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465B1 -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 Google Patents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465B1
KR102450465B1 KR1020220088017A KR20220088017A KR102450465B1 KR 102450465 B1 KR102450465 B1 KR 102450465B1 KR 1020220088017 A KR1020220088017 A KR 1020220088017A KR 20220088017 A KR20220088017 A KR 20220088017A KR 102450465 B1 KR102450465 B1 KR 10245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smetic liquid
brush
eyel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웅
Original Assignee
김명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웅 filed Critical 김명웅
Priority to KR102022008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46B11/0086Means for closing or sealing, e.g. toothpaste outlet when brush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leakage or dry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선단 누름구의 가압에 의해 케이스 하단 브러시로 내부 화장액이 배출되게 한 아이라이너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에 있어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배출수단에 볼밸브에 의한 잔압차단구조를 더 적용하되, 상기의 잔압차단구조는 아이라이너의 가압회전수단과 하강가압수단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 내 화장액이 브러시로 가압 토출되는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 압력이 약화되기 시작하면 배출수단 내 액체배출구가 빠르게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케이스 선단의 누름구를 눌러 케이스 내부의 화장액이 브러시로 스며들며 토출되므로 보다 편리하고 자연스러우며 세밀한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약화됨에 따라 볼밸브에 의해 압력차단 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화장액이 토출되거나 화장이 종료된 후 또는 아이라이너에 대한 미사용시 화장액이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출된 화장액으로 인해 재사용시 과도한 형태로 화장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장액의 누출로 인해 소지품이나 옷가지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적절한 화장액의 소모로 인해 아이라이너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Pressurized discharge type eyeliner with residual pressure b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케이스 선단 누름구의 가압에 의해 케이스 하단 브러시로 내부 화장액이 배출되게 한 아이라이너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하단에 결합되는 화장액 배출수단에 볼밸브에 의한 잔압차단구조를 추가로 적용함으로써, 케이스 내 잔여압력으로 인해 사용 후 및 아이라이너의 미사용시에도 화장액이 지속적으로 외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라이너는 눈꺼풀에 선을 그어 선명하면서도 또렷한 눈을 얻기 위한 것으로, 눈의 생김새와 얼굴 형태에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아이라인의 모양 및 형태를 달리하여 화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눈꺼풀에 아이라인을 그릴 때에는 화장액을 브러시에 묻혀 화장을 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브러시는 다양한 모양과 형상을 갖고 있어 소비자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아이라이너는 통상적으로 화장액이 수용된 용기본체와, 상기의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뚜껑에는 용기본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솔대 및 브러시가 결합되어 있어, 용기본체에 뚜껑을 결합하게 되면 브러시가 용기본체 내의 화장액 속으로 들어가 자연스럽게 화장액이 브러시에 스며들게 되는 것이고, 아이라인을 형성하고자 뚜껑을 분리하게 되면 화장액을 머금고 있는 브러시가 뚜껑과 함께 인출되므로 자연스럽고 간편하게 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이라이너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0735호와 같이 솔대의 하단에 브러쉬가 결합되어 화장액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에 상기의 브러시를 담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아이라이너가 안출된 바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55037호와 같이 캡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블록을 구비하고 상기와 같은 캡본체의 상단에 결합된 회전노브를 이용하여 브러시가 승강되도록 한 아이라이너가 안출된 바 있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이 용기와 솔대가 분리되는 형태의 아이라이너가 아닌 화장액이 수용된 용기의 끝단에 브러시가 결합된 펜형 아이라이너가 안출된 바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펜형 아이라이너는 브러시와 화장용액이 항상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브러시로 스며든 화장액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눈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전기한 바와 같은 솔대 및 용기가 분리된 형태의 아이라이너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아이라이너는 용기 내 화장액이 브러시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미사용 상태에서 브러시가 경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즉, 기존의 펜형 아이라이너는 용기 내부의 화장액이 용기 하단에 결합된 브러시로 스며들어 상기의 브러시를 통해 눈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나, 아이라인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화장액은 다소 점성이 있어 브러시로 쉽게 스며들지 못하여 매번 용기를 강하게 흔들어주거나 용기 자체를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한 상태에서 용기의 측부를 강하게 압박하여 그 압력에 의해 화장액이 브러시로 배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과정에서 용기 내부의 화장액에 작용하는 압력이 과한 경우 브러시에 스며든 화장액이 과다하여 물방울 형태로 화장액이 맺히거나 브러시로부터 떨어져 내리며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일정하지 못한 상태로 화장액이 배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아이라인을 그리는데에 상당한 곤란함을 겪게 되는 것이다.
즉, 아이라인의 경우 브러시를 이용하여 미세한 선 형태의 화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브러시에 과다의 화장액이 스며든 상태에서는 미세한 선 처리가 어려워 미용티슈 등을 이용하여 화장액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브러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고,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 또는 굵은 선 형태의 아이라인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브러시로 제공되는 화장액이 충분해야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기한 바와 같이 브러시로 제공되는 화장액이 일정하지 못한 경우 또는 배출되거나 스며드는 화장액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매번 미용티슈 등을 이용하여 일부를 제거한 후 사용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화장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화장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지나치게 될 것이고, 화장 후의 만족도 역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사용 후의 브러시는 별도의 캡을 닫아 그 내부에 보관되게 한다 하더라도 공기와 접촉되면서 점성을 갖는 화장액에 의해 브러시가 그대로 경화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아이라이너에 대한 사용횟수가 많지 않고 사용주기가 긴 경우에는 브러시의 경화로 인해 상기의 아이라이너를 사용하기 전 브러시를 풀어주어 화장액이 스며들게 하는 과정을 번거롭게 행해야 하는 것은 물론 경화된 브러시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경우 아이라인이 미려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눈꺼풀에 통증을 유발하여 상당한 불쾌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등록특허 제10-1409004호와 같이 화장액이 충전되는 케이스의 선단에는 누름구를 갖는 가압회전수단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강가압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는 브러시를 갖는 배출수단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의 브러시가 수용되게 한 밀폐수단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가압회전수단의 반복적인 가압작용을 통해 하강가압수단이 일정 길이 하강하며 케이스 내의 화장액을 밀어내고, 상기의 화장액은 배출수단을 통해 브러시로 스며들게 되어 간편한 눈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밀폐수단을 이용하여 사용된 브러시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우수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특징의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는 케이스 선단의 누름구를 손가락으로 눌러 가압회전수단에 의해 케이스 내부에 압력이 생성되게 하고,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화장액이 케이스 하단의 브러시로 스며들며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누름구 및 가압회전수단에 의해 생성된 케이스 내부 압력이 완전히 소멸될때까지 지속적으로 브러시를 통해 화장액이 배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아이라이너는 주지한 바와 같이 화장액을 머금고 있는 브러시를 이용하여 눈꺼풀에 선 형태의 화장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화장법이나 선호에 따라 화장액의 배출 필요량이 제각각 결정될 것이므로 누름구를 반복하여 가압하는 형태의 사용법을 갖게 될 것이고, 다소 점성을 갖는 화장액의 특성상 상당한 압력을 가해야만 브러시로 스며들면서 배출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브러시로 스며들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화장액이 빠르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압력으로 인해 서서히 스며들면서 지연 배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누름구를 눌러 케이스의 내부 압력을 이용한 화장액의 배출시까지 기다린 상태에서 화장을 하게 되므로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 화장을 종료하더라도 케이스의 내부에 생성된 압력으로 인해 브러시를 통해 지속적으로 화장액이 누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지연 누출의 화장액은 마개 혹은 브러시의 주변과 케이스의 주변으로 흘러나오면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될 것이고, 화장액의 과도한 누출로 인해 아이라이너 자체의 사용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것은 물론 재사용시 과도하게 화장액이 누출된 상태의 브러시를 사용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눈화장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0735 (2010.10.20.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5037 (2011.08.0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9004 (2014.06.11.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에 있어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는 배출수단에 볼밸브에 의한 잔압차단구조를 더 적용하되, 상기의 잔압차단구조는 아이라이너의 가압회전수단과 하강가압수단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 내 화장액이 브러시로 가압 토출되는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 압력이 약화되기 시작하면 배출수단 내 액체배출구가 빠르게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브러시에 과도하게 많은 량의 화장액이 스며들어 세밀한 화장을 방해하던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케이스 내부의 잔여 압력으로 인해 브러시를 통해 화장액이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액이 주입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부체와 상부체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누름구와 누름구의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하측에 위치하여 누름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정역회전체와 정역회전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유도체를 갖는 가압회전수단과;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액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과 나사축을 갖는 하강가압수단과;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 형성되는 브러시와 배출캡 및 고정구로 된 배출수단과; 브러시가 수용되도록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 형성되는 밀폐수단;으로 구성되되, 정역회전체의 하단에는 일측 경사면 형태의 걸림돌기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회전유도체의 상면에는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일측 경사면 형태의 걸림치형을 반복 형성하여 구성되며, 회전유도체는 하단에 일측 경사면 형태의 일방향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회전유도체가 안치되는 상부체의 내부에는 일방향돌기와 대응되는 일측 경사면 형태의 구속치형을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된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에 있어서,
전기한 배출수단의 고정구는 브러시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수직 관통의 배출안내관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구의 상부에는 배출안내관과 연통되게 한 수용홈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홈부 내에는 탄발스프링과 개폐볼을 순차 삽입하고, 고정구의 선단에는 수용홈부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끼움부를 갖는 밸브캡을 삽입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부의 내측 바닥면에는 개폐볼에 의해 배출안내관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들뜸돌기를 상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밸브캡에는 수직 관통의 배출유도공을 형성하며, 밸브캡의 끼움부 하단 저면에는 개폐볼이 상향 착좌되게 한 곡면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케이스 선단의 누름구를 눌러 케이스 내부의 화장액이 브러시로 스며들며 토출되므로 보다 편리하고 자연스러우며 세밀한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약화됨에 따라 볼밸브에 의해 압력차단 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화장액이 토출되거나 화장이 종료된 후 또는 아이라이너에 대한 미사용시 화장액이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출된 화장액으로 인해 재사용시 과도한 형태로 화장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장액의 누출로 인해 소지품이나 옷가지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적절한 화장액의 소모로 인해 아이라이너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요부 확대 평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요부 확대 저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하부 결합 단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하부 분리 단면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요부 확대 단면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사용전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사용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화장액 배출 과정의 상세 작용 설명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요부 확대 평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요부 확대 저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하부 결합 단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하부 분리 단면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요부 확대 단면 상세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1409004호의 개량 발명으로서 이러한 선등록특허의 주요 부분에 대한 명칭과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하고, 그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선등록특허에 대한 일반적인 작용 설명 역시 선등록특허를 기반으로 하여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는 내부에 화장액(11)이 주입된 형태의 케이스(10)에 가압회전수단(100)과 하강가압수단(200) 및 배출수단(300)과 밀폐수단(400)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는 케이스(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부체(120)와 상부체(12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누름구(110)와 누름구(110)의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프링(130)과 스프링(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누름구(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정역회전체(140)와 정역회전체(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유도체(150)를 갖는 가압회전수단(100)과;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액(11)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210)과 나사축(220)을 갖는 하강가압수단(200)과; 케이스(10)의 하단에 결합 형성되는 브러시(310)와 배출캡(320) 및 고정구(330)로 된 배출수단(300)과; 브러시(310)가 수용되도록 케이스(10)의 하측에 결합 형성되는 밀폐수단(400);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가압회전수단(100)은 상부체(120)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태의 누름구(110)를 사용자가 가압 하강시킴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누름구(110)를 하강시키면 누름구(110)의 하강력으로 인해 내부의 정역회전체(140)는 소정의 각도를 갖고 정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정역회전체(140)가 정방향 회전을 하게 되면 맞물림 상태의 하측 회전유도체(150)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회전유도체(150)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면 나사 결합 상태인 나사축(220)은 회전유도체(150)의 회전량만큼 하강하게 될 것이며, 나사축(220)의 하강에 따라 피스톤(210)의 가압력으로인해 케이스(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결국 케이스(10) 하단의 배출수단(300) 내 브러시(310)를 통해 화장액(11)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누름구(110)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의 누름구(110)는 내부의 스프링(130)에 의해 상승될 것이고, 누름구(110)의 상승에 따라 정방향 회전된 상태의 정역회전체(140)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것이며, 정역회전체(140) 하부의 회전유도체(150)는 상부체(120)의 구속치형(121)과 맞물려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나사축(220) 및 피스톤(210)의 움직임도 없게 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케이스(10) 내부의 화장액(11)은 누름구(110)의 가압에 의한 하강 상태에서만 배출압력을 받으며 소량씩 배출되는 것으로서, 누름구(110)의 가압 횟수에 따라 화장액(11)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나사축(220) 및 피스톤(210)에 의한 하강가압수단(200)은 나사축(220)이 상부체(12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끼워져 상부체(120) 내부의 회전유도체(150)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나사축(220)의 측부에는 면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형상의 단면을 갖는 나사축(220)의 외형과 일치하는 모양의 상부체(120) 하단의 삽입공으로 인해 상기의 나사축(220)은 비회전 상태에서 수직 하강 작용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누름구(110)의 내부에는 스프링(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정역회전체(14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정역회전체(140)는 외면에 유도구(14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일측 경사면 형태의 걸림돌기(142)가 적어도 2개소 이상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누름구(110)의 측부에는 경사상의 유도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유도홈(111)으로는 정역회전체(140)의 유도구(141)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누름구(110)가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비회전 상태로 하강되면 경사상의 유도홈(111)이 함께 하강될 것이고, 이와 같은 경사상의 유도홈(111)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정역회전체(140)의 유도구(141)는 유도홈(111)의 경사각에 따라 간섭 및 슬립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의 누름구(110)가 하강되면 정역회전체(140)는 제자리에서 일측 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반대로 상기와 같은 누름구(110)가 스프링(130)의 반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유도홈(111)이 함께 상승되면서 역시 유도구(141)가 유도홈(111)과 간섭 및 슬립되면서 정역회전체(140)는 타측 방향(역방향)으로의 회전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누름구(110)를 누르게 되면 유도홈(111)의 경사각에 따른 수평 이동량만큼 정역회전체(140)의 정방향 회전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누름구(110)가 상승하면 정방향 회전량만큼 정역회전체(14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유도체(150)는 상단에 일측 경사면 형태로 된 걸림치형(15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일측 경사면 형태로 된 일방향돌기(152)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회전유도체(150)의 걸림치형(151)에는 정역회전체(140)의 걸림돌기(142)가 상호 계지 결합되면서 정역회전체(1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유도체(15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고, 회전유도체(150)의 하단에 형성된 일방향돌기(152)는 회전유도체(150)가 일측 방향으로만 지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누름구(110)의 하강 작용으로 인해 피스톤(210) 및 나사축(220)이 하강하여 화장액(11)에 대한 케이스(10)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증가된 압력에 비례하여 화장액(11)이 하부 배출수단(300) 내 브러시(310)를 향하여 배출되는 것인데, 상기의 배출수단(300)은 배출캡(320) 내부의 고정구(330)에 의해 브러시(310)가 유동없는 상태로 배출캡(3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의 고정구(330)를 통해 배출되는 화장액(11)은 브러시(310)에 스며들면서 브러시(310)를 이용한 아이라이너의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브러시(310) 내의 화장액(11)은 사용자의 자유에 의한 누름구(110)의 가압 횟수에 따라 각기 다른 량의 화장액을 머금고 있을 것이므로 가는 선 형태의 아이라인이나 굵은 선 형태의 아이라인 모두 간편하게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케이스(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브러시(310)를 이용한 아이라인을 형성한 상태에서 배출캡(320)의 하단에 마개를 구비하고 있는 밀폐수단(400)을 결합하여 상기의 브러시(310)가 외부로부터 오염되거나 공기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인데, 배출캡(320)에 밀폐수단(400)을 결합함에 따라 마개 및 밀착구 등으로 이루어진 밀폐수단(400)은 내부에 수용되는 브러시(310)가 외부의 오염원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외부 공기와도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증발 또는 화장액의 경화에 의해 브러시가 단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관 후 아이라이너를 재사용하는 경우에도 항상 부드러운 상태의 브러시(310)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주지한 바와 같이 누름구(110)의 가압으로 인한 케이스(10)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브러시(310)로 배출되는 화장액은 케이스(10)의 내부 압력이 모두 소멸 또는 평형 상태가 유지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화장액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실제 사용자가 누름구(110)를 가압하여 브러시(310)로 화장액이 배출되는 순간 사용자가 누름구(110)의 가압 행동을 멈추더라도 이미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당한 압력이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310)를 통해 지속적으로 화장액이 배출되는 것은 물론 화장이 종료된 이후에도 케이스(10) 내부의 잔류 압력으로 인해 화장액이 새어나오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전기한 고정구(330)의 상부 내측에 잔압 차단구조의 역할을 하는 볼밸브를 추가로 구성한 것으로, 전기한 배출수단(300)의 고정구(330)는 브러시(31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수직 관통의 배출안내관(331)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구(330)의 상부에는 배출안내관(331)과 연통되게 한 수용홈부(332)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홈부(332) 내에는 탄발스프링(340)과 개폐볼(350)을 순차 삽입하고, 고정구(330)의 선단에는 수용홈부(332)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끼움부(361)를 갖는 밸브캡(360)을 삽입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홈부(332)의 내측 바닥면에는 개폐볼(350)에 의해 배출안내관(331)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들뜸돌기(333)(333')를 상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밸브캡(360)에는 화장액(11)이 원활하게 유도 배출되기 위한 수직 관통의 배출유도공(362)을 형성하며, 밸브캡(360)의 끼움부(361) 하단 저면에는 개폐볼(350)이 상향 착좌되게 한 곡면홈(363)을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개폐볼(350)의 승강을 통해 화장액의 자연스러운 배출을 유도하는 반면 탄발스프링(340)의 반력에 의해 상승하는 개폐볼(350)을 통해 케이스(10) 내 잔류 압력이 브러시(310) 방향으로 영향을 끼쳐 화장액이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기한 고정구(330)의 수용홈부(332) 내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계지홈(334)을 형성하고, 밸브캡(360)의 끼움부(361) 외면에는 상기 계지홈(334)과 대응하는 계지돌기(364)를 돌출 형성하여, 이들 계지홈(334)과 계지돌기(364)의 상호 결합에 의해 고정구(330)에 대한 밸브캡(360)의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의 도시와 같이 가압회전수단(100)의 누름구(110)가 눌리지 않은 상태 즉, 아이라이너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케이스(10) 내에 압력이 생성되지 않을 것이므로 고정구(330) 내의 탄발스프링(340) 반력에 의해 개폐볼(350)이 상승하여 밸브캡(360)의 끼움부(361) 하단에 형성된 곡면홈(363)에 개폐볼(350)이 완전히 밀착하여 상기의 배출유동공(362)을 차단하고 있어 화장액(11)은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회전수단(100)의 누름구(110)를 눌러 피스톤(210)이 하강하면 케이스(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해 밸브캡(360)의 배출유도공(362) 내 화장액은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개폐볼(350)을 하강시키면서 탄발스프링(340)을 압축시키는 것이고, 개폐볼(350)의 하강에 의해 화장액(11)은 배출유도공(362)을 통해 고정구(330)의 배출안내관(331)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안내관(331)을 통해 토출되는 화장액(11)은 브러시(310)로 스며들면서 아이라인을 그릴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급작스럽고 반복적으로 누름구(110)를 가압하면 케이스(10)의 내부 압력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개폐볼(350)을 순간적으로 크게 하강시키게 될 것인데, 개폐볼(350)이 고정구(330)의 수용홈부(332) 바닥부까지 하강되더라도 상향 돌출의 들뜸돌기(333)(333')와 개폐볼(350)이 서로 간섭하면서 배출안내관(331)이 개폐볼(350)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압회전수단(100)의 누름구(110)에 대한 가압 횟수에 따라 케이스(10) 내의 압력이 커지거나 지속되면서 화장액(11)의 배출량 및 배출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소비자 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누름구(110)에 대한 가압을 멈추면 화장액(11)의 배출이 멈추는 것으로 인지하는 것이 통상적일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케이스(10) 내부의 압력이 모두 소멸되기까지 화장액(11)의 배출은 계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소비자와 아이라이너 간 화장액(11)의 실제 배출 시간 차이로 인해 소비자는 원하지 않는 량의 화장액으로 아이라인을 그릴 수 밖에 없는 것이고 이를 미리 예측하거나 감안하여 누름구(110)의 가압 횟수를 정하는데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고정구(330) 내의 탄발스프링(340)과 개폐볼(350)은 소비자가 누름구(110)의 가압을 멈춰 케이스(10)의 내부 압력이 약화되기 시작하면 탄발스프링(340)의 반력에 의해 개폐볼(350)을 자동으로 상승시켜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화장액(11)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누름구(110)의 가압에 의해 케이스(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이러한 압력 상승으로 인해 화장액(11)이 배출되기 시작하면 케이스(10)의 내부 압력이 점차 하강하게 될 것인데, 개폐볼(350)을 하강시켰던 상승 압력은 누름구(110)의 가압이 없는 상태에서 화장액(11)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점차 압력 하강이 일어나게 되고 압력 하강으로 인해 탄발스프링(340)을 압축시키며 하강하였던 개폐볼(350)은 다시 상승하면서 밸브캡(360)의 배출유도공(362)을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발스프링(340)의 탄발력으로 인해 개폐볼(350)이 상승하면 케이스(10) 내에 잔류 압력(탄발스프링의 반력보다 약한)이 존재하더라도 화장액(11)의 배출은 멈추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량의 화장액이 배출되거나 원하지 않는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화장액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탄발스프링(340)의 탄력 복원력 혹은 반력을 증대시켜 화장액(11)의 배출 차단 속도가 더욱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정 혹은 설정할 수 있을 것이고, 아이라이너의 사용이 종료된 이후 탄발스프링(340) 및 개폐볼(350)의 상승에 의해 잔류 압력이 존재하는 상태의 케이스(10) 내부 공간은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를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누름구(110)를 가압하게 되면 기존 잔류 압력에 새로운 추가 압력이 더해지면서 보다 빠르게 화장액(11)이 배출되도록 하는 신속 배출의 기능도 부가될 것이므로 결국 소비자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잔류 압력으로 인한 화장액 배출이 일으키는 다양한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기미나 주근깨 또는 점 등을 커버하기 위한 화장용 컨실러 용기 내지 립크로즈 용기에 적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10 : 케이스 11 : 화장액
100 : 가압회전수단
110 : 누름구 111 : 유도홈
120 : 상부체 121 : 구속치형
130 : 스프링
140 : 정역회전체 141 : 유도구
142 : 걸림돌기
150 : 회전유도체 151 : 걸림치형
152 : 일방향돌기
200 : 하강가압수단
210 : 피스톤
220 : 나사축
300 : 배출수단
310 : 브러시
320 : 배출캡
330 : 고정구 331 : 배출안내관
332 : 수용홈부 333,333' : 들뜸돌기
334 : 계지홈
340 : 탄발스프링
350 : 개폐볼
360 : 밸브캡 361 : 끼움부
362 : 배출유도공 363 : 곡면홈
364 : 계지돌기
400 : 밀폐수단

Claims (2)

  1. 내부에 화장액(11)이 주입된 케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상부체(120)와 상부체(12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누름구(110)와 누름구(110)의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는 스프링(130)과 스프링(130)의 하측에 위치하여 누름구(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정역회전체(140)와 정역회전체(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유도체(150)를 갖는 가압회전수단(100)과;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액(11)의 상부에 위치하는 피스톤(210)과 나사축(220)을 갖는 하강가압수단(200)과; 케이스(10)의 하단에 결합 형성되는 브러시(310)와 배출캡(320) 및 고정구(330)로 된 배출수단(300)과; 브러시(310)가 수용되도록 케이스(10)의 하측에 결합 형성되는 밀폐수단(400);으로 구성되되,
    정역회전체(140)의 하단에는 일측 경사면 형태의 걸림돌기(142)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회전유도체(150)의 상면에는 걸림돌기(142)와 대응되는 일측 경사면 형태의 걸림치형(151)을 반복 형성하여 구성되며, 회전유도체(150)는 하단에 일측 경사면 형태의 일방향돌기(152)를 돌출 형성하고, 회전유도체(150)가 안치되는 상부체(120)의 내부에는 일방향돌기(152)와 대응되는 일측 경사면 형태의 구속치형(121)을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된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에 있어서,
    전기한 배출수단(300)의 고정구(330)는 브러시(31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수직 관통의 배출안내관(331)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구(330)의 상부에는 배출안내관(331)과 연통되게 한 수용홈부(332)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홈부(332) 내에는 탄발스프링(340)과 개폐볼(350)을 순차 삽입하고, 고정구(330)의 선단에는 수용홈부(332)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끼움부(361)를 갖는 밸브캡(360)을 삽입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부(332)의 내측 바닥면에는 개폐볼(350)에 의해 배출안내관(331)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들뜸돌기(333)(333')를 상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밸브캡(360)에는 수직 관통의 배출유도공(362)을 형성하며, 밸브캡(360)의 끼움부(361) 하단 저면에는 개폐볼(350)이 상향 착좌되게 한 곡면홈(363)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구(330)의 수용홈부(332) 내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계지홈(334)을 형성하고, 밸브캡(360)의 끼움부(361) 외면에는 상기 계지홈(334)과 대응하는 계지돌기(364)를 돌출 형성하여, 이들 계지홈(334)과 계지돌기(364)의 상호 결합에 의해 고정구(330)에 대한 밸브캡(360)의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20220088017A 2022-07-18 2022-07-18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245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17A KR102450465B1 (ko) 2022-07-18 2022-07-18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17A KR102450465B1 (ko) 2022-07-18 2022-07-18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465B1 true KR102450465B1 (ko) 2022-10-04

Family

ID=8360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017A KR102450465B1 (ko) 2022-07-18 2022-07-18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4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35Y1 (ko) 2008-07-22 2010-10-29 (주)아모레퍼시픽 아이라이너
KR200455037Y1 (ko) 2008-11-04 2011-08-11 (주)장업시스템 아이라이너
KR20120047573A (ko) * 2010-11-04 2012-05-14 김종출 압축식 화장품 용기
KR101409004B1 (ko)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20190060385A (ko) * 2017-11-24 2019-06-03 이은주 볼형 아이라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35Y1 (ko) 2008-07-22 2010-10-29 (주)아모레퍼시픽 아이라이너
KR200455037Y1 (ko) 2008-11-04 2011-08-11 (주)장업시스템 아이라이너
KR20120047573A (ko) * 2010-11-04 2012-05-14 김종출 압축식 화장품 용기
KR101409004B1 (ko)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20190060385A (ko) * 2017-11-24 2019-06-03 이은주 볼형 아이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004B1 (ko)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200479855Y1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3463170A (en) Treatment comb
US7549815B2 (en) Apparatus or method for applying a solvent
CN110270484B (zh) 排液容器
EP3577034B1 (en) Brush integrated capsule with film-forming polymer for nail polishing
KR102016670B1 (ko) 화장품 용기
WO2007014217A3 (en) Single dose tooth whitener dispenser and applicator, and method of tooth whitening
KR101866230B1 (ko) 액체 배출 용기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0822269B1 (ko) 매니큐어
KR102450465B1 (ko) 잔압 차단구조를 갖는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0696364B1 (ko) 액상체 화장기구
US8308384B2 (en) Pressable pen
KR102064062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2501294B1 (ko)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US20220169432A1 (en)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0946433B1 (ko) 슬라이딩 가능한 화장용기
KR200448235Y1 (ko) 화장품 용기
KR102134295B1 (ko) 화장품 용기
US2718651A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KR102398528B1 (ko)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