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970B1 -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970B1
KR102448970B1 KR1020200078770A KR20200078770A KR102448970B1 KR 102448970 B1 KR102448970 B1 KR 102448970B1 KR 1020200078770 A KR1020200078770 A KR 1020200078770A KR 20200078770 A KR20200078770 A KR 20200078770A KR 102448970 B1 KR102448970 B1 KR 10244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rush current
switch
load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0745A (en
Inventor
신동석
원유준
한수영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970B1/en
Publication of KR2022000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02H1/043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to inrush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50Charging of capacitors, supercapacitors, ultra-capacitors or double 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입력 초기에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돌입 전류 제한부;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단전 대응부; 및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rush current limiter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 input;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that supplies pow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ower is cut off; And it provides a power contro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Figure R1020200078770
Figure R1020200078770

Description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입 전류를 제어하고 입력 전원의 단전 시에도 항전 장비 등의 시스템에 전원 공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inrush current and maintaining power supply to a system such as an avionics device even when an input power is cut off.

최근의 항공기는 다기능 및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항공기에 탑재되는 항공 전자 장치(이하, '항전 장비'라 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항공 전자 장치는 항공기 내의 정해진 공간에 많은 수가 탑재되므로 매우 협소한 공간에 밀접하게 설치된다.Recently, multi-function and high-performance aircraft are required,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avionic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vionics equipment') mounted on the aircraft is increasing. 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avionics are mount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n aircraft, they are closely installed in a very narrow space.

한편, 항전 장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가 이용된다. 그런데,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에 순간적으로 과전압(over shoot)이 발생되고, 과전압에 의한 돌입 전류(inrush current)가 발생된다. 이러한 돌입 전류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에 문제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후단의 시스템에 오동작이 유발될 수 있다. 예컨데, 전원 라인, 스위치, 정류기 및 캐패시터 등의 내부 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전원을 사용하는 다른 장비와 간섭을 일으켜 고장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전원 공급 장치는 그 내부에 돌입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power supply (Power Supply) is used to supply a necessary voltage in a system including the avionics equipment. However, in the initial stage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is supplied, an overshoot is instantaneously generated, and an inrush current is generated due to the overvoltage. This inrush current may cause a problem in the power supply, which may cause a malfunction in the downstream system. For example, internal components such as power lines, switches, rectifiers and capacitors can be damaged. In addition, it may interfere with other equipment using the same power source and cause a malfunction. Therefore, a conventional power supply is provided with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inrush current therein.

돌입 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종래에는 두개의 스위치와 저항을 이용하였다. 두개의 스위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스위치를 온/오프(On/Off) 제어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 또는 제어부 등의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함으로써 제품의 단가 상승 및 물리적 사양 증가,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ress the inrush current, conventionally, two switches and a resistor are used. Since two switches are used, a separate device such as a signal processing unit 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switches is required. Accordingly, since a separate device for controlling the switch is required,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unit price of a product, an increase in physical specifications, and a decrease in reliability may occur.

또한, 전원 공급 장치의 오작동 등에 의해 전원이 입력되지 않고 단전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전원의 단전에 대응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입력 전원을 감지하여 계통을 변경하는 회로 및 제어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입력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계통을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 또는 신호 처리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계통 변경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함으로써 제품의 단가 상승 및 물리적 사양 증가, 신뢰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lso,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power is not input and power is cut off due to a malfunction of the power supply device or the like.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power outage of the input power, a circuit and a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the input power and changing the system were used in the prior art. To this e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input power and a separate control unit or signal processing unit for changing the system are required. Therefore, a separate device for system change is required, which may cause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an increase in physical specifications, and a decrease in reliability.

한국등록특허 제10-1538232호Korean Patent No. 10-1538232 한국등록특허 제10-1837205호Korean Patent No. 10-1837205

본 발명은 스위치 및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돌입 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control device capable of limiting an inrush current without a switch and a separate device for controlling the switch,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의 단전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입력 전원의 단전에 대응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control device capable of responding to a power cut off of an input power without a separate device for detecting a power cut off of the input power,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동시에 입력 전원의 단전에 대응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control device capable of limiting an inrush current and simultaneously responding to a power cut of an input power source,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전원 입력 초기에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돌입 전류 제한부;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단전 대응부; 및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rush current limiter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 input;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that supplies pow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ower is cut off;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류부는 브릿지 결합된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Further comprising a rectifying unit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the rectifier includes a plurality of bridge-coupled diodes.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는 저항을 포함한다.The inrush current limiter includes a resistor.

상기 단전 대응부는 입력 전원을 충전하고 단전 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charges the input power and supplies the charged power when the power is cut off.

상기 단전 대응부는 저항과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저항을 통해 충전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한다.The disconnection counterpart includes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to charge the input power through the resistor.

상기 단전 대응부는 상기 저항의 전단에 마련된 다이오드와, 상기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상기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The disconnection counterpart further includes a diod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esistor, and a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sistor, wherein the first switch is controlled by switching by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와, 입력 전원에 따라 출력 레벨이 조절되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driv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driver whose output level is adjusted according to input power, and an output of the first switch driver driven by the second switch driver and a second switch for adjusting the level.

상기 제어부는, 입력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1 전압 분배기와, 제 1 다이오드의 출력을 분배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2 전압 분배기를 더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voltage divider for controlling an output level of the second switch driver by distributing input power, and a second voltage divider for controlling an output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by distributing an output of a first diode. include mor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항전 장비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입력 초기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돌입 전류 제한부; 상기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전원 단전 시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전 대응부;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제 1 부하;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단전 대응부와 연결된 제 2 부하를 포함한다.Avionics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 inrush current limiter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that is initially generated when the power is input;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charged by the power source and discharging the charged charges when the power source is cut off and supplying the power to the power sour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a first loa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a second loa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outage counterpart.

상기 제 2 부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 단전 시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second loa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when power is cut off.

상기 제 1 부하는 상기 전원 단전 시 기능 정지를 허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부하는 상기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The first load is configured as a system that allows a function stop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the second load is configured as a system that maintains a normal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ower is cut off.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른 항전 장비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입력 초기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돌입 전류 제한부; 상기 전원 단전 시 충전된 전하를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전 대응부;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 전원 단전 시 기능 정지를 허용하는 제 1 부하;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단전 대응부와 연결되며,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제 2 부하를 포함하며, 상기 단전 대응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가 다르다.Avionics equip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 inrush current limiter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that is initially generated when the power is input;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for supplying charged charges to power when the power is cut of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a first loa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llowing a function stop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and a second loa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outage counterpart and maintaining a normal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ower is cut off, wherein the power cut counterpart has a different charging path and a different discharge path.

상기 단전 대응부는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를 통해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방전 시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를 통하지 않고 제 2 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cut counter part receives the power through the inrush current limiter and is charged, and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loa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rush current limiter during discharging.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는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단전 대응부는 상기 저항과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저항을 통해 충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전단에 마련된 다이오드와, 상기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상기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와, 입력 전원에 따라 출력 레벨이 조절되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는 다이오드 및 저항을 통해 입력된 전원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해 방전되어 제 2 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inrush current limiting unit includes a resistor, and the disconnection counterpart includes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to charge the input power through a resistor, a diod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resistor, and a seco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a first switch, wherein the control unit is driven by a first switch driv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driver whose output level is adjusted according to input power, and the second switch driver to be driven by the second switch driver. and a second switch for controlling an output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wherein the capacitor is charged by power input through a diode and a resistor,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witch to supply power to a second load.

본 발명은 전원이 입력될 때 단전 대응부의 캐패시터에 전원을 충전하고 저항을 이용하여 돌입 전류를 제한하며, 입력 전원 단전 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에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시간 단전이 가능한 제 1 부하와, 정상 동작을 유지해야 하는 제 2 부하로 계통을 분리하여 입력 전원의 단전 발생 시 단전 대응부에 충전된 전원을 제 2 부하로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은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하여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동시에 입력 전원의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inputted, power is charged to the capacitor of the power outage counterpart, and the inrush current is limited by using a resistor, and the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 is supplied to the load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system into a first load that can be cut of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second load that needs to maintain a normal operation, and supplies the power charged to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to the second load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rush current is limited by using an analog circuit, and a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본 발명은 스위치와, 스위치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돌입 전류를 억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입력 전원의 단전을 감지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입력 전원의 단전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를 단순화하여 물리적 사양이 최적화되고, 전원 공급 장치의 경량화/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항전 장비의 계통 구성을 제 1 부하와 제 2 부하로 분리하여 입력 전원의 단전 시 제 1 부하에 일정 시간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항전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rush current can be suppressed without a switch and a separate device for controlling the switch,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power outage of the input power without having a separate device for detecting the power cut off of the input power.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optimizing the physical specification by simplifying the power supply device, and reducing the weight/miniaturization of the power supply device.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avionics equipment can be improved by divid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avionics equipment into a first load and a second load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loa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결국, 본 발명은 제품의 신뢰성 및 경량화가 요구되는 항공 분야(Aerospace & Avionic, PAV , UAV, 드론 등)에 큰 개선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s a result,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 great improvement in the aviation field (Aerospace & Avionic, PAV, UAV, drone, etc.) requiring product reliability and weight reduc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전력 계통의 회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전력 계통의 회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1 and 2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ystem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device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ystem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각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표현하였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도록 하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complete disclosure. In order to clearly express the various layers and each region in the drawing, the thickness was enlarg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ere used to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입력 전원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즉, 도 1은 AC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제어 장치 및 항전 장비의 블럭도이고, 도 2는 DC 전원을 입력받은 전원 제어 장치 및 항전 장비의 블럭도이다.1 and 2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input power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That i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vionics device receiving AC power,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vionics device receiving DC pow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C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제어 장치는 정류부(100), 돌입 전류 제한부(200) 및 단전 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00)는 전원 공급부, 예를 들어 항공기로부터 공급받은 AC 전원을 항전 장비 내부의 DC 계통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또한,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항전 장비의 초기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한다. 그리고, 단전 대응부(300)는 항공기로부터 공급받은 AC 전원이 일시적으로 단전되더라도 일정 시간동안 항전 장비가 정상 동작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단전 대응부(300)는 AC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1 , a power control apparatus receiving AC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100 , an inrush current limiting unit 200 , and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 The rectifier 100 converts and supplies a power supply, for example, AC power supplied from an aircraft into a DC system inside the avionics equipment. In addition,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limits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when the avionics equipment is initially started. And,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maintain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vionics equip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aircraft is temporarily cut off. That is,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supplies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C power is cut off.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C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제어 장치는 돌입 전류 제한부(200)와, 단전 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항전 장비의 초기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고, 단전 대응부(300)는 항공기로부터 공급받은 DC 전원이 일시적으로 단전되더라도 일정 시간동안 항전장비가 정상 동작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DC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제어 장친는 AC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제어 장치에 비해 정류부(100)를 구비하지 않으며, 돌입 전류 제한부(200) 및 단전 대응부(300)는 동일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2 , a power control apparatus receiving DC p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rush current limiting unit 200 and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limits the inrush current that occurs when the avionics equipment is initially started, and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maintain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vionics equip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aircraft is temporarily cut off. let it do That is, the power control device receiving DC power does not include the rectifier 100 compared to the power control device receiving AC power, and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and the power failure response unit 300 perform the same function. .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시스템, 즉 항전 장비는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항전 장비의 운용 필요성에 따라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은 제 2 부하(420)와 같이 구성하고, 기능 정지 허용 계통은 제 1 부하(410)와 같이 계통을 구성한다. 즉, 제 1 부하(410)는 전원 공급부 또는 정류부(100)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에 의해 입력되는 DC 전원을 정류부(100)를 통해 공급받거나 직접 공급받는다. 또한, 제 2 부하(410)는 전원 공급부 또는 정류부(100)와 연결되는 동시에 단전 대응부(300)와 연결되어 전원 입력 시에는 전원 공급부에 의해 입력되는 DC 전원을 정류부(100)를 통해 공급받거나 직접 공급받고, 일시적인 전원 단전 시에는 단전 대응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제 2 부하(420)는 단전 대응부(200)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므로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제 1 부하(410)는 DC 전원 또는 정류부(100)를 통한 DC 전원에 의해 구동되므로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기능 정지가 허용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를 포함하는 부하는 항공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다양한 전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는 RF 장비, 레이더 장비, 운항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는 입력 전원 단전 시 정상 동작 유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장비를 구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 that is, the avionics equip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 .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necessity of the avionics equipment, a system that maintains normal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s configured like the second load 420 , and a function stop allowing system is configured like the first load 410 . do. That is, the first load 4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r the rectifier 100 and receives DC power input by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rectifier 100 or is directly supplied. In addition, the second load 4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r the rectifying unit 100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to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so that when power is input, the DC power input by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through the rectifying unit 100 or The power is supplied directly,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when the power is temporarily cut off. Therefore, since the second load 420 is driv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200, it can be configured as a system that maintains a normal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and the first load 410 is DC power or Since it is driven by DC power through the rectifier 100, it can be configured as a system that allows the function to st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ower is cut off. Meanwhile, the load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ar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aircraft. For example, the load may include RF equipment, radar equipment, navigation equipment, and the like, and th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may classify the equipment according to whether the normal operation is maintained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mor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device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정류부(100), 돌입 전류 제한부(200) 및 단전 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전 장비는 상기 전원 제어 장치와,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와,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DC/DC 컨버터(510)는 제 1 부하(410)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DC/DC 컨버터(520)는 제 2 부하(420)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100 , an inrush current limiting unit 200 , and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 In addition, the avionics device may include the power control devic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 and first and second DC/DC converters 510 and 520 . The first DC/DC converter 5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ad 410 ,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ad 420 .

정류부(100)는, 계통 전원, 예를 들어 항공기로부터 입력되는 3상 교류 전원을 항전 장비에 공급하기 위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정류부(100)는 브릿지(bridge) 결합된 복수의 다이오드 소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류부(100)는 브릿지 결합된 복수의 다이오드 소자(110)와 병렬 연결된 제 1 캐패시터(C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류부(100)는 제 1 및 제 2 노드(Q11, Q12) 사이에 연결된 브릿지 결합된 복수의 다이오드 소자(110)와, 제 1 및 제 2 노드(Q11, Q12) 사이에 연결되며 브릿지 결합된 복수의 다이오드 소자(110)와 병렬 연결된 제 1 캐패시터(C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로부터 DC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항전 장비의 경우, DC 전원을 입력 받기 때문에 정류부(100)를 구비하지 않는다. The rectifier 100 may convert system power, for example, three-phase AC power input from an aircraft, into DC power to supply avionics equipment. The rectifying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idge-coupled diode devices 110 . In addition, the rectifier 100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C11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bridge-coupled diode elements 110 . That is, the rectifi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ridge-coupled diode elements 110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nodes Q11 and Q12, and the first and second nodes Q11 and Q12 connected between the bridge-coupled diodes. A first capacitor C11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diode devices 110 may be includ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 in the case of avionics equipment directly receiving DC power from an aircraft, the rectifying unit 100 is not provided because DC power is input.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항전 장비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한다. 이를 위해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돌입 전류가 제 1 부하(410) 또는 제 2 부하(420)로 흐르지 않고 다른 경로를 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써 제 1 부하(410) 또는 제 2 부하(420)로의 돌입 전류를 제한한다. 이러한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제 3 노드(Q13)과 제 4 노드(Q14) 사이에 연결된 저항(R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정류부(100)를 통해 인가되는 돌입 전류를 제 1 저항(R11)을 통해 제한할 수 있다. 제 1 저항(R11)은 단전 대응부(300)의 제 2 캐패시터(C12)로 흐르는 전류의 이동을 제어하여 제 2 캐패시터(C12)의 충전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돌입 전류가 부하로 흐르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 1 저항(R11)가 마련되지 않거나 제 1 저항(R11) 대신 다이오드가 마련되는 경우 제 2 캐패시터(C12)의 충전이 제 1 저항(R11)이 마련되는 경우보다 빠르고, 그에 따라 돌입 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부하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없다.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limits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when the avionics equipment is started. To this end, the inrush current limiting unit 200 allows the inrush current to flow through a different path instead of flowing to the first load 410 or the second load 420 to the first load 410 or the second load 420 . Limit inrush current.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may include a resistor R11 connected between the third node Q13 and the fourth node Q14. That is,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may limit the inrush current applied through the rectifier 100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1 . The first resistor R11 controls the charge of the second capacitor C12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second capacitor C12 of the disconnection counter 300, and thereby restricts the inrush current from flowing to the load. can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first resistor R11 is not provided or when a diode is provided instead of the first resistor R11, the charging of the second capacitor C12 is faster than when the first resistor R11 is provided, and accordingly If an inrush current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movement to the load cannot be suppressed.

단전 대응부(300)는 항공기로부터 공급받는 입력 전원이 일시적으로 단전이 발생 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항전 장비가 정상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전 대응부(300)는 정류부(10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여 항전 장비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전 대응부(300)는 제 1 노드(Q11)와 제 3 노드(Q13) 사이에 연결된 제 1 다이오드(D11)와, 제 4 노드(Q14)와 제 2 노드(Q12) 사이에 연결된 제 2 캐패시터(C12)와, 제 4 노드(Q14)와 제 3 노드(Q13) 사이에 연결된 제 2 다이오드(D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전 대응부(300)는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11, D12)가 역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캐패시터(C12)와 제 2 다이오드(D12)가 다른 경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캐패시터(C12)의 일 단자, 즉 제 2 노드(Q12)는 제 2 DC/DC 컨버터(520)의 일 단자와 연결되고, 제 2 다이오드(D12)의 출력, 즉 제 3 노드(Q13)는 제 2 DC/DC 컨버터(520)의 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전 대응부(300)는 전원이 입력될 때 제 2 캐패시터(C12)가 충전되고, 입력 전원이 일시 단전된 경우 제 2 캐패시터(C12)에 충전된 전하를 제 2 DC/DC 컨버터(420)를 통해 제 2 부하(420)로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avionics equipment to maintain normal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the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aircraft is temporarily cut off. To this end,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may charge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rectifier 100 , discharge the charged power, and supply it to the avionics equipment. The disconnection counter 300 includes a first diode D1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Q11 and the third node Q13 and a second diode D11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node Q14 and the second node Q12. It may include a capacitor C12 and a second diode D12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node Q14 and the third node Q13. That is, in the disconnection counterpart 300 , the first and second diodes D11 and D12 may be connec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lso, the second capacitor C12 and the second diode D12 may be connected through different paths. That is, one terminal of the second capacitor C12, that is, the second node Q12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diode D12, that is, the third node ( Q1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charges the second capacitor C12 when power is input, and transfers the charge charged in the second capacitor C12 when the input power is temporarily cut off to the second DC/DC converter 420 .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load 420 through the

제 1 DC/DC 컨버터(510)는 입력 단자가 정류부(100)와 제 1 및 제 2 노드(Q11, Q12)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가 제 1 부하(410)와 연결된다. 제 2 DC/DC 컨버터(520)는 입력 단자가 제 2 및 제 3 노드(Q12, Q13)과 연결되고 출력 단자가 제 2 부하(420)와 연결된다. 즉, 제 1 DC/DC 컨버터(510)는 입력 단자가 정류부(100)와 연결되고, 제 2 DC/DC 컨버터(520)는 입력 단자가 정류부(100) 및 단전 대응부(300)와 연결된다. 이때, 항전 장비의 운용 필요성에 따라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은 제 2 부하(420)와 같이 구성하고, 기능 정지 허용 계통은 제 1 부하(410)와 같이 계통을 구성한다. 즉, 제 2 부하(420)는 단전 대응부(200)의 출력에 따라 제 2 DC/DC 컨버터(42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므로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제 1 부하(410)는 정류부(100)의 출력에 따라 제 1 DC/DC 컨버터(41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므로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기능 정지가 허용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항전 장비의 물리적 사양 최적화 및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The first DC/DC converter 51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rectifier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nodes Q11 and Q12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load 410 .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nodes Q12 and Q13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load 420 . That is, the first DC/DC converter 51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rectifying unit 100 ,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rectifying unit 100 and the disconnection counterpart 300 . .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necessity of the avionics equipment, a system that maintains normal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s configured like the second load 420 , and a function stop allowing system is configured like the first load 410 . do. That is, since the second load 420 is driven by the output of the second DC/DC converter 420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200, it can be configured as a system that maintains normal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n addition, since the first load 410 is driven by the output of the first DC/DC converter 410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rectifier 100 , it may be configured as a system in which the function is allowed to st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physical specifications of the avionics equipment, and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driving th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를 참조하면, 항전 장비의 초기 기동 시 항공기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은 정류부(100)를 통하여 DC 전원으로 변환되고, DC 전원은 제 1 다이오드(D11)을 통하여 단전 대응을 위한 제 2 캐패시터(C12)를 충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원이 입력되면 발생하는 돌입 전류는 저항(R11)을 통하여 제한된다. 즉, 전원이 인가되면 돌입 전류는 저항(R11)에 의해 제한되고, 제 2 캐패시터(C12)를 충전한다. 또한, DC 전원은 제 1 DC/DC 컨버터(510)를 통해 제 1 부하(410)로 공급되고, 제 2 DC/DC 컨버터(520)를 통해 제 2 부하(420)로 공급된다. 정상 상태에서는 제 2 캐패시터(C12)가 일정 전압을 유지하고, 항전 장비 운용을 위한 전력은 제 1 DC/DC 컨버터(510)를 통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저항(R11)의 전력 손실은 매우 작다.4, when the avionics equipment is initially started, AC power supplied from the aircraft is converted into DC power through the rectifier 100, and the DC power is a second capacitor ( C12) is charged. At the same time,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when power is input is limited through the resistor R11.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he inrush current is limited by the resistor R11 and charges the second capacitor C12. In addition, the DC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load 410 through the first DC/DC converter 510 and is supplied to the second load 420 through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 In the normal state, since the second capacitor C12 maintains a constant voltage and power for operating the avionics equipment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DC/DC converter 510, the power loss of the resistor R11 is very small.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전원의 단전 발생 시 항전 장비의 내부 DC 계통은 붕괴되며, 제 2 캐패시터(C12)에 충전되어 있던 전력량과 제 2 다이오드(D12)를 통하여 항전 장비는 정상 동작을 유지한다. 즉, 입력 전원의 단전 발생 시 제 2 캐패시터(C12)에 충전된 전력이 제 2 다이오드(D12)를 통해 제 2 부하(420)로 공급된다. 이때, 항전 장비의 내부 DC 계통보다 제 2 캐패시터(C12)에 충전된 전압이 높기 때문에 제 1 다이오드(D11)은 턴오프(Turn Off)되고, 제 2 다이오드(D12)는 턴온(Turn On)된다. 따라서, 저항(R11)으로 인한 전력 손실 없이 일정 시간 동안 항전 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the internal DC system of the avionics equipment collapses, and the avionics equipment maintains its normal operation through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second capacitor C12 and the second diode D12. . That is,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the power charged in the second capacitor C12 is supplied to the second load 420 through the second diode D12. At this time, since the voltage charged in the second capacitor C12 is higher than the internal DC system of the avionics equipment, the first diode D1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diode D12 is turned on.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avionics equip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power loss due to the resistor R11.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 정상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저항(R11)을 통하여 제한할 수 있다. 돌입 전류를 저항(R11)을 통하여 제한하는 동시에 입력 전원 단전 시 대응을 위한 제 2 캐패시터(C12)를 충전한다. 정상 상태에서는 시스템 운용을 위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한다. 그러나, 입력 전원 단전 시 제 1 다이오드(D11)는 턴오프되고 제 2 다이오드(D12)는 턴온되어 캐패시터(C12)에 충전된 전력이 제 2 다이오드(D12)를 통해 항전 장비에 공급되어 일정 시간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imit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when the system is normally started through the resistor R11. While limiting the inrush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11, the second capacitor C12 is charged to respond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n steady state,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for system operation. However,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the first diode D1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diode D12 is turned on so that the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 C12 is supplied to the avionics equipment through the second diode D12 for a predetermined time. Normal operation can be maintain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입력 전원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한 항전 장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즉, 도 6은 AC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제어 장치 및 항전 장비의 블럭도이고, 도 7는 DC 전원을 입력받은 전원 제어 장치 및 항전 장비의 블럭도이다.6 and 7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block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vionics device including a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input power. That is,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vionics device receiving AC power,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vionics device receiving DC power.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C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제어 장치는 정류부(100), 돌입 전류 제한부(200) 및 단전 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00)는 전원 공급 장치, 예를 들어 항공기로부터 공급받은 AC 전원을 항전 장비 내부의 DC 계통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또한,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항전 장비의 초기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한다. 그리고, 단전 대응부(300)는 항공기로부터 공급받은 AC 전원이 일시적으로 단전되더라도 일정 시간동안 항전 장비가 정상 동작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단전 대응부(3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power control device receiving AC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100 , an inrush current limiting unit 200 , and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 The rectifier 100 convert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for example, the aircraft, into a DC system inside the avionics equipment and supplies it. In addition,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limits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when the avionics equipment is initially started. And,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maintain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vionics equip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aircraft is temporarily cut off.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C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제어 장치는 돌입 전류 제한부(200)와, 단전 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DC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제어 장치는 AC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제어 장치에 비해 정류부(100)를 구비하지 않으며, 돌입 전류 제한부(200) 및 단전 대응부(300)는 동일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단전 대응부(3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 power control device receiving DC p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rush current limiter 200 and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 That is, the power control device receiving DC power does not include the rectifier 100 as compared to the power control device receiving AC power, and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and the power failure response unit 300 perform the same function. .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시스템, 즉 항전 장비는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항전 장비의 운용 필요성에 따라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은 제 2 부하(420)와 같이 구성하고, 기능 정지 허용 계통은 제 1 부하(410)와 같이 계통을 구성한다. 즉, 제 2 부하(420)는 단전 대응부(200)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므로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제 1 부하(410)는 DC 전원 또는 정류부(100)를 통한 DC 전원에 의해 구동되므로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기능 정지가 허용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 that is, the avionics equip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 .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necessity of the avionics equipment, a system that maintains normal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s configured like the second load 420 , and a function stop allowing system is configured like the first load 410 . do. That is, since the second load 420 is driv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200, it can be configured as a system that maintains normal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and the first load 410 is DC power or Since it is driven by DC power through the rectifier 100, it can be configured as a system that allows the function to st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ower is cut off.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more specific embodiments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항전 장비의 회로도이다.8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ntrol device and an avionics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돌입 전류 제한부(200) 및 단전 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 전원, 예를 들어 항공기로부터 입력되는 3상 교류 전원을 항전 장비에 공급하기 위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정류부를 통해 직류 전원이 변환 생성될 수도 있고, 정류부를 통하지 않고 직류 전원이 인가될 수도 있다. 정류부를 포함하는 경우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다이오드 브릿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항전 장비의 전력 계통은 상기 전원 제어 장치와,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와,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DC/DC 컨버터(510)는 제 1 부하(410)와 연결될 수 있고, 제 2 DC/DC 컨버터(520)는 제 2 부하(420)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rush current limiter 200 and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ctifier may further include a rectifier for converting tubular power, for example, three-phase AC power input from the aircraft into DC power to supply the avionics equipment. 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C power may be converted and generated through the rectifying unit, or DC power may be appli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ctifying unit,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ctifier is included, the diode bridg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3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ower system of the avionics equipment may include the power control devic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 and first and second DC/DC converters 510 and 520 . The first DC/DC converter 5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ad 410 ,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ad 420 .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항전 장비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한다. 이를 위해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돌입 전류가 제 1 부하(410) 또는 제 2 부하(420)로 흐르지 않고 다른 경로를 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써 제 1 부하(410) 또는 제 2 부하(420)로의 돌입 전류를 제한한다. 이러한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제 2 노드(Q12)과 제 3 노드(Q13) 사이에 연결된 저항(R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입 전류 제한부(200)는 인가되는 돌입 전류를 제 1 저항(R11)을 통해 제한한다.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limits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when the avionics equipment is started. To this end, the inrush current limiting unit 200 allows the inrush current to flow through a different path instead of flowing to the first load 410 or the second load 420 to the first load 410 or the second load 420 . Limit inrush current.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may include a resistor R11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Q12 and the third node Q13. That is, the inrush current limiter 200 limits the applied inrush current through the first resistor R11.

단전 대응부(300)는 항공기로부터 공급받는 입력 전원이 일시적으로 단전이 발생 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항전 장비가 정상 동작을 유지 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전 대응부(300)는 인가된 전원을 충전하여 보조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전 대응부(300)는 제 1 노드(Q11)와 제 2 노드(Q12) 사이에 연결된 제 1 다이오드(D11)와, 제 2 노드(Q12)와 제 3 노드(Q13) 사이에 연결되며 저항(R11)과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S11)와, 제 3 노드(Q13)와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전 대응부(300)는 제 2 DC/DC 컨버터(520)를 통해 제 2 부하(4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전 대응부(300)는 입력 전원이 일시 단전된 경우 캐패시터(C12)에 충전된 전하를 제 1 스위치(S11)을 통해 제 2 DC/DC 컨버터(520)로 공급하고 이를 통해 제 2 부하(420)로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vionics equip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the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aircraft is temporarily cut off. To this end,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may charge the applied power and use it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The disconnection counter 300 includes a first diode D1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Q11 and the second node Q12, and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Q12 and the third node Q13. It may include a first switch S11 connected in parallel with R11, and a capacitor C12 connected between the third node Q13 and the ground terminal. Also, the power outage count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ad 420 through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supplies the charge charged in the capacitor C12 to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through the first switch S11 when the input power is temporarily cut off, and through this, the second load ( 420) can be supplied.

제 1 DC/DC 컨버터(510)는 입력 단자가 제 1 노드(Q11)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가 제 1 부하(410)와 연결된다. 제 1 DC/DC 컨버터(510)는 DC 전원을 제 1 부하(410)에 이용되는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제 2 DC/DC 컨버터(520)는 입력 단자가 제 2 노드(Q12)와 연결되고 출력 단자가 제 2 부하(420)와 연결된다. 제 2 DC/DC 컨버터(520)는 DC 전원을 제 2 부하(420)에 이용되는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때, 항전 장비의 운용 필요성에 따라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은 제 2 부하(420)와 같이 구성하고, 기능 정지 허용 계통은 제 1 부하(410)와 같이 계통을 구성한다. 즉, 제 2 부하(420)는 단전 대응부(200)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므로 입력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제 1 부하(410)는 정류부(100)의 출력에 따라 제 1 DC/DC 컨버터(41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므로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기능 정지가 허용되는 계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항전 장비의 물리적 사양 최적화 및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The first DC/DC converter 51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node Q11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load 410 . The first DC/DC converter 510 converts DC power into DC power used for the first load 410 .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Q12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load 420 . The second DC/DC converter 520 converts DC power into DC power used for the second load 420 .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necessity of the avionics equipment, a system that maintains normal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s configured like the second load 420 , and a function stop allowing system is configured like the first load 410 . do. That is, since the second load 420 is driv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200 , it can be configured as a system that maintains a normal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and the first load 410 is the rectifier 100 ), it is driven by the output of the first DC/DC converter 410 according to the output, so it can be configured as a system that allows the function to st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ower is cut of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physical specifications of the avionics equipment, and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제어부(600)은 단전 대응부(3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단전 대응부(300)의 제 1 스위치(S11)을 스위칭 제어하여 단전 대응부(3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제 1 스위치(S11)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스위치 드라이버(610)와, 제 2 및 제 3 저항(R12, R13)으로 이루어진 제 1 전압 분배기와, 제 1 전압 분배기의 분배 전압에 따라 전위가 조절되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와,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에 의해 구동되어 제 1 스위치 드라이버(610)의 전위를 조절하는 제 2 스위치(S12)와, 제 1 스위치 드라이버(610)의 전위를 조절하며 제 4 및 제 5 저항(R14, R15)로 이루어진 제 2 전압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의 레벨이 제 2 전압 분배기의 출력에 따라 결정되고,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의 레벨에 따라 제 2 스위치(S12)가 구동된다. 즉, 제 1 전압 분배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 1 전압 분배기에 의해 전압이 분배되면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의 출력이 소정 전위 이상을 유지하여 제 2 스위치(S12)가 턴온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1 전압 분배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제 1 전압 분배기에 전압이 분배되지 않으면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의 출력이 소정 전위 이하를 유지하여 제 2 스위치(S12)가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스위치 드라이버(610)는 제 2 스위치(S12)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따라 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 2 스위치(S12)가 턴온되면 제 5 노드(Q15)의 레벨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제 1 스위치 드라이버(610)의 레벨이 낮아져 제 1 스위치(S11)가 턴오프되고, 제 2 스위치(S12)가 턴오프되면 제 1 스위치 드라이버(610)의 레벨이 상승하여 제 1 스위치(S11)가 턴온될 수 있다. 이렇게 제어부(600)는 단전 대응부(300)의 제 1 스위치(S11)를 구동시켜 단전 대응부(300)에 충전된 전하가 제 2 부하(42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may be provided to control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300 . That is, the controller 600 may control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outage responding unit 300 by switching the first switch S11 of the power outage responding unit 300 . The control unit 600 includes a first switch driver 610 for driving the first switch S11, a first voltage divider composed of the second and third resistors R12 and R13, and a distribution of the first voltage divider. A second switch driver 620 whose potential is adjusted according to a voltage, a second switch S12 driven by the second switch driver 620 to adjust the potential of the first switch driver 610, and the first switch A second voltage divider configured to adjust the potential of the driver 610 and composed of fourth and fifth resistors R14 and R15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600 , the level of the second switch driver 6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second voltage divider, and the second switch S12 is drive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econd switch driver 620 .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voltage divider and the voltage is divided by the first voltage divider, the output of the second switch driver 620 maintains a predetermined potential or higher so that the second switch S12 may be turned on. Conversely, if no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voltage divider and thus the voltage is not divided to the first voltage divider, the output of the second switch driver 620 maintains a predetermined potential or less so that the second switch S12 may be turned off. have. Also, the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61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urn-on or turn-off state of the second switch S12 . That is, when the second switch S12 is turned on, the level of the fifth node Q15 is lowered, and accordingly, the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610 is lowered, so that the first switch S1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 ( When S12 is turned off, the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610 may increase to turn on the first switch S11 .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600 may drive the first switch S11 of the power outage responding unit 300 to control the charge charged in the power outage responding unit 300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load 420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driving th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도 9을 참조하면, 항전 장비의 초기 기동 시 항전 장비 내부 계통은 DC 계통으로 구성되며, 제 1 다이오드(D11)을 통하여 단전 대응을 위한 캐패시터(C12)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돌입 전류는 저항(R11)을 통하여 제한된다. 이와 동시에 항전 장비 운용을 위한 전력은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510, 520)를 통해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에 각각 공급된다. 정상 상태에서는 캐패시터(C12)가 일정 전압을 유지하고, 항전 장비 운용을 위한 전력은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510, 520)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부하(410, 420)에 공급되기 때문에 저항(R11)의 전력 손실은 매우 작다. 한편, DC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600)의 제 2 및 제 3 저항(R12, R13)로 이루어진 제 1 전압 분배기에 의해 분배 전압이 생성되어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로 인가되고 제 2 스위치 드라이버(620)가 소정 전위 이상의 레벨을 유지하여 제 2 스위치(S12)를 턴온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다이오드(D11)를 통해 제 5 노드(Q15)로 공급되는 전원이 제 2 스위치(S12)를 통해 접지 단자로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제 5 노드(Q15)는 소정 전위 이하의 레벨을 유지하고 그에 따라 제 1 스위치 드라이버(610)가 소정 전위 이하의 레벨을 유지하여 제 1 스위치(S11)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저항(R11)만을 통하여 돌입전류를 제한하는 동시에 캐패시터(C12)에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when the avionics equipment is initially started, the internal system of the avionics equipment consists of a DC system, and the capacitor C12 for responding to a power failure is charged through the first diode D11.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at this time is limited through the resistor R11. At the same time, power for operating the avionics equipment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C/DC converters 510 and 520 , respectively. In a normal state, the capacitor C12 maintains a constant voltage, and power for operating the avionics equipment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loads 410 and 42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C/DC converters 510 and 520 . Therefore, the power loss of the resistor R11 is very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DC power is supplied, a divided voltage is generated by the first voltage divider composed of the second and third resistors R12 and R13 of the control unit 600 and applied to the second switch driver 620 , and the second switch driver 620 maintains a level above a predetermined potential to turn on the second switch S12. Accordingly, the power supplied to the fifth node Q15 through the first diode D11 is bypassed 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e second switch S12. Accordingly, the fifth node Q15 maintains the level below the predetermined potential, and accordingly, the first switch driver 610 maintains the level below the predetermined potential to turn off the first switch S11 . Accordingly, while limiting the inrush current through only the resistor R11, the capacitor C12 may be charged with charge.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 전원의 단전 발생 시 항전 장비의 내부 DC 계통은 붕괴되며, 캐패시터(C12)에 충전되어 있던 전력량과 제 1 스위치(S11)를 통하여 항전 장비는 정상 동작을 유지한다. 즉, 입력 전원의 단전 발생 시 제 2 캐패시터(C12)에 충전된 전력이 제 1 스위치(S11)를 통해 제 2 부하(420)로 공급된다. 이때, 항전장비의 DC 전력 계통 붕괴로 제 2 및 제 3 저항(R12, R13)의 전압 분배로 인한 제 2 스위치(S12)는 턴오프되고, 제 4 및 제 5 저항(R14, R15)의 전압 분배를 통하여 제 1 스위치(S11)가 턴온된다. 따라서, 저항(R11)으로 인한 전력손실 없이 일정 시간 동안 항전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제 1 다이오드(D11)에서 발생한 전력손실(다이오드 도통 전압) 없이 고효율 전력 공급 구성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the internal DC system of the avionics equipment is collapsed, and the avionics equipment maintains the normal operation through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 C12 and the first switch S11 . That is,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the power charged in the second capacitor C12 is supplied to the second load 420 through the first switch S11 . At this time, due to the collapse of the DC power system of the avionics equipment, the second switch S12 due to voltage distribution of the second and third resistors R12 and R13 is turned off, and the voltage of the fourth and fifth resistors R14 and R15 is turned off. Through distribution, the first switch S11 is turned 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avionics equip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power loss due to the resistor R11, and a high-efficiency power supply configuration without power loss (diode conduction voltage) occurring in the first diode D11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 정상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저항(R11)을 통하여 제한할 수 있다. 돌입 전류를 저항(R11)을 통하여 제한하는 동시에 입력 전원 단전 시 대응을 위한 제 2 캐패시터(C12)를 충전한다. 정상 상태에서는 시스템 운용을 위해 부하로 전력을 공급한다. 그러나, 입력 전원 단전 시 제 2 스위치(S12)는 턴오프되고 제 1 스위치(S11)는 턴온되어 캐패시터(C12)에 충전된 전원이 제 1 스위치(S11)를 통해 항전 장비에 공급되어 일정 시간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imit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when the system is normally started through the resistor R11. While limiting the inrush current through the resistor R11, the second capacitor C12 is charged to respond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In steady state,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for system operation. However,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the second switch S12 is turned off and the first switch S11 is turned on so that the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 C12 is supplied to the avionics equipment through the first switch S11 for a predetermined time. Normal operation can be maintain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s are for description and not for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정류부 200 : 돌입 전류 제한부
300 : 단전 대응부 400 : 부하
500 : DC/DC 컨버터 600 : 제어부
100: rectifier 200: inrush current limiter
300: power outage response unit 400: load
500: DC/DC converter 600: control unit

Claims (15)

전원 입력 초기에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돌입 전류 제한부;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단전 대응부; 및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는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단전 대응부는,
상기 저항의 전단에 마련된 다이오드와,
상기 저항과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저항을 통해 충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상기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는 전원 제어 장치.
an inrush current limiter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 input;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that supplies pow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ower is cut off;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The inrush current limiter includes a resistor,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a diode provided in front of the resistor;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to charge the input power through the resistor;
and a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sistor,
The first switch is a power control device that is switched by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The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tifie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브릿지 결합된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The power control device of claim 2 , wherein the rectifier includes a plurality of bridge-coupled diod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전 대응부는 입력 전원을 충전하고 단전 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 장치.
The power contro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charges the input power and supplies the charged power when the power is cut off.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와,
입력 전원에 따라 출력 레벨이 조절되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first switch driv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driver whose output leve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put power;
and a second switch driven by the second switch driver to adjust an output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1 전압 분배기와,
제 1 다이오드의 출력을 분배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2 전압 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전원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a first voltage divider configured to distribute input power to adjust an output level of the second switch driver;
The power control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voltage divider for dividing the output of the first diode to adjust the output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입력 초기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돌입 전류 제한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전원 단전 시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여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전 대응부;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 제 1 부하;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단전 대응부와 연결된 제 2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하는 전원 단전 시 기능 정지를 허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부하는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 항전 장비.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 inrush current limiter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 input;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that is charged by the power source and discharges the charged charges when the power is cut off and supplies the power to the power sour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a first loa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and a second loa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outage counter,
The first load is configured as a system that allows a function stop when power is cut off, and the second load is configured as a system that maintains normal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power is cut off.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 단전 시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항전 장비.The avionics device of claim 10 , wherein the second loa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outage countermeasure unit when power is cut off. 삭제delete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입력 초기 발생하는 돌입 전류를 제한하는 돌입 전류 제한부;
전원 단전 시 충전된 전하를 전원으로 공급하는 단전 대응부;
상기 단전 대응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입력 전원 단전 시 기능 정지를 허용하는 제 1 부하;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단전 대응부와 연결되며, 전원 단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정상 동작을 유지하는 제 2 부하를 포함하며,
상기 단전 대응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가 다르고,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는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단전 대응부는 상기 저항과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저항을 통해 충전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전단에 마련된 다이오드와, 상기 캐패시터와 연결되고 상기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와, 입력 전원에 따라 출력 레벨이 조절되는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와, 상기 제 2 스위치 드라이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드라이버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는 다이오드 및 저항을 통해 입력된 전원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해 방전되어 제 2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항전 장비.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 inrush current limiter for limiting the inrush current generated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 input;
a power outage response unit for supplying the charged electric charge to the power source when the power is cut of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a first loa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llowing a function stop when the input power is cut off; and
and a second loa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and maintaining a normal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power is cut off;
The disconnection counterpart has a different charging path and a different discharging path,
The inrush current limiter includes a resistor,
The disconnection counterpart includes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to charge the input power through the resistor, a diod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esistor, and a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capacitor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driv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driver whose output level is adjusted according to input power, and an output level of the first switch driver driven by the second switch driver a second switch for controlling
The capacitor is charged by power input through a diode and a resistor,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witch to supply power to a second loa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단전 대응부는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방전 시 상기 돌입 전류 제한부를 통하지 않고 제 2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항전 장비.The avionics device of claim 13 , wherein the power outage response unit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inrush current limiter, and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loa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rush current limiter during discharging. 삭제delete
KR1020200078770A 2020-06-26 2020-06-26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KR102448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70A KR102448970B1 (en) 2020-06-26 2020-06-26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70A KR102448970B1 (en) 2020-06-26 2020-06-26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45A KR20220000745A (en) 2022-01-04
KR102448970B1 true KR102448970B1 (en) 2022-09-29

Family

ID=7934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70A KR102448970B1 (en) 2020-06-26 2020-06-26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97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5385A (en) * 2014-06-18 2016-0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Power unit and power conver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80B1 (en) * 2001-04-18 2004-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of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of facilities according to temporary interruption of electric power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ies using this
KR101021598B1 (en) * 2009-03-16 2011-03-16 신우전원기술 주식회사 Device of voltage compensation for a momentary power failure
KR101837205B1 (en) 2012-12-31 2018-03-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ystem for storing energ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8232B1 (en) 2013-11-28 2015-07-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Battery Conditioning System an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at Battery Conditioning System
WO2016203635A1 (en) * 2015-06-19 2016-12-2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5385A (en) * 2014-06-18 2016-0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Power unit and power conver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45A (en)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6592B2 (en) Power circuit
US55634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cing and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US9231415B2 (en) Stored electric power discharging circuit for inverter
EP2104201A2 (en) Simple passive solution for providing power interruption capability with controlled inrush current in critical power supply
WO2023078432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KR102448970B1 (en)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US9176556B2 (en) Serial bus voltage compensation
KR102448969B1 (en)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avionics equipment having the same
CN104714582B (en) Star loaded camera electric power system based on magnetic latching relay
US5216286A (en) Uninterrupted power conditioner circuit
US11482854B2 (en) Direct current (DC) circuit breaker
US11095118B2 (en) Controlled holdup discharge for improved component reliability
CN105720814A (en) Power converter, voltage adjusting unit and voltage adjusting method
CN115051443A (en) Camera power supply device for unmanned vehicle and unmanned vehicle
EP3648326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witch power supply for low current standby operation
US20200401173A1 (en) Dual path and mode start-up circuit
US20220231598A1 (en) Power transitioning circuit for dc-dc converter
US3293444A (en) Build-up circuit for series-connected power supplies
US9912239B2 (en) Hold up architecture for power supply with DC-DC converter
CN216672666U (en) Power-off maintaining circuit of inertial navigation device
US11693438B2 (en) Voltage regulation circuit
US10855267B2 (en) Electronic switch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4020115A1 (en) Zener diode power path control for extended operation range of linear power supplies
CN212423029U (en) Discharging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for booster circuit
JP3178314B2 (en) Power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