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428B1 - Detachable ventialtion seat - Google Patents

Detachable ventialtion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428B1
KR102450428B1 KR1020170080736A KR20170080736A KR102450428B1 KR 102450428 B1 KR102450428 B1 KR 102450428B1 KR 1020170080736 A KR1020170080736 A KR 1020170080736A KR 20170080736 A KR20170080736 A KR 20170080736A KR 102450428 B1 KR102450428 B1 KR 10245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eet
fan
body temperatu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1174A (en
Inventor
홍두환
Original Assignee
홍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두환 filed Critical 홍두환
Priority to KR102017008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428B1/en
Publication of KR2019000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대상체가 접촉하는 일면으로 배출하는 본체시트부, 상기 본체시트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본체시트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팬부,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대상체의 체온을 감지하여 체온신호를 생성하는 체온감지부, 상기 본체시트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신호를 생성하는 수면감지부, 외부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체온신호 또는 상기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sheet uni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o one surface in contact with an object, a fan unit connected to the body sheet unit, sucking outside air and supplying it to the inside of the body sheet unit,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heet portion and generating a body temperature signal by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an objec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heet portion, disposed in the main body sheet portio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to signal a movement A sleep sensing unit generating It provides a removable ventilation sheet, including a control unit.

Figure R1020170080736
Figure R1020170080736

Description

탈부착형 통풍시트{DETACHABLE VENTIALTION SEAT}Removable ventilation seat {DETACHABLE VENTIALTION SEA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탈부착형 통풍시트에 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removable ventilation sheet.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성인의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제작되어 있어 어린 아이의 체구에 비해 좌석 폭이 너무 넓고, 등받이 및 안전벨트의 위치가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차량 시트에 신생아를 포함하는 어린 아이들이 앉는 경우, 차량의 급출발 또는 충돌 사고가 일어났을 때 안전벨트가 어린 아이의 몸을 안전하게 지탱해주지 못하고 오히려 목 졸림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나 영아 및 유아와 같은 어린아이들이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유아용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In general, vehicle seats are manufactured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of an adult, so the seat width is too wide for the size of a small child, and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and seat belt is set high. If small children, including newborns, sit on the vehicle seat using such a seat belt, the seat belt cannot safely support the child's body when the vehicle starts suddenly or a collision occurs, and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strangulation may occur. can Therefore, when small children such as newborns, infants and infants move using a vehicle, it is safe to use a child car seat.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고 있는데, 통상적인 유아용 카시트의 경우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 프레임에 면직물로 이루어진 시트 커버를 씌우는 구조를 갖는다. 유아용 카시트는 안전을 위해 벨트부재를 이용하여 신체를 견고하게 고정 밀착시키게 되는데, 여름철에는 밀착된 부분에서 온도가 급격히 높아져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감기 등의 질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These child car seats have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infant car seat, a frame made of synthetic resin is injection molded to cover a seat cover made of cotton fabric. The infant car seat is firmly fixed and adhered to the body by using a belt member for safety. There is a problem.

상기의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팬부를 이용하여 착석한 대상체로 냉기를 분사시키는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or limitati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for spraying cold air to a seated object using a f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대상체가 접촉하는 일면으로 배출하는 본체시트부, 상기 본체시트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본체시트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팬부,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대상체의 체온을 감지하여 체온신호를 생성하는 체온감지부, 상기 본체시트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신호를 생성하는 수면감지부, 외부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체온신호 또는 상기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 sheet uni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o one surface in contact with an object, a fan unit connected to the body sheet unit, sucking outside air and supplying it to the inside of the body sheet unit,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heet portion and generating a body temperature signal by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an objec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heet portion, disposed in the main body sheet portio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to signal a movement A sleep sensing unit generating It provides a removable ventilation sheet, including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부 상에 배치되며,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기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온도신호와 상기 체온신호를 비교하여 비교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정보를 근거로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sposed on the fan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to generate an outside temperature signal,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and compares the outside temperature signal with the body temperature signal. It is possible to generat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based on the comparis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시트부는 상기 팬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본체시트부의 전면(全面)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채널부 및 상기 에어채널부를 내부에 배치시키되 상기 에어채널부와 분리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에 대응되는 영역이 통풍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seat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air channel portion and the air channel portion for guiding the air so that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fan portion spread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seat portion. The air channel part and detachable area may include a cover part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ventilation at leas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body sheet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채널부는 바디유닛과,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디유닛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유닛들을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hannel unit may include a body unit,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unit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body sheet portion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d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채널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hannel portion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온감지부는,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중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에 접촉하는 대상체의 제1 체온을 감지하여 제1 체온신호를 생성하는 제1 체온센서 및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영역에 접촉하는 상기 대상체의 제2 체온를 감지하여 제2 체온신호를 생성하는 제2 체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체온신호 및 상기 제2 체온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is disposed in a first area of one surface of the body sheet unit, and generates a first body temperature signal by sensing a first body temperature of an object in contact with the first area. 1 a body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body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among one surface of the body seat part and generating a second body temperature signal by sensing a second body temperature of the object in contact with the second area;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based on the first body temperature signal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시트부와 상기 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팬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본체시트부로 안내하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송풍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ng between the body sheet part and the fan part to guide the air supplied from the fan part to the body seat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pip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부는 상기 본체시트부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측에 연결되거나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unit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dy sheet unit, an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sheet unit 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면감지부는, 상기 본체시트부의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 움직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수면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시트부의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2 움직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수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움직임신호 및 상기 제2 움직임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체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고, 수면 여부에 따라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p detection unit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body seat portion, and a first sleep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object at the first position and generates a first motion signal and a second sleep sensor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body seat part, and generating a second motion signal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at the second posi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ther the object is sleeping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motion signal and the second motion signal, and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object is sleeping.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는 팬부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 예를 들면 차량의 에어컨으로 인해 냉각된 공기를 흡인하고, 이를 착석한 대상체로 제공함으로써, 냉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형 통풍시트는 체온감지부 및 수면감지부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적절한 통풍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감기나 냉방병과 같은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The detachable ventilation sea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cooling function by using a fan to suck in external air, for example, air cooled by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nd provide it to a seated object. have. In addition,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can effectively prevent diseases such as colds and air-conditioning diseases by providing an appropriate ventilation environment to the subject by using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sleep sens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에어채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팬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본체시트부로 분산되는 과정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탈부착형 통풍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of Figure 1;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ir channel unit of FIG. 1 .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ir supplied from the fan unit of FIG. 1 is dispersed to the body seat uni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an unit of FIG. 1 .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of FIG. 6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s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without limiting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unit,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other units, regions, components, etc. are interposed therebetween. cases are includ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erms such as connect or couple do not necessarily mean direct and/or fixed connection or coupling of two member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another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wo members. It's not about exclusion.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t means that a feature or elem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에어채널부(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본체시트부(100)로 분산되는 과정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팬부(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of FIG. 1 .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 channel unit 110 of FIG. 1 , and FIGS. 4A and 4B are air supplied from the fan unit 200 of FIG. 1 dispersed to the body sheet unit 100 . It is an example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an unit 200 of FIG. 1 .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본체시트부(100), 팬부(200), 체온감지부(300), 수면감지부(400), 스위치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5 ,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sheet unit 100 , a fan unit 200 ,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300 , and a sleep sensing unit 400 . , a switch unit 500 and a control unit 600 may be included.

본체시트부(100)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대상체가 접촉하는 일면(101)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체시트부(100)는 에어채널부(110) 및 커버부(120)를 포함하며 대상체가 착석하는 시트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시트부(100)는 유아용 카시트 또는 유모차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시트부(100)는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한 시트에 고정장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미도시)는 시트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벨크로, 지퍼, 단추, 집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시트부(100)에는 유아용 카시트나 유모차에 장착된 안전벨트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유아용 카시트나 유모차에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body seat unit 100 may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therein to one surface 101 in contact with the object. The body seat unit 100 includes an air channel unit 110 and a cover unit 120 , and may be mounted on a seat on which an object is seated. For example, the body seat unit 100 may be formed in a form detachable to a baby car seat or a stroller. Although not shown, the body seat part 100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above-mentioned sheet using a fixing member (not shown).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not shown) may be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to correspond to the type of sheet, and Velcro, zippers, buttons, tongs, etc. may be used. In addition, as shown, the body seat portion 100 is formed with a through-portion through which a seat belt mounted on a baby car seat or a stroller can pass, so that it can be stably and easily mounted on a baby car seat or a stroller.

한편, 에어채널부(110)는 팬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본체시트부(100)의 전면(全面)으로 확산되도록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본체시트부(100)로 대상체가 착석하는 경우 무게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지나가기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에어채널부(110)는 대상체가 착석하더라도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에어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에어채널부(10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상체의 착석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여 대상체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channel unit 110 may guide the air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an unit 200 is diffus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seat unit 100 . When an object is seated by the body seat unit 100 ,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the air supplied from the fan unit 200 to pass because it is pressed by the weight. The air channel unit 110 may form an air channel to secure a certain space even when the object is seated. In addition, the air channel unit 100 may b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can be various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eating shape of the object, thereby providing comfort to the object.

일 실시예로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채널부(100)는 바디유닛(111)과, 본체시트부(100)의 일면(101) 방향으로 돌출되며 바디유닛(111)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 유닛(103)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 유닛(103)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에 의해 사이로 공기가 지나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돌출 유닛(103)들은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돌출 유닛(103)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출 유닛(103)은 물결형태 또는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에어채널부(110)는 복수의 돌출 유닛(103)들을 포함하지 않고, 복수의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관에는 본체시트부(100)의 일면(101)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관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한 구멍으로 배출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A and 3B , the air channel part 100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unit 111 and one surface 101 of the body seat part 100 and the body unit 111 . A plurality of protrusion units 103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protruding units 103 may secure a space through which air passes by being regularly arranged as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protruding units 103 may be irregularly arranged. As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rotrusion units 103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 this case, the continuously formed protrusion units 103 may be formed in a wave shape or a zig-zag shape. As another embodiment, the air channel unit 110 does not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units 103,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ubes. 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tube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101 of the body sheet part 100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tub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holes.

커버부(120)는 에어채널부(110)를 내부에 배치시키되 에어채널부(110)와 분리가능하여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본체시트부(100)의 일면에 대응되는 영역이 적어도 통풍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쉬 재질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버부(120)는 에어채널부(110)를 감싸는 내부커버와 내부커버를 감싸는 외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커버와 외부커버 모두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ver part 120 has the air channel part 110 disposed therein, and is detachable from the air channel part 110 so that it can be washed. The cover part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t least ventilation in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body seat part 100 , for example, it may be a mesh material.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unit 120 may include an inner cover that surrounds the air channel unit 110 and an outer cover that surrounds the inner cover, and both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can be separated for washing, thereby improving hygiene. can do it

팬부(200)는 본체시트부(100)와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본체시트부(1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부(2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인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의 공기는 차량 에어컨으로 인하여 냉각된 공기일 수 있다. 팬부(200)는 이러한 냉각된 공기를 흡인하여 본체시트부(100)로 공급할 수 있고, 본체시트부(100)는 공급된 공기를 에어채널부(110)를 통해 본체시트부(100)의 전면(全面)으로 확산시켜 일면(101)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The fa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body sheet unit 100 , and may suck in ai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inside of the body sheet unit 100 . 4A and 4B , the fan unit 200 may suck in external air, and in this case, the external air may be air cooled by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he fan unit 200 may suck the cooled air and supply it to the body sheet unit 100 , and the body sheet unit 100 may supply the supplied ai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sheet unit 100 through the air channel unit 110 . It can be diffused over the entire surface and discharged through one surface 101 .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부(200)는 하나의 축 양측 각각에 팬(210)이 배치되고, 하나의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팬(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의 모터(미도시)에 하나의 팬(210)이 연결되어 회전되거나, 복수의 팬(210)에 각각 모터(미도시)가 연결되어 각각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팬부(200)는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는 경로에 필터(230)를 배치시켜 먼지 등을 걸러 본체시트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in the fan unit 200, the fans 21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one shaft, and the fan 210 can be rotated using one motor (not shown). ha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fan 210 may be connected to one motor (not shown) to rotate, or a moto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ans 210 to rotate each. . In addition, the fan unit 200 may filter dust and the like by disposing the filter 230 in a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supplied to the body sheet unit 100 .

한편, 체온감지부(300)는 본체시트부(100)의 일면(101) 상에 배치되며 본체시트부(100)의 일면(101)과 접촉하는 대상체의 체온을 감지하여 체온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체온감지부(300)는 하나 이상의 체온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체온감지부(300)는 두 개의 제1 체온센서(301) 및 제2 체온센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체온센서(301)는 본체시트부(100)의 일면(101) 중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영역에 접촉하는 대상체의 제1 체온을 감지하여 제1 체온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체온센서(303)는 본체시트부(100)의 일면(101) 중 제2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제2 영역에 접촉하는 대상체의 제2 체온을 감지하여 제2 체온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은 대상체의 등과 접촉하는 부분이고, 제2 영역은 대상체의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300 is disposed on one surface 101 of the body seat unit 100 and detects the body temperature of an object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101 of the body sheet unit 100 to generate a body temperature signal (S1). can create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300 may include one or more body temperature sensors. As an embodiment,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300 may include two first body temperature sensors 301 and a second body temperature sensor 302 . At this time, the first body temperature sensor 301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of the one surface 101 of the body seat unit 100 and detects the first body temperature of the object in contact with the first area to generate a first body temperature signal. have. The second body temperature sensor 303 is dispos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second area of the one surface 101 of the body seat unit 100, and detects the second body temperature of the object in contact with the second area to signal a second body temperature. can create Here, the first region may be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object,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uttocks of the object.

수면감지부(400)는 본체시트부(100)에 배치되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수면감지부(400)는 하나 이상의 수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수면감지부(400)는 두 개의 제1 수면감지센서(400A) 및 제2 수면감지센서(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면감지센서(400A)는 본체시트부(100)의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제1 위치에서의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 움직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수면감지센서(400B)는 본체시트부(100)의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며 제2 위치에서의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2 움직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는 대상체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시트부(100)의 우측이고, 제2 위치는 대상체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시트부(100)의 좌측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탈부착형 통풍 시트(10)는 유아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수면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풍시트(10)의 온도 또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sleep detection unit 400 may be disposed on the body seat unit 100 and may generate a motion signal S2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The sleep detection unit 400 may include one or more sleep detection sensors. As an embodiment, the sleep detection unit 400 may include two first sleep detection sensors 400A and a second sleep detection sensor 400B. In this case, the first sleep sensor 400A may b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body seat unit 100 and may generate a first motion signal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sleep sensor 400B may be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body seat unit 100 and may generate a second motion signal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at the second position. Here, the first position may be the right side of the body sheet unit 100 in which the head of the subject may be located,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the left side of the body sheet unit 100 in which the head of the subject may be located. In other words,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infant's head, determine whether to sleep, and adjust the temperature or air volume of the ventilation sheet 10 using this.

스위치부(500)는 외부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부(500)를 통해 팬부(200)의 풍량 또는 온도를 조절하거나, 탈부착형 통풍시트(10)의 on/off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부(500)에는 체온감지부(300)를 통해 측정된 체온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대상체의 체온뿐만 아니라, 현재 팬부(200)의 풍량 또는 외부의 온도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50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S3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The user may control the air volume or temperature of the fan unit 200 through the switch unit 500 or directly control on/off of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 The switch unit 5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externally displayi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300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not only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bject, but also the current air volume of the fan unit 200 or the external temperatur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온도감지부(700)를 더 포함할 있다. 온도감지부(700)는 팬부(200) 상에 배치되며,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기온도신호(T1)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700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700 is disposed on the fan unit 200, and may generate an outside air temperature signal T1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제어부(600)는 스위치부(500)에서 제공된 입력신호(S3)에 따라 팬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체온신호(S1) 또는 움직임신호(S2)를 근거로 팬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온도와 대상체의 체온을 비교하고, 기준온도와 체온이 근접하도록 팬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설정된 기준온도는 스위치부(50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S3)일 수도 있고, 온도감지부(700)로부터 제공되는 외기온도신호(T1)일 수 있다. 이러한 기준온도의 설정은 스위치부(5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기준온도를 외기온도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외기온도신호(T1)와 체온신호(S1)를 비교하여 비교정보를 생성하고, 비교정보를 근거로 팬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등 체온을 나타내는 제1 체온신호와 엉덩이 체온을 나타내는 제2 체온신호가 다른 경우, 둘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를 기준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S3 provided from the switch unit 500, o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00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signal S1 or the movement signal S2. can be controlled Specifically, the controller 600 may compare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with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bject,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00 so that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body temperature are close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the input signal S3 input through the switch unit 500 or the outdoor temperature signal T1 provid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700 . The setting of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witch unit 500 . When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set to the outsid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600 compares the outside temperature signal T1 and the body temperature signal S1 to generate comparis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00 based on the comparison information. have. Also, when the first body temperature signal representing the back body temperature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signal representing the hip body temperature are different, an average value of the two may b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또한, 제어부(600)는 수면감지부(400)로부터 제공된 움직임신호(S2)를 근거로 팬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유아가 수면상태인 경우의 체온은 깬 상태의 기초체온보다 낮을 수 있다. 이때 깨어있는 경우의 풍량 또는 온도로 통풍되는 경우, 수면상태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수면감지부(400)로부터 제공받은 움직임신호(S2)에 근거하여 대상체의 수면상태를 판단하고, 수면 여부에 따라 팬부(2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쾌적하면서 적절한 통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면감지센서가 두 개인 경우, 제어부(600)는 제1 움직임신호 및 제2 움직임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1 움직임신호 및 제2 움직임신호로부터 수면상태에서 머리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의 패턴을 구분하여 수면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6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00 based on the motion signal S2 provided from the sleep sensing unit 400 . When the infant is sleeping, the body temperature may be lower than the basal body temperature when awake. At this time, if the air is ventilated with the air volume or temperature when awake, it may not be suitable for the sleeping stat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e sleep state of the object based on the motion signal S2 provided from the sleep detection unit 400 ,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00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is sleeping,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and appropriate ventilation environment. can provide In addition, when there are two sleep sensors, the control unit 600 may receive a first motion signal and a second motion signal, and from the first motion signal and the second motion signal, when the head repeatedly moves in the sleep stat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sleep state by distinguishing the patter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전원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800)는 탈부착형 통풍시트(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800)는 외부의 전원수단과 연결될 수도 있고,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의 전원수단과 연결되는 경우, 전원부(800)는 차량의 시거잭 포트 또는 USB 포트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휴대용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ource (800). The power source 800 may supply power to the removable ventilation sheet 10 . The power source 8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supply power through a built-in battery. When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power supply 800 may be connected to a cigar jack port or a USB port of the vehicle to supply power, or may be connected to a portable battery to supply power.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탈부착형 통풍시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of FIG. 6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머리시트부(910) 및 보조시트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 and 7 ,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d seat portion 910 and an auxiliary seat portion 950 .

머리시트부(910)는 대상체의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관통홀(H1)을 통해 본체시트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머리시트부(910)는 본체시트부(100)와 마찬가지로 서브 에어채널부(911) 및 서브 에어채널부(911)를 커버하는 서브커버부(912)를 포함하여, 본체시트부(1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대상체의 머리부분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head seat part 910 is for stably fixing the head of the object,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seat part 10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H1. At this time, the head seat part 910 includes a sub air channel part 911 and a sub cover part 912 that covers the sub air channel part 911 like the body seat part 100, and the body seat part 100 ) may be discharged to the head of the subject.

보조시트부(950)는 대상체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본체시트부(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시트부(950)는 본체시트부(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퍼, 벨크로, 단추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본체시트부(100)와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보조시트부(950)는 통풍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uxiliary seat unit 95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heet unit 100 to support the lower body of the object. The auxiliary seat unit 950 is detachable from the body seat unit 100 , and although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body sheet unit 100 using means such as a zipper, Velcro, or a button. The auxiliary seat unit 95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ventila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팬부(200)가 본체시트부(100)와 분리가능하며, 본체시트부(100)와의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부(200)는 대상체의 다리부분에 대응되는 본체시트부(100)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대상체의 머리 부분에 대응되는 본체시트부(10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에 장착하는 방법에 따라 팬부(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보기용 유아용 카시트의 경우, 도 6과 같이 대상체의 다리부분에 대응되는 본체시트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시가잭포트나 USB포트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뒤보기용 유아용 카시트의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대상체의 머리부분에 대응되는 본체시트부(100)의 타측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부(800)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unit 200 is detachable from the body sheet unit 100 , and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body sheet unit 100 can be changed. As shown in FIG. 6 , the fan unit 2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sheet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leg portion of the object, or the body sheet portion 100 corresponding to the head portion of the object as shown in FIG. 7 .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ventilation seat 1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an unit 200 according to a method of mounting the infant car seat on a vehic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ront-facing infant car seat, as shown in FIG. 6 , by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seat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leg portion of the object,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igar jack port or USB port of the vehicle. .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ar-viewing infant car seat, as shown in FIG. 7 , by being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seat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subject, the power supply unit 800 can be easily connected.

이때, 팬부(200)는 송풍관(280)을 사이에 개재하여 본체시트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송풍관(280)은 본체시트부(100)와 팬부(200) 사이를 연결하여 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본체시트부(10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송풍관(28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송풍관(28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팬부(200)의 위치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an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sheet unit 100 with the blower pipe 28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lower pipe 280 may connect the body sheet part 100 and the fan part 200 to guide air supplied from the fan part 200 to the body seat part 100 . In addition, the blower pipe 28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length of the blower pipe 280 may be adjustable as needed. Through this,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can secur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position of the fan unit 20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팬부(200)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 예를 들면 차량의 에어컨으로 인해 냉각된 공기를 흡인하고, 이를 착석한 대상체로 제공함으로써, 냉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형 통풍시트(10)는 체온감지부 및 수면감지부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적절한 통풍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땀띠, 감기나 냉방병과 같은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ventilation se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an unit 200 to suck in external air, for example, air cooled by the vehicle's air conditioner, and to seat it. By providing it as an objec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oling function. In addition,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10 can effectively prevent diseases such as sweat bands, colds, or air-conditioning diseases by providing an appropriate ventilation environment to the subject by using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sleep sensing uni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cused on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an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통풍시트
100: 본체시트부
110: 에어채널부
120: 커버부
200: 팬부
300: 체온감지부
400: 수면감지부
500: 스위치부
600: 제어부
700: 온도감지부
800: 전원부
10: ventilation sheet
100: body seat portion
110: air channel unit
120: cover part
200: fan unit
300: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400: sleep detection unit
500: switch unit
600: control unit
700: temperature sensing unit
800: power unit

Claims (9)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대상체가 접촉하는 일면으로 배출하는 본체시트부;
상기 본체시트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본체시트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팬부;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대상체의 체온을 감지하여 체온신호를 생성하는 체온감지부;
상기 본체시트부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신호를 생성하는 수면감지부;
외부의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체온신호 또는 상기 움직임 신호를 근거로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부 상에 배치되며,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기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온감지부는,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중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에 접촉하는 대상체의 제1 체온을 감지하여 제1 체온신호를 생성하는 제1 체온센서; 및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영역에 접촉하는 상기 대상체의 제2 체온를 감지하여 제2 체온신호를 생성하는 제2 체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면감지부는,
상기 본체시트부의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 움직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수면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시트부의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2 움직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수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대상체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시트부의 우측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대상체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시트부의 좌측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온도신호와 상기 체온신호를 비교하여 비교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정보를 근거로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체온신호 및 상기 제2 체온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움직임신호 및 상기 제2 움직임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체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되 수면상태에서 머리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의 패턴을 구분하여 수면 여부를 판단하고, 수면 여부에 따라 상기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탈부착형 통풍시트.
a body sheet unit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o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bject;
a fan unit connected to the body sheet unit and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inside of the body sheet unit;
a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sheet unit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body temperature signal by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an objec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dy sheet unit;
a sleep sensing unit disposed in the body seat unit and generating a motion signal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a switch unit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based on the body temperature signal or the movement signal;
A temperature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fan unit and configured to sense an outside air temperature and generate an outside air temperature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unit,
a first body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a first area of one surface of the body seat part and configured to detect a first body temperature of an object in contact with the first area and generate a first body temperature signal; and
a second body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n one surface of the body seat part and generating a second body temperature signal by sensing a second body temperature of the object in contact with the second area;
The sleep sensing unit,
a first sleep sensor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body seat portion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at the first position and generate a first motion signal; and
a second sleep sensor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body seat part, and generating a second motion signal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irst position is the right side of the body seat portion where the head of the subject can be located,
The second position is the left side of the body seat portion where the head of the subject can be located,
The controller compares the outside temperature signal with the body temperature signal to generate comparison informa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based on the comparis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fan unit based on the first body temperature signal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signal. Controls the negative oper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s sleeping based on the first motion signal and the second motion signal, but determines whether to sleep by distinguishing a pattern when the head repeatedly moves in the sleeping state, and whether or not to sleep. A removable ventilation shee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in accordance with th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시트부는,
상기 팬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본체시트부의 전면(全面)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채널부; 및
상기 에어채널부를 내부에 배치시키되 상기 에어채널부와 분리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에 대응되는 영역이 통풍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통풍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seat portion,
an air channel part for guiding the air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an part spread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ody seat part; and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comprising a; doedoe disposing the air channel part therein, and detachable from the air channel part, and a cover part made of a material in which at least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body sheet part can be ventilat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채널부는 바디유닛과,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디유닛 상에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유닛들을 구비하는, 탈부착형 통풍시트.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channel portion having a body unit, and a plurality of projecting unit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body sheet portion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dy unit,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채널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탈부착형 통풍시트.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channel portion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 removable ventilation shee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시트부와 상기 팬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팬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본체시트부로 안내하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송풍관;을 더 포함하는, 탈부착형 통풍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between the body seat part and the fan part to guide the air supplied from the fan part to the body seat part, and a blower pip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는 상기 본체시트부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상기 본체시트부의 일측에 연결되거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연결되는 탈부착형 통풍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an portion is detachable from the body sheet portion,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sheet portion or a detachable ventilation shee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삭제delete
KR1020170080736A 2017-06-26 2017-06-26 Detachable ventialtion seat KR102450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736A KR102450428B1 (en) 2017-06-26 2017-06-26 Detachable ventialtion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736A KR102450428B1 (en) 2017-06-26 2017-06-26 Detachable ventialtion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74A KR20190001174A (en) 2019-01-04
KR102450428B1 true KR102450428B1 (en) 2022-10-04

Family

ID=6501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736A KR102450428B1 (en) 2017-06-26 2017-06-26 Detachable ventialtion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4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97Y1 (en) 2020-04-08 2021-10-26 주식회사 토탈키즈 Ventilating seat for infants having detachable cooler with air cleaner
KR102287025B1 (en) * 2020-10-14 2021-08-10 주식회사 브릿지웨이 Health-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 using the same
KR102496241B1 (en) 2022-09-23 2023-02-06 주식회사 꿈비 Liner for both cold and hot ai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53B1 (en) * 2013-04-24 2015-12-0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control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300A (en) * 1994-05-30 1995-12-05 K & Jii:Kk Temperature regulating sheet device
KR20130080920A (en) * 2012-01-06 2013-07-16 최지현 Mattress with cpu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53B1 (en) * 2013-04-24 2015-12-0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control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74A (en)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4308B2 (en) Seat air conditioner
KR102450428B1 (en) Detachable ventialtion seat
US10569616B2 (en) Vehicle seat air-conditioning device
JP2006524159A (en) Vehicle seat
KR101821146B1 (en) Infant seat with ventilation function
CN212500024U (en) Infant car ventilation safety seat
JP2011230529A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infant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ystem
US10640019B1 (en) Child car seat with temperature control
JP2013147225A (en) Vehicle seat
US20230302871A1 (en) Vehicle seat air-conditioning device
JP2016123533A (en) Ventilation seat
KR100822451B1 (en) A multipurpose chair
JP2023099652A (en) seat system
JP3205161U (en) mat
JP2022073922A (en) Vehicle seat air conditioner
WO2022091661A1 (en) Seat air-conditioning device
JP2006055249A (en) Support structure for backside of human body
JP2008125723A (en) Ventilation device for seat
JP2001327363A (en) Body support device
JP3233527U (en) A wheelchair with a backrest fixture with a blower mechanism and a backrest with a blower mechanism
JP2016222107A (en) Vehicle seat
JP2020059368A (en) Seat heater device
JP7425345B2 (en) air blower unit
JP7121257B2 (en) air conditioner
CN113993765B (en) Seat cushion for baby carriage and seat cushion with electric fan for baby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