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388B1 -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388B1
KR102450388B1 KR1020220032422A KR20220032422A KR102450388B1 KR 102450388 B1 KR102450388 B1 KR 102450388B1 KR 1020220032422 A KR1020220032422 A KR 1020220032422A KR 20220032422 A KR20220032422 A KR 20220032422A KR 102450388 B1 KR102450388 B1 KR 10245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ner space
seated
elevating
public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예은
김세현
신봉철
윤영훈
김민기
손세원
이종학
임병훈
김희문
문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벤처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306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07871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벤처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벤처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3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which is implemented to drive various types of facilities provid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rest areas, using electricity generated by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includes a public rest facility which provides a space for pedestrians to rest and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installed in the public rest facility to generate electricity using sunlight.

Description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휴게소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구비되는 다양한 종류의 시설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use electricity generated using solar power to drive various types of facilities provid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rest areas, etc. It is about the control system.

근래에 화석 연료의 대량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와 환경 파괴로 인해 기상 이변이 일어나고 자연 재해의 피해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대체 에너지의 개발 및 사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무공해 에너지이면서 경제성이 있는 태양 에너지 수집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s extreme weather events occur due to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the mass use of fossil fuels and the damage scale of natural disasters increases, the development and use of alternative energy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Among them, a non-polluting energy and economical solar energy collection device is in the spotlight.

이러한 태양 에너지를 수집하는 장치로는 태양열을 수집하여 난방이나 온수 급탕에 이용하는 태양열 모듈장치와, 실리콘 반도체 등으로 구성된 태양 전지(Solar Cell)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기가 발생되는 현상(광전효과, Photoelectric Effect)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태양광 모듈장치로 구분된다.A device for collecting solar energy includes a solar module device that collects solar heat and uses it for heating or hot water supply, and a phenomenon in which electricity is generated when sunlight is incident on a solar cell composed of silicon semiconductors, etc. (photoelectric effect, It is classified as a solar module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ity using the Photoelectric Effect.

위와 같은 태양광 모듈장치는 태양열 내지 태양광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주로 건물 옥상에 설치되며, 근래들어 모듈장치의 자유로운 이전 설치를 위해 무타공 공법을 적용한 설치하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The above photovoltaic module device is mainly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so that it can receive solar heat or sunlight directly, and in recent years, an installation method using a non-perforated method for free transfer installation of the module device is in the spotlight.

한편, 무타공 공법을 적용한 태양광 모듈장치의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0581호 "지붕 무타공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체"가 게재되어 있으며, 위 무타공 공법을 적용한 태양광 모듈장치는 슬라브 지붕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초블럭과, 하부가 기초블럭에 의해 지지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부 및 복수의 프레임부의 상부에서 복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되, 복수의 태양광 패널, 복수의 프레임부 및 복수의 기초블럭이 직렬 또는 병렬 배치됨에 따라 태양광 패널 어레이가 일체로 연결되며, 기초블럭은 미리 설정된 값의 최소 중량이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부 및 태양광 패널을 슬라브 지붕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복수의 기초블럭은 이웃하는 태양광 패널들의 사이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각 프레임부는 이웃하는 태양광 패널들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of a photovoltaic module device to which the non-perforated method is appli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0581 “Support structure of a non-perforated solar panel for the roof” is published, and the above-mentioned non-perforated method is applied to the photovoltaic module device. is a plurality of base blocks disposed on the slab roof bottom surface,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be supported by the base block, the upper par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frame parts and a plurality of frame parts in the upper part The solar panel array is integrally connected as a plurality of solar panels, a plurality of frame parts, and a plurality of basic blocks are arranged in series or in parallel, including a solar panel fixed by a coupling member of As the foundation block is composed of more than the minimum weight of the preset value, the plurality of frame parts and the solar panel are fixed to the slab roof bottom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foundation blocks overlap the area between the neighboring solar panels. is arranged, and each frame por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edges of the neighboring solar panels.

위 기술은 슬라브 지붕의 바닥면에 타공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기초 블록의 중량으로 태양광 패널을 고정시 킬 수 있음과 더불어, 태양광 패널 설치 시의 시공 기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무타 공 공법은 태양광 모듈장치가 풍압에 위해 진동 내지 유동에 의해 최초 설치장소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하 였다.The above technology can fix the photovoltaic panel with the weight of the foundation block without damag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roof, such as perforation,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when installing the photovoltaic panel. . However, this non-perforated method caused a problem that the solar module device was separated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site due to vibration or flow due to wind pressure.

이렇듯 무타공 태양광 모듈장치를 설치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고, 그에 대한 기술의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0652호 "무타공 공법으로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석"이 게재되어 있다.As such, a technology for firmly supporting the non-perforated photovoltaic module device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has been developed, and as an example of the technology,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0652 "Base stone for supporting a photovoltaic structure with a non-perforated method" " is published.

위 기술은 지반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하단 콘크리트부, 하단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단 콘크리트부, 상단 콘크리트부 및 하단 콘크리트부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상단 콘크리트부로부터 돌출되어 태양광 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한 플레이트 앵커를 포함하고, 상단 콘크리트부 및 하단 콘크리트부는 원기둥의 형상이고, 하단 콘크리트부의 직경은 상단 콘크리트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단 콘크리트부 및 하단 콘크리트부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철(凸) 모양으로 구성된다.The above technology protrudes from the upper concrete part while penetrating the central axis of the lower concrete part fix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upper concrete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ncrete part, the upper concrete part and the lower concrete part. Including, the upper concrete part and the lower concrete part are in the shape of a cylinder, the diameter of the lower concrete par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concrete part, and the upper concrete part and the lower concrete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entral axis is the same, and it is composed of an iron shape. .

위와 같은 형태를 갖는 종래기술은 설치 위치에 따른 변화하는 태양광 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기초석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건물 옥상에 무타공 공법을 적용하여 태양광 구조물의 설치가 가능하며, 기초석에 층층이 적층되는 중량물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중량물의 중량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따른 기초석의 지지력을 미세 조절할 수 있다.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 form can secur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load of the solar struct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so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olar structure by applying the non-perforation metho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weights stacked layer by layer or by varying the weight of the weights, it is possible to fine-tun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foundation ston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209472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94722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0693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06937

본 발명의 일측면은 휴게시설에 쿨링 프로그래밍 시스템을 도입하여 미세먼지와 분진 등의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폭염으로 인한 이용객을 유치하고, 태양열 냉난방 장치를 도입하여 시설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고 추위로부터 이용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a cooling programming system to a rest facility to reduce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and dust, to attract users due to a heat wave, and to introduce a solar heating and cooling system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inside the facility, It provide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implemented to protect users from the cold.

또한,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하여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smart bench and an electric charging station are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through sunlight and to provide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s smartphone can be charged through the batter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은, 보행자가 쉬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휴게용 공공 시설; 및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A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blic facility for rest that provides a space for pedestrians to rest; and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installed in the resting public facility to generate electricity using sunlight.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은,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에 설치되며, 동절기에 보행자가 착석하면 상기 전기 공급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온열 벤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nd when a pedestrian is seated in the winter season, from 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or an external power supply.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bench that is heated by receiving the transmitted electricity.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은,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에 설치되며, 하절기에 보행자가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로 진입하면 상기 전기 공급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어 보행자가 위치하는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쿨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nd when a pedestrian enters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in summer, electricity produced by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Alternatively, a cooling fan that receives electricity deliver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is driven to blow win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where pedestrians are located;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은,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충전 단자에 삽입하면 상기 전기 공급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스마트폰의 충전을 시작하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nd when the user inserts it into his or her smartphone charging terminal, the electricity produced in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or It may further include a; smartphone charging cable for starting charging of the smartphone by receiving electricity deliver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은, 개방 형성되는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을 개방 또는 차단시켜 주는 개폐형 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which is formed to be open, so as to open or block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형 벽체는, 개폐될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벽체 안착홈; 개폐될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는 벽체 프레임; 및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벽체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벽체 프레임의 전단을 상승시켜 주는 프레임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wall may include: a wall seating groove formed on a floor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to be opened and closed; a wall fram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to be opened and closed and seated in the wall seating groove; And it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nd by using the wall frame to cover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by raising the front end of the wall fram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It may include a; frame lift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벽체 프레임은,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며, 전단이 상기 프레임 승강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승강부가 수축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으로 삽입되면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 승강부가 신장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전단으로부터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을 덮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안착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거나 안착됨에 따라 상기 수평 이동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개의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ll frame is seated in the wall seating groove,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lifting unit so that the frame lifting unit is contracted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 frame body seated in the wall seating groove and exposed from the wall seating groove from the front end as the frame lifting unit extends and is expo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covering one sid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And it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ame body and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horizontal moving groov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ll mounting groove, and the frame body is exposed or seated from the wall mounting groove. and two sliders for preventing the fram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all mounting groove while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승강부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바닥 하우징;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에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을 승강시켜 주는 거치 헤드;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을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동시에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프레임 승강 구동부; 및 내측을 따라 상기 제1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이 배치되도록 상기 거치 헤드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헤드가 하강할 경우 상기 바닥 하우징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어 상기 거치 헤드와 상기 바닥 하우징 간의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 방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lifting unit, the upper side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square tube is formed open, the floor housing installed upright on one side of the floor surfac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 first elevating frame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 second elevating frame formed in a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levating frame exposed upwar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nd the front end of the frame body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so that the first elevating frame is elevated as the frame body is elevated. Mounting head that elevates the front end of the; A second eleva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while raising or lowering the first eleva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elevating frame. Frame lift drive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from the space; and the first elevating frame and the second elevating frame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head so as to be disposed along the inner side so that when the mounting head is lowered, it is seat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loor housing, the mounting head and the floor housing It may include a; anti-shock spring to prevent the impact of the li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전단과 대향하는 상기 바닥 하우징의 전단에 설치되는 구동부 케이스; 상기 구동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승강 구동 벨트; 전단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 구동 벨트의 후단 외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의 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구동 벨트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을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제1 승강 기어; 및 전단이 상기 제2 승강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 구동 벨트의 후단 외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의 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구동 벨트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제2 승강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lifting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case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bottom housing opposite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lifting frame; an elevating drive bel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ive case; A front end is engaged with a gear mount formed along an outward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elevating drive belt opposite to the first elevating frame, and the rear end is engaged with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 first elevating gear which is installed and rotates as the elevating drive belt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aise or lower the first eleva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 and a front end of a second elevating frame having a front end engaged with a gear mount formed along an outward surface of a rear end of the elevating drive belt opposite to the second elevating frame, and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elevating fram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 second elevating frame that is engaged with and installed and is rotated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s the elevating drive belt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s lif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or It may include; a second lifting gear for lower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은,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제1 승강 기어의 후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전면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전단 렉기어; 및 상기 제2 승강 기어가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의 전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내부 공간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면서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전면 타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 안착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elevating frame may include: a first frame body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having an upper side open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 first front end leg ge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one front side of the first frame body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ifting gear is engaged and installed; and the first frame body while opening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rame body forward so that the second lifting gear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rame body. It may include; a gear seating window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ther front side of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은, 상기 제2 승강 기어의 후단과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 안착 윈도우와 대향하는 전면을 따라 제2 전단 렉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ifting frame, the second front end rack gear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surface opposite the gear seating window so as to be installed in engagement with the rear end of the second lifting gear. .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휴게시설에 쿨링 프로그래밍 시스템을 도입하여 미세먼지와 분진 등의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폭염으로 인한 이용객을 유치하고, 태양열 냉난방 장치를 도입하여 시설 내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고 추위로부터 이용객을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introducing a cooling programming system to a rest facility to reduce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and dust, to attract users due to a heat wave, and to introduce a solar heating and cooling system,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facility and It can control humidity and protect guests from the cold.

또한, 스마트 벤치 및 전기충전소를 구비하여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smart bench and an electric charging station may be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through sunlight and to charge the user's smartphone through the batter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온열 벤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개폐형 벽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1의 프레임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승강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3의 제2 승강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heating bench of FIG. 2 .
4 and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openable wall of FIG. 8 .
13 is a view showing the frame lifting unit of FIG. 11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levating frame of FIG. 13 .
15 and 16 are views showing the second elevating frame of FIG. 13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4]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6]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1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 및 전기 공급 모듈(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automatic public facility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ting public facility 100 and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

휴게용 공공 시설(100)은, 보행자가 쉬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측에 전기 공급 모듈(200)이 설치된다.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provides a space for pedestrians to rest, and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전기 공급 모듈(20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i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and generates electricity using sunligh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10)은, 전기 공급 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를 변환시키켜 주기 위한 인버터 및 생산된 전기를 저장해 두기 위한 배터리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tores the inverter and the generated electricity for converting 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 It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such as a battery for.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2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 전기 공급 모듈(200) 및 온열 벤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automatic public facility control system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ting public facility 100 ,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 and a heating bench 300 .

여기서, 휴게용 공공 시설(100) 및 전기 공급 모듈(2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resting public facilities 100 and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온열 벤치(300)는, 휴게용 공공 시설(100)에 설치되며, 동절기에 보행자가 착석하면 전기 공급 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된다.The heating bench 300 i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and when a pedestrian is seated in the winter season, 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or electricity deliver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is supplied to generate heat.

일 실시예에서, 온열 벤치(300)는, 보행자가 착석하기 위한 선반부(310), 선반부(310)의 각 코너에 설치되어 선반부(3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20), 및 선반부(310)에 설치되어 전기 공급 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 패널(33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ted bench 300 includes a shelf 310 for a pedestrian to sit on, a support frame 320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shelf 310 to support the shelf 310 , and a shelf. It is installed in the unit 310 and may include a heating panel 330 that generates heat by receiving electricity produced by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or electricity deliver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20)은, 보행자가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감지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motion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for detecting that a pedestrian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For convenience,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동작 감지센서는,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내부 공간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온열 벤치(300)로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ay request a drive to the heated bench 300 when a movement of a pedestrian is detec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4 and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3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 전기 공급 모듈(200) 및 쿨링팬(400)을 포함한다.4 and 5 , the automatic public facility control system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ting public facility 100 ,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and a cooling fan 400 . do.

여기서, 휴게용 공공 시설(100) 및 전기 공급 모듈(2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resting public facilities 100 and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쿨링팬(40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에 설치되며, 하절기에 보행자가 휴게용 공공 시설(100)로 진입하면 전기 공급 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어 보행자가 위치하는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준다.The cooling fan 400 i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and when a pedestrian enters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in summer, electricity produced by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or deliver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It is driven by receiving electricity to blow win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where pedestrians are loca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30)은, 일몰 후 휴게용 공공 시설(100)에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전기 공급 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 모듈(L)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duced in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when a movement of a pedestrian is detected in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after sunset. 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module (L) for irradiating light by receiving the supplied electricity or electricity deliver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30)은, 보행자가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감지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motion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for detecting that a pedestrian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For convenience,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동작 감지센서는,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내부 공간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쿨링팬(400)으로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ay request to be driven by the cooling fan 400 when a movement of a pedestrian is detec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6 and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4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 전기 공급 모듈(200) 및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500)을 포함한다.6 and 7, 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4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blic facility for rest 100,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and a smartphone charging cable 500. includes

여기서, 휴게용 공공 시설(100) 및 전기 공급 모듈(2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resting public facilities 100 and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50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충전 단자에 삽입하면 전기 공급 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 또는 외부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스마트폰의 충전을 시작한다.The smartphone charging cable 500 is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and when the user inserts it into his or her smartphone charging terminal, electricity produced in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or electricity deliver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is supplied and starts charging the smartphon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40)은, USB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USB 콘센트(520), 및 전기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전기 콘센트(530) 등의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public facility control system 4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USB outlet 520 for inserting a USB cable, and an electrical outlet 530 for inserting an electric plug. It may further include such component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4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안착되면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충전패드(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4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pad 540 that performs wireless charging when the user's smartphone is seated. .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8 to 10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50)은, 휴게용 공공 시설(100), 전기 공급 모듈(200) 및 개폐형 벽체(600)를 포함한다.8 to 10 , the automatic public facility control system 5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ting public facility 100 ,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and an open/close wall 600 . do.

여기서, 휴게용 공공 시설(100) 및 전기 공급 모듈(2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resting public facilities 100 and the electricity supply module 20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개폐형 벽체(600)는, 개방 형성되는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을 개방 또는 차단시켜 준다.The openable wall 6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ing that is opened to open or block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a res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50)은, 바람이 많이 부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개방면을 덮어 휴게용 공공 시설(100)에 있는 보행자에게 보다 쾌적한 휴게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5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overs the open surfac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100 in the case of a strong wind,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resting space for pedestrians in the facility 100 .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개폐형 벽체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openable wall of FIG. 8 .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개폐형 벽체(600)는, 벽체 안착홈(610), 벽체 프레임(620) 및 프레임 승강부(700)를 포함한다.11 and 12 , the openable wall 600 includes a wall mounting groove 610 , a wall frame 620 , and a frame lifting unit 700 .

벽체 안착홈(610)은, 벽체 프레임(6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개폐될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의 바닥면에 형성된다.The wall seating groove 6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wall frame 620 can be seated.

일 실시예에서, 벽체 안착홈(61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시 빗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수구(630)가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ll mounting groove 610, as shown in FIGS. 8 to 10, a drain 630 may be installed so that rainwater can escape in case of rain.

벽체 프레임(620)은, 개폐될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벽체 안착홈(610)에 안착된다.The wall frame 62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to be opened and closed, and is seated in the wall mounting groove 610 .

일 실시예에서, 벽체 프레임(620)은, 프레임 바디(621) 및 두 개의 슬라이더(622)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ll frame 620 may include a frame body 621 and two sliders 622 .

프레임 바디(621)는, 벽체 안착홈(610)에 안착되며, 전단이 프레임 승강부(70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프레임 승강부(700)가 수축하여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 바닥면으로 삽입되면 벽체 안착홈(610)에 안착되고, 프레임 승강부(700)가 신장하여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전단으로부터 벽체 안착홈(610)으로부터 노출되면서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을 덮는다.The frame body 621 is seated in the wall mounting groove 610,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lifting unit 700 so that the frame lifting unit 700 is contracted and the resting public facility 100 When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wall seating groove 610 is seated, as the frame lifting unit 700 is extended and expo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from the front end from the wall seating groove 610 It covers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while being exposed.

슬라이더(622)는, 프레임 바디(621)의 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벽체 안착홈(610)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홈(6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바디(621)가 벽체 안착홈(610)으로부터 노출되거나 안착됨에 따라 수평 이동홈(6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프레임 바디(621)가 벽체 안착홈(6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lider 622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ame body 621 and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ing groove 611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ll mounting groove 610, and the frame As the body 621 is exposed or seated from the wall mounting groove 610 , the frame body 62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all mounting groove 610 while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moving groove 611 .

프레임 승강부(7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 바닥면에 삽입 설치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장되어 벽체 프레임(620)을 이용하여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과 대향하는 벽체 프레임(620)의 전단을 상승시켜 준다.The frame lifting unit 70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as shown in FIG. 11, and is extended in multiple steps in the up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to the wall frame 620. The front end of the wall frame 620 opposite to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is raised so as to cover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by using.

도 13은 도 11의 프레임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the frame lifting unit of FIG. 11 .

도 13을 참조하면, 프레임 승강부(700)는, 바닥 하우징(710), 제1 승강 프레임(720), 제2 승강 프레임(730), 거치 헤드(740), 프레임 승강 구동부(750) 및 충격 방지 스프링(7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frame lifting unit 700 includes a floor housing 710 , a first lifting frame 720 , a second lifting frame 730 , a mounting head 740 , a frame lifting driving unit 750 and an impact. and an anti-spring 760 .

바닥 하우징(710)은, 제1 승강 프레임(7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휴게용 공공 시설(100)의 일측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된다.The floor housing 7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so that the first lifting frame 720 can be seated, and is installed upright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100 for rest.

제1 승강 프레임(720)은, 제2 승강 프레임(7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다.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is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710 so that the second elevating frame 730 can be seated, and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710 .

제2 승강 프레임(730)은,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다.The second elevating frame 73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and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

일 실시예에서, 제2 승강 프레임(73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승강 기어(754)의 후단과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기어 안착 윈도우(723)와 대향하는 전면을 따라 제2 전단 렉기어(731)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elevating frame 730 is formed along the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gear seat window 723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engagement with the rear end of the second elevating gear 754 as shown in FIG. 15 . The second front leg gear 73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제2 승강 프레임(73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하부 안착홈(732), 하부 안착홈(732)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3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33)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편(734)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elevating frame 730 is, as shown in FIG. 16 , a lower seating groove 732 at the bottom, a vertical buffer spring 733 installed in the lower seating groove 732 , and a vertical buffer spring It may include a seating piece 734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733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

거치 헤드(740)는,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제2 승강 프레임(730)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에 프레임 바디(621)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승강 프레임(720)이 승강됨에 따라 프레임 바디(621)의 전단을 승강시켜 준다.Mounting head 7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frame 730 exposed upwar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lifting frame 720, and connected to the rear en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frame body 621 can be rotated. As the first lifting frame 720 is raised and lowered, the front end of the frame body 621 is raised and lowered.

프레임 승강 구동부(750)는,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720)을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동시에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730)을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The frame elevating driving unit 750 raises or lowers 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710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710,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elevating frame 730 seated in the inner space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승강 구동부(750)는, 구동부 케이스(751), 승강 구동 벨트(752), 제1 승강 기어(753) 및 제2 승강 기어(754)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rame lifting driving unit 750 may include a driving unit case 751 , a lifting driving belt 752 , a first lifting gear 753 , and a second lifting gear 754 .

구동부 케이스(751)는, 제1 승강 프레임(720)의 전단과 대향하는 바닥 하우징(710)의 전단에 설치된다.The driving unit case 751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housing 710 opposite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

승강 구동 벨트(752)는, 전단 내향면이 제1 롤러(R1)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 내향면이 제2 롤러(R2)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부 케이스(75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The elevating drive belt 752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ive unit case 751 with the front end inward facing surface supported by the first roller R1 and the rear end inward facing surface being supported by the second roller R2.

제1 승강 기어(753)는, 전단이 제1 승강 프레임(720)과 대향하는 승강 구동 벨트(752)의 후단 외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720)의 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강 구동 벨트(75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720)을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The first lifting gear 753 has a front end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gear mount formed along an outward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lifting drive belt 752 opposite to the first lifting frame 720 , and the rear end thereof is a floor housing 710 . 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lifting frame 720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lifting frame 720 to be raised or lower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710 .

제2 승강 기어(754)는, 전단이 제2 승강 프레임(730)과 대향하는 승강 구동 벨트(752)의 후단 외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730)의 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강 구동 벨트(75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730)을 제1 승강 프레임(7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준다.The second lifting gear 754 has a front end connected to a gear mount formed along an outward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lifting drive belt 752 opposite to the second lifting frame 730,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frame ( 720) is engaged a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lifting frame 730 seated in the inner space, and is rotationally driven together as the lifting drive belt 752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lifting frame 720 is The second elevating frame 730 seated in the inner space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720 .

충격 방지 스프링(760)은, 내측을 따라 제1 승강 프레임(720) 및 제2 승강 프레임(730)이 배치되도록 거치 헤드(740)의 하측에 설치되어 거치 헤드(740)가 하강할 경우 바닥 하우징(7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어 거치 헤드(740)와 바닥 하우징(710) 간의 충격을 방지한다.The anti-shock spring 76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head 740 so that the first lifting frame 720 and the second lifting frame 730 are dispos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floor housing when the mounting head 740 descends. It is seat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710 to prevent impact between the mounting head 740 and the bottom housing 710 .

도 14는 도 13의 제1 승강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levating frame of FIG. 13 .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승강 프레임(720)은, 제1 프레임 바디(721), 제1 전단 렉기어(722) 및 기어 안착 윈도우(7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 the first lifting frame 720 includes a first frame body 721 , a first front end rack gear 722 , and a gear seating window 723 .

제1 프레임 바디(721)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다.The first frame body 721 is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710 in which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710 .

제1 전단 렉기어(722)는, 제1 승강 기어(753)의 후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721)의 전면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front end rack gear 722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one front side of the first frame body 721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ifting gear 753 is engag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기어 안착 윈도우(723)는, 제2 승강 기어(754)가 제1 프레임 바디(721)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730)의 전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 바디(721)의 내부 공간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면서 제1 프레임 바디(721)의 전면 타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gear seating window 723 is a first frame body ( 721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ther front side of the first frame body 721 while opening the inner space to the front.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20, 30, 40, 50: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
100: 휴게용 공공 시설
200: 전기 공급 모듈
300: 온열 벤치
400: 쿨링팬
500: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600: 개폐형 벽체
700: 프레임 승강부
10, 20, 30, 40, 50: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100: public facilities for rest
200: electricity supply module
300: heated bench
400: cooling fan
500: smartphone charging cable
600: retractable wall
700: frame lift

Claims (2)

보행자가 쉬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휴게용 공공 시설; 및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 공급 모듈;을 포함하며,
개방 형성되는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을 개방 또는 차단시켜 주는 개폐형 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형 벽체는,
개폐될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벽체 안착홈;
개폐될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는 벽체 프레임; 및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벽체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벽체 프레임의 전단을 상승시켜 주는 프레임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프레임은,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며, 전단이 상기 프레임 승강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승강부가 수축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으로 삽입되면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 승강부가 신장하여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전단으로부터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을 덮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 안착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이동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거나 안착됨에 따라 상기 수평 이동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개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승강부는,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휴게용 공공 시설의 일측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바닥 하우징;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에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을 승강시켜 주는 거치 헤드;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을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동시에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프레임 승강 구동부; 및
내측을 따라 상기 제1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이 배치되도록 상기 거치 헤드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 헤드가 하강할 경우 상기 바닥 하우징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어 상기 거치 헤드와 상기 바닥 하우징 간의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 방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전단과 대향하는 상기 바닥 하우징의 전단에 설치되는 구동부 케이스;
상기 구동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승강 구동 벨트;
전단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 구동 벨트의 후단 외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의 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구동 벨트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승강 프레임을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제1 승강 기어; 및
전단이 상기 제2 승강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 구동 벨트의 후단 외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의 전단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강 구동 벨트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승강 프레임을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제2 승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 프레임은,
상측이 개방 형성되는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 바디;
상기 제1 승강 기어의 후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전면 일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전단 렉기어; 및
상기 제2 승강 기어가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승강 프레임의 전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내부 공간을 전방으로 개방시키면서 상기 제1 프레임 바디의 전면 타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어 안착 윈도우;를 포함하는, 공공시설 자동 제어 시스템.
Resting public facilities that provide a space for pedestrians to rest; and
It includes; an electricity supply module installed in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nd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sunlight.
It further includes; an open/close wall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that is open to open or block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The openable wall is
a wall seating groove formed on a floor surface of one sid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to be opened and closed;
a wall fram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to be opened and closed and seated in the wall seating groove; and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nd the front end of the wall fram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is raised so as to cover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using the wall frame. It includes a frame lifting unit;
The wall frame is
It is seated in the wall seating groove,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elevation part, and when the frame elevation part contracts and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resting public facility, it is seated in the wall seating groove, and the frame a frame body covering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while being exposed from the wall seating groove from the front end as the lifting unit is extended and expo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nd
It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frame body and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horizontal moving groov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ll mounting groove, and the frame body is exposed or seated from the wall mounting groove. and two sliders for preventing the fram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all mounting groove while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groove.
The frame lifting unit,
a floor housing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tube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installed upright on a floor surface of one side of the public facility for rest;
a first elevating frame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 second elevating frame formed in a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levating frame exposed upwar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nd the front end of the frame body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so that the first elevating frame is elevated as the frame body is elevated. Mounting head that elevates the front end of the;
A second eleva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while raising or lowering the first eleva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elevating frame. Frame lift drive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from the space;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head so that the first lifting frame and the second lifting frame are disposed along the inner side, and is seat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loor housing when the mounting head descends, so that the mounting head and the floor housing An anti-shock spring to prevent shock; includes,
The frame lift driving unit,
a driving unit case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floor housing opposite to a front end of the first lifting frame;
an elevating drive bel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ive case;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with a gear mount formed along the outward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elevating drive belt opposite to the first elevating frame,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 first lifting gear which is installed and rotates as the lifting drive belt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aise or lower the first lif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elevating frame is engaged with the gear mount formed along the outward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elevating drive belt opposite to the second elevating frame and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elevating frame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 second elevating frame that is interlocked and installed and is rotated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as the elevating drive belt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s raised or lower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Including; a second lifting gear that makes
The first lifting frame,
a first frame body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having an upper side open and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housing;
a first front end rack ge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one front side of the first frame body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ifting gear is engaged and installed; and
The first frame body while opening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rame body forward so that the second lifting gear can be installed in engagemen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frame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rame body A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including; a gear seating window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삭제delete
KR1020220032422A 2022-03-11 2022-03-16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KR102450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22A KR102450388B1 (en) 2022-03-11 2022-03-16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617A KR102507871B1 (en) 2022-02-17 2022-03-11 Smart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Using Solar Power
KR1020220032422A KR102450388B1 (en) 2022-03-11 2022-03-16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617A Division KR102507871B1 (en) 2022-02-17 2022-03-11 Smart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Using Solar P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388B1 true KR102450388B1 (en) 2022-10-04

Family

ID=8360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22A KR102450388B1 (en) 2022-03-11 2022-03-16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3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112B1 (en) * 2012-04-23 2014-03-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Eco-friendly bus stop
KR102094722B1 (en) 2019-04-18 2020-04-01 신묘임 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which does not perforate proof
KR20220006937A (en)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다산에너지 Resting facility with smart bench and electric charging st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112B1 (en) * 2012-04-23 2014-03-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Eco-friendly bus stop
KR102094722B1 (en) 2019-04-18 2020-04-01 신묘임 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which does not perforate proof
KR20220006937A (en) 2020-07-09 2022-01-18 주식회사 다산에너지 Resting facility with smart bench and electric charging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289B1 (en) Integrated thermal module and back pla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CN106571771A (en) Portable folding type solar photovoltaic cell system
US8739478B1 (en) Integrated thermal module and back pla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US8261494B2 (en) Floor and electrical generator module
Yoo et al.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a Korean case study
US20150326176A1 (en) System and method of rooftop solar energy production
US20070204860A1 (en) Device for supporting, aligning, and cooling a solar panel
US201001705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thermal solar system using a reverse motor configuration
KR101804898B1 (en) A LED streetlight having a solar battery module and one-piece construction
KR101844539B1 (en) Solar Tracking Type Generating Unit system Moving on the Circular Rail
Gupta et al. Energy matrices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thermal systems: Case study
KR102450388B1 (en) Public facility automatic control system
KR102507871B1 (en) Smart Control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Using Solar Power
KR20190143093A (en) Sunlight Generation Awning
KR200459509Y1 (en) Photovoltaic moduleand
KR20230023794A (en) 3D solar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and its arrangement method
KR102242372B1 (en) Support structure of solar panel which does not perforate proof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028032B1 (en) Parking lot construction
KR20190041341A (en) Roof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s
KR101243383B1 (en) double window with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N205955280U (en) Sanitationman station of having a rest
KR102309331B1 (en) Solar tracker with solar tracking and seating capabilities
KR20210110051A (en) Solar module shade
CN210369590U (en) But angle regulation's photovoltaic tile
CN215226149U (en) Photovoltaic integrated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