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698B1 -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698B1
KR102450698B1 KR1020210126974A KR20210126974A KR102450698B1 KR 102450698 B1 KR102450698 B1 KR 102450698B1 KR 1020210126974 A KR1020210126974 A KR 1020210126974A KR 20210126974 A KR20210126974 A KR 20210126974A KR 102450698 B1 KR102450698 B1 KR 10245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per
marking paper
mark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상희
Original Assignee
류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상희 filed Critical 류상희
Priority to KR102021012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6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1Comparing pixel values or logical combinations thereof, or feature values having positional relevance, e.g. template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A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comprises: a body having a mounting part formed thereon to provide a space for mounting a supplied marking paper; an image capturing part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and capturing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an information read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inside th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image capturing part and reading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marking paper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part; and an output par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reading part on one side of the body to output the result data of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marking paper read by the information reading part. Therefore, provided are a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a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for reading a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wherein the jamming of a paper is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information of a marking paper is read easily.

Description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마킹용지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방법{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마킹용지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모터 등을 이용하는 용지 공급부를 통해 용지를 공급하는 장치와 달리 안착부에 안착시키고, 이를 이미지로 캡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마킹용지의 데이터박스에 표시된 정보를 판독하기 때문에 용지 걸림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용이하게 마킹용지의 정보를 판독하게 결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마킹용지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image capture and a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for reading a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that supplies paper through a paper supply unit using a conventional motor, etc. An image that provides a result to prevent problems such as paper jams in advance and to easily read the information on the marking paper because it settles on the part, captures it as an image, and read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ata box of the marking paper through the image data. To a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capture, and to a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for reading the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통상적으로 마킹용지(이하 OMR이라 통칭함)란 광학적인 방식을 통해 특정 기호를 판독하는 장치로 빛을 통해 자료 내용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상기 OMR은 별도 마련된 OMR용 카드에 빛이 읽기 쉬운 검은색 계열의 필기도구로 마킹 내지 작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OMR을 이용한 판독 시스템은 주로 학생들의 시험 답안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 수강신청이나 성적 처리, 출생 신고, 복권, 설문지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marking pap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OMR) is a device that reads specific symbols through an optical method, and has a function of converting data contents into electrical signals through light and inputting them into a computer. The OMR i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ly provided OMR card is marked or written with a black-based writing instrument that is easy to read by light. The reading system using the OMR is mainly used as a test answer sheet for students, and in addition, it is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such as course registration, grade processing, birth report, lottery ticket, and questionnaire.

이처럼 OMR 시스템은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OMR 카드에 형성된 개별 인식부가 조금이라도 훼손되거나 인식부가 권장 형태를 벗어나는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판독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잇는 문제점이 동반되었다.As such, the OMR syst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cess large amounts of data quickly and easil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reading errors may occur for various reasons, such as if the individual recognition unit formed on the OMR card is damaged even a little or the recognition unit is out of the recommended shape. was accompanied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개별 인식부가 훼손되어도 판독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기재된 마킹을 인식할 수 있는 OMR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판독이 끝난 수백 또는 수천장의 판독 카드를 관리하고자 분실의 위험성이 농후한 별도의 보관 공간을 마련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매우 편리하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OMR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it is possible to read even if the individual recognition unit is damaged and to provide an OMR system that can recognize markings written in various forms, as well as to manage hundreds or thousands of read cards that have been read, a separate, high risk of los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OMR system of a new concept that can be managed very conveniently and easil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method of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storage.

(특허문헌 1) KR 2019-0114890 10 (Patent Document 1) KR 2019-0114890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모터 등을 이용하는 용지 공급부를 통해 용지를 공급하는 장치와 달리 안착부에 안착시키고, 이를 이미지로 캡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마킹용지의 데이터박스에 표시된 정보를 판독하기 때문에 용지 걸림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용이하게 마킹용지의 정보를 판독하게 결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마킹용지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and unlike a device that supplies paper through a paper supply unit using a conventional motor, etc., it is seated on the receiving unit, and it is captured as an image and stored in the data box of the marking paper through the image data.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that prevents problems such as paper jams in advance and provides a result to easily read the information on the marking paper by reading the displayed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reading the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는 공급되는 마킹용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마킹용지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이미지 캡처부,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상기 이미지 캡처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 캡처부에서 캡처한 상기 이미지를 통해 상기 마킹용지에 입력된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판독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정보판독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보판독부에서 판독한 상기 마킹용지의 입력 정보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image captur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body in which a seating portion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supplied marking paper is seated is formed,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body An image capture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marking paper seated in the seating unit,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image capturing unit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and input to the marking paper through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It includes an information reading unit for reading the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on one side of the body for outputting result data for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marking paper read b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이때, 상기 안착부는 복수의 상기 마킹용지가 안정적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공급되는 상기 마킹용지를 지지하고, 외부의 가시광선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측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ating part supports the marking paper suppli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marking papers can be stacked stably, and a side wall that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ly on at least one side of at least one side in order to suppress the inflow of external visible light. This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마킹용지의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이미지 캡처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input of the marking paper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image capture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또한, 상기 이미지 캡처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마킹용지를 캡처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capture unit may include a camera or an image sensor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by capturing the marking paper seated on the seating unit.

또한, 상기 정보판독부는 상기 이미지 캡처부에서 캡처한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마킹용지의 데이터박스에 체크된 마킹 내용을 추출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또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r CPU capable of extracting the marking content checked in the data box of the marking paper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e unit.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보판독부와 연결되어 상기 결과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결과데이터를 종이에 출력하는 용지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to display the result data as an image, and a pap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on paper.

또한, 상기 정보판독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안착부에 상기 마킹용지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 또는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와 인접한 일측에 용지 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aper supply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or at one side adjacent to the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in order to automatically supply the marking paper to the mounting unit.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를 향해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llumina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irradiate the light toward the seat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조명부의 작동 여부 및 밝기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안착부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조명부로 전송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or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that measur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seating part and transmits it to the lighting part in order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lighting part operates and the brightness.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보판독부에서 판독되지 않는 상기 마킹용지를 제거하기 위한 용지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paper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marking paper that is not read b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또한, 상기 용지제거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유닛 및 상기 거리 조절유닛의 종단에 구비되어 판독되지 않는 상기 마킹용지를 제거하는 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per removal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and a removal unit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tance control unit to remove the unreadable marking paper.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거유닛은 상기 거리 조절유닛의 종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또는 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val unit may be composed of a roller or a ball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distance control unit.

다른 카테고리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마킹용지 판독장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 방법은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마킹용지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착부에 상기 마킹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단계, 상기 이미지 캡처부에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마킹용지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단계, 상기 캡처단계에서 캡처한 상기 마킹용지의 이미지에 표시된 인식마크 및 데이터박스에 체크된 체크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정보판독부에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와 대응되는 용지인지 판별하는 용지 판별단계, 상기 정보판독부에서 상기 마킹용지의 상기 데이터박스에 체크된 입력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판독단계 및 상기 정보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결과값을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category, the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using 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for reading the marking paper using 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the image cap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aper feeding step of supplying the marking paper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body, a capturing step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marking paper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in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captured in the capturing step A paper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per corresponds to the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isplayed recognition mark and the check mark checked in the data box, the data box of the marking paper i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and an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input information checked in the , and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a result value read in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본 발명의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마킹용지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the image cap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for reading the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마킹용지를 한 장씩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여 모터 등을 통해 운반하는 종래 장치와 달리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부에 마킹용지를 적층되도록 공급하기 때문에 마킹용지의 공급 속도가 향상되고, 이를 통해 복수의 마킹용지를 신속하게 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the supply speed of the marking paper is improved because the marking paper is fed so that the marking paper is stacked on the seat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unlike the conventional device that inserts the marking paper one by one through the inlet and transports it through a motor, etc.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marking papers can be read quickly.

둘째, 마킹용지를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판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보관된 이미지 파일을 보관함에 따라 마킹용지를 분실하더라도 마킹되었던 이미지를 통해 재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Second, since the marking paper is captured and read by converting it into an image file, storage and management are easy. By keeping the image files stored in this way, even if the marking paper is lost, it is possible to re-verify through the marked image.

셋째, 마킹용지에 부여된 인식마크를 통해 안착된 마킹용지의 위치 및 각도를 신속하게 인식하여 판독하기 때문에 판독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reading errors because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eated marking paper are quickly recognized and read through the recognition mark given to the marking paper.

넷째, 인식마크를 통해 마킹용지의 위치, 각도 및 면적을 확인하여 최후에 공급되어 최상단에 안착된 마킹용지만을 편집하여 판독하기 때문에 다른 마킹용지의 표시에 따른 오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by checking the position, angle, and area of the marking paper through the recognition mark, only the marking paper that was supplied last and settled on the top is edited and read. there is

다섯째, 오류 발생 시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오류 발생 및 오류의 종류를 통지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Fifth, when an error occurs, the user or administrator is quickly notified of the error occurrence and the type of erro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so that a quick response is possible.

여섯째, 판독장치로 복수의 마킹용지를 한 장씩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용지 공급부를 통해 시험 확인용과 같이 많은 양의 마킹용지의 판독이 필요한 경우에도 자동으로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를 통해 신속하게 각각의 마킹용지를 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xth, through the paper feeder that can continuously feed a plurality of marking papers one by one to the reader, even when a large amount of marking paper is required to be read, such as for test confirmation, each marking paper is quickly fed through the paper feeder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ad

일곱째, 오류가 발생한 마킹용지는 용지 제거부를 통해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써 오류가 발생한 마킹용지를 사용자가 직접 찾아야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venth, the error-capped marking pap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hrough the paper removal unit,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having to find the error-capped marking paper directly.

여덟째, 용지, 디스플레이 표시 또는 데이터 전송 등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결과값을 출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ighth,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method such as paper, display display, or data transmission and output the result value in various ways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공급부가 안착부를 향해 마킹용지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제거부가 구비된 몸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에 적용되는 마킹용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를 이용한 마킹용지 방법의 판독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에 복수의 마킹용지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처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판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분류한 순서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과값 추출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분류한 순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image ca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image ca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p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marking paper toward the seating portion;
4 is a front view of a body provided with a paper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marking paper applied to the re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reading process of the marking paper method using the re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arking papers are stacked on a se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editing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n which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 more detail; and
10 is a flowchart in which the step of extracting a resul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the phrase specifically s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marking paper reader using image cap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0), 용지 공급부(500), 이미지 캡처부(200), 정보판독부(30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image ca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image ca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10 using image ca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body 100, a paper supply unit 500, an image capture unit 200, an information reading unit ( 300 ) and an output unit 400 .

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용지 판독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고, 각각의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몸체(100)의 형상은 크게 제한적이지 않으며 마킹용지(10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를 캡처하여 판독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The body 100 is a device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each device can be seated. The shape of the body 100 is not significantly limited, and the seating part 110 on which the marking paper 1000 can be seated is formed, and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0 is captured and read. Any shape and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possible.

안착부(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가 이미지 캡처부(200)에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착부(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여기서, 안착부(110)는 몸체(100)의 바닥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몸체(100)의 바닥면 외에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안착부(110)는 마킹용지(100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가 공급되는 힘에 의해 외부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평판 형상의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측벽(120)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120)은 마킹용지(1000)가 공급되는 힘에 의해 마킹용지(1000)가 임의로 안착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가시광선을 차단하여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 캡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착부(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가 공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에 따라 측벽(12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eating unit 1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mounted so that the image capture unit 200 can acquire an image. The seating unit 110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seated. Here, the seating part 110 may mea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and may be made of a separate member in addition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0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The seating portion 110 is preferably made of a flat plate shape having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marking paper 1000, and the plate-shaped member so that the supplied marking paper 1000 is not arbitrarily separated to the outside by the supplied force. A side wall 120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edge portion. This side wall 120 prevents the marking paper 100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110 by the force supplied with the marking paper 1000, and blocks visible light from the outside to block the marking paper 1000. to make it easier to perform image capture of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11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sequentially stacked according to the supply order, an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side wall 120 is selectively formed can do.

즉, 본 발명에 따른 마킹용지 판독장치(10)는 기존의 장치와는 달리 한 장씩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를 스텝모터 등을 이용하여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것만으로 이미지 캡처부(200)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도록 공급이 완료되기 때문에 소정의 높이까지는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가 공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부에 적층되고, 이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upply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one by one by using a step motor, etc., unlike the conventional apparatus, but is simply seated on the seating unit 110 . Since the supply is completed so that the image capture unit 200 can capture an image only by itself,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top according to the supply order,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it.

이처럼 안착부(110) 및 측벽(120)은 별도의 부재가 아니라 안착부(110) 및 측벽(120)으로 몸체(1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As such, the body 100 may be formed of the seating part 110 and the side wall 120 instead of the seating part 110 and the side wall 120 as separate members.

사용양태에 따라 전술한 안착부(110), 측벽(120) 및 이미지 캡처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의 공급 신호를 이미지 캡처부(200)로 전송하여 이미지 캡처부(200)에서 이를 촬영하기 위한 신호 전송을 위한 감지 센서(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감지 센서(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감지 센서(130)의 신호에 따라 이미지 캡처부(200)에서 캡처를 수행하고, 감지 센서(13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미지 캡처부(200)는 일정 주기로 안착부(110) 및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으로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Transmitting the supply signal of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mage capture unit 200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seating unit 110, side wall 120, and image capture unit 200 according to the usage aspect A detection sensor 130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photographing the image capture uni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As such, when the detection sensor 130 is provided, the image capture unit 200 captures the imag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130 , and when the detection sensor 130 is not provided, the image is captured according to a pre-entered program. The capture unit 200 may capture images of the mounting unit 110 and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mounting unit 110 at a predetermined period. This is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usage, and the method is not limited.

몸체(100)의 일측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안착부(110)를 향해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40)는 안착부(110)를 향해 조명을 조사하여 안착부(110)에 안착된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를 보다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LED조명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안착부(110) 또는 측벽(120)의 일측에는 주변 환경에 따른 조도를 측정하여 조명부(140)의 작동여부 및 조명부(140)의 조명 밝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도 센서(14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On one side of the body 100, an illumination unit 140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seat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may be further provided. The lighting unit 140 irradiates the light toward the seating part 110 so as to more easily photograph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0, any lighting device may be used. do.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lighting device using LED lighting. In addition, an illuminance sensor 141 for controlling whether the lighting unit 140 operates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140 by measuring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or the sidewall 120 . may b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공급부가 안착부를 향해 마킹용지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용지 공급부(500)는 판독을 요구하는 마킹용지(1000)의 종류 또는 마킹용지 판독장치(10)의 설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안착부(110)에 마킹용지(1000)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용지 공급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일측 또는 몸체(100)와 인접한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마킹용지(1000)를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안착부(110)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용지 공급부(500)는 소정 용량의 마킹용지(10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에는 내부에 수용된 마킹용지(1000) 중 한 장씩 선택적으로 배출할 있는 배출공이 형성된 수용부 및 수용부의 배출공 일측에 구비되어 마킹용지(1000)를 한 장씩 배출할 수 있는 롤러 등의 구동유닛을 포함한 용지 공급부(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되는 용지 공급부(500)는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일정 주기로 안착부(110)로 마킹용지(1000)를 한 장씩 공급할 수 있으며, 안착부(110)로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는 공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0)로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의 원활한 적층을 위하여 고급부의 배출공은 안착부(110)의 상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p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marking paper toward the seating portion. The paper supply unit 500 is selectively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marking paper 1000 that requires reading 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10 to automatically load the marking paper 1000 to the seating unit 110 . It is a supply device. As shown in FIG. 3 , the paper supply unit 5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or on one side adjacent to the body 100 to sequentially and continuously place a plurality of marking papers 1000 on the seating unit 110 . Any devic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supplied to In one embodiment, the paper supply unit 500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arking paper 1000 of a predetermined capacity, and has a discharge hole on one sid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one sheet of the marking paper 1000 accommodated therein. It may consist of a paper supply unit 500 including a driving unit such as a roller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discharge hole of the receiving unit to discharge the marking paper 1000 one by one. The paper supply unit 500 configured in this way can supply the marking paper 1000 to the seating unit 110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perio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er, and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to the seating unit 110 is It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op according to the supply order. In addition, for smooth lamination of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to the seating part 110 , the discharge hole of the high grade part is preferably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compa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10 .

이미지 캡처부(200)는 몸체(100)의 일측 또는 몸체(100)와 인접한 일측에 안착부(11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미지 캡처부(200)는 안착부(110)의 일정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이때, 이미지 캡처부(200)는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의 면적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층되도록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의 공급 방법을 고려하여 마킹용지(1000)의 배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초점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image capture unit 200 is disposed to face the mounting unit 110 on one side of the body 100 or on one side adjacent to the body 100 to obtain an im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mounting unit 110. it is a device The image capture unit 200 is a device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ating unit 110 . At this time, the image capture unit 200 preferably acquires an image of a relatively large area compared to the area of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seating unit 110, and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to be stacked. Considering the supply method, it is recommended to use a camera or an image sensor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marking paper 1000 .

이러한 이미지 캡처부(200)는 마킹용지(1000)의 일측만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의 안착 위치 및 안착 각도 등과 무관하게 안착부(110)에 안착된 마킹용지(1000)의 전체 면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This image capture unit 200 is not only photographed on one side of the marking paper 1000, bu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0 regardless of the seating position and seating angle of the marking paper 1000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0 .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entire area of the marking paper 1000 to be photographed.

정보판독부(300)는 몸체(1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이미지 캡처부(200)에서 획득한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를 편집 및 판독하여 마킹용지(1000)에 체크된 내용에 대응되는 결과값을 추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보판독부(300)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마킹용지(1000)에 입력된 입력 사항을 원활하게 추출하고, 그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양태에 따른 결과값을 추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CPU 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310)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정보판독부(300)는 사용양태에 따라 외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위한 통신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과 정보판독부(300)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정보판독부(300)의 상태, 마킹용지(1000)의 판독결과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100 to edit and read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obtained from the image capture unit 200 to correspond to the contents checked on the marking paper 1000 . It is a device that extracts the result value. This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uses an image to smoothly extract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o the marking paper 1000, read the information, and use any device as long as it can extract the result value according to the usage mod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10 such as a CPU or the lik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20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usage. The communication unit 32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tate of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and the reading result of the marking paper 1000 by connecting the user or manager's portable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사용양태에 따라, 몸체(100)의 일측에는 정보판독부(300)의 상태 및 진행 사항 등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알림부(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알림부(330)는 LED(331), 스피커(332) 등과 같이,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 정보판독부(300)의 작동상태 또는 오류 발생 시 이를 외부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the usage aspect, a notification unit 330 for externally displaying the status and progress of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 The notification unit 330 uses any device, such as the LED 331 and the speaker 332 , as long as it is a device that can quickly transmit it to the outside in the event of an operation state or an error of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hrough sight or hearing. it's free though

출력부(400)는 정보판독부(300)에서 판독한 결과값을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출력부(400)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출력부(400)는 정보판독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 표시부(4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결과값을 종이로 출력하는 용지 출력부(410)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영상 표시부(420) 및 용지 출력부(410)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 다른 사용양태로 출력부(400)는 정보판독부(300)에 포함되는 통신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20)를 통해 정보판독부(300)에서 추출한 결과값을 통신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외부 단말로 결과값을 전송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400 is a device that outputs the result value read b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The output unit 4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usage. In an embodiment, the output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by wire or wirelessly, and may be composed of an image display unit 420 such as a moni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and in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paper output unit 410 that outputs a result value on paper.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image display unit 420 and the paper output unit 410 may be included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In another usage aspect, the output unit 400 may be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unit 320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The result value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user's mobile ph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제거부가 구비된 몸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용지 판독장치(10)는 사용양태에 따라 정보판독부(300)에서 원활하게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는 마킹용지(1000)를 안착부(110)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제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지 제거부(150)는 안착부(110)에 적층되도록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 중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은 마킹용지(100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용지 제거부(150)는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안착부(110)의 상면과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유닛(151) 및 조절유닛(151)의 종단에 거리 조절유닛(151)의 조작에 따라 마킹용지(1000)와 접촉하게 구비되어 마킹용지(1000)를 제거하는 제거유닛(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is a front view of a body provided with a paper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4 in order to remove the marking paper 1000 that is not smoothly read from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usage aspect from the receiving unit 110. As such, it may further include a paper removal unit 150 . The paper removal unit 150 may be any device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easily removing the unread marking paper 1000 among the marking paper 1000 that is seated so as to be stacked on the receiving unit 110 . . In one embodiment, the paper removal unit 1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to adjust the distance at the end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51 and the adjusting unit 151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110 . It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marking paper 10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nit 151 and may be configured as a removal unit 152 for removing the marking paper 10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거리 조절유닛(151)는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거유닛(152)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거리 조절유닛(151)는 몸체(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안착부(110)의 측벽(120) 또는 안착부(11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진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 등을 통해 거리 조절유닛(151)의 종단에 구비되는 제거유닛(152)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몸체(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측벽(120)의 일측에 마킹용지(1000)가 안착부(110)로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되어 안착부(110)의 상면과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벽(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거유닛(152)의 배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에 의해 제거유닛(152)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거리 조절유닛(151)를 사용하지만, 직선 운동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안착부(110)와 제거유닛(152)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거리 조절유닛(151)는 구동 전에 상부를 향하도록 회전시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마킹용지(1000)의 공급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51 is a devi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to adjus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emoval unit 152 .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51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bod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referably on the side wall 120 of the seating part 110 or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part 110, and may be moved forward or rotated. It is a device for chang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emoval unit 152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tance control unit 151 through the. As such,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preferably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120, so as not to prevent the marking paper 1000 from being supplied to the seating part 110, so as to reduc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10.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adjusted.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any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12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to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emoval unit 152 . It is also free to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51 that can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emoval unit 152 by rotation is use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ating part 110 and the removal unit 152 is adjus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linear motion.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51 rotates toward the upper side before driving to maintain a fixed state, so that the supply of the marking paper 1000 is not disturbed.

제거유닛(152)은 거리 조절유닛(151)의 종단에 구비되어 정보판독부(30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안착부(110)에 안착된 마킹용지(1000) 중 최후에 공급되어 최상단에 적층된 마킹용지(1000)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거유닛(152)은 거리 조절유닛(151)의 조작에 따라 최상단에 적층된 마킹용지(1000)와 접촉 시 이를 일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거리조절유닛(151)의 종단에 구비되는 회전 롤러 또는 회전 볼 등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removal unit 15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51 and is drive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and is supplied last among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receiving unit 110 and stacked on the uppermost end. It is a device for removing the marking paper (1000). The removal unit 152 may use any device as long as it applies an external force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one side when the removal unit 15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rking paper 1000 stacked on the top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tance control unit 151 .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device such as a rotary roller or a rotary ball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51 .

마킹용지 판독방법How to read marking paper

전술한 구성을 갖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10)를 이용하여 마킹용지(1000)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for reading the marking paper 1000 using 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10 using the image cap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에 적용되는 마킹용지의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방법에 적용되는 판독용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용지 상에 용지의 종류 및 사용처 등을 분류 및 확인하기 위한 심볼마크(1200) 및 클록마크(1300)과 같은 인식마크 및 로고(1100)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체크되는 데이터박스(1400)가 형성된다. 이때, 데이터박스(1400)의 형상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로또 용지에 사용하는 마킹용지(1000) 같은 경우에는 게임 수 및 각각의 게임 수에 해당하는 영역이 1 내지 45의 숫자가 기재되어 있으며, 시험용으로 사용하는 마킹용지(1000)에는 문항번호 및 각각의 문항번호에 정답을 기재하기 위한 번호들이 기재될 수 있다. 이는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마킹용지(1000)는 다양한 상황에 대응되는 데이터박스(1400)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5 is a plan view of the marking paper applied to the re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5, the reading paper applied to the present method includes a symbol mark 1200 and a clock mark 1300 for classifying and confirming the type and usage of the paper on a pap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same recognition mark and logo 1100 are described, and a data box 1400 checked by the user's selection is formed on one side.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data box 14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marking paper 1000 used for the lottery paper, the number of games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each game is written with numbers 1 to 45, and the marking paper 1000 used for testing has Numbers for writing the correct answer may be written in the question number and each question number. It is self-evident that the data box 1400 cor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may be formed on the marking pap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arking paper reading process using a re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마킹용지(1000)를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데이터박스(1400)의 마킹영역 중 일부를 마킹한 후,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마킹용지 판독장치(10)의 안착부(110)를 향해 마킹용지(1000)를 공급한다(S100). 이러한 마킹용지 공급 단계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마킹용지(1000)를 직접 안착부(110)에 공급하거나, 관리자가 복수의 마킹용지(1000)를 수거하여 용지 공급부(500)를 통해 자동으로 마킹용지(1000)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마킹용지(1000)의 공급은 이미지캡처 및 판독 시간을 고려하여 일정 주기를 갖도록 공급하는 것이 좋다. 즉, 이미지 캡처 및 판독에 2초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 마킹용지(1000)의 공급을 2초 이상의 주기를 갖도록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미지 캡처 및 판독에 소요되는 시간은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확정된 것은 아니며, 마킹용지(1000)의 종류 및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마킹용지(1000)의 공급 주기 역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fter the user marks a part of the marking area of the data box 1400 on the marking paper 10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user or the manager toward the seating part 110 of the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10 The marking paper 1000 is supplied (S100). In this marking paper supply step, the user or manager directly supplies the marking paper 1000 to the seating unit 110, or the manager collects a plurality of marking paper 1000 and automatically through the paper supply unit 500, the marking paper ( 1000) can be supplied. At this time, the supply of the marking paper 1000 is preferably supplied to have a certain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e image capture and reading time. That is, when it takes 2 seconds to capture and read the image, it is preferable to supply the marking paper 1000 with a period of 2 seconds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ime required for capturing and reading such an image is merely representative of an embodiment and is not finalized, and may take a variety of time depending on the type and use of the marking paper 1000, an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marking paper 1000 The supply cycle of the may also be set in various way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에 복수의 마킹용지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용지공급단계는 기존의 장치와 같이, 하나의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 캡처 및 판독이 완료 후에 마킹용지(1000)를 제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마킹용지(1000)가 최상단에 안착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기존의 마킹용지 판독장치와 달리 단순히 안착부(110)에 마킹용지(1000)를 투척 등을 통해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공급이 완료되고, 선입된 마킹용지(1000)를 제거하지 않고 적층시켜 공급하기 때문에 공급이 용이하고, 특히, 복수의 용지를 연속해서 공급하는 경우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 작업 수행성 및 작업 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arking papers are stacked on a se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aper feeding step is not a method of removing the marking paper 1000 after image capture and reading of one marking paper 1000 is completed, as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but sequentially supplied as shown in FIG. 7 . The marking paper 1000 is made in such a way that it is seated on the top and can be sequentially stacked. In this way, the supply is completed by simply placing the marking paper 1000 on the seating unit 110 through throwing, etc., unlike the conventional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and the pre-loaded marking paper 1000 is stacked and supplied without removing it. Therefore, it is easy to supply, and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papers are continuously fed, work performance and work speed are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pparatus.

그리고 안착부(110)의 테두리 주변에 구비되는 측벽(120)이 공급되는 힘에 의해 마킹용지(10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벽(120)이 마킹용지(1000)의 일측을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안착부(11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신속하고 용이하게 마킹용지(1000)를 공급할 수 있다. And the side wall 120 provided around the rim of the seating part 110 prevents the marking paper 100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by the force supplied, and the side wall 120 supports one side of the marking paper 1000. Since the mounting part 110 is provided so as to have a stable stacking structure, anyone can supply the marking paper 1000 quickly and easily.

다음으로, 안착부(110)에 안착된 마킹용지(1000)를 이미지를 이미지 캡처부(200)를 통해서 획득한다(S200). 이때,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는 항상 일정한 위치 및 각도로 안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지 캡처부(200)는 안착된 마킹용지(1000)를 포함하는 안착부(110)의 일정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좋다. 즉, 마킹용지(100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 바람직하게는 안착부(110)의 전체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캡처영역(C)으로 설정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마킹용지(1000)는 적층되도록 공급됨에 따라 마킹용지(1000)의 공급 횟수에 따라 최상단에 배치되는 마킹용지(1000)의 배치 높이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캡처부(200)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마킹용지(1000)의 높이에 따라 초점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Next, an im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mounting unit 110 is acquir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S200 ). At this time,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marking paper 1000 to be seated on the seating unit 110 to always be seated at a constant position and angle, the image capture unit 200 includes the seating unit 110 including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it. It is better to acquire an image by photographing a certain area.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cquire an image by setting an area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area of the marking paper 1000 , preferably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otal area of the seating unit 110 , as the capture area C . Here, as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seating unit 110 is supplied to be stacked,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marking paper 1000 disposed at the top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marking paper 1000 is supplied. It is preferable to use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focus the capture unit 20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marking paper 1000 disposed at the top.

이와 같은 이미지 캡처부(200)는 일정주기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안착부(110) 또는 이미지 캡처부(200) 일측에 구비되는 감지 센서(130)를 통해 새로운 마킹용지(1000)의 공급을 인식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 센서(130)에서 이미지 캡처부(20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캡처 방식은 다양한 사용양태에 따라 변경가능한 것으로서 그 캡처 주기, 캡처 방식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Such an image capture unit 200 performs shooting at a certain period, or,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a new marking paper 1000 through the sensing sensor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or the image capturing unit 200 . may recognize the supply of ,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130 to the image capture unit 2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o perform image capture. Such a capture method is changeable according to various usage aspects and does not limit the capture period, capture method, and the like.

또한, 안착부(110)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측벽(120)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가시광선을 차단하여 이미지 캡처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 조명부(140)가 안착부(110) 및 안착부(110)에 안착된 마킹용지(1000)를 향하여 조명을 조사하여 이미지 획득을 보다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40)의 작동여부 및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안착부(110) 또는 몸체(100)의 일측에 조도 센서(141)를 구비하여 조도 센서(141)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에 따라 조명부(140)의 작동여부 및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주변 환경이 어두운 경우에는 조도 센서(141)에서 이와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면 조명부(140)는 조도 센서(141)의 센싱 결과에 따라 조명부(140)를 작동시키거나, 조명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이와 반대로 주변의 환경이 밝은 경우에는 조도 센서(141)의 센싱 결과에 따라 조명의 강도를 낮추거나, 조명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주변 환경의 조도와 무관하게 항상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wall 120 formed on the edge of the seating portion 110 blocks visible light from the outside to prevent image capture from being obstructed,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The lighting unit 140 may illuminate the mounting unit 110 and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mounting unit 110 to more easily assist in image acquisition. At this time, an illumination sensor 14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or the body 100 in order to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unit 140 operates or not and the brightness, an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tion sensor 141, the illumination unit ( 140) operation and brightness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hat is, when the ambient environment is dark, when the illuminance sensor 141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illuminator 140 operates the illuminator 140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illuminance sensor 141 or improves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bright, a clear image can always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illu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lowering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illumination sensor 141 .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이미지 캡처 단계(S200)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판독하기에 앞서, 정보판독부(300)에서 이미지의 인식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임계처리(Image Threshold)하는 변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210). 이러한 임계처리는 영상 이진화(Binarization)라고도 하며 획득한 이미지를 흑과 백으로만 이루어진 영상으로 변환시켜 이를 각각 0과 1에 대응시킴으로써 정보판독부(300)에서 이미지를 통한 정보 판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Prior to reading the image acquired in the image capturing step (S200)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performs a conversion step of thresholding the acquired image in order to more easily recognize the image (Image Threshold) may further include (S210). This threshold processing is also called image binarization, and by converting the acquired image into an image consisting of only black and white and corresponding 0 and 1, respectivel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reads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more easily transforming it into something that can be done.

다음으로, 이미지 캡처 단계(S200)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편집 및 판독하여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와 대응되는 용지인지 판단한다(S300). 즉, 정보판독부(300)에서 판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용지인지, 아니면 판독이 불가능한 용지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지 판별 단계(S300)는 판독이 가능한 마킹용지(1000) 인지 불가능한 마킹용지(1000)인지 판단할 수 있다면 어떠한 공정을 통해 판별하여도 무방하지만, 일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마킹용지(1000)를 판별할 수 있다. Next, by editing and reading the image acquired in the image capturing step ( S200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per corresponds to the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S300 ). That is,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paper can be read or the paper cannot be read. This paper determination step (S300) can be determined through any process if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marking paper 1000 is readable or the marking paper 1000 that cannot be rea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arking paper 1000 through the same proces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처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용지 판별단계(S300)는 캡처단계(S200)에서 캡처된 이미지 중에서 최후에 공급된 마킹용지(1000), 즉, 적층된 마킹용지(1000) 중 최상단에 안착된 마킹용지(1000)만 추출하기 위하여 최상단 마킹용지(1000)의 배치 각도 및 마킹용지(1000)의 면적을 확인한다(S310). 이를 위하여 캡처된 이미지 중 최상단에 안착된 마킹용지(1000)의 심볼마크(1200) 또는 클록마크(1300)와 같은 인식마크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 최상단에 배치된 마킹용지(1000)의 배치 각도 및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데이터 중 해당 심볼마크(1200) 또는 클록마크(1300)와 대응되는 용지의 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마킹용지(1000)의 일측에는 마킹용지(1000)마다 부여된 심볼마크(1200) 또는 클록마크(1300)와 같은 인식마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킹용지(1000)의 인식마크 및 그에 따른 마킹용지(1000)의 면적 등과 같은 정보는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판독부(300)에서 마킹용지(1000)의 인식마크를 인식하면 현재 마킹용지(1000)가 어떠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인식마크를 기준으로 마킹용지(1000)의 전체 형상 및 면적 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paper determination step (S300), the marking paper 1000 supplied last among the images captured in the capturing step (S200), that is,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top of the stacked marking paper 1000. In order to extract only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uppermost marking paper 1000 and the area of the marking paper 1000 are checked (S310). To this end, recognition marks such as the symbol mark 1200 or the clock mark 1300 of the marking paper 1000 seated on the top among the captured images are recognized, and the placement angle of the marking paper 1000 placed on the top through this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rea of the paper corresponding to the symbol mark 1200 or the clock mark 1300 among the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That is, a recognition mark such as a symbol mark 1200 or a clock mark 1300 provided for each marking paper 10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rking paper 1000, and the recognition mark of the marking paper 1000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such as the area of the marking paper 1000 may be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Accordingly, whe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recognizes the recognition mark of the marking paper 1000, the current marking paper 1000 is disposed at a certain angle, and the overall shape and area of the marking paper 1000 based on the recognition mark etc. will be clearly visible.

다음으로, 마크 인식단계(S310)에서 심볼마크(1200) 또는 클록마크(1300)와 같은 인식마크를 기준으로 판별된 마킹용지(1000)의 배치 각도, 형상 및 면적 등을 고려하여 캡처된 이미지 중에서 최상단에 배치된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만 추출하도록 편집한다(S320). 별도로 이미지를 추출하지 않아도 이후 공정을 수행하는데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보다 정확하고 판독 오류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최상단에 배치된 이미지만을 추출하도록 편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추출된 각도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각도를 갖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Next, in the mark recognition step (S310), from the captured images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angle, shape and area of the marking paper 1000 determined based on the recognition mark such as the symbol mark 1200 or the clock mark 1300 Edit to extract only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arranged on the top (S320). Even if you do not extract the image separately, there is no big problem in performing the subsequent process, but it is better to edit it so that only the image placed at the top is extracted in order to be more accurate and prevent the problem of reading errors in advanc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the angl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extracted angle has an angl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다음으로, 편집 공정(S320)을 통해 편집된 이미지를 통해 추출된 마킹용지(1000)의 이미지와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들을 비교하여 공급된 마킹용지(1000)가 비교데이터들 중 대응되는 비교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여 판독이 가능한 마킹용지(1000)인지 판별한다(S330). 이를 위하여 정보판독부(300)에는 판독이 가능한 마킹용지(1000)에 대한 판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교데이터가 기 입력되어 있다. 이는, 마킹용지(1000)에 표기된 인식마크 또는 테이터박스의 체크 여부에 의해 판별이 가능할 수 있다. 일예로, 마킹용지(1000)에 표기된 인식마크 또는 로고(1100) 등을 추출한 이미지와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와 비교하여 마킹용지(1000)의 판독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시험 답안지용 마킹용지(1000)인 경우에는 인식마크를 통해 1차 판별하고, 데이터박스(1400)에 체크된 해당과목의 코드 등을 통해 2차로 판별하여 마킹용지(1000)의 판별 여부 및 정보판독에 적용할 비교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두 가지 예는 일실시예일뿐 마킹용지(1000)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Next, by comparing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extracted through the image edited through the editing process (S320) and the comparison data pre-entered in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he supplied marking paper 1000 is comparison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rking paper 1000 is readable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corresponding comparison data among them (S330). To this end, at least one or more comparison data capable of discriminating the readable marking paper 1000 is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This may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recognition mark or data box marked on the marking paper 1000 is check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arking paper 1000 is read by comparing the extracted image with the previously input comparison data with the recognition mark or logo 1100 marked on the marking paper 1000 .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marking paper 1000 for the test answer sheet, the first determination is made through the recognition mark,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is made through the code of the subject checked in the data box 1400, and the marking paper 1000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discriminate and compare data to be applied to information reading. The above-described two examples are merely exemplary and are not limited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marking paper 1000 .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용지판별단계(S330)는 기 입력된 다양한 마킹용지(1000)에 대한 비교 데이터에 기초하여 캡처된 이미지가 판독 가능한 용지인지 판별하는 동시에 마킹용지(1000)가 적용되는 사용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판별 결과 판독 가능한 복권용지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복권에 대응되는 용지인지도 판별이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paper identification step (S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captured image is a readable paper based on the comparison data for various previously inputted marking paper 1000, and at the same time, the type of the place where the marking paper 1000 is applied. can be checked. In on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as a readable lottery tick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aper corresponding to which lottery ticket is also determined.

전술한 용지 판별단계(S300)에서 판독 가능 여부에 따라 정보 판독단계(S400)를 진행하거나, 재인식을 위해 선행 단계 중 적어도 일부를 재 수행할 수 있다. 정보 판독단계(S400)추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우선 재인식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pending on whether the paper can be read in the above-described paper determination step (S300),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S400) may be performed, or at least some of the preceding steps may be re-performed for re-recognition.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S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and first, the re-recognition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용지 판별단계(S300)에서 판독이 불가능한 경우로 판별되면, 알림부(330)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오류 발생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정보판독부(300)는 용지 공급부(500)에 용지 공급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용지 공급부(500)의 용지 공급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는, 정상적으로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은 마킹용지(1000)와 정상적으로 판독이 이루어진 마킹용지(1000)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First, if it is determined that reading is impossible in the paper determination step ( S300 ), an error occurrence signal is generated visually or audibly to the user or manage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330 . Als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ransmits a paper supply stop signal to the paper supply unit 500 to temporarily stop the paper supply of the paper supply unit 500 . This is to prevent mixing of the normally read marking paper 1000 and the normally read marking paper 1000 .

용지 판별단계(S300)에서 적합한 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다양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그램적 오류로 인해 판별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판별단계(S300)를 다시 한번 거칠 수 있도록 한다. Various cases may occur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paper is not suitable in the paper determination step ( S300 ). Among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determination is not made due to a program error, the determination step (S300) is first performed once again.

즉, 최초 캡처된 이미지를 다시 마크 인식 단계(S310) 내지 판별단계(S330)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다시 한번 수행한다. 이때, 판독 가능한 마킹용지(1000)로 판별되면 판별단계(S400)로 넘어가고, 정보판독부(300)는 용지 공급부(500)에 용지 공급을 재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임계처리 단계(S210) 과정부터 재 수행하여 이미지의 선명도를 변경하여 재 판별할 수도 있다.That i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first captured image again (S310) to the determining step (S330) is sequentially performed once again.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dable marking paper 1000 is determined, the process proceeds to a determination step (S400), and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ransmits a signal to the paper supply unit 500 to resume paper supply. If necessary, it may be determined again by changing the sharpness of the image by re-performing from the threshold processing step (S210).

하지만, 마크 인식 단계(S310) 및 판별단계(S330)를 다시 거친 후에도 오류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알림부(330)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을 발생하고, 정보판독부(300)는 용지 공급부(500)에 용지 공급 정지를 유지하도록 한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as an error even after going through the mark recognition step (S310) and the determination step (S330) again, a notification is generated to the user or the manage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330, and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is the paper supply unit ( 500) to keep the paper feed stop.

이후, 이미지 캡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보판독부(300)는 이미지 캡처부(200)에 신호를 전송하여 캡처단계(S200)에서 새로운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용지 판별단계(S300)를 다시 수행한다. 이때, 판독 가능한 마킹용지(1000)로 판별되면 판독단계(S400)로 넘어가고, 정보판독부(300)는 용지 공급부(500)에 용지 공급을 재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한다.Thereafter,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image capture was not performed smoothl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ransmits a signal to the image capture unit 200 to acquire a new image in the capturing step (S200), and using it to determine the paper (S300) is performed again.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dable marking paper 1000 is read, the reading step ( S400 ) is passed, and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ransmits a signal to the paper supply unit 500 to resume paper supply.

하지만, 새로운 이미지를 캡처 후에도 반복적으로 판독불가 용지로 판별되면 알림부(330)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오류 발생 및 제거요청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마킹용지(1000)의 제거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수행하거나, 용지 제거부(150)가 구동하여 자동으로 마킹용지(1000)를 제거할 수도 있다. However, if it is repeatedly determined as unreadable paper even after capturing a new image, an error occurs and a removal request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or administrato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330 . The removal of the marking paper 1000 may be directly performed by a user or an administrator, or the paper removal unit 150 may be driven to automatically remove the marking paper 1000 .

이때, 마킹용지(1000)의 공급 시 마킹용지(1000)가 안착부(110)에서 일정면적 이상 벗어난 경우에도 정확한 판별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편집단계(S320) 또는 판별단계(S330)에서 이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용지 제거가 아닌 용지 배치 위치 또는 각도 조정을 요청하는 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marking paper 1000 is supplied, accurate determination may not be made even if the marking paper 1000 deviates from the seating unit 110 by more than a certain area. In this case, the editing step S320 or the determination step S330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requesting the user to adjust the paper placement position or angle instead of removing the paper.

이처럼 판별이 불가능한 마킹용지(1000)를 제거 후 정보판독부(300)는 용지 공급부(500)로 용지 공급을 재개하도록 신호를 전송한다. 만약, 마킹용지(1000)의 각도 및 배치 변경을 요청한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마킹용지(1000)의 각도 및 배치 변경을 수행 후 캡처단계(S200) 내지 용지 판별단계(S300)를 재 수행한다. After removing the marking paper 1000 that cannot b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transmits a signal to the paper supply unit 500 to resume paper supply. If the angle and arrangement change of the marking paper 1000 is requested, the user or manager performs the angle and arrangement change of the marking paper 1000 and then the capture step (S200) to the paper determination step (S300) are performed again.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류 발생 시 발생하는 오류 알림은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LED(331)의 색상 및 점멸방법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내거나, 스피커(332)를 통해 다양한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각각의 오류에 대한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화면표시부에 오류의 종류를 정확하게 기재하거나, 대처 방안을 함께 안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정보판독부(300)에 포함된 통신부(320)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로 각각의 오류 발생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rror notification generated when an error occurs may indicate each situation in various ways. In one embodiment, the signal for each error may be accurately transmitted by visually indicating through the color and blinking method of the LED 331 or by generating various warning sounds through the speaker 332 .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type of error may be accurately describ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or a countermeasure may be provided together. Of course, each error occurrenc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or manag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depending on the usage aspect.

전술한 과정을 통해 판독 가능한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마킹용지(1000)에 체크된 데이터박스(1400)의 정보를 통해 정보판독부(300)가 마킹용지(1000)의 정보를 판독(S400) 및 판독 결과를 출력한다(S500).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readable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marking paper 1000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data box 1400 checked on the marking paper 1000 (S400) and A read result is output (S500).

이러한 정보 판독(S400) 및 출력(S500) 과정은 마킹용지(1000)의 사용처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는 로또와 같은 복권용, 설문조사용 및 시험 답안지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실시예 별로 정보 판독(S400) 및 출력(S500)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se information reading (S400) and output (S500) processes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usage of the marking paper 1000, and in one embodiment, for lottery such as lottery, for surveys and test answer sheets, etc. can be classified. Accordingly, the process of reading information (S400) and outputting (S500) for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복권용지 판독용)(For reading lottery paper)

복권용지 등의 판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정해진 정답이 없기 때문에 용지 판별단계(S300)에서 판독 가능한 용지로 판별되는 경우 별도의 비교 데이터와 비교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정보판독 단계(S400)에서는 마킹용지(1000)의 데이터박스(1400)에 입력된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정보판독(S400)을 완료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개수 및 각각의 게임에 입력된 숫자 등을 추출하는 것으로 정보판독(S400)이 완료된다. Since there is no fixed correct answer when used for reading lottery paper, etc., when it is determined as readable paper in the paper determination step ( S300 ), there is no need to compare it with separate comparison data. Accordingly, in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S400), the information reading (S400) is completed by extract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data box 1400 of the marking paper 1000. That is, the information reading ( S400 ) is completed by extracting the number of game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number input to each game.

복권용지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증빙하기 위한 결과 용지를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지 출력부(410)를 통해 결과값이 표시된 결과 용지를 출력한다(S500). 이때, 사용양태에 따라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용지 출력과 동시에 확인이 가능하도록 화면표시부에 결과값을 동시에 출력하거나, 정보판독부(300)에 포함된 통신부(320)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lottery paper is used, the result paper on which the result value is displayed is output through the paper output unit 410 because the user has to keep the result paper to prove it (S500).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usage mode, the result value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screen display unit so that the administrator or user can check the paper output at the same time, or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320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10) 및 판독 방법을 활용하여 복권용지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마킹용지(1000)를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용지 공급부(500)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안착부(110)에 수동으로 마킹용지(1000)를 공급하여도 무방하다. As such, when checking the lottery paper using the reading device 10 and the rea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paper supply unit 500 is not provided because a large amount of the marking paper 1000 is not supplied, and the user or The manager may manually supply the marking paper 1000 to the seating unit 110 .

(설문조사용)(for surveys)

공항, 병원 또는 학교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사항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판독장치(10) 및 판독 방법을 활용하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문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You can conduct a survey on a variety of things at various places, such as airports, hospitals, or schools. Even in this case, if the reading device 10 and the rea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he questionnaire result can be obtained more easily and quickly.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설문조사용 마킹용지(1000)의 경우에도 복권용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정답이 없지만, 각각 개별적인 마킹용지(1000)의 결과값 보다는 복수의 답변에 따른 통계 결과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서 복권용과 일부 차이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marking paper 1000 for survey, there is no set correct answer as in the case of the lottery, but since statistical result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answers are required rather than the result value of each individual marking paper 1000, there are some differences from those for the lottery in this part .

이에 따라, 정보판독부(300)는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설정된 매수의 마킹용지(1000)가 공급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추가적인 마킹용지(1000)가 공급되지 않을 때까지의 마킹용지(1000)의 공급 횟수 및 각각의 데이터박스(1400)의 표시 결과를 판독하여 결과값을 누적한다(S400).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is the number of supply of the marking paper 1000 until a preset time or a set number of the marking paper 1000 is supplied, or the additional marking paper 1000 is not su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ad the display result of each data box 1400 and accumulate the result value (S400).

전술한 과정에 의해 누적된 결과값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용지 출력부(410)를 통해 용지로 출력하거나, 화면표시부에 표시하거나, 통신부(320)를 통해 휴대용 단말로 전송한다(S500). 이때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에는 공급된 마킹용지(1000)의 매수, 설문 문항, 각각의 문항에 따른 마킹 횟수 등과 같은 통계 데이터를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The result data accumulated by the above process is output on paper through the paper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or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S500) ). In the output data output at this time,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number of supplied marking paper 1000, questionnaire questions, and the number of times of marking according to each question may be outpu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pre-entered program.

(시험 답안지용)(for exam answer sheet)

시험 답안지용으로 마킹용지(10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킹용지(1000)가 용지 판별단계(S300)에서 판독가능한 용지로 판별되는 경우에 시험의 종류 또는 시험과목에 대한 답안지인지를 판단해야 하고, 이에 따라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 중 이와 대응되는 정답을 포함하는 비교데이터를 활용하여 비교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복권용 및 설문조사용과는 차별화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case of using the marking paper 1000 for the test answer sheet, if the marking paper 1000 is determined as a readable paper in the paper identification step (S300), it must be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answer sheet for the type of test or the test subject, Accordingly, a process of comparing using comparison data including a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hereto among the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is required. Accordingly, a process differentiated from the aforementioned lottery ticket and questionnaire survey is requir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판독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분류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n which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 more detail.

우선, 정보 판독단계(S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in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 S400 ), as shown in FIG. 9 , the following process may be performed.

먼저, 정보판독부(300)에서 캡처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마킹용지(1000)의 데이터박스(1400)에 체크된 정보를 추출한다(S410). 여기서, 마킹용지(1000)의 데이터박스(1400)에는 수험자의 이름, 문제의 문항번호, 각각의 문항번호에 대한 답변 번호, 시험 과목에 따른 해당 코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박스(1400)에 입력된 정보를 추출하여 수험자의 이름, 시험과목, 문항의 번호, 각각의 문항에 대해 표기한 답안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First, the information checked in the data box 1400 of the marking paper 1000 is extracted us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S410). Here, the data box 1400 of the marking paper 1000 may include an area in which the name of the examinee, the question number of the question, the answer number for each question number, the corresponding code according to the test subject, etc. can be input. . That is, information input to the data box 1400 may be extracted to extract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examinee, the test subject, the number of the question, and the answer number indicated for each question.

다음으로,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 중 데이터박스(1400)에서 추출한 코드와 대응되는 코드를 갖는 비교 데이터를 적용하도록 선택한다(S420). 즉,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다양한 비교데이터는 각각 기 부여된 고유 코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마킹 데이터 추출 단계(S410)에서 추출한 코드 값과 고유 코드를 비교하여 해당 비교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일실시예로, 수험자는 마킹용지(1000)의 코드 체크 란에 01이라고 입력하는 경우, 마킹 데이터 추출 단계(S410)에서는 이를 추출하고,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다양한 비교데이터 중 01의 고유코드를 보유하고 있는 비교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Next, it is selected to apply comparison data hav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code extracted from the data box 1400 among the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S420 ). That is, the various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each have a pre-given unique code, and compare the code value extracted in the marking data extraction step (S410) with the unique code to select the corresponding comparison data. will be. In one embodiment, when the examinee inputs 01 in the code check field of the marking paper 1000, it is extracted in the marking data extraction step (S410), and 01 of various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Comparison data having a unique code of

다음으로, 마킹 데이터 추출 단계(S410)에서 추출한 마킹 데이터와 데이터 적용 단계(S420)에서 선택된 비교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결과값을 추출한다(S430). 이러한 결과값 추출단계(S430)를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by comparing the marking data extracted in the marking data extraction step (S410) and the comparison data selected in the data application step (S420) to extract the result value for the comparison result (S430). The step of extracting the result value ( S430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과값 추출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분류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n which the step of extracting a resul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 more detail.

먼저, 비교데이터와 마킹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정답 여부를 산출한다(S431). 즉, 비교데이터와 마킹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답으로, 비교데이터와 마킹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답으로 산출한다. First, by comparing the comparison data and the marking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tch is correct or not, and the correct answer is calculated (S431). That is, when the comparison data and the marking data match, the correct answer is calculated, and when the comparison data and the marking data do not match, the answer is calculated as an incorrect answer.

다음으로, 정답 산출단계(S431)에서 산출된 결과에 따라 각각의 문항에 해당된 점수를 부여한다(S432). 정보판독부(300)에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에는 각각의 문항에 대한 정답 및 해당 문항에 부여되는 점수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교데이터와 마킹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다. Next, a score corresponding to each question is given according to the result calculated in the correct answer calculation step (S431) (S432). The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includes a correct answer for each question and a score given to the corresponding question. Accordingly, the comparison data and the marking data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and a score is given accordingly.

전술한 정답 산출단계(S431) 및 점수 부여 단계(S43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rrect answer ( S431 ) and the step of assigning a score ( S432 ) are sequential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obvious that they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전술한 과정을 통해 결과값 추출이 완료(S430)되면 이러한 결과값을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한다(S500). 이러한 출력단계(S500)는 총 문항 수 대비 정답 개수 및 점수 등을 수험자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정보판독부(300)에 저장하거나, 정보판독부(300)에 포함된 통신부(320)를 통해 수험자 또는 관리자의 휴대 단말 또는 별도의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시험 결과를 영상 표시부(420)에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When the extraction of the result value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S430), the result value is output in various ways (S500). In this output step (S500),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and scores can be output for each test taker, and the test taker can store it i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o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300 . Alternatively,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s mobile terminal or a separate external storage device. Of course, the test results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420 .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시험 응시자 별로 결과 데이터를 누적 후 수험자 별로 복수의 과목에 대한 개별적 결과값 및 평균 점수 등을 하나의 용지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after accumulating result data for each test taker, individual result values and average score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for each test taker may be output on a single sheet of paper.

전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실시예 중 대표적인 실시예들만 분류한 것으로서, 그 사용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이와 유사하거나, 다른 과정을 사용하여 보다 다양한 마킹용지(1000)를 판독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lassify only representative embodiments among various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use thereof, and it is obvious that more various marking paper 1000 can be read using similar or different process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100: 몸체
110: 안착부
120: 측벽
130: 감지 센서
140: 조명부
141: 조도 센서
150: 용지 제거부
151: 거리 조절유닛
152: 제거유닛
200: 이미지 캡처부
300: 정보판독부
310: 정보처리장치
320: 통신부
330: 알림부
331: LED
332: 스피커
400: 출력부
410: 용지 출력부
420: 영상 표시부
500: 용지 공급부
1000: 마킹용지
1100: 로고
1200: 심볼마크
1300: 클록마크
1400: 데이터박스
C: 캡처 영역
10: Marking paper reader using image capture
100: body
110: seating part
120: side wall
130: detection sensor
140: lighting unit
141: light sensor
150: paper removal unit
151: distance control unit
152: removal unit
200: image capture unit
300: information reading unit
310: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20: communication unit
330: notification unit
331: LED
332: speaker
400: output unit
410: paper output unit
420: video display unit
500: paper feeder
1000: marking paper
1100: logo
1200: symbol mark
1300: clock mark
1400: databox
C: Capture area

Claims (14)

공급되는 마킹용지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안착부의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마킹용지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이미지 캡처부;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상기 이미지 캡처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 캡처부에서 캡처한 상기 이미지를 통해 상기 마킹용지에 입력된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판독부;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정보판독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보판독부에서 판독한 상기 마킹용지의 입력 정보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공급되는 상기 마킹용지가 별도로 배출되지 않고, 공급 순서에 따라 선행 공급된 상기 마킹용지의 상부에 후행 공급되는 마킹용지가 상기 안착부 상에 순차적으로 누적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 body in which a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upplied marking paper is mounted;
an image capture unit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on one side of the body to capture an image of the marking paper seated in the seating part;
an information reading unit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image capturing unit on an inner side of the body to read information input to the marking paper through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on one side of the body and outputting result data for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marking paper read b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including,
The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lied marking paper is not separately discharged, and the marking paper supplied in advance on top of the previously supplied marking paper according to the supply order can be sequentially accumulated and stacked on the seating part.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복수의 상기 마킹용지가 안정적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공급되는 상기 마킹용지를 지지하고, 외부의 가시광선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측벽이 더 구비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art supports the marking paper suppli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marking papers can be stacked stably, and at least one side of at least one side has a side wall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in order to suppress the inflow of external visible light.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the provided image cap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마킹용지의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이미지 캡처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image capture further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input of the marking paper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image capture unit at one side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마킹용지를 캡처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capturing unit is a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an image capture comprising a camera or an image sensor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by capturing the marking paper seated in the se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판독부는 상기 이미지 캡처부에서 캡처한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마킹용지의 데이터박스에 체크된 마킹 내용을 추출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 또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r CPU capable of extracting the marked content checked in the data box of the marking sheet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e uni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보판독부와 연결되어 상기 결과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결과데이터를 종이에 출력하는 용지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the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ult data as an imag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an image captur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ap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sult data on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판독부는 상기 결과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image capture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sult data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마킹용지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 또는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와 인접한 일측에 용지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image capture further provided with a paper supply part on one side of the body or on one side adjacent to the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in order to automatically supply the marking paper to the se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를 향해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an image capture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unit for irradiating illumination toward the seat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조명부의 작동 여부 및 밝기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안착부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조명부로 전송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ighting unit or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further comprises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seating part and transmitting it to the lighting part in order to control whether the lighting part operates and the bright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보판독부에서 판독되지 않는 상기 마킹용지를 제거하기 위한 용지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image capture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further comprises a paper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marking paper that is not read b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제거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유닛; 및
상기 거리 조절유닛의 종단에 구비되어 판독되지 않는 상기 마킹용지를 제거하는 제거유닛;
을 포함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aper removal unit,
a distance adjust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adjust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a removal unit provided at the end of the distance control unit to remove the unreadable marking paper;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유닛은 상기 거리 조절유닛의 종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또는 볼로 구성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moval unit is a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an image capture consisting of a roller or a ball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를 이용하여 마킹용지를 판독하는 마킹용지 판독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착부에 상기 마킹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단계;
상기 이미지 캡처부에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마킹용지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캡처단계;
상기 캡처단계에서 캡처한 상기 마킹용지의 이미지에 표시된 인식마크 및 데이터박스에 체크된 체크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정보판독부에 기 입력된 비교데이터와 대응되는 용지인지 판별하는 용지 판별단계;
상기 정보판독부에서 상기 마킹용지의 상기 데이터박스에 체크된 입력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판독단계; 및
상기 정보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결과값을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캡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장치를 이용한 마킹용지 판독 방법.
In the marking paper reading method for reading the marking paper using the marking paper reading apparatus using the image captur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 to 13,
a paper supply step of supplying the marking paper to the seating part of the body;
a capturing step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marking paper seated on the seating unit in the image capturing unit;
a paper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per corresponds to the comparison data previously input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through at least one of a check mark checked in a data box and a recognition mark displayed on the image of the marking paper captured in the capturing step;
an information reading step of reading input information checked in the data box of the marking paper by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and
and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a result value read in the information reading step.
KR1020210126974A 2021-09-27 2021-09-27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KR102450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974A KR102450698B1 (en) 2021-09-27 2021-09-27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974A KR102450698B1 (en) 2021-09-27 2021-09-27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698B1 true KR102450698B1 (en) 2022-10-04

Family

ID=8360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974A KR102450698B1 (en) 2021-09-27 2021-09-27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69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72Y1 (en) * 2001-11-07 2002-01-23 주식회사 리드정보시스템 Active Optical Mark Reader
KR20130017459A (en) * 2011-08-10 2013-02-20 (주)리얼스마트 Omr card having image code and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61753A (en) * 2014-11-24 2016-06-01 오종현 Examination paper recognition and sc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72Y1 (en) * 2001-11-07 2002-01-23 주식회사 리드정보시스템 Active Optical Mark Reader
KR20130017459A (en) * 2011-08-10 2013-02-20 (주)리얼스마트 Omr card having image code and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61753A (en) * 2014-11-24 2016-06-01 오종현 Examination paper recognition and sc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96169A1 (en) Game management system
US20060292040A1 (en) Hand held test reader
ES2582195T3 (en) Device and method of interaction with a user
KR101648756B1 (en) Examination paper recognition and scoring system
KR101663311B1 (en) Studying evaluation service system
CN101059885B (en) A ticket true/false verifying method
EP2720030B1 (en)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EP1681855A3 (en) Camera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and camera control method
EP1521213A3 (en) Index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5719441A (en) Identification system
TW200540392A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assisting in selection of pattern element for pattern matching
KR102450698B1 (en) Marking Paper Reading Device Using Image Capture and Reading Method for Reading Marking Paper Using the Same
CN1774730A (en) Sheet identifying device and method
US20030112459A1 (en) Document authenticity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2450696B1 (en) Marking Paper Reading System through Image Capture
KR20070025451A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of id card and identif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7015347B2 (en) A device for secure and automatic flipping and scanning of documents
CN113143193A (en) Intelligent vision tes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8681713A (en) A kind of system for teaching quality evaluation for teachers
US20190251856A1 (en) Test scanning and evaluation system
TWI411966B (en) Embedded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473900B1 (en) Mark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 counting
Rahman et al. Recognizing Bangladeshi currency for visually impaired
CN114639204A (en) Management system
JP2015141233A (en) Answer determination assist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