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627B1 -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 Google Patents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627B1
KR102447627B1 KR1020220058347A KR20220058347A KR102447627B1 KR 102447627 B1 KR102447627 B1 KR 102447627B1 KR 1020220058347 A KR1020220058347 A KR 1020220058347A KR 20220058347 A KR20220058347 A KR 20220058347A KR 102447627 B1 KR102447627 B1 KR 10244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e
combustion
stage
combustion chamber
st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선
이공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림
Priority to KR102022005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6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2Travelling-grates inclined travelling grates; Stepped travell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8Details
    • F23H11/20Driving-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7/00Details of grates
    • F23H17/12Fire-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101Furnace arrangements with stepped or inclined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2900/00Special features of combustion grates
    • F23H2900/17002Detachable or removable worn-out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ocker incinerator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by suppressing the wear of a grate. The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an inlet hopp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introduce waste, a grate module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configured in a stepped structure, and an ash outlet and an incineration ash outlet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격자의 마모를 억제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스토커식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cker-type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cker-type incinerator capable of increasing durability by suppressing abrasion of a grate.

생활 또는 산업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는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이 있으며, 이 중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나 모든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경우,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위생적 처리가 어려우므로 소각에 의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안이 가장 적합하다.There are landfill, incineration, and recycling as treatment methods for household or industrial waste. Among them, recycling as a resource is the most preferable method, but not all wastes can be recycled as resources, and in the case of waste generated at the workplace, recycling is not possible. Since it is almost impossible or difficult to sanitize, a sanitary and safe treatment method by incineration is the most suitable.

소각에 의한 방식으로는 처리대상 폐기물의 종류와 처리량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로 분류되는 데, 이 중 스토커식 소각로는 폐기물을 화격자 위에 펼쳐놓고 소각하는 방식으로 건설이 용이하고 저발열량에서부터 고발열량을 가진 폐기물까지 폭넓게 고형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토커식 소각로는 다른 방식에 비하여 많은 폐기물량을 처리할 수 있어 대형 소각로에 많이 이용된다. The incineration method is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waste to be treat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inerate a wide range of solid wastes. In addition, the stocker-type incinerator can handle a large amount of waste compared to other methods, so it is widely used in large-scale incinerators.

스토커식 소각로는 화격자의 형태에 따라 여로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푸셔 타입(pusher type)과 무빙 그레이트 타입(moving grat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The stocker-type incinerator can be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ate, but can be typically divided into a pusher type and a moving grate type.

종래의 스토커식 소각로는 연소되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화격자 모듈이 소각실내에 구비된다. 화격자 모듈은 통상적으로 순차적인 세부 소각공정에 따라 건조단(DS),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으로 구획되어 설계되고, 각 소각단을 단위로 하여 화격자가 독립적으로 운전된다. 이 경우 각 소각단의 경계 즉, 건조단(DS)과 연소단(CS)의 경계 또는 연소단(CS)과 후연소단(PCS)의 경계는 소위 낙차단(FS)을 이룬다. A conventional stocker-type incinerator is a device for transporting combusted waste, and a grate module is provided in the incineration chamber. The grate module is usually designed by being divided into a drying stage (DS), a combustion stage (CS), and a post-incineration stage (PCS) according to a sequential detailed incineration process, and the grate is operated independently by each incineration stage as a unit. In this case, the boundary of each incineration stage, that is, the boundary between the dry end DS and the combustion stage CS, or the boundary between the combustion stage CS and the post-incineration stage PCS, forms a so-called falling end FS.

건조단(DS),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은 고정 화격자와 이동 화격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이동 화격자가 고정 화격자 사이에서 전후로 왕복 운동을 하여 폐기물을 이동시킨다. The drying stage (DS), the combustion stage (CS), and the post combustion stage (PCS) are constituted by alternating fixed grates and moving grates, and the moving grates reciprocate back and forth between the fixed grates to move waste.

상술한 종래의 화격자 모듈은 이동 화격자가 고정 화격자의 상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화격자간의 상대운동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마찰로 인하여 서로간의 표면은 불규칙적으로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the conventional grate module described above, friction occurs due to relative motion between the grates while the moving grate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grate,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surfaces causes irregular wear. do.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39248호에는 스토커식 소각로의 화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As a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8-0039248 discloses a grate wear prevention system of a stocker-type incinerator.

상기 화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은 이동화격자의 단부에 라이너 플레이트를 고정하여 마모된 라이너 플레이트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grate wear prevention system is configured so that only the worn liner plate can be replaced by fixing the liner plate to the end of the moving grate.

하지만, 상기 라이너 플레이트는 이동화격자의 단부측 하부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화격자의 단부측 전면에서 폐기물과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liner plate is installed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nd side of the mobile gr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revent abrasion due to contact with waste from the front side of the end side of the moving grate.

한편, 푸셔 타입 화격자의 경우 고정 화격자와 이동 화격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이동 화격자가 고정 화격자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여 폐기물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푸셔 타입의 화격자는 폐기물을 건조 및 가스화시키는 건조단, 건조단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 연소 후 남은 탄소까지 연소시키기 위한 후연소단으로 나누어지며, 건조단, 연소단, 후연소단 순으로 온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주로 연소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건조단, 연소단 및 후연소단이 단부에 위치하는 고정 화격자 부분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며 급격하게 온도가 상승하여, 고형물질 중의 무기물질들이 용융됨에 따라 클링커를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usher type grate, a fixed grate and a moving grate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moving grate reciprocates between the fixed grates to move the waste. Therefore, the pusher-type grate is divided into a drying stage for drying and gasifying waste, a combustion stage for burning the gasified waste in the drying stage, and a post-burning stage for burning the remaining carbon after combustion. The temperature increases in the order of combustion stage. And the dry end, the combustion end, and the post-combustion end, where the combustion air is mainly introduced, are burned in the fixed grate part located at the ends, and the temperature rises rapidly, so that the inorganic materials in the solid material are melted to form clinker. do.

특히, 건조단과 연소단의 경계 또는 연소단과 후연소단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용 내화벽돌에 클링커가 쉽게 부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inker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refractory bricks for the fall block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ry end and the combustion end o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mbustion end and the post combustion end.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39248호: 스토커식 소각로의 회격자 마모 방지 시스템1.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1998-0039248: System for preventing grating wear of stocker-type incinerator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3850호: 스토커 소각로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3850: Stocker Incinerato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화격자의 마모를 억제하여 소각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스토커식 소각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cker-type incine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incinerator by suppressing abrasion of the gra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입구에 설치되어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연소실에 설치되며 계단식 구조로 형성된 화격자모듈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형성된 회분배출구 및 소각재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화격자모듈은 폐기물의 건조 및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건조단과, 상기 건조단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과, 상기 연소단에서 연소 후 잔존 유기물을 연소시키는 후연소단과,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 각각은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화격자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화격자와 접촉하는 라이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플레이트와, 상기 저면플레이트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한다. Stocker-type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combustion chamber; an input hopper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to which waste is input; a grate module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and an ash outlet and an incineration ash outlet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wherein the grate module includes a drying stage where the waste is dried and gasified; a post combustion stage for burning organic matter, and a falling end installed at a boundary between the drying stage and the combustion stage, wherein a fixed grate and a mobile grat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each of the drying stage, the combustion stage, and the post combustion stage; The moving grate includes a main body coupled to a support rod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and a liner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the fixed grate, wherein the liner part includes a front plate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plate It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저면플레이트는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라인홈들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라인홈들이 형성된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line grooves are form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n which the line grooves are formed.

상기 낙차단은 다수의 낙차단용 화격자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루며, 상기 낙차단용 화격자는 상기 건조단에 포함된 고정 화격자의 하방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지지봉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단에 포함된 이동 화격자의 상방에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전면이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In the drop end, a plurality of fall cut grat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row, and the fall cut grate is a top plate installed below a fixed grate included in the drying end, an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pport rods. It includes a supporting part supported, a wall part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part and installed above a moving grate included in the combustion stage, and a protrusion part formed to protrude to the front from the upper plate part, wherein the wall part has an upper par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front side retreats in the rear direction as it progresses downward.

상기 벽부를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키기 위한 스윙수단을 더 구비한다. A swing means for swinging the wall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urther provided.

상기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2차 연소시키는 보조연소실;을 더 구비한다.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for secondary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화격자에 라이너부를 설치하여 이동화격자의 전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화격자와 고정화격자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모까지 억제함으로써 소각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grate can be suppressed by installing the liner part on the moving grate, and at the same time, the durability of the incinerator can be increased by suppressing wear occurring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moving grate and the fixed grate.

또한, 본 발명은 낙차단용 화격자가 폐기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낙차단용 화격자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클링커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p-cutting grate has a structure that minimizes contact with waste, so it is possible to reduce abrasion of the fall-cutting grate and effectively suppress the clinker's adhe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화격자 모듈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적용된 이동 화격자를 뒤집어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에 적용된 화격자 모듈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스토커식 소각로에 적용된 화격자 모듈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ocker-type incinera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grate module applied to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grate applied in FIG. 2 upside dow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ure 2,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grate module applied to a stocker-type inci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grate module applied to a stocker-type inci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FIG. 8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ocker-type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는 연소실(1)과, 연소실(1)의 입구에 설치되어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3)와, 연소실(1)에 설치되며 계단식 구조로 형성된 화격자모듈과, 연소실(1)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2차 연소시키는 보조연소실(9)과, 연소실(1)의 하부에 형성된 회분배출구(4) 및 소각재배출구(6)를 포함한다. 1 to 6 , the stocker-type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1, an input hopper 3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combustion chamber 1 to receive waste, and a combustion chamber 1 The grate module installed and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9 for secondary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 the ash outlet 4 and the incineration ash outlet 6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1 includes

연소실(1)은 폐기물의 연소되는 공간이다. The combustion chamber 1 is a space in which waste is burned.

연소실(1)의 상부에는 폐기물이 투입되는 입구가 마련된다. 입구에는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3)가 설치된다. 투입호퍼(3)의 하부에는 푸셔(2)가 설치된다. 푸셔(2)는 투입호퍼(3)로부터 공급되는 폐기물들이 먼저 적재되도록 단을 형성하며, 적재된 폐기물들을 밀어 화격자모듈로 이송시킨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 is provided with an inlet into which the waste is input. An input hopper (3) for inputting wast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A pusher (2)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hopper (3). The pusher 2 forms a stage so that the wastes supplied from the input hopper 3 are loaded first, and pushes the loaded wastes to the grate module.

연소실(1)의 하부에는 회분배출구(4)와 소각재배출구(6)가 각각 마련된다. 폐기물의 연소시 아래로 떨어지는 회분은 회분배출구(4)를 통해 배출하고, 폐기물을 연소시키고 남은 소각재는 소각재배출구(6)를 통해 배출된다. 회분배출구(4) 하부에는 회분 회수를 위한 컨베이어(5)가 설치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 is provided with an ash outlet (4) and an incineration ash outlet (6), respectively. The ash falling down when the waste is burned is discharged through the ash outlet (4), and the remaining incinerated ash after burning the waste is discharged through the incineration ash outlet (6). A conveyor 5 for ash recovery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sh outlet 4 .

보조연소실(9)은 연소실(1)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2차 연소시킨다.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9 burns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 secondarily.

보조연소실(9)은 연소실(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1연소가스배출구(7)에 연결된다. 연소실(1)로부터 유입된 연소 가스를 2차 연소시킨 후 배출하기 위한 제 2연소가스배출구(8)가 보조연소실(9)에 형성된다.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9)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bustion gas outlet (7)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 A second combustion gas outlet 8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 after secondary combustion is formed in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9 .

보조연소실(9)의 하부에는 집진부(11)가 형성된다. 집진부(11)는 2차 연소 과정을 거친 배출 가스와 연소실(1)로부터 비산되어 유입되거나 2차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분진들을 분리한다. 그리고, 집진부(11)에서 분리된 분진은 집진부(11) 하부에 형성된 분진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A dust collecting part 1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9 . The dust collector 11 separates the exhaust gas that has undergone the secondary combustion process and the dust that is scattered and introduc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 or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process. Then,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11 is discharged through the dust outlet 12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1 .

화격자모듈은 폐기물의 건조 및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건조단(DS)과, 건조단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CS)과, 연소단에서 연소 후 남은 유기물을 연소시키는 후연소단(PCS)과, 건조단(DS)과 연소단(CS)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30)을 구비한다. The grate module consists of a drying stage (DS) where the waste is dried and gasified, a combustion stage (CS) that burns the gasified waste in the drying stage, and a post-combustion stage (PCS) that burns the remaining organic matter after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stage. , and a falling end 30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drying end DS and the combustion end CS.

건조단(DS)과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 각각은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가 계단식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In each of the drying stage DS, the combustion stage CS, and the post combustion stage PCS, a fixed grate and a mobile grat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steps.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20)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 열이다. 고정 화격자(20)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20a)에 결합된다. A plurality of fixed grates 20 of the drying end D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row. This row is the fixed grate row of the drying end (DS). The fixed grate 20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20a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그리고 건조단(DS)의 이동화격자(23) 역시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건조단(DS)의 이동 화격자 열이다. 이동 화격자(23)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23a)에 결합된다. 지지봉(23a)은 통상적인 왕복동 장치(15)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ving grates 23 of the drying end DS are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row. This row is the moving grate row of the drying end (DS). The moving grate 23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23a tha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he support rod 23a is installed in a moving frame tha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by a conventional reciprocating device 15 .

연소단(CS)의 고정 화격자(27)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연소단(CS)의 고정 화격자 열이다. 고정 화격자(27)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27a)에 결합된다. A plurality of fixed grates 27 of the combustion stage C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row. This row is the fixed grate row of the combustion stage CS. The fixed grate 27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27a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그리고 연소단(CS)의 이동화격자(25) 역시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연소단(CS)의 이동 화격자 열이다. 이동 화격자(25)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25a)에 결합된다. 지지봉(25a)은 통상적인 왕복동 장치(16)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된다. And a plurality of moving grate 25 of the combustion stage (CS) is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row. This row is the moving grate row of the combustion stage CS. The moving grate 25 is coupled to a support rod 25a tha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he support rod (25a) is installed in a moving frame tha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by a conventional reciprocating device (16).

후연소단(PCS)의 고정 화격자(28)는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후연소단(PCS)의 고정 화격자 열이다. 고정 화격자(28)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봉에 결합된다. A plurality of fixed grates 28 of the post combustion stage (PC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row. This row is the fixed grate row of the post combustion stage (PCS). The fixed grate 28 is coupled to a support rod installed in the fixed frame.

그리고 후연소단(PCS)의 이동화격자(29) 역시 다수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이 열이 후연소단(PCS)의 이동 화격자 열이다. 이동 화격자(29)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에 결합된다. 지지봉은 통상적인 왕복동 장치(17)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된다. And a plurality of moving grate 29 of the post combustion stage (PCS) is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row. This row is the moving grate row of the post combustion stage (PCS). The moving grate 29 is coupled to a support rod tha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he support rod is installed in a moving frame that reciprocates back and forth by a conventional reciprocating device 17 .

건조단(DS)과 연소단(CS) 및 후연소단(PCS)에 적용되는 이동화격자는 마모 억제를 위해 라이너부를 구비한다. The moving grate applied to the drying end DS, the combustion end CS, and the post combustion end PCS includes a liner part to suppress wear.

건조단(DS)의 이동화격자(23), 연소단(CS)의 이동화격자(25), 후연소단(PCS)의 이동화격자(29)는 모두 동일한 구조이므로, 건조단(DS)의 이동화격자(23)를 예로 들어 라이너부를 설명한다. Since the mobile grate 23 of the dry end DS, the mobile grate 25 of the combustion end CS, and the mobile grate 29 of the post combustion end PCS have the same structure, the mobile grate of the dry end DS (23) is taken as an example and the liner part is demonstrated.

이동화격자(23)는 지지봉(23a)에 결합되는 본체(51)와, 본체(5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화격자와 접촉하는 라이너부(60)를 구비한다. The mobile grate 23 includes a main body 51 coupled to the support rod 23a, and a liner unit 60 coupled to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51 to contact the fixed grate.

본체(51)는 상판부(52)와, 상판부(5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스커트부(53)와, 상판부(52)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부(54)와, 상판부(52)의 후면측에 형성되어 지지봉(23a)과 연결되는 지지부(56)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51 includes an upper plate part 52, a skirt part 53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part 52, a front part 5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52, and a rea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52. It is formed and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56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23a).

상술한 본체(51)는 통상적인 화격자의 구조이다. 본체(51)는 내열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하이크롬(Hi-Cr)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합금 또는 특수강을 이용해 제작할 수도 있다.The body 51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rate. The body 51 is preferably made of high-chromium (Hi-Cr) steel having excellent heat-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but may also be manufactured using various alloys or special steels.

라이너부(60)는 본체(51)의 전면부(54)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liner part 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part 54 of the body 51 .

도시된 라이너부(60)는 전면부(54)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플레이트(61)와, 전면플레이트(61)의 하부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전면부(5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플레이트(63)와, 저면플레이트(63)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면부(54)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57)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7)를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liner part 60 includes a front plate 61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rt 54 , and a bottom plate 63 formed to be bent under the front plate 61 an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54 . ) and an insertion protrusion 67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plate 63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7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art 54 .

전면플레이트(6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전면플레이트(61)가 전면부(54)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부(54)에는 전면플레이트(61)가 장착되는 인입홈(54a)이 마련된다. 전면부(54)의 인입홈(54a)에 전면플레이트(61)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플레이트(61)는 전면부(54)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The front plate 6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 inlet groove 54a in which the front plate 61 is mounted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54 so that the front plate 61 can be mounted on the front part 54 .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late 61 is mounted in the inlet groove 54a of the front part 54 , the front plate 61 does not protrud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ont part 54 .

전면플레이트(61)는 소각로의 내부에 투입된 폐기물이 위에서부터 밀려 내려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화격자(23)의 전면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이동화격자(23)의 전면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front plate 61 serves to block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grate 23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aste inputted into the incinerator from abo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a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grate 23 .

저면플레이트(63)는 전면플레이트(61)의 하부에서 직각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저면플레이트(63)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저면플레이트(63)는 전면플레이트(61)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저면플레이트(63)는 전면부(54)의 하부에 결합된다. The bottom plate 63 is formed to be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61 . The bottom plate 63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bottom plate 63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front plate 61 . The bottom plate 63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54 .

삽입돌기(67)는 저면플레이트(63)의 상부에 형성된다. 삽입돌기(67)는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삽입돌기(67)가 전면부(5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부(54)의 하부에는 삽입돌기(6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57)이 형성된다. 삽입돌기(67)는 라이너부(60)의 조립성을 높임과 동시에 라이너부(60)의 변형을 방지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insertion protrusion 67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63 . The insertion protrusion 67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back. A coupling groove 57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trusion 67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54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67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54 . The insertion protrusion 67 serves to improve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liner unit 60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iner unit 60 to improve strength.

라이너부(60)를 전면부(54)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저면플레이트(63)에는 나사삽입홈(64)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삽입홈(64)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체결홈(58)이 형성된다. 나사체결홈(58)은 전면부(54)의 하부에 형성된다. 나사삽입홈(64)에 고정나사(54)를 삽입하여 나사체결홈(58)에 체결시키면 라이너부(60)가 전면부(54)에 결합된다. 고정나사(54)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나사(54)의 머리부가 저면플레이트(63)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나사삽입홈(64)에 고정나사(65)의 머리부까지 삽입된다. A plurality of screw insertion grooves 64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63 to couple the liner part 60 to the front part 54 to be detachably attached. And a screw fastening groove 58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insertion groove 64 . The screw fastening groove 58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54 . When the fixing screw 54 is inserted into the screw insertion groove 64 and fastened to the screw fastening groove 58 , the liner part 60 is coupled to the front part 54 . In a state in which the set screw 54 is fastened, the head of the set screw 54 is inserted into the screw insertion groove 64 up to the head of the set screw 65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to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plate 63 .

상술한 라이너부(60)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부(60)의 소재는 고정화격자(20)의 소재보다 다소 강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화격자(23)가 고정 화격자(20)의 상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 마찰로 인하여 라이너부(60)의 저면플레이트(63)가 마모된다. 저면플레이트(63)가 마모되면 라이너부(60)를 탈착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라이너부로 교체한다. The above-described liner unit 6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ceramic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liner part 60 has slightly lower strength than the material of the fixed grating 20 . Friction occurs while the moving grate 23 linearly reciprocat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grate 20, and the friction causes the bottom plate 63 of the liner part 60 to be worn. When the bottom plate 63 is worn, the liner unit 60 is detachably removed and replaced with a new liner unit.

건조단(DS)의 고정화격자(20), 연소단(CS)의 고정화격자(27), 후연소단(PCS)의 고정화격자(28)는 모두 동일한 구조로서,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다. The fixed grate 20 of the dry end DS, the fixed grate 27 of the combustion end CS, and the fixed grate 28 of the post combustion end PCS all have the same structure and have a typical structur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화격자(23)에 라이너부(60)를 설치하여 이동화격자(23)의 전면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화격자(23)와 고정화격자(20)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모까지 억제하여 이동화격자(23)와 고정화격자(2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grate 23 can be suppressed by installing the liner unit 60 on the moving grate 23, and at the same time, it occurs 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moving grate 23 and the fixed grate 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mobile grate 23 and the fixed grate 20 by suppressing wear and tear.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부(60)의 저면플레이트(63)의 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라인홈들(66a)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라인홈(66a)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시된 라인홈(66a)은 단면이 사각 형상인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인홈(66a)은 기계적인 가공이나 화학적인 가공에 의해 저면플레이트(63)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할 수 있다. 라인홈(66a)은 코팅층(66b)의 결합력을 높인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 a plurality of line grooves 66a may be form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3 of the liner unit 60 . The line grooves 66a ar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llustrated line groove 66a is formed of a groov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line groove 66a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ottom plate 63 by mechanical processing or chemical processing. The line groove 66a increases the bonding force of the coating layer 66b.

라인홈들(66a)이 형성된 저면플레이트(63)의 저면에는 코팅층(66b)이 형성된다. 이동화격자(23)의 전후 왕복 이동시 고정화격자(20)와 접촉되는 코팅층(66b)은 고정화격자(20)보다 마모가 먼저 이루어져 고정화격자(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A coating layer 66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3 in which the line grooves 66a are formed. When the moving grate 23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he coating layer 66b in contact with the fixed grate 20 is worn before the fixed grate 20 and serves to protect the fixed grate 20 .

코팅층(66b)은 크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66b)은 두께가 0.01 내지 0.1mm일 수 있다. 코팅층(66b)은 저면플레이트(63) 표면의 평활성을 높여 이물질이나 클링커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ating layer 66b may be formed of chromium. The coating layer 66b may have a thickness of 0.01 to 0.1 mm. The coating layer 66b can prevent the adhesion of foreign substances or clinker by increasing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3 .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경질크롬도금(hard chromium plating)에 의해 코팅층(66b)을 형성할 수 있다. 코팅층(66b)의 형성 방법은 전기도금이나 증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증착으로 각종 물리적 또는 화학적 증착이 가능하다. In order to increase wear resistance, the coating layer 66b may be formed by hard chromium plating. The method of forming the coating layer 66b may be performed by electroplating or vapor deposition. Various types of physical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are possible by vapor deposition.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낙차단(30)은 다수의 낙차단용 화격자(31)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룬다. Referring back to FIGS. 1 to 6 , the drop-cutting stage 30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all-cutting grates 31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낙차단용 화격자(31)는 ㄱ자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다. 낙차단용 화격자(31)는 내열강 재질의 금속으로 제작된다. The drop-blocking grate 31 has a curved L-shape. The drop-blocking grate 31 is made of a heat-resistant steel material.

도시된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상판부(32)와, 상판부(32)의 후면에 형성되어 지지봉(7)에 지지되는 지지부(33)와, 상판부(32)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벽부(37)와, 상판부(32)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5)를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drop-blocking grate 31 includes an upper plate part 32, a support part 33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32 and supported on a support rod 7, and a wall part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part 32. (37) and a protrusion (35)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late (32) to the front.

상판부(32)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판부(32)는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판부(32)는 고정 화격자(20)와 이격되게 위치하거나, 고정화격자(20)의 하부와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part 32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upper plate part 32 is located below the fixed grate 20 of the drying end DS. The upper plate part 32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grate 20 or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grate 20 .

지지부(33)는 상판부(32)의 후면에 형성된다. 지지부(33)에는 지지봉(7)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4)이 마련된다. The support part 3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art 32 . The support part 33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34 into which the support rod 7 can be inserted.

벽부(37)는 상판부(32)의 전면측 하부에 형성된다. 벽부(37)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벽부(37)의 하단부는 연소단(CS)의 이동 화격자(25)의 상부에 접촉된다. 벽부(37)는 건조단(DS)의 고정 화격자(20)와 연소단(CS)의 이동화격자(25) 사이의 위치하는 낙차단으로서, 건조단(DS)과 연소단(CS) 사이로 폐기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The wall part 37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32 . The wall portion 37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 predetermined length.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37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grate 25 of the combustion stage CS. The wall portion 37 is a falling end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grate 20 of the drying end DS and the moving grate 25 of the combustion end CS, and the waste is disposed between the dry end DS and the combustion end CS. It acts as a barrier to entry.

돌출부(35)는 상판부(32)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35)의 단부는 고정 화격자(20)의 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달리 돌출부(35)의 단부가 고정 화격자(20)의 단부보다 후방으로 후퇴하거나, 고정화격자(20)의 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rotrusion 3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late 32 to the front. The end of the protrusion 35 is formed to be at the same position as the end of the fixed grate 20 . In contrast, the end of the protrusion 35 may retreat rearward than the end of the fixed grate 20 or may protrude forward than the end of the fixed grate 20 .

돌출부(35)는 위에서부터 밀려 내려와 이동하는 폐기물이 벽부(37)에 접촉하는 것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벽부(37)의 전면에 폐기물이 접촉하며 벽부(37)의 표면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protrusion 35 serves to reduce the contact with the wall portion 37 of the moving waste pushed down from abo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brasion of the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7 by the contact of wast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7).

한편, 벽부(37)의 표면에 폐기물이 접촉하는 것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벽부(37)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부(37)의 후면(38)은 수직하게 형성되지만 벽부(37)의 전면(39)은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벽부(37)의 전면(39)과 후면(38)이 이루는 각도는 약 2 내지 10°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7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further reduce the contact of waste with the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7 . Specifically, the rear surface 38 of the wall portion 37 is formed vertically, but the front surface 39 of the wall portion 37 is inclined to retreat in the rear direction as it progres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angle between the front surface 39 and the rear surface 38 of the wall part 37 may be about 2 to 10°.

이와 같이 벽부(37)의 전면(39)을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건조단의 고정화격자(20)에서 연소단의 이동화격자(25)로 밀려 내려오는 폐기물의 벽부(37)의 전면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ront surface 39 of the wall part 37 is inclined to retreat in the rear directio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part 37 of the waste that is pushed down from the fixed grate 20 of the drying stage to the moving grate 25 of the combustion stage. contact can be minimized.

상술한 낙차단용 화격자(31)의 구조는 폐기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마모를 줄일 수 있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drop-blocking grate 31 has a structure that minimizes contact with waste, so that wear of the fall-breaking grate 31 can be reduced an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벽부(37)의 전면에 클링커가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벽부(37)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전후로 스윙시키기 위한 스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clinker from being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portion 37 of the drop-blocking grate 31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wing means for swinging the wall portion 37 back and forth within a limited range is further provided. can do.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윙수단은 이동화격자(25)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턱(41)과, 벽부(37)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이동화격자(25)의 이동시 접촉턱(41)에 걸리는 걸림돌기(43)를 구비한다. 8 and 9, the swing means includes a contact jaw 4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grate 25, and a contact jaw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37 to move the moving grate 25. 41)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43).

접촉턱(41)은 이동화격자(25)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접촉턱(41)은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ct jaws 41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grate 25 . The contact jaw 41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a wide lower portion and a narrow upper portion.

열을 이루는 이동화격자들(25) 각각에 접촉턱(41)이 하나씩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이동화격자들(25)에 형성된 접촉턱(41)은 모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턱(41)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다. One contact jaw 41 is formed on each of the moving gratings 25 forming a row. Preferably, the contact jaws 41 formed on each of the moving gratings 25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ly, the contact jaws 41 are alternately positioned.

걸림돌기(43)는 벽부(37)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걸림돌기(43)가 접촉턱(41)을 타고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걸림돌기(43)는 곡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The locking protrusion 4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37 . The locking protrusion 43 is formed to be convex i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43 can easily pass over the contact jaw 41 .

상판부(32)는 고정 화격자(20)와 살짝 이격된다. 따라서 고정 화격자(20)와 상판부(32) 사이에는 틈새가 마련된다. 이러한 틈새에 의해 상판부(32)는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갖는다. The upper plate part 32 is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fixed grate 20 . Therefore,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grate 20 and the upper plate part 32 . Due to this gap, the upper plate part 32 has a free space that can be rotated upward.

이동 화격자(25)가 이동을 하게 되면 접촉턱(41)이 걸림돌기(43)와 접촉하게 되면 벽부(37)가 들어 올려지면서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지지봉(7)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접촉턱(41)이 걸림돌기(43)를 통과하면 벽부(37)가 다시 내려오면서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지지봉(7)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moving grate 25 moves, when the contact jaw 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rotrusion 43, the wall part 37 is lifted and the fall-blocking grate 31 moves upward with the support bar 7 as the center. will rotate And when the contact jaw 41 passes the locking protrusion 43 , the wall part 37 descends again, and the fall-blocking grate 31 rotates downward with the support rod 7 as the center.

이와 같이 낙차단용 화격자(31)는 이동 화격자(25)의 이동시 지지봉(7)을 중심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왕복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왕복 회전운동에 의해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벽부(37)는 그네와 같이 전후로 스윙이 가능하다. 따라서 낙차단용 화격자(31)의 벽부(37) 전면(39)에 클링커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rate 31 for the fall cut-off can be reciprocally rotated up and down within a limited range around the support rod 7 when the moving grate 25 is moved. By this reciprocating rotational movement, the wall portion 37 of the drop-blocking grate 31 can swing back and forth like a sw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clinker from adhering to the front surface 39 of the wall portion 37 of the drop-blocking grate 31 .

내열강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낙차단용 화격자는 캐스타블 내화재에 비해 클링커의 부착이 다소 줄어들기는 하나 여전히 표면에 클링커가 부착되는 문제점은 발생하므로 상술한 스윙수단은 클링커 부착 방지에 유용하다. 또한, 열을 이루는 이동화격자들(25) 각각에 형성된 접촉턱(41)을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낙차단용 화격자들(31)이 시간을 서로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스윙이동을 한다. 따라서 낙차단용 화격자 열의 전면에 클링커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the fall-blocking grate made of a heat-resistant steel material has a somewhat reduced clinker adhesion compared to the castable fire-resistance material, the clinker is still attached to the surface, so the above-described swing means is useful for preventing clinker adhesion. In addition, by displacing the contact jaws 41 formed on each of the moving grates 25 constituting a row to alternate with each other, the fall-blocking grates 31 sequentially swing at different tim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at clinker is wide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rop-blocking grate row.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 연소실 3: 투입호퍼
9: 보조연소실 DS: 건조단
CS: 연소단 PCS: 후연소단
20: 고정화격자 23: 이동화격자
30: 낙차단 31: 낙차단용 화격자
51: 본체 60: 라이너부
61: 전면플레이트 63: 저면플레이트
1: Combustion chamber 3: Input hopper
9: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DS: Dry end
CS: combustion stage PCS: post combustion stage
20: fixed grate 23: mobile grate
30: fall cut 31: drop cut grate
51: body 60: liner part
61: front plate 63: bottom plate

Claims (5)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입구에 설치되어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연소실에 설치되며 계단식 구조로 형성된 화격자모듈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형성된 회분배출구 및 소각재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화격자모듈은 폐기물의 건조 및 가스화가 이루어지는 건조단과, 상기 건조단에서 가스화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단과, 상기 연소단에서 연소 후 잔존 유기물을 연소시키는 후연소단과,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의 경계에 설치되는 낙차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단과 상기 연소단 및 상기 후연소단 각각은 고정화격자와 이동화격자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화격자는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지지봉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고정화격자와 접촉하는 라이너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너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하부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플레이트와, 상기 저면플레이트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플레이트는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라인홈들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라인홈들이 형성된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
combustion chamber;
an input hopper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to which waste is input;
a grate module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Including; ash outlet and incineration ash outle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grate module includes a drying stage where waste is dried and gasified, a combustion stage for burning waste gasified in the drying stage, a post-combustion stage for burning organic matter remaining after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stage, and a boundary between the drying stage and the combustion stage Equipped with a drop-off barrier to be installed on the
A fixed grate and a mobile grat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each of the drying stage, the combustion stage, and the post combustion stage,
The mobile grate includes a main body coupled to a support rod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and a liner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the fixed grate,
The liner portion includes a front plate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 bottom plate ben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plate an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It has an insertion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The bottom plate is a stocker-type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ine grooves are form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and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n which the line grooves are 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차단은 다수의 낙차단용 화격자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열을 이루며,
상기 낙차단용 화격자는 상기 건조단에 포함된 고정 화격자의 하방에 설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지지봉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단에 포함된 이동 화격자의 상방에 설치되는 벽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전면이 후면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억제 기능을 갖는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op cutoff is a plurality of drop cut grates arrang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row,
The drop-off grate includes a top plate installed below the fixed grate included in the drying end, a support pa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supported by a support rod, and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top plate to the combustion end. A wall portion installed above the included mobile grate, and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portion to the front,
The stocker-type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with a wear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portion is inclined so as to retreat in the rear direction as it progres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를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키기 위한 스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 [4] The stocker-type incinerator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swing means for swinging the wall 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2차 연소시키는 보조연소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스토커식 소각로.
The stocker-type incinerat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for secondary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KR1020220058347A 2022-05-12 2022-05-12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KR102447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47A KR102447627B1 (en) 2022-05-12 2022-05-12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347A KR102447627B1 (en) 2022-05-12 2022-05-12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627B1 true KR102447627B1 (en) 2022-09-27

Family

ID=8345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347A KR102447627B1 (en) 2022-05-12 2022-05-12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62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248A (en) 1996-11-27 1998-08-17 신영균 Grader wear protection system of stalker incinerator
KR100397074B1 (en) * 2000-02-23 2003-09-13 에스엠메탈(주) Apparatus of fire-lattice for industrial wastes incinerator
JP3129618U (en) * 2006-12-07 2007-03-01 幸男 熊田 Incinerator
KR200443850Y1 (en) 2007-11-16 2009-03-16 (주)경윤엔지니어링 Stoker incinerator
KR20200002295U (en)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진화메탈 Grate for falling stage of stoker-type incinerator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erof
KR20220046973A (en) * 2020-10-08 2022-04-15 조일금속공업 주식회사 Structure for preventing closure phenomenon of combustion air hole and improved lifespan of air-cooled gr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248A (en) 1996-11-27 1998-08-17 신영균 Grader wear protection system of stalker incinerator
KR100397074B1 (en) * 2000-02-23 2003-09-13 에스엠메탈(주) Apparatus of fire-lattice for industrial wastes incinerator
JP3129618U (en) * 2006-12-07 2007-03-01 幸男 熊田 Incinerator
KR200443850Y1 (en) 2007-11-16 2009-03-16 (주)경윤엔지니어링 Stoker incinerator
KR20200002295U (en)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진화메탈 Grate for falling stage of stoker-type incinerator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erof
KR20220046973A (en) * 2020-10-08 2022-04-15 조일금속공업 주식회사 Structure for preventing closure phenomenon of combustion air hole and improved lifespan of air-cooled gr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443B1 (en) Droppingstep grate for incinerator
US20100122643A1 (en) Modular grate block for a refuse incinerator
KR102447627B1 (en) stocker incinerator with improved durability
KR101326481B1 (en) A down-ventilated flame incinerator
KR200492767Y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falling stage of stoker-type incinerator
KR102110167B1 (en) Water-cooled and air-cooled integral grate bar corresponding to the burning rate of biomass by dividng and arrang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combustion air
KR102448148B1 (en) grate module for incinerator
KR200471741Y1 (en) Fire grate unit for use in the incineration furnace
KR101438578B1 (en) Grate bar and stoker and incinerator having the same
KR102065568B1 (en) Detachable side wall grate for incinerator
KR100622297B1 (en) Tiered semi-continuous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KR200443850Y1 (en) Stoker incinerator
KR200429257Y1 (en) Grate for incinerator
KR102298181B1 (en) Transfer grate with grate track separating element
JP2015090221A (en) Mixture-type refuse combustion system and refuse furnace with mixture-type refuse combustion system
KR102399041B1 (en) stocker incinerator
KR102408791B1 (en) grate for falling stage of incinerator
KR200397111Y1 (en) The Driving System of Parallel Pitching Stocker
KR20090124822A (en) Grate for incinerator
RU2602709C2 (en) Grate consisting of fire bars for combus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fire bars in grate and their removal therefrom
KR20030081574A (en) Step Type Stoker, Incinerator with the Same, and Grate for the Stoker
KR101415913B1 (en) both ends are raised stoker incinerator to inhibit clinker generated
KR102573009B1 (en) Droppingstep grate for incinerator
KR101867544B1 (en) Side grate for incinerator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100784619B1 (en) Grate for inci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