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298B1 -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298B1
KR102448298B1 KR1020150162007A KR20150162007A KR102448298B1 KR 102448298 B1 KR102448298 B1 KR 102448298B1 KR 1020150162007 A KR1020150162007 A KR 1020150162007A KR 20150162007 A KR20150162007 A KR 20150162007A KR 102448298 B1 KR102448298 B1 KR 10244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lead
tab
lead tab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156A (ko
Inventor
왕한준
문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298B1/ko
Priority to US15/354,441 priority patent/US10573934B2/en
Publication of KR2017005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 상기 복수의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복수의 셀을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리드 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은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배열된 순서대로 포개진 배터리 팩을 구현하여 조립공정 시간이 단축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를 구비한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이다. 상기 이차 전지는 발전소와 같은 기존의 전력계통은 물론 태양 에너지 기타 신재생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전자기기는 물론 자동차나 전력공급이 필요한 대형 설비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 고출력 또는 고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단위 전지를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하기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차 전지의 충전 및/또는 방전을 제어하고 과충전 및/또는 과방전을 방지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셀을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 상기 복수의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복수의 셀을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리드 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은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배열된 순서대로 포개진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순서대로 배열된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리드 탭, 상기 제1 리드 탭 상에 포개지고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리드 탭, 상기 제2 리드 탭 상에 포개지고 상기 제3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3 리드 탭, 및 상기 제3 리드 탭 상에 포개지고 상기 제4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4 리드 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은, 측면에 상기 보호회로모듈이 고정되는 제1 셀, 상기 제1 셀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셀과 직렬 연결되는 제2 셀 및 상기 제2 셀에 적층되고, 상기 제2 셀과 직렬 연결되는 제3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은 각각,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가 구비된 단자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2 셀의 단자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2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3 셀의 단자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의 제1 전극이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의 제2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셀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리드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셀의 제2 전극과 상기 제2 셀의 제1 전극은 상기 제2 리드 탭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과 상기 제3 셀의 제1 전극은 상기 제3 리드 탭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은 상기 제4 리드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 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탭 내지 제4 리드 탭은 상기 제1 셀의 측면상에 서로 포개지되, 상기 제1 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1 리드 탭이 가장 길고 상기 제4 리드 탭이 가장 짧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은 각각,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면 및 상기 단자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셀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1 셀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드 탭 각각은 표면이 절연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셀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에 리드 탭을 연결하는 리드 탭 연결 단계 및 직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셀을 보호회로모듈에 연결하는 보호회로모듈 연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 연결 단계는 복수의 리드 탭이 포개진 순서대로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연결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탭 연결 단계는, 제1 셀의 제1 전극에 제1 리드 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셀의 제2 전극 및 제2 셀의 제1 전극을 제2 리드 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 및 제3 셀의 제1 전극을 제3 리드 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에 제4 리드 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셀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는, 상기 제1 리드 탭에 상기 제2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 상기 제2 리드 탭에 상기 제3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 및 상기 제3 리드 탭에 상기 제4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드 탭에 상기 제3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는, 상기 제1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2 셀의 단자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셀을 회전시켜 상기 제2 리드 탭에 상기 제3 리드 탭을 포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순서대로 복수의 리드 탭이 일렬로 정렬되므로 공정 시간이 단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보호회로모듈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전지 및 전극단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1 리드탭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리드탭이 전지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2 리드탭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2 리드탭이 전지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3 리드탭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3 리드탭이 전지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4 리드탭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4 리드탭이 전지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복수의 전지에 복수의 리드 탭이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전지에 연결된 제1 리드탭이 절곡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전지에 연결된 제2 리드탭이 절곡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전지에 연결된 제3 리드탭이 절곡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전지에 연결된 제4 리드탭이 절곡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제3 및 제4 리드탭이 제1 및 제2 리드탭에 중첩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어떤 구성의 전지여도 좋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어떤 구성의 전지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보호회로모듈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셀(100A, 100B, 100C), 보호회로모듈(300), 상기 복수의 셀을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리드탭(260, 270, 280, 290) 및 복수의 절연부재(410, 4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셀(100A, 100B, 100C)은 제1 셀(100A), 제2 셀(100B) 및 제3 셀(100C)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셀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진지이다. 상기 복수의 셀은 구성이 동일하며, 도 3에 100번으로 표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셀(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셀(100)은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110)에 밀봉되며, 일면(113)에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가 구비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는 제1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제2 전극이 차례로 적층되거나 적층 후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극성이 반대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양극이다.
상기 셀의 케이스(110)는 대략적으로 육면체이며, 상대적으로 넓은 두 개의 면과 상기 두 개의 면을 연결하는 테두리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적으로 넓은 두 개의 면은 서로 마주본다. 상기 테두리는 상기 상대적으로 넓은 면의 테두리에서 두 면 사이를 연결하며, 상대적으로 넓은 면과 대체적으로 수직하다.
상기 케이스(110)의 테두리는 상대적으로 좁은 4 개의 면(113, 115, 117, 118)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의 테두리의 4개의 면 중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와 상기 제2 전극 단자(112)가 구비되는 면을 설명의 편의상 단자면(113)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면(113)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면을 설명의 편의상 바닥면(115)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의 4 개의 면 중 상기 단자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면을 측면(117, 118)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117, 118)은 상기 상대적으로 넓은 두 개의 면과 대체적으로 수직하고, 또한 상기 단자면(113) 및 상기 바닥면(115)과도 대체적으로 수직하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케이스(110)의 두 개의 측면 중 외측 리드(134)에 인접한 측면을 제1 측면(117),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와 인접한 측면을 제2 측면(118)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에는 온도소자 조립체(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도소자 조립체는 셀(100)의 온도가 기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끊어져 전류를 차단한다. 상기 온도소자 조립체(120)는 온도 소자(131), 상기 온도 소자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되는 내측 및 외측 리드(133, 134), 상기 온도소자와 리드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21)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리드(133)는 상기 온도 소자(131)를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외측 리드(134)는 상기 내측 리드(133)의 반대편에서 상기 온도 소자(131)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121)에 고정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외부 단자로 기능한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절연성 부재로서, 판상의 몸체(125)에 구비된 구멍(122)을 통해 상기 내측 리드(133)와 상기 제1 전극 단자(111)가 용접된다.
상기 지지부재(121) 상에는 상기 내측 리드(133) 및 상기 외측 리드(134)와 각각 용접된 온도 소자(131)가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재(121)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내측 리드(133)와 상기 외측 리드(13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23, 124)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 리드(133)와 상기 외측 리드(134)에는 각각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123, 124)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외측 및 내측 리드가 상기 지지부재(12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돌기(123, 124)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외측 리드 및 상기 내측 리드 각각의 구멍의 직경보다 더 커짐으로서 상기 외측 및 내측 리드들이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온도소자 조립체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온도가 기결정된 값 이상일 때 전류를 차단하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셀(100)의 각 부분은 다른 도면에서 각 셀에 부여된 알파벳을 붙여 구별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120A로 표시한 제1 셀(100A)의 온도소자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도 3의 셀(100)의 온도소자 조립체(120)와 구성이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제2 셀(100B)의 온도소자 조립체(120B) 및 제3 셀의 온도소자 조립체(120C)도 도 3의 셀(100)의 온도소자 조립체(120)와 구성이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3에 표시된 번호 뒤에 A가 붙은 경우 제1 셀의 해당 구성이며, B가 붙은 경우 제2 셀의 해당 구성이며, C가 붙은 경우 제3 셀의 해당 구성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셀(100A)과 상기 제2 셀(100B)은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며, 상기 제1 셀(100A)의 단자면(113A)과 상기 제2 셀(100B)의 단자면(113B)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 셀(100C)은 상기 제2 셀(100B)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3 셀(100C)의 단자면(113C)이 상기 제2 셀(100B)의 단자면(113B)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셀(100A, 100B, 100C)은 상기 제2 및 제3 리드 탭(270, 280)에 의해 직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셀(100A)의 제2 전극 단자(112A)와 상기 제2 셀(100B)의 제1 전극 단자가 제2 리드 탭(27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셀(100B)의 제2 전극 단자(112B)와 상기 제3 셀(100C)의 제1 전극 단자가 상기 제3 리드 탭(2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리드 탭(260)은 상기 제1 셀(100A)의 제1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렬 연결된 세 개의 셀(100A, 100B, 100C)의 제1 전극(B-)으로 기능한다. 상기 제4 리드 탭(290)은 상기 제3 셀(100C)의 제2 전극 단자(11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렬 연결된 세 개의 셀(100A, 100B, 100C)의 제2 전극(B+)으로 기능한다.
도 4는 상기 제1 리드 탭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1 리드 탭이 상기 제1 셀의 제1 전극 단자와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1 리드 탭(260)은, 상기 제1 셀의 제1 전극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탭(211) 및 상기 제1 연결 탭(211)에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까지 연장되는 제1 연장 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 탭은 상기 제1 셀(100A)의 모서리에서 꺽여 상기 제1 셀(100A)의 제1 측면(117A)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연결부(360)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연장 탭은 상기 제1 연결부(360)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261)를 제외하고 표면이 절연 코팅되어있다.
상기 제1 연결 탭(211)은 상기 제1 셀(100A)의 외측 리드(134A)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셀(100A)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 탭(211)은 상기 제1 셀의 외측 리드(134A)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탭(211)은 용접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셀의 외측 리드(134A)를 향해 돌출된 원형의 비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탭(211)은 상기 원형의 비드 사이에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탭은 상기 제1 연결 탭(211)에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셀의 제1 전극 단자를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 연장 탭은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장 탭은,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제1 연결 탭(211)에서 상기 제1 셀의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부분(264),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제1 절곡부(263),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상기 제1 연결부(360)까지 연장되는 부분(262) 및 상기 제1 연결부(360)에 고정되는 제1 삽입부(26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부(261)는 상기 제1 연장 탭의 끝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360)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연장 탭의 상기 제1 절곡부(263)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폭방향 양 테두리에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절곡부(263)는 홈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연장 탭의 절곡부 테두리에 홈이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는 점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2 내지 제4 리드 탭(270, 280, 290)에서도 동일하다.
도 6은 상기 제2 리드 탭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2 리드 탭이 상기 제1 셀의 제2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셀의 제1 전극 단자와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2 리드 탭(270)은 상기 제1 셀의 제2 전극 단자와 상기 제2 셀의 제1 전극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탭(221, 222, 224) 및 상기 제2 연결 탭에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까지 연장되는 제2 연장 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장 탭은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2 연결 탭은 상기 제1 셀의 제2 전극 단자(112A)에 고정되는 제1 셀 측 고정부(222), 상기 제2 셀의 외측 리드(134B)에 고정되는 제2 셀 측 고정부(221), 상기 제1 셀 측 고정부(222)와 상기 제2 셀 측 고정부(221)를 연결하는 연결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 탭의 제1 셀 측 고정부(222)와 제2 셀 측 고정부(22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셀 측 고정부(222)와 상기 제2 셀 측 고정부(221)는 상기 연결부(22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 탭이 대체적으로 U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탭의 제1 셀 측 고정부(222)와 제2 셀 측 고정부(221)는 각각 원형 비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 탭의 제1 셀 측 고정부(222)와 제2 셀 측 고정부(221)는 각각 상기 원형 비드 사이에 구멍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연장 탭은 상기 제2 연결 탭의 제1 셀 측 고정부(222)에서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2 연결부(370)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2 연장 탭은 상기 제1 셀 측 고정부(222)와 상기 제2 셀 측 고정부(221) 사이로 연장되며, 제1 셀의 단자면(113A) 상에 구비되는 온도소자 조립체(120A)의 실루엣을 따라 연장되기 위해 단차진 단턱(27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장 탭은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상기 제2 연결 탭의 제1 셀측 고정부(222)에서 상기 제1 셀의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274, 275, 276, 277),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제2 절곡부(273), 상기 제2 절곡부에서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상기 제2 연결부(370)까지 연장되는 부분(272), 상기 제2 연결부(370)에 고정되는 제2 삽입부(27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삽입부(271)는 상기 제2 연장 탭의 끝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부(370)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연장 탭이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 연결 탭의 제1 셀측 고정부(222)에서 연장되면서 거의 180도로 접힌 부분(277), 상기 접힌 부분(277)에서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상기 제1 셀의 온도소자 조립체(120A)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275), 상기 제1 셀의 온도소자 조립체(120A) 상면을 따라 더 연장되기 위한 단턱(276), 상기 단턱(276)에서 상기 제1 셀의 온도소자 조립체(120A)의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셀의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부분(27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장 탭은 상기 제2 삽입부(271)를 제외하고 표면이 절연 코팅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제3 리드 탭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3 리드 탭이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 단자 및 상기 제3 셀의 제1 전극 단자와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3 리드 탭(280)은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 단자와 상기 제3 셀의 제1 전극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연결 탭(231, 232, 234) 및 상기 제2 연결 탭에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을 향해 연장되는 제3 연장 탭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연장 탭은 상기 제3 연결 탭에서 상기 제2 셀의 단자면(113B)을 향해 접혀 상기 제3 연결 탭과 중첩되며,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 더 연장된다.
상기 제3 연결 탭은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 단자(112B)에 고정되는 제2 셀 측 고정부(232), 상기 제3 셀의 외측 리드(134C)에 고정되는 제3 셀 측 고정부(231), 상기 제2 셀 측 고정부(232)와 상기 제3 셀 측 고정부(231)를 연결하는 연결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연결 탭의 제2 셀 측 고정부(232)와 제3 셀 측 고정부(231)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각 원형 비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연결 탭의 제2 셀 측 고정부(232)와 제3 셀 측 고정부(231)는 각각 상기 원형 비드 사이에 구멍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연장 탭은 상기 제3 연결 탭의 제2 셀 측 고정부(232)에서 180도 절곡되어 상기 제2 셀의 단자면(113B)과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3 연결부(380)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3 연장 탭이 상기 제3 연결 탭에서 상기 제1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2 셀의 단자면 사이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 연결 탭의 제2 셀 측 고정부(232)에서 연장되면서 접힌 부분(287), 상기 접힌 부분에서 상기 제2 셀의 단자면(113B)과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3 연결 탭의 연결부(234)와 중첩되는 부분(285)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연장 탭이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중첩되는 부분(285)부터 상기 제1 셀의 모서리까지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284),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되는 제3 절곡부(283), 상기 제3 절곡부(283)에서 상기 제3 연결부(380)까지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 및 상기 제3 연결부(380)에 고정되는 제3 삽입부(281)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삽입부(281)는 상기 제3 연장 탭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연결부(380)에 삽입된다.
상기 제3 연장 탭은 상기 제3 셀의 단자면(113C) 상에 놓이게 되는 상기 중첩되는 부분(285)과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284) 사이에 형성된 단턱(28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연장 탭은 상기 제3 삽입부(281)를 제외하고 표면이 절연 코팅되어 있다.
도 10은 상기 제4 리드 탭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4 리드 탭이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 단자와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4 리드 탭(290)은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 단자(112C)에 고정되는 제4 연결 탭(242) 및 상기 제4 연결 탭에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까지 연장되는 제4 연장 탭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연장 탭은 상기 제4 연결 탭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3 셀의 단자면(113C)을 따라 연장되다가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4 연결부(390)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4 연결 탭(242)은 상기 제3 셀(100C)의 제2 전극 단자(112C)에 고정된다. 상기 제4 연결 탭(242)은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 단자(112C)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연결 탭(242)은 용접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 단자(112C)를 향해 돌출된 원형의 비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연결 탭(242)은 상기 원형의 비드 사이에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장 탭은, 상기 제4 연결 탭(242)에서 상기 제1 셀의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된 제4 절곡부(293), 상기 제4 절곡부에서 상기 제4 연결부(390)까지 연장되는 부분(292), 상기 제4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4 삽입부(291)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삽입부(291)는 상기 제4 연장 탭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4 연결부(390)에 삽입된다.
상기 제4 연장 탭이 상기 제4 연결 탭(242)에서 상기 제1 셀의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4 연결 탭(242)에서 연장되면서 거의 180도 접힌 부분(297), 상기 접힌 부분에서 상기 제3 셀의 단자면(113C)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4 연결 탭(242)과 중첩되는 부분(295),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과 상기 제2 셀의 단자면(113B) 사이에서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294), 상기 중첩되는 부분(295)과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294) 사이를 잇는 단턱(296)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연장 탭은 상기 제4 삽입부(291)를 제외하고 표면이 절연 코팅되어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4 리드 탭은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300)까지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 상에서 차례로 중첩된다.
상기 제1 연장 탭이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360)까지 연장되는 부분(262)의 길이(d1)는 상기 복수의 리드 탭(260, 270, 280, 290)이 각각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 중에서 가장 길다. 그리고 제4 연장 탭이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상기 제4 연결부(390)까지 연장되는 부분(292)의 길이(d4)는 상기 복수의 리드 탭(260, 270, 280, 290)이 각각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 중에서 가장 짧다.
상기 제2 연장 탭이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상기 제2 연결부(370)까지 연장되는 부분(272)의 길이(d2)는 상기 제1 연장 탭의 해당 부분(262)의 길이(d1)보다는 짧고 상기 제3 연장 탭의 해당 부분(282)의 길이(d3)보다는 길다. 상기 제3 연장 탭이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상기 제3 연결부(380)까지 연장되는 부분(282)의 길이(d3)는 상기 제2 연장 탭의 해당 부분(272)의 길이(d2)보다 짧고 상기 제4 연장 탭의 해당 부분(292)의 길이(d4)보다는 길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리드 탭 중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제일 긴 제1 리드 탭(260)이 가장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드 탭(260) 위에 상기 제2 리드 탭(270)이 놓이고, 상기 제2 리드 탭(270) 위에 상기 제3 리드 탭(280)이 놓이고, 상기 제3 리드 탭(280) 위에 상기 제4 리드 탭(290)이 놓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가장 긴 제1 리드 탭(260)부터 가장 길이가 짧은 제4 리드 탭(290)까지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 상에서 차례로 포개지므로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부(261, 271, 281, 291)가 서로 겹치지 않고 일렬로 정렬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은 회로기판(310), 상기 회로기판(310)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360, 370, 380, 390), 상기 회로기판에 부착된 복수의 절연 테이프(320),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360, 370, 380, 390)는, 순서대로 일렬로 배열된 제1 연결부(360), 제2 연결부(370), 제3 연결부(380) 및 제4 연결부(3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직렬 연결된 제1 내지 제3 셀의 제1 전극(B-)에 해당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직렬 연결된 제1 내지 제3 셀의 제2 전극(B+)에 해당한다.
상기 회로기판(310)은 상기 제1 셀(100A)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며,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는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에 면한 상기 회로기판(310)의 테두리에 가깝게 위치하되, 상기 회로기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의 배치순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 탭(260, 270, 280, 290)이 각각 상기 보호회로모듈(300)과 연결되는 순서와 동일하다. 서로 직렬 연결된 상기 제1 내지 제3 셀(100A, 100B, 100C)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드 탭에 의해 서로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1 리드 탭이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의 제1 전극에 해당하고 상기 제4 리드 탭이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의 제2 전극에 해당하며 각각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리드 탭과 상기 제3 리드 탭은 셀 간 전압의 모니터링을 위해 각각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조립공정에서, 상기 복수의 리드 탭(260, 270, 280, 290)을 각각 제1 내지 제4 연결부(360, 370, 380, 390)에 연결할 때 웨이크 업(wake up)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드 탭이 대응되는 연결부에 용접되는 순서에 맞춰서 제1 내지 제4 삽입부가 배열되므로 빠른 용접이 가능하다.
웨이크 업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복수의 리드 탭 중 제1 리드 탭(260)의 제1 삽입부(261)를 제1 연결부(360)에 용접하고, 그 다음에 제2 리드 탭(270)의 제2 삽입부(271)를 상기 제2 연결부(370)에 용접하고, 그 다음에 제3 리드 탭(280)의 제3 삽입부(281)를 상기 제3 연결부(380)에 용접하고, 마지막으로 제4 리드 탭(290)의 제4 삽입부(291)를 상기 제4 연결부(390)에 용접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용접 순서대로 리드 탭의 각 삽입부(261, 271, 281, 291)가 배열되고, 각 삽입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 연결부(360, 370, 380, 390)가 순차로 배열되므로 순서대로 빠르게 용접할 수 있다.
도 12은 복수의 셀에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이 각각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6은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이 상기 제1 셀의 테두리를 따라서 절곡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을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 상에 차례로 정렬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셀(100A, 100B, 100C)은 각 단자면(113A, 113B, 113C)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제1 셀(100A)의 제2 전극 단자(112A)와 상기 제3 셀(100C)의 제2 전극 단자(112C)는 같은 쪽에 위치하도록 정렬된다. 상기 제2 셀(100B)은 상기 제1 셀(100A)과 상기 제3 셀(100C) 사이에 위치하되, 제2 셀의 온도소자 조립체(120B)가 상기 제1 셀 및 제3 셀의 제2 전극 단자(112A, 112C)와 같은 쪽에 놓이도록 정렬된다. 이렇게 적층된 상기 제1 내지 제3 셀(100A, 100B, 100C)은 복수의 리드 탭에 의해 서로 직렬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 탭(211)은 상기 제1 셀(100A)의 외측 리드(134A)에 용접된다. 상기 제2 연결 탭은 상기 제1 셀(100A)의 제2 전극 단자(112A)와 상기 제2 셀의 외측 리드(134B)에 각각 용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결 탭의 제1 셀 측 고정부(222)는 상기 제1 셀(100A)의 제2 전극 단자(112A)에 용접되고, 상기 제2 연결 탭의 제2 셀 측 고정부(221)는 상기 제2 셀(100B)의 외측 리드(134B)에 용접된다.
상기 제3 연결 탭은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 단자(112B)와 상기 제3 셀의 외측 리드(134C)에 각각 용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연결 탭의 제2 셀 측 고정부(232)는 상기 제2 셀(100B)의 상기 제2 전극 단자(112B)에 용접되고, 상기 제3 연결 탭의 제3 셀 측 고정부(231)는 상기 제3 셀(100C)의 외측 리드(134C)에 용접된다. 상기 제4 연결 탭(242)은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 단자(112C)에 용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셀의 대응되는 전극 단자에 용접된 각 리드 탭은 제1 셀의 제1 측면(117A) 상에 순서대로 적층되어 제1 내지 제4 삽입부(261, 271, 281,291)가 일렬로 정렬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리드 탭(260)은 상기 제1 삽입부(261)가 상기 제1 셀의 제1 측면(117A) 쪽에 놓이도록 상기 제1 셀의 모서리를 따라 절곡된다. 상기 제1 리드 탭(260)이 절곡되어 상기 제1 셀의 측면(117A) 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1 절곡부(263)가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리드 탭(270)은 상기 제2 연결 탭에서 연장되는 부분이 거의 180도로 접히면서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 상으로 안착된다. 상기 제2 리드 탭(270)은 상기 제1 리드 탭(260) 상에 중첩되도록 정렬되고 상기 제1 셀의 모서리를 따라 절곡되어 제2 절곡부(27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절곡부(273)에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272)은 상기 제1 리드 탭(260) 상에 중첩되게 되며, 상기 제2 삽입부(271)가 상기 제1 삽입부(261) 옆에 정렬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4 리드 탭(290)은 상기 제4 연결 탭(242)에서 연장되는 부분이 거의 180도로 접히면서 상기 제3 셀의 단자면(113C) 및 상기 제2 셀의 단자면(113B)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4 절곡부(293)는 상기 제4 연결 탭(242)이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전에 미리 절곡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셀(100A)이 상기 제2 셀(100B)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펼쳐지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제4 절곡부(293)가 형성되어도 좋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리드 탭(280)은 상기 제3 연결 탭에서 연장되는 부분이 거의 180도로 접히면서 상기 제3 연결 탭 상에 안착되고, 동시에 상기 제4 리드 탭(290)이 상기 제2 셀의 단자면(113B)에 안착된 부분(294)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절곡부(283)는 상기 제3 연결 탭이 상기 제2 및 제3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전에 미리 절곡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4 절곡부(293)가 형성되기 전의 임의의 시점 또는 상기 제4 절곡부(293)가 형성된 후 상기 제1 셀(100A)이 펼쳐지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 상기 제3 절곡부(283)가 형성되어도 좋다.
도 16에서 상기 제3 리드 탭(280)의 접힌 부분(287)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3 리드 탭(280)과 상기 제4 리드 탭(290)은 서로 포개어지고 상기 제3 삽입부(281)와 상기 제4 삽입부(291)는 옆에 나란히 정렬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셀(100A)이 상기 제2 셀(100B)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과 상기 제2 셀의 단자면(113B)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셀(100A)을 180도 회전시킨다. 상기 제1 셀(100A)과 상기 제2 셀(100B)은 상기 제2 리드 탭(27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셀(100A)은 상기 제1 셀의 단자면(113A) 쪽을 회전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된다. 상기 제1 셀이 180도 회전되면 도 2의 상태가 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삽입부(261, 271, 281, 291)는 상기 제1 셀의 측면(117A)을 따라 정렬된다. 도 17과 같이 제1 셀(100A)이 180도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리드 탭(270)은 도 6에 도시한 형상이 된다.
도 2와 같이 제1 내지 제4 삽입부(261, 271, 281, 291)가 정렬되면,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부(360, 270, 280, 290)에 각각 삽입한 후 제1 연결부(360), 제2 연결부(370), 제3 연결부(380), 제4 연결부(390)의 순서로 순차로 각 삽입부와 함께 용접한다. 이렇게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을 상기 복수의 리드 탭(260, 270, 280, 290)에 순차적으로 용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셀이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100A, 100B, 100C: 제1 내지 제3 셀, 300: 보호회로모듈
260, 270, 280, 290: 제1 내지 제4 리드 탭

Claims (15)

  1.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
    상기 복수의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복수의 셀을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리드 탭;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은, 상기 복수의 연결부가 배열된 순서대로 포개지며,
    상기 복수의 셀 중에서 제1 셀은 보호회로모듈이 고정되는 측면과 전극 단자가 형성된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드 탭은 상기 제1 셀의 측면과 단자면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절곡되는 배터리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순서대로 배열된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리드 탭;
    상기 제1 리드 탭 상에 포개지고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리드 탭;
    상기 제2 리드 탭 상에 포개지고 상기 제3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3 리드 탭;
    상기 제3 리드 탭 상에 포개지고 상기 제4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4 리드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은,
    상기 제1 셀;
    상기 제1 셀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셀과 직렬 연결되는 제2 셀; 및
    상기 제2 셀에 적층되고, 상기 제2 셀과 직렬 연결되는 제3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은 각각,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가 구비된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2 셀의 단자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은 각각,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가 구비된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3 셀의 단자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의 제1 전극이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의 제2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은, 상기 제1 셀, 제2 셀 및 제3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리드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셀의 제2 전극과 상기 제2 셀의 제1 전극은 상기 제2 리드 탭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과 상기 제3 셀의 제1 전극은 상기 제3 리드 탭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은 상기 제4 리드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팩.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 탭은 상기 제1 셀의 모서리에서 각각 절곡된
    배터리 팩.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탭 내지 제4 리드 탭은 상기 제1 셀의 측면상에 서로 포개지되, 상기 제1 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제1 리드 탭이 가장 길고 상기 제4 리드 탭이 가장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상기 단자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1 셀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탭 각각은 표면이 절연 코팅된
    배터리 팩.
  12. 복수의 셀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에 리드 탭을 연결하는 리드 탭 연결 단계; 및
    직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셀을 보호회로모듈에 연결하는 보호회로모듈 연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 연결 단계는,
    복수의 리드 탭이 포개진 순서대로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연결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 연결 단계는,
    제1 셀의 제1 전극에 제1 리드 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셀의 제2 전극 및 제2 셀의 제1 전극을 제2 리드 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셀의 제2 전극 및 제3 셀의 제1 전극을 제3 리드 탭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셀의 제2 전극에 제4 리드 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는,
    상기 제1 리드 탭에 상기 제2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
    상기 제2 리드 탭에 상기 제3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 및
    상기 제3 리드 탭에 상기 제4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드 탭에 상기 제3 리드 탭을 포개는 단계는,
    상기 제1 셀의 단자면과 상기 제2 셀의 단자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셀을 회전시켜 상기 제2 리드 탭에 상기 제3 리드 탭을 포개는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
KR1020150162007A 2015-11-18 2015-11-18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07A KR102448298B1 (ko) 2015-11-18 2015-11-18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US15/354,441 US10573934B2 (en) 2015-11-18 2016-11-17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007A KR102448298B1 (ko) 2015-11-18 2015-11-18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56A KR20170058156A (ko) 2017-05-26
KR102448298B1 true KR102448298B1 (ko) 2022-09-28

Family

ID=5869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007A KR102448298B1 (ko) 2015-11-18 2015-11-18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73934B2 (ko)
KR (1) KR1024482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2334A1 (en) * 2010-08-30 2012-03-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20130266823A1 (en) * 2012-04-06 2013-10-1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6696B2 (ja) 2003-02-14 2006-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US8822051B2 (en) * 2010-11-12 2014-09-02 Samsung Sdi Co., Ltd. Protection circuit module including thermistor an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1397025B1 (ko) 2012-09-10 2014-05-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드탭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지 모듈
KR20160051476A (ko) * 2014-11-03 201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2334A1 (en) * 2010-08-30 2012-03-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20130266823A1 (en) * 2012-04-06 2013-10-1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73934B2 (en) 2020-02-25
US20170141437A1 (en) 2017-05-18
KR20170058156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8483B2 (en) Battery pack
KR102397218B1 (ko) 배터리 팩
EP3236512B1 (en) Method for welding electrode leads of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mpact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101817237B1 (ko)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EP3062365A1 (en) Battery pack
KR101808310B1 (ko)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EP2624335B1 (en)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60172635A1 (en) Battery Cell having a Prismatic or Cylindrical Housing, Battery Module and Motor Vehicle
KR102229624B1 (ko) 이차전지
KR101526457B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US11469472B2 (en) Battery pack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331064B1 (ko) 전지 팩
US10305073B2 (en)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cells with terraces supported by support ribs
EP3451434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150137840A (ko)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0651457B2 (en) Battery module
KR102459622B1 (ko) 배터리 팩
KR20170028069A (ko) 전지 모듈
US8557417B2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62543A (ko) 2차 전지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 모듈
KR102278443B1 (ko) 이차 전지
KR102448298B1 (ko)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036300A1 (en) Battery pack
KR102062316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9564621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