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202B1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 Google Patents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202B1
KR102449202B1 KR1020220077443A KR20220077443A KR102449202B1 KR 102449202 B1 KR102449202 B1 KR 102449202B1 KR 1020220077443 A KR1020220077443 A KR 1020220077443A KR 20220077443 A KR20220077443 A KR 20220077443A KR 102449202 B1 KR102449202 B1 KR 10244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virtual
product
server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빗
Priority to KR102022007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2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2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users with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cquires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and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from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s; creates a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places the created virtual booth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outputs the virtual space where the virtual booth is placed so that a use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virtual space through a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outputs, when the user selects an exhibition product within the virtual booth using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at least one of a promotion video, demonstration video, utilization video,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xhibition product near the exhibition product;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exhibition produc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아래 실시예들은 메타버스 환경을 이용한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using a metaverse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전시회는 자사의 제품을 전시하고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는 행사로, 참가 기업 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 혹은 협력 업체 등을 찾는 기업주의 입장에서도 다양한 참가 기업들에 대한 최신 정보, 기술 및 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장이 되고 있다.In general, an exhibition is an event where you can get an opportunity to display and promote your own products, and not only the participating companies but also the general consumers or business owners who are looking for partner companies can provide up-to-date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on various participating companies. It has become a platform to grasp market trends.

그러나, 코로나 19 등 전세계적 재난으로 인해 오프라인에 의존하고 있던 전시회는 전시회 개최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전시가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온라인 전시는 수동형 관람, 사용자의 흥미 및 경험을 끌지 못해 대체재도 보완재도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due to global disasters such as Corona 19, the exhibition holding rate for exhibitions that depended on offline has greatly de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online exhibitions have been developed, but the existing online exhibition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y cannot be used as substitutes or complements because they cannot attract the interest and experience of passive viewing and users.

최근에 가상 세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각광받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메타버스의 핵심기술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을 아우르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기술이다.Recently, metaverse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representative service that provides a virtual world to users.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meaning fictitious and abstraction and universe meaning real world, mean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The core technology of this metaverse is virtual reality (VR), It is an extended reality (XR) technology that encompasses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따라서,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사용자가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전시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exhibition platform services that users can participate in with interest through the metaverse environment.

한국등록특허 제10-205079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50799 한국등록특허 제10-221936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19367 한국등록특허 제10-179284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2842 한국등록특허 제10-178591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5911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메타버스 환경을 통한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intend to provide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to a user.

실시예들은 전시 정보 및 전시 참가업체 정보에 따라 가상 부스를 생성하고자 한다.Embodiments intend to create a virtual booth according to exhibition information and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실시예들은 사용자와 전시 참가업체 관리자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n answer to a user's questi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anager of the exhibition company.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시 참가업체 단말로부터 전시 참가업체 정보 및 전시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가상 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가상 환경 제공 기기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공간의 출입문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상 부스가 배치된 상기 가상 공간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상 환경 제공 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을 선택하면, 상기 전시 제품의 홍보 영상, 시연 영상, 활용 영상 및 스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시 제품 근처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환경 제공 기기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전시 제품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a metaverse environment includes: acquiring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and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from an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generating a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arranging the created virtual booth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outputting the virtual space in which the virtual booth is arranged so that the user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rtual space through a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an exhibition product in the virtual booth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promotional image, a demonstration image, a utilization imag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product near the exhibition product;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exhibition produc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상기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가상 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부스에 전시하고자 하는 전시 제품의 크기 및 개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시 제품의 크기 및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부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여기서 게시 자료들을 기사,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을 포함하는 SNS에 게시된 자료들을 포함함-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게시 자료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미리 설정한 제1 기준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1 구역-상기 제1 구역은 출입문과 가장 멀리 있는 구역-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지도가 미리 설정한 제2 기준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2 구역-상기 제2 구역은 제1 구역보다 출입문과 가까이 있고, 제3 구역보다 출입문과 멀리 있는 구역-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3구역-상기 제3 구역은 출입문과 가장 가까이 있는 구역-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creating a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cquiring the size and number of exhibition products to be displayed in the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and setting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by using the size and number of the exhibition products, and arranging the created virtual booth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includes: Collecting related posting materials, where the posting materials include materials posted on SNS including articles, blogs, Instagram, and the like; generating a recognition map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based on the number of the posted materials;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tion level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rranging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n a first area, the first area being the farthest from the do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tion level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s placed in a second zone - the zone where the second zone is closer to the door than the first zone and further away from the door than the third zone. placing;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tion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rranging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n a third zone, wherein the third zone is a zone closest to an entrance door.

상기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이름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부스를 상기 가상 공간에 무작위로 배치하여 수행되고, 상기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부스 별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확인하여, 선택 횟수가 많은 전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가상 부스를 상기 출입문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arranging the created virtual booth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is performed by randomly placing the virtual booth in the virtual space using the name of the exhibition participant, an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updating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booths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s, wherein the updating of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booths checks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ion products for each virtual booth, and displays exhibition products with a large number of selections. It is a step of arranging the virtual booth in operation adjacent to the door.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관리자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상 환경 제공 기기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 아바타로 질문이 송신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질문 송신 시간이 정상 운영 시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질문 송신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시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1 시간 내에 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질문 송신 시간이 상기 정상 운영 시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상 환경 제공 기기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2 시간-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시간- 내에 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상 운영 시간은 미리 설정한 기준 기간 동안 송신된 질문들을 이용하여 질문이 몰리는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질문이 몰리는 시간을 질문 과부하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질문 과부하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으로 설정된다.A metaverse environment-based exhibition platform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creating an avatar of a manager of the exhibiting company and arranging it in a virtual booth of the exhibiting company; checking a time when a ques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avatar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rogation transmission time is included in normal operating hours;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answer to a question can be received within a first time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and/or the user terminal when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is within the normal operating time; When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is not included within the normal operating time, a second time for answering the question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and/or the user terminal - the second time is set longer than the first tim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message that can be received within the normal operating time, using the questions sent during the preset reference period to check the time the questions are crowded, and set the time when the questions are crowded as the question overload time and the remaining time excluding the question overload time is set.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선택된 횟수가 가장 많은 전시 제품을 핵심 제품으로 선정하고, 상기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 대비 상기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산출하여, 상기 핵심 제품의 관심도를 생성하는 단계; 선택된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 값보다 큰 전시 제품을 그룹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전시 제품의 공통 특성을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핵심 제품, 상기 핵심 제품의 관심도 및 상기 마케팅 전략을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시 참가업체 단말로 생성된 보고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averse environment-based exhibition platform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check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exhibited products in the virtual booth are selected; selecting an exhibition product having the greatest number of times as a core product, and extrac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generating a degree of interest in the core product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relative to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generating, as a group, exhibition products in which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a preset target value; generating a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exhibited products included in the group; generating a report including the core product,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core product, and the marketing strategy;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port to the terminal of the exhibitor.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가상 부스를 방문한 사용자의 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수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부스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averse environment-based exhibition platform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checking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visited the virtual booth; and changing the color of the virtual booth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장치와 내부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인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상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상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미리 학습된 제1 인공 신경망에 적용하여, 상기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제1 정책이 선정되면, 상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상기 제1 정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상기 제1 정책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상기 제1 정책을 추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상기 제1 정책이 추가로 등록되면, 상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 변경 명령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정책이 상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미리 학습된 제2 인공 신경망에 적용하여, 상기 제2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기초로, 상기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동안 상기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몇 번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제1 서버가 상기 기준 기간 동안 공격받은 횟수인 제1 공격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격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횟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격 횟수가 상기 제1 기준 횟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격 횟수가 상기 제1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공격 횟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횟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격 횟수가 상기 제2 기준 횟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의 상태를 경고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격 횟수가 상기 제2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서버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의 상태가 경고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서버의 공격을 경고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서버의 관리자로 등록되어 있는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버의 상태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정책을 통해 연결이 허용되어 있는 제1 포트의 연결 차단 명령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서버에서 상기 제1 포트를 통한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averse environment-based exhibition platform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receiving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nd network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from a first server that is one of a plurality of servers connected to the device through an internal network ; analyzing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based on th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nd th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selecting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based on the output of the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to a pre-learned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when a first policy is selected as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checking whether the first policy is includ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olicy is not includ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adding and registering the first policy to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When the first policy is additionally register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a setting change command for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erver, so that the first policy is applied to the firewall of the first server controlling to be set as a policy; receiv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network traffic of the first server from the first server; By applying monitoring information on network traffic of the first server to a pre-learned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on the output of 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it is detected whether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is detected to the first server to do; calculating the number of first attacks,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first server has been attacked during the reference period, by checking how many times the access estimated as an attack is detected by the first server during a preset reference period; checking whether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less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numbe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as a normal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number;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numbe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less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numbe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as a warning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numbe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as a dangerous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number;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warning of an attack of the first server to a first administrator terminal registered as an administrator of the first server when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is determined to be a warning stat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is in a critical state, a connection blocking command of the first port that is allowed to b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policy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erver, and the first server in the first port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ntrolling to block the connection through the.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메타버스 환경을 통한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provide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to a user.

실시예들은 전시 정보에 따라 가상 부스의 크기를 생성할 수 있고, 전시 참가업체 정보에 따라 가상 부스의 위치를 배치할 수 있어, 전시 참가업체에 적합한 가상 부스를 생성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generate a size of a virtual booth according to exhibition information, and arrange a location of a virtual booth according to information on exhibitors, so that a virtual booth suitable for exhibitors may be created.

실시예들은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확인하여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어 전시 참가업체로부터 전시 제품의 양과 질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update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booth by check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ed products, so that exhibitors may be encouraged to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xhibited products.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시 정보에 따라 가상 부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시 참가업체의 정보에 따라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의 위치를 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관심에 따라 배치도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시 참가업체 관리자와 사용자가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답변 받을 수 있는 기한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시 참가업체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부스 내의 사용자의 수에 따라 가상 부스의 색상이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호스트 방화벽의 정책 설정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을 감지하여, 공격 횟수에 따라 대응 방안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the size of a virtual booth according to exhib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rranging a location of a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an exhibition participant according to information on an exhibition participa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dating a layout diagram according to a user's intere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uiding a user of a deadline for receiving an answer so that an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manager and a user can communicate smooth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a user's activity and providing it to an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olor of a virtual boo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in the virtual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policy settings of a host firewal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and providing a countermeas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ttack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may be chang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product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computers, smart phones, televisions, smart home appliances, intelligent cars, kiosks, wearable devices, and the lik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 a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an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 and an apparatus 200 .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전시회를 통해 정보를 얻거나 전시회를 구경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First,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used by users who want to obtain information through an exhibition or view an exhibition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and may b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a smart phone, or the like.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전시회를 참가하여 자사의 제품을 전시하고 홍보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is a terminal used by companies that want to exhibit and promote their products by participating in an exhibition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and may b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a smart phone, or the like.

사용자 단말(100) 및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및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은 장치(200)와 유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exhibitor's terminal 4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ll or part of an arithmetic function, a storage/referencing function, an input/output function, and a control function of a typical computer,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exhibition The exhibitor's terminal 4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evice 2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사용자 단말(100) 및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은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되거나,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및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are connected to a website operated by a person or organization that provides a service using the device 200 , or a person who provides a service using the device 200 . Application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organizations may be installed.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may be linked with the device 200 through a website or an applica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을 각각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one user terminal 100 and one terminal 400 of an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are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however, the number of terminals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As long as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apparatus 200 allows, the number of termina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는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가상 공간의 화면을 출력하는 기기로,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is a device that outputs a screen of a virtual space implemented as a metaverse environment,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200 .

또한,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는 메타버스 환경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에 대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기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may be used as a device that generates a manipulation signal for a comman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in order for the user to manipulate the metaverse environment.

여기서,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온라인 속 3차원 입체 가상 세계에서 캐릭터 내지 아바타의 모습으로 구현된 개인들이 서로 소통하여, 현실의 활동을 그대로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한다. 이러한 메타버스 환경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을 아우르는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을 포함할 수 있다.Here,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meaning fictitious and abstract, and universe, meaning the real world. It refers to a platform where real-world activities can be performed as they are. The metaverse environment may include extended reality (XR) including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가상 현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그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하고, 증강 현실 또는 혼합 현실은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하는데, 본 발명에서의 메타버스 환경은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및 혼합 현실 중 어느 하나의 환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Virtual realit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uses a computer to build a virtual spa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and then makes the virtual space feel like reality. Technology, that is, refer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interaction with a user in real time by combining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can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는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머리 또는 눈 부분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VR/AR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현실감 있는 영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웨어러블 영상 출력 단말의 일종이며, 주로 헬멧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VR/AR 등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is worn by a user to output an image of a screen implemented as a metaverse environment, for example, mounted on the user's head or eyes to display a VR/AR image directly in front of the user's eyes. It may be provided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which is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head-mounted display is a type of wearable image output terminal that supports a user to experience a realistic image, and is mainly equipped with a display on the front of the helmet to output images such as VR/AR.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으며, 헤드 트렉킹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 이동에 따라 영상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출력 기기(200)는 사용자 머리의 회전 각도와 속도 등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영상이 변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사용자의 머리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메타버스 환경으로 구현된 화면의 영상에서도 왼쪽으로 움직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may track the user's gaze through the head movement of the user wearing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and through head tracking, the image is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gaze movement can do. That is, the output device 200 may digitize the rotation angle and speed of the user's head, so that the image is ch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of the user's head. For example, if the user's head rotates to the right, the image on the screen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will also move to the right, and if the user's head rotates to the left, the image on the screen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will also move to the left. can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evice 200 may be a self-server owned by a person or organization that provides services using the device 200, a cloud server, or a peer-to-peer (p2p) set of distributed nodes. may be Th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ll or part of an arithmetic function, a storage/referencing function, an input/output function, and a control function of a typical computer.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 및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고,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Th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0 , 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 and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by wire or wireless, and by obtain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the user may recognize the operation of , and control which information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장치(200)는 사용자 및 전시 참가업체에게 메타버스 환경을 통한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200 may provide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to users and exhibition participants.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을 통해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로부터 전시 참가업체 정보 및 전시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시 제품은 제품일 수도 있고, 서비스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first, in step S201 , the device 200 may obtain information on exhibitors and exhibitors from the terminal 400 of exhibitors. Here, the exhibited product may be a product or a service.

즉,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로부터 전시 참가업체의 이름, 전시 참가업체의 주요 판매 제품 등을 포함하는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전시 참가업체가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전시하고자 하는 전시 제품의 이름, 전시 제품의 기능, 전시 제품의 특징, 전시 제품의 사용법 등을 포함하는 전시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may obtain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the exhibition participant and the main products sold by the exhibition participant from 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 and the exhibition participant provides the exhibition platform service. It is possible to obtain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the exhibition product to be displayed, the function of the displayed produ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ed product, and the usage of the displayed product.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가상 부스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202 , the device 200 may create a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즉, 장치(200)는 전시 제품 정보의 양을 통해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의 크기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That is, the device 200 may generate the size of a virtual booth of an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based on the amount of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in this regard will be provided with reference to FIG. 3 .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In step S203 , the device 200 may arrange the generated virtual booth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전시 참가업체의 인지도를 생성 및 확인할 수 있고, 전시 참가업체의 인지도를 기초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의 어느 위치에 배치할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generate and check the awareness of the exhibitor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xhibitors, an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exhibitors, display the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exhibitors in any of the virtual spaces. You can decide whether to place it or not. In this regar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4 .

S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공간의 출입문에 위치하도록 가상 부스가 배치된 가상 공간을 출력할 수 있다.In step S204 , the device 200 may output a virtual space in which a virtual booth is arranged so that the user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할 때 출입문과 가까이 배치할지, 출입문과 멀리 배치할지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를 가상 공간의 출입문에 위치시켜 출입문을 시작으로 사용자가 전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whether to arrange a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 the virtual space, whether to be placed close to the door or farther from the door, and the user It can be located at the entrance door of the space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the exhibition service starting from the entrance door.

장치(200)는 사용자를 가상 공간의 출입문에 위치시켜 실제와 유사한 가상 공간을 재현할 수 있고, 공간에 대한 소속감을 주어 몰입도 및 흥미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device 200 may reproduce a virtual space similar to the real one by placing the user at the door of the virtual space, and may increase immersion and interest by giving a sense of belonging to the space.

S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을 선택하면, 전시 제품의 홍보 영상, 시연 영상, 활용 영상 및 스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시 제품 근처에 출력할 수 있다. In step S205 , when the user selects an exhibition product in the virtual booth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the device 200 displays at least one of a promotional image, a demonstration image, a utilization imag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product. You can print it nearby.

즉,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얻고 싶은 전시 제품이 있을 경우, 가상 부스 내에 있는 해당 전시 제품을 선택되었다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전시 제품의 홍보 영상, 시연 영상, 활용 영상 및 스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시 제품의 정보를 전시 제품 근처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해당 전시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re is an exhibition product for which the user wants to obtain information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the device 200 may receive an input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product in the virtual booth has been selected, and based on the received input Accordingly, information on an exhibition produc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romotional image, a demonstration image, a utilization imag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product may be output near the exhibition produc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product.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에 선택된 전시 제품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In step S206 , the device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exhibition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을 선택하면, 해당 전시 제품의 정보를 전시 제품 근처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해당 전시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해당 전시 제품의 정보를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전시 제품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an exhibition product in the virtual booth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the device 200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product near the exhibition produc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product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exhibited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the user can acquire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exhibited product.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시 정보에 따라 가상 부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the size of a virtual booth according to exhib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가상 부스에 전시하고자 하는 전시 제품의 크기 및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first, in step S301 , the device 200 may acquire the size and number of exhibited products to be displayed in the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ed product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전시 참가업체가 전시하고자 하는 제품이 몇 개 인지 획득할 수 있고, 전시하고자 하는 제품이 각각 크기가 어느 정도 인지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acquire the number of products that the exhibiting company wants to display, and the size of each of the products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S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제품의 크기 및 개수를 이용하여 가상 부스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302 , the device 200 may set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using the size and number of exhibited products.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시 제품의 크기 및 개수를 이용하여 전시 제품의 크기가 클수록, 전시 제품의 개수가 많을수록 가상 부스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 수 있고, 전시 제품의 크기가 작을수록, 전시 제품의 개수가 적을수록 가상 부스의 크기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set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to be larger as the size of the exhibited products is larger and the number of exhibited products is larger, using the size and number of exhibited products, and the smaller the size of the exhibited products, the larger the size of the exhibited products. The smaller the number, the smaller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can be set.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의 제품의 개수가 5개이고, 제2 전시 참가업체의 제품의 개수가 2개이고, 제품의 크기는 모두 동일할 경우, 장치(200)는 제1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의 크기를 제2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products of the first exhibitor is five, the number of products of the second exhibitor is two, and the sizes of the products are all the same, the device 200 is the first exhibitor's number of products.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of the second exhibitor.

또한, 제3 전시 참가업체의 제품의 크기가 (50cm X 50cm)이고, 제4 전시 참가업체의 제품의 크기가 (1m X 1m)이고, 제3 전시 참가업체 및 제4 전시 참가업체의 제품이 모두 하나일 경우, 장치(200)는 제3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의 크기를 제4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3rd exhibitor's product is (50cm X 50cm), the 4th exhibitor's product size is (1m X 1m), and the 3rd and 4th exhibitor's products are When all are one, the device 200 may set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of the third exhibitor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of the fourth exhibitor.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시 참가업체의 정보에 따라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의 위치를 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rranging a location of a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an exhibition participant according to information on an exhibition participa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게시 자료들은 기사,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을 포함하는 SNS에 게시된 자료들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first, in step S401 , the device 200 may collect posting materials related to exhibitors. Here, the posting materials include materials posted on SNS including articles, blogs, Instagram, and the like.

즉, 장치(200)는 SNS를 포함한 웹 사이트를 통해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may collect posting materials related to exhibitors through a website including SNS.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게시 자료들의 개수를 기초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402 , the device 200 may generate an awareness map corresponding to the exhibitor based on the number of posted materials.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이 700개이고, 제2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이 300개이고, 제3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이 500개이고, 제4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이 200개인 경우, 장치(200)는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7점 부여할 수 있고, 제2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3점 부여할 수 있고, 제3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5점 부여할 수 있고, 제4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2점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re are 700 posted materials related to the first exhibitor, 300 posted materials related to the second exhibitor, 500 posted materials related to the third exhibitor, and 500 articles related to the fourth exhibitor. When there are 200 posting materials, the device 200 may give 7 points of recogn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participant, 3 points of recogn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ibition participant, and participate in the third exhibition 5 points of recogni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any can be given, and 2 points of recognition can be given corresponding to the 4th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여기서, 수집된 게시 자료들이 게시된 기간의 범위는 실시 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한달 동안 게시된 게시 자료들의 개수를 기초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획득할 수도 있고,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일년 동안 게시된 게시 자료들의 개수를 기초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획득할 수도 있다.Here, the range of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ollected posting materials are poste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based on the number of posted materials posted during the month from June 1 to June 30, it is possible to acquire awareness corresponding to exhibitors, and from January 1, 2022 to December 2022 Based on the number of posted materials posted for a year by the 31st, it is possible to acquire recognition corresponding to the exhibitors.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제1 기준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값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403 ,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mbodiments.

S403 단계에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제1 기준 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1 구역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역은 출입문과 가장 멀리 있는 구역으로 실시예에 따라 구역의 범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3 that the recogni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or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step S404 , the device 200 may arrange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n the first area. Here, the first zone is the zone furthest from the door, and the range of the zon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7점이고, 제1 기준 값이 6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출입문과 가장 멀리 있는 구역인 제1 구역으로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evel of awarenes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or is 7 and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set to 6, the device 200 sets the virtual booth of the first exhibitor to the area farthest from the door. It can be placed in the first zone.

S403 단계에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제1 기준 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제2 기준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값은 제1 기준 값 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3 that the awareness leve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step S405 ,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awareness leve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S405 단계에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제2 기준 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S4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2 구역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역은 제1 구역보다 출입문과 가까이 있고, 제3 구역보다 출입문과 멀리 있는 구역으로 실시예에 따라 구역의 범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5 that the recogni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or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step S406 , the device 200 may arrange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n the second area. Here, the second zone is a zone closer to the door than the first zone, and a zone farther from the door than the third zone, and the range of the zon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mbodiments.

예를 들어, 제3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5점이고, 제1 기준 값이 6, 제2 기준 값이 4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3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1 구역보다 출입문과 가까이 있고, 제3 구역보다 출입문과 멀리 있는 구역인 제2 구역으로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evel of awareness corresponding to the third exhibitor is 5,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set to 6,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set to 4, the device 200 displays the virtual booth of the third exhibitor. It can be arranged as the second zone, which is a zone closer to the door than the first zone and farther from the door than the third zone.

S405 단계에서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제2 기준 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3 구역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역은 출입문과 가장 가까이 있는 구역으로 실시예에 따라 구역의 범위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5 that the recogni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exhibitor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step S407, the device 200 may arrange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n the third area. Here, the third zone is the zone closest to the door, and the range of the zon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예를 들어, 제2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3점, 제4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가 2점이고, 제1 기준 값이 6, 제2 기준 값이 4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2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 및 제4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를 출입문과 가장 가까이 있는 구역인 제3 구역으로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wareness lev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ibition participant is 3 points, the awareness level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xhibition participant is 2 points,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6,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4, the device Reference numeral 200 may arrange the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ibition participant and the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xhibition participant as the third zone, which is the area closest to the door.

즉, 장치(200)는 인지도가 낮은 전시 참가업체를 출입문과 가까이 배치하여 전시를 관람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인지도가 낮은 전시 참가업체도 골고루 참여 및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has the effect of arranging exhibitors with low awareness close to the entrance door so that even exhibitors with low awareness can participate and view the exhibits evenly from users viewing the exhibition.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관심에 따라 배치도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dating a layout diagram according to a user's intere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의 이름을 이용하여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무작위로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first, in step S501 , the device 200 may randomly arrange virtual booths in a virtual space using the names of exhibitors.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데, 전시 참가업체의 이름을 이용하여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무작위로 배치하여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place the generated virtual booth in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xhibitors. This may be done by randomly placing the virtual booths in the virtual space using the names of the exhibitors. have.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부스 별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502 ,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ed products for each virtual booth.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전시가 진행되는 동안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에 기반하여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가상 부스 별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arrange the generated virtual booth in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and update the placement of the virtual booth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ed products during the exhibition. In this case,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xhibited products for each virtual booth in order to update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booth.

예를 들어, A 전시 참가업체, B 전시 참가업체, C 전시 참가업체, D 전시 참가업체, E 전시 참가업체가 전시에 참가하는 경우, 장치(200)는 A 전시 참가업체의 A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500회로 확인할 수 있고, B 전시 참가업체의 B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300회로 확인할 수 있고, C 전시 참가업체의 C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700회로 확인할 수 있고, D 전시 참가업체의 D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600회로 확인할 수 있고, E 전시 참가업체의 E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250회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Exhibitor A, Exhibitor B, Exhibitor C, Exhibitor D, Exhibitor E participate in an exhibition, the device 200 selects Exhibitor A's Exhibit A product. The number of times can be checked 500 times, the number of times that exhibitor B’s product selections can be checked 300 times, the number of times that exhibitor B’s products selected for exhibition C can be checked 700 times,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ed products can be checked 600 times, and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ed products from E exhibitors can be checked 250 times.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선택 횟수가 많은 전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가상 부스를 출입문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In step S503 , the device 200 may arrange a virtual booth displaying exhibition products with a large number of selections adjacent to the entrance door.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가상 부스 별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확인할 수 있고, 선택 횟수가 가장 많은 전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가상 부스를 출입문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하고, 그 다음으로 선택 횟수가 많은 전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가상 부스를 순서대로 차례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ion products for each virtual booth in order to update the placement of the virtual booth, and arrange the virtual booth displaying the exhibition produc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elections closest to the door. , and then virtual booths displaying exhibited produc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elections can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예를 들어, A 전시 참가업체의 A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500회, B 전시 참가업체의 B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300회, C 전시 참가업체의 C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700회, D 전시 참가업체의 D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600회, E 전시 참가업체의 E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250회로 확인되었으면, 선택 횟수가 많은 C 전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C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출입문에 인접하게 재배치할 수 있고, 선택 횟수가 적은 E 전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E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출입문에 멀게 재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Exhibitor A selects products A 500 times, Exhibit B selects products B 300 times, Exhibit C selects products C 700 times, D If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or D's products is 600 times, and the number of selections of products in E of exhibitors E is confirmed as 250 times, the virtual booth of exhibitor C exhibiting products with a high number of selections is displayed. It can be relocated adjacent to the door, and a virtual booth of an E exhibitor exhibiting E exhibit products with a small selection frequency can be relocated away from the door.

즉, 장치(200)는 가상 부스 별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관심에 따라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어 전시 참가업체로부터 전시 제품의 양과 질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can check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of exhibition products for each virtual booth and update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booths according to the user's interest, thereby inducing exhibitors to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xhibition products. there is

또한, 장치(200)는 일정 시간 동안 가상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고, 선택된 횟수가 미리 설정한 설정 값보다 큰 전시 제품들을 별도로 생성된 가상 부스에 전시할 수 있다. 이때, 별도로 생성된 가상 부스는 출입문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all exhibition products included in the virtual sp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display products for which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a preset setting value in a separately created virtual booth. can In this case, the separately generated virtual booth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ntrance door.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시 참가업체 관리자와 사용자가 원활하게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답변 받을 수 있는 기한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uiding a user of a deadline for receiving an answer so that an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manager and a user can communicate smooth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의 관리자 아바타를 생성하여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에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first, in step S601 , the device 200 may generate a manager avatar of an exhibition participant and place it in a virtual booth of an exhibition participant.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 내에 전시 참가업체의 관리자 아바타를 배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궁금한 질문이 있을 경우,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통하여 관리자 아바타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질문을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place the manager avatar of the exhibitor in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and when the user has a question, the manager avatar is selected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You may receive a question from a user.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통하여 관리자 아바타로 질문이 송신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602 ,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time when the ques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avatar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즉,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를 통하여 관리자 아바타로 질문을 수신하고, 질문이 송/수신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may receive a question from the user as the manager avatar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and check the time at which the question was sent/received.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질문 송신 시간이 정상 운영 시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603,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is included in the normal operating time.

여기서, 정상 운영 시간은 미리 설정한 설정 기간 동안 송신된 질문들을 이용하여 질문이 몰리는 시간을 확인하고, 질문이 몰리는 시간을 질문 과부하 시간으로 설정하고, 질문 과부하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으로 설정된다.Here, the normal operating time is set as the remaining time excluding the question overload time, confirming the time for questioning using the questions transmitted during the preset period, setting the time for questioning as the question overload time.

S603 단계에서 질문 송신 시간이 정상 운영 시간 내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1 시간 내에 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3 that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is included within the normal operating hours, in step S604 , the device 200 provides an answer to the question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within the first time. You can send a message that you can receive it. Here, the first time is a preset time and may v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질문 송신 시간이 오후 15:00이고, 질문 과부하 시간이 오전 10:00부터 오후 13:00이고, 정상 운영 시간이 오후 13:00부터 오전 10:00이고, 제1 시간이 20분일 경우, 장치(200)는 질문 송신 시간인 오후 15:00가 정상 운영 시간 내에 포함된다고 판단하고,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20분 내에 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question sending time is 15:00 PM, the question overload time is from 10:00 AM to 13:00 PM, the normal operating hours are from 13:00 PM to 10:00 AM, and the first time is 20 minutes. In this cas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of 15:00 pm is included within the normal operating hours, and rece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within 20 minutes. You can send a message that you can.

S603 단계에서 질문 송신 시간이 정상 운영 시간 내에 포함되지 않고 질문 과부하 시간 내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2 시간 내에 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길게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3 that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is not included in the normal operating time but is included in the question overload time, in step S605 , the device 200 responds to the question wit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answer can be received within the second time. Here, the second time is a preset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and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예를 들어, 질문 송신 시간이 오전 11:30이고, 질문 과부하 시간이 오전 10:00부터 오후 13:00이고, 정상 운영 시간이 오후 13:00부터 오전 10:00이고, 제2 시간이 1시간일 경우, 장치(200)는 질문 송신 시간인 오전 11:00가 질문 과부하 시간 내에 포함된다고 판단하고,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1시간 내에 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question sending time is 11:30 am, the question overload time is from 10:00 am to 13:00 pm, the normal operating hours are from 13:00 pm to 10:00 am, the second time is 1 hour In this cas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of 11:00 am is included within the question overload time, and provides an answer to the question wit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and/or the user terminal 100 within one hour. You can send a message that you can receive it.

장치(200)는 질문 송신 시간이 질문 과부하 시간내에 수신된 것인지, 정상 운영 시간 내에 수신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기한을 메시지를 통해 미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 및 전시 참가업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한다.The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question transmission time is received within the question overload time or is received within the normal operating hours, and informs the user of the deadline for receiving an answer to the question in advance through a message, so that the user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ors.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시 참가업체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a user's activity and providing it to an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first, in step S701 ,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상 부스에 방문한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부스에 방문한 방문자 수를 확인하기 위해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기간은 실시 예에 따라 전시 시작 시점부터 전시 종료 시점까지 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Here, a period may be set to check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and the period may be from an exhibition start time to an exhibition end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를 5,000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may identify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participant as 5,000.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702,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times the exhibition product in the virtual booth is selected.

즉, 장치(200)는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확인하기 위해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기간은 가상 부스에 방문한 방문자 수를 확인하기 위해 설정된 기간과 동일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xhibited products in the virtual booth. Here, a period may be set to check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xhibited products in the virtual booth, and the period may be the same as the period set for check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이 제1 전시 제품, 제2 전시 제품, 제3 전시 제품, 제4 전시 제품, 제5 전시 제품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3,000회, 제2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4,500회, 제3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1,000회, 제4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800회, 제5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2,000회로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hibited products in the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or include the first exhibited product, the second exhibited product, the third exhibited product, the fourth exhibited product, and the fifth exhibited product, the device 200 ) is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product 3,000 times,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is 4,500 times,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exhibition product is 1,000 times, and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xhibition product is 800 times and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5th exhibition product can be checked 2,000 times.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선택된 횟수가 가장 많은 전시 제품을 핵심 제품으로 선정하고,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추출할 수 있다.In step S703 , the device 200 may select an exhibition product having the greatest number of times as a core product, and extract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제1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3,000회, 제2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4,500회, 제3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1,000회, 제4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800회, 제5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2,000회인 경우, 장치(200)는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핵심 제품으로 제2 전시 제품을 선정하고, 제2 전시 제품이 선택된 횟수인 4,500회를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exhibitor is 3,000 times,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is 4,500 times, and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exhibition product is 1,000 times. , when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xhibition product is 800 times and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fifth exhibition product is 2,000 times, the device 200 selects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as a cor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exhibitor and 4,500 times,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is selected, may be extracted.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 대비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산출하여, 핵심 제품의 관심도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704 , the device 200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relative to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thereby generating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core product.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가 5,000명이고,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인 4,500회일 경우, 장치(200)는 핵심 제품의 관심도로 5,000명 대비 4,500회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or is 5,000, and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or is selected is 4,500, the device 200 displays 5,000 as the interest of the core product. It can be created 4,500 times compared to light.

여기서, 장치(200)는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 대비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산출하여, 핵심 제품의 관심도를 생성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의 경우 핵심 제품의 관심도가 5,000명 대비 4,500회이고, 제2 전시 참가업체의 경우 10,000명 대비 4,500회의 경우, 제1 전시 참가업체 및 제2 전시 참가업체 둘 다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는 4,500회로 동일하지만, 핵심 제품의 관심도는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device 200 calc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relative to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thereby generating interest in the core product, thereby providing more accurate data.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xhibitor, the interest in the core product is 4,500 times compared to 5,000 people, and the second exhibitor is 4,500 times compared to 10,000 people,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exhibitors. Although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is the same 4,500 times, more accurate data can be provided because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core product is different.

S7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선택된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 값보다 큰 전시 제품을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목표 값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step S705 , the device 200 may create a group of exhibited products in which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a preset target value. Here, the preset target value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제1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3,000회, 제2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4,500회, 제3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1,000회, 제4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800회, 제5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선택된 횟수를 2,000회이고, 미리 설정한 목표 값이 2,500회인 경우, 장치(200)는 제1 전시 제품과 제2 전시 제품을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exhibitor is 3,000 times,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is 4,500 times, and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exhibition product is 1,000 times. , when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xhibition product is 800 times,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fifth exhibition product is 2,000 times, and the preset target value is 2,500 times, the device 200 displays the first displayed product and the second displayed product. Display products can be created as a group.

S706 단계에서, 장치(200)는 그룹에 포함된 전시 제품의 공통 특성을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706 , the device 200 may generate a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exhibited products included in the group.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선택된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 값보다 큰 전시 제품을 그룹으로 생성하고, 그룹에 포함된 전시 제품에 대응하는 특성을 추출하여 공통 특성을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generates a group of exhibition products in which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a preset target value, extracts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exhibition products included in the group, and analyzes common characteristics to generate a marketing strategy. have.

예를 들어, 제1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제1 전시 제품과 제2 전시 제품이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되었을 경우, 장치(200)는 제1 전시 제품의 특성인 친환경 제품, 데일리 제품, 가격 2만원대를 추출하고, 제2 전시 제품의 특성인 친환경 제품, 주 타겟층 30대, 데일리 제품을 추출하여, 제1 전시 제품과 제2 전시 제품의 공통 특성인 친환경 제품, 데일리 제품을 추출 및 분석하여, 제1 전시 참가업체의 마케팅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exhibition product and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hibition participant are created as one group, the device 200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exhibition product, namely an eco-friendly product, a daily product, and a price 2 By extracting the 10,000 won range, eco-friendly products, the main target audience 30, and daily product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the eco-friendly products and daily products that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exhibition product and the second exhibition product are extracted and analyzed,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first exhibition participant may be created.

S707 단계에서, 장치(200)는 핵심 제품, 핵심 제품의 관심도, 마케팅 전략을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707 , the device 200 may generate a report including the core product,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core product, and the marketing strategy.

S7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로 생성된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708 , the device 2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report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

즉, 장치(200)는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가상 부스에서의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전시 참가업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may collect data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in the virtual booth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and may provide the collected data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purpose.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부스 내의 사용자의 수에 따라 가상 부스의 색상이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olor of a virtual boot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in the virtual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상 부스의 방문한 사용자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first, in step S801 ,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users who have visited the virtual booth.

즉, 장치(200)는 현재 가상 부스 내의 사용자의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number of users in the current virtual booth.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사용자의 수에 기반하여 가상 부스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In step S802 , the device 2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virtual booth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예를 들어, 장치(200)는 가상 부스 내의 사용자의 수가 미리 설정한 제1 임계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가상 공간 내 표시되는 가상 부스의 색상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고, 가상 부스 내의 사용자의 수가 미리 설정한 제1 임계 값보다는 작지만 미리 설정한 제2 임계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가상 공간 내 표시되는 가상 부스의 색상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users in the virtual booth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threshold, the device 20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virtual booth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to the first col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i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set in advance but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set in advance, the color of the virtual booth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may be changed to the second color.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100), 가상 환경 제공 기기(300) 및, 전시 참가업체 단말(400)과 연결되어, 장치(200)가 메타버스 환경을 통한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장치(200)는 복수의 서버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300 , and 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400 , so that the device 200 provides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the metaverse environment. In order to provide , th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rvers.

즉, 메타버스 환경 체계를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가 운영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서버에 대한 보안 설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랜섬웨어, 해킹, DDOS 등의 공격으로 좀비 서버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In other words, when multiple servers are operating to manage the metaverse environment system, security settings for multiple servers are very important. I need this.

이를 위해, 방화벽이 활용되고 있으며, 방화벽은 네트워크 방화벽, 호스트 방화벽으로 구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firewall is utilized, and the firewall may be divided into a network firewall and a host firewall.

네트워크 방화벽은 메인 스위치 상단에 메인 방화벽을 구성하여,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방식 또는 브릿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방화벽 장비를 기준으로 내부망과 외부망이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The network firewall may be configured as a network gateway method or a bridge method by configuring the main firewall on top of the main switch. That is, an internal network and an external network may be divided and managed based on the firewall equipment.

네트워크 방화벽을 사용하는데 있어, 네트워크 방화벽을 기준으로 내부망에는 복수의 서버들이 내부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서버 간의 통신은 방화벽을 거치지 않으므로, 별도로 차단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내부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서버 간의 통신에 대한 방화벽을 위해서는 호스트 방화벽의 구성이 필요하다.In using a network firewall, a plurality of servers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network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based on the network firewall,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erver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does not go through the firewall, so it is not blocked separately. to be. Accordingly, a configuration of a host firewall is required for a firewall for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servers 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network.

호스트 방화벽은 각 운영체제에서 로컬 PC 또는 서버로 접속하여 개별 설정을 진행해야만 하며, 호스트 방화벽의 구성은 각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방화벽 기능을 통해 설정되기 때문에, 통합 관리가 불가능하여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host firewall has to be individually set up by connecting to a local PC or server from each operating system, an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host firewall is set through the firewall function provided by each operating system, integrated management is not possible, making it difficult to manage.

호스트 방화벽을 사용하는데 있어, 운영하는 복수의 서버가 수백대인 경우, 일일이 수백대의 방화벽 정책을 관리하기는 불가능하며, 방화벽 정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화벽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여야만 방화벽의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눅스 또는 유닉스의 경우, 서버 방화벽을 구성하기 위한 명령어의 구조가 복잡하여, 전문 지식을 습득한 고급 엔지니어만 방화벽의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개별로 정책 관리가 불가능하여 운영체제의 방화벽을 제거 또는 서비스를 정지하여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When using a host firewall, if there are hundreds of servers being operated, it is impossible to manage hundreds of firewall policies individually, and in order to apply the firewall policy, the firewall configuration is possible only after acquiring the technology for the firewall. For example, in the case of Linux or Unix, the structure of the command for configuring the server firewall is complicated, so that only an advanced engineer who has acquired specialized knowledge can configure the firewall. Accordingly, it is impossible to manage policies individually for each server, so the firewall of the operating system is removed or the service is stopped and operated.

이하에서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호스트 방화벽의 정책 설정을 제어함으로써, 호스트 방화벽을 능동적이고 편리하게 설정하여, 통합 호스트 방화벽 매니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details of providing an integrated host firewall manager service by actively and conveniently configuring the host firewall by controlling the policy settings of the host firewal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호스트 방화벽의 정책 설정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policy settings of a host firewal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장치(200)는 메타버스 환경을 통한 전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버는 제1 서버, 제2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버 각각은 내부망을 통해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로, 내부망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First, the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rvers to provide an exhibition platform service through a metaverse environment, and the plurality of servers may include a first server, a second server, and the like. Each of the plurality of servers is a host connected to the device 200 through an internal network, and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the device 200 through a network connected to the internal network.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S9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는 제1 서버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운영체제의 종류, 버전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first, in step S901 , the device 200 may receiv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nd network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from the first server. Here, th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and version of the operating system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first server, and th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is the network setting state of the first server.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S9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기초로,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분석하여,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는 제1 서버가 어느 운영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제1 서버가 어느 네트워크 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902 , the device 200 may analyze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based on th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nd th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200 may analyze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and generate an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Here, the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may include a result of analyzing in which operating system the first server is operated and through which network port the first server is connected.

S9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미리 학습된 제1 인공 신경망에 적용할 수 있다.In step S903 , the device 200 may apply the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to the pre-learned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입력 받은 후,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an algorithm that analyzes and outputs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server after receiving an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server.

S9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기초로,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선정할 수 있다.In step S904 , the device 200 may select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based on the output of the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1 인공 신경망에 적용하여,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확인한 결과, 출력값이 “”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제1 정책으로 선정하고, 출력값이 “1”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제2 정책으로 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200 appli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to the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checks the output of the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When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server is selected as the first policy and the output value is confirmed as “1”,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may be selected as the second policy.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인공 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분석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trained to analyze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server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server. Through this, the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analyze and output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server in consideration of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server.

S905 단계에서, 장치(200)는 S904 단계에서 선정된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제1 정책이 선정되면, 장치(200)는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905,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policy selected in step S904 is includ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For example, when the first policy is selected as the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first policy is includ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이를 위해,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서버 각각에 설정되어 있는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가 서버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는 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방화벽 정책에 따라 수가 상이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서버에 복수의 방화벽 정책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방화벽 정책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o this end, information on the firewall policy s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rvers may be stored separately for each server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 The number of information about the firewall policy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rewall policy set in the server, and when a plurality of firewall policies are set in one server, a prio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irewall policies may be set .

S905 단계에서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9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변경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905 that the first policy is includ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n step S906,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a change to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s not required.

즉,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선정된 제1 정책이 제1 서버에 이미 설정되어 있으므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policy selected as the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is already set in the first server,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maintenance of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s necessary.

S906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S9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After step S906, when a certain period elapse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901, the device 200 receives th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nd th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gain from the first server, and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can be selected again.

한편, S905 단계에서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9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905 that the first policy is not includ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n step S907,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a change to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s necessary.

즉,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선정된 제1 정책이 제1 서버에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policy selected as the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is not set in the first server,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needs to be changed.

S9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선정된 정책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으로 제1 정책이 선정되면,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2 정책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이 추가로 등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복수의 정책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정책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908 , the device 200 may register by adding the selected policy to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For example, if the first policy is selected as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the device 200 may register the first policy by adding the first policy to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policy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the first policy may be additionally register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Through this, when a plurality of policies are register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the device 200 may set a prio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licies.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등록하는 과정은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정보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갱신하는 것으로,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은 S909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process of adding and registering the first policy to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s to add and update the first policy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and to the firewall policy. The setting may be performed through step S909.

S9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이 추가로 등록되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 변경 명령을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1 정책이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 변경 명령은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제1 정책을 추가하여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고, 제1 서버는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에 대한 설정 변경 명령을 통해, 제1 정책을 제1 서버의 방화벽 정책으로 추가하여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909 , when the first policy is additionally registered in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the device 200 transmits a setting change command for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to the first server, so that the first policy is the first It can be controlled to be set by the server's firewall policy. Here, the setting change command for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is a command for setting by adding the first policy to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and the first serve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ttings for the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through the setting change command. , can be set by adding the first policy as a firewall policy of the first server.

S909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S9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운영체제 정보 및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제1 서버에게 적합한 방화벽 정책을 다시 선정할 수 있다.After step S909, when a certain period elapse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901, and the device 200 receives the operat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nd the network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rver again from the first server, and a firewall policy suitable for the first server can be selected again.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을 감지하여, 공격 횟수에 따라 대응 방안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and providing a countermeas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ttack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는 제1 서버에서 어느 포트로 접속이 이루어져 트래픽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 제1 서버에 접속한 IP 주소 별로 시간당 얼마만큼의 트래픽을 발생시켰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first, in step S1001 , the device 200 may receive monitoring information on network traffic of the first server from the first server. Here, the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network traffic of the first server includes monitoring information on which port was connected to and generated traffic from the first server, and how much traffic was generated per hour for each IP address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It may include monitoring information and the like.

S10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장치(200) 내에서 미리 학습된 제2 인공신경망에 적용할 수 있다.In step S1002 , the device 200 may apply the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network traffic of the first server to 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previously learned in the device 200 .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공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여기서, 공격은 서버에 대한 공격으로, 랜섬웨어, 해킹, DDOS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an algorithm that receives monitoring information on network traffic of a server and outputs a detection result of whether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is detected to the server. Here, the attack is an attack on the server, and may include ransomware, hacking, DDOS, and the like.

S10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인공신경망의 출력을 기초로,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In step S1003 , the device 200 may detect whether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to the first server is detected based on the output of 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2 인공신경망에 적용하여, 제2 인공 신경망의 출력을 확인한 결과, 출력값이 “”으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하고, 출력값이 “1”로 확인되면,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appli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network traffic of the first server to 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output of 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when the output value is “”, 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erv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pproach presumed to be an attack is not detected and the output value is "1", it may be detected that the approach presumed to be an attack is detected by the first server.

제2 인공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 분석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인공신경망은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변동 상태를 고려하여,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감지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trained to analyze whether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is detected to the server through monitoring information on network traffic of the server. Through this, the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analyze and output whether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is detected to the serv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state of the server's network traffic.

S10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기준 기간 동안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몇 번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여, 제1 서버가 제2 기준 기간 동안 공격받은 횟수인 제1 공격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기준 기간 동안 S1001 단계부터 S1003 단계까지의 과정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200)는 제2 기준 기간 동안 제1 서버에 공격으로 추정되는 접근이 몇 번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여, 제1 공격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1004, the device 200 checks how many times an attack presumed to be an attack on the first server is detected during the second reference period,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first attacks,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server has been attacked during the second reference period. can do. Here, the second reference period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the processes from steps S1001 to S1003 may be repeatedly performed during the second reference period. Through this,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first number of attacks by checking how many times an approach estimated as an attack is detected by the first server during the second reference period.

S10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공격 횟수가 제1 기준 횟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횟수는 제2 기준 기간의 길이에 비례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1005 ,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number. Here, the first reference number may be set differently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second reference period.

S1005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1 기준 횟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05 that the number of first attacks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number, in step S1007 ,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as a normal state.

S1007 단계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S1001 단계로 되돌아가, 장치(200)는 제1 서버로부터 제1 서버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제1 공격 횟수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step S1007,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01, and the device 200 may again receive monitoring information for network traffic of the first server from the first server, and recalculate the first number of attacks.

S1005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1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공격 횟수가 제2 기준 횟수 보다 적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횟수는 제1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05 that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number, in step S1006 ,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number of attacks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number. Here, the second reference number may be set to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number.

S1006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2 기준 횟수 보다 적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상태를 경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06 that the number of first attacks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number, in step S1008 ,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as a warning state.

S1006 단계에서 제1 공격 횟수가 제2 기준 횟수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면, S10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상태를 위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06 that the number of first attacks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number, in step S1009,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as a dangerous state.

S10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상태가 경고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서버의 공격을 경고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리자 단말은 제1 서버의 관리자로 등록되어 있는 제1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하며,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리자 단말의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이를 통해, 장치(200)는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1010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is a warning state, the device 20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warning of an attack of the first server to the first manager terminal. Here, the first manager terminal means a terminal used by the first manager registered as a manager of the first server, and contact information of the manager terminal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and through this, the device 200 )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S101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서버의 상태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면, 제1 정책을 통해 연결이 허용되어 있는 제1 포트의 연결 차단 명령을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1 서버에서 제1 포트를 통한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1011, if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is in a critical state, it transmits a connection blocking command of the first port to which the connection is allowed through the first policy to the first server, and in the first server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port may be controlled to be blocked.

즉, 제1 서버에는 제1 정책이 방화벽 정책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정책은 제1 포트를 통해 연결을 허용하는 설정을 포함하고 있어, 제1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제1 포트를 통한 연결을 허용하고 있는 상태로, 제1 포트를 통해 트래픽이 발생되고 있는데, 제1 포트를 통한 공격받은 횟수가 너무 많은 경우, 장치(200)는 제1 포트의 연결 차단 명령을 제1 서버로 전송하여, 제1 서버에서 제1 포트를 통한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는 제1 포트의 연결 차단 명령을 통해 제1 포트의 연결을 차단시켜, 제1 포트를 통해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server, the first policy is set as a firewall policy, and the first policy includes a setting to allow a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port, so that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server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port. In a state in which traffic is being generated through the first port, when the number of attacks through the first port is too large, the device 200 transmits a connection blocking command of the first port to the first server.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server to block the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port. In this case, the first server may block the connection of the first port through the connection blocking command of the first port, so that traffic does not occur through the first port.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rocessor 210 and a memory 220 .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evice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or perform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A person or organization using the apparatus 200 may provide a service related to some or all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22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or a program in which methods to be described below are implemented. The memory 220 may b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and control the device 200 . The code of the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21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0 . The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 personal computer or a network) through an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and may exchange data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apparatu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3)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시 참가업체 단말로부터 전시 참가업체 정보 및 전시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가상 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가상 환경 제공 기기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 공간의 출입문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상 부스가 배치된 상기 가상 공간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상 환경 제공 기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을 선택하면, 상기 전시 제품의 홍보 영상, 시연 영상, 활용 영상 및 스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시 제품 근처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상 환경 제공 기기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선택된 전시 제품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전시 참가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가상 부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 제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부스에 전시하고자 하는 전시 제품의 크기 및 개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시 제품의 크기 및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부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시 참가업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생성된 가상 부스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 참가업체와 관련된 게시 자료들-여기서 게시 자료들을 기사,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을 포함하는 SNS에 게시된 자료들을 포함함-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게시 자료들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전시 참가업체에 대응하는 인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미리 설정한 제1 기준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1 구역-상기 제1 구역은 출입문과 가장 멀리 있는 구역-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1 기준 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지도가 미리 설정한 제2 기준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2 구역-상기 제2 구역은 제1 구역보다 출입문과 가까이 있고, 제3 구역보다 출입문과 멀리 있는 구역-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인지도가 상기 제2 기준 값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시 참가업체의 가상 부스를 제3구역-상기 제3 구역은 출입문과 가장 가까이 있는 구역-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부스의 배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부스 별 전시 제품의 선택 횟수를 확인하여, 선택 횟수가 많은 전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가상 부스를 상기 출입문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이고,
상기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전시 참가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상 부스 내에 있는 전시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선택된 횟수가 가장 많은 전시 제품을 핵심 제품으로 선정하고, 상기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상 부스의 방문자 수 대비 상기 핵심 제품이 선택된 횟수를 산출하여, 상기 핵심 제품의 관심도를 생성하는 단계;
선택된 횟수가 미리 설정한 목표 값보다 큰 전시 제품을 그룹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전시 제품의 공통 특성을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핵심 제품, 상기 핵심 제품의 관심도 및 상기 마케팅 전략을 포함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 참가업체 단말로 생성된 보고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metaverse environment-based exhibition platform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information on exhibitors and products on display from the terminal of the exhibitors;
generating a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arranging the created virtual booth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outputting the virtual space in which the virtual booth is arranged so that the user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rtual space through a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an exhibition product in the virtual booth through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promotional image, a demonstration image, a utilization imag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ion product near the exhibition product;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exhibition product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virtual environment providing device;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and providing it to the terminal of the exhibitor,
Based on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the step of creating a virtual booth is
acquiring the size and number of exhibited products to be displayed in the virtual booth based on the exhibited product information;
Setting the size of the virtual booth by using the size and number of the exhibited products,
Placing the created virtual booth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participant information
collecting posted materials related to the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ies, where the posted materials include materials posted on SNS including articles, blogs, Instagram, and the like;
generating a recognition map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based on the number of the posted materials;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tion level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rranging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n a first area, the first area being the farthest from the do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tion level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s placed in a second zone - the zone where the second zone is closer to the door than the first zone and further away from the door than the third zone. placing;
arranging the virtual booth of the exhibitor in a third zone, wherein the third zone is the zone closest to the do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tion is small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updating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booth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the exhibited products;
The step of updating the arrangement of the virtual booth is
Check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xhibition products for each virtual booth, and arranging a virtual booth displaying exhibition products with a large number of selections adjacent to the door;
The step of collecting data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and providing it to the terminal of the exhibition participating company
check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checking the number of times exhibited products in the virtual booth are selected;
selecting an exhibition product having the highest number of times selected as a core product, and extrac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generating a degree of interest in the core product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ore product is selected relative to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virtual booth;
generating, as a group, exhibition products in which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is greater than a preset target value;
generating a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exhibited products included in the group;
generating a report including the core product,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core product, and the marketing strategy;
Includ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port to the exhibition participant terminal,
Method of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77443A 2022-06-24 2022-06-24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KR1024492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43A KR102449202B1 (en) 2022-06-24 2022-06-24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43A KR102449202B1 (en) 2022-06-24 2022-06-24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202B1 true KR102449202B1 (en) 2022-09-29

Family

ID=8346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443A KR102449202B1 (en) 2022-06-24 2022-06-24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20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211B1 (en) 2022-11-09 2023-06-07 주식회사 인터포 Metaverse Service System For Design of Smart light
KR102604759B1 (en) * 2022-08-01 2023-11-20 이승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based on metaver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11B1 (en) 2015-11-02 2017-10-16 백명섭 Method for 3d virtual gallery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1792842B1 (en) 2016-05-19 2017-1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online exhibition
KR102050799B1 (en) 2019-02-07 2019-12-03 류경희 Venue platform construc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pace
KR102219367B1 (en)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KR102389256B1 (en) * 2021-06-17 2022-04-21 (주)제주넷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exhibition service through a virtual boo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11B1 (en) 2015-11-02 2017-10-16 백명섭 Method for 3d virtual gallery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1792842B1 (en) 2016-05-19 2017-1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online exhibition
KR102050799B1 (en) 2019-02-07 2019-12-03 류경희 Venue platform construc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pace
KR102219367B1 (en)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KR102389256B1 (en) * 2021-06-17 2022-04-21 (주)제주넷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exhibition service through a virtual boo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759B1 (en) * 2022-08-01 2023-11-20 이승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based on metaverse
KR102540211B1 (en) 2022-11-09 2023-06-07 주식회사 인터포 Metaverse Service System For Design of Smart l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202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exhibition platform service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
US10593118B2 (en) Learning opportunity based display generation and presentation
US20140214460A1 (en) Zone Oriented Applications, Systems and Methods
KR102633230B1 (en) Anonymization Overlay Network for De-Identification of Proximity-to-Event Data
KR102475819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model house experience service using metaverse environment
US11350163B2 (en) Digital display viewer based on location
Nedev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Cloud computing and the challenges faced by the business
CN107967618A (en) Online fraud detection system in digital content exchange
US11783381B2 (en) Visual inventory rules building system
US11061982B2 (en) Social media tag suggestion based on product recognition
Park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ainer-based virtual client architecture for interactive digital signage systems
US11381710B2 (en) Contextual masking of objects in social photographs
KR20160075172A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official account
Kostakos et al. Human sensors
US11138367B2 (en) Dynamic interaction behavior commentary
US20240154801A1 (en) System for Certificating and Synchronizing Virtual World and Physical World
US20200160381A1 (en) Cognitive generation of dynamic promotions on unpurchased items and inventory associated with an upcoming event
US10776827B2 (e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location-based advertisement
US9009239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ccess to a plurality of services through a unified application
Mikusz et al. A longitudinal study of pervasive display personalisation
US10963914B2 (e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advertisement remarketing
KR1021139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 information using application list
US10803728B1 (en) Dynamically networked integrated swarm sensor tracking
US11489830B2 (en) Source authentication of website content
WO2015133693A1 (en) Advertis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s for perform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