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057B1 - Improved mixer - Google Patents

Improved mix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057B1
KR102449057B1 KR1020200188876A KR20200188876A KR102449057B1 KR 102449057 B1 KR102449057 B1 KR 102449057B1 KR 1020200188876 A KR1020200188876 A KR 1020200188876A KR 20200188876 A KR20200188876 A KR 20200188876A KR 102449057 B1 KR102449057 B1 KR 10244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main body
container
switch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6448A (en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200188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057B1/en
Priority to PCT/KR2021/017727 priority patent/WO2022145741A1/en
Publication of KR2022009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형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를 분리한 후 믹서기 본체의 용기 장착홈에 마개를 장착하면 공기중 먼지가 가라앉아 쌓이거나 조리중 음식물 등이 용기 장착홈으로 튀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믹서기 본체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믹서기 본체만 보관시 미관 역시 개선되며, 하나의 마개로 믹서기 본체의 용기 장착홈을 마감하거나 지지링의 주입구를 막는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믹서기 본체에 본체 손잡이를 구비하여 믹서기 본체의 외경이 크더라도 여성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작은 경우에도 믹서기 본체를 쉽게 들어 이동할 수 있고,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변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본체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믹서기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경우 전원을 차단하여 높은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량형 믹서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mixer, and when a stopper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of the mixer main body after the container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in the air from sinking and accumulating or food, etc. from sticking 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during cooking. The mixer body can be managed hygienically, and the aesthetics of the mixer body is improved when only the mixer body is stored. By having a main body handle, even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mixer body is large, even if the user's hand is small, such as a woman, the mixer body can be easily lifted and moved. The drive motor can be operated when the handle is held, so it can be used safely. In case the mixer falls or tilts, the power is cut off to provide an improved blender that can be used with high stability.

Figure 112020143893194-pat00001
Figure 112020143893194-pat00001

Description

개량형 믹서기 { Improved mixer }Improved mixer { Improved mixer }

본 발명은 개량형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기를 분리한 믹서기 본체의 상부를 마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믹서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한손으로도 믹서기 본체를 쉽게 들수 있고 사용자가 본체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분쇄를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어 믹서기 사용에 흥미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믹서기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인 경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높은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량형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mixer, and more specifically, by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mixer main body in which the container is separat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motor provided in the mixer main body and to use one hand. The blender body can be easily lifted, and the user can stably operate the main body,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that generates power for grinding food can be variably adjusted, which not only stimulates interest in using the blender, but also causes the blender to fall or tilt. It relates to an improved mixer that can be used with high stability b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in the true state.

최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실내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다양한 가전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various home appliance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doors are being released.

이러한 가전제품 중 믹서기(또는 블렌더)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커터를 회전시켜 용기 내의 과일, 야채 등의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또는 갈아내는 기기로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널리 사용한다. Among these home appliances, a mixer (or blender) is a device that grinds or grinds food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in a container by rotating a cutter by the rotational force of a motor, and is widely used in kitchens such as homes and restaurants.

믹서기에 관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48756호(참고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450937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8756 (Reference 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0937 (Reference 2), etc. have been proposed as prior art related to the mixer.

상기 참고문헌 1의 믹서기는 불투명한 스텐레스 재료로 제조되며 내부에 회전하는 믹서날이 설치된 상부용기와,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에 손잡이와, 상기 상부용기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상부용기의 하부에 결합하며 모터에 의해 믹서날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믹서기몸체로 이루어진 믹서기에 있어서, 상기 믹서기의 불투명한 상부용기 전면에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밀폐되게 투명창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용기의 손잡이 내측에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다수의 손가락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용기의 투명창을 통해 믹서날에 의해 내용물이 혼합되고 분쇄되며 갈리는 상태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mixer of Reference 1 is made of an opaque stainless material and includes an upper container having a rotating mixer blade installed therein, a handle on one side of the upper container, and a lid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ontainer to close the upper container. and a mixer body comprising a mixer bod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ixer blade by a motor, wherein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paque upper container of the mixer, and a transparent window is sealed in the long hole A plurality of finger groove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handle of the upper container for convenient gripping, and the contents are mixed, pulverized and ground by the mixer blade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upper container. .

또한, 참고문헌 2의 믹서기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믹서기 컵 몸통부와; 상기 믹서기 컵 몸통부의 상부에 씌워져 음식물을 보호하는 믹서기 컵 뚜껑과; 상기 믹서기 컵 몸통부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음식물을 분쇄하는 칼날; 상기 칼날을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시키는 칼날 회전부와; 상기 칼날 회전부의 하방에서 상기 칼날 회전부와 결합되고 상기 칼날 회전부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믹서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믹서기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칼날 회전부의 상기 칼날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하는 저속 버튼과; 상기 칼날이 중속으로 회전하게 하는 중속 버튼과; 상기 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하는 고속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믹서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칼날 회전부의 상기 칼날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저속 버튼과 상기 중속 버튼과 상기 고속 버튼의 선택 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설정된 값에 따라 일정 시간마다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가 구비되는 세척이 용이한 개량된 믹서기가 제안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ixer of Reference 2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ixer cup body is opened; a blender cup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lender cup body to protect food; a blade for crushing food while be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ixer cup body; a blade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blade by an external force; A mixer main body coupled to the blade rotating unit below the blade rotating unit and supplying rotational force to the blade rotating unit; and a low-speed button on the outside of the blender body to rotate the blade rotating unit at a low speed and ; a medium speed button for rotating the blade at medium speed; A high-speed button for causing the blade to rotate at high speed is provided, and a motor for supplying rotational force to the blade of the blade rotat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mixer body, and a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otor; is provide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by controlling the motor driving unit according to selection states of the low-speed button, the medium-speed button, and the high-speed button; a memory in which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is stored; There has been proposed an improved blender that is easy to clean and includes a timer that generates an event signal every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set valu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믹서기는 믹서기몸체 또는 믹서기 본체 상부에 상부용기 또는 믹서기 컵 몸통부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분쇄한 후 믹서기몸체 또는 믹서기 본체로부터 상부용기 또는 믹서기 컵 몸통부를 분리하여 세착하여 건조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믹서기몸체 또는 믹서기 본체의 상부가 공기중으로 장시간 노출 보관하는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어 믹서기몸체 또는 믹서기 본체 내부의 모터 고장 등의 우려가 높고, 모터축이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mixer, the upper container or the mixer cup body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mixer body or the mixer body, and after grinding the food, the upper container or the mixer cup body is separated from the mixer body or the mixer body, washed and dried When the mixer body or the upper part of the mixer body is exposed to the air for a long time and stor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trapped and there is a high risk of motor failure in the mixer body or the mixer body, and as the motor shaft protrudes upward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impairing the aesthetics.

이에 더해 종래의 믹서기는 상부용기 또는 믹서기 컵 몸통부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상부용기 또는 믹서기 컵 몸통부의 이동은 용이하지만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고 무거운 믹서기몸체 또는 믹서기 본체는 여성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작은 경우에는 한손으로 믹서기몸체 또는 믹서기 본체를 들고 이동할 수 없으며, 믹서기몸체 또는 믹서기본체의 일측을 손으로 지지한 상태로 버튼 조작 등을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시 불안정하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lender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the upper container or the mixer cup body, so that the upper container or the mixer cup body is easy to move. In this case, it is not possible to move the mixer body or the mixer main body with one hand, and it is unstable when using the blender body or the mixer main body because the button operation must be performed while supporting one side of the mixer body or the mixer main body with one hand.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믹서는 사용상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믹서기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모터의 가동이 됨에 따라 사고 위험이 매우 크다.In addition, such a conventional mixer has a very high risk of accidents as the motor is operated even when the mixer falls or tilts due to carelessness in use.

참고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448756호Reference 1: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8756 참고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450937호Reference 2: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0937

따라서 이러한 종래 믹서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를 분리한 믹서기 본체의 상부를 마감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믹서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만을 따로 보관 또는 진열시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개량형 믹서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ixer can prevent the failure of the motor provided inside the mixer body by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mixer main body in which the container is separat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and only the main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blender capable of improving the aesthetics when stored or displayed separately.

또한 본 발명은 여성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작은 경우에도 한손으로 믹서기 본체를 쉽게 들수 있고 사용자가 본체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개량형 믹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blender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lift the blender main body with one hand even when the user's hand is small, such as a woman, and the user can stably operate the main body.

아울러 본 발명은 믹서기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경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식물의 분쇄를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고 믹서기 사용에 흥미도 유발할 수 있는 개량형 믹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tably b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when the mixer falls down or tilts, the user can variab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that generates power for grinding food, and can cause interest in using the mixer. It is to provide an improved mixer.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technical problems,

구동모터와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용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믹서기 본체와, 상기 믹서기 본체의 용기 장착홈에 하단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를 사용자가 조작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터조립체가 내부에 구비되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믹서기 본체의 용기 장착홈에는 마개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믹서기를 제공한다.The mix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and an operation part and a container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end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of the mixer main body, and the cutter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part. comprising a container having an assembly therein; It provides an improved mi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of the mixer main body.

이때 상기 용기의 상단에는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하는 지지링이 구비되고, 상기 마개는 몸체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 장착홈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링의 가운데에는 음식물을 용기의 수용공간으로 주입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는 상기 믹서기 본체의 상측 가운데에 오목하게 형성된 용기 장착홈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ring that opens and closes to prevent foo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topper is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that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along the lower edge of the body, an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ring An injection hole penetrating vertically to allow food to be in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is formed, and the injection hole is formed identically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concavely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mixer main body, so that the stopper is detachably mounted. characterized by being

그리고 상기 믹서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는 본체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따라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 제어하며, 상기 본체 손잡이에는 손으로 잡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손감지 스위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손감지 스위치의 감지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구동스위치의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ain body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side of the mixer main body, the control unit variably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main body handle has a hand sensing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it is held by a hand. It is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driving motor when the switch signal of the driving switch is input while the sensing signal of the hand sensing switch is input.

아울러 상기 조작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스위치는 승강레버를 갖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으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선형적으로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ipulation unit includes a driving switch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the driving switch is composed of a slide variable resistor having a lift lever, and the control unit is a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a switch signal input from the slide variable resis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ly variable control.

그리고 상기 믹서기 본체에는 상기 믹서기 본체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면 오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ixer main body is turned off when the mixer main body falls or til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ilt sensor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를 분리한 후 믹서기 본체의 용기 장착홈에 마개를 장착하면 공기중 먼지가 가라앉아 쌓이거나 조리중 음식물 등이 용기 장착홈으로 튀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믹서기 본체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믹서기 본체만 보관시 미관 역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topper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of the mixer body after removing the container, dust in the air can be prevented from sinking and accumulating or food, etc. It can be managed with the mixer, and when only the main body of the blender is stored, the aesthetics are also improv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마개로 믹서기 본체의 용기 장착홈을 마감하거나 지지링의 주입구를 막는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믹서기 본체에 본체 손잡이를 구비하여 믹서기 본체의 외경이 크더라도 여성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작은 경우에도 믹서기 본체를 쉽게 들어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lectively used to close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of the mixer body with a single stopper or to block the injection hole of the support ring. Even if the user's hand is small, the mixer body can be easily lifted and 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변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본체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어 안전한 믹서기 사용을 유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variably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and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of the main body, the driving motor can be driven to induce safe use of the mixer.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가 장착된 상태의 본체를 실수로 기울이거나 외력에 의해 넘어지는 경우 즉시 모터가 가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높은 사용 안정정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high stability of use by preventing the motor from starting immediately when the user inadvertently tilts the body in the state in which the ease is mounted or falls due to an external for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 본체에 용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 본체에 마개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is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1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n improved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개량형 믹서기(100)는 내부에 구동모터(112)가 구비되며 외부에 상기 구동모터(112)를 제어하는 조작부(114)가 구비되는 믹서기 본체(110)와,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114)를 사용자가 조작시 구동모터(1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터조립체(122)가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용기(12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is, the improved mix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er body 110 having a driving motor 112 inside and a manipulation unit 11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112 on the outside, and the mixer body (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110) and includes a container 120 in which a cutter assembly 122 that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112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14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이때 본 발명의 개량형 믹서기(100)는 구동모터(112)의 회전력에 의해 커터조립체(122)를 회전시켜 용기(120) 내의 과일, 야채 등의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또는 갈아내는 믹서기 또는 블렌더를 포함하는 개념이다.At this time, the improved mix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cutter assembly 122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112 to grind or grind food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container 120. Concept.

아울러 상기 용기(120)의 상단에는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 가능한 지지링(130)이 더 구비된다. In addition, an openable and openable support ring 130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20 to prevent foo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우선 상기 믹서기 본체(110)는 내부에 구동모터(112)가 구비되고, 그 구동모터(112)의 상측에는 상기 용기(120) 내부에 장착되는 커터조립체(122)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1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12)의 구동시 동력전달부(113)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커터조립체(122)가 회전한다. First, the mixe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112 therein, and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motor 112 is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power to the cutter assembly 122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120 . (113) is provided.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 112 is driven, the cutter assembly 122 rotates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 .

이때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상측 가운데에는 용기 장착홈(115)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 장착홈(115) 중앙에는 동력전달부(113)가 구비되어 용기(120)의 하단이 용기 장착홈(115)에 장착된다.At this time, a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is concavely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mixer body 110 ,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113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120 is mounted on the container. It is mounted in the groove (115).

이러한 믹서기 본체(110)에서 용기(120)를 분리하게 되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장착홈(115)은 동력전달부(113)가 그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상태로서 이에 공기 중에 떠도는 먼지나 조리중 발생하는 음식물 등 각종 이물질이 용기 장착홈(115)에 유입되어 쌓이거나 묻는 경우 제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120)의 결합이나 동력전달부(113)의 원활한 회전 및 작동 등을 방해한다. When the container 120 is separated from the mixer body 110,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formed in a circular shape is opened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 is exposed as it is, and thus, dust floating in the air or food generated during cooking When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various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and are accumulated or buried, it is difficult to remove, and also prevents the coupling of the container 120 or the smooth rotation and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 .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을 덮어 공기중 먼지가 가라앉아 쌓이거나 조리중 음식물 등이 용기 장착홈(115)으로 튀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개(14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마감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mixer main body 110 to prevent dust from sinking and accumulating in the air or food from sticking 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during cooking. ) can be installed and finished in a detachable way.

이때 상기 믹서기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과 상부면이 일치하도록 마개(140)는 중앙 상부가 상향 돌출되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마개(140)를 용기 장착홈(115)에 끼우면 믹서기 본체(110)의 가운데 상단을 둥글게 마감하여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이 노출되는 것을 막게 되어 용기가 분리된 상태로 믹서기 본체(110)만 보관시 미관 역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mixer main body 110 has an inclined surface as it goes toward the upper side as a whole, and the stopper 140 has a dome shape in which the central upper part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coincid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stopper 14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the middle upper end of the blender body 110 is rounded to prevent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blender body 110 from being exposed, so that the container is separated. When only the mixer main body 110 is stored, the aesthetics is also improved.

이러한 마개(140)는 돔형상의 몸체(141)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 장착홈(115)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돌부(14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돌부(142)의 외부면에는 오링이 더 장착됨아 바람직하다.The stopper 140 is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142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along the lower edge of the dome-shaped body 141 .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an O-ring is further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142 .

따라서 믹서기 본체(110)에 용기(120)를 장착시에는 마개(140)를 분리하고 용기 장착홈(115)에 용기(120)를 장착하여 믹서기(100)를 이용해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가는데 사용하며, 믹서기(100)를 이용한 후 용기(120) 내 음식물을 덜어내거나 세척 및 건조 등을 하기 위해 용기(120)를 믹서기 본체(110)에서 분리한 후에는 마개(140)를 용기 장착홈(115)에 장착하여 덮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ntainer 120 is mounted on the blender body 110, the stopper 140 is removed, and the container 120 is mount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which is used to grind or grind food using the blender 100, After using the blender 100 , after separating the container 120 from the blender body 110 to take out food in the container 120 , or to wash and dry the container 120 , the stopper 140 is plac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 installed and covered.

한편, 상기 믹서기 본체(110)에 장착되는 용기(120)는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21)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용기(120)의 측면에는 용기(12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용기 손잡이(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120 mounted on the mixer main body 110 may be made of plastic, glass, metal, etc., and a receiving space 121 is formed therein to contain food. Of course, a container handle 123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120 so that the container 120 can be easily moved.

이때, 상기 용기(120)의 수용공간(121) 중앙 하측에는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의 중앙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1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터조립체(122)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at the lower center of the receiving space 121 of the container 120 , the cutter assembly 122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3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mixer main body 110 . ) is provided.

상기 커터조립체(122)는 하나 이상의 커터날(122a)이 결합된 구조로서, 구동모터(112)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커터조립체(122)는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도 가능하나 반시계 방향을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12)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cutter assembly 122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cutter blades 122a are coupled, and when the driving motor 112 rotates in one direction, 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In particular, the cutter assembly 122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but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112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용기(120)는 상단 전방에 배출구(124)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120)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링(130)이 착탈식으로 장착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120 has an outlet 124 formed at the front of the upper end, and a support ring 1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20 to prevent foo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이러한 지지링(130)의 가운데에는 음식물을 용기(120)의 수용공간(121)으로 주입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주입구(13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링(130)의 주입구 내경은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상측 가운데에 오목하게 형성된 용기 장착홈(115)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에 장착할 수 있는 마개(140)를 용기(120)에 장착하는 지지링(130)의 주입구(131)를 막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믹서기(100)의 부속을 간소화하면서 하나의 마개(140)로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을 마감하거나 지지링(130)의 주입구(131)를 막는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center of the support ring 130 , an injection hole 131 penetrating up and down is formed so that food can be injec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21 of the container 120 .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hole of the support ring 130 is formed to match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concavely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mixer body 110, so that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of the mixer body 110 is identical. The stopper 140 that can be mounted on the 115 can be used to block the injection hole 131 of the support ring 130 that is mounted on the container 120 . Through this, it can be selectively used to close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mixer body 110 with a single stopper 140 or to block the injection hole 131 of the support ring 130 while simplifying the overall attachment of the blender 100. can

한편,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외부 일측에는 본체 손잡이(11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믹서기 본체(110)에 본체 손잡이(116)를 구비함으로서 믹서기 본체(110)의 외경이 커서 여성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작아 한손으로 잡을 수 없더라도 한손으로 본체 손잡이(116)를 잡아 믹서기 본체(110)를 쉽게 들어 이동할 수 있고, 후술하는 조작부(114)를 조작시에도 한손으로 사용자가 본체 손잡이(116)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조작부(114)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handle 116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ixer main body (110). As such, by providing the main body handle 116 on the blender main body 110, the outer diameter of the blender main body 110 is large, so even if the user's hand is small, such as a woman, and cannot be held with one hand, hold the main body handle 116 with one hand and hold the blender main body ( 110) can be easily lifted and moved, and even when operating the manipulation unit 114 to be described later, the user can stably operate the manipulation unit 114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body handle 116 with one hand.

그리고 상기 믹서기 본체(110)에는 믹서기(100)를 이용해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12)의 구동 제어를 하기 위한 조작부(114)와, 믹서기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117)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ixer body 110 includes a manipulation unit 11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12 so that food can be crushed using the mixer 100, and a display unit 117 for checking the mixer driving state. do.

이때 상기 조작부(114)는 상기 구동모터(112)를 구동하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제어부(118)는 구동모터(112)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nipulation unit 114 includes a driving switch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112 , and the control unit 118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112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switch.

이러한 구동스위치는 복수를 구비하여 해당 스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2)의 회전속도를 '약', '중', '강'으로 나누어 제어할 수 있으나, 하나의 가변저항스위치로 구성하여 제어부(118)에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2)의 회전속도를 선형적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다. Such a driving swit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to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112 by dividing it into 'weak', 'medium', and 'strong'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witch signal, but it is composed of one variable resistance switch and the control uni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112 may be variably controlled linearly according to a switch signal input to 118 .

이와 같이 상기 가변저항스위치는 공지(公知)의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으로 구성하되,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타측면에 수직으로 구비하여 승강 레버(114b)의 하강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스위치 신호가 제어부(118)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의 승강레버(114b)를 눌러 하강시켜면 단계별로 '약', '중', '강' 중에 어느 하나의 스위치 신호가 제어부(118)로 입력되며, 제어부(118)는 스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2)의 회전속도를 '약', '중', '강' 중에 어느 하나의 속도로 비례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resistance switch is composed of a known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xer main body 110, so that the switch signal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scent of the lifting lever 114b.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18 . Accordingly, when the lifting lever 114b of the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is pressed to descend, any one of 'weak', 'medium', and 'strong' switch signals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118 step by step, and the control unit ( 118) may proportional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112 to any one of 'weak', 'medium', and 'strong' according to a switch signal.

이에 더해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의 승강레버(114b)를 사용자가 누르는 동안에만 구동모터(1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의 승강레버(114b)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측으로 복귀하도록 복귀스프링(114c)이 구비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12 only while the user presses the lift lever 114b of the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the lift lever 114b of the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is installed. A return spring 114c is provided to return to the upper side when the applied pressure is removed.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114c)은 코일 형상의 압축 또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승강레버(114b)를 상측으로 당기도록 복귀스프링(114c)은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단은 믹서기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 고정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승강레버(114b)의 목부위에 고정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승강레버(114b)가 신속하게 상측으로 복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turn spring 114c may be formed of a coil-shaped compression or tension spring. For example, when the return spring 114c is a tension spring to pull the lifting lever 114b upwar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ixer main body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the lifting lever 114b. By fixing it to the neck, the lifting lever 114b can be stably returned to the upper side.

이와 같은 구성은 믹서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본체 손잡이(116)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구동스위치를 구성하는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의 승강레버(114b)를 구비하여 한 손으로 본체 손잡이(116)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또는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승강레버(114b)를 누르면 믹서기 본체(11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믹서기(1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갈아낼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main body handle 116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xer main body 110 and the lifting lever 114b of the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constituting the driving swit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main body handle 116 is provided with one hand. ), when the lifting lever 114b is pressed with the other hand (or the finger of the other hand), the blender body 110 does not shake and the food can be stably pulverized or ground using the blender 100 .

한편, 상기 믹서기 본체(110)에는 믹서기 구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117)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스위치의 작동시 점등하여 믹서기 본체(110)의 구동상태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17)는 LED램프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LCD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ixe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17 for confirming the mixer driving state, and is turned on when the driving switch is operated to display the driving state of the mixer main body 110 . The display unit 117 may be composed of an LED lamp,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LCD.

아울러 상기 제어부(118)는 전원부(103)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모터(112)를 구동한다. 이러한 전원부(103)는 가정용 전원플러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변압부 또는 별도의 어댑터 등을 포함하여 구동모터(112)의 구동을 위한 적절한 전원으로 변환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8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3 to drive the driving motor 112 . The power supply unit 103 receives power through a household power plug, and it is preferable to convert it into an appropriate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112 including a transformer or a separate adapter.

물론 상기 믹서기(100)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부(114)는 전원스위치(114d)를 더 포함하여 전원스위치(114d)를 동작하면 제어부(118)가 구동되어 구동스위치인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의 승강레버(114b)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2)가 동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o enable stable use of the mixer 100, the operation unit 114 further includes a power switch 114d, and when the power switch 114d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118 is driven and a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which is a driving switch. ),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driving motor 1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lever 114b.

한편 상기 본체 손잡이(116)에는 손으로 잡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손감지 스위치(119)가 더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 손잡이(116)를 잡는 경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 또는 비접촉 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또는 센서를 포함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접촉 스위치의 일 예로 저가의 리미트 스위치 등을 손잡이 외측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원스위치(114d)을 켠 상태에서 제어부(118)에 손감지 스위치(119)의 감지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구동스위치의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112)를 구동시키고, 손감지 스위치(119)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구동스위치의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112)를 구동시키지 않음으로서 안정적인 믹서기(100)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handle 116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 sensing switch 119 for detecting whether the hand is holding. This can be made of various switches (or sensors) such as a contact or non-contact switch capable of sensing pressure when the user holds the body handle 116. As an example of a contact switch, a low-cost limit switch is used as a handle. It can be provided outsid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witch signal of the drive switch is input in the state wher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hand detection switch 119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18 in a state where the power switch 114d is turned on, the drive motor 112 is driven, When the switch signal of the drive switch is input in a state wher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witch 119 is not input, the drive motor 112 is not driven to induce stable use of the mixer 100 .

한편, 상기 믹서기(100)의 조작부(114)는 전원스위치(114d)를 더 포함하여 전원스위치(114d)를 동작하면 제어부(118)가 구동되어 구동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2)가 동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 믹서기본체(110) 또는 믹서기(10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인 경우 구동모터(11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믹서기(100)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울기 센서(111)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114 of the mixer 100 further includes a power switch 114d, and when the power switch 114d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118 is driven and the driving motor 112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witch. In this case, when the mixer main body 110 or the mixer 100 is in a falling or tilted state, the driving motor 112 is stopped so that the inclination sensor 111 can be used to stably use the mixer 100. include more

상기 기울기 센서(111)는 중력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개폐하는 센서로서 다양한 형태의 기울기 센서(또는 틸트(Tilt)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울기를 감지하면 회로가 연결되어 전기를 흐르게 해주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The tilt sensor 111 is a sensor that physically opens and closes an electrical signal using gravity, and various types of tilt sensors (or tilt switches) can be used, and when the tilt is detected, a circuit is connected to allow electricity to flow It acts as a kind of switch.

이러한 기울기 센서(111)는 조작부(114) 후단에 구비되어 전원부(103)의 전원을 모두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111)는 조작부(114)의 전원스위치(114d)와 제어부(118) 사이에 구비되어 전원스위치(114d)를 켜서 전원이 제어부(118)로 투입된 상태에서 믹서기본체(11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면 기울기 센서(111)가 오프되어 제어부(118)에 투입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모터(112)의 구동이 차단된다. The inclination sensor 111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nipulation unit 114 to cut off all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03 . 5, the inclination sensor 111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switch 114d and the control unit 118 of the operation unit 114 to turn on the power switch 114d to power the mixer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18. When the body 110 falls or tilts, the inclination sensor 111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power input to the control unit 118 , thereby cutting off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12 .

따라서 이와 같이 믹서기본체(11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부(114)의 구동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구동모터(112)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믹서기(100)를 똑바로 세우는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111)가 온되어 전원부(103)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제어부(118)로 투입되어 조작부(114)의 구동스위치를 조작하면 구동모터(112)는 작동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state that the mixer main body 110 is tilted or fell down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otor 112 does not operate even if the user operates the driving switch of the manipulation unit 114 . Of course, when the mixer 100 is set upright, the tilt sensor 111 is turned on and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is normally input to the control unit 118 and the driving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14 is operated, the driving motor 112 is it will work

물론 상기 기울기 센서(111)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원부(103)의 전원 차단과는 무관하게 제어부(118)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제공함으로서 그에 따라 제어부(118)가 오프신호인 경우 믹서기(10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판단하여 조작부(114)의 구동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구동모터(112)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기울기 센서(111)는 전원부(103)의 전원이 조작부(114) 투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조작부(114) 전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inclination sensor 111 is not shown separately, but provides an on or off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8 regardless of the power cut off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118 is an OFF signal, the mixer 100 It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12 even if the driving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14 is operated by determining that the state is falling or inclined. In addition, the inclination sensor 11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unit 114 to block the input of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to the operation unit 114 .

따라서 본원발명의 기울기 센서(111)는 전원스위치(114d) 후단 임의의 위치에 적용하여 믹서기(10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12)를 안정적인 상태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clination sensor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rbitrary position after the power switch 114d to detect a state in which the mixer 100 has fallen or tilted so that the driving motor 112 can be driven in a stable state. If so, you can choose to apply it in a variety of ways.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믹서기의 구동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riving example of the improved mix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용기(120)를 믹서기 본체(110)에 장착한 후, 예를 들어 음식물로서 사과와 우유를 수용공간(121)에 집어 넣거나 부은 상태에서 지지링(130)을 덮고 마개(140)를 지지링(130)에 끼운 후 한 손으로 본체 손잡이(116)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또는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승강레버(114b)를 누르면 승강레버(114b)의 하강정도에 따라 구동모터(112)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서 믹서기 본체(11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커터조립체(122)가 회전하게 된다.After the container 120 is mounted on the blender main body 110, for example, apple and milk as food are put in or pour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1, the support ring 130 is covered, and the stopper 140 is attached to the support ring ( 130), when the lifting lever 114b is pressed with the other hand (or the finger of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body handle 116 with one hand, the drive motor 112 according to the descending degree of the lifting lever 114b. As the rotation speed of the mixer body 110 increases, the cutter assembly 122 rotates stably without shaking.

이러한 믹서기(100)를 사용 후에는 믹서기 본체(110)에서 용기를 분리하며, 지지링(130) 상부의 마개(140)를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에 끼워 마감하여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용기 장착홈(115)에 쌓이거나 끼는 것을 막아준다.After using the blender 100,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blender body 110, and the stopper 140 on the support 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blender body 110 and closed to prevent dust or dirt. It prevents various foreign substances from accumulating or being caught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

이 경우 상기 믹서기(10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진 경우에는 기울기 센서(111)가 오프되어 조작부(114)의 구동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구동모터(112)의 구동이 정지된다.In this case, when the mixer 100 is overturned or tilted, the inclination sensor 111 is turned off and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12 is stopped even when the driving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14 is operated.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믹서기 본체(110)에 사용하는 상부에 배출구(124)가 형성되는 용기(120)를 사용하지 않고 소량의 음식물을 갈은 상태에서 뒤집어 휴대할 수 있는 텀블러(120a) 구조의 용기(120)를 장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a tumbler ( The container 120 of the structure 120a) may be mounted.

이때 상기 텀블러(120a)의 입구에는 칼날조립체(120b)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텀블러(120a)의 입구로 음식물을 넣은 후 칼날조립체(120b)를 텀블러(120a)의 입구에 결합한 후 뒤집은 상태에서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에 끼워 장착한 후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갈아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lade assembly (120b)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of the tumbler (120a). Therefore, after putting food into the inlet of the tumbler 120a, the blade assembly 120b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tumbler 120a, and then, in an inverted state, it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blender body 110, and then the food is crushed. or can be replaced.

물론 상기 텀블러(120a)는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외경의 크기에 따라 텀블러 손잡이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경이 작은 경우에는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고, 한 손으로 잡을 수 없도록 외경이 크거나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무겁거나 미끄러운 경우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Of course, the tumbler 120a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plastic, and metal,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tumbler handle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for example, the outer diameter is small so that it can be held with one hand. In the case of a small case, the handle is not provided, and if the outer diameter is large or made of glass material so that it cannot be held with one hand,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if it is heavy or slippe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wi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개량형 믹서기 103: 전원부
110: 믹서기 본체 111: 기울기센서
112: 구동모터 114: 조작부
115: 용기 장착홈 116: 본체 손잡이
119: 손감지 스위치 120: 용기
122: 커터조립체 130: 지지링
140: 마개 120a: 텀블러
100: improved mixer 103: power supply
110: blender body 111: tilt sensor
112: drive motor 114: control unit
115: container mounting groove 116: body handle
119: hand detection switch 120: courage
122: cutter assembly 130: support ring
140: stopper 120a: tumbler

Claims (5)

제어부(118)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112)가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에 상기 구동모터(112)를 제어하는 조작부(114)가 구비되고 상측 가운데에는 용기 장착홈(115)이 형성되는 믹서기 본체(110)와,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에 하단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114)를 사용자가 조작시 구동모터(1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터조립체(122)가 내부 하측에 구비되는 용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에는 마개(14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마개(140)는 몸체(141)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 장착홈(115)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돌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외부 일측에는 본체 손잡이(116)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손잡이(116)에는 손으로 잡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손감지 스위치(119)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18)는 손감지 스위치(119)의 감지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구동스위치의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112)를 구동시키며;
상기 용기(120)의 상단에는 음식물을 용기(120)의 수용공간(121)으로 주입가능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주입구(131)가 가운데에 형성되는 지지링(13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지지링(130)의 주입구(131) 내경은 상기 마개(14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상기 믹서기 본체(110)의 용기 장착홈(115)의 내경과 일치하며;
상기 조작부(114)는 상기 구동모터(112)를 구동하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스위치는 승강레버(114b)를 갖는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으로 구성되어 믹서기 본체(110)의 타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으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2)의 회전속도를 선형적으로 가변 제어하며;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의 승강레버(114b)를 사용자가 누르는 동안에 구동모터(11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114a)의 승강레버(114b)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승강레버(114b)를 상측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14c)이 구비되며;
상기 믹서기 본체(110)에는 상기 믹서기 본체(110)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면 오프되어 상기 구동모터(112)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울기 센서(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믹서기.
The mixer main body in which the driving motor 112 driven by the control unit 118 is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unit 11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112 is provided outside, and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110) and the lower e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mixer main body 110, and a cutter assembly that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112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14 ( 122) includes a container 120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A stopper 14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mixer body 110, and the stopper 140 is a support protrusion that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along the lower edge of the body 141. (142) is formed;
A main body handle 116 is provided on one external side of the mixer main body 110 , and a hand sensing switch 119 for detecting whether a hand is held on the main body handle 116 is further provided, and the control unit 118 . ) drives the drive motor 112 when the switch signal of the drive switch is input whil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hand detection switch 119 is input;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20, a support ring 130 having an injection hole 131 penetrating up and down so as to be able to inject food into the receiving space 121 of the container 120 is detachably mounte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hole 131 of the support ring 130 coincides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ainer mounting groove 115 of the mixer body 110 to which the stopper 140 is detachably mounted;
The manipulation unit 114 includes a driving switch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112, wherein the driving switch is composed of a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having a lifting lever 114b, and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xer main body 110. It is provided vertically, and the control unit 118 linearly variably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112 according to a switch signal input from the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ifting lever 114b of the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is removed, the user can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12 while the user presses the lifting lever 114b of the slide variable resistor 114a. a return spring 114c for returning the lever 114b upward is provided;
The blender main body 110 is turned off when the blender main body 110 is overturned or tilted, and further comprises a tilt sensor 111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88876A 2020-12-31 2020-12-31 Improved mixer KR102449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76A KR102449057B1 (en) 2020-12-31 2020-12-31 Improved mixer
PCT/KR2021/017727 WO2022145741A1 (en) 2020-12-31 2021-11-29 Improved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76A KR102449057B1 (en) 2020-12-31 2020-12-31 Improved mix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48A KR20220096448A (en) 2022-07-07
KR102449057B1 true KR102449057B1 (en) 2022-09-29

Family

ID=8226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76A KR102449057B1 (en) 2020-12-31 2020-12-31 Improved mix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9057B1 (en)
WO (1) WO2022145741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10Y1 (en) * 2004-02-10 2004-05-04 신준범 A mixer having heater
KR101829813B1 (en) * 2018-01-05 2018-02-19 김홍배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78U (en) * 1995-07-08 1997-02-19 이운행 mixer
KR200448756Y1 (en) 2008-12-29 2010-05-14 임홍국 Mixer
KR200450937Y1 (en) 2010-06-08 2010-11-16 가재한 Improved blender for easy cleaning
KR101418975B1 (en) * 2012-12-14 2014-07-16 김선우 Hand blender having a function of safty
KR102076470B1 (en) * 2018-04-23 2020-02-1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Container for ble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10Y1 (en) * 2004-02-10 2004-05-04 신준범 A mixer having heater
KR101829813B1 (en) * 2018-01-05 2018-02-19 김홍배 Cooking device having glass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5741A1 (en) 2022-07-07
KR20220096448A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8500B2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U2576608C2 (en) Coffee beverage preparation system, second cartridge for coffee beans package for usage with said system, method for beverage preparation by means of said system, coffee making method and method for coffee bean supplying from said second cartridge of coffee beans package
NL2006239C2 (en) Coffee beverage system, second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means of said system, a method of brewing coffee and a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from said second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US9149065B2 (en) Combination juicer-blender
ES2308577T3 (en) PRESSURE COVER COVER.
CN101032366B (en) Juice extractor
US8272585B2 (en) Shredder with reduced hazard potential
US8118071B2 (en) Pencil sharpener
ES2615168T3 (en) Food waste disposer with foreign object detector
ES2554810T5 (en) Macerator
KR102449057B1 (en) Improved mixer
JP2002336139A (en) Mixer
KR102447361B1 (en) Improved mixer
US6700340B2 (en) Control circuit for a coffee grinder
US8336793B2 (en) Shredder and/or shredder head with pivotable top panel
US20090026294A1 (en) Shredder With Biometric Detection Safety Feature
EP3892168A1 (en) Grinding device, coffee mak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nding device
US20240074906A1 (en) Contactless earplug dispenser
KR200450937Y1 (en) Improved blender for easy cleaning
CN208915899U (en) It is a kind of to spit medicine device automatically
JP6088379B2 (en) Pressing device
KR200419018Y1 (en) Safety device of mixer
KR200382346Y1 (en) Mixer Having Double Safty Device
CN218683623U (en) Intelligent toothpick box and toothpick outlet mechanism thereof
US4767395A (en) Centrifugal grease remover/absorber for f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