는 데 따른 비용 소모 및 번거로움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해당 건축물의 거의 모든 공간에서 무선 LAN 네트워크 접속 및 무선 인터넷을 고효율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아파트의 한 세대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해당 세대 내의 사용자는 해당 세대의 거실, 방, 주방, 화장실 등 거의 모든 곳에서 무선 LAN 네트워크 접속 및 무선 인터넷을 고효율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 outlet box installed together in a recessed type during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n various buildings, including most buildings such as apartment houses and offic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tels, and an outlet appliance installed in a recessed type. As the AP (Wireless Access Point) function can be provided by using In the space, wireless LAN network access and wireless Internet can be used with high efficiency. To elaborate on one household in an apartment as an example, users within that household will be able to use wireless LAN network access and wireless Internet with high efficiency in almost everywhere, such as the living room, bedroom, kitchen, and bathroom, of the household.

그리고 이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이나 사무형 건물 등 대부분의 건물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에는 그 시공 시 매입형 콘센트 구조가 반드시 설치되는 것이므로, 거의 모든 종류의 건축물에서 고효율의 무선 LAN 네트워크가 구축 및 사용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부연 설명하면, 매입형 콘센트가 설치되는 각종 건축물에서 사용자들은 해당 건축물의 거의 모든 위치에서 무선 인터넷을 높은 송수신 세기 다시 말해 고효율로 안정감 있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recessed outlet structure must be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including most building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and officetels, and office buildings, high-efficiency wireless LAN networks can be constructed and used in almost all types of buildings. means to be able In other words, in various buildings where recessed outlets are installed, users can use the wireless Internet at almost any location in the building with high transmission/reception strength, that is, high-efficiency and stable use.

도 3은 상술한 실시 예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를 통해 건축물(B)에 구축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3 illustrates a wireless network system built in the building (B) through the recessed outlet device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를 복수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the embedded outlet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즉,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들 중 어느 하나의 AP 모듈(120-1)이 마스터 AP로 설정되고 나머지의 AP 모듈(120-2∼120-4)들이 슬레이브 AP로 설정되어 해당 건축물(B)의 해당 공간을 대상으로 무선 LAN 네트워크가 형성된다.That is, any one of the recessed outlet devices 100 is set as the master AP, and the remaining AP modules 120-2 to 120-4 are set as slave APs, ), a wireless LAN network is formed for the corresponding space.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들과 각각 접속되는 허브(2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허브(200)를 통해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들 간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관계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ub 200 connected to each of the embedded outlet devices 100 , and a master between the embedded outlet devices 100 through the hub 200 . and a slave relationship may be established.

또한, 허브(200)는 건축물(B)의 배전함 내지 분전함(D)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허브(200)가 분전함(D)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In addition, the hub 200 may b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x or the distribution box D of the building (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hub 200 is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x (D).

그리고 각각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 및 그 AP 모듈(120-1∼120-4)과 허브(200) 간의 개별적인 접속은 분전함(D) 및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들 간을 연결하는 전선관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 이러한 접속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다.And the individual connection between each of the recessed outlet devices 100 and the AP modules 120-1 to 120-4 and the hub 200 is a conduit connecting the distribution box D and the recessed outlet devices 100. This is done through the , and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

참고로 본 실시 예의 도면 3은 아파트의 한 세대를 예로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FIG. 3 of this embodiment shows one household of an apartment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크워크 시스템의 작용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에서의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크워크 시스템의 작용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의 작용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ration in the embedded outlet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understoo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mbedded outlet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정면에서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측면에서 예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edd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ure 5 is an example of a buried outlet device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it is one dra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는 콘센트 박스(310), 커버 플레이트(320), 지지 유닛(330), AP(Wireless Access Point) 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는 통신케이블 커넥터(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recessed outlet device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utlet box 310 , a cover plate 320 , a support unit 330 , and an AP (Wireless Access Point) module 340 . do. In addition, the recessed outlet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

콘센트 박스(310)는 건축물(B)에 매입형으로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건축물(B)의 통신케이블(C)이 인입된다.The outlet box 310 is installed in a buried type in the building (B),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B)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ereof.

커버 플레이트(320)는 콘센트 박스(31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가리도록 콘센트 박스(310)에 결합되며,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320)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노출용 홀(321)이 형성된다.The cover plate 320 is coupled to the outlet box 310 to cover the inside of the outlet box 310 from the outside, and one or more exposure holes 321 are formed in the cover plate 320 .

지지 유닛(330)은 커버 플레이트(320)의 안쪽 면에 형성되며, 결합 대상을 콘센트 박스(310)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로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320)의 안쪽 면은 커버 플레이트(320)가 콘센트 박스(310)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콘센트 박스(310)와 마주하는 쪽 일면을 의미한다.The support unit 33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320 , and functions to couple the object to be coupl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outlet box 310 .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320 means one surface facing the outlet box 310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320 is fixed to the outlet box 310 .

AP 모듈(340)은 커버 플레이트(320)의 노출용 홀(321)과 마주하는 상태로 지지 유닛(330)에 결합되어 콘센트 박스(310)의 내측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AP 모듈(340)은 콘센트 박스(310)의 내측으로 인입된 건축물(B)의 통신케이블(C)과 접속된다.The AP module 34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30 in a state to face the exposure hole 321 of the cover plate 320 and is installed in a recessed type inside the outlet box 310 , and the AP module 340 )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B) l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outlet box (310).

또한 AP 모듈(340)은 지지 유닛(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통신케이블 커넥터(350)는 지지 유닛(330)에 대한 AP 모듈(340)의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통해 지지 유닛(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P module 3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30 ,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is supported through the same coupling structure as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AP module 340 to the support unit 330 .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nit 330 .

즉, 통신케이블 커넥터(350)는 지지 유닛(330)에 대한 AP 모듈(340)의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통해 지지 유닛(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콘센트 박스(310)의 내측에 매입형으로 설치되고, 이때 통신케이블 커넥터(350)는 그 접속구(351)를 커버 플레이트(320)의 노출용 홀(321)을 통해 노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통신케이블 커넥터(350)는 건축물(B)의 통신케이블(C)과 접속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30 through the same coupling structure as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AP module 340 to the support unit 330 ,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let box 310 .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 351 is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321 of the cover plate 320, and this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is 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B).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통신케이블 커넥터(350) 및 AP 모듈(340)의 지지 유닛(330)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가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인터넷 콘센트 내지 UTP 콘센트 등으로 지칭되는 콘센트 기구에서의 결합 가이드, 후크, 결합돌기 및 결합홀 등을 이용한 공지의 결합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케이블 커넥터(350) 및 AP 모듈(340)의 지지 유닛(330)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구조가 상술한 것처럼 결합 가이드, 후크, 결합돌기 및 결합홀 등의 공지 구성이 이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케이블 커넥터(350) 및 AP 모듈(340)이 지지 유닛(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for the support unit 330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and the AP module 340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It is to use a known coupling structure using a coupling guide, a hook,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hole in the socket outlet referred to.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known configuration such as a coupling guide, a hook,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hole is used as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for the support unit 330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and the AP module 340 is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available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that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350 and the AP module 34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30 . can be used

그리고 AP 모듈(340)과 접속되는 건축물(B)의 통신케이블(C)은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AP 모듈(340)은 접속되는 건축물(B)의 통신케이블(C)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And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B) connected to the AP module 340 is made of a form including a power cable, and the AP module 340 is powe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C) of the building (B) to which it is connected. supply is made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는 그 작용 면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와 대동소이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의 주요 작용들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매입형 콘센트 장치(100)의 해당 설명들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다.Since the recessed outlet device 300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ecessed outlet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n terms of its ope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n this embodiment is Omitted, the main operations of the receptacl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understood through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s of the receptacle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그리고 본 실시 예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를 기반으로 해당 건축물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nd based on the recessed outlet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wireless network system in the same manner as the wireless network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may b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를 복수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이 해당 건축물에 구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들 중 어느 하나의 AP 모듈이 마스터 AP로 설정되고 나머지의 AP 모듈들이 슬레이브 AP로 설정되어 해당 건축물의 해당 공간을 대상으로 무선 LAN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허브를 통해 매입형 콘센트 장치(300)들 간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관계가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허브는 건축물의 배전함 내지 분전함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other words,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recessed outlet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built in a corresponding building. At this time, one AP module of the recessed outlet devices 300 is set as the master AP and the remaining AP modules are set as slave APs to form a wireless LAN network for the corresponding space of the building, and through the hub A master and 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ed outlet devices 300 may be established. And the hub may b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x or distribution box of the building.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descrip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written and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300 : 매입형 콘센트 장치 110 : 콘센트 몸체
111,320 : 커버 플레이트 111a,321 : 노출용 홀
112,330 : 지지 유닛 112a : 후크
112b ; 결합 가이드 120,340 : AP 모듈
121 : ON/OFF 표시램프 130,350 : 통신케이블 커넥터
131,351 : 접속구 200 : 허브
310 : 콘센트 박스 B : 건축물
C : 통신케이블 D : 분전함
100,300: recessed outlet device 110: outlet body
111,320: cover plate 111a, 321: hole for exposure
112,330: support unit 112a: hook
112b; Combination guide 120,340: AP module
121: ON/OFF indicator lamp 130,350: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131,351: connection port 200: hub
310: outlet box B: building
C : Communication cable D : Distribution box

Claims (12)

건축물의 통신케이블과 접속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케이블 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를 상기 건축물에 매입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노출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건축물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안쪽 면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를 접속구가 상기 노출용 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시키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콘센트 몸체; 및
상기 노출용 홀에 일측을 마주하면서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건축물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과 접속되는 AP(Wireless Access Point)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 및 AP 모듈은 각각 상기 지지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 및 AP 모듈의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한 탈착 가능한 결합 방식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AP 모듈 전용 및 상기 통신케이블 커넥터 전용 그리고 상기 AP 모듈과 통신케이블 커넥터의 겸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전환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AP 모듈과 접속되는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은 전원케이블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AP 모듈은 접속되는 상기 건축물의 통신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건축물의 시공 시 매입형으로 함께 설치되는 콘센트박스 및 상기 콘센트박스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는 상기 콘센트 몸체와 AP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건축물 내에서의 AP(Wireless Access Point)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One or mor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s for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cable of a building are coupled, and in the buried outlet devic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building,
One or two or more exposure holes are formed and a cover plate fixed to the buildin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building by combining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is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an outlet body including a support unit to be installed in a mold; and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while facing one side of the hole for exposure,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an embedded type, and includes an AP (Wireless Access Point)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the AP module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respectively, and the detachable coupl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the AP module to the support unit has the same structure, so that the AP module only and the communication cabl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ny one of the connector-only and the AP module and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s.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connected to the AP module is made in a form including a power cable, and the AP module is powe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of the building to which it is conn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AP (Wireless Access Point) function within the building based on the outlet box installed together in a recessed typ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nd the outlet body and the AP module installed in the recessed type in the outlet box. Recessed outlet device with AP f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따른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를 복수로 포함하며,
상기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AP 모듈이 마스터 AP로 설정되고 나머지의 AP 모듈들이 슬레이브 AP로 설정되어 상기 건축물을 대상으로 무선 LAN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A plurality of recessed outlet devices having an AP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A wireless network system for forming a wireless LAN network for the building by setting an AP module of any one of the recessed outlet devices having the AP function as a master AP and setting the remaining AP modules as slave AP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들과 각각 접속되는 허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허브를 통해 상기 AP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들 간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관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reless network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u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ecessed outlet devices having the AP function, wherein a master and 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ed outlet devices having an AP func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hub.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건축물의 배전함 내지 분전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ub is a wireless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x or distribution box of the buil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57524A 2021-11-16 2021-11-16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KR102450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24A KR102450789B1 (en) 2021-11-16 2021-11-16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24A KR102450789B1 (en) 2021-11-16 2021-11-16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789B1 true KR102450789B1 (en) 2022-10-04

Family

ID=8360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524A KR102450789B1 (en) 2021-11-16 2021-11-16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7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632B1 (en) 2023-02-21 2023-12-29 주식회사 아이티플랜 Protective sheet attachment device for anti-pollution of wall type lan communication outlet and wall type lan communication outlet with protective sheet for anti-pollution manufactured thereb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081A (en) * 2004-04-28 2005-11-02 (주)크리웨이브 Internet connection system to use outlet and method thereof
KR20160054917A (en)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미로 Multi-tap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KR20160100043A (en)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오윈 Consent Device for Proving Heterogeneous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KR20190045757A (en) 2017-10-24 2019-05-03 황선영 Outlet module for wifi signal extension
KR102167940B1 (en) 2020-06-03 2020-10-2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Outlet structure for building UTP cable conn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081A (en) * 2004-04-28 2005-11-02 (주)크리웨이브 Internet connection system to use outlet and method thereof
KR20160054917A (en)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미로 Multi-tap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KR20160100043A (en)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오윈 Consent Device for Proving Heterogeneous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KR20190045757A (en) 2017-10-24 2019-05-03 황선영 Outlet module for wifi signal extension
KR102167940B1 (en) 2020-06-03 2020-10-2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Outlet structure for building UTP cable conn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632B1 (en) 2023-02-21 2023-12-29 주식회사 아이티플랜 Protective sheet attachment device for anti-pollution of wall type lan communication outlet and wall type lan communication outlet with protective sheet for anti-pollution manufactured thereb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0127B2 (en) Base unit for dual wiring system
US757954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US7035512B2 (en) Method for providing a broadband infrastructure in a building by means of optical fibers
US20070281520A1 (en) Wireless sensor and control
US20080197702A1 (en) Programmable infrastructure system
US20070206629A1 (en) Network Equipment Applied I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102450789B1 (en)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AP function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JP2005312184A (en) Radio access line extender
KR200453004Y1 (en) Wall insert type internet ip router by wire and wireless
EP1043822A1 (en) Building with duct elements for guiding lines
US5451714A (en) Telephone and data signal distribution system and raceway and panel associated therewith
KR20080002847U (en) Built-in type wireless IP sharer
CN108390805A (en) A kind of home intranet device applied to home intranet
CA3147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ata network
KR200433046Y1 (en) Ethernet Access Pointer for Wall Adhesion Type and Outlet Box Join Type
KR200236626Y1 (en) Multi-purpose wiring duct
KR100681868B1 (en) Wireless lan network system using catv cable
JP2005079977A (en) Wireless lan adapter and buried wiring device
KR200384158Y1 (en) Integrated distribution frame
JP2563775B2 (en) Leading piping method
JP2004318682A (en) Separation type power unit
JP3326422B2 (en) Wiring structur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lines in dwelling units
RU2009135407A (en) DIVISION BOX FOR FALSE FLOORS
US20030108305A1 (en) Device for connecting one or more optical fibres to an optical converter
KR200159592Y1 (en) Indoor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