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649B1 -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649B1
KR102449649B1 KR1020200136993A KR20200136993A KR102449649B1 KR 102449649 B1 KR102449649 B1 KR 102449649B1 KR 1020200136993 A KR1020200136993 A KR 1020200136993A KR 20200136993 A KR20200136993 A KR 20200136993A KR 102449649 B1 KR102449649 B1 KR 10244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unit
vending machine
container
refrig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724A (ko
Inventor
정원
전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배하우스
Priority to KR102020013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649B1/ko
Priority to PCT/KR2021/011673 priority patent/WO2022085928A1/ko
Publication of KR2022005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57Water-level indic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된 자판기몸체를 포함하는 자판기유닛과 커피추출액이 밀봉되어 형성된 커피용기가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자판기몸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냉장유닛과 물과 커피의 첨가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재료저장유닛과 상기 커피용기에서 도출되는 커피추출액과 상기 재료저장유닛에 저장된 물 및 첨가물이 혼합되도록 형성된 혼합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와 같이 빠르게 커피음료를 소비자로 제공하며, 더치 커피추출물이 저온상태로 관리되어 유해균을 억제하여 위생적으로 효과적인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for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액이 담긴 커피용기를 냉장보관하고, 냉장보관되는 커피추출액과 물 및 첨가물의 혼합되는 더치커피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커피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전문점 커피를 즐기는 배후에는, 갓 볶은 원두로부터 내려서 마시는 드립커피(Drip-Coffee)만의 깊은 맛과 향, 그리고 풍부한 바디감 등을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원두커피를 마시는 방법에는 대략 몇 가지가 있는데, 드리퍼ㆍ필터ㆍ머그잔 등을 갖추고 내려서 추출하여 마시는 드립 커피(Drip-Coffee), 그리고 모카포트머신을 이용한 에스프레소 커피(Espresso-Coffee)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또한, 더욱 풍미가 은은한 원두커피를 즐기는 커피 애호가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뜨거운 물이 아닌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다고 하여, 영어로 '차가운 물에 우려낸다'라는 뜻을 가진 콜드브루(Cold Brew)라고도 하는 더치커피의 판매도 함께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판매기와 같이 즉석에서 편리하게 더치커피음료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86608호)로서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 장착되며, 내부 저장공간에 커피추출수가 담겨지는 냉수탱크, 상기 냉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커피추출수를 강제순환시키는 추출수공급펌프, 상기 추출수공급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강제 순환되는 커피추출수가 내부 저장공간에 저장되고, 내부 저장공간에 추출용 더치커피 원두분쇄가루가 담겨지는 커피추출탱크 및 상기 커피추출탱크로부터 추출되는 더치커피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더치커피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종래의 자동판매기와 비교하여 장시간에 걸쳐서 추출해야하는 더치커피의 제조방식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편리함과 빠름을 추구하는 특성에 부합하지 못하고, 더치커피가 담겨 있는 커피추출물 저장탱크의 내부에 대장균 등이 증식되는 위생에 문제점이 있다.
01)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86608호 :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커피추출액이 담긴 커피용기를 냉장보관하고, 냉장보관되는 커피추출액과 물 및 첨가물의 혼합되어 커피음료를 소비자로 하여 제공하는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된 자판기몸체를 포함하는 자판기유닛과 커피추출액이 밀봉되어 형성된 커피용기가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자판기몸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냉장유닛과 물과 커피의 첨가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재료저장유닛과 상기 커피용기에서 도출되는 커피추출액과 상기 재료저장유닛에 저장된 물 및 첨가물이 혼합되도록 형성된 혼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냉장유닛은 상기 커피용기의 커피추출액이 상기 혼합유닛으로 배출되게 형성되고, 커피추출액이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피용기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제1냉장공간이 마련된 제1냉장부와, 상기 자판기몸체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상기 커피용기를 저온상태로 보관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제2냉장공간이 형성된 제2냉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저장유닛은 상기 혼합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물탱크부와, 상기 혼합유닛으로 공급되는 첨가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첨가물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유닛는 상기 물탱크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커피추출액 및 첨가물 중 둘 또는 셋 이상의 물질들이 혼합되도록 형성된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된 커피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형성된 토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냉장공간에 수용된 상기 커피용기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용기제어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장유닛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 및 상기 팽창기에서 연장되는 냉매배관이 분기되어 상기 제1냉장부 및 제2냉장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와, 상기 제1냉장부 및 제2냉장부에 설치되어,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자판기유닛은 상기 혼합부로 유입되는 커피추출액과, 물 및 첨가물의 혼합량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혼합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제어유닛은 상기 제1냉장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피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계산하여 커피용기에 남아있는 커피추출액의 잔여용량을 상기 상태표시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피용기의 일측에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커피추출액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피용기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용기의 타측을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 상향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구동부는 상기 커피용기를 회동하는데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커피용기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결합홀을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여 상기 커피용기와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커피용기를 회동하는데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소정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형성된 윈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와 같이 빠르게 커피음료를 소비자로 제공하며, 커피추출액이 담겨 있는 커피용기가 저온상태로 관리되어 대장균과 같은 유해균을 억제하여 위생적으로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의 일 실시예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구상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냉장부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1의 제1냉장부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제1냉장부의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10)는 자판기유닛(100), 냉장유닛(200), 재료저장유닛(300), 혼합유닛(400), 용기제어유닛(500)를 구비한다.
상기 자판기유닛(100)은 자판기몸체(110)와 혼합제어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자판기몸체(110)는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가능하나 형태는 육면체이며, 형태는 플라스틱사출물 또는 금속주조물 또는 다이캐스팅 주조물이 있다.
상기 혼합제어부(120)는 커피추출액과, 물 및 첨가물의 혼합량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혼합제어부(120)는 상기 재료저장유닛(30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전자적 신호로 제어하는 제어부(일예로서 PCB를 말함)를 포함한다.
이때, 커피추출액(미도시)은 커피원두에서 종래의 다양한 기술로 추출된 액상의 추출액을 말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 추출한 더치커피가 적용된다.
또한, 첨가물(미도시)은 설탕, 크림, 시럽, 우유 등의 액상 및 분말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유닛(200)은 커피추출액이 밀봉되어 형성된 커피용기(1)가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자판기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제1냉장부(210), 제2냉장부(220), 냉각부(230), 온도센서(240), 상태표시창(25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커피용기(1)는 하부에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2)가 형성되고, 액상의 커피추출액을 수용하도록 밀봉 처리되는 커피용기(1)로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종래의 기술이 적용가능하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리에틸렌수지(Polyethylene Resin)로 성형되는 파우치 팩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제1냉장부(210)는 상기 커피용기(1)의 커피추출액이 상기 혼합유닛(400)으로 배출되게 형성되고, 커피추출액이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피용기(1)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제1냉장공간(21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피용기(1)가 상기 제1냉장공간(211)으로 인입되도록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제2냉장부(220)는 상기 자판기몸체(11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상기 커피용기(1)를 저온상태로 보관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제2냉장공간(221)이 마련된다. 이 또한, 여분의 상기 커피용기(1)들을 보관시 인입되도록 일측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냉장부(210)와 제2냉장부(220)은 내부의 열손실 줄이기 위해서 외측면을 따라 소정두께로 단열재(3)가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각부(230)는 상기 제1냉장부(210)와 상기 제2냉장부(220)를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냉매배관(231), 압축기(232), 응축기(233), 팽창기(234), 제1증발기(235), 제2증발기(236)를 구비한다.
이때, 냉매증기를 고온/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상기 압축기(232)와, 상기 압축기(232)에서 압축된 냉매증기를 냉각수 또는 공기를 통하여 응축 잠열이 빠져나감으로서 저온ㅇ고압의 상태로 냉각액화 시키는 상기 응축기(233)와, 응축된 냉매를 저온/저압 상태로 팽창시키는 상기 팽창기(234)는 종래의 다양한 선행기술이 적용가능하다.
제1증발기(235)와 제2증발기(236)는 상기 팽창기(234)에서 연장되는 냉매배관(231)이 분기되어 상기 제1냉장부(210) 및 제2냉장부(220)에 각각 배치된다.
이어서, 상기 제1증발기(235)와 상기 제2증발기(236)를 각각 통과한 냉매가 다시 상기 압축기(232)로 유입되는 유입분기관(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상기 냉각부(23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축기(232)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의 냉매가 상기 냉매배관(231)을 통하여 상기 응축기(233)로 유입되고, 상기 응축기(233)에서는 냉매의 냉각을 위한 응축작용으로 저온/고압의 액체로 변한 냉매가 다시 상기 냉매배관(231)을 통하여 상기 팽창기(234)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팽창기(234)에서 냉매는 유량조절과 감압하면서 각각 분기되는 상기 냉매배관(231)과 연통되는 상기 제1증발기(235) 및 상기 제2증발기(236)로 유입되고, 상기 제1증발기(235) 및 상기 제2증발기(236)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1냉장공간(211) 및 상기 제2냉장공간(221)의 열을 흡수하여 저온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증발기(235) 및 상기 제2증발기(236)를 거쳐서 저온/저압의 가스상태로 변한 냉매는 상기 유입분기관(미도시)를 거쳐서 다시 상기 압축기(232)로 유입된다.
그래서 상기 압축기(232)에 유입된 냉매가 다시 상기에 서술한 상기 냉각부(230)의 작동과정을 반복순환 하면서 상기 제1냉장공간(211) 및 상기 제2냉장공간(221)의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냉매배관(231)은 상기 제1냉장부(210)와 상기 제2냉장부(2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배관(231)의 단면은 사각형, 오각형, 유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동합금관 또는 알루미늄합금관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240)는 상기 제1냉장부(210) 및 제2냉장부(220)에 설치되어 내부의 제1냉장공간(211) 및 제2냉장공간(221)의 내부온도를 각가 측정하도록 형성되며, 종래의 다양한 온도측정의 기술이 가능하나 서미스터온도센서 또는 IC온도센서가 바람직하다.
상기 상태표시창(250)은 상기 온도센서(240)에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며, 표시방법은 LED 또는 LCD 등을 이용한 상용화된 표시수단으로 세그먼트표시(미도시)가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저장유닛(300)은 물과 커피의 첨가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물탱크부(310), 첨가물저장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물탱크부(310)는 상기 혼합유닛(400)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되고, 그 형태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가능하나 육면체 형태의 플라스틱 사출물 일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부(310)는 상기 자판기몸체(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탱크부(31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관(미도시)이 형성되며, 타측에서는 상기 혼합유닛(40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물공급관로(330)를 구비한다.
상기 첨가물저장부(320)는 상기 혼합유닛(400)으로 공급되는 첨가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되고, 그 형태는 액상 또는 분말의 다양한 형태의 첨가물을 상기 혼합유닛(400)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종래의 기술들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첨가물저장부(3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사출물의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유닛(400)은 상기 커피용기(1)에서 도출되는 커피추출액과 상기 재료저장유닛(300)에 저장된 물 및 첨가물이 혼합되도록 형성되며, 혼합부(410), 토출부(420)를 구비한다.
상기 혼합부(410)는 상기 물탱크부(310)에서 공급되는 물과 커피추출액 및 첨가물 중 둘 또는 셋 이상의 물질들이 혼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부(410)는 소정비율로 혼합된 물과 커피추출액 및 첨가물이 혼합되도록 커피음료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미도시)와, 소비자의 기회에 따라 커피음료를 소정온도로 가열하도록 가열부(4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토출부(420)는 상기 혼합부(410)에서 혼합된 커피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420)의 일측은 상기 혼합부(410)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자판기몸체(110)의 외부로 도출되며 그 끝단이 첨예하게 형성된다.
상기 용기제어유닛(500)은 상기 제1냉장공간(211)에 수용된 상기 커피용기(1)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무게센서(510), 결합돌기(520)를 구비한다.
상기 무게센서(510)는 상기 제1냉장부(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피용기(1)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무게센서(510)는 무게를 측정하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나 로드셀(LoadCell)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520)는 상기 무게센서(510)와 일측이 결합하고 상기 무게센서(5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피용기(1)의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520)가 관통되도록 상기 결합홀(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520)의 타측은 상기 커피용기(1)의 상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센서(51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계산하여 상기 커피용기(1)에 남아있는 커피추출액의 잔여용량을 상기 상태표시창(250)에 표시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10)는 상기 냉장유닛(200)에 의하여 커피추출액이 저온상태로 보관 및 관리되어 보다 위생적이며, 커피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20)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자판기몸체(110)의 내부에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상기 제1냉장부(210)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피용기(1)의 상기 배출부(2)도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제어유닛(600)은 무게센서(610), 상향구동부(620)를 구비한다.
상기 무게센서(610)는 상기 커피용기(1)의 하부와 상기 제1냉장부(210)의 내측면과의 접촉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피용기(1)의 내부에 커피추출액이 상기 배출부(2)로 배출되지 않는 용량으로 잔류하게 되면, 상기 상향구동부(620)로 하여 구동하도록 하는 구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상향구동부(620)는 상기 커피용기(1)의 일측에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상기 배출부(2)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커피추출액이 상기 배출부(2)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피용기(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용기(1)의 타측을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향구동부(620)는 와이어(621), 결합부재(622), 모터(623), 윈치(624)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621)은 상기 커피용기(1)를 회동하는데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622)는 상기 커피용기(1)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621)가 통과되도록 마련된 상기 결합홀(4)을 상기 와이어(621)가 통과하여 상기 커피용기(1)와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621)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623)는 상기 커피용기(1)를 회동하는데 동력을 발생한다.
상기 윈치(624)는 상기 모터(623)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621)를 소정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형성된다.
상술된 본 발명의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20)는 상기 상향구동부(620)에 의하여 상기 커피용기(2)에 잔류하게 되는 커피추출액을 상기 배출부(2)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여 커피추출액 잔류량을 감소시켜서 커피음료의 원가절감에 효과적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커피용기 2 : 배출부
3. : 단열재 4 : 결합홀
10, 20 : 사무용 마사지의자
100 : 자판기유닛 110 : 자판기몸체
120 : 혼합제어부
200 : 냉장유닛 210 : 제1냉장부
211 : 제1냉장공간 220 : 제2냉장부
221 : 제2냉장공간 230 : 냉각부
231 : 냉매배관 232 : 압축기
233 : 응축기 234 : 팽창기
235 : 제1증발기 236 : 제2증발기
240 : 온도센서 250 : 상태표시창
300 : 재료저장유닛 310 : 물탱크부
320 : 첨가물저장부 330 : 물공급관로
400 : 혼합유닛 410 : 혼합부
420 : 토출부 430 : 가열부
500, 600 : 용기제어유닛 510, 610 : 무게센서
520 : 결합돌기
620 : 상향구동부 621 : 와이어
622 : 결합부재 623 : 모터
624 : 윈치

Claims (4)

  1.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된 자판기몸체를 포함하는 자판기유닛과;
    커피추출액이 밀봉되어 형성된 커피용기가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자판기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냉장유닛과;
    물과 커피의 첨가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재료저장유닛과;
    상기 커피용기에서 도출되는 커피추출액과 상기 재료저장유닛에 저장된 물 및 첨가물이 혼합되도록 형성된 혼합유닛과;
    상기 냉장유닛에 수용된 상기 커피용기를 제어하는 용기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냉장유닛은
    상기 커피용기의 커피추출액이 상기 혼합유닛으로 배출되게 형성되고, 커피추출액이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피용기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제1냉장공간이 마련된 제1냉장부와,
    상기 자판기몸체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상기 커피용기를 저온상태로 보관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제2냉장공간이 마련된 제2냉장부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 및 상기 팽창기에서 연장되는 냉매배관이 분기되어 상기 제1냉장부 및 제2냉장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와,
    상기 제1냉장부 및 제2냉장부에 설치되어,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창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저장유닛은
    상기 혼합유닛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물탱크부와,
    상기 혼합유닛으로 공급되는 첨가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된 첨가물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유닛은
    상기 물탱크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커피추출액 및 첨가물 중 둘 또는 셋 이상의 물질들이 혼합되도록 형성된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된 커피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형성된 토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자판기유닛은
    상기 혼합부로 유입되는 커피추출액과, 물 및 첨가물의 혼합량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혼합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제어유닛은
    상기 제1냉장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피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와,
    상기 커피용기의 일측에 커피추출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커피추출액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피용기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커피용기의 타측을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 상향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게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계산하여 상기 커피용기에 남아있는 커피추출액의 잔여용량을 상기 상태표시창에 표시하며,
    상기 상향구동부는
    상기 커피용기를 회동하는데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커피용기의 타측에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마련된 결합홀을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여 상기 커피용기와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커피용기를 회동하는데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소정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형성된 윈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36993A 2020-10-21 2020-10-21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KR10244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993A KR102449649B1 (ko) 2020-10-21 2020-10-21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PCT/KR2021/011673 WO2022085928A1 (ko) 2020-10-21 2021-08-31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993A KR102449649B1 (ko) 2020-10-21 2020-10-21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24A KR20220052724A (ko) 2022-04-28
KR102449649B1 true KR102449649B1 (ko) 2022-09-30

Family

ID=8128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993A KR102449649B1 (ko) 2020-10-21 2020-10-21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9649B1 (ko)
WO (1) WO20220859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0115A1 (en) * 2004-11-30 2008-01-24 Nestec S.A. Method For Delivering Hot And Cold Beverages On Demand In A Variety Of Flavorings And Nutritional Additiv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869A (ko) * 2004-06-02 2005-12-07 이용목 원액음료부가 부설된 냉온수기
ITFI20090177A1 (it) * 2009-08-03 2011-02-04 Saeco Strategic Services Ltd "un dispositivo di collegamento fra un vano refrigerato ed un erogatore di liquido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EP2754376B1 (en) * 2010-02-01 2015-03-25 Keurig Green Mounta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KR101550337B1 (ko) 2014-01-20 2015-09-0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101716702B1 (ko) * 2015-05-15 2017-03-15 박규영 스마트 캡슐커피 자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0115A1 (en) * 2004-11-30 2008-01-24 Nestec S.A. Method For Delivering Hot And Cold Beverages On Demand In A Variety Of Flavorings And Nutritional Addi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24A (ko) 2022-04-28
WO2022085928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636B2 (en) Providing single servings of cooled foods and drinks
US5535600A (en) Cooling system for a post-mix beverage dispenser
US11019957B2 (en) Coldwave appliance
US20210371265A1 (en) Refrigeration Systems for Rapidly Cooling Food and Drinks
EP3110297B1 (en) Beverage system for providing cold beverage
US20240044577A1 (en) Brewing and Cooling a Beverage
EP3182044B1 (en) Refrigerating device for preparing frozen drink
US11326825B2 (en) Stand-alone ice and beverage appliance
KR102449649B1 (ko) 더치커피용 자동판매기
US9938127B2 (en) Beverage system ice maker and ice and water reservoir
US11098942B2 (en) Refrigeration device
EP3064470A1 (en) Beverage dispenser for preparing cold beverages
CN200975825Y (zh) 一种快速冰酒机
TW202031134A (zh) 單人份經冷卻食物及飲品之提供
KR20030085832A (ko) 냉장 및 냉동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