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607B1 -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607B1
KR102448607B1 KR1020220050833A KR20220050833A KR102448607B1 KR 102448607 B1 KR102448607 B1 KR 102448607B1 KR 1020220050833 A KR1020220050833 A KR 1020220050833A KR 20220050833 A KR20220050833 A KR 20220050833A KR 102448607 B1 KR102448607 B1 KR 102448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flow path
channel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정테크
Priority to KR102022005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정수기 및 수전 등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설정된 경로로 가이드하면서, 단계적으로 여과 및 살균하고, 물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UV광을 발산할 수 있는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를 개시한다.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는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로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유로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관,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유로와 연통되고, 유로를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출관, 유로에 수용되고 유로에서 유동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바디에 결합되고, 유로에 UV광을 발산하여 유로를 유동중인 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UV광 발산유닛 및 유입관에 설치되고, 유입관을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여 UV광 발산유닛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유닛을 포함하고, 유입관은 복수의 관로를 가지며, 발전유닛은 복수의 관로에 설치되어 복수의 위치에서 동시에 전력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UV sterilization device based on self-generation}
본 발명은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에 존재하는 각종 유기 오염물 또는 가스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진다.
그러나, 정수기는 사용자에 의한 물 추출이 이루어지기 전에, 물이 상당시간 저수조 내에 저장되어야 하므로, 2차 세균 발생의 우려가 크다.
이에, 종래에는 물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저수조 내에 살균용도의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살균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저수조 내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종래의 살균 장치 기술은 사용자에 의한 물의 추출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경우, 충분한 살균시간이 확보되지 못하며, 저수조 내로 공급된 상당량의 물이 살균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에게 추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살균수단으로서, 수은 등을 이용한 자외선램프를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그 자외선램프의 수명이 짧고, 보수, 관리,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수방식의 정수기가 개발되었다.
직수방식의 정수기는 저수조를 제거하고, 내부에 다수의 필터를 배치하여 물의 추출이 이루어질 경우 수도관으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여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수방식의 정수기는 필터에 의한 물의 여과는 가능하나, 직수방식의 구조상 자외선램프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물이 살균되지 않은 상태로 추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115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 및 수전 등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설정된 경로로 가이드하면서, 단계적으로 여과 및 살균하고, 물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UV광을 발산할 수 있는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살균 시 UV광을 발산하는 광원을 LED 모듈로 구현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는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흐르는 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자가발전을 기반으로한 UV 살균 장치로서,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유로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관;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를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출관; 상기 유로에 수용되고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유로에 UV광을 발산하여 상기 유로를 유동중인 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UV광 발산유닛; 및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을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UV광 발산유닛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복수의 관로를 가지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복수의 관로에 설치되어 복수의 위치에서 동시에 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유입관은,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일 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일부가 유동되는 제1 분기부; 상기 유입부에서 타 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다른 일부가 유동되는 제2 분기부; 및 일부분이 상기 제1 분기부 및 상기 제2 분기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Y'형상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제1 분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분기부를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전유닛; 및 상기 제2 분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분기부를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기부와, 상기 제2 분기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전유닛과, 상기 제2 발전유닛은, 상기 제2 구간과 상기 제3 구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간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는 터빈부; 및 상기 유입관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터빈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관에 연통되고,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여과챔버; 상기 여과챔버 및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고, 상기 UV광에 노출되는 살균챔버들; 및 상기 여과챔버 및 상기 살균챔버들을 연통시켜 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챔버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여과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채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완화되도록 상기 채널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는 제1 버퍼챔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버퍼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여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딜레이 챔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딜레이 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을 완화되도록 상기 채널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며, 물에 저항을 가하여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혼합챔버; 및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혼합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고, 상기 채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완화되도록 상기 채널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는 제2 버퍼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딜레이 챔버는, 상기 딜레이 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딜레이 챔버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면서, 일 방향으로 흐르는 물을 연속적으로 분기시키는 제1 저항부재들; 및 상기 제1 저항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경사진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부재들은, 상기 딜레이 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1 저항부재; 및 상기 딜레이 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2 저항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챔버는,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2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혼합챔버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면서, 일 방향으로 흐르는 물을 연속적으로 분기시키는 제2 저항부재들; 및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부재들은,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1 저항부재; 및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2 저항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들은, 상기 여과챔버의 하부와 상기 제1 버퍼챔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채널; 상기 제1 버퍼챔버의 상부와 상기 딜레이 챔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채널; 상기 딜레이 챔버의 하부와 상기 혼합챔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채널; 및 상기 혼합챔버의 상부와 상기 제2 버퍼챔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4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여과챔버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필터 교체홀; 상기 필터 교체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캡; 상기 필터의 상태를 확인 가능한 상태 확인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챔버는,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1 여과구간; 상기 제1 버퍼챔버 및 상기 필터 교체홀과 연통되는 제2 여과구간; 및 상기 제1 여과구간 및 상기 제2 여과구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여과구간 및 상기 제2 여과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연결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제1 여과구간에 수용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2 여과구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제2 필터부; 및 상기 연결구간에 압입되어 상기 제1 여과구간과 상기 제2 여과구간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UV광 발산유닛은, 상기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버퍼챔버 및 상기 딜레이 챔버에 UV-A광 및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제1 광 발산유닛; 상기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혼합챔버 및 상기 제2 버퍼챔버에 상기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제2 광 발산유닛; 및 상기 바디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광 발산유닛 및 상기 제2 광 발산유닛에서 발산된 상기 UV-A광 및 상기 UV-C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배출부를 통과하는 물의 난류성 유동을 층류성 유동으로 전환하여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격자형상의 제1 수류 안정화 필터;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여과 플레이트; 및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여과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배출관을 통과하는 물의 난류성 유동을 층류성 유동으로 전환하여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격자형상의 제2 수류 안정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챔버들은, 상기 제1 버퍼챔버와 상기 딜레이 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채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는 나선챔버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나선챔버들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버퍼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나선챔버; 및 상기 제1 나선챔버와 상기 딜레이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나선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버퍼챔버의 상부와 상기 제1 나선챔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1 채널부; 상기 제1 나선챔버의 하부와 상기 제2 나선챔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2 채널부; 및 상기 제2 나선챔버의 상부와 상기 딜레이 챔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3 채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들은, 상기 제2-1 채널부, 상기 제2-3 채널부 및 상기 제4 채널과 연결되는 바이패스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제2-1 채널부에 연결되는 제1 바이패스 채널부; 상기 제2-3 채널부에 연결되는 제2 바이패스 채널부; 상기 제4 채널에 연결되는 제3 바이패스 채널부; 및 상기 제1 바이패스 채널부, 상기 제2 바이패스 채널부 및 상기 제3 바이패스 채널부를 연결하는 제4 바이패스 채널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채널들에 배치되어 상기 채널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들은, 상기 제2-1 채널부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 상기 제2-3 채널부를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 상기 제4 채널을 개폐하는 제3 개폐밸브; 상기 제1 바이패스 채널부를 개폐하는 제4 개폐밸브; 상기 제2 바이패스 채널부를 개폐하는 제5 개폐밸브; 및 상기 제3 바이패스 채널부를 개폐하는 제6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UV광 발산유닛은, 상기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나선챔버와 상기 제2 나선챔버에 UV-A광 및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제3 광 발산유닛;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4 바이패스 채널부에 UV-A광 및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제4 광 발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설정된 경로로 가이드하면서, 단계적으로 여과 및 살균하므로, 물의 정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 화학적 방식을 이용한 살균 방식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신속하게 물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살균 시 UV광을 발산하는 광원을 LED 모듈로 구현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유입관을 분기관 형태로 구현하고, 각 분기관에 복수의 발전유닛이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발전되므로, 전력생산량을 극대화하여 UV광 발산유닛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관 및 발전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챔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챔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한 UV 살균 장치(1000)(이하 'UV 살균 장치(1000)'라 함)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흐르는 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된다.
UV 살균 장치(1000)는 바디(1), 유입관(2), 배출관(4), 필터(5), UV광 발산유닛(6) 및 발전유닛(3)을 포함한다.
바디(1)는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유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유입관(2)은 바디(1)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로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유로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배출관(4)은 바디(1)의 하부에 결합되어 유로와 연통되고, 유로를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필터(5)는 유로에 수용되고 유로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UV광 발산유닛(6)은 바디(1)에 결합되고, 유로에 UV광을 발산하여 유로를 유동중인 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된다.
발전유닛(3)은 유입관(2)에 설치되고, 유입관(2)을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여 UV광 발산유닛(6)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UV 살균 장치(1000)는 발전유닛(3)에서 생성되는 전력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관 및 발전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입관(2)은 복수의 관로를 가지며, 발전유닛(3)은 복수의 관로에 설치되어 복수의 위치에서 동시에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유입관(2)은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21)와, 유입부(21)에서 일 측으로 분기되어 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된 물의 일부가 유동되는 제1 분기부(22)와, 유입부(21)에서 타 측으로 분기되어 유입부(21)를 통해 유입된 물의 다른 일부가 유동되는 제2 분기부(23)와, 일부분이 제1 분기부(22) 및 제2 분기부(23)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이 바디(1)에 결합되는 'Y'형상의 배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기부(22)와, 제2 분기부(23)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기부(22)와, 제2 분기부(23)는, 각각, 유입부(21)와 연통되어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간(S1)과, 제1 구간(S1)의 전방에 배치되고, 유입부(21)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구간(S2)과, 제2 구간(S2)의 전방에 배치되어 배출부(24)와 연통되고,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제3 구간(S3)을 포함할 수 있다.
발전유닛(3)은 제1 분기부(22)에 결합되고, 제1 분기부(22)를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전유닛(31)과, 제2 분기부(23)에 결합되고, 제2 분기부(23)를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전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전유닛(31)과, 제2 발전유닛(32)은, 동일한 구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전유닛(31)과, 제2 발전유닛(32)은, 각각, 제2 구간(S2)과 제3 구간(S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구간(S2)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는 터빈부(T)와, 유입관(2)의 외면에 배치되고, 터빈부(T)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전부(G)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UV 살균 장치(1000)는 유입관(2)을 분기관 형태로 구현하고, 각 분기관에 복수의 발전유닛(3)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력생산량을 극대화하여 UV광 발산유닛(6)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에 형성된 유로는 여과챔버(11)와, 살균챔버들(12)과, 채널들(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챔버(11)는 유입관(2)에 연통되고, 필터(5)가 수용될 수 있다.
살균챔버들(12)은 여과챔버(11) 및 배출관(4)에 연통되고, UV광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살균챔버들(12)은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완화시키면서, 내부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여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균챔버들(12)은 제1 버퍼챔버(121), 딜레이 챔버(122), 혼합챔버(123) 및 제2 버퍼챔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챔버(121)는 좌우방향을 따라 여과챔버(11)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채널(1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완화되도록 채널(13)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딜레이 챔버(122)는 좌우방향을 따라 제1 버퍼챔버(121)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여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챔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딜레이 챔버(122)는 제1 저항부재들(122A) 및 제1 가이드벽(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항부재들(122A)은 딜레이 챔버(122)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 각도(θ1)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딜레이 챔버(122)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면서, 일 방향으로 흐르는 물을 연속적으로 분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저항부재들(122A)은 딜레이 챔버(122)의 중심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1 저항부재(122A1)와, 딜레이 챔버(122)의 중심축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2 저항부재(12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벽(122B)은 제1 저항부재(122A)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경사진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경사부(122B1)와, 경사부(122B1)로부터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22B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혼합챔버(123)는 좌우방향을 따라 딜레이 챔버(122)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을 완화되도록 채널(13)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며, 물에 저항을 가하여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챔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혼합챔버(123)는 제2 저항부재들(123A) 및 제2 가이드벽(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항부재들(123A)은 혼합챔버(123)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2 각도(θ2)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혼합챔버(123)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면서, 일 방향으로 흐르는 물을 연속적으로 분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저항부재들(123A)은 혼합챔버(123)의 중심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1 저항부재(123A1)와, 혼합챔버(123)의 중심축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2 저항부재(123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벽(123B)은 혼합챔버(123)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버퍼챔버(124)는 좌우방향을 따라 혼합챔버(123)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배출관(4)에 연통되고, 채널(1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완화되도록 채널(13)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채널들(13)은 여과챔버(11) 및 살균챔버들(12)을 연통시켜 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들(13)은 여과챔버(11)의 하부와 제1 버퍼챔버(121)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채널(131)과, 제1 버퍼챔버(121)의 상부와 딜레이 챔버(122)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채널(132)과, 딜레이 챔버(122)의 하부와 혼합챔버(123)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채널(133)과, 혼합챔버(123)의 상부와 제2 버퍼챔버(124)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4 채널(1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는 여과챔버(11)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필터 교체홀(16)과, 필터 교체홀(1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캡(14)과, 필터(5)의 상태를 확인 가능한 상태 확인창(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여과챔버(11)는 유입관(2)과 연통되는 제1 여과구간(111)과, 제1 버퍼챔버(121) 및 필터 교체홀(16)과 연통되는 제2 여과구간(112)과, 제1 여과구간(111) 및 제2 여과구간(112)을 연통시키고, 제1 여과구간(111) 및 제2 여과구간(1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연결구간(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5)는 제1 여과구간(111)에 수용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제1 필터부(51)와, 제2 여과구간(112)에 수용되고, 제1 필터부(51)를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제2 필터부(52)와, 연결구간(113)에 압입되어 제1 여과구간(111)과 제2 여과구간(112)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UV광 발산유닛(6)은 제1 광 발산유닛(61), 제2 광 발산유닛(62) 및 반사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발산유닛(61)은 바디(1)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1 버퍼챔버(121) 및 딜레이 챔버(122)에 UV-A광 및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광 발산유닛(62)은 바디(1)의 전면에 결합되고, 혼합챔버(123) 및 제2 버퍼챔버(124)에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사판(63)은 바디(1)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어 제1 광 발산유닛(61) 및 제2 광 발산유닛(62)에서 발산된 UV-A광 및 UV-C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중 살균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판(63)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UV 살균 장치(1000)는 바디(1), 유입관(2), 배출관(4), 필터(5), UV광 발산유닛(6) 및 발전유닛(3)을 수용 및 지지하는 하우징과, UV광 발산유닛(6) 및 발전유닛(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UV 살균 장치(1000)는 제1 수류 안정화 필터(7), 여과 플레이트(8) 및 제2 수류 안정화 필터(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류 안정화 필터(7)는 배출부(24)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배출부(24)를 통과하는 물의 난류성 유동을 층류성 유동으로 전환하여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 플레이트(8)는 배출관(4)의 내부에 배치되고, 배출관(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플레이트(8)는 매쉬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류 안정화 필터(9)는 배출관(4)의 내부에 수용되어 여과 플레이트(8)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배출관(4)을 통과하는 물의 난류성 유동을 층류성 유동으로 전환하여 물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살균챔버들(12)은 나선챔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선챔버들은 제1 버퍼챔버(121)와 딜레이 챔버(122) 사이에 배치되고, 채널(1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선챔버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제1 버퍼챔버(121)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나선챔버(125)와, 제1 나선챔버(125)와 딜레이 챔버(1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나선챔버(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채널(132)은 제1 버퍼챔버(121)의 상부와 제1 나선챔버(125)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1 채널부(132A)와, 제1 나선챔버(125)의 하부와 제2 나선챔버(126)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2 채널부(132B)와, 제2 나선챔버(126)의 상부와 딜레이 챔버(122)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3 채널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들(13)은 제2-1 채널부(132A), 제2-3 채널부(132C) 및 제4 채널(134)과 연결되는 바이패스 채널(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채널(135)은 제2-1 채널부(132A)에 연결되는 제1 바이패스 채널부(135A)와, 제2-3 채널부(132C)에 연결되는 제2 바이패스 채널부(135B)와, 제4 채널(134)에 연결되는 제3 바이패스 채널부(135C)와, 제1 바이패스 채널부(135A), 제2 바이패스 채널부(135B) 및 제3 바이패스 채널부(135C)를 연결하는 제4 바이패스 채널부(13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UV광 발산유닛(6)은 바디(1)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1 나선챔버(125)와 제2 나선챔버(126)에 UV-A광 및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제3 광 발산유닛(64)과, 바디(1)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4 바이패스 채널부(135D)에 UV-A광 및 UV-C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제4 광 발산유닛(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UV 살균 장치(1000)는 채널들(13)에 배치되어 채널들(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들(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밸브들(127)은 제2-1 채널부(132A)를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127A)와, 제2-3 채널부(132C)를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127B)와, 제4 채널(134)을 개폐하는 제3 개폐밸브(127C)와, 제1 바이패스 채널부(135A)를 개폐하는 제4 개폐밸브(127D)와, 제2 바이패스 채널부(135B)를 개폐하는 제5 개폐밸브(127E)와, 제3 바이패스 채널부(135C)를 개폐하는 제6 개폐밸브(127F)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설정된 경로로 가이드하면서, 단계적으로 여과 및 살균하므로, 물의 정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 화학적 방식을 이용한 살균 방식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신속하게 물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살균 시 UV광을 발산하는 광원을 LED 모듈로 구현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유입관(2)을 분기관 형태로 구현하고, 각 분기관에 복수의 발전유닛(3)이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발전되므로, 전력생산량을 극대화하여 UV광 발산유닛(6)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UV 살균 장치
1. 바디
11. 여과챔버
111. 제1 여과구간
112. 제2 여과구간
113. 연결구간
12. 살균챔버들
121. 제1 버퍼챔버
122. 딜레이 챔버
122A. 제1 저항부재들
122A1. 제1-1 저항부재
122A2. 제1-2 저항부재
122B. 제1 가이드벽
122B1. 경사부
122B2. 전환부
123. 혼합챔버
123A. 제2 저항부재들
123A1. 제2-1 저항부재
123A2. 제2-2 저항부재
123B. 제2 가이드벽
124. 제2 버퍼챔버
125. 제1 나선챔버
126. 제2 나선챔버
127. 개폐밸브들
127A. 제1 개폐밸브
127B. 제2 개폐밸브
127C. 제3 개폐밸브
127D. 제4 개폐밸브
127E. 제5 개폐밸브
127F. 제6 개폐밸브
13. 채널들
131. 제1 채널
132. 제2 채널
132A. 제2-1 채널부
132B. 제2-2 채널부
132C. 제2-3 채널부
133. 제3 채널
134. 제4 채널
135. 바이패스 채널
135A. 제1 바이패스 채널부
135B. 제2 바이패스 채널부
135C. 제3 바이패스 채널부
135D. 제4 바이패스 채널부
14. 개폐 캡
15. 상태 확인창
16. 필터 교체홀
2. 유입관
21. 유입부
22. 제1 분기부
23. 제2 분기부
S1. 제1 구간
S2. 제2 구간
S3. 제3 구간
24. 배출부
3. 발전유닛
31. 제1 발전유닛
32. 제2 발전유닛
T. 터빈부
G. 발전부
4. 배출관
5. 필터
51. 제1 필터부
52. 제2 필터부
53. 차폐부
6. UV광 발산유닛
61. 제1 광 발산유닛
62. 제2 광 발산유닛
63. 반사판
64. 제3 광 발산유닛
65. 제4 광 발산유닛
7. 제1 수류 안정화 필터
8. 여과 플레이트
9. 제2 수류 안정화 필터

Claims (3)

  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내부에 흐르는 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자가발전을 기반으로한 UV 살균 장치로서,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유로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입관;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를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출관;
    상기 유로에 수용되고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는 필터;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유로에 UV광을 발산하여 상기 유로를 유동중인 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되는 UV광 발산유닛; 및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을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UV광 발산유닛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발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복수의 관로를 가지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복수의 관로에 설치되어 복수의 위치에서 동시에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유입관은,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일 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일부가 유동되는 제1 분기부;
    상기 유입부에서 타 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다른 일부가 유동되는 제2 분기부; 및
    일부분이 상기 제1 분기부 및 상기 제2 분기부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Y'형상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제1 분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분기부를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전유닛; 및
    상기 제2 분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분기부를 흐르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기부와, 상기 제2 분기부는,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전유닛과, 상기 제2 발전유닛은,
    상기 제2 구간과 상기 제3 구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간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가압되어 회전되는 터빈부; 및
    상기 유입관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터빈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발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유입관에 연통되고,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여과챔버;
    상기 여과챔버 및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고, 상기 UV광에 노출되는 살균챔버들; 및
    상기 여과챔버 및 상기 살균챔버들을 연통시켜 물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챔버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여과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채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완화되도록 상기 채널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는 제1 버퍼챔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버퍼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여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딜레이 챔버;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딜레이 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을 완화되도록 상기 채널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며, 물에 저항을 가하여 물의 흐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혼합챔버; 및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상기 혼합챔버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고, 상기 채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압력이 완화되도록 상기 채널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는 제2 버퍼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딜레이 챔버는,
    상기 딜레이 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딜레이 챔버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면서, 일 방향으로 흐르는 물을 연속적으로 분기시키는 제1 저항부재들; 및
    상기 제1 저항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경사진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부재들은,
    상기 딜레이 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1 저항부재; 및
    상기 딜레이 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2 저항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챔버는,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제2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혼합챔버에 흐르는 물에 저항을 가하면서, 일 방향으로 흐르는 물을 연속적으로 분기시키는 제2 저항부재들; 및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부재들은,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1 저항부재; 및
    상기 혼합챔버의 중심축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10도 이상 45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2 저항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들은,
    상기 여과챔버의 하부와 상기 제1 버퍼챔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채널;
    상기 제1 버퍼챔버의 상부와 상기 딜레이 챔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채널;
    상기 딜레이 챔버의 하부와 상기 혼합챔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채널; 및
    상기 혼합챔버의 상부와 상기 제2 버퍼챔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4 채널;을 포함하는,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0833A 2022-04-25 2022-04-25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KR102448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833A KR102448607B1 (ko) 2022-04-25 2022-04-25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833A KR102448607B1 (ko) 2022-04-25 2022-04-25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607B1 true KR102448607B1 (ko) 2022-09-30

Family

ID=8345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833A KR102448607B1 (ko) 2022-04-25 2022-04-25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6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597U (ko) 1993-10-14 1995-05-16 동건통상 주식회사 정수기
KR100452432B1 (ko) * 2002-03-18 2004-10-14 곽종운 수처리시스템의 입자분리장치
KR20080039355A (ko) * 2008-03-14 2008-05-07 주식회사기영미다스 자가발전 기능을 갖는 자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급수용살균장치
KR20200129419A (ko) * 2019-05-08 2020-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경재배용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597U (ko) 1993-10-14 1995-05-16 동건통상 주식회사 정수기
KR100452432B1 (ko) * 2002-03-18 2004-10-14 곽종운 수처리시스템의 입자분리장치
KR20080039355A (ko) * 2008-03-14 2008-05-07 주식회사기영미다스 자가발전 기능을 갖는 자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급수용살균장치
KR20200129419A (ko) * 2019-05-08 2020-11-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경재배용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6416B (zh) 一种具有双层腔体结构的紫外线消毒器
CN106379958B (zh) 水处理杀菌装置、水处理杀菌系统及净水装置
EP4286029A2 (en)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ying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ying device
EP1714944A1 (en) Fluid disinfection apparatus and system
JP3226482U (ja) 水殺菌管
TW201701938A (zh) 淨水器及淨水器用濾心匣
CN106115843B (zh) 一种水流杀菌模组
KR102448607B1 (ko) 자가발전을 기반으로 한 uv 살균 장치
KR20110038896A (ko) 정수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1353582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유체 정화 장치
CN210122497U (zh) 一种水路杀菌装置
AU2014319795B2 (en) Ultraviolet irradiation device
KR101816864B1 (ko) 정수기 배관용 살균모듈
CN207451672U (zh) 一种具有uv杀菌功能的水龙头
KR101544923B1 (ko) 정수기
CN106216114B (zh) 花洒机构、沐浴装置及花洒抑菌方法
CN213526528U (zh) 灭菌模组
CN207684935U (zh) 具有uv杀菌功能的水龙头
JP2013184127A (ja) 紫外線水処理装置
KR20220169633A (ko) 자외선 살균 시스템
RU233546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ных сред
CN214457001U (zh) 一种uvc杀菌灯
CN114195219B (zh) 杀菌装置
CN215855224U (zh) 密闭式紫外线净水消毒装置
CN219429758U (zh) 流动水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