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35B1 -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Google Patents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7535B1 KR102447535B1 KR1020220036685A KR20220036685A KR102447535B1 KR 102447535 B1 KR102447535 B1 KR 102447535B1 KR 1020220036685 A KR1020220036685 A KR 1020220036685A KR 20220036685 A KR20220036685 A KR 20220036685A KR 102447535 B1 KR102447535 B1 KR 102447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lcro
- strap
- panel
- shoulder
- w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8—Ches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8—Mixed male and fema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방탄부재를 하나의 경량 방탄복에 알맞게 수납해 사용할 수 있는 경량 방탄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방탄부재를 하나의 경량 방탄복에 알맞게 수납해 사용할 수 있는 경량 방탄복에 관한 것이다.
방탄복은 총탄에 대하여 인명을 보호하도록 설계된 안전 장비로서, 군인, 경찰, 경비요원 등이 착용하게 되며, 교전 상황에서 총탄이나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방탄복은 실제 방탄 작용을 하는 방탄재와, 이를 둘러싸면서 의복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된다. 이때, 외피는 통상 조끼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방탄재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전면판과 배면판을 통으로 재단하거나, 또는 전면판과 배면판을 버클, 벨크로 등의 체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방탄복에서 가장 핵심적인 구성은 실제 총탄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도록 방호성능을 갖춘 방탄부재이며, 이러한 방탄부재는 소모품으로서, 적절히 교체 사용되어져야 한다.
특히,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마다 이러한 방탄부재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기 때문에, 방탄복은 이러한 서로 다른 크기의 방탄부재를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방탄복은 방탄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용 방탄부재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사용구조상의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방탄부재를 하나의 경량 방탄복에 알맞게 수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경량 방탄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전면에 착용되는 전면부, 배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배면에 착용되는 배면부,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허리부분에 지지되는 한 쌍의 허리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상단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어깨부분에 견착되는 한 쌍의 어깨연결부를 포함하는 경량 방탄복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깨연결부 각각은, 상기 배면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1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어깨스트랩; 및 상기 제1 어깨스트랩에 중첩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어깨벨크로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2 어깨벨크로가 형성되어 제1 어깨스트랩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어깨버클을 통해 전면부와 연결 결합되는 제2 어깨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의 끝단에는 파우치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의 폭은 제2 어깨스트랩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어깨스트랩에는 완충재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제2 어깨스트랩의 중첩량에 따라 어깨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에 제1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전면하단패널이 연장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각각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단패널 위로 상기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을 각각 겹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면좌측패널, 전면우측패널 및 전면하단패널 사이로 전면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수용공간으로 상기 전면방탄부재를 수용하는 전면착용부재; 배면에는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전면착용벨크로가, 전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좌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패치; 및 배면에는 상기 제5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을 가지는 전면웨빙스트랩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전술패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상단에는 전면상단패널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단패널 위로 겹쳐 고정된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 위로 겹쳐 고정됨으로써 전면수용공간에 수용된 전면방탄부재의 상단을 감싸 고정하며, 상기 전면하단패널의 배면에는 전면하단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면하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좌측벨크로와 전면우측벨크로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이 전면하단패널 배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전면상단패널에는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전면좌측벨크로와 전면우측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상단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허리연결부 각각의 일단은 배면부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허리버클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연결패치에 각각 연결 결합되어 한 쌍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 중 편측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을 분해하여 신체로부터 해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에는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면파우치는, 전면포켓; 상기 전면포켓에 결합되며 끝단이 자유단 형태로서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관통하여 전면웨빙스트랩에 매달리는 전면행거스트랩; 및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이 전면통과공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되는 전면행거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 각각의 전면행거홀더에는 견착스트랩이 상호 관통해 결착되며, 상기 전면행거홀더는, 일측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루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견착스트랩이 통과하는 전면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에 상호 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을 이격지지하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호 형태로 만곡지게 구성되어 중앙 부분의 가압에 따라 반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전면지지판; 및 상기 제2 전면고정편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상기 견착스트랩의 통과시 견착스트랩을 걸림 지지하는 전면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이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되되, 전면행거홀더가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통과할 때에는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에 형성된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전면행거스트랩에 형성된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에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로 전면통과공을 통과하며, 상기 견착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면고정홀의 일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을 타고 넘어가되, 타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걸림수단은, 상기 전면고정홀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탄성와이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걸리는 전면스탑볼; 상기 전면스탑볼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전면고정편 하단을 관통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비탄성와이어; 및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가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제2 전면고정편 외측 하단에 걸림 지지되는 전면스탑편;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스탑편을 하부로 견인하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가 하부로 신장되면서 상기 전면스탑볼이 걸림돌기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전면스탑편에 견인력이 제거되면 전면탄성와이어가 압축되면서 전면스탑볼이 정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하단패널, 전면좌측패널, 전면우측패널 및 전면상단패널이 서로 겹쳐지는 양을 조절하게 되면 전면수용공간의 넓이,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수용공간의 전후 폭, 좌우 폭, 상하 폭 등을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전면방탄부재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방탄복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방탄복의 요부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방탄복의 요부 배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전면착용부재와 제1 배면착용부재에 다양한 크기의 방탄부재가 수납되는 과정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어깨연결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여깨연결부가 길이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전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전면착용부재의 배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전면착용부재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면착용부재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전면행거스트랩 및 전면행거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전술패치와 전면파우치의 요부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전면행거홀더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전면행거홀더가 전면웨빙스트랩을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견착스트랩이 결합된 경량 방탄복의 하부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전면걸림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패키징백에 전술벨트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1은 배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제1 배면착용부재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허리연결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전술패치가 탈거된 상태의 방탄복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허리연결부의 길이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9는 긴급착용부의 단독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전술패치 및 가림막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전술벨트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식별패치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면착용부재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배면착용부재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방탄복의 요부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방탄복의 요부 배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전면착용부재와 제1 배면착용부재에 다양한 크기의 방탄부재가 수납되는 과정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어깨연결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여깨연결부가 길이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전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전면착용부재의 배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전면착용부재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전면착용부재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전면행거스트랩 및 전면행거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전술패치와 전면파우치의 요부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전면행거홀더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전면행거홀더가 전면웨빙스트랩을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견착스트랩이 결합된 경량 방탄복의 하부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전면걸림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패키징백에 전술벨트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 내지 도 21은 배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제1 배면착용부재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허리연결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전술패치가 탈거된 상태의 방탄복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허리연결부의 길이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9는 긴급착용부의 단독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전술패치 및 가림막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전술벨트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식별패치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면착용부재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배면착용부재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경량 방탄복이라 함은, 통상, 방탄부재의 무게를 제외한 무게가, 2kg 미만인 방탄복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방탄복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면부(100), 배면부(200), 허리연결부(400), 어깨연결부(300) 및 긴급착용부(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면부(100)는 전면방탄부재(110)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전면에 착용될 수 있으며, 배면부(200)는 배면방탄부재(210)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배면에 착용될 수 있다. 허리연결부(400)와 어깨연결부(300)는 전면부(100)와 배면부(200)의 좌우측을 연결하되, 허리연결부(400)는 착용자의 좌우측 허리부분에 각각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구성으로 마련되고, 어깨연결부(300)는 전면부(100)와 배면부(200)의 상단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어깨부분에 각각 견착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어깨연결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어깨연결부(300) 각각은 착용자의 어깨에 접촉되는 부위에 별도의 버클 없이도 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방탄복 하중에 따라 착용자의 어깨에 통증을 야기시킴으로써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어깨스트랩(310) 및 제2 어깨스트랩(3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어깨스트랩(31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배면부(200)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며 끝단이 자유단 형태를 이루며, 일측면에 제1 어깨벨크로(311, 도 22에 도시)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제2 어깨스트랩(320)은 전술한 제1 어깨스트랩(31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제1 어깨스트랩(310) 외측에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어깨스트랩(320)에는 상기 제1 어깨벨크로(311)를 마주하는 부분에 제2 어깨벨크로(321)가 형성되어 제1 어깨스트랩(3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3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어깨스트랩(320)의 제1 단부는 제1 어깨스트랩(310)과 마찬가지로 자유단 형태를 이루어 제1 어깨스트랩(310) 상에 중첩되게 위치하고, 제1 단부의 반대측 제2 단부는 어깨버클(350)을 통해 전면부(100)와 연결 결합되는 구조를 갖춘다.
어깨버클(350)은 통상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버클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제2 어깨스트랩(320)의 제1 단부는 제1 어깨스트랩(310)에, 제2 단부는 전면부(10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은 제1 어깨벨크로(311)와 제2 어깨벨크로(321)에 의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때,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중첩량에 따라 어깨연결부(3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중첩량을 많게 하여 서로 부착 고정하게 되면 그만큼 전면부(100)와 배면부(200)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어깨연결부(30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한편,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중첩량을 작게 하여 서로 부착 고정하게 되면 그만큼 전면부(100)와 배면부(200)가 서로 이격되면서 어깨연결부(30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어깨연결부(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방탄복을 알맞게 착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깨스트랩(310)의 끝단에는 파우치연결고리(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우치연결고리(312)에는 각종 장구류를 매달아 휴대하거나, 한 쌍의 어깨연결부(300) 각각에 형성된 파우치연결고리(312) 상에 로프 등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어깨연결부(300)가 착용자의 양 어깨에서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연결고리(312)는 제1 어깨스트랩(310)에서 제2 어깨스트랩(32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파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2 어깨스트랩(320)은 착용자의 어깨에 직접적으로 안착 지지되는 구성으로, 착용감을 고려하여 내부에 완충재가 충전될 수 있다. 완충재에 의해, 경량 방탄복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어깨를 가압하여 발생하는 이물감 내지 통증을 방지한다.
본 설명에서 말하는 완충재는, 메모리폼, 라텍스, 솜, 스펀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어깨스트랩(310)의 폭은 제2 어깨스트랩(3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 어깨스트랩(310)이 제2 어깨스트랩(320)을 충분한 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접촉면적을 넓혀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착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폭을 가지는 제2 어깨스트랩(320)을 병행해 사용할 때, 서로 다른 제2 어깨스트랩(320)들이 무리 없이 제1 어깨스트랩(310) 부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어깨연결부(300)는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이 서로 부착 고정될 때의 제1 어깨벨크로(311), 제2 어깨벨크로(321) 간의 부착 고정력에 의해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게 되므로 착용시 안정성이 대폭 향상되어질 수 있다.
또한, 버클 없이도 어깨연결부(300)의 길이조절이 손쉽게 가능해지므로 버클의 간섭에 의한 착용감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방탄복을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어깨패드(330)가 착용자의 어깨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어, 어깨 부분에서의 통증이나 이물감을 줄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전면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0)는 착용자의 흉부 전방에 착용되어, 흉부 전방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단에는 어깨연결부(300)가, 좌우 측면에는 허리연결부(4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면부(100)는 크게 전면착용부재(120), 연결패치(140) 및 전술패치(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착용부재(120)는 흉부 전방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일정 면적을 가지며 전면에는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는 연결패치(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의 상부로는 제1 패치부착벨크로(12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패치부착벨크(129)로 식별패치(18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식별패치(180)는 전면부(100)의 전면에 탈부착되어, 아군 식별을 위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이때, 식별패치(180)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통상 전투복에 오바로크되는 국기, 부대의 마크 등이 새겨진 패치일 수 있다.
식별패치(180)의 배면에는 제1 패치부착벨크로(12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는 제2 패치부착벨크(181)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에는 야간 식별을 위한 나노물질(182)이 코팅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나노물질이라 함은, 야광물질, 재귀반사물질 또는 야간에 반사경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공지된 수단들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면착용부재(120)의 내부로는 전면방탄부재(110)가 수용되는 전면수용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전면수용공간(121)의 상단이 개폐되어 전면방탄부재(110)를 전면수용공간(121)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에는 전면하단패널(123)이 연장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각각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단패널(123) 위로 상기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을 각각 겹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면좌측패널(124), 전면우측패널(125) 및 전면하단패널(123) 사이로 전면수용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전면하단패널(123)을 전면착용부재(120)의 배면을 향해 먼저 접고, 이어서,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을 각각 전면하단패널(123)을 향해 접어 서로 겹치도록 함으로써 전면방탄부재(1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렇게 마련된 전면수용공간(121)의 개방된 상부로 전면방탄부재를 인출입시킬 수 있다.
한편, 전면착용부재(120)의 상단에는 전면상단패널(126)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전면상단패널(126)은 상기 전면하단패널(123) 위로 겹쳐 고정된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 위로 겹쳐 고정됨으로써 전면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전면방탄부재(110)의 상단을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방탄부재(110)의 사방이 감싸지게 되어 착용자의 신체활동시에도 전면방탄부재(110)가 위치이동하지 아니하고 안전하게 수용되어질 수 있다.
한편, 전면하단패널(123) 위로 겹쳐 구성된 전면좌측패널(124), 전면우측패널(125) 및 전면상단패널(126)을 위치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면하단패널(123)의 배면에는 전면하단벨크로(12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면하단벨크로(12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좌측벨크로(124a)와 전면우측벨크로(125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이 전면하단패널(123) 배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은 양 면에 전면좌측벨크로(124a)와 전면우측벨크로(125a)가 형성되어진바, 외부로 노출된 각각의 전면좌측벨크로(124a)와 전면우측벨크로(125a)의 배면을 향해 전면상단패널(126)에 형성된 전면상단벨크로(126a)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전면상단패널(126)이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어질 수 있다.
즉, 전면하단패널(123) 상에 전면좌측패널(124), 전면우측패널(125) 및 전면상단패널(126)이 단계적으로 겹쳐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서로의 결합이 쉽게 풀리지 아니하게 되며 전면방탄부재(110)를 보다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하단패널(123), 전면좌측패널(124), 전면우측패널(125) 및 전면상단패널(126)이 서로 겹쳐지는 양을 조절하게 되면 전면수용공간(121)의 넓이,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수용공간(121)의 전후 폭, 좌우 폭, 상하 폭 등을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전면방탄부재(110)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경량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체 해체하지 아니하고도, 전면상단패널(126)의 조작을 통해 전면수용공간(121)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방탄부재(110)의 용이한 교체를 가능케 한다.
전면하단패널(123)은 배면으로 접철되었을 때 착용자의 흉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지는 구성으로, 착용감을 고려해 전면하단패널(123)에는 완충재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하단벨크로(123a)의 하부로 망사재질로 이루어진 제1 통기판(12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하단패널(123)이 착용자의 흉부에 직접적으로 맞닿더라도, 착용자의 땀이나 열배출이 용이해지는 구조가 갖춰진다.
제1 통기판(123b)의 망사는 적어도 완충재가 임의로 배출되지 아니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통기판(123b)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해 착용자의 흉부를 넓은 면적에서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면착용부재(120)의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 상부로는 복수 개의 전면통기공(128)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되도록 하여, 착용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부분에서도 땀이나 열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착용자의 신체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면 그 열기는 전면수용공간(121)으로 그대로 유입되고, 전면수용공간(121)에서 계류되어 쉽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데, 전면통기공(128)을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전면수용공간(121) 내의 열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면착용부재(120) 상에 통공을 형성하더라도, 전면착용부재(120)의 배면에는 충분한 면적으로 전면방탄부재(110)가 배치되어 있는바, 특별히 보호력의 저하는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상단패널(126) 또한 배면으로 접철되었을 시 착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전면상단패널(126)의 경우 착용자와 최소한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착용자의 급소인 명치 부분에서 통증을 발생시키지 아니하도록 전면상단벨크로(126a) 상부로는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완충재가 충전되고, 외면이 망사재질로 이루어진 제2 통기판(126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상단패널(126)이 겹쳐 고정되었을 시 전면상단벨크로(126a) 위로 제2 통기판(126b)이 배치되어 착용자의 명치 부위에 완충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신체활동시 전면방탄부재(110)가 요동침으로써 명치에 외력을 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통기판(126b)은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서 명치 부위를 최소한의 면적으로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전면좌측패널(124), 전면우측패널(125) 및 전면상단패널(126)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전면수용공간(121)의 양 측방과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면착용부재(120), 전면하단패널(123), 전면좌측패널(124), 전면우측패널(125) 및 전면상단패널(126)은 단일의 나일론 원단을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하나로 연결된 일체형으로서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정 면적을 가지는 나일론 원단 상에서 레이저 또는 초음파 커팅 방식을 통해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으로는 전면하단패널(123)이 좌우측으로는 각각 전면좌측패널(124)과 전면우측패널(125)이, 상단으로는 전면상단패널(126)이 연장되어진 일체형의 판재를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제작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전면착용부재(120)를 보다 경량으로 구성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경량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충분한 기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나일론 원단은 듀폰사의 코듀라 원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듀라 원단은 가죽처럼 질기고, 닳아짐에 강한 물성이 있으며, 또한 경량으로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전면착용부재(120)에는 제1 전면버클(1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면버클(127)에는 후술 될 전술패치(150)의 제2 전면버클(153)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패치(1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얇은 판 형태로 예시되어, 배면에는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전면착용벨크로(141)가, 전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142)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착용부재(120)의 좌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제5 전면착용벨크로(142)에는 전술패치(1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패치(140)는 전면착용부재(120)와 전술패치(15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부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한편, 연결패치(140)에는 후술 될 허리연결부(400)가 연결 구성되어질 수 있다.
연결패치(140)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 될 허리연결부(400)의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술패치(150)는 전면부(100)의 최전방을 구성하며, 전술활동에 필요한 탄창, 수류탄 등과 같은 휴대용품(이하, 장구류라 함)을 수납하는 파우치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술패치(150)는 방탄복을 완전 착용하였을 때에는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방에 부착 고정되는 한편, 필요에 따라 후술 될 긴급착용부(500) 상에 결합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전술패치(150)의 배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152a)을 가지는 전면웨빙스트랩(152)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춘다.
전면웨빙스트랩(15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15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면통과공(152a)에 파우치의 파우치스트랩이 통과하여 매달리는 방식으로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 복수 개의 파우치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패치(150)는 장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개방된 전술패치(150)의 상단은 포켓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포켓커버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전술패치(150) 내부로 손쉽게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전술패치(150)에 수납된 장구류를 일정 부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장구류를 보다 신속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전술패치(150)는 상기 제5 전면착용벨크로(142)와 제1 전면버클(127)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으로 동시에 고정 결합되어,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파우치는 전면파우치(160), 측면파우치(130), 덤프파우치(530) 등으로 예시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에 의해, 파우치의 결합위치 또는 수납되는 장구류의 종류에 따라 구성 명칭을 다르게 구분한 것일 뿐, 설명되는 파우치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예컨대, 전면웨빙스트랩(152)에는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1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면파우치(160)는 크게, 전면포켓(161), 전면행거스트랩(162) 및 전면행거홀더(16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포켓(161)은 장구류를 수납하는 역할을, 전면행거스트랩(162)은 전면포켓(161)을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다는 역할을, 전면행거홀더(163)는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서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임의로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각각 담당한다.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행거스트랩(16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일단은 전면포켓(161)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인 끝단이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전면통과공(152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면행거홀더(163)는 자유단인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끝단에 형성되어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임의로 전면통과공(152a)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 견고히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필요에 따라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된 전면행거홀더(163)를 전면웨빙스트랩(152)에서 이격시킨 후 전면행거스트랩(162)에 밀착시키면 전면행거스트랩(162)과 전면행거홀더(163)가 동시에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결국 전면파우치(160)를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서 탈거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160) 각각의 전면행거홀더(163)에는 견착스트랩(170)이 상호 관통해 결착될 수 있다.
견착스트랩(170)은 신축성있는 탄성재질의 스트랩형 부재로, 착용자의 허리에 둘러지되, 허리에 둘러지는 과정에서 각각의 전면파우치(160)의 전면행거홀더(163)를 관통하게 되며 양 단에는 체결수단(171)이 마련되어 양 단을 선택적으로 이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171)은 벨크로, 버클, 스냅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견착스트랩(170)을 착용하게 되면 불완전한 상태로 고정된 각각의 전면행거홀더(163)가 일제히 견착스트랩(170) 상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향해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려진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전면웨빙스트랩(152)에서 임의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전면파우치(160)가 허리를 향해 밀착 고정되어, 전면파우치(160)의 유동을 방지해 착용감까지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전면행거홀더(163)는 크게 제1 전면고정편(10), 제2 전면고정편(20), 전면지지판(30) 및 전면걸림수단(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은 서로 연결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직물재질로 이루어져 유연하게 형태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은 서로 접철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먼저, 제1 전면고정편(10)의 일측면에는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전면고정편(10)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16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파우치(160)를 전면웨빙스트랩(152)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전면행거홀더(163)가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할 때에는 전면행거홀더(163)의 제1 전면고정편(10)에 형성된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전면행거스트랩(162)에 형성된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162a)에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로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전면행거스트랩(162)에 전면행거홀더(163)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의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끝단 부분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용이하게 전면행거스트랩(162)을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시켜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거나 혹은 전면웨빙스트랩(152)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는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152b)가 형성되어 전면행거홀더(163)의 제1 전면고정편(10)이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행거홀더(163)의 제1 전면고정편(10)이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되는데, 이때,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152b)에 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10)의 임의 접철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면행거스트랩(162)과 전면행거홀더(163) 사이로 전면웨빙스트랩(152)을 부착 고정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려진 상태에서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전면고정편(10)의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는 전면파우치(160)의 착탈동작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162a)에 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단부를 서로 겹쳐 취급할 수 있게 되며,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려진 상태에서는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152b)에 부착 고정되도록 해 제1 전면고정편(10)이 임의로 접철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전면고정편(20)은 제1 전면고정편(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루프 또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견착스트랩(170)이 통과하는 전면고정홀(21)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견착스트랩(170)은 제2 전면고정편(20)에 형성된 전면고정홀(21)을 통과한 상태로 착용자의 허리에 둘러 착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면지지판(30)은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의 타측면에 상호 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의 타측면을 이격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전면지지판(30)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호 형태로 만곡지게 구성되어 중앙 부분의 가압에 따라 반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변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을 선택적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전면지지판(30)은 별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상의 상태로 유지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을 서로 일직선으로 연결 지지함으로써 제1 전면고정편(10)이 전면행거스트랩(162) 또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부착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중앙 부분을 가압하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의 접철을 허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면행거스트랩(162) 또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부착 고정된 제1 전면고정편(10)을 이격시킬 때에는 전면지지판(30)을 절곡시킨 뒤 제1 전면고정편(10)을 제2 전면고정편(20) 상에서 접철시키는 방식으로 전면행거스트랩(162) 또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걸림수단(40)은 제2 전면고정편(20)에 결합되어 전면고정홀(21) 내로 견착스트랩(170)의 통과시 견착스트랩(170)을 걸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견착스트랩(170)의 외측면에는 전면고정홀(21)의 일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40)을 타고 넘어가되, 타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40)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기(172)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견착스트랩(170)의 양 단을 일측 방향(도 17에 도시된 A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견착스트랩(170)이 허리를 강하게 조이게 되는 한편, 견착스트랩(170)의 걸림돌기(172)가 전면걸림수단(40)을 별다른 걸림작용 없이 타고 넘어가게 되어 견착스트랩(170)의 양 단을 체결할 수 있되, 이때, 견착스트랩(170)의 고정위치에서는 걸림돌기(172)가 전면걸림수단(40)에 걸림 지지되어, 견착스트랩(170)이 타측 방향(도 17에 도시된 B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가 되어, 견착스트랩(170)의 임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견착스트랩(170)의 조임력을 조절한다거나 견착스트랩(170)을 신체로부터 신속하게 해체할 경우엔 원터지 조작만으로, 견착스트랩(170)의 걸림돌기(172)를 전면걸림수단(40)으로부터 이격시켜 견착스트랩(170)의 타측 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전면걸림수단(40)은 전면고정홀(21)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탄성와이어(41), 상기 전면탄성와이어(41)의 하단에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걸림돌기(172) 사이에 걸리는 전면스탑볼(42), 상기 전면스탑볼(42)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전면고정편(20) 하단을 관통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비탄성와이어(43) 및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43)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43)가 상기 전면고정홀(21)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제2 전면고정편(20) 외측 하단에 걸림 지지되는 전면스탑편(4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전면스탑편(44)을 하부로 견인하면 탄성의 전면탄성와이어(41)가 하부로 신장되면서 상기 전면스탑볼(42)이 걸림돌기(172)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전면스탑볼(42)과 걸림돌기(172)가 상하로 이격되면 견착스트랩(170)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전면스탑편(44)에 견인력이 제거되면 전면탄성와이어(41)가 압축되면서 전면스탑볼(42)이 정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돌기(172)가 전면스탑볼(42) 상에 다시 걸림 지지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파우치(160)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게 될 때 1차적으로 전면행거홀더(163)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걸림 지지되고, 2차적으로 벨크로의 부착 고정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견착스트랩(17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서 전술패치(150)와 일체화되도록 해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를 다소 과격하게 움직이더라도 전면파우치(160)가 불측의 사유로 탈락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탄복은 휴대를 위하여 전면부(100), 배면부(200), 어깨연결부(300), 허리연결부(400) 및 긴급착용부(500)를 동시에 수납하는 패키징백(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키징백(600)에 수납된 전면부(100)와 배면부(200)는 상하로 적층되게 마련되고, 나머지 어깨연결부(300)와 허리연결부(400)는 적소에 수납되는 한편, 긴급착용부(500)는 패키징백(600)의 내부 외곽에 둘러지게 마련되어 패키징백(600)의 강성 보강과 패키징백(600)의 올바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하겠지만, 긴급착용부(500)는 크게, 서스펜더(520)와 전술벨트(510)를 포함하는데, 이때, 전술벨트(510)를 패키징백(600)의 내측 외곽 둘레를 따라 둘러줌으로써 패키징백(600)의 전체적인 강성과 형태가 부여될 수 있고, 아울러, 패키징백(600)의 내공간이 보다 직관적인 공간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배면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200)는 착용자의 흉부 후방에 착용되어, 흉부 후방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단에는 어깨연결부(300)가, 좌우 측면에는 허리연결부(4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면부(200)는 크게 제1 배면착용부재(220), 제2 배면착용부재(230) 및 배면백(2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배면착용부재(220)는 흉부 후방, 예컨대 착용자의 등 부위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일정 면적을 가지며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지는 구성으로, 하단에는 배면하단패널(222)이 연장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각각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면하단패널(222) 위로 상기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을 각각 겹쳐 고정함으로써 상기 배면좌측패널(223), 배면우측패널(226) 및 배면하단패널(222) 사이로 배면수용공간(221)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배면하단패널(222)을 배면착용부재의 전면을 향해 먼저 접고, 이어서,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을 각각 전면하단패널을 향해 접어 서로 겹치도록 함으로써 배면방탄부재(2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렇게 마련된 배면수용공간(221)의 개방된 상부로 배면방탄부재(210)를 인출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상단에는 배면상단패널(227)이 일정 면적 절개 형성되어진 상태로 연장되어질 수 있다. 이때, 배면상단패널(227)이 배면하단패널(222) 위로 겹쳐 고정된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 위로 겹쳐 고정됨으로써 배면수용공간(221)에 수용된 배면방탄부재(210)의 상단을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면방탄부재(210)의 사방이 감싸지게 되어 착용자의 신체활동시에도 배면방탄부재(210)가 위치이동하지 아니하고 안전하게 수용되어질 수 있다.
한편, 배면하단패널(222) 위로 겹쳐 구성된 배면좌측패널(223), 배면우측패널(226) 및 배면상단패널(227)을 위치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면하단패널(222)의 전면에는 배면하단벨크로(222a)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의 양측면에는 배면하단벨크로(222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면좌측벨크로(223a)와 배면우측벨크로(226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이 배면하단패널(222) 전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은 양 면에 배면좌측벨크로(223a)와 배면우측벨크로(226a)가 형성되어진바, 외부로 노출된 각각의 배면좌측벨크로(223a)와 배면우측벨크로(226a)의 전면을 향해 배면상단패널(227)에 형성된 배면상단벨크로(227a)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배면상단패널(227)이 배면좌측패널(223)과 배면우측패널(226)의 전면에 고정 결합되어질 수 있다.
즉, 배면하단패널(222) 상에 배면좌측패널(223), 배면우측패널(226) 및 배면상단패널(227)이 단계적으로 겹쳐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서로의 결합이 쉽게 풀리지 아니하게 되며 배면방탄부재(210)를 보다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면하단패널(222), 배면좌측패널(223), 배면우측패널(226) 및 배면상단패널(227)이 서로 겹쳐지는 양을 조절하게 되면 배면수용공간(221)의 넓이, 보다 구체적으로 배면수용공간(221)의 전후 폭, 좌우 폭, 상하 폭 등을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배면방탄부재(210)를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경량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체 해체하지 아니하고도, 배면상단패널(227)의 조작을 통해 배면수용공간(221)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배면방탄부재(210)의 용이한 교체를 가능케 한다.
배면하단패널(222)은 배면방탄부재(210)의 전면으로 접철되었을 때 착용자의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지는 구성으로, 착용감을 고려해 배면하단패널(222)에는 완충재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하단벨크로(222a)의 하부로 망사재질로 이루어진 제3 통기판(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면하단패널(222)이 착용자의 등에 직접적으로 맞닿더라도, 착용자의 땀이나 열배출이 용이해지는 구조가 갖춰진다.
제3 통기판(222b)의 망사는 적어도 완충재가 임의로 배출되지 아니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통기판(222b)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해 착용자의 등을 넓은 면적에서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배면착용부재(220)에는 복수 개의 배면통기공(228)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되도록 하여, 착용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부분에서도 땀이나 열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착용자의 신체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면 그 열기는 배면수용공간(221)으로 그대로 유입되고, 배면수용공간(221)에서 계류되어 쉽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데, 배면통기공(228)을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배면수용공간(221) 내의 열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배면착용부재(220) 상에 통공을 형성하더라도,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전면에는 충분한 면적으로 배면방탄부재(210)가 배치되어 있는바, 특별히 보호력의 저하는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배면상단패널(227) 또한 전면으로 접철되었을 시 착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배면상단패널(227)의 경우 착용자와 최소한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착용자의 등 중앙, 특히 척추뼈 부위에 베김을 발생시키지 아니하도록 배면상단벨크로(227a) 상부로는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완충재가 충전되고, 외면이 망사재질로 이루어진 제4 통기판(227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배면상단패널(227)이 겹쳐 고정되었을 시 배면상단벨크로(227a) 위로 제4 통기판(227b)이 배치되어 착용자의 척추 부위에 완충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신체활동시 배면방탄부재(210)가 요동침으로써 급소에 외력을 가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배면좌측패널(223), 배면우측패널(226) 및 배면상단패널(227)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배면수용공간(221)의 양 측방과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배면착용부재(220), 배면하단패널(222), 배면좌측패널(223), 배면우측패널(226) 및 배면상단패널(227)은 단일의 나일론 원단을 연속적으로 재단하여 하나로 연결된 일체형으로서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전면부(100)와 마찬가지로, 배면부(200)의 요부 구성을 연속적으로 재단해 제작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제1 배면착용부재(220)를 보다 경량으로 구성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경량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충분한 기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제1 배면통과공(224a)을 가지는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에는 후술 될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이 통과하여 매달리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상단에는 제1 견인손잡이(2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견인손잡이(225) 좌우 양 측으로 전술한 어깨연결부(300)의 제1 어깨스트랩(310)이 일체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배면착용부재(230)는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배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면착용부재(230)에는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과 제1 착용행거홀더(23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과 제1 착용행거홀더(232)는 전술한 전술한 전면파우치(160)의 전면행거스트랩(162) 및 전면행거홀더(163)에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며,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배면착용부재(230)는 장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가지는 가방형태로 이루어지며 지퍼 등을 통해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 배면착용부재(220)로부터 탈거되어 독립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와 제2 배면착용부재(230)는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 상에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이 매달려 고정되는 결합 구조에 더해. 제1 배면착용부재(220)와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좌우 양 측은 지퍼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구조를 더 포함한다.
이에, 제1 배면착용부재(220)와 제2 배면착용부재(230)가 2중구조로 연결 결합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양자간의 결합강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상단에는 제2 견인손잡이(23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전시 상황에서 부상자를 견인 이송해야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제1 배면착용부(220)의 제1 견인손잡이(225)와 제2 배면착용부(230)의 제2 견인손잡이(233)를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방탄복을 착용한 부상자를 견인하도록 하거나, 비부상자가 2 인 1 조를 이루어 각각의 손잡이를 파지해 부상자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여 부상자의 부상정도 내지 상황, 지형여건 등을 고려해 부상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상자의 체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부상자의 견인을 작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제2 배면통과공(234a)을 가지는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에는 후술 될 배면백(250)의 제2 착용행거스트랩(251)이 통과하여 매달리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면백(250)은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배면에 형성된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면백(250)에는 제2 착용행거스트랩(251)과 제2 착용행거홀더(25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2 착용행거스트랩(251)과 제2 착용행거홀더(252)는 전술한 전술한 전면파우치(160)의 전면행거스트랩(162) 및 전면행거홀더(163)에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며,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배면백(250)은 장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가지는 가방형태로 이루어지며 지퍼 등을 통해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2 배면착용부재(230)로부터 탈거되어 독립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다.
정리하면, 배면부(200)는 독립적으로 휴대 가능한 가방 구성 예컨대, 제2 배면착용부재(230) 및 배면백(250)을 이용하여 비상 상황에서 장구류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제1 견인손잡이(225)와 제2 견인손잡이(233)를 이용하여 부상자 상황, 지형여건 등을 고려해 부상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상자의 체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부상자의 견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허리연결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연결부(400)는 일단은 배면부(200)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허리버클(410)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연결패치(140)에 각각 연결 결합되어, 경량 방탄복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허리에 둘러 지지되는 구조를 갖춘다.
허리연결부(40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허리연결부(400)에 마련된 허리버클(410)을 분해하게 되면 허리연결부(400)의 타단이 전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방탄복을 착용하거나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어깨연결부(300)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어깨버클(350)과 한 쌍의 허리연결부(400)에 마련된 한 쌍의 허리버클(410) 중 편측의 어깨버클(350)과 허리버클(410)을 분해하여 방탄복을 신체로부터 해체 가능하도록 하면 방탄복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방탄복이 신체로부터 급작스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허리연결부(400) 각각은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측면웨빙스트랩(420)으로 구성되어진다.
허리연결부(400)는 착용자의 허리부근에 밀착 지지되어지는 만큼 착용감이나, 땀배출 등을 고려하여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측면웨빙스트랩(420)으로 구성하여 충분한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각각의 측면웨빙스트랩(420)은 복수 개의 측면통과공(421)을 가지는 한편, 각각의 측면웨빙스트랩(420)에는 복수 개의 측면파우치(4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측면파우치(430)는 전술한 전면파우치(160)와 동일한 구조로서, 측면웨빙스트랩(420)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허리연결부(400)의 길이조절 방식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착용부재(120)에서 한 쌍의 연결패치(140)의 결합 위치에 따라 허리연결부(400)의 타단 고정점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허리연결부(4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방에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예컨대, 허리연결부(40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먼저, 전술패치(150)를 탈거한 뒤 노출된 연결패치(140)를 전면착용부재(120)로부터 탈거해 위치조정 후 다시 재부착하게 되면 연결패치(140)에 연결된 허리연결부(400)의 타단 고정점 위치가 가변되는 한편, 전면부(100)와 배면부(20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연결패치(140) 위로 전술패치(150)를 부착 고정하게 되면 허리연결부(400)의 타단이 완전히 고정되어지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연결패치(140) 각각의 전면에는 상하 양 단이 각각 연결패치(140)의 전면에 부착되되 양 단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연결패치(140)와 이격되는 견인로프(1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는 전면착용부재(120)에 부착 고정된 연결패치(140)의 조작시 견인로프(143)를 파지한 상태로 연결패치(140)를 전면착용부재(120)로부터 탈거하게 되면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의 연결패치(140) 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방탄복을 신체에서 해체하지 아니하고도, 착용한 그대로의 상대에서 착용자의 전방에서 착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허리연결부(400)의 길이조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긴급착용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긴급착용부(500)는 전면부(100), 배면부(200), 허리연결부(400) 및 어깨연결부(300)로 이루어진 방탄복의 주요 구조체 내부에서, 허리와 상체에 상호 기착용하여 방탄복의 흔들림이나 요동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주요 구조체와 별개로, 단독 착용 가능하도록 해, 방탄복 전체를 착용할 수 없을 정도의 긴급한 상황 발생시 최소한의 장구류만을 신속하게 휴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긴급착용부(500)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에 둘러 착용하는 전술벨트(510) 및 상체에 착용하되 상기 전술벨트(510)와 연결되는 서스펜더(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전술벨트(510)는 양 단이 체결버클(511a)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코어(511) 및 상기 코어(511)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커버(5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코어(511)는 착용자의 허리에 둘러질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스트랩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커버(512)는 코어(511)의 외측을 감싸 전술벨트(510)의 착용시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512)의 내부로는 완충재가 충전되어 전술벨트(510)에 장구류 수납에 의한 하중이 가해졌을 때 허리를 가압하여 허리 부근에 발생하는 이물감 내지 통증을 방지한다.
커버(512)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허리통과공을 가지는 허리웨빙스트랩(513)이 연장되어 결합되는 한편, 허리웨빙스트랩(513)에는 덤프파우치(5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덤프파우치(530)는 지갑형태의 접이식 형태로 마련되어, 각종 엄폐용 천막 등을 수납하거나, 혹은 덤프포켓 자체가 일정 면적을 천막 형태로 말려 보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덤프파우치(530)의 구체적인 사항은 전술한 전면파우치(160)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며, 허리웨빙스트랩(513)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커버(512)의 내측면에는 논슬립피막이 코팅되어 착용자의 허리 부근에 충분한 마찰저항을 가지고 밀착 착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서스펜더(520)는 착용자의 어깨에 둘러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커버(512)와 연결된다.
이때, 서스펜더(520)의 전방에는 제3 전면버클(5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전면버클(521)에는 전술패치(150)에 형성된 제2 전면버클(153)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긴급착용부(500)의 단독 착용시, 서스펜더(520)의 전방에는 상기 전술패치(150)가 결합되어, 전면파우치(160) 및 전면파우치(160)에 수납된 장구류를 동시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한편,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으로부터 탈거된 전술패치(150)의 배면에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지는바, 이 상태에서 긴급착용부(500)에 그대로 결합시키게 되면 착용자의 의복이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에 엉겨붙게 되어 전술패치(15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착용감이 저하되는바, 이때에는 전술패치(150)의 배면에 상기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를 가리는 가림막(540)을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에 의복이 엉겨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전면부와 배면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부는 전술한 실시예 대비 전면착용부재의 구조 및 제1 전착고정스랩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배면부는 제1 배면착용부재 및 제2 전착고정스트랩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전술한 실시예 대비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부(100)는 크게, 도 34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착용부재(120),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 연결패치(140) 및 전술패치(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착용부재(120)는 흉부 전방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면에 전면쿠션패드(128)가 형성되어 신체에 밀착 접촉되었을 때의 충분한 착용감을 보장한다.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에는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는 연결패치(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의 내부로는 전면방탄부재(110)가 수용되는 전면수용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전면방탄부재(110)를 전면수용공간(121)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전면수용공간(121)은 전면격막(125)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 이원화된 공간에 전면방탄부재(110)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면격막(125)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전면수용공간(121) 중 어느 한 곳에는 주요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판을, 다른 하나의 전면수용공간(121)에는 보조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재를 각각 내삽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방탄판 또는 방탄재 만을 내삽할 수 있다.
전면격막(125)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전면신장손잡이(125a)가 형성되어,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전면방탄부재(1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손을 집어 전면신장손잡이(125a)를 파지한 뒤 아래로 당겨 전면격막(125)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에, 방탄복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착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전면부(100)의 아래로 손을 넣어 전면수용공간(121)을 손쉽게 구분지은 뒤 전면방탄부재(110)를 보다 용이하게 전면수용공간(121) 내로 삽입시키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판판과 방탄재는 방어등급에 따라 구분되어지는 방탄부재의 일례로서, 예컨대, 방탄판은 경질의 판 형태의 방탄수단으로, 방탄재는 섬유구조의 방탄수단으로 대별되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공지된 방탄수단들로부터 적절히 채택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시,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배면에는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는 후술 될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 전면하단가림편(126) 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에는 제1 전면버클(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면버클(124)에는 후술 될 전술패치(150)의 제2 전면버클(153)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일단은 상기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타단에는 상기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착용벨크로(13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은 전면수용공간(121)의 하단을 전후로 가로질러 전면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전면방탄부재(110)가 개방된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으로 임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수용공간(121) 내부에서 고정되지 아니한 채 흔들리거나 요동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전면방탄부재(1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방탄부재(110)의 고정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착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에는 전면하단가림편(126)과 전면하단고정편(127)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하단을 단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전면방탄부재(110)를 전면수용공간(121)에 밀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먼저, 전면하단가림편(126)은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상태로,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배면을 향해 놓여 전면착용부재(1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전면하단가림편(126)의 일측면에는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형성되며, 다수 회 접철된 상태로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착용부재(1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전면하단가림편(126)은 적어도 'ㄴ'자 형태로 접철되어진 상태로 전면수용공간(121) 하부를 벌려 이격 지지하는 한편, 전면하단가림편(126)에 형성된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 부착 고정되어 전면하단가림편(126)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는 적어도,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의 제3 전면착용벨크로(131)와 전면하단가림편(126)의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동시에 부착 고정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하단고정편(127)은 부착 고정된 전면하단가림편(126)의 고정작용을 수행하여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부를 보다 견고하게 밀폐구성한다.
전면방탄부재(110)의 유무는 착용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이 임의 개방됨에 따라 전면방탄부재(110)가 전면수용공간(121)으로부터 유실되지 아니하도록 전면하단가림편(126)과 전면하단고정편(127)을 통해 개방된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을 보다 견고하게 밀폐 구성할 수 있다.
전면하단고정편(127)은 전면착용부재(120)의 배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배면에 접촉되지 아니한 전면하단가림편(126)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전면하단가림편(126) 상에 부착 고정되는 방식으로, 전면착용부재(120)의 개방된 하단을 2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전면하단고정편(127)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8 전면착용벨크로(127a)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와 전면하단가림편(126), 그리고 전면하단가림편(126)과 전면하단고정편(127)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배면부(200)는 크게, 도 36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면착용부재(220), 제2 배면착용부재(230), 배면백(250) 및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배면착용부재(220)는 흉부 후방, 예컨대 착용자의 등 부위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일정 면적을 가지며 등과 접촉되는 전면에 배면쿠션패드(228)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부로는 배면방탄부재(210)가 수용되는 배면수용공간(221)을 가지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배면방탄부재(210)를 배면수용공간(221)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면수용공간(221)은 배면격막(222)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 이원화된 공간에 배면방탄부재(210)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배면격막(222)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배면수용공간(221) 중 어느 한 곳에는 주요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판을, 다른 하나의 배면수용공간(221)에는 보조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재를 각각 내삽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방탄판 또는 방탄재 만을 내삽할 수 있다.
배면격막(222)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배면신장손잡이(222a)가 형성되어,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배면방탄부재(2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손을 집어 배면신장손잡이(222a)를 파지한 뒤 아래로 당겨 배면격막(222)을 신장시킬 수 있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전면에는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는 후술 될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 배면하단가림편(226) 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일단은 상기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타단에는 상기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배면착용벨크로(24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은 배면수용공간(221)의 하단을 전후로 가로질러 배면수용공간(221)에 수용된 배면방탄부재(210)가 개방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하단으로 임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면수용공간(221) 내부에서 고정되지 아니한 채 흔들리거나 요동치는 것을 제한하도록 배면방탄부재(2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하단에는 배면하단가림편(226)과 배면하단고정편(227)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하단을 단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배면방탄부재(210)를 배면수용공간(221)에 밀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먼저, 배면하단가림편(226)은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배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상태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전면을 향해 놓여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배면하단가림편(226)의 일측면에는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형성되며, 다수 회 접철된 상태로 상기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배면하단가림편(226)은 적어도 'ㄴ'자 형태로 접철되어진 상태로 배면수용공간(221) 하부를 벌려 이격 지지하는 한편, 배면하단가림편(226)에 형성된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 부착 고정되어 배면하단가림편(226)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는 적어도,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의 제2 배면착용벨크로(241)와 배면하단가림편(226)의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동시에 부착 고정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배면하단고정편(227)은 부착 고정된 배면하단가림편(226)의 고정작용을 수행하여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하부를 보다 견고하게 밀폐구성한다.
배면하단고정편(227)은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전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전면에 접촉되지 아니한 배면하단가림편(226)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배면하단가림편(226) 상에 부착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개방된 하단을 2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배면하단고정편(227)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배면착용벨크로(227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전면부
200: 배면부
300: 어깨연결부
400: 허리연결부
500: 긴급착용부
200: 배면부
300: 어깨연결부
400: 허리연결부
500: 긴급착용부
Claims (5)
- 전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전면에 착용되는 전면부, 배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배면에 착용되는 배면부,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허리부분에 지지되는 한 쌍의 허리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상단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어깨부분에 견착되는 한 쌍의 어깨연결부를 포함하는 경량 방탄복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깨연결부 각각은,
상기 배면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제1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어깨스트랩; 및
상기 제1 어깨스트랩에 중첩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어깨벨크로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2 어깨벨크로가 형성되어 제1 어깨스트랩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어깨버클을 통해 전면부와 연결 결합되는 제2 어깨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의 끝단에는 파우치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의 폭은 제2 어깨스트랩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어깨스트랩에는 완충재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제2 어깨스트랩의 중첩량에 따라 어깨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에 제1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전면하단패널이 연장 형성되고, 좌우측단에는 각각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단패널 위로 상기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을 각각 겹쳐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면좌측패널, 전면우측패널 및 전면하단패널 사이로 전면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수용공간으로 상기 전면방탄부재를 수용하는 전면착용부재;
배면에는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전면착용벨크로가, 전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좌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패치; 및
배면에는 상기 제5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을 가지는 전면웨빙스트랩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전술패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상단에는 전면상단패널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하단패널 위로 겹쳐 고정된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 위로 겹쳐 고정됨으로써 전면수용공간에 수용된 전면방탄부재의 상단을 감싸 고정하며,
상기 전면하단패널의 배면에는 전면하단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면하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좌측벨크로와 전면우측벨크로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이 전면하단패널 배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전면상단패널에는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전면좌측벨크로와 전면우측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상단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좌측패널과 전면우측패널의 배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허리연결부 각각의 일단은 배면부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허리버클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연결패치에 각각 연결 결합되어 한 쌍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 중 편측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을 분해하여 신체로부터 해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에는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면파우치는,
전면포켓;
상기 전면포켓에 결합되며 끝단이 자유단 형태로서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관통하여 전면웨빙스트랩에 매달리는 전면행거스트랩; 및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이 전면통과공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되는 전면행거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 각각의 전면행거홀더에는 견착스트랩이 상호 관통해 결착되며,
상기 전면행거홀더는,
일측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루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견착스트랩이 통과하는 전면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에 상호 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을 이격지지하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호 형태로 만곡지게 구성되어 중앙 부분의 가압에 따라 반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전면지지판; 및
상기 제2 전면고정편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상기 견착스트랩의 통과시 견착스트랩을 걸림 지지하는 전면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이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되되, 전면행거홀더가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통과할 때에는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에 형성된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전면행거스트랩에 형성된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에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로 전면통과공을 통과하며,
상기 견착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면고정홀의 일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을 타고 넘어가되, 타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걸림수단은,
상기 전면고정홀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탄성와이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걸리는 전면스탑볼;
상기 전면스탑볼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전면고정편 하단을 관통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비탄성와이어; 및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가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제2 전면고정편 외측 하단에 걸림 지지되는 전면스탑편;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스탑편을 하부로 견인하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가 하부로 신장되면서 상기 전면스탑볼이 걸림돌기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전면스탑편에 견인력이 제거되면 전면탄성와이어가 압축되면서 전면스탑볼이 정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685A KR102447535B1 (ko) | 2022-03-24 | 2022-03-24 |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685A KR102447535B1 (ko) | 2022-03-24 | 2022-03-24 |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7535B1 true KR102447535B1 (ko) | 2022-09-27 |
Family
ID=8345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6685A KR102447535B1 (ko) | 2022-03-24 | 2022-03-24 |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753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13357A (en) * | 1979-11-07 | 1983-11-08 | Michael Sacks | Protective shields |
KR200263746Y1 (ko) | 2001-10-31 | 2002-02-09 | 오리엔탈공업 주식회사 | 보강 방탄복 |
US20070107109A1 (en) * | 2003-07-08 | 2007-05-17 | Eagle Industries Unlimited, Inc. | Cut away vest |
US20090282595A1 (en) * | 2006-05-30 | 2009-11-19 | The Board Of Regents For Oklahoma State University | Antiballistic Garment |
US20120132065A1 (en) * | 2010-11-30 | 2012-05-31 | Jo Won Seuk | Body armor ballistic plate carrier |
KR101543762B1 (ko) * | 2014-02-24 | 2015-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방탄복 |
-
2022
- 2022-03-24 KR KR1020220036685A patent/KR1024475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13357A (en) * | 1979-11-07 | 1983-11-08 | Michael Sacks | Protective shields |
KR200263746Y1 (ko) | 2001-10-31 | 2002-02-09 | 오리엔탈공업 주식회사 | 보강 방탄복 |
US20070107109A1 (en) * | 2003-07-08 | 2007-05-17 | Eagle Industries Unlimited, Inc. | Cut away vest |
US20090282595A1 (en) * | 2006-05-30 | 2009-11-19 | The Board Of Regents For Oklahoma State University | Antiballistic Garment |
US20120132065A1 (en) * | 2010-11-30 | 2012-05-31 | Jo Won Seuk | Body armor ballistic plate carrier |
KR101543762B1 (ko) * | 2014-02-24 | 2015-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방탄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7541B1 (ko) |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경량 방탄복 | |
US7987523B2 (en) | Quick release garment | |
US20120132066A1 (en) | Body armor ballistic plate carrier | |
US9222757B2 (en) | Body armor ballistic plate carrier | |
CA2505602C (en) | Dual use body armor | |
US20120217090A1 (en) | Harness with suspension relief seat | |
US20050005343A1 (en) | Cut away vest | |
US20110072545A1 (en) | Close quarter ballistic chaps with extensions and/or release system | |
WO2011109453A1 (en) | Weight distribution and support device and system for an armor vest | |
US20160022017A1 (en) | Improved personal carrier | |
KR102380551B1 (ko) | 신체사이즈 조절이 용이한 방탄복 | |
KR102407958B1 (ko) | 5분대기조를 위한 긴급착용부를 구비한 방탄복 | |
KR102447535B1 (ko) | 방탄부재의 호환 사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
KR102447534B1 (ko) | 내구성이 극대화된 경량 방탄복 | |
KR102406162B1 (ko) | 방탄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경량 방탄복 | |
US20230349672A1 (en) | Modular accessory system | |
KR102447539B1 (ko) | 부상자 견인 수단을 구비한 경량 방탄복 | |
KR102406192B1 (ko) | 방탄부재의 고정력이 극대화된 경량 방탄복 | |
KR102406203B1 (ko) | 배면백의 신속 해체가 가능한 경량 방탄복 | |
KR102406207B1 (ko) | 전술패치의 교체가 용이한 경량 방탄복 | |
KR102406196B1 (ko) | 친환경 경량 방탄복 | |
KR102447533B1 (ko) |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방탄 성능이 극대화된 경량 방탄복 | |
KR102406202B1 (ko) | 다양한 전술물품의 결합이 가능한 경량 방탄복 | |
KR102406201B1 (ko) | 허리 둘레 길이 조절이 용이한 경량 방탄복 | |
KR102447542B1 (ko) | 불연처리된 원단을 사용한 경량 방탄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